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3984A - 황토 벽돌 - Google Patents
황토 벽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50093984A KR20050093984A KR1020040017870A KR20040017870A KR20050093984A KR 20050093984 A KR20050093984 A KR 20050093984A KR 1020040017870 A KR1020040017870 A KR 1020040017870A KR 20040017870 A KR20040017870 A KR 20040017870A KR 20050093984 A KR20050093984 A KR 2005009398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cher
- bamboo
- present
- brick
- bricks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942—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slab-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토 벽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대나무가 매설되어 강도와 단열성이 보강된 황토 벽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황토 벽돌은, 양 입구가 막힌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디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나무가 내부에 매설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황토 벽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대나무가 매설되어 강도와 단열성이 보강된 황토 벽돌에 관한 것이다.
예로부터 짚과 석회를 섞은 황토를 목재로 형성된 골격에 입히는 방법으로 벽이나 지붕을 형성함으로써 집을 건축하여 왔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이 황토로 건축된 집은 단열성이 우수하고 친환경적이라는 장점을 갖고 있기 때문에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그 관심으로 일환으로서 황토로 벽돌을 형성하고 그 벽돌을 적층하여 건축물을 보다 용이하게 건축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황토 벽돌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황토 벽돌은 황토나 기타 시멘트를 혼합한 모르타르로만 형성되기 때문에 그 강도가 약할 뿐만 아니라 황토에 의한 단열효과와 방음효과만을 얻을 수 있는 단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황토 벽돌 내부에 속이 빈 대나무를 매설함으로써 강도와 단열효과 및 방음효과를 보강할 수 있는 황토 벽돌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황토 벽돌은, 양 입구가 막힌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디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나무가 내부에 매설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대나무는 황토 벽돌의 강도를 보강할 뿐만 아니라 속이 비어 있어 황토벽돌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함으로써 단열 및 방음효과를 높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황토 벽돌은, 상기 대나무는 복수개이고, 상기 복수개의 대나무 중 일부는 나머지 대나무에 대하여 꼬인 위치가 되도록 배열되어 매설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나무의 매설된 방향이 서로 교차됨으로써 대나무에 의해 다양한 방향으로의 강도가 보강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황토 벽돌은, 상면에 일정 폭을 갖는 상부결합요홈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일측면에 일정 폭을 갖는 측부결합요홈이 높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저면에 상기 상부결합요홈에 끼워질 수 있는 폭을 갖는 저부결합돌기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타측면에 상기 측부결합요홈에 끼워질 수 있는 폭을 갖는 측부결합돌기가 높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저부결합돌기의 저면에는 복수의 압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을 한다.
상부결합요홈과 측부결합요홈 각각에 이웃하는 다른 황토 벽돌의 저부결합돌기와 측부결합돌기 각각을 끼움으로써 황토 벽돌의 적층이 용이해진다. 상기 압착돌기는 상기 상부결합요홈에 채워진 석회, 모르타르, 숯가루와 같은 충진물을 압착하고 충진물과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한 것이다. 상기 충진물이 석회나 모르타르와 같은 접착을 위한 용도인 것인 경우에는 상기 압착돌기에 의해 그 접착면적이 넓어지게 되며, 충진물이 숯과 같이 통기를 위한 것인 경우에는 압착돌기 사이로 통기성이 증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황토 벽돌은, 상기 황토 벽돌은 황토와 시멘트가 3:1로 혼합된 모르타르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황토에 시멘트를 섞은 모르타르로 성형된 황토 벽돌은 강한 강도를 갖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황토 벽돌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황토 벽돌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황토 벽돌이 적층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에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황토 벽돌(10)은 내부에 속이 빈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디를 갖는 대나무(11,12)가 매설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황토 벽돌(10)은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갖는다. 상기 황토 벽돌(10)의 내부에는 대나무(11,12)가 길이방향과 높이방향으로 서로 꼬이도록 배열되어 매설된다. 상기와 같은 대나무(11,12)의 매설은 황토 벽돌(10)을 거푸집(도면에 미도시)에서 성형하는 과정에 미리 거푸집의 내부에 놓고 황토 모르타르를 거푸집 내부에 부어 넣음으로써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 대나무(11,12) 내부에 빈 공간을 갖는 특징을 이용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황토 벽돌(10)은 상기 대나무(11,12) 각각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디를 갖는다. 특히, 황토 벽돌을 거푸짚에서 성형하는 과정에서 상기 대나무(11,12) 내부의 공간으로 황토 모르타르가 들어가지 않도록 상기 마디는 양측 입구가 막혀야 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황토 벽돌(10)의 내부에는 서로 꼬인 위치에서 대나무(11,12)가 길이방향과 높이방향으로 배열되어 매설된다. 이는 대나무(11,12)의 배열 방향은 황토 벽돌(10)의 강도가 보강되는 방향을 결정짓기 때문에 가능한 대나무(11,12)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배열되어 매설된다. 일반적으로 강도가 보강되는 방향은 서로 수직 성분으로 고려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서로 꼬인 위치에서의 대나무(11,12)의 교차각은 가능한 수직인 것이 바람직하며, 도면에는 상기 대나무(11,12)가 서로 수평 방향인 길이방향과 수직 방향인 높이방향으로 배열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황토 벽돌(10)은 그 적층이 용이하고 적층된 벽돌이 안정적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결합요홈과 결합돌기를 이웃하는 벽돌과 맞닿는 부분, 즉 상면과 저면 및 양측면에 서로 대응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황토 벽돌(10)의 상면에는 일정 폭을 갖는 상부결합요홈(13)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그 저면에는 상기 상부결합요홈(13)에 끼워질 수 있는 폭을 갖는 저부결합돌기(15)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황토 벽돌(10)의 일측면에는 일정 폭을 갖는 측부결합요홈(14)이 높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그 타측면에는 상기 측부결합요홈(14)에 끼워질 수 있는 폭을 갖는 측부결합돌기(16)가 높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저부결합돌기(15)의 저면에는 압착돌기(15a)가 빼곡하게 형성된다. 상기 압착돌기(15a)는 상기 상부결합요홈(13)에 석회, 모르타르, 숯가루와 같은 충진물(17)이 깔리는 경우에 상기 충진물(17)을 압착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황토 벽돌(10)은 황토와 시멘트가 3:1로 혼합된 모르타르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비교적 강도가 약한 황토 모르타르에 시멘트를 혼합함으로써 강도가 보강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황토 벽돌은 내부에 대나무가 매설됨으로써 강도가 보강되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황토 벽돌은 내부에 매설된 대나무가 갖는 마디의 빈 공간에 의해 단열 및 방음 효과가 좋아지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황토 벽돌은 이웃하는 벽돌과 맞닿는 부분에 서로 끼워 맞춰지는 돌기와 요홈을 형성함으로써 그 적층이 용이하고 이웃하는 황토 벽돌끼리 서로 강하게 결합되는 장점을 갖는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황토 벽돌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황토 벽돌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황토 벽돌이 적층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에서의 단면도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황토 벽돌 11,12 대나무
13 상부결합요홈 14 측부결합요홈
15 저부결합돌기 15a 압착돌기
16 측부결합돌기 17 충진물
Claims (4)
- 황토 벽돌에 있어서,양 입구가 막힌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디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나무가 내부에 매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벽돌.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대나무는 복수개이고,상기 복수개의 대나무 중 일부는 나머지 대나무에 대하여 꼬인 위치가 되도록 배열되어 매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벽돌.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면에 일정 폭을 갖는 상부결합요홈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일측면에 일정 폭을 갖는 측부결합요홈이 높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저면에 상기 상부결합요홈에 끼워질 수 있는 폭을 갖는 저부결합돌기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타측면에 상기 측부결합요홈에 끼워질 수 있는 폭을 갖는 측부결합돌기가 높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상기 저부결합돌기의 저면에는 복수의 압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벽돌.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황토 벽돌은 황토와 시멘트가 3:1로 혼합된 모르타르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벽돌.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17870A KR20050093984A (ko) | 2004-03-17 | 2004-03-17 | 황토 벽돌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17870A KR20050093984A (ko) | 2004-03-17 | 2004-03-17 | 황토 벽돌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93984A true KR20050093984A (ko) | 2005-09-26 |
Family
ID=37274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17870A KR20050093984A (ko) | 2004-03-17 | 2004-03-17 | 황토 벽돌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50093984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34165B1 (ko) * | 2007-05-07 | 2008-06-03 | 제이비아이 주식회사 | 황토벽돌 및 그 제조방법 |
KR100907112B1 (ko) * | 2008-10-13 | 2009-07-09 | 황병수 | 건축용 프리캐스트 블록 |
KR102355685B1 (ko) * | 2021-03-24 | 2022-02-08 | 재현건설산업(주) | 일라이트와 황토를 이용한 가열형 조립식 블럭 |
-
2004
- 2004-03-17 KR KR1020040017870A patent/KR2005009398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34165B1 (ko) * | 2007-05-07 | 2008-06-03 | 제이비아이 주식회사 | 황토벽돌 및 그 제조방법 |
KR100907112B1 (ko) * | 2008-10-13 | 2009-07-09 | 황병수 | 건축용 프리캐스트 블록 |
KR102355685B1 (ko) * | 2021-03-24 | 2022-02-08 | 재현건설산업(주) | 일라이트와 황토를 이용한 가열형 조립식 블럭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007436B1 (en) | Snap-in-place building block | |
US20100180527A1 (en) | Constructive light weight insulation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395269B1 (ko) | 단열블록 | |
KR200440000Y1 (ko) | 벽체 구성용 조립식 단열 블록 | |
KR101056186B1 (ko) | 한옥용 벽체 | |
US20080302040A1 (en) | Building Block | |
WO2006123862A1 (en) | Floor panel | |
CN209855027U (zh) | 自保温转角砌块及其构造的转角墙 | |
KR20050093984A (ko) | 황토 벽돌 | |
CN2923876Y (zh) | 卡口保温砌块 | |
CN210827824U (zh) | 一种预制墙体的连接结构 | |
US20170009452A1 (en) | Retaining wall system using interlocking concrete masonry units | |
KR101231785B1 (ko) | 조립식 블럭 | |
CN201276776Y (zh) | 多功能复合砌块 | |
KR101088872B1 (ko) | 단위체블록 | |
US1565537A (en) | Wall structure | |
KR101925956B1 (ko) | 벽체 시공용 블록 및 중공형 판재 기둥을 이용한 코너 연결구조 | |
JP3930016B2 (ja) | 建築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 |
KR20120006062U (ko) | 구운 황토벽돌 | |
KR200215053Y1 (ko) | 목재벽돌의 조적구조 | |
KR20110101746A (ko) | 건축용 벽돌 | |
KR200254904Y1 (ko) | 건축용 벽돌 | |
KR200466913Y1 (ko) | 방습 및 면진 기능을 갖는 건축물 바닥용 기초 단열 매트 및 이를 구비한 건축물 바닥용 기초부 | |
CN212336494U (zh) | 一种可砌筑形成结构牢靠墙体的实心砖块 | |
RU2404332C1 (ru) | Блок с адиабатическим промежутко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