KR100562516B1 - 블럭유니트 및 그를 이용한 단열방음공간블럭 - Google Patents

블럭유니트 및 그를 이용한 단열방음공간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2516B1
KR100562516B1 KR1020050028976A KR20050028976A KR100562516B1 KR 100562516 B1 KR100562516 B1 KR 100562516B1 KR 1020050028976 A KR1020050028976 A KR 1020050028976A KR 20050028976 A KR20050028976 A KR 20050028976A KR 100562516 B1 KR100562516 B1 KR 100562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layer
block layer
unit
lay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8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반희환
Original Assignee
반희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반희환 filed Critical 반희환
Priority to KR1020050028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25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2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2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4Endless-belt separators
    • B65H3/042Endless-belt separators separating from the bottom of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3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 B65H2301/4232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 B65H2301/42322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from bottom of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3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 B65H2301/4234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assisting separation or preventing double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50Machine elements
    • B65H2402/51Joints, e.g. riveted or magnetic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럭유니트 및 그를 이용한 단열방음공간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블럭유니트는 마주보는 제1블럭층(11)과 제2블럭층(12); 제1블럭층(11)과 제2블럭층(12)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1,2블럭층(11)(12)의 상단 및/또는 측부에서 몰입되는 제3블럭층(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방음공간블럭은, 일측에 배치되는 제1블럭유니트(10); 제1블럭유니트(10)와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2블럭유니트(20); 제1,2블럭유니트(10)(20)를 이격시킨 상태로 상호 결합시키는 연결핀(40);을 포함하고, 제1,2블럭유니트 각각은, 마주보는 제1블럭층 및 제2블럭층과, 제1블럭층과 제2블럭층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1,2블럭층의 상단 및/또는 측부에서 몰입되는 제3블럭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블럭유니트 및 그를 이용한 단열방음공간블럭{A block unit and multilayer adiabatic-soundproof block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럭유니트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럭유니트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럭유니트의 제3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럭유니트의 제4실시예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블럭유니트의 제5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블럭유니트의 제6실시예의 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블럭유니트의 제7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7b는 도 7a 의 블럭유니트에 마감재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c는 도 7a의 블럭유니트를 쌓았을 때 줄선이 형성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블럭유니트의 제8실시예를 일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블럭유니트를 타측에서 본 사시도,
도 9a 및 도 9b 는 본 발명에 따른 블럭유니트의 제9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a 의 블럭유니트를 쌓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a 및 도 11b 는 본 발명에 따른 블럭유니트의 제10실시에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a 의 블럭유니트를 쌓았을 때 줄선이 형성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방음공간블럭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4a 내지 14g 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방음공간블럭에 사용되는 단열부의 사시도,
도 15a 내지 15f 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방음공간블럭에 사용되는 연결핀의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방음공간블럭을 옆으로 연결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방음공간블럭을 쌓아서 벽체를 만드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방음공간블럭을 직각 방향으로 연결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방음공간블럭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방음공간블럭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방음공간블럭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방음공간블럭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방음공간블럭의 제6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블럭유니트 11 ... 제1블럭층
11a ... 측홈 12 ... 제2블럭층
12a ... 측홈 12b ... 돌부
12c ... 모서리홈 12c' ... 줄선
12c" ... 몰탈 13 ... 제3블럭층
13a ... 길이홈 13b ... 관통공
13c ... 타측 13c'... 일측
14 ... 마감부 15 ... 공간부
16 ... 표면돌기 20 ... 제2블럭유니트
21 ... 제1블럭층 21a ... 측홈
22 ... 제2블럭층 22a ... 측홈
22b ... 돌부 23 ... 제3블럭층
23a ... 길이홈 23b ... 관통공
24 ... 마감부 25 ... 공간부
30 ... 단열부 40 ... 연결핀
100, 100' ... 단열방음공간블럭
본 발명은 건물 벽체를 시공하는데 사용되는 블럭유니트 및 그를 이용한 단열방음공간블럭에 관한 것이다.
건물 벽체를 시공하는 공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대표적으로 벽돌 조적공 법이나 콘크리트 옹벽공법이 있다.
그러나, 벽돌 조적공법이나 콘크리트 옹벽공법에 의하여 시공되는 벽체는 건물의 무게를 지지하는 내력기능과 충격차단 기능만을 가질 뿐, 열 에너지의 보존능력은 거의 가지지 못하고, 오히려 열전도 손실이 크기 때문에 순전히 단열재에 의존하여 단열을 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단열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단열재를 두껍게 사용할 수 밖에 없었다.
한편, 종래의 기술로 만들어진 벽돌은 건축현장에서 벽체를 시공할 때 각각의 벽돌이 서로 닿는 표면적이 넓어서 쌓을 때 수직선과 수평선을 맞추고 유지하기가 용이하지 않아서, 접착몰탈에 의존하여 수직.수평선을 맞출 수밖에 없었다.
또한, 벽체를 쌓을 때, 먼저 쌓은 벽체는 나중에 쌓은 다른 벽체에 비하여 두배 정도의 두께를 만들어주어야 하였다. 즉, 한쪽 벽체의 두께를 200㎜ 정도가 되도록 쌓은 후 50 ~ 100㎜ 정도 두께의 단열재의 설치하고, 이후에 다른 한쪽에 최소한 100㎜ 정도 이상의 벽체를 쌓아야 하였기 때문에, 결국 벽체 전체의 두께는 350~400㎜ 이상을 넘게 되는 것이 보통이었다. 즉, 벽체의 두께는 시공 기술의 한계에 의하여 필요 이상으로 두꺼워질 수 밖에 없었다.
이러한 이유로 건물 하중을 받지 않는 비내력 벽체를 시공할 경우에도 벽체는 필요 이상으로 두꺼워질 수 밖에 없었고, 따라서 건물이 높을수록 건물 자체의 하중이 과다해지고 이로 인한 건물 하중 지지력의 불안감 때문에 이를 받쳐주기 위한 기둥이나 보와 같은 골조 부분이 커질 수밖에 없었다.
또한, 상층 골조의 무게는 또다시 하층 골조에 전가되어 결국 전체 골조를 키울 수 밖에 없어, 철골조의 건물을 시공할 때 철광석과 같은 자원과 비용의 낭비가 초래되었고, 콘크리트 옹벽구조 공법이나 라멘조 공법에 의하여 건물을 시공할 때 모래, 자갈과 같은 골재와 시멘트의 사용이 많아져 결과적으로 자연자원의 고갈과 환경 피해가 유발되었다.
이외에, 종래의 공법으로는 벽체를 쌓은후 배선, 배관 작업을 할 경우에는 부분적으로 벽체의 일부를 깨야하는 번거로운 공정이 있었고, 일정한 높이 이상을 쌓고 나면 경화 시간이 필요하여 하루에 쌓을 수 있는 벽체의 높이가 1m 내외로 제한적일 수 밖에 없어 공기가 길어지게 되었다. 그리고, 시공상의 난이도가 높아 숙련된 기능공이 아니면 사실상 조적작업이 어렵다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내부에 수많은 밀폐된 공기층을 형성할 수 있어 방음성과 단열성이 우수하고, 전체 벽체의 두께를 줄일 수 있는 블럭유니트 및 그를 이용한 단열방음공간블럭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공과정에서 수평과 수직상태를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는 블럭유니트 및 그를 이용한 단열방음공간블럭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루에 쌓을 수 있는 높이를 높게 할 수 있어 공기단축을 가능하게 하는 블럭유니트 및 그를 이용한 단열방음공간블럭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숙련공이 아닌 초보자도 쉽게 벽체를 시공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블럭유니트 및 그를 이용한 단열방음공간블럭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블럭유니트는,
마주보는 제1블럭층(11)과 제2블럭층(12); 상기 제1블럭층(11)과 제2블럭층(12)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2블럭층(11)(12)의 상단 및/또는 측부에서 몰입되는 제3블럭층(13)을 포함하고, 상기 제1블럭층(11) 및/또는 제2블럭층(12)은 그 상부에 폭 방향으로 형성되고 측부에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측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방음공간블럭의 일 실시예는, 일측에 배치되는 제1블럭유니트(10); 상기 제1블럭유니트(10)와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2블럭유니트(20); 상기 제1,2블럭유니트(10)(20)를 이격시킨 상태로 상호 결합시키는 연결핀(40);을 포함하고, 상기 제1,2블럭유니트 각각은, 마주보는 제1블럭층 및 제2블럭층과, 상기 제1블럭층과 제2블럭층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2블럭층의 상단 및/또는 측부에서 몰입되는 제3블럭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블럭층 및/또는 제2블럭층은 그 상부에 폭 방향으로 형성되고 측부에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측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방음공간블럭의 다른 실시예는, 상호 순차적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2,3블럭유니트(10)(20)(60); 상기 제1,2블럭유니트(10)(20) 사이와, 제2,3블럭유니트(20)(60) 사이에 개재되는 단열부(30)(30'); 상기 제1블럭유니트(10)와 제3블럭유니트(60)를 상호 결합시키는 연결핀(40);을 포함하고, 상기 제1,2,3블럭유니트 각각은, 마주보는 제1블럭층 및 제2블럭층과, 상기 제1블럭층과 제2블럭층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2블럭층의 상단 및/또는 측부에서 몰입되는 제3블럭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블럭층 및/또는 제2블럭층은 그 상부에 폭 방향으로 형성되고 측부에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측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3블럭층(13)에는 상기 제1블럭층(11) 또는 제2블럭층(12)에 접하는 길이홈(13a)이 형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3블럭층(13)에는 그를 관통하는 관통공(13b)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2블럭층(11)(12) 사이의 제3블럭층(13)에는 그 제3블럭층(13)의 타측(13c)이 제1,2블럭층(11)(12) 비하여 돌출되고, 일측(13c')이 제1,2블럭층(11)(12) 비해 몰입 되는 형상을 가진다.
삭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블럭층(11)과 제2블럭층(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벽체를 쌓을 때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줄선이 형성되도록 가장자리 모서리부분을 따라 모서리홈(12c)이 형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홈(12c)이 형성된 제1블럭층 또는 제2블럭층에는 상기 제1,2블럭층(11)(12)의 면적보다 작은 구조의 마감부(14)가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2블럭층(11)(12) 모두에 측홈(11a)(12a)이 형성 되되, 그중 하나의 블럭층의 대략 중앙에는 측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공간부(15)가 형성된다.
삭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블럭층(11)과 제2블럭층(12) 중 어느 하나에는 그로부터 돌출되는 다수개의 표면돌기(16)가 형성되고, 상기 제1블럭층(11)과 제2블럭층(12)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마감부(14)가 형성되되 그 마감부의 면적은 제1,2블럭층(11)(12)의 면적보다 작은 구조를 가진다. 이때, 상기 제1블럭층(11)과 제2블럭층(12) 사이의 제3블럭층(13)에는 그를 관통하는 관통공(13b)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블럭유니트 및 그를 이용한 단열방음공간블럭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럭유니트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럭유니트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럭유니트의 제3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럭유니트의 제4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블럭유니트의 제5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블럭유니트의 제6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또,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블럭유니트의 제7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7b는 도 7a 의 블럭유니트에 마감재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c는 도 7a의 블럭유니트를 쌓았을 때 줄선이 형성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블럭유니트의 제8실시예를 일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블럭유니트를 타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또한, 도 9a 및 도 9b 는 본 발명에 따른 블럭유니트의 제9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a 의 블럭유니트를 쌓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11a 및 도 11b 는 본 발명에 따른 블럭유니트의 제10실시에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a 의 블럭유니트를 쌓았을 때 줄선이 형성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럭유니트는, 마주보는 제1블럭층(11)과 제2블럭층(12)과, 및 제1블럭층(11)과 제2블럭층(12)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1,2블럭층(11)(12)의 상단 및/또는 측부에서 몰입되는 제3블럭층(13)을 포함한다.
이러한 블럭유니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블럭층(11) 또는 제2블럭층(12)에는 그 상부에 폭 방향(Y-방향)으로 측홈이 형성되고 측부에 높이 방향(Z-q방향)으로 측홈이 형성될 수도 있는데, 본 실시예는 제1블럭층(11)에 측홈(11a)이 형성된 것을 예로써 도시하고 있다. 즉, 제1블럭층(11)에 측홈(11a)이 형성되어 있고, 제2블럭층(12)은 편편한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이다.
블럭유니트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블럭층(11)과 제2블럭층(12) 모두에 폭 방향(Y-방향) 및/또는 높이 방향(Z-방향)으로 측홈(11a)(12a)이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블럭유니트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블럭층(13)에 제1블럭층(11) 또는 제2블럭층(12)에 접하는 길이홈이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블럭층(12)에 접하도록 길이홈(13a)이 형성되어 있고, 제1블럭층(11)에는 측홈(11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예로써 도시하고 있다.
블럭유니트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블럭층(13)에 그를 관통하는 다 수개의 관통공(13b)이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관통공(13b)이 형성된 제3블럭층(13)의 양측에 측홈(11a)(12a)을 각각 가지는 제1,2블럭층(11)(12)이 형성된 것을 예로써 도시하고 있다.
블럭유니트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블럭층(13)의 타측(13c)이 일측(13c')과 치합할 수 있도록 돌출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2블럭층(11)(12) 사이의 제3블럭층(13)의 타측(13c)이 일측(13c')에 비하여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제1,2블럭층(11)(12)은 각각 측홈(11a)(12a)을 가지는 것을 예로써 도시하고 있다.
블럭유니트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블럭층(11)과 제2블럭층(12)중 어느 하나가 Z-방향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돌부로 구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돌부는 전체적으로 삼각기둥 또는 사각기둥 형상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블럭층(12)은 다수개의 삼각기둥 형상의 돌부(12b)로 구성되고, 제1블럭층(11)에는 측홈(11a)이 형성된 것을 예로써 도시하고 있다.
블럭유니트는, 도 7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블럭층(11)과 제2블럭층(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2블럭층(12)에, 벽체를 쌓을 때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줄선이 형성되도록 가장자리 모서리 부분을 따라 모서리홈(12c)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블럭층(12)의 상단에 형성된 모서리홈(12c)의 폭은 양측부에 형성된 모서리홈의 폭의 2 배이고, 하단측에는 모서리홈이 형성되지 않는다. 이러한 모서리홈(12c)의 구조에 의하여 블럭유니트를 쌓아나갈 때 줄선의 간격이 일정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블럭층에 별도의 마감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마감부(14)의 면적은 제1,2블럭층(11)(12)의 면적보다 작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서리홈(12c)이 형성된 제2블럭층(12)에 마감부(14)가 형성된다.
도 7a 및 도 7b 에 기재된 블럭유니트는, 제1블럭층(11)에 측홈(11a)이 형성되고, 제2블럭층(12)과 접하는 제3블럭층(13)에 길이홈(13a)이 형성된 것을 예로써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모서리홈(12c)에 의하여, 여러장의 블럭유니트를 쌓게 되면,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블럭유니트와 다른 블럭유니트 사이에 모서리홈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수평 및 수직을 나타내는 줄선(12a')이 형성된다. 종래에는 접착몰탈에 의존하여 수직과 수평을 맞추고 줄선 마감을 하였던 것에 비하여, 본 발명에서는 블럭유니트를 쌓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줄선(12c')이 형성되기 때문에 숙련공이 아닌 초보자도 쉽게 벽체를 시공 할 수 있다. 그리고, 더 나아가, 제2블럭층에는 세로 방향으로 별도의 줄선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이들 줄선(12c')은 몰탈(12")로 마감된다. 이와 같이, 줄선(12c')이 블럭유니트를 쌓아올리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되므로 초보자라도 블럭유니트를 쉽게 쌓을 수 있다.
블럭유니트는, 도 8a 및 도 8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블럭층(11)(12) 모두에 측홈(11a)(12a)이 형성되되, 그중 하나의 블럭층의 대략 중앙에 측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공간부(15)가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블럭층(12)에 공간부(15)가 형성되고, 그 공간부(15)의 상하부측에 측홈(12a)이 형 성되며, 제1블럭층(11)에도 측홈(11a)이 형성된 것을 예로써 도시하고 있다.
블럭유니트는, 도 9a 및 도 9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블럭층(11) 및/또는 제2블럭층(12)의 표면에 그로부터 돌출되는 다수개의 표면돌기가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9a 에는 제1블럭층(11)의 표면에 표면돌기(16)가 형성된 블럭유니트가 도시되어 있고, 도 9b 에는 제1,2블럭층(11)(12) 모두에 표면돌기(16)가 형성된 블럭유니트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도 9a에 도시된 블럭유니트를 쌓아올리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된다.
블럭유니트는, 도 11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블럭층(11)과 제2블럭층(12) 중 어느 하나에는 그로부터 돌출되는 다수개의 표면돌기가 형성되고, 제1블럭층(11)과 제2블럭층(12) 중 다른 하나에는 벽체를 쌓을 때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줄선이 형성되도록 가장자리 모서리부분을 따라 모서리홈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블럭층(11)의 표면에 그로부터 돌출되는 표면돌기(16)가 형성되고, 제2블럭층(12)에 모서리홈(12c)이 형성된다. 이때 제2블럭층(12)의 상단에 형성된 모서리홈(12c)의 폭은 양측부에 형성된 모서리홈의 폭의 2 배이고, 하단측에는 모서리홈이 형성되지 않는다. 이러한 모서리홈(12c)의 구조에 의하여 블럭유니트를 쌓아나갈 때 줄선의 간격이 일정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1블럭층(11)과 제2블럭층(12) 사이의 제3블럭층(13)에는 도 11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를 관통하는 관통공(13b)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한 모서리홈(12c)에 의하여, 여러장의 블럭유니트를 쌓게 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블럭유니트와 다른 블럭유니트 사이에 모서리홈에 의하 여 자연스럽게 수평 및 수직을 나타내는 줄선(12a')이 형성된다. 종래에는 접착몰탈에 의존하여 수직과 수평을 맞추고 줄선 마감을 하였던 것에 비하여, 본 발명에서는 블럭유니트를 쌓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줄선(12c')이 형성되기 때문에 숙련공이 아닌 초보자도 쉽게 벽체를 시공 할 수 있다. 이들 줄선(12c')은 몰탈(12")로 마감된다. 이와 같이, 줄선(12c')이 블럭유니트를 쌓아올리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되므로 초보자라도 블럭유니트를 쉽게 쌓을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른 블럭유니트를 채용하는 단열방음공간블럭을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방음공간블럭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a 내지 14f 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방음공간블럭에 사용되는 단열부의 사시도이며, 도 15a 내지 15f 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방음공간블럭에 사용되는 연결핀의 사시도이다. 또,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방음공간블럭을 옆으로 연결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방음공간블럭을 쌓아서 벽체를 만드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방음공간블럭을 직각 방향으로 연결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방음공간블럭의 제1실시예는, 마주보는 제1블럭유니트(10) 및 제2블럭유니트(20)와, 제1,2블럭유니트(10)(20) 사이를 이격시킨 상태로 상호 결합시키는 연결핀(40)을 포함한다. 이때, 제1블럭유니트(10)와 제2블럭유니트(20) 사이에는 단열부(30)가 선택적으로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연결핀(40)은 제1블럭유니트(10)와 제2블럭유니트(20)를 상호 결합시킬 수도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 하나의 단열방음공간블럭(100)과 다른 단열방음공간블 럭(100')을 상호 결합시킬 수도 있다(도 18참조). 본 실시예에서는 제1블럭유니트(10)와 제2블럭유니트(20) 사이에 단열부(30)가 개재된 것을 예로써 설명한다.
여기서, 제1,2블럭유니트 각각은, 도 1에서 도 8a, 8b 까지 도시된 것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며, 기본적으로 마주보는 제1블럭층 및 제2블럭층과, 제1블럭층과 제2블럭층 사이에 형성되는 제3블럭층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단열방음공간블럭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3은 도 4에 도시된 블럭유니트를 이용하여 구현된 단열방음벽돌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단열방음벽돌(100)은, 마주보는 제1블럭유니트(10) 및 제2블럭유니트(20)와, 제1,2블럭유니트(10)(20) 사이에 설치되는 단열부(30)와, 제1블럭유니트(10)와 제2블럭유니트(20)를 상호 결합시키는 연결핀(40)을 포함한다.
제1블럭유니트(10)는, 마주보는 제1블럭층(11)과 제2블럭층(12)과, 제1블럭층(11)과 제2블럭층(12) 사이에 형성되는 제3블럭층(13)으로 구성된다. 이때, 제1,2블럭층(11)(12)의 상부에는 폭 방향으로 그리고 측부에는 높이 방향으로 측홈(11a)(12a)이 형성되고, 제3블럭층(13)에는 그를 관통하는 관통공(13b)이 형성된다.
제2블럭유니트(20)는, 마주보는 제1블럭층(21)과 제2블럭층(22)과, 제1블럭층(21)과 제2블럭층(22) 사이에 형성되는 제3블럭층(23)으로 구성된다. 이때, 제1,2블럭층(21)(22)의 상부에는 폭 방향으로 그리고 측부에는 높이 방향으로 측홈(21a)(22a)이 형성되고, 제3블럭층(23)에는 그를 관통하는 관통공(23b)이 형성된다.
상기한 제3블럭층(13)(23) 및 측홈(11a)(21a)에는 접착몰탈이나 우레탄과 같은 접착제가 도포됨으로써, 상단 또는 측부에 배치되는 다른 단열방음공간블럭을 연결시킨다. 상기한 제1,2,3블럭층(11)(12)(13)은 콘크리트 재질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단열부(30)는, 제1블럭유니트(10)와 제2블럭유니트(20) 사이에 설치되어 제1블럭유니트(10)와 제2블럭유니트(20) 사이의 단열을 유지한다. 이러한 단열부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4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을 할 수도 있고, 도 14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 연결핀(40)의 상단이 삽입되는 삽입홈(31)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4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단(32)이 움푹 패이고 타측단(33)이 볼록한 형상일 수도 있으며, 이때 일측단(32)의 곡률과 타측단(33)의 곡률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원의 단열방음공간블럭을 여러장 옆으로 연결시킬 때 다른 단열방음공간블럭과 치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단열부(30)는, 도 14d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개의 엠보싱(34)이 형성될 수도 있는데, 엠보싱(34)이 형성하는 공간에 의하여 단열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 단열부(30)에는, 도 14e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측부에서 돌출된 볼록부(35)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데, 볼록부(35)는 단열부(30)와 제1.2블럭유니트(10)(20) 사이에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단열효율을 높인다. 이러한 단열부(30)는 스티로폼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단열부(30)는 도 14f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블럭유니트(10)와 제2블럭유니트(20) 사이에 개재되는 열반사단열재로도 구현할 수 있고, 도 14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리를 흡수하는 방음재로도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연결핀(40)은, 도 15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ㄷ" 형상을 가지거나, 도 15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인 단면이 "H"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15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H" 형상을 가지며 상단과 하단이 탄성을 가질 수 있도록 철사를 구부려 구현할 수 있다. 또, 연결핀(40)은 도 15d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단이 둥그렇게 말아진 철사 형상을 할 수도 있고, 도 15e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ㄷ" 형상을 가지는 판 형상을 할 수도 있으며, 도 15f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인 단면이 "H" 형상을 가지는 판 형상을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핀(40)을 도 15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인 단면이 "H" 형상인 것을 예로써 설명하였다.
다음, 상기한 구조의 단열방음공간블럭의 조립방법을 설명한다.
하나의 단열방음공간블럭(100)을 조립할 경우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블럭유니트(10)(20) 사이에 단열부(30)를 개재시킨 상태에서 제1,2블럭유니트의 관통공(13b)(23b)에 "H" 형상의 연결핀(40)을 끼어넣는다.
여러장의 단열방음공간블럭을 옆으로 연결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블럭유니트(10)(20) 보다 긴 단열부(30)를 사이에 두고, 여러장의 제1블럭유니트(10)(10')와 제2블럭유니트(20)(20')를 여러장 배치하고, 제1,2블럭유니트(10)(10')(20)(20')의 관통공(13b, 23b)(13b', 23b')에 "ㄷ" 형상 또는 "H" 형상의 연결핀(40)을 끼어넣는다. 이때, 제1블럭유니트(10)와 제2블럭유니트(20)는 단열부(30)에 대하여 상호 엇갈리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러장의 단열방음공간블럭을 쌓고자 할 경우에는, 도 17에 도시된 방법으로 여러장의 단열방음공간블럭을 옆으로 연결시킨 후, "H" 형상의 연결핀(40)의 상단에 다른 단열방음공간블럭을 끼우면서 쌓아나간다. 이때, 각각의 단열방음공간블럭의 제3블럭층(13)과 제3블럭층(23)에는 접착몰탈이나 우레탄을 도포하여 쌓아지는 단열방음공간블럭을 견고히 고정시킴으로써 벽체를 완성한다. 이후, 벽체에 석고보드(50)로 마감을 한다.
단열방음공간블럭을 직각 방향으로 연결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방음공간블럭들을 직각 방향으로 배치한 후 연결핀(40)을 관통공(13b, 13b', 23b, 23b')에 유기적으로 끼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방음공간블럭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방음공간블럭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방음공간블럭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방음공간블럭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방음공간블럭의 제6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방음공간블럭의 제2실시예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주보는 제1블럭유니트(10) 및 제2블럭유니트(20) 사이에 단열부(30)가 개재된 상태에서, 연결핀(40)을 제1,2블럭유니트(10)(20)의 관통공(13b)(23b)에 끼움으로써 구현된다. 이때 사용되는 연결핀(40)은 도 15d 에 도시된 것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방음공간블럭의 제3실시예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주보는 제1블럭유니트(10) 및 제2블럭유니트(20) 사이에 단열부(30)가 개재된 상태에서, 연결핀(40)을 이용하여 제1,2블럭유니트(10)(20)를 결합시킴으로써 구현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제1,2블럭유니트(10)(20)는 도 7a에서 설명된 것과 실질적으로 유사한데, 즉 제2블럭층(12)(22)의 가장자리측에 모서리홈(12c)(22c)이 형성되고, 제1블럭층(11)(21)의 상부에 폭 방향으로 그리고 측부에 높이 방향으로 측홈(11a)(21a)이 형성되며, 제3블럭층(13)(23)에 제2블럭층(12)(22)에 접하는 길이홈(13a)(23a)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연결핀(40)은 제1,2블럭유니트의 길이홈(13a)(23a)에 끼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방음공간블럭의 제4실시예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주보는 제1블럭유니트(10) 및 제2블럭유니트(20) 사이에 단열부(30)가 개재된 상태에서, 연결핀(40)을 이용하여 제1,2블럭유니트(10)(20)를 결합시킴으로써 구현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제1,2블럭유니트(10)(20)는 도 8a 및 도 8b에서 설명된 것과 실질적으로 유사한데, 즉 제1,2블럭층(11)(12)(21)(22) 모두의 상부에 폭방향으로 그리고 측부에 높이방향으로 측홈(11a)(12a)(21a)(22a)이 형성되되, 그중 하나의 블럭층의 대략 중앙에 측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공간부(25)가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연결핀(40)은 제1,2블럭유니트(10)(20) 외측의 측홈(11a)(21a)에 끼어진다. 여기서 공간부(25)는 단열효율을 극대화시킨다.
여기서 제4실시예는, 제3블럭층(13)(23)의 수직면 일측(13c)(23c)이 제1,2블럭층(11)(12)(21)(22)에 대하여 돌출되고, 수직면 타측(13c')(23c')이 제1,2블럭층(11)(12)(21)(22)에 대하여 몰입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데, 이는 단열방음공간블럭을 쌓아 나갈 때 일측과 타측이 상호 치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하나의 단열방음공간블럭과 다른 단열방음공간블럭을 쌓을 때 제1,2블럭층에 대하여 돌출된 제3블럭층의 일측(13c)(23c)과 제1,2블럭층에 대하여 몰입 된 제3블럭층의 타측(13c')(23c')이 상호 결합됨으로써 차음의 효과를 높이고, 상호 물림 작용으로 직선 결합에 비해 견고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방음공간블럭의 제5실시예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주보는 제1블럭유니트(10) 및 제2블럭유니트(20) 사이에 단열부(30)가 개재된 상태에서, 연결핀(40)을 이용하여 제1,2블럭유니트(10)(20)를 결합시킴으로써 구현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제1,2블럭유니트(10)(20)는 도 6a 및 도 6b에서 설명된 것과 실질적으로 유사한데, 즉 제2블럭층(12)(22)이 다수개의 돌부(12b)(22b)로 구성되고, 제1블럭층(11)의 상부에 폭방향으로 그리고 측부에 높이 방향으로 측홈(11a)(21a)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연결핀(40)은 제3블럭층(13)(23)에 형성된 관통공(13b)(23b)에 끼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방음공간블럭의 제6실시예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3 장의 블럭유니트와 2 장의 단열부로 구성된다. 즉, 순차적으로 배치된 제1,2,3블럭유니트(10)(20)(60)의 사이사이에 단열부(30)(30')가 각각 개재된 것이며, 연결핀(40)을 이용하여 제1블럭유니트(10)와 제3블럭유니트(60)를 결합시킴으로써 구현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제1,3블럭유니트(10)(60)는 도 7a에서 설명된 것과 실질적으로 유사한데, 즉 제1,3블럭유니트(10)(60)의 제2블럭층(12)(62)에 모서리홈(12c)(62c)이 형성되고, 제1블럭층(11)(61)의 상부에 폭 방향 및 측부에 높이 방향으로 측홈(11a)(61a)이 형성되며, 제3블럭층(13)(63)에 제2블럭층(12)(62)에 접하는 길이홈(13a)(63a)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연결핀(40)은 제1,3블럭유니트(10)(60)의 길이홈(13a)(63a)에 끼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을 돕기 위하여 단열방음공간블럭을 6 개의 실시예로 분류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원의 단열방음공간블럭은 도 1 내지 도 8a, 8b 에 기재된 블럭유니트를 선택하여 조합함으로써 더욱 많은 실시예로서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럭유니트 및 그를 이용한 단열방음공간블럭에 따르면, 종래 벽돌을 이중으로 쌓고 그 중간에 단열재를 내장시킨 벽 구조가 두께가 적어도 300mm 이상인데 반하여 본 발명의 단열방음공간블럭은 동일 강도 및 단열상태에서 상대적으로 두께를 작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100mm ~ 200mm 내외), 결국 건축된 건물의 실평수를 늘릴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일반 시멘트 벽돌이나 블럭에 비하여 200% ~ 300% 정도의 무게를 줄일 수 있어 획기적으로 건축물의 경량화가 가능하다. 이러한 경량화의 실현으로 건물의 안전성과 수명은 물론 공사비용의 절감과, 공사기간의 획기적인 단축이 가능하다.
또, 블럭유니트의 표면에 많은 측홈이나 공간부, 또는 제3블럭층에 관통공등이 형성됨으로써, 그 블럭유니트로 단열방음공간블럭을 구현할 때 그 내부에 수많은 공기층을 형성할 수 있어 방음성과 단열성을 우수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물 벽체의 두께가 필요이상으로 두꺼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벽체가 두꺼워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철광석, 시멘트, 모래, 자갈 등의 골재 자원의 낭비를 막아 자연자원을 절약하면서 결과적으로 환경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수직과 수평을 용이하게 맞출 수 있어 숙련공이 아닌 초보자도 쉽게 벽체를 시공 할 수 있고, 배선이나 수도 배관작업을 할 경우 벽체 일부를 깨지않고 용이하게 작업을 마무리 할수 있으면서 동절기에 동파를 예방 할수 있다.
그리고, 하루에 쌓을 수 있는 높이를 높게 할 수 있어 공기단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9)

  1. 마주보는 제1블럭층(11)과 제2블럭층(12);
    상기 제1블럭층(11)과 제2블럭층(12)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2블럭층(11)(12)의 상단 및/또는 측부에서 몰입되는 제3블럭층(13)을 포함하고,
    상기 제1블럭층(11) 및/또는 제2블럭층(12)은 그 상부에 폭 방향으로 형성되고 측부에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측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유니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블럭층(13)에는 상기 제1블럭층(11) 또는 제2블럭층(12)에 접하는 길이홈(13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유니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블럭층(13)에는 그를 관통하는 관통공(13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유니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블럭층(11)(12) 사이의 제3블럭층(13)에는 그 제3블럭층(13)의 타측(13c)이 제1,2블럭층(11)(12) 비하여 돌출되고, 일측(13c')이 제1,2블럭층(11)(12) 비해 몰입 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유니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럭층(11)과 제2블럭층(12) 중 어느 하나의 측부에는 높이 방향으로 다수개의 돌부(12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유니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럭층(11)과 제2블럭층(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벽체를 쌓을 때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줄선이 형성되도록 가장자리 모서리부분을 따라 모서리홈(12c)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유니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홈(12c)이 형성된 제1블럭층 또는 제2블럭층에는 상기 제1,2블럭층(11)(12)의 면적보다 작은 구조의 마감부(1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유니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블럭층(11)(12) 모두에 측홈(11a)(12a)이 형성되되, 그중 하나의 블럭층의 대략 중앙에는 측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공간부(1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유니트.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럭층(11)과 제2블럭층(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벽체를 쌓을 때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줄선이 형성되도록 가장자리 모서리부분을 따라 모서리홈(12c)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유니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럭층(11)과 제2블럭층(12) 사이의 제3블럭층(13)에는 그를 관통하는 관통공(13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유니트.
  13. 일측에 배치되는 제1블럭유니트(10); 상기 제1블럭유니트(10)와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2블럭유니트(20); 상기 제1,2블럭유니트(10)(20)를 이격시킨 상태로 상호 결합시키는 연결핀(40);을 포함하고,
    상기 제1,2블럭유니트 각각은, 마주보는 제1블럭층 및 제2블럭층과, 상기 제1블럭층과 제2블럭층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2블럭층의 상단 및/또는 측부에서 몰입되는 제3블럭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블럭층 및/또는 제2블럭층은 그 상부에 폭 방향으로 형성되고 측부에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측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방음공간블럭.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럭유니트(10)와 제2블럭유니트(20) 사이에 배치되는 단열부(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방음공간블럭.
  15. 삭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럭층(11)과 제2블럭층(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벽체를 쌓을 때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줄선이 형성되도록 가장자리 모서리부분을 따라 모서리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방음공간블럭.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홈(12c)이 형성된 제1블럭층 또는 제2블럭층에는 상기 제1,2블럭층(11)(12)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의 마감부(1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방음공간블럭.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핀(40)은,
    단면이 전체적으로 "ㄷ" 형상을 가지거나, 단면이 "H"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방음공간블럭.
  19. 상호 순차적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2,3블럭유니트(10)(20)(60); 상기 제1,2블럭유니트(10)(20) 사이와, 제2,3블럭유니트(20)(60) 사이에 개재되는 단열부(30)(30'); 상기 제1블럭유니트(10)와 제3블럭유니트(60)를 상호 결합시키는 연결핀(40);을 포함하고,
    상기 제1,2,3블럭유니트 각각은, 마주보는 제1블럭층 및 제2블럭층과, 상기 제1블럭층과 제2블럭층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2블럭층의 상단 및/또는 측부에서 몰입되는 제3블럭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블럭층 및/또는 제2블럭층은 그 상부에 폭 방향으로 형성되고 측부에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측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방음공간블럭.
KR1020050028976A 2005-04-07 2005-04-07 블럭유니트 및 그를 이용한 단열방음공간블럭 KR100562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8976A KR100562516B1 (ko) 2005-04-07 2005-04-07 블럭유니트 및 그를 이용한 단열방음공간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8976A KR100562516B1 (ko) 2005-04-07 2005-04-07 블럭유니트 및 그를 이용한 단열방음공간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2516B1 true KR100562516B1 (ko) 2006-03-21

Family

ID=37179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8976A KR100562516B1 (ko) 2005-04-07 2005-04-07 블럭유니트 및 그를 이용한 단열방음공간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25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787B1 (ko) 2006-08-28 2007-09-28 (주) 한국스치로폴 건축용 경량 단열블럭
KR20220139744A (ko) * 2021-04-08 2022-10-17 류지춘 단열재가 구성된 콘크리트 벽체의 시공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787B1 (ko) 2006-08-28 2007-09-28 (주) 한국스치로폴 건축용 경량 단열블럭
KR20220139744A (ko) * 2021-04-08 2022-10-17 류지춘 단열재가 구성된 콘크리트 벽체의 시공구조
KR102558034B1 (ko) 2021-04-08 2023-07-20 류지춘 단열재가 구성된 콘크리트 벽체의 시공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80527A1 (en) Constructive light weight insulation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US6009677A (en) Building panels for use in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KR100583988B1 (ko) 건축용 리모델링 블럭
KR100562516B1 (ko) 블럭유니트 및 그를 이용한 단열방음공간블럭
KR20060042051A (ko) 다중경량 단열방음공간벽돌
CN201730242U (zh) 蜂窝墙板
KR20030024425A (ko) 다중경량 단열블럭 및 그 제조방법
CN113187139A (zh) 一种正交胶合木-混凝土组合楼板及加固方法
JP5806028B2 (ja) 組積造建物
CN210622474U (zh) 一种可循环使用的装配式预制临时围墙
KR100379783B1 (ko) 춤이 깊은 건축용 합성 데크플레이트
CN111456227A (zh) 一种装配板构式建筑及其施工方法
KR100701497B1 (ko) 건축용 무모르타르 블럭
CN215406504U (zh) 全装配小型房屋结构
US20120017520A1 (en) Earthquake Proof Wall Panels
CN110670779A (zh) 一种装配式建筑楼板
US20060185283A1 (en) Interlocking construction panel showing fabrication thereof and the building system
KR101707956B1 (ko)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강구조 건축물 시공방법
JPH09235801A (ja) ブロック組積構造の架梁工法
CN215630855U (zh) 抗震墙板单元及其安装结构
KR200223802Y1 (ko) 건축용 무기질 경량패널
CN112482621B (zh) 一种pc保温一体板施工方法
CN204370646U (zh) 一种预制楼板及预制楼板结构件
KR102567893B1 (ko) 콘크리트 구조체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KR101154074B1 (ko) 단열성, 차수성, 시공성이 개선된 쪽매형 벽돌 및 그 벽돌을 이용한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