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7119B1 - 선착장용 바닥재 - Google Patents

선착장용 바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7119B1
KR100747119B1 KR1020020026257A KR20020026257A KR100747119B1 KR 100747119 B1 KR100747119 B1 KR 100747119B1 KR 1020020026257 A KR1020020026257 A KR 1020020026257A KR 20020026257 A KR20020026257 A KR 20020026257A KR 100747119 B1 KR100747119 B1 KR 100747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looring
synthetic resin
coupling
adja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6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8593A (ko
Inventor
유철
한부영
Original Assignee
유철
한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철, 한부영 filed Critical 유철
Priority to KR1020020026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7119B1/ko
Publication of KR20030088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8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7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7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재 또는 콘크리트로 되어 있던 기존 선착장 바닥재를 합성수지 바닥재로 대체하되, 강도 보강 및 그들간의 견고한 결합구조, 미끄럼 방지기능 등이 부가된 선착장용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PVC, PE, PP등의 고강도 합성수지로 된 선착장용 바닥재를 제시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된 특징은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PVC, PE,PP등의 합성수지재로 된 단위 바닥재(10)의 일측에 인접하는 다른 단위 바닥재의 결합홈과 취합되는 결합돌기(1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인접하는 다른 단위 바닥재의 결합돌기와 취합되는 결합홈(14)이 형성되며, 사용면이 일정한 거칠기를 갖는 마찰면(16)인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착장, 바닥재, 합성수지, 하니콤, 보강심재, 단위 바닥재, 결합돌기, 결합홈

Description

선착장용 바닥재{The bottom plate for a whar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착장용 단위 바닥재의 제 1실시예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다른 선착장용 단위 바닥재의 제 2실시예
도 4는 도 3의 결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단위 바닥재 12 : 결합돌기
14 : 결합홈 16 : 마찰면
18 : 사각관 20 : 횡 리브
22 : 종 리브 24 : 중공부
26 : 사선 리브 28 : 보강심재
본 발명은 목재 또는 콘크리트로 되어 있던 기존 선착장 바닥재를 합성수지 바닥재로 대체하되, 강도 보강 및 그들간의 견고한 결합구조, 미끄럼 방지기능 등이 부가된 선착장용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통상 선착장의 바닥재는 목재 또는 콘크리트로 되어 있는데, 목재 바닥재는 수급이 용이하고 비교적 저가인 장점 때문에 강 선착장의 바닥재로 주로 사용되며, 콘크리트 바닥재는 견고하고 미끄러짐이 덜한 재질적인 장점 때문에 바다 선착장의 바닥재등 비교적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목재 바닥재는 쉽게 부폐하기 때문에 표면에 방수도색을 필히 해야 하고, 방수도색을 하더라도 도색이 벗겨질 경우 부폐진행을 막기 어려워 수명이 짧을 뿐만 아니라 자체강도가 약하여 쉽게 파손되는등 유지 보수에 어려움이 있다.
콘크리트 바닥재는 시공 및 철거가 어렵고 외관의 미려함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시공비가 고가이기 때문에 특별히 계획된 대규모 선착장이 아니면 적용이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PVC, PE, PP등의 고강도 합성수지로 된 선착장용 바닥재를 제시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내부를 하니콤 형상으로 한 보강형 선착장용 바닥재를 제시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목적은 내부에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의 보강심재를 내설한 보강형 선착장용 바닥재를 제시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목적은 표면에 마찰면을 구비하므로써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선착장용 바닥재를 제시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목적은 단위 바닥재 일측에는 돌기를 다른 일측에는 홈 을 형성하여 인접하는 다른 단위 바닥재의 홈과 돌기와 취합하므로써 취합력을 보강한 선착장용 바닥재를 제시하는데 있다.
제시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특징은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PVC,PE,PP등의 합성수지재로 된 단위 바닥재의 일측에 인접하는 다른 단위 바닥재의 결합홈과 취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인접하는 다른 단위 바닥재의 결합돌기와 취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외부의 사용면이 일정한 거칠기를 갖는 마찰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특징은 단위 바닥재는 크기가 다른 사각관을 동심상으로 배치하고, 상기 각 사각관은 다수의 횡 리브와 종 리브에 의해 연결하되 인접하는 횡 리브는 횡방향으로 상호 교호하게 배열하고 인접하는 종 리브는 종방향으로 상호 교호하게 배열하여 횡 리브 및 종 리브 사이에 형성되는 중공부가 하니컴 형상을 갖도록 하며, 또한, 상기 각 사각관의 모서리를 연결하는 사선 리브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특징은 단위 바닥재의 내부에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된 보강심재가 매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특징은 결합돌기 및 결합홈이 쐐기형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선착장용 바닥재의 가장 주목되는 점은 각 단위 바닥재의 재질이 PVC, PE, PP등의 고강도 합성수지로 된 것에 있으며, 그 외에 강도 보강을 위한 보강구조와 각 단위 바닥재를 견고하게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조, 미끄럼 방지기능등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도 1, 2를 보면 본 발명의 선착장용 바닥재는 일정 크기의 단위 바닥재(10)를 상호 조합하여 사용하는데, 이를 위해 각 단위 바닥재(10)의 일측면에는 쐐기형의 결합돌기(12)가 형성되어 인접하는 다른 단위 바닥재의 쐐기형 결합홈과 취합되며, 타측면에는 쐐기형의 결합홈(14)이 형성되어 인접하는 다른 단위 바닥재의 쐐기형 결합돌기와 취합된다. 상기 쐐기형의 결합돌기(12) 및 결합홈(14)은 각 단위 바닥재간의 견고한 결속력을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각 단위 바닥재(10)의 표면중 적어도 사용면인 상면은 일정한 거칠기를 갖는 마찰면(16)으로 되어 선착장에서 흔히 발생할 수 있는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마찰면(16)은 단위 바닥재의 인발성형시 완전히 응고되기 직전에 마찰면을 형성할 부분에 거친면을 갖는 툴(tool)로서 프레싱을 하므로써 마찰면을 형성하게 된다. 이외에도 단위 바닥재(10)를 제조한 후 그 사용면상에 마찰쉬트나 러버등을 별도로 부착 또는 결합하는 것도 다른 실시예로 적용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각 단위 바닥재(10)의 강도 보강을 위해 다음의 실시예가 적용된다. 첫 째, 도 1과 같이 단위 바닥재(10)를 크기가 다른 복수의 사각관(18)을 동심(同心)이 되게 배치하고, 각 사각관(18)을 다수의 횡 리브(20)와 종 리브(22)에 의해 연결하되 인접하는 횡 리브(20)는 횡방향으로 상호 교호하게 배열하고 인접하 는 종 리브(22)는 종방향으로 상호 교호하게 배열하여 횡 리브(20) 및 종 리브(22)에 의해 구획되는 중공부(24)가 하니컴(honey comb) 형상을 갖도록 하였다. 아울러, 상기 각 사각관(18)은 사선 리브(26)에 의해 연결/보강하므로써 모서리부분의 변형소지를 제거하였다.
둘 째, 도 3, 4와 같이 각 단위 바닥재(10)의 내부에 다수의 중공부(24)를 형성하고, 이 중공부(24)내에 금속 또는 비금속재로 된 보강심재(28)를 매설하므로써 단위 바닥재의 강성을 보강하였다. 이 실시예에서도 단위 바닥재(10)의 일측과 타측에 다른 단위 바닥재와의 취합을 위해 결합돌기(12)와 결합홈(14)이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선착장용 바닥재는 목재 바닥재에 비해 강도가 강하여 강성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으며, 부폐가 되지 않아 수명이 반영구적이고, 분해 및 결합이 간단하여 시공이 간편한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
아울러, 단위 바닥재는 유색 합성수지 원료를 이용하여 인발성형하므로써 원하는 유색의 단위 바닥재를 손쉽게 얻을 수 있으므로 다양한 색채 연출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선착장용 바닥재는 합성수지를 재료로 사용하므로써 강성을 강화할 수 있음은 물론 자중의 경량화로 시공 및 철거가 용이하다.
또한, 합성수지재는 방부재질이므로 파손이 되지 않는한 거의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단위 바닥재의 내부를 하니콤 형상으로 하거나 보강심재를 매설하므로써 강도를 보다 보완하므로써 안전도를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사용면을 거칠게 성형하여 마찰면을 형성하므로써 사용자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 단위 바닥재의 양측에 결합돌기 및 결합홈을 형성하여 단위 바닥재간의 분해 결합이 용이하되, 결합돌기 및 결합홈을 쐐기형상으로 하여 결합상태에서 임의로 분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1. (삭제)
  2. (정정)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PVC, PE,PP등의 합성수지재로 된 단위 바닥재(10)의 일측에 인접하는 다른 단위 바닥재의 결합홈과 취합되는 결합돌기(1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인접하는 다른 단위 바닥재의 결합돌기와 취합되는 결합홈(14)이 형성되며, 사용면이 일정한 거칠기를 갖는 마찰면(16)인 것을 포함하되,
    상기 단위 바닥재(10)는 크기가 다른 사각관(18)을 동심이 되게 배치하고, 상기 각 사곽관(18)은 다수의 횡 리브(20)와 종 리브(22)에 의해 연결하되 인접하는 횡 리브(20)는 횡방향으로 상호 교호하게 배열하고 인접하는 종 리브(22)는 종방향으로 상호 교호하게 배열하여 횡 리브(20) 및 종 리브(22) 사이에 형성되는 중공부(24)가 하니컴 형상을 갖도록 하며, 또한 상기 각 사각관(18)의 모서리를 연결하는 사선 리브(26)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착장용 바닥재.
  3. (정정)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바닥재(10)의 중공부(24)에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된 보강심재(28)가 매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착장용 바닥재.
  4. (정정)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12) 및 결합홈(14)은 쐐기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착장용 바닥재.
KR1020020026257A 2002-05-13 2002-05-13 선착장용 바닥재 KR100747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6257A KR100747119B1 (ko) 2002-05-13 2002-05-13 선착장용 바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6257A KR100747119B1 (ko) 2002-05-13 2002-05-13 선착장용 바닥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4643U Division KR200283596Y1 (ko) 2002-05-14 2002-05-14 선착장용 바닥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8593A KR20030088593A (ko) 2003-11-20
KR100747119B1 true KR100747119B1 (ko) 2007-08-07

Family

ID=32382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6257A KR100747119B1 (ko) 2002-05-13 2002-05-13 선착장용 바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711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7281A (ja) * 1994-05-24 1995-12-05 Sekisui Chem Co Ltd デッキ材
US5580620A (en) * 1994-09-02 1996-12-03 21St Century Ltd. Multiple void layer synthetic resin panels
US5819491A (en) * 1996-01-22 1998-10-13 L.B. Plastics Limited Modular construction elements
US5881508A (en) * 1997-10-15 1999-03-16 Materials International, Inc. Decking extrusion
KR200300598Y1 (ko) * 2002-10-17 2003-01-10 기승철 건축용 복합패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7281A (ja) * 1994-05-24 1995-12-05 Sekisui Chem Co Ltd デッキ材
US5580620A (en) * 1994-09-02 1996-12-03 21St Century Ltd. Multiple void layer synthetic resin panels
US5819491A (en) * 1996-01-22 1998-10-13 L.B. Plastics Limited Modular construction elements
US5881508A (en) * 1997-10-15 1999-03-16 Materials International, Inc. Decking extrusion
KR200300598Y1 (ko) * 2002-10-17 2003-01-10 기승철 건축용 복합패널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5580620
0581949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8593A (ko) 2003-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7201C (zh) 可拆卸式互连的及垂直和水平式互连的铺地板系统
US5540025A (en) Flooring material for building
KR101687376B1 (ko) 용마루 및 내림마루용 암키와
US20110265411A1 (en) New plastic floor
CN1617966A (zh) 地板铺设系统
EP3625408B1 (en) A floor element for forming a floor covering and a floor covering
US8443563B2 (en) Building block having the appearance of wood shake
KR100747119B1 (ko) 선착장용 바닥재
KR200283596Y1 (ko) 선착장용 바닥재
MXPA01009250A (es) Paneles multidireccionales.
CN214423724U (zh) 一种叠合楼板模具挡边及楼板模具
KR100980140B1 (ko) 지지부재를 이용한 건물 바닥용 완충층 연결구조
CN110241726B (zh) 一种预制钢筋混凝土组合桥面板及湿接缝结构
EP2115242A1 (en) Panel for poured concrete retaining walls of concrete forms, particularly for concrete slab forms or the like and process of making such panel
KR200452855Y1 (ko) 지지판 연결부재를 이용한 인접한 완충층의 연결구조
KR101542924B1 (ko) 논슬립 집성데크재 및 이의 제조방법
CN213087323U (zh) 稳定性好的三层实木地板
CN212957442U (zh) 加强结构的三层实木地板
CN216276379U (zh) 一种钢筋桁架预应力混凝土叠合板
KR900009203Y1 (ko) 연결 보강면이 있는 블록플로링
JP2001317154A (ja) 複合板
JP7448190B2 (ja) パネル材
JP3464214B2 (ja) フローリング材とその敷設方法
JPS6320763Y2 (ko)
KR200296955Y1 (ko) 조립식 통나무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