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7431B1 - 습건식 시공용 경량내진형 한식 암기와 - Google Patents

습건식 시공용 경량내진형 한식 암기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7431B1
KR102317431B1 KR1020210051911A KR20210051911A KR102317431B1 KR 102317431 B1 KR102317431 B1 KR 102317431B1 KR 1020210051911 A KR1020210051911 A KR 1020210051911A KR 20210051911 A KR20210051911 A KR 20210051911A KR 102317431 B1 KR102317431 B1 KR 102317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dark
wet
construction
kore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1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문길
Original Assignee
(주)노당기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노당기와 filed Critical (주)노당기와
Priority to KR1020210051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74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7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7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02Grooved or vaulted roofing elements
    • E04D1/04Grooved or vaulted roofing elements of ceramics, glass or concrete,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4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other dangerous influences, e.g. tornadoes, floo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4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 E04D2001/3408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er type or material
    • E04D2001/3423Nails, rivets, staples or straps piercing or perforating the roof cover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습건식 시공용 경량내진형 한식 암기와에 관한 것으로 한식 암기와의 설치바닥측인 하면부 전체에 허니콤 구조의 함몰부를 형성하여 함몰부 체적만큼의 중량을 줄임으로써 암기와 전체 중량을 20% 이상 줄여 경량화 할 수 있도록 하고, 허니콤 구조의 특성으로 인해 암기와의 강도가 증대됨과 아울러 암기와의 양측 테두리부에 시공걸림턱을 형성하여 암기와의 적층시 상호간에 걸림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암기와 상호간의 밀착성이 확보되어 태풍 및 지진 등의 내진 충격에도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암기와(A)는 내향만곡부를 갖는 상면부(11)와, 상기 상면부(11)의 반대측에 내향만곡부에 대응되는 외향만곡부를 갖는 하면부(15)로 구성되고, 상기 하면부(15)의 전체면에 걸쳐 허니콤 구조의 다수 함몰부(21)를 연속 형성하여 함몰부(21)의 체적만큼 암기와의 중량을 줄여 경량화되도록 함과 아울러, 허니콤 구조의 특성으로 인해 암기와(A)의 강도가 증대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함몰부(21)는 원형 형태이거나, 3각형, 4각형, 6각형 및 8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 형태로 형성되어지되, 함몰부(21)의 깊이(t2)는 암기와(A) 두께(t1)의 1/2∼1/3 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함몰부(21) 바닥면(25) 상에 내향만곡홈부(26)를 형성하여 함몰부(21)의 강도를 증대시키도록 구성하며, 상기 각각의 내향만곡홈부(26) 상에 다수의 보강홈부(27)를 더 형성하여 내향만곡홈부(26)의 강도를 증대시키도록 하되, 보강홈부(27)의 깊이(t3)는 함몰부(21) 깊이(t2)의 1/3∼1/4 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습건식 시공용 경량내진형 한식 암기와{Lightweight seismic type Korean memorization for wet and dry construction}
본 발명은 습건식 시공용 경량내진형 한식 암기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한식 암기와의 설치바닥측인 하면부 전체에 허니콤 구조의 함몰부를 형성하여 함몰부 체적만큼의 중량을 줄임으로써 암기와 전체 중량을 20% 이상 줄여 경량화 할 수 있도록 하고, 허니콤 구조의 특성으로 인해 암기와의 강도가 증대됨과 아울러 암기와의 양측 테두리부에 시공걸림턱을 형성하여 암기와의 적층시 상호간에 걸림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암기와 상호간의 밀착성이 확보되어 태풍 및 지진 등의 내진 충격에도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습건식 시공용 경량내진형 한식 암기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와는 지붕을 이는 도제품(陶製品)의 건축재료로 가장 기본적인 것은 암기와(평기와)와 숫기와(둥근기와)이며, 재료에 따라 토기와, 시멘트기와 및 금속기와로 구분되어 있다.
기존의 한옥지붕공사의 시공법에서는 지붕면을 구성하는 서까래(연목) 위에 판재(개판) 혹은 피죽으로 덮고 지붕면을 고르게 적심을 한 후 그 위에 기와를 시공하기에 용이하게 진흙을 깔아가면서 암기와를 추녀에서 당마루 쪽으로 통상 120~180㎜ 간격으로 겹쳐서 깔고, 암기와의 골(세로줄)과 골이 맞닿는 부위에 진흙을 얹고 수키와(부와)를 덮는 방식의 습식시공으로 시행이 되어왔다.
이는 지붕면에 진흙으로 기와를 고정함으로 인하여 다수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특히, 다량의 진흙과 기와를 사용함으로 인하여 과도한 지붕의 하중을 견디기 위해서 다량의 부재를 사용하여야 함으로 자재비 및 시공인건비가 많이 들고, 특히 하중의 분산을 위하여 기둥의 위치 및 간격이 한정되어 실내공간의 원활한 확보가 어려우며 흙으로만 고정되어 지진과 태풍 등의 요인에 취약하고, 또한 시공된 알매흙이 풍우에 유실이 되어 기와가 흘러내리거나 이탈을 함으로 유지보수의 문제 등으로 한옥건축을 기피하는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또한, 암기와의 두께가 일정함과 아울러 재질 특성상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운반시 또는 설치시 등에 부주의나 약한 충격에도 파손의 우려가 컸으며, 시공 적층 시 암기와 간의 밀착성이 확보되지 못하여 미세유격에 의한 흔들림으로 인해 내진 충격에 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687376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한식 암기와의 설치바닥측인 하면부 전체에 허니콤 구조의 함몰부를 형성하여 함몰부 체적만큼의 중량을 줄임으로써 암기와 전체 중량을 20% 이상 줄여 경량화 할 수 있도록 하고, 허니콤 구조의 특성으로 인해 암기와의 강도가 증대됨과 아울러 암기와의 양측 테두리부에 시공걸림턱을 형성하여 암기와의 적층시 상호간에 걸림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암기와 상호간의 밀착성이 확보되어 태풍 및 지진 등의 내진 충격에도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습건식 시공용 경량내진형 한식 암기와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위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습건식 시공용 경량내진형 한식 암기와(A)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암기와(A)는 내향만곡부를 갖는 상면부(11)와, 상기 상면부(11)의 반대측에 내향만곡부에 대응되는 외향만곡부를 갖는 하면부(15)로 구성되고, 상기 하면부(15)의 전체면에 걸쳐 허니콤 구조의 다수 함몰부(21)를 연속 형성하여 함몰부(21)의 체적만큼 암기와의 중량을 줄여 경량화되도록 함과 아울러, 허니콤 구조의 특성으로 인해 암기와(A)의 강도가 증대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함몰부(21)는 원형 형태이거나, 3각형, 4각형, 6각형 및 8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 형태로 형성되어지되, 함몰부(21)의 깊이(t2)는 암기와(A) 두께(t1)의 1/2∼1/3 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함몰부(21) 바닥면(25) 상에 내향만곡홈부(26)를 형성하여 함몰부(21)의 강도를 증대시키도록 구성하며, 상기 각각의 내향만곡홈부(26) 상에 다수의 보강홈부(27)를 더 형성하여 내향만곡홈부(26)의 강도를 증대시키도록 하되, 보강홈부(27)의 깊이(t3)는 함몰부(21) 깊이(t2)의 1/3∼1/4 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건식 시공용 경량내진형 한식 암기와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상면부(11)의 상단측 테두리부를 따라 상면부(11)의 표면 보다 돌출되어 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상부역류방지턱(31)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역류방지턱(31)의 양단부에서 하부측으로 상면부(11)의 양측단부를 따라 측부역류방지턱(35)이 연장 형성되어지되, 상기 양측의 각각 측부역류방지턱(35)의 연장시작점(p1)에서 일정거리(s) 이격된 연장끝점(p2)이 위치되는 측부역류방지턱(35) 상에는 측부역류방지턱(35) 보다 돌출되는 걸림단턱부(36)를 하향 연장형성하여 상기 암기와(A)의 시공 시 적층되는 다른 암기와(A)의 측부벽체(19)가 걸림밀착되어 지지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단턱부(36)에 걸림밀착되면서 측부역류방지턱(35)에 밀착되는 암기와(A)의 측부벽체(19) 상에는 측부역류방지턱(35)의 평면에 대응되는 평면부를 갖는 마찰지지면(7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찰지지면(75) 상에는 측부역류방지턱(35)이 밀착되면서 측편걸림지지되도록 측편걸림부(76)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면부(11) 상의 상부측 중앙에는 적층되는 암기와(A) 간을 고정하도록 못공(45)이 형성되고, 상기 못공(45)의 하부측에 위치되는 상면부(11) 상의 양측에는 안착홈부(51)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부(51)에 대응되는 반대편 하면부(15) 상에는 수평유지돌부(55)가 형성되어 암기와(A)의 포장 또는 보관 적재 시 수평유지돌부(55)가 안착홈부(51)에 삽입되게 함으로써 암기와(A) 간의 고정을 유지시켜주도록 구성하되, 상기 안착홈부(51)의 하단부 내측에서 상면부(11)의 표면측으로 하향경사면(53)을 형성하여 안착홈부(51) 내에 물고임을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면부(11) 상의 양측편에는 암기와(A)의 시공 적층된 상태에서 암기와(A) 간의 공기유동을 위해 측편테두리홈부(71)가 형성되고, 상기 상면부(11) 상의 상단편에는 암기와(A)의 시공 적층된 상태에서 암기와(A) 간의 공기유동을 위해 상편테두리홈부(7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한식 암기와의 설치바닥측인 하면부 전체에 허니콤 구조의 함몰부를 형성하여 함몰부 체적만큼의 중량을 줄임으로써 암기와 전체 중량을 20% 이상 줄여 경량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허니콤 구조의 특성으로 인해 암기와의 강도가 증대됨과 아울러, 암기와의 양측 테두리부에 시공걸림턱을 형성하여 암기와의 적층시 상호간에 걸림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암기와 상호간의 밀착성이 확보되어 태풍 및 지진 등의 내진 충격에도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습건식 시공용 경량내진형 한식 암기와의 상면부측 사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암기와의 상면부측 시공 적층 실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안착홈부 및 하향경사면의 실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암기와의 하면부측 사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암기와의 하면부측 시공 적층 실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암기와의 하면부측 다른 실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함몰부의 측단면 실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함몰부의 다른 실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안착홈부 및 하향경사면의 측단면 실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안착홈부 및 수평유지돌부에 의한 포장 또는 보관 적재상태 측단면 실시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수평유지돌부 및 안착홈부의 변형 실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한식 암기와의 설치바닥측인 하면부 전체에 허니콤 구조의 함몰부를 형성하여 함몰부 체적만큼의 중량을 줄임으로써 암기와 전체 중량을 20% 이상 줄여 경량화 할 수 있도록 하고, 허니콤 구조의 특성으로 인해 암기와의 강도가 증대됨과 아울러 암기와의 양측 테두리부에 시공걸림턱을 형성하여 암기와의 적층시 상호간에 걸림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암기와 상호간의 밀착성이 확보되어 태풍 및 지진 등의 내진 충격에도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습건식 시공용 경량내진형 한식 암기와에 관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보면 암기와(A)의 상면부(11) 및 하면부(15)와, 상기 하면부(15)에 형성되는 함몰부(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해 먼저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암기와(A)는 내향만곡부를 갖는 상면부(11)가 형성되고,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상면부(11)의 반대측에 내향만곡부에 대응되는 외향만곡부를 갖는 하면부(15)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암기와(A) 형태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암기와(A)는 한옥 형태의 지붕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설치중량(하중)을 줄일 수 있게 되면 건물 전체에 중량부담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암기와(A)의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렇다고 해서 암기와(A)의 두께를 얇게 제조하게 되면 작은 충격 등의 외력에도 쉽게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서는 도 4에서처럼 상기 하면부(15)의 전체면에 걸쳐 허니콤 구조의 다수 함몰부(21)를 연속 형성하여 함몰부(21)의 체적만큼 암기와(A)의 중량을 줄여 경량화되도록 하였다.
상기 허니콤(honeycomb) 구조는 벌집 형태의 구조를 갖는 것을 통칭하는 것으로 도 4에서는 벌집 형태를 갖는 6각형 형태로 함몰부(21)를 형성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그 외에도 함몰부(21)는 원형 형태이거나, 3각형, 4각형, 6각형 및 8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 형태로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허니콤 구조의 함몰부(21) 형성으로 인해 암기와(A)의 강도 증대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함몰부(21)는 도 7에서와 같이 암기와(A)의 하면부(15) 상에 함몰 형성되는 것으로서 함몰부(21)의 깊이(t2)는 암기와(A) 두께(t1)의 1/2∼1/3 으로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통상 암기와(A)의 두께(t1)는 19∼21㎜로 형성되어지는데, 이때 함몰부(21)의 깊이(t2)는 6.5∼10.5㎜로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함몰부(21)의 깊이(t2)가 암기와(A) 두께(t1)의 1/2을 초과하게 되면 함몰부(21)를 제외한 암기와(A)의 두께(t1)가 얇아지기 때문에 함몰부(21) 인근의 강도가 확보되지 않아 파손의 우려가 발생되고, 함몰부(21)의 깊이(t2)가 암기와(A) 두께(t1)의 1/3 미만이면 암기와(A)의 경량화를 구현하기 힘들게 된다.
상기 함몰부(21)의 변형 실시예로서, 도 8의 (a)에서와 같이 상기 각각의 함몰부(21) 바닥면(25) 상에 내향만곡홈부(26)를 형성하게 되면 바닥면(25)의 휨력으로 인해 함몰부(21)의 강도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다른 변형 실시예로서, 도 8의 (b)에서와 같이 상기 각각의 함몰부(21) 상에 다수의 보강홈부(27)를 더 형성하여 함몰부(21)의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때, 보강홈부(27)는 원형 형태이거나, 3각형, 4각형, 6각형 및 8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 형태로 형성되게 할 수 있고, 또한 보강홈부(27)의 깊이(t3)는 함몰부(21) 깊이(t2)의 1/3∼1/4 로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위 2가지 변형 실시예를 혼합한 것으로서 미도시되었으나 상기 각각의 내향만곡홈부(26) 상에 다수의 보강홈부(27)를 더 형성하여 내향만곡홈부(26)의 강도를 증대시키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때에도, 보강홈부(27)의 깊이(t3)는 함몰부(21) 깊이(t2)의 1/3∼1/4 로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암기와(A)의 구성을 살펴 보면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상면부(11)의 상단측 테두리부를 따라 상면부(11)의 표면 보다 돌출되어 빗물 침투 등으로 인한 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상부역류방지턱(31)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역류방지턱(31)의 양단부에서 하부측으로 상면부(11)의 양측단부를 따라 측부역류방지턱(35)이 연장 형성된다.
또한, 상기 양측의 각각 측부역류방지턱(35)의 연장시작점(p1)에서 일정거리(s) 이격된 연장끝점(p2)이 위치되는 측부역류방지턱(35) 상에는 측부역류방지턱(35) 보다 돌출되는 걸림단턱부(36)를 하향 연장형성하여 도 2에서와 같이 암기와(A)의 시공 시 적층되는 다른 암기와(A)의 측부벽체(19)가 걸림밀착되어 지지되도록 구성한다.
이때,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걸림단턱부(36)에 걸림밀착되면서 측부역류방지턱(35)에 밀착되는 암기와(A)의 측부벽체(19) 상에는 측부역류방지턱(35)의 평면에 대응되는 평면부를 갖는 마찰지지면(75)이 형성되게 한다.
변형 실시예로서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마찰지지면(75) 상에는 측부역류방지턱(35)이 밀착되면서 측편걸림지지되도록 측편걸림부(76)가 더 형성되게 할 수 있고, 미도시되었으나 측부역류방지턱(35)와, 측부역류방지턱(35)에 마찰지지되는 측부역류방지턱(35) 및 측편걸림부(76) 간에 돌부 및 홈부 구조로 상호간에 삽입마찰이 이루어지게 하면 마찰력을 더욱 더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상면부(11) 상의 상부측 중앙에는 적층되는 암기와(A) 간을 고정하도록 못공(45)이 형성되고, 상기 못공(45)은 돌출턱(46) 상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역류방지턱(31)이 형성되는 상부벽체(17) 상에서, 상기 못공(45)을 중심으로 하여 양측 상부역류방지턱(31) 상에는 가압홈부(42)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홈부(42)의 반대편 하면부(15) 상에는 시공 시 고정부목에 걸림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지지돌부(43)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못공(45)의 하부측에 위치되는 상면부(11) 상의 양측에는 도 1 및 도 3에서와 같이 안착홈부(51)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부(51)에 대응되는 반대편 하면부(15) 상에는 도 4에서와 같이 수평유지돌부(55)가 형성되어 도 9 및 도 10에서와 같이 수평유지돌부(55)가 형성되어 암기와(A)의 포장 적재 시 수평유지돌부(55)가 안착홈부(51)에 삽입되게 함으로써 암기와(A) 간의 고정을 유지시켜주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안착홈부(51)의 하단부 내측에서 상면부(11)의 표면측으로 하향경사면(53)을 형성함으로써 안착홈부(51) 내에 물고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미도시되었으나 하향경사면(53)의 배출단부측으로 갈수록 즉, 하향축소 형태로 배출단부측을 형성하게 되면 물 배출이 더욱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수평유지돌부(55)의 끝단부가 파손이 쉽게 발생될 우려가 있는데, 도 11에서와 같이 수평유지돌부(55)의 끝단부에 금속판(91)을 부착고정하고, 수평유지돌부(55)의 끝단가 삽입되어 마찰되는 안착홈부(51)의 바닥면 및 측면부에 마찰판(95)을 부착고정하여 상호간에 마찰되게 하면 마찰력의 확보 뿐 아니라, 마찰에 의한 상호간의 파손 및 마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상면부(11)의 하부측에는 겹침밀착턱(61)을 형성하여 암기와(A)의 시공 적층 시 상호간에 겹침 밀착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저통 한옥지붕 외형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 한편,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상면부(11) 상의 양측편에는 암기와(A)의 시공 적층된 상태에서 암기와(A) 간의 공기유동을 위해 측편테두리홈부(71)가 형성되게 하고, 상기 상면부(11) 상의 상단편에는 암기와(A)의 시공 적층된 상태에서 암기와(A) 간의 공기유동을 위해 상편테두리홈부(73)가 형성되게 한다.
도 5에서와 같이 암기와(A)의 시공 적층된 상태에서는 상호간의 밀착성 때문에 공기의 유동이 제한되어 습기가 머무를 수 있는 환경을 만들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측편테두리홈부(71) 및 상편테두리홈부(73)를 형성한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습건식 시공용 경량내진형 한식 암기와에 의하면, 한식 암기와의 설치바닥측인 하면부 전체에 허니콤 구조의 함몰부를 형성하여 함몰부 체적만큼의 중량을 줄임으로써 암기와 전체 중량을 20% 이상 줄여 경량화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허니콤 구조의 특성으로 인해 암기와의 강도가 증대됨과 아울러, 암기와의 양측 테두리부에 시공걸림턱을 형성하여 암기와의 적층시 상호간에 걸림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암기와 상호간의 밀착성이 확보되어 태풍 및 지진 등의 내진 충격에도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A : 암기와 11 : 상면부
15 : 하면부 17 : 상부벽체
19 : 측부벽체 21 : 함몰부
25 : 바닥면 26 : 내향만곡홈부
27 : 보강홈부 31 : 상부역류방지턱
35 : 측부역류방지턱 36 : 걸림단턱부
45 : 못공 51 : 안착홈부
53 : 하향경사면 55 : 수평유지돌부
71 : 측편테두리홈부 73 : 상편테두리홈부
75 : 마찰지지면 76 : 측편걸림부

Claims (10)

  1. 습건식 시공용 경량내진형 한식 암기와(A)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암기와(A)는 내향만곡부를 갖는 상면부(11)와, 상기 상면부(11)의 반대측에 내향만곡부에 대응되는 외향만곡부를 갖는 하면부(15)로 구성되고,
    상기 하면부(15)의 전체면에 걸쳐 허니콤 구조의 다수 함몰부(21)를 연속 형성하여 함몰부(21)의 체적만큼 암기와의 중량을 줄여 경량화되도록 함과 아울러, 허니콤 구조의 특성으로 인해 암기와(A)의 강도가 증대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함몰부(21)는 원형 형태이거나, 3각형, 4각형, 6각형 및 8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 형태로 형성되어지되, 함몰부(21)의 깊이(t2)는 암기와(A) 두께(t1)의 1/2∼1/3 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함몰부(21) 바닥면(25) 상에 내향만곡홈부(26)를 형성하여 함몰부(21)의 강도를 증대시키도록 구성하며,
    상기 각각의 내향만곡홈부(26) 상에 다수의 보강홈부(27)를 더 형성하여 내향만곡홈부(26)의 강도를 증대시키도록 하되, 보강홈부(27)의 깊이(t3)는 함몰부(21) 깊이(t2)의 1/3∼1/4 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건식 시공용 경량내진형 한식 암기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11)의 상단측 테두리부를 따라 상면부(11)의 표면 보다 돌출되어 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상부역류방지턱(31)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역류방지턱(31)의 양단부에서 하부측으로 상면부(11)의 양측단부를 따라 측부역류방지턱(35)이 연장 형성되어지되, 상기 양측의 각각 측부역류방지턱(35)의 연장시작점(p1)에서 일정거리(s) 이격된 연장끝점(p2)이 위치되는 측부역류방지턱(35) 상에는 측부역류방지턱(35) 보다 돌출되는 걸림단턱부(36)를 하향 연장형성하여 상기 암기와(A)의 시공 시 적층되는 다른 암기와(A)의 측부벽체(19)가 걸림밀착되어 지지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건식 시공용 경량내진형 한식 암기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단턱부(36)에 걸림밀착되면서 측부역류방지턱(35)에 밀착되는 암기와(A)의 측부벽체(19) 상에는 측부역류방지턱(35)의 평면에 대응되는 평면부를 갖는 마찰지지면(7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건식 시공용 경량내진형 한식 암기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지지면(75) 상에는 측부역류방지턱(35)이 밀착되면서 측편걸림지지되도록 측편걸림부(76)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건식 시공용 경량내진형 한식 암기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11) 상의 상부측 중앙에는 적층되는 암기와(A) 간을 고정하도록 못공(45)이 형성되고,
    상기 못공(45)의 하부측에 위치되는 상면부(11) 상의 양측에는 안착홈부(51)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부(51)에 대응되는 반대편 하면부(15) 상에는 수평유지돌부(55)가 형성되어 암기와(A)의 포장 또는 보관 적재 시 수평유지돌부(55)가 안착홈부(51)에 삽입되게 함으로써 암기와(A) 간의 고정을 유지시켜주도록 구성하되, 상기 안착홈부(51)의 하단부 내측에서 상면부(11)의 표면측으로 하향경사면(53)을 형성하여 안착홈부(51) 내에 물고임을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건식 시공용 경량내진형 한식 암기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11) 상의 양측편에는 암기와(A)의 시공 적층된 상태에서 암기와(A) 간의 공기유동을 위해 측편테두리홈부(71)가 형성되고,
    상기 상면부(11) 상의 상단편에는 암기와(A)의 시공 적층된 상태에서 암기와(A) 간의 공기유동을 위해 상편테두리홈부(7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건식 시공용 경량내진형 한식 암기와.
KR1020210051911A 2021-04-21 2021-04-21 습건식 시공용 경량내진형 한식 암기와 KR102317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911A KR102317431B1 (ko) 2021-04-21 2021-04-21 습건식 시공용 경량내진형 한식 암기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911A KR102317431B1 (ko) 2021-04-21 2021-04-21 습건식 시공용 경량내진형 한식 암기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7431B1 true KR102317431B1 (ko) 2021-10-26

Family

ID=78268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1911A KR102317431B1 (ko) 2021-04-21 2021-04-21 습건식 시공용 경량내진형 한식 암기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743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8426U (ja) * 1983-04-26 1984-11-10 古橋 文江
JPH05230937A (ja) * 1992-02-21 1993-09-07 Toshiaki Nakamura 軽量瓦及び軽量瓦の製造方法
KR101687376B1 (ko) 2015-03-25 2016-12-28 (주)용성제재소 용마루 및 내림마루용 암키와
KR101770965B1 (ko) * 2017-03-31 2017-08-24 주식회사 고령기와 내진설계를 적용한 한식 이단암기와
KR102186524B1 (ko) * 2020-05-04 2020-12-03 (주)산청토기와 빗물역류 및 결로발생 방지 기능을 겸비한 점토 양와바닥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8426U (ja) * 1983-04-26 1984-11-10 古橋 文江
JPH05230937A (ja) * 1992-02-21 1993-09-07 Toshiaki Nakamura 軽量瓦及び軽量瓦の製造方法
KR101687376B1 (ko) 2015-03-25 2016-12-28 (주)용성제재소 용마루 및 내림마루용 암키와
KR101770965B1 (ko) * 2017-03-31 2017-08-24 주식회사 고령기와 내진설계를 적용한 한식 이단암기와
KR102186524B1 (ko) * 2020-05-04 2020-12-03 (주)산청토기와 빗물역류 및 결로발생 방지 기능을 겸비한 점토 양와바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14885A (en) Roofing tile
US9181715B2 (en) Clip device for attaching structural member to a supporting structure
US4625486A (en) Laminated vapor barrier material and methods of use
CA2655280C (en) Wooden roof truss
KR102317431B1 (ko) 습건식 시공용 경량내진형 한식 암기와
KR101350307B1 (ko) 지붕 기와의 낙하 방지용 연암
KR102186524B1 (ko) 빗물역류 및 결로발생 방지 기능을 겸비한 점토 양와바닥
EP2599930B1 (en) Tile assembly
US5540029A (en) Wind-resistant roof tile
KR102099728B1 (ko) 방수 타일
KR102084972B1 (ko) 한옥의 지붕 내진 구조
JP6033065B2 (ja) 屋根瓦
JP6133568B2 (ja) 下地ボックス固定材、該下地ボックス固定材を使用した棟構造
JPS6023377Y2 (ja) 建築物の面構造
KR102185075B1 (ko) 겹침조립 용이성이 증대된 건식 및 습식 시공용 이형 암기와
JPS5847131Y2 (ja) 波板の接続装置
JPH1068196A (ja) 棟構造の固定装置
KR102389585B1 (ko) 내진 및 경량 구조를 갖는 한옥지붕 기와
JP3133290U (ja) 木造建物の屋根裏シールド部材
KR102079374B1 (ko) 한옥의 지붕 내진 구조
JP7174944B2 (ja) 屋根用断熱板
JP6543023B2 (ja) 建築板、及び建築板の施工構造
JP3003643U (ja)
JP2634997B2 (ja) ブロック覆工構造
JP3135315U (ja) 棟用の基礎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