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0852B1 - 건식 시공용 타일 및 이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건식 시공용 타일 및 이의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0852B1
KR101150852B1 KR1020110113378A KR20110113378A KR101150852B1 KR 101150852 B1 KR101150852 B1 KR 101150852B1 KR 1020110113378 A KR1020110113378 A KR 1020110113378A KR 20110113378 A KR20110113378 A KR 20110113378A KR 101150852 B1 KR101150852 B1 KR 101150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h
connecting member
mesh connecting
flooring material
s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3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기환
Original Assignee
(주)삼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현 filed Critical (주)삼현
Priority to KR1020110113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08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0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0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94Flooring consisting of a number of elements carried by a non-rollable common support plate or gri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05Construction of joints, e.g. dividing strips
    • E04F15/02011Construction of joints, e.g. dividing strips with joint fillings integrated in the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3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characterised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between neighbouring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5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adhesively fixed to an underlayer; Fastening means therefor; Fixing by means of plastics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식 시공용 타일 및 이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메쉬망 형상의 메쉬연결부재, 이 메쉬연결부재를 바닥재의 일측에 부착하도록 메쉬연결부재와 바닥재 사이에 형성되는 접착부재, 및 이 메쉬연결부재에 연결되어 바닥재를 부착한 메쉬연결부재가 시공 바닥면에 대해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건물 등의 바닥면에 습식 공법인 모르타르 시공 및 본드 시공을 대신하여 조립식 메쉬연결부재를 서로 결속하여 기존 바닥에 건식공법으로 타일을 시공함으로써 기존바닥의 타일을 제거하지 않고 또는 기존 시멘트 바닥에 타일을 부착 시공함으로써 시공이 가능하고 시공 전문가가 아닌 일반 수요자도 쉽게 시공할 수 있고 타일이 미끄럼 없이 견고하게 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식 시공용 타일 및 이의 제작방법{DRY TILE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건식 시공용 타일 및 이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등의 바닥면에 습식 공법인 모르타르 시공 및 본드 시공을 대신하여 조립식 메쉬연결부재를 서로 결속하여 기존 바닥에 건식공법으로 타일을 시공함으로써 기존바닥의 타일을 제거하지 않고 또는 기존 시멘트 바닥에 타일을 부착 시공함으로써 시공이 가능하고 시공 전문가가 아닌 일반 수요자도 쉽게 시공할 수 있고 타일이 미끄럼 없이 견고하게 시공할 수 있는 건식 시공용 타일 및 이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과 관련 한 건축의 리모델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폐기물 발생 등 환경오염 없이 건축의 리모델링 작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새로운 디자인 등의 발전으로 건축의 리모델링 작업이 짧은 주기로 변화되고 있다.
이러한 리모델링 작업의 대표적인 작업으로 타일을 재시공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는 타일에 프레임을 사전에 제작하여 시공함으로써 폐기물 발생 방지, 신속한 시공,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에게도 시공이 용이하고 타일 시공 시 필요한 줄눈(매지)이 균일하고 경제적이며 내구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특히, 기존 타일 재시공 방법에 있어서는 타일을 시멘트 몰타르로써 부착하는 습식 시공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타일의 습식제작방법에 대해서는 국내특허등록 제10-0541669호에 제안된 바 있다.
기존 타일 시공은 몰타르(시멘트)를 사용한 습식 시공이 대부분이며 이는 전문가에 의한 시공의 어려움, 시공 후 건조 시간 확보 등의 문제점이 있다. 즉, 기존 습식 제작방법은 바닥이나 벽면에 걸쳐서 시멘트 몰타르를 도포하여 그 위에 타일을 부착하고 인접하는 타일 사이에 시멘트 몰타르로서 줄눈을 형성하는 것으로 시멘트 몰타르의 준비 및 도포, 타일부착 후 양생 및 줄눈작업에 따른 숙련기술의 필요성, 공기의 지연, 시공의 난이성, 시공 시기적 제한 등 많은 폐단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타일 습식 제작방법은 리모델링 건축인 경우 기존 타일을 제거하기 위한 소음 발생 및 폐기물 발생, 시공 후 사용시 까지 2~3일 정도의 건조시간 소요 등으로 인한 공사기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바닥재의 하측에 메쉬연결부재를 일체화하여 부착하고, 메쉬연결부재에 마찰 저항이 큰 미끄럼방지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타일을 제작함으로써 바닥과의 미끄러짐으로 인한 이동이 없게 하는 건식 시공용 타일 및 이의 제작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미끄럼방지부재를 바닥재의 설정된 테두리에 부착되도록 연장 형성함으로써 이웃한 타일을 결속함으로써 자연적으로 줄눈용 부재를 형성하도록 하여 타일 시공 시간을 줄이고 별도의 건조시간을 제거하고자 하는 건식 시공용 타일 및 이의 제작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식 시공용 타일은: 메쉬망 형상의 메쉬연결부재, 상기 메쉬연결부재를 바닥재의 일측에 부착하도록 상기 메쉬연결부재와 상기 바닥재 사이에 형성되는 접착부재, 및 상기 메쉬연결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바닥재를 부착한 상기 메쉬연결부재가 시공 바닥면에 대해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메쉬연결부재는 상기 미끄럼방지부재를 삽입하기 위해 삽입홈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메쉬연결부재는 조각화된 복수 개의 조각메쉬연결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미끄럼방지부재는 설정된 궤적을 따라 상기 조각메쉬연결부재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바닥재는 평면상 다각형 형상이고, 상기 메쉬연결부재는, 둘레면 중 일부에서 상기 바닥재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결속부재, 및 둘레면 중 나머지 부분에서 상기 바닥재의 외측으로 노출 방지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매립결속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결속부재와 상기 매립결속부재 각각은 상기 메쉬연결부재의 높이 방향으로 테두리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측후크, 및 상기 메쉬연결부재의 테두리 하측에 형성되는 하측후크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측후크와 상기 하측후크는 상기 메쉬연결부재의 높이방향에 대해 서로 엇갈리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측후크와 상기 하측후크는 대응되는 상기 메쉬연결부재의 테두리와 나란하도록 내측면에 걸림돌기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결속부재를 형성한 상기 메쉬연결부재에 대응되는 상기 바닥재의 테두리에는 줄눈용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줄눈용 부재는 상기 미끄럼방지부재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메쉬연결부재는 상기 줄눈용 부재를 상기 바닥재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해 가압편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끄럼방지부재는 두께를 달리하여 상기 바닥재의 시공 높이를 조절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건식 시공용 타일의 제작방법은: 바닥재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설정된 테두리에 돌출결속부재, 매립결속부재, 가압편을 갖는 메쉬연결부재를 형성하는 메쉬연결부재형성단계, 상기 메쉬연결부재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미끄럼방지부재와 이웃한 바닥재 사이에 개재되는 줄눈용 부재를 일체로 성형하는 성형단계, 상기 줄눈용 부재를 상기 바닥재의 테두리와 상기 가압편 사이에 열 융착하고 상기 메쉬연결부재의 바닥면에 상기 미끄럼방지부재를 열 융착하는 고정설치단계, 및 상기 돌출결속부재와 상기 가압편을 상기 바닥재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하고 상기 매립결속부재를 상기 바닥재의 외측으로 노출 방지되도록 상기 메쉬연결부재를 상기 바닥재에 접착하는 접착단계를 포함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건식 시공용 타일의 시공방법은: 바닥재, 및 상기 바닥재의 하측에 고정되는 메쉬망 형상의 메쉬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메쉬연결부재는, 둘레면 중 일부에서 상기 바닥재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상측후크와 하측후크로 이루어진 돌출결속부재, 및 둘레면 중 나머지 부분에서 상기 바닥재의 외측으로 노출 방지되도록 연장 형성되고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상측후크와 하측후크로 이루어진 매립결속부재를 포함하며, 어느 하나의 메쉬연결부재의 상측후크가 다른 하나의 메쉬연결부재의 하측후크와 일대일로 결속되고, 어느 하나의 메쉬연결부재의 하측후크가 다른 하나의 메쉬연결부재의 상측후크와 일대일로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식 시공용 타일 및 이의 제작방법은 종래 기술과 달리 바닥재의 하측에 메쉬연결부재를 일체화하여 부착하고, 메쉬연결부재에 마찰 저항이 큰 미끄럼방지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타일을 제작함으로써 바닥과의 미끄러짐으로 인한 이동이 없게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미끄럼방지부재를 바닥재의 설정된 테두리에 부착되도록 연장 형성함으로써 이웃한 타일을 결속함으로써 자연적으로 줄눈용 부재를 형성하도록 하여 타일 시공 시간을 줄이고 별도의 건조시간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 시공용 타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 시공용 타일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 시공용 타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 시공용 타일의 요부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 시공용 타일의 시공 상태를 보인 저면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 시공용 타일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 시공용 타일의 시공을 위한 결속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 시공용 타일의 단차지게 시공한 상태의 결속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식 시공용 타일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 시공용 타일의 제작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식 시공용 타일 및 이의 제작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 시공용 타일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 시공용 타일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 시공용 타일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 시공용 타일의 요부 저면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 시공용 타일의 시공 상태를 보인 저면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 시공용 타일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 시공용 타일의 시공을 위한 결속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 시공용 타일의 단차지게 시공한 상태의 결속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식 시공용 타일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 시공용 타일의 제작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 시공용 타일(10)은 바닥재(20), 메쉬연결부재(30), 접착부재(40) 및 미끄럼방지부재(50)를 포함한다.
바닥재(20)는 점토질이나 시멘트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바닥재(20)는 평면상 다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편의상,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메쉬연결부재(30)는 다양한 형태의 홀(hole)을 갖는 메쉬망 형상으로 이루어져 바닥재(20)의 하측에 구비된다. 그래서, 메쉬연결부재(30)는 바닥재(20)의 보강 역할을 한다.
메쉬연결부재(3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합성 수지 등 다양한 재질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접착부재(40)는 바닥재(20)의 하측에 메쉬연결부재(30)를 접착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접착부재(40)는 본드나 실리콘 등의 접착제가 바닥재(20)와 메쉬연결부재(30) 사이에 고형화된 상태를 의미한다. 접착제가 바닥재(20)에 도포된 상태에서 메쉬연결부재(30)가 바닥재(20)의 하측에 접착될 수도 있고, 접착제가 메쉬연결부재(30)에 도포된 상태에서 바닥재(20)가 메쉬연결부재(30)의 상측에 놓여지며 접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접착부재(40)는 완충 역할도 한다.
특히, 메쉬연결부재(3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접착제와의 접착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메쉬망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건식 시공용 타일(10)이 서로 접착된 바닥재(20)와 메쉬연결부재(30)로만 구성될 경우, 건식 시공용 타일(10)은 설치되는 건물 등의 바닥면에 대해 슬립(slip)이 발생하게 되어 시공 불량을 초래하게 된다.
그래서, 메쉬연결부재(30)는 하측에 미끄럼방지부재(50)를 부가한다.
미끄럼방지부재(50)는 메쉬연결부재(30)에 연결되어 바닥재(20)를 부착한 메쉬연결부재(30)가 시공 바닥면에 대해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미끄럼방지부재(50)는 시공 바닥면에 대해 마찰 저항력이 크도록 접착력을 갖는 실리콘 또는 수지 등의 재질로 한다.
아울러, 미끄럼방지부재(50)는 다양한 형상으로 홀을 갖는데, 원형 또는 삼각형 형상의 홀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미끄럼방지부재(50)가 시공 바닥면과 마찰 저항을 크게 하여 슬립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미끄럼방지부재(50)의 홀 직경이나 개수는 한정하지 않는다.
이때, 미끄럼방지부재(50)는 다양한 방식으로 메쉬연결부재(30)에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메쉬연결부재(30)는 미끄럼방지부재(50)를 삽입하기 위해 삽입홈(62)을 형성한다. 즉, 미끄럼방지부재(50)는 일정한 궤적을 따라 메쉬연결부재(30)에 형성되는 삽입홈(62)에 끼워짐으로써 고정 설치된다. 이때, 미끄럼방지부재(50)는 삽입홈(62)에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홈(62)의 외측으로 소정 돌출되어 시공 바닥면에 접하는 굵기로 이루어진다.
한편, 바닥재(20)의 하측에 메쉬연결부재(30)가 접착되고, 메쉬연결부재(30)의 하측에 미끄럼방지부재(50)가 구비된 타일(10)은 작업 바닥에 시공시 서로 결속되어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즉, 이웃한 타일(10)은 건식 공법으로 인해 견고하게 결속됨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바닥재(20)는 평면상 다각형 형상인데, 상술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인 것으로 도시한다.
그리고, 메쉬연결부재(30)는 바닥재(20)와 동일한 형상, 즉 사각 형상으로 구비된다.
아울러, 이웃한 타일(10) 각각에 구비되는 메쉬연결부재(30)는 서로 결속되기 위해 테두리를 따라 결속부재(72,74)를 구비한다.
이때, 이웃한 메쉬연결부재(30)의 결속부재(72,74)는 서로 결속된 상태로 이웃한 타일(10) 사이로 노출되지 않도록 대응되는 돌출형과 매립형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웃한 메쉬연결부재(30)가 결속 상태에서, 대응되게 이웃한 타일(10)은 대향하는 테두리끼리 면접되거나 최대한 근접되게 시공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도 5 및 도 7에서처럼, 메쉬연결부재(30)는 돌출결속부재(72)와 매립결속부재(74)를 포함한다.
돌출결속부재(72)는 둘레면 중 일부에서 바닥재(2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메쉬연결부재(30)의 해당 테두리에 형성되고, 매립결속부재(74)는 둘레면 중 나머지 부분에서 바닥재(20)의 외측으로 노출 방지되도록 메쉬연결부재(30)의 해당 테두리에 연장 형성된다.
편의상, 메쉬연결부재(30)는 평면상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져 대각 방향으로 대향하는 2개의 꼭지점 중 어느 하나의 꼭지점에 양측으로 연결되는 테두리를 따라 돌출결속부재(72)를 형성하고, 다른 하나의 꼭지점에 양측으로 연결되는 테두리를 따라 매립결속부재(74)를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한다.
그래서, 돌출결속부재(72)가 평면상 바닥재(20)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매립결속부재(74)가 평면상 바닥재(20)의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메쉬연결부재(30)는 바닥재(20)의 하측에 접착된다.
이에 따라, 이웃한 타일(10) 중 어느 하나의 타일(10)의 돌출결속부재(72)가 다른 하나의 타일(10)의 매립결속부재(74)와 결속된다.
마찬가지로, 이웃한 타일(10) 중 어느 하나의 타일(10)의 매립결속부재(74)가 다른 하나의 돌출결속부재(72)와 결속된다.
결과적으로, 이웃한 타일(10)은 대응되는 테두리끼리 면접되게 시공되거나 최대한 근접된 상태를 유지한 채 시공된다. 아울러, 각 타일(10)은 미끄럼방지부재(50)에 의해 작업 바닥에 대해 슬립(slip) 방지된다.
물론, 돌출결속부재(72)와 매립결속부재(74)는 메쉬연결부재(30)에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돌출결속부재(72)는 메쉬연결부재(30)의 높이 방향에 대해 해당되는 테두리의 상측에 돌출되는 상측후크(76), 및 메쉬연결부재(30)의 높이 방향에 대해 해당되는 테두리의 하측에 돌출되는 하측후크(78)로 이루어진다.
마찬가지로, 매립결속부재(74)는 메쉬연결부재(30)의 높이 방향에 대해 해당되는 테두리의 상측에 돌출되는 상측후크(76), 및 메쉬연결부재(30)의 높이 방향에 대해 해당되는 테두리의 하측에 돌출되는 하측후크(78)로 이루어진다.
이때, 돌출결속부재(72)의 상측후크(76)와 하측후크(78)는 매립결속부재(74)의 상측후크(76)와 하측후크(78)와 동일 기능을 하기 때문에 모든 상측후크(76)는 동일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모든 하측후크(78)는 동일 도면부호를 부여한다.
아울러, 메쉬연결부재(30)의 동일 테두리에 배치되는 상측후크(76)와 하측후크(78)는 메쉬연결부재(30)의 높이방향에 대해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다. 즉, 상측후크(76)와 하측후크(78)는 메쉬연결부재(30)의 모서리와 나란한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된다. 이는, 어느 하나의 메쉬연결부재(30)의 상측후크(76)가 다른 하나의 메쉬연결부재(30)의 하측후크(78)와 일대일로 결속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로, 어느 하나의 메쉬연결부재(30)의 하측후크(78)는 다른 하나의 메쉬연결부재(30)의 상측후크(76)와 결속된다.
이때, 일대일로 연결되도록 대응되는 상측후크(76)와 하측후크(78)는 다양한 방식으로 결속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에 따른 건식 시공용 타일(10)의 시공방법으로서, 상측후크(76) 각각은 하측 방향으로 걸림돌기(79)를 돌출 형성하고, 하측후크(78) 각각은 상측 방향으로 걸림돌기(79)를 돌출 형성한다.
그래서, 어느 하나의 메쉬연결부재(30)의 상측후크(76)가 다른 하나의 메쉬연결부재(30)의 하측후크(78)와 일대일로 접하면서 대응되는 걸림돌기(79)끼리 걸리게 된다. 마찬가지로, 어느 하나의 메쉬연결부재(30)의 하측후크(78)가 다른 하나의 메쉬연결부재(30)의 상측후크(76)와 일대일로 접하면서 대응되는 걸림돌기(79)끼리 걸리게 된다. 따라서, 메쉬연결부재(30)는 결속됨으로써, 시공되는 타일(10)은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때, 걸림돌기(79)는 상측후크(76)와 하측후크(78)에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한편, 시공되는 이웃한 타일(10) 사이에는 줄눈용 부재(80)가 구비되는데, 줄눈용 부재(80)는 타일(10) 사이의 틈새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방수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줄눈용 부재(80)는 돌출결속부재(72)를 형성한 메쉬연결부재(30)에 대응되는 바닥재(20)의 테두리에 접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바닥재(20)의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결속부재(72)가 대응되는 매립결속부재(74)에 결속되며 이웃한 타일(10)의 하측으로 삽입되면서, 줄눈용 부재(80)가 자연적으로 이웃한 타일(10)의 테두리에 접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줄눈용 부재(80)는 미끄럼방지부재(50)에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줄눈용 부재(80)는 미끄럼방지부재(50)와 함께 금형 제작되거나 사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줄눈용 부재(80)를 별도로 제작하거나 별도로 시공 작업하는 번거로움이 제거된다.
줄눈용 부재(80)는 어느 하나의 바닥재(20) 측면에 접한 상태를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메쉬연결부재(30)는 줄눈용 부재(80)를 바닥재(20)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해 가압편(82)을 형성한다. 메쉬연결부재(30)가 바닥재(20)의 하측에 접착된 상태에서, 가압편(82)이 줄눈용 부재(80)의 일부 또는 전체를 바닥재(20)의 측면으로 밀착시킨다. 가압편(82)은 형상 및 개수에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이웃한 타일(10)은 물의 유입이나 이물질의 유입의 차단 등을 위해 단차를 두도록 시공될 수도 있다.
그래서, 미끄럼방지부재(50)는 두께를 달리하여 바닥재(20)의 시공 높이 즉 건식 시공용 타일(10)의 시공 높이 및 건식 시공용 타일(10) 자체의 높이를 조절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미끄럼방지부재(50) 대신 메쉬연결부재(30)의 두께를 달리할 수도 있다. 편의상, 도 8에는 메쉬연결부재(30)의 두께를 달리한 상태를 도시한다.
다시 말해서, 이웃하여 결속되는 바닥재(20) 중 어느 하나의 바닥재(20)에 구비된 메쉬연결부재(30)는 다른 하나의 바닥재(20)에 구비된 메쉬연결부재(30)보다 높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어느 하나의 바닥재(20)에 구비된 메쉬연결부재(30)가 다른 하나의 바닥재(20)에 구비된 메쉬연결부재(30)보다 높게 시공되기 위해서, 어느 하나의 바닥재(20)에 구비된 메쉬연결부재(30)는 바닥면 전체 또는 일부에 별물을 추가하여 부착할 수도 있다.
편의상, 어느 하나의 바닥재(20)에 구비된 메쉬연결부재(30)는 다른 하나의 바닥재(20)에 구비된 메쉬연결부재(30)보다 높게 제작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식 시공용 타일(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바닥재(20), 메쉬연결부재(30), 접착부재(40) 및 미끄럼방지부재(50)를 포함한다.
이때, 메쉬연결부재(30)는 조각화된 복수 개의 조각메쉬연결부재(64)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설정된 궤적을 따라 형성되는 미끄럼방지부재(50)는 동일한 궤적을 따라 배치되는 조각메쉬연결부재(64) 사이에 개재된다.
물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각 조각메쉬연결부재(64)와 미끄럼방지부재(50)는 접착부재(40)에 의해 바닥재(20)에 접착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 시공용 타일(10)의 제작방법은 메쉬연결부재형성단계(S10), 성형단계(S20), 고정설치단계(S30) 및 접착단계(S40)를 포함한다.
메쉬연결부재형성단계(S10)는 바닥재(20)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설정된 테두리에 돌출결속부재(72), 매립결속부재(74), 가압편(82)을 갖는 메쉬연결부재(30)를 형성하는 공정이다.
즉, 메쉬연결부재(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테두리에 돌출결속부재(72)와 매립결속부재(74) 및 가압편(82)을 일체로 형성하도록 사출 성형 또는 금형 제작된다.
아울러, 성형단계(S20)는 메쉬연결부재(30)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미끄럼방지부재(50)와 이웃한 바닥재(20) 사이에 개재되는 줄눈용 부재(80)를 일체로 성형하는 공정이다.
이를 통해, 타일(10)의 시공 중에 별도로 줄눈용 부재(80)가 구비되도록 시공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고정설치단계(S30)는 줄눈용 부재(80)를 대응되는 바닥재(20)의 테두리에 열 융착하고, 메쉬연결부재(30)의 바닥면에 미끄럼방지부재(50)를 열 융착하는 공정이다.
이때, 줄눈용 부재(80)는 바닥재(20)의 대응되는 테두리에 부착되는데, 일부가 가압편(82)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그래서, 줄눈용 부재(80)가 바닥재(20)의 테두리와 가압편(82) 사이에 열 융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열 융착'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접착단계(S40)는 메쉬연결부재(30)의 동일 테두리에 형성되는 돌출결속부재(72)와 가압편(82)을 바닥재(2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하고, 메쉬연결부재(30)의 매립결속부재(74)를 바닥재(20)의 외측으로 노출 방지되도록, 메쉬연결부재(30)를 바닥재(20)에 접착하는 공정이다.
그래서, 메쉬연결부재(30)와 바닥재(20) 사이에는 접착부재가 형성된다.
특히, 접착단계(S40)와 고정설치단계(S30)가 동시에 행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줄눈용 부재(80)가 바닥재(20)의 테두리에 접한 상태에서, 미끄럼방지부재(50)가 메쉬연결부재(30)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작업자는 줄눈용 부재(80)를 작업하기 편한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바닥재(20)의 대응되는 테두리에 부착함에 따라, 타일(10)의 부착 시공을 편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바닥재(20)에 부착된 줄눈용 부재(80)가 미끄럼방지부재(50)에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줄눈용 부재(80)가 바닥재(20)에 설치된 후 미끄럼방지부재(50)가 메쉬연결부재(30)에 부착되어, 시공 바닥에 대한 타일(10)의 접착력이 향상된다.
물론, 미끄럼방지부재(50)가 메쉬연결부재(30)에 연결된 후, 줄눈용 부재(80)가 바닥재(20)의 테두리에 부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건식 시공용 타일 20: 바닥재
30: 메쉬연결부재 40: 접착부재
50: 미끄럼방지부재 62: 삽입홈
64: 조각메쉬연결부재 72: 돌출결속부재
74: 매립결속부재 76: 상측후크
78: 하측후크 79: 걸림돌기
80: 줄눈용 부재 82: 가압편

Claims (10)

  1. 메쉬망 형상의 메쉬연결부재;
    상기 메쉬연결부재를 바닥재의 일측에 부착하도록 상기 메쉬연결부재와 상기 바닥재 사이에 형성되는 접착부재; 및
    상기 메쉬연결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바닥재를 부착한 상기 메쉬연결부재가 시공 바닥면에 대해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미끄럼방지부재는 물의 유입이나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이웃한 규격화된 상기 바닥재의 시공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두께를 달리하며,
    상기 메쉬연결부재는 상기 미끄럼방지부재를 삽입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미끄럼방지부재의 형상을 따라 삽입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시공용 타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연결부재는 조각화된 복수 개의 조각메쉬연결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미끄럼방지부재는 설정된 궤적을 따라 상기 조각메쉬연결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시공용 타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는 평면상 다각형 형상이고;
    상기 메쉬연결부재는, 둘레면 중 일부에서 상기 바닥재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결속부재; 및
    둘레면 중 나머지 부분에서 상기 바닥재의 외측으로 노출 방지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매립결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시공용 타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결속부재와 상기 매립결속부재 각각은 상기 메쉬연결부재의 높이 방향으로 테두리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측후크, 및 상기 메쉬연결부재의 테두리 하측에 형성되는 하측후크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측후크와 상기 하측후크는 상기 메쉬연결부재의 높이방향에 대해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시공용 타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후크와 상기 하측후크는 대응되는 상기 메쉬연결부재의 테두리와 나란하도록 내측면에 걸림돌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시공용 타일.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결속부재를 형성한 상기 메쉬연결부재에 대응되는 상기 바닥재의 테두리에는 줄눈용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줄눈용 부재는 상기 미끄럼방지부재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메쉬연결부재는 상기 줄눈용 부재를 상기 바닥재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해 가압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시공용 타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부재는 두께를 달리하여 상기 바닥재의 시공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시공용 타일.
  9. 바닥재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설정된 테두리에 돌출결속부재, 매립결속부재, 가압편을 갖는 메쉬연결부재를 형성하는 메쉬연결부재형성단계;
    상기 메쉬연결부재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미끄럼방지부재와 이웃한 바닥재 사이에 개재되는 줄눈용 부재를 일체로 성형하는 성형단계; 및
    상기 줄눈용 부재를 상기 바닥재의 테두리와 상기 가압편 사이에 열 융착하고, 상기 메쉬연결부재의 바닥면에 상기 미끄럼방지부재를 열 융착하는 고정설치단계; 및
    상기 돌출결속부재와 상기 가압편을 상기 바닥재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하고 상기 매립결속부재를 상기 바닥재의 외측으로 노출 방지되도록, 상기 메쉬연결부재를 상기 바닥재에 접착하는 접착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성형단계시, 상기 미끄럼방지부재는 물의 유입이나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이웃한 규격화된 상기 바닥재의 시공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두께가 다르게 제작되며,
    상기 메쉬연결부재는 상기 미끄럼방지부재를 삽입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미끄럼방지부재의 형상을 따라 삽입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시공용 타일의 제작방법.
  10. 삭제
KR1020110113378A 2011-11-02 2011-11-02 건식 시공용 타일 및 이의 제작방법 KR101150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378A KR101150852B1 (ko) 2011-11-02 2011-11-02 건식 시공용 타일 및 이의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378A KR101150852B1 (ko) 2011-11-02 2011-11-02 건식 시공용 타일 및 이의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0852B1 true KR101150852B1 (ko) 2012-06-13

Family

ID=46607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3378A KR101150852B1 (ko) 2011-11-02 2011-11-02 건식 시공용 타일 및 이의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08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17007A (zh) * 2019-05-16 2019-07-16 河北广大住品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干法快装地砖模具、系统及工艺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3671A (ja) * 2003-09-18 2005-04-28 Wiruakuto:Kk 床化粧材及び床化粧構造
JP2011001802A (ja) * 2009-06-22 2011-01-06 Kuriyama Kk 床用タイル及び床用タイルの施工方法
JP2011214349A (ja) * 2010-04-01 2011-10-27 Lixil Corp 床仕上用石質板及び床仕上パネ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3671A (ja) * 2003-09-18 2005-04-28 Wiruakuto:Kk 床化粧材及び床化粧構造
JP2011001802A (ja) * 2009-06-22 2011-01-06 Kuriyama Kk 床用タイル及び床用タイルの施工方法
JP2011214349A (ja) * 2010-04-01 2011-10-27 Lixil Corp 床仕上用石質板及び床仕上パネ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17007A (zh) * 2019-05-16 2019-07-16 河北广大住品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干法快装地砖模具、系统及工艺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6116B2 (en) Tile tray
TWI432631B (zh) 密合之模組地板總成
US20060230701A1 (en) Tile to be used in a laying system especially for producing a floor covering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20140013698A1 (en) System for a floor covering
US11609501B2 (en) Interconnectable tiling system
KR20210013724A (ko) 바닥 밑받침 덮개
KR101150852B1 (ko) 건식 시공용 타일 및 이의 제작방법
KR100545012B1 (ko) 건축구조물의 벽체 방수구조 및 그 방수공법
KR101419449B1 (ko)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 및 그 시공방법
JP2008127984A (ja) 床タイル張り工法
US20150074898A1 (en) Shower Stall Curb Cover
JPH07300808A (ja) プラスチック製床材
KR101337433B1 (ko) 건축자재용 내·외장 장식블록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JP2551988Y2 (ja) 樹脂製床材へのタイルの取付構造
JP2009250019A (ja) フリーアクセスフロアタイル張り工法
JP4425896B2 (ja) 床材相互の連結構造
KR100666597B1 (ko) 건식 타일 설치구조 및 시공방법
JP5243380B2 (ja) 床材
JPH03202551A (ja) 内装材の取付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2012172323A (ja) 床化粧材敷設構造
JP2014181454A (ja) 覆工材
WO2013174864A1 (fr) Module de revetement de sol, ensemble modulaire et procede de fabrication associes
EA045760B1 (ru) Элемент пола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напольного покрытия и напольное покрытие
JPH09324518A (ja) 床材に用いる接着固定部材
KR20030008947A (ko) 조립식 건식바닥을 위한 수지매트 및 이를 이용한건식바닥 유니트, 그리고 건식바닥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