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2924B1 - 논슬립 집성데크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논슬립 집성데크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2924B1
KR101542924B1 KR1020150006611A KR20150006611A KR101542924B1 KR 101542924 B1 KR101542924 B1 KR 101542924B1 KR 1020150006611 A KR1020150006611 A KR 1020150006611A KR 20150006611 A KR20150006611 A KR 20150006611A KR 101542924 B1 KR101542924 B1 KR 101542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ood
slip
wood
upper uni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6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규웅
Original Assignee
최규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규웅 filed Critical 최규웅
Priority to KR1020150006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29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2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2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4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wood or with a top layer of wood, e.g. with wooden or metal connec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DWORKING VENEER OR PLYWOOD
    • B27D5/00Other working of veneer or plywood specially adapted to veneer or plywo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논슬립 집성데크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상부단위목재와 하부단위목재를 수지류 접착제에 의해 상호 접착하여 이루어지되 상부단위목재 사이에 논슬립부재를 걸림되게 설치하여 보행시 미끌림을 방지하고, 상부단위목재와 하부단위목재 사이에 메쉬시트를 설치하여 데크재의 휨 강도를 증가시키고, 연결철물의 정착시 크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논슬립 집성데크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축물이나 산책로의 바닥재로 사용되는 데크재에 있어서, 다수개의 상부단위목재 하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단위목재가 수지류 접착제에 의해 상호 접착되어 형성되되 상기 상부단위목재 사이에는 상측부가 상부단위목재의 상측면 방향으로 노출되고, 하측부가 상부단위목재의 하측면에 걸림되는 논슬립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논슬립 집성데크재 및 이의 제조방법{NON-SLIP LAMINATED DECK BOARD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본 발명은 논슬립 집성데크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상부단위목재와 하부단위목재를 수지류 접착제에 의해 상호 접착하여 이루어지되 상부단위목재 사이에 논슬립부재를 걸림되게 설치하여 보행시 미끌림을 방지하고, 상부단위목재와 하부단위목재 사이에 메쉬시트를 설치하여 데크재의 휨 강도를 증가시키고, 연결철물의 정착시 크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논슬립 집성데크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사회적으로 친자연환경 붐이 일면서 전원주택이나 콘도 및 팬션등의 테라스, 공원내에 설치된 산책로, 호수 주변, 그리고 실내의 바닥면에 다른 재료에 비해 자연친화적일 뿐 아니라 충격 및 진동을 효율적으로 흡수하여 조용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며, 시각적으로도 부드럽고 편안한 느낌을 제공하는 목재 데크재를 이용하여 설치하고 있다.
목재 데크재는 내구성이 탁월하고 보수유지가 간편하며, 보행시 탄력성 및 충격흡수 기능이 좋아서 피로감을 덜 느끼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목재 데크재로써 공개번호 제10-2010-0055877호의 "미끄럼방지 원목 데크재 및 그 제조방법"에서는 원목의 나뭇결을 살리면서도 미끄럼방지기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데크재는 원목을 그대로 사용함에 따라 그 데크재를 제조시 발생하는 단척부재는 상품가치가 없어 파레트나 땔감등으로 버려지고 있어 이러한 단척부재의 이용을 통한 데크재의 생산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국산목재는 소경목이나 단척부재가 많아 국산목재 활용을 위해 이용방법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개의 상부단위목재와 하부단위목재를 수지류 접착제에 의해 상호 접착하여 데크재로 이루도록 하되 다수개의 상부단위목재 사이에 외측으로 노출되는 논슬립판과 상기 상부단위목재의 하측면에 걸림되는 걸림판과 상기 논슬립판과 걸림판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판으로 구성된 논슬립부재를 설치하여 보행시 미끌림을 방지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논슬립 집성데크재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상부단위목재의 하측면에 설치홈을 형성하고, 그 설치홈의 내측에 수지류 접착제를 매개로 고인장의 메쉬시트를 설치하여 집성데크재의 휨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연결철물의 정착시 크랙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설치홈의 측면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수지류 접착제의 접착면적을 넓혀 메쉬시트의 접착력을 증가시키고, 상부단위목재와 하부단위목재를 수지류 접착제에 의해 상호 압착하여 양생시, 상부단위목재와 하부단위목재 사이에 존재하는 수용성 수지류 접착제가 설치홈의 내측방향으로 유도되어 설치홈 내측의 접착제 부족으로 인한 공극발생을 방지하여 집성데크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축물이나 산책로의 바닥재로 사용되는 데크재에 있어서, 다수개의 상부단위목재 하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단위목재가 수지류 접착제에 의해 상호 접착되어 형성되되 상기 상부단위목재 사이에는 상측부가 상부단위목재의 상측면 방향으로 노출되고, 하측부가 상부단위목재의 하측면에 걸림되는 논슬립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논슬립부재는, 상기 상부단위목재의 상측면 방향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논슬립판과 상기 상부단위목재의 하측면에 걸림되는 걸림판, 상기 논슬립판과 걸림판을 상호 연결하여 연결판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단위목재와 면 접촉되는 상기 상부단위목재의 일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메쉬가닥이 격자형으로 짜여진 고인장 메쉬시트가 수지류 접착제를 매개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설치홈의 내부 측면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수지류 접착제의 접착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단위목재의 상측면에는 요철부가 형성되며, 상기 논슬립판의 상측면에는 다수개의 돌출구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논슬립판의 상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끼움홈에는 논슬립을 위한 논슬립패드가 분리가능하게 끼움결합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논슬립 집성데크재의 제조방법은 옹이와 같은 결함부위의 제거가 완료된 일정길이의 상부단위목재와 하부단위목재를 준비하는 단위목재 준비단계; 상기 상부단위목재의 상측면 방향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논슬립판과 상기 상부단위목재의 하측면에 걸림되는 걸림판과 상기 논슬립판과 걸림판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판으로 구성된 논슬립부재를 준비하는 논슬립부재 준비단계; 상기 논슬립판이 안착되는 안착홈과 상기 걸림판이 걸림되는 걸림홈을 한 쌍의 상부단위목재 상하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하는 홈부 형성단계; 상기 논슬립부재를 한 쌍의 상부단위목재 사이에 수지류 접착제를 매개로 접착한 후, 상기 상부단위목재의 하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단위목재를 접착하여 양생하는 데크재 양생단계; 상기 데크재 양생단계를 거친 후, 표면을 매끄럽게 다듬어 제품화하는 데크재 완성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개의 단위목재를 상호 접착하여 데크재로 제작됨에 따라 상품가치가 없어 버려지는 단위목재의 활용도를 증가시킬 수 있어 자원 낭비를 방지함은 물론 다수개의 상부단위목재 사에 설치되는 논슬립부재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는 상태로 장기간 유지될 수 있어 논슬립부재의 이탈이나 손상으로 인한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부단위목재와 하부단위목재 사이에 고인장의 메쉬시트가 설치됨으로써 다수개의 단위목재가 상호 접착되어 이루어진 집성데크재의 휨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연결철물의 정착시 상기 메쉬시트로 인해 데크재의 크랙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부단위목재와 하부단위목재 사이에 존재하는 수지류 접착제가 설치홈의 측면 경사면을 따라 내측방향으로 유동되어 설치홈 내측의 접착제 부족으로 인한 공극 발생 및 메쉬시트의 접착상태 불량을 방지할 수 있어 집성데크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논슬립 집성데크재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논슬립 집성데크재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논슬립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논슬립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논슬립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논슬립 집성데크재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논슬립 집성데크재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논슬립 집성데크재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논슬립 집성데크재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e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논슬립 집성데크재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논슬립 집성데크재에 형성되는 요철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논슬립 집성데크재에 형성되는 요철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7a은 본 발명에 따른 논슬립 집성데크재의 상부단위목재와 하부단위목재 사이에 메쉬시트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b는 도 7a의 A부분을 확대도시한 확대상태도,
도 8은 메쉬시트가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논슬립 집성데크재에 연결철물이 정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집성 데크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집성 데크재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며,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논슬립 집성데크재에 사용되는 단위목재는 그 사용위치에 따라 요구성능을 충족시키기 위해 방부목, 난연목재등을 일부 또는 전부에 사용할 수 있으며, 집성목재 규정에 따른 수종군(A군, B군, C군, D군)에서 동등 수종군으로 분포되는 경우 다른 수종을 일부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논슬립 집성데크재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논슬립 집성데크재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논슬립 집성데크재는 건축물이나 산책로의 바닥재로 사용되는 데크재에 있어서, 다수개의 상부단위목재(10) 하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단위목재(30)가 수지류 접착제에 의해 상호 접착되어 형성되되 상기 상부단위목재(10) 사이에는 상측부가 상기 상부단위목재(10)의 상측면 방향으로 노출되고, 하측부가 상부단위목재(10)의 하측면에 걸림되는 논슬립부재(40)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논슬립 집성데크재를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상부단위목재(10)와 하부단위목재(30)는 각각 한 쌍을 사용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논슬립 집성데크재는 한 쌍의 상부단위목재가 폭방향으로 결합되고, 상기 상부단위목재(10)의 하측에 한 쌍의 하부단위목재(30)가 접착되어 양생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상부단위목재 폭방향 측면 사이에는 상기 논슬립부재(40)가 위치하게 되는데, 상기 논슬립부재(40)의 상측부가 상기 상부단위목재(10)의 상측면 방향으로 노출되어 보행자의 미끌림을 방지하고, 하측부가 상기 상부단위목재(10)의 하측면에 걸림되어 한 쌍의 상부단위목재(10)사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논슬립부재(40)는 상기 상부단위목재(10)의 상측면 방향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논슬립판(41)과 상기 상부단위목재(10)의 하측면에 걸림되는 걸림판(43)과 상기 논슬립판(41)과 걸림판(43)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판(45)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단위목재(10)의 상측면에는 상기 논슬립판(41)을 안착시켜 수지류 접착제를 통해 접착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안착홈(1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단위목재(10)의 하측면에는 상기 걸림판(43)이 걸림되어 수지류 접착제를 통해 그 상부단위목재 하측면에 접착되게 설치되도록 걸림홈(13)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논슬립판(41)과 걸림판(43)은 연결판(45)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상기 연결판(45)은 한 쌍의 상부단위목재(10) 사이에 위치된 상태로 수지류 접착제를 통해 접착된다.
여기서, 상기 논슬립판(41)은 상기 상부단위목재(10)의 상측면보다 높게 돌출되거나 논슬립판의 상측면이 상기 상부단위목재(10)의 상측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하여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논슬립부재(40)를 논슬립판(41), 걸림판(43), 연결판(45)으로 구성하여 상기 상부단위목재(10)의 측면 사이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논슬립판(41)에 의해 우천후 보행시, 보행자의 미끌림을 방지하게 되고, 상기 걸림판(43)으로 인해 논슬립부재(40)가 한 쌍의 상부단위목재(10) 사이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상기 논슬립부재(40)는 스틸, 알루미늄, 플라스틱, 고무 등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을 것이며,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논슬립부재의 여려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논슬립판(41)의 상측면에는 미끌림 방지를 위한 다수개의 돌출구(42)가 형성되거나 고무재질의 논슬립패드(50)가 설치되어 보행자의 미끌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논슬립판(41)의 상측면에 일정한 형상을 갖는 다수개의 돌출구(42)가 형성되는 경우, 논슬립판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으로 일자형 또는 규칙적으로 배열되거나 불규칙적으로 배열되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논슬립판(41)의 상측면에 상기 논슬립패드(50)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논슬립판(41)의 상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끼움홈(47)을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딩끼움홈(47)에 논슬립을 위한 논슬립패드(50)를 슬라이딩 끼움결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논슬립패드(50)는 상기 슬라이딩끼움홈(47)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그 논슬립패드의 손상시 용이한 교체가 가능하여 유지보수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논슬립 집성데크재는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된 여러 다양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논슬립부재의 설치개수 및 설치위치 등 여러 다양한 상황에 맞게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즉, 도 5a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논슬립 집성데크재의 다른 실시예는 논슬립 집성데크재가 계단판의 마구리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논슬립부재(40)가 논슬립 집성데크재의 폭방향 일측 끝단에 위치되도록 하여 계단을 오르내리는 보행자의 미끌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5b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논슬립 집성데크재의 또 다른 실시예는 논슬립 집성데크재에 한 쌍의 논슬립부재가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로써, 이때 상기 상부단위목재(10)는 세 개가 사용되어 각 상부단위목재 사이에 상기 논슬립부재(40)가 설치되고, 하부에 한 쌍의 하부단위목재가 접착되어 양생됨으로써 보행자의 미끌림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도 5c와 5d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논슬립 집성데크재의 또 다른 실시예는 4개의 상부단위목재 사이에 3개의 논슬립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단위목재(30)사이에는 휨강도 보강을 위한 "T"형 보강재(70)가 설치되어 본 발명에 따른 논슬립 집성데크재의 휨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논슬립부재(40)는 상기 상부단위목재(10)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논슬립부재(40)를 생략하고 상기 보강재(70)을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6a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논슬립 집성데크재의 상부단위목재(10)의 상측면에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요철부(17)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논슬립부재(40)와 더불어 보행자의 보행시 발생하는 미끌림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7a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논슬립 집성데크재에서는 상부단위목재(10)와 하부단위목재(30) 사이에 메쉬시트를 설치하여 집성데크재의 휨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단위목재(30)와 면 접촉되는 상기 상부단위목재(10)의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홈(15)을 형성하고, 상기 설치홈(15)의 내측에 다수개의 메쉬가닥이 격자형으로 짜여진 고인장의 메쉬시트(20)를 수지류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메쉬시트(20)의 상측에는 상기 수지류 접착제가 채워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수지류 접착제는 수용성의 수지류 접착제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상기 메쉬시트의 탈락을 방지하고, 상부단위목재와 하부단위목재간 부착력을 견고히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즉, 수지류 접착제가 상기 메쉬시트(20)의 메쉬구멍사이로 관통되면서 부착 및 경화되므로 목재면끼리의 접합면은 최대화하면서 단위목재 사이의 이질재료인 메쉬시트가 접합을 방해하는 면적은 최소화할 수 있게 되고, 수지류 접착제가 경화된 이후에 메쉬 사이로 관통된 접착제가 상부단위목재(10)와 하부단위목재(30)간 결합을 견고히 하면서 메쉬시트의 박리방지 및 고정의 역할을 수행하여 집성데크재의 휨강도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용성 수지류 접착제가 상기 상부단위목재(10)와 그 하측에 접착되는 하부단위목재(30)의 내부로 스며들면서 경화되어 상부단위목재(10)와 하부단위목재(30)간 결합력을 향상시켜 탈락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집성데크재의 내구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설치홈(15)의 내부 측면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수지류 접착제의 접착면적을 넓혀 메쉬시트(20)의 접착력을 증가시키고, 상기 상부단위목재(10)와 하부단위목재(30)를 수용성 수지류 접착제에 의해 상호 접착하여 압착 양생시, 상부단위목재와 하부단위목재 사이에 존재하는 수용성 수지류 접착제가 상기 설치홈(15)의 내측방향으로 유도되어 상기 설치홈 내측의 접착제 부족으로 인한 공극발생을 방지하여 집성데크재의 내구성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단위목재(10)와 하부단위목재(30) 사이에 상기 메쉬시트(20)가 설치됨에 따라 연결철물(60)의 정착시 발생하는 크랙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쉬시트(20)의 메쉬구멍의 크기는 3mm×3mm 이상 10mm×1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한 데, 이는 메쉬시트의 구멍 크기가 3mm×3mm미만의 크기를 갖는 경우에는 메쉬가 너무 촘촘하여 수용성 수지류 접착제가 목재면에 침투 및 접착되는 면적이 적어 메쉬시트와 함께 박리되는 접착불량이 발생하고, 그로 인해 메쉬시트가 단위체에 부착된 상태에 있지 않게 되어 집성데크재의 휨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게 된다.
또한, 메쉬시트의 구멍 크기가 10mm×10mm 초과의 크기를 갖는 경우에는 메쉬수가 적어져서 집성 데크재의 휨 보강을 저감하는 요인인 될 수 있으므로 메쉬구멍의 크기가 3mm×3mm 이상 10mm×10mm 이하인 메쉬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집성 데크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블록도로써, 단위목재 준비단계(S10), 논슬립부재 준비단계(S20), 홈부 형성단계(S30), 데크재 양생단계(S40), 데크재 완성단계(S50)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단위목재 준비단계(S10)에서는 옹이와 같은 목재의 결함부위의 제거가 완료된 일정길이의 상부단위목재(10)와 하부단위목재(30)를 준비하는 것으로, 옹이와 같은 목재의 결함부위가 제거된 다수의 단척제를 길이방향으로 핑거홈결합방식에 의해 상호 연결하여 일정길이의 상부단위목재(10)와 하부단위목재(30)를 제작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단위목재(10)와 하부단위목재(30)는 균일한 치수와 길이로 제작되고, 단척재간 이음부의 잔여물을 제거하기 위한 몰딩작업이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단위목재(10)의 상측면 방향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논슬립판(41)과 상기 상부단위목재(10)의 하측면에 걸림되는 걸림판(43)과 상기 논슬립판(41)과 걸림판(43)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판(45)으로 구성된 논슬립부재(40)를 준비한다. 이때, 상기 논슬립부재(40)는 스틸, 알루미늄, 플라스틱, 고무 등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상기 논슬립판(41)이 안착되는 안착홈(11)고 상기 걸림판(43)이 걸림되는 걸림홈(13)을 한 쌍의 상부단위목재 상하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한다.
이때, 상기 논슬립판(41)이 안착되는 안착홈(11)의 깊이는 상기 논슬립판(41)의 두께보다 깊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논슬립판(41)이 상측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걸림홈(13)의 깊이는 상기 걸림판(43)의 두께와 동일하도록 하여 상기 상부단위목재(10)와 하부단위목재(30)간 수지류 접착제에 의해 압착 양생시 원활한 압착양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안착홈(11)의 깊이가 상기 논슬립판(41)의 두께보다 깊도록 하여 상기 논슬립판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이유는 데크재의 압착 양생과정에서 상기 논슬립판(41)의 걸림현상으로 인해 원활한 압착 양생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인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부단위목재(10)의 상하측에 논슬립부재(40)의 설치를 위한 홈부의 형성이 완료되면 상부단위목재(10)의 측면사이에 상기 논슬립부재(40)가 위치되도록 하여 상호 접착하고, 그 상부단위목재(10)이 하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단위목재(30)를 수지류 접착제를 매개로 접착하여 압착하면서 양생한다.
데크재의 양생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논슬립판(41)의 상부면이 상기 상부단위목재(10)의 상측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몰더 가공을 하거나 상기 논슬립판(41)의 상부면이 상기 상부단위목재의 상측면 보다 높게 돌출되게 상기 상부단위목재(10)의 상측면을 몰더 가공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한편, 상기 상부단위목재(10)의 상하측면에 상기 논슬립부재(40)의 논슬립판(41)과 걸림판(43)의 설치를 위한 안착홈(11) 및 걸림홈(13)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상부단위목재(10)의 하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홈따기 작업을 통해 메쉬시트(20)의 설치를 위한 설치홈(15)을 형성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설치홈(15)의 깊이는 설치되는 메쉬시트의 개수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도록 한다.
이후, 상기 설치홈(15)의 내측에 다수개의 메쉬가닥이 격자형으로 짜여진 고인장의 메쉬시트(20)를 수지류 접착제를 매개로 설치하고, 그 메쉬시트의 상측 설치홈의 내측에 수지류 접착제를 채워 상기 메쉬시트(20)의 부착상태를 견고히 한다.
상기 설치홈(15)에 채워진 수지류 접착제가 굳어지면 상기 상부단위목재(10)의 하측면을 매끄럽게 다듬는데, 이는 상기 설치홈(15)에 채워진 수지류 접착제가 상부단위목재(10)의 하측면 방향으로 넘쳐흘러 굳어지게 되며 이후 하부단위목재(30)를 접착시 결합력이 저하되어 논슬립 집성데크재로써의 불량의 요인이 되므로, 상기 메쉬시트(20)가 설치된 일측면을 매끄럽게 깎아 다듬질하여 단위목재간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후, 상기 메쉬시트(20)가 상기 상부단위목재(10)의 하측면과 상기 하부단위목재(30)의 상측면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호 접착 양생한다.
또한, 상기 상부단위목재(10)와 하부단위목재(30)를 상호 접착시, 각각의 단위목재에 도포되는 수지류 접착제가 상기 설치홈(15)에 채워지도록 하면서 접착면에 도포되도록 한 후, 상기 상부단위목재(10)와 하부단위목재(30)를 상호 접착하여 양생하는 방식을 채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설치홈(15)의 측면을 경사지게 가공하여 상기 수지류 접착제와의 접착면적이 증가될 수 있도록 하면서 상부단위목재(10)와 하부단위목재(30) 사이에 존재하는 수용성 수지류 접차제가 상기 설치홈(15)의 내측방향으로 유도되어 상기 설치홈(15) 내측의 접착제 부족으로 인한 공극발생을 방지하여 집성데크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상부단위목재(10)와 하부단위목재(30)을 상호 접착하여 양생하는 과정을 거친 후, 양생된 집성 데크재의 표면에 경화되어 돌출되거나 노출되어 있는 접착제를 제거하고 표면을 매끄럽게 다듬어 제품화하는 단계를 거쳐 집성데크재를 완성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단위목재(10)의 상측면에 상기 논슬립부재(40)와 더불어 보행자의 미끌림을 방지하기 위한 요철부(17)를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하여 제작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상부단위목재 11: 안착홈
13: 걸림홈 15: 설치홈
17: 요철부 20: 메쉬시트
30: 하부단위목재 40: 논슬립부재
41: 논슬립판 42: 돌출구
43: 걸림판 45: 연결판
47: 슬라이딩끼움홈 50: 논슬립패드
60: 연결철물 70: 보강재

Claims (12)

  1. 건축물이나 산책로의 바닥재로 사용되는 데크재에 있어서,
    다수개의 상부단위목재 하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단위목재가 수지류 접착제에 의해 상호 접착되어 형성되되 상기 상부단위목재 사이에는 상측부가 상부단위목재의 상측면 방향으로 노출되고, 하측부가 상부단위목재의 하측면에 걸림되는 논슬립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단위목재와 면 접촉되는 상기 상부단위목재의 일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메쉬가닥이 격자형으로 짜여진 고인장 메쉬시트가 수지류 접착제를 매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슬립 집성데크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논슬립부재는, 상기 상부단위목재의 상측면 방향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논슬립판과 상기 상부단위목재의 하측면에 걸림되는 걸림판, 상기 논슬립판과 걸림판을 상호 연결하여 연결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슬립 집성데크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홈의 내부 측면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수지류 접착제의 접착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슬립 집성데크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단위목재의 상측면에는 요철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슬립 집성데크재.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논슬립판의 상측면에는 다수개의 돌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슬립 집성데크재.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논슬립판의 상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끼움홈에는 논슬립을 위한 논슬립패드가 분리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슬립 집성데크재.
  8. 옹이와 같은 결함부위의 제거가 완료된 일정길이의 상부단위목재와 하부단위목재를 준비하는 단위목재 준비단계; 상기 상부단위목재의 상측면 방향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논슬립판과 상기 상부단위목재의 하측면에 걸림되는 걸림판과 상기 논슬립판과 걸림판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판으로 구성된 논슬립부재를 준비하는 논슬립부재 준비단계; 상기 논슬립판이 안착되는 안착홈과 상기 걸림판이 걸림되는 걸림홈을 한 쌍의 상부단위목재 상하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하는 홈부 형성단계; 상기 논슬립부재를 한 쌍의 상부단위목재 사이에 수지류 접착제를 매개로 접착한 후, 상기 상부단위목재의 하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단위목재를 접착하여 양생하는 데크재 양생단계; 상기 데크재 양생단계를 거친 후, 표면을 매끄럽게 다듬어 제품화하는 데크재 완성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착홈은 상기 논슬립판이 상기 상부단위목재의 상측면 보다 높게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깊이로 형성되며,
    상기 홈부 형성단계에서, 상기 하부단위목재와 면 접촉되는 상기 상부단위목재의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홈을 형성하고, 그 설치홈의 내측에 다수개의 메쉬가닥이 격자형으로 짜여진 메쉬시트를 수지류 접착제를 매개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슬립 집성데크재의 제조방법.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재 양생단계 이후, 상기 논슬립판의 상부면이 상기 상부단위목재의 상측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몰더 가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슬립 집성데크재의 제조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재 양생단계 이후, 상기 논슬립판의 상부면이 상기 상부단위목재의 상측면 보다 높게 돌출되게 상기 상부단위목재의 상측면을 몰더 가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슬립 집성데크재의 제조방법.
  12. 삭제
KR1020150006611A 2015-01-14 2015-01-14 논슬립 집성데크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42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6611A KR101542924B1 (ko) 2015-01-14 2015-01-14 논슬립 집성데크재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6611A KR101542924B1 (ko) 2015-01-14 2015-01-14 논슬립 집성데크재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2924B1 true KR101542924B1 (ko) 2015-08-10

Family

ID=53886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6611A KR101542924B1 (ko) 2015-01-14 2015-01-14 논슬립 집성데크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29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390B1 (ko) 2017-10-31 2018-06-20 문성렬 표면에 교차콤부가 형성된 목재데크 제조방법 및 목재데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9046B2 (ja) * 1991-04-17 2000-09-18 帝人株式会社 刺繍糸
KR100987143B1 (ko) * 2010-04-26 2010-10-11 (주) 태평양지질 노면 슬립 방지 구조를 갖는 데크 및 그 확장 데크 구조물
KR101186997B1 (ko) 2012-04-20 2012-09-28 박성철 조명장치를 구비한 목재 데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9046B2 (ja) * 1991-04-17 2000-09-18 帝人株式会社 刺繍糸
KR100987143B1 (ko) * 2010-04-26 2010-10-11 (주) 태평양지질 노면 슬립 방지 구조를 갖는 데크 및 그 확장 데크 구조물
KR101186997B1 (ko) 2012-04-20 2012-09-28 박성철 조명장치를 구비한 목재 데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390B1 (ko) 2017-10-31 2018-06-20 문성렬 표면에 교차콤부가 형성된 목재데크 제조방법 및 목재데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97879B2 (en) Support plate for installing tile
US20220403669A1 (en) Floor element for forming a floor covering, a floor covering,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floor element
US7610731B1 (en) Snap together floor structure
CA2539321C (en) Carrier tile consisting of film-like plastic
US10370860B2 (en) Multi-functional underlayment acoustical mat and system
EP4006260A1 (en) A floor element for forming a floor covering and a floor covering
KR101542924B1 (ko) 논슬립 집성데크재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2007323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airing concrete
CN1343824A (zh) 多方向的地板镶板
KR101869390B1 (ko) 표면에 교차콤부가 형성된 목재데크 제조방법 및 목재데크
KR101499038B1 (ko) 집성 데크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3591142B2 (ja) Frp格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172147B2 (ja) 階段用防音滑り止め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00001081U (ko) 마루장판
KR101762291B1 (ko) 합성목재 잔디데크
JP5124259B2 (ja) 防音床材
KR101290788B1 (ko) 배수기능을 가지고 양면을 사용할 수 있는 친환경 마루판 및 이를 이용한 마루판 구조체
CN219316286U (zh) 一种抗冲击弹性强化地板
JPH0623495B2 (ja) 防音床材およびその製法
JP3590693B2 (ja) Frp格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RU158439U1 (ru) ПАРКЕТ Hard
JPH0347068Y2 (ko)
RU158440U1 (ru) ПАРКЕТ soft
KR101150852B1 (ko) 건식 시공용 타일 및 이의 제작방법
CN217812101U (zh) 一种复合地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