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9585B1 - 내진 및 경량 구조를 갖는 한옥지붕 기와 - Google Patents

내진 및 경량 구조를 갖는 한옥지붕 기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9585B1
KR102389585B1 KR1020220002044A KR20220002044A KR102389585B1 KR 102389585 B1 KR102389585 B1 KR 102389585B1 KR 1020220002044 A KR1020220002044 A KR 1020220002044A KR 20220002044 A KR20220002044 A KR 20220002044A KR 102389585 B1 KR102389585 B1 KR 102389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thquake
tile
resistant
hanok
r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2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고령기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고령기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고령기와
Priority to KR1020220002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95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9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9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0Special roof-covering elements, e.g. ridge tiles, gutter tiles, gable tiles, ventilation t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0Special roof-covering elements, e.g. ridge tiles, gutter tiles, gable tiles, ventilation tiles
    • E04D2001/301Special roof-covering elements, e.g. ridge tiles, gutter tiles, gable tiles, ventilation tiles at roof edges, e.g. intersections with walls
    • E04D2001/303Eave t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0Special roof-covering elements, e.g. ridge tiles, gutter tiles, gable tiles, ventilation tiles
    • E04D2001/304Special roof-covering elements, e.g. ridge tiles, gutter tiles, gable tiles, ventilation tiles at roof intersections, e.g. valley tiles, ridge tiles
    • E04D2001/305Ridge or hip 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건식공법 또는 습식공법으로 시공되는 다양한 형태의 한옥지붕 기와를 지진으로 인한 진동 또는 흔들림에 대한 내진성을 높이고 한옥지붕의 시공 면적 중에서 전체 하중을 효율적으로 경량화시킬 수 있는 내진 및 경량 구조를 갖는 한옥지붕 기와에 관한 것이다.
대들보와 중간보위에는 서까래를 설치하고 그 위에 다양한 기와를 사용하여한옥지붕 기와 시공을 위한 바닥면을 구비하고, 상기 각 바닥면에는 외측 하단부 또는 편측으로 수평 또는 현수곡선부를 구비하며, 상기 각 바닥면이 서로 만나는 경계면에는 완만한 곡면형상의 경사각을 형성한 물매를 형성하는 저경사부를 구비하여 그 바닥면, 현수곡선부 및 저경사부의 상면에 시공되는 한옥지붕 기와에 있어서, 상기 한옥지붕 기와 전체하중을 감소시키고 지진에 의한 외부충격에도 내진성과 체결성을 높이고 경량화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적층체결구조를 구비한다.
내진 및 경량 구조를 갖는 한옥지붕 기와은 흔들림에 대한 체결 및 지지의 연결 구조가 개선되는 이점이 있고, 또, 각 바닥면을 따라 구비하는 현수곡선부와 저경사부에는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내진성과 효율성을 높이며, 상기 신한옥암기와 사용에 따른 신한옥암기와 및 내진암기와 사용매수저감에 따른 원재료비 및 시공비 절감효과이 있다.

Description

내진 및 경량 구조를 갖는 한옥지붕 기와{The Korean style hanok roof tile with earthquake-resistant and lightweight structure}
본 발명은 전통한옥에 시공되는 한옥지붕 기와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건식공법 또는 습식공법으로 시공되는 다양한 형태의 한옥지붕 기와를 지진으로 인한 진동 또는 흔들림에 대한 내진성을 높이고 한옥지붕 기와의 시공 면적 중에서 전체 하중을 효율적으로 경량화시킬 수 있는 내진 및 경량 구조를 갖는 한옥지붕 기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옥은 우리나라의 오랜 전통 건축양식에 의하여 시공된 건축물로서 성곽, 궁궐, 관아, 사찰, 마을, 살림집, 유교건축 및 원림과 누정 형태로 건축되었다.
또, 이러한 건축 구조는 보식, 귀틀식, 천두식, 조적식 및 일체식 등 그 구조가 매우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고 최근에는 한옥다운 멋이 살아나는 대표적인 구조가 보식 건축물이 대표적으로 건축되고 있다.
이러한 보식 건축물은 기둥과 보와 도리 등이 이음과 맞춤에 의해 결구된 건축구조법으로서, 차츰 기둥 간격이 멀어지면서 가로부재를 원활히 받치기 위해 공포나 보아지 등의 부재들이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나는 것처럼 '人'자 모양의 부재들을 조합해 트러스 구조를 만들기도 했다.
또, 받침목 성격을 갖는 첨차를 여러 층 쌓아 만든 것으로 조적조와 같이 횡력에는 약할 수 있어, 내부에 고주를 세우고 여기에 두터운 보를 바로 걸어 구조적 보강을 하면서 지금과 같은 구조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한국의 전통 한옥의 시공방법은 건축하고자 하는 터를 조성한 후 주춧돌을 세우고, 그 주춧돌 위에 기둥을 수직으로 세워 설치하며, 그 기둥 위에는 대들보와 중간보를 가로 세로방향으로 교차시키는 상태로 골조를 설치하여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구조에서 주춧돌과 기둥사이의 공간에 마루 및 온돌이 구비되는 방바닥을 형성하며, 그 기둥과 기둥 그리고 중간보 사이의 공간을 흙벽돌 또는 창문 문틀 소재로 막아 벽을 형성하여 방을 형성하거나 마루 등을 구획하고,
대들보와 중간보위에는 서까래를 설치하고 그 위에 다양한 기와를 사용하여
팔작지붕, 우진각지붕, 맞배지붕형태로 시공된 한옥지붕 기와를 형성한다,
이러한 한옥지붕 기와의 구조는 기둥 위에 보와 도리를 걸고 보 위에 동자주와 대공을 세워서 그 위에 중도리와 종도리를 설치하여 서까래를 걸고, 그 서까래 위에 개판을 덮거나 산자를 엮어 덮고 알매흙을 깔아 암기와, 수키와, 암막새, 숫막새, 착고, 망와 및 적새 등으로 처마와 용마루, 내림마루 및 추녀마루를 적층하여 시공하고 있다.
이러한 내진 및 경량 구조를 갖는 한옥지붕 기와에 관련된 다양한 형태의 선행기술이 공지되어 현재 사용중이거나 공개되어 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085007호(공고일자 : 2011.11.21.)에서는 “지면에 설치되어 측면구조물을 이루는 벽체와, 상기 벽체에 대응되는 규격으로 축조되되, 목재로 이루어진 보, 도리, 마루, 서까래를 포함하는 한옥형의 지붕틀과, 상기 지붕틀의 상부에 시공되는 한옥기와가 일체형으로 축조되는 한옥지붕체와, 중장비를 이용하여 상기 한옥지붕체를 상기 벽체의 상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한옥지붕체가 상기 벽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비된 지붕결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지붕결합수단은 상기 벽체의 적어도 어느 일측 상단부에 설치된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와 수직한 방향으로 대응되는 방향의 상기 한옥지붕체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부에 형성된 레일홈에 끼워지는 상부삽입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 한옥지붕을 갖는 건축 구조물”이 있고,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286278호(공고일자 : 2013.07.15.)에서는 “건축물에 구비된 한옥지붕구조로서, 상기 건축물의 상부에 구비되며, 철근 콘크리트로 만들어지고 경사진 형상의 콘크리트 경사지붕부; 상기 콘크리트 경사지붕부에 수평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구비된 다수의 서까래로서, 각각의 서까래는 상기 콘크리트 경사지붕부의 경사진 ?향으로 길게 배치되되 그 상부는 상기 콘크리트 경사지붕부에 위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그 나머지 하부는 상기 콘크리트 경사지붕부를 벗어나 연장 형성된 나무 재질인 서까래;및 상기 각각의 서까래를 상기 콘크리트 경사지붕부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콘크리트 경사지붕부에 고정된 고정지지부와, 상기 각 서까래를 감싸며 상기 고정지지부에 고정된 와이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옥지붕구조”가 있으며,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2063860호(공고일자 : 2020.01.08.) “써까래에 의해 지지되는 것으로, 개판, 평고대, 연함, 암키와, 수키와를 포함하는 한옥의 기와지붕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개판의 표면에 부착되어 상기 개판으로 수분의 유입을 방지하는 방수시트와; 상기 방수시트에 부착되어 난연 성질을 갖는 난연시트와; 상기 난연시트의 상부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호 이격되어 다수 구비되는 세로상부재와; 상기 세로상부재의 상면에 가로방향으로 놓이고 상기 세로상부재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호 이격되어 다수 구비되는 가로상부재와; 상기 난연시트와 상기 가로상부재의 사이에 형성된 소정 공간에 분사되어 채워지고 경화되는 우레탄 발포액과;상기 난연시트의 상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우레탄 발포액과 접촉되는 표면에 다수의 빗살이 돌출되어 상기 우레탄 발포액의 경화시 상기 우레탄 발포액에 침투되어 함께 고정됨으로써 상기 난연시트와 우레탄 발포액과의 접착력을 높이고 긴밀하게 밀착시키는 빗살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암키와는 상기 가로상부재에 놓이며, 상기 암키와를 관통하여 상기 가로상부재에 고정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설치되고, 상기 수키와는 인접하는 상기 암키와의 가장자리를 덮도록 놓이며, 상기 수키와를 관통하여 상기 가로상부재에 고정되는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설치되고, 상기 암키와 및 상기 수키와는 중앙부가 볼록한 호형상으로 구부러진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암키와는 상기 가로상부재에 놓이는 볼록한 외면의 상단에 상기 가로상부재가 끼워져 고정되는 인입홈이 형성되고, 볼록한 외면의 하단에는 연이어 설치되는 상기 암키와와 포개어지는 부분에 걸리도록 돌출된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연이어 설치되는 상기 암키와와 포개어지는 부분인 상기 암키와의 오목한 내면의 상단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인입되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고, 연이어 설치되는 상기 암키와의 포개어지는 부분으로 상기 암키와의 상단인 상기 인입홈 및 상기 걸림홈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되어 끼워지는 체결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암키와의 오목한 내면의 양측에는 연접하는 상기 암키와의 오목한 내면의 좌/우측을 덮으며 놓이는 상기 수키와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수키와의 좌/우측단이 걸리도록 돌출된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키와는 볼록한 외면의 상단에 연이어 설치되는 상기 수키와의 오목한 내면의 하단과 포개어지도록 턱이져있으며, 턱이진 볼록한 외면의 상단에는 돌출된 연결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오목한 내면의 하단에는 상기 연결돌기가 인입되는 연결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연이어 설치되는 상기 수키와의 포개어지는 부분으로 상기 수키와의 상단인 상기 연결돌기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되어 끼워지는 연결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의 기와지붕 구조”가 있고,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2084972호(공고일자 : 2020.03.05.) “한옥 지붕의 마루 골조에 탈착될 수 있도록 마련된 제1단부재; 상기 제1단부재의 상방으로 탈착수단을 통해 한 개 이상 적층 결합되며, 일측 또는 양측에 기와가 고정되는 매개수단인 결속부재가 설치되고, 맨 상단의 중앙에는 적새기와가 고정되는 고정부재가 설치된 고정프레임; 상기 맨 상단의 적새기와를 통과하여 상기 고정부재에 체결되어 적새기와를 고정부재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단부재와 고정프레임은 한옥 지붕의 마루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 설치되며, 상기 고정프레임은, 탈착수단을 통해 상기 제1단부재의 상부에 탈착될 수 있도록 마련되되 상기 탈착수단은 제1단부재와의 간격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마련된 제2단부재; 탈착수단을 통해 상기 제2단부재의 상부에 타착될 수 있도록 마련되되 상기 탈착수단은 제2단부재와의 간격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마련된 제3단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단부재 및 제3단부재의 양측에는 받침프레임이 마련되고, 상기 결속부재는 지붕의 마루 길이 방향으로 상기 받침프레임을 따라 고정된 복수의 다각부재로 제공되되, 상기 다각부재는 목재로 제공되어 받침프레임에 스크류를 통해 고정되고, 한옥 지붕에는 바닥기와가 시공되고, 상기 바닥기와 및 적새기와는 각각, 서로 상,하로 중첩되어 시공되며, 서로 중첩된 부위의 양측에는 슬립방지돌부 및 슬립방지돌부가 삽입되는 슬립방지홈이 형성되어 기와의 너비 방향으로 기와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슬립방지돌부 사이에는 바닥기와의 단부로부터 바닥기와의 길이 방향으로 스토퍼돌부가 형성되되 상기 스토퍼돌부는 바닥기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이웃하는 바닥기와와의 상,하 중첩시 이웃하는 바닥기와의 단부가 상기 스토퍼돌부의 단부에 간섭되도록 하여 바닥기와의 상,하 중첩 위치를 용이하게 가이드해줄 수 있으며, 상기 바닥기와의 너비방향으로 이웃하는 바닥기와를 결속하는 결속클립이 더 제공되고, 상기 결속클립은 채널형태로 제공되며 결속클립의 양측은 이웃하는 바닥기와의 슬립방지홈에 각각 끼움 결합되며, 상기 받침프레임은 결속부재에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향 개구된 채널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의 지붕 내진 구조”가 알려지고 있다.
삭제
상기와 같이 내진 및 경량 구조를 갖는 한옥지붕 기와에 관련 선행기술들이 공지되어 있으나,
상기 등록특허공보 제10-1085007호에서는 한옥형 건축물의 신축 또는 개축을 위한 시공에 있어서, 벽체와 지붕이 착탈 가능한 구조로 별도로 구성되어 기존 벽체의 손상 시 중장비를 이용하여 한옥지붕을 별도로 분리한 후 벽체를 신축 또는 개축하고, 그 상부로 한옥지붕을 재결합하여 한옥형 구조물의 일부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옥형 건축물 시공에 소모되는 인력과 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시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한옥형 건축물의 효율적인 유지 보수 및 관리가 용이한 전통 한옥지붕을 갖는 건축 구조물 제공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탈부착형태로 한옥지붕 전체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기능이 부여될 뿐 지진에 기와들 간의 이탈이나 흔들림에 대한 개선구조가 부재하고 재사용 따른 기와지붕의 균열과 흔들림에 의한 파손에 대한 문제점이 있고, 내진과 관련된 한옥지붕 기와 구조들이 없어 외부환경에 의해 기와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등록특허공보 제10-1286278호에서는 현대건축의 철근콘크리트구조에 전통한옥구조 지붕을 구비할 수 있도록, 철근콘크리트 지붕구조에 외부로 돌출되는 서까래를 결합시키는 구조를 개선하여, 건축구조적 측면에서 안전성을 높이면서도, 지붕외관은 기존 한옥구조와 동일한 구조로 만들어, 한옥구조 지붕 시공시 감당해야 하는 높은 공사비, 누수 등 여러 문제점을 개선하고, 자연친화적이고 미려한 한옥지붕구조를 제공하는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콘크리트 경사지붕에 외측으로 별도의 서까래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고정시키는 구조는 별도 작업공정이 추가되는 문제점이 있고, 추가작업에 따른 한옥지붕 기와 전체 무게를 줄이 수 없는 구조로 되어 내진에 대한 흔들림에 대한 보강구조가 없는 문제점이 있다.
삭제
상기 등록특허공보 제10-2063860호에서는 한옥지붕기와의 하중을 감소시키고, 단열성, 난연성 및 방수가 우수하며, 지진에 의해 기와가 떨어지지 않으며, 시공이 간편하고 시공비용이 저렴한 한옥지붕 기와 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통상적인 걸림고정수단에 의해 체결 고정된 암기와 수키와는 외부 지진에 대한 내진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또 내진에 대한 암기와 수키와에 대한 체결구조가 견고하지 못해 장기간 사용에 대한 내진성능을 확보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63632호에서는 한옥지붕의 마루에 철골 구조물을 설치하여 기와를 건식 타입으로 시공함으로써, 기와 설치 강성을 높여 내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한옥의 지붕 내진 및 경량 구조를 제공 및 한옥 지붕의 기와에 슬립방지돌부 및 슬립방지홈을 형성하여 서로 결합된 상태로 중첩 시공함으로써, 지진 밑 외력에 의한 진동 발생시 기와가 낙하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한 한옥의 지붕 내진 및 경량 구조를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기존 기와에 별도의 구멍을 천공하여 클램프형태로 고정시키는 구조를 별도로 설치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고, 이에 따른 제조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기존 한옥지붕 기와에는 적용하기 위해 별도의 구조를 재설치 해야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상기 종래 문헌들에서는 한옥지붕 기와의 양측 테두리 라운드형태의 현수곡선부의 저경사부에 대한 경량 및 내진에 대해 보완해 줄 수 있는 기와구조가 없어 단순히 작업자의 감으로 인위적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중첩되는 형태의 구조를 가지게 되어 암기와의 사용량이 증가하고 경량화 대지 못해 장기간 사용과 지진에 취약한 현수곡선부의 저경사부에 대한 개선안이 공통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문헌1·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085007호(공고일자 : 2011.11.21.) 문헌2·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286278호(공고일자 : 2013.07.15.) 문헌3·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2063860호(공고일자 : 2020.01.08.) 문헌4·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2084972호(공고일자 : 2020.03.05.)
없음
본 발명은 상기 지적과 같은 종래의 제반결점을 해소하고 한옥지붕 기와의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각 기와들간의 체결성을 높일 수 있는 내외부 체결결합구조에 의한 강력한 체결성능을 높여 내진성능을 높이고 전체 한옥지붕 기와에 사용되는 전체기와의 사용 중량을 20~40%로 경량화시킬 수 있도록 적층체결구조를 구비하여 내진성, 체결성 및 경량화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구비하고,
또, 상기 적층체결구조에는 한옥지붕 기와 특성상 직선 또는 완만한 라운드 면을 형성하는 바닥면의 상측에 적층되는 기와들 중에서 암기와를 선택적으로 적재적소에 맞도록 시공하여 암기와 사용 수량 감소 및 시공비 절감에 의한 원가절감 효과를 높이고, 현수곡선부 또는 저경사부에 선택적으로 신한옥암기와 및 내진암기와를 시공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시공방식에 따라 건식 또는 습식에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신한옥암기와및 내진암기와를 구비하여 다양한 시공환경에 맞도록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 한옥지붕 기와에 사용되는 다양한 기와의 경량화를 통해 한옥지붕에 가해지는 전체 하중을 경량화시킬 수 있도록 하여 내진 및 경량화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내진 및 경량 구조를 갖는 한옥지붕 기와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대들보와 중간보위에는 서까래를 설치하고 그 위에 다양한 기와를 사용하여 팔작지붕, 우진각지붕, 맞배지붕형태로 한옥지붕 기와 시공을 위한 바닥면을 구비하고, 상기 각 바닥면에는 외측 하단부 또는 편측으로 수평 또는 완만한 곡면형상의 현수곡선부를 구비하며, 상기 각 바닥면이 서로 만나는 경계면에는 완만한 곡면형상의 경사각을 형성한 물매를 형성하는 저경사부를 구비하여 그 바닥면, 현수곡선부 및 저경사부의 상면에 시공되는 한옥지붕 기와에 있어서, 상기 한옥지붕 기와 전체하중을 감소시키고 지진에 의한 외부충격에도 내진성과 체결성을 높이고 경량화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적층체결구조를 구비한다.
상기 적층체결구조는 바닥면 상면에는 습식공법 또는 건식공법에 따라 고정설치되는 수개의 신한옥암기와를 구비하고, 상기 바닥면의 일측 또는 타측에는 현수곡선부와 저경사부를 구비하며, 상기 현수곡선부와 저경사부에는 완만한 곡선 또는 경사면에 외부에서 보여지는 미관표현을 높이고 중첩부위 밀착도가 높여 들뜸에 의한 누수를 방지하는 내진암기와를 구비하고,
상기 신한옥암기와 및 내진암기와는 서로 중첩되어 포개어지는 상기 신한옥암기와에는 외측 끝단 하단턱이 다른 신한옥암기와의 암기와받침턱에 서로 걸림지지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내진암기와의 하턱은 상기 다른 내진암기와의 양측 지지턱에 걸림고정되도록 구비하며, 상기 신한옥암기와와 내진암기와는 서로 중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구비한 것과,
상기 신한옥암기와 또는 내진암기와의 외측 끝단에는 내진암막새의 걸림지지턱에 걸림지지 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서로 혼합되어 시공된 신한옥암기와 및 내진암기와의 상면에는 내진수키와를 세로방향으로 적층지지 되도록 구비하되, 그 외측 끝단에는 내진숫막새가 고정지지되도록 구비한 것과,
상기 한옥지붕 기와의 상측에는 내진암기와를 다단으로 수평 또는 완만한 곡선으로 형태로 적층된 고랑을 구비하되, 그 고랑의 전·후측 하단부에는 마감용 착고를 구비하고, 상기 내진암기와 상측에는 내진수키와를 수평 또는 완만한 곡선으로 구비하되, 그 양측에는 망와로 갖는 용마루를 구비한 것과,
상기 용마루의 양측 끝단 바닥면이 만나는 경계면 상측에는 내진암기와를 다단으로 적층시공하고, 상기 내진암기와 상측에는 내진수키와를 수직으로 구비하되, 그 끝단에는 망와를 갖는 내림마루를 구비한 것과,
상기 각 내림마루의 양측 끝단 저경사부에는 내진암기와를 다단으로 적층시공하고, 상기 적층 된 내진암기와 상측에는 내진수키와를 구비하되, 그 외측 끝단에는 망와로 이루어진 추녀마루가 구비한다.
상기 적층체결구조는 지붕에 흙을 얹어 시공되는 습식공법과, 흙을 사용하지 않고 목재로 지붕의 물매를 잡아 시공하는 건식공법에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구비한 것과,
상기 내진암기와 및 내진 신한옥암기와를 3:7 또는 4:6 비율로 팔작지붕, 우진각지붕 및 맞배지붕에 혼합시공할 수 있도록 구비한 것과,
내진 신한옥암기와는 점토를 성형하고 이를 소성시켜서 상부 중앙에 각재 고정용 못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못구멍의 상면은 외곽 테두리 세변에 단턱 형태로 돌출되는 빗물유입방지턱을 구비하고, 상기 빗물유입방지턱의 중앙에는 암기와를 적층시켜서 이동할 때 유격을 해소할 수 있도록 돌턱삽입홈을 양측으로 구비하며, 상기 돌턱삽입홈의 아래측 못구멍 양측에는 수평지지편을 구비하고, 상기 상면의 반대측 저면은 길이방향 외곽 양변에는 수직절개면을 형성한 테두리를 구비하며, 상기 테두리 양변 상단 중심에는 각재 걸림용 돌턱을 하나 이상 수평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구비하되, 그 양측 끝단에는 걸림블럭을 구비하며, 상기 돌턱 아래측에는 볼록표면에 각재걸림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각재걸림공간의 하측에는 음각홈과 돌출홈이 구비된 고정돌기부를 구비하고, 고정돌기부 편측에는 수평적재간격유지턱을 구비하며, 상기 수평적재간격유지턱의 하측에는 수평으로 개방면을 구비하되, 그 아래측 양측에는 이격편을 형성한 밀림방지편을 구비한 것과,
상기 내진암기와는 점토를 성형하고 이를 소성시켜서 오복부와 볼록부 형태의 굴곡형상을 갖는 몸체을 구비하되, 상기 몸체의 상측 중앙에는 고정을 위한 위치고정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몸체의 오목부에는 그 하단 양측으로 지지턱을 구비하되, 그 하단 양측으로 지지턱을 구비하되, 그 반대 측 볼록부에는 경량화홈을 구비한 것과,
상기 내진수키와는 반호 형상의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편측에는 단부를 구비하되, 그 내측으로 반원형 음각요입부을 구비하며, 상기 음각요입부의 중앙 하측에는 수용홈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의 반대측 타측에는 층이 져 나온 반호형 미구를 구비하되, 그 중심에는 사각형상으로 중앙에 구멍이 천공되어 돌출되는 못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와 미구 사이에는 다른 수키와를 이기 위한 수키와의 위쪽 턱과 그 턱에 다른 수키와의 아래쪽 끝을 물려서 연결되어 맞물리도록 하는 언강을 구비하며, 상기 미구와 언강이 접하는 위치에 본체의 못구멍을 수용하는 요입부로 구비한 것과,
상기 내진암막새는 점토를 성형하고 이를 소성시켜서 음각라운드부와 양각라운드부 형태를 갖는 바디를 구비하되, 상기 바디의 편측 중앙 상면에는 고정홀을 구비하고, 상기 바디의 음각라운드부에는 그 중심 양측으로 걸림지지턱을 구비하되, 그 편측에는 외측으로 문양이 형성되는 문양표시마감판을 경사지게 구비한 것과,
상기 내진숫막새는 반호 형상의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내측중심에는 반원형 음각요입부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의 편측에는 외측으로 문양이 형성되는 문양마감판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반대측 타측에는 층이 져 나온 반호형 미구를 구비하되, 그 중심에는 사각형상으로 중앙에 구멍이 천공되어 돌출되는 못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와 미구 사이에는 상기 내진수키와의 수용홈에 맞물리도록 요입부와 언강을 구비한 것과,
상기 착고는 반호 형상의 커버체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체의 하측에는 양측에 음각원형홈을 구비한 것과,
상기 내진 신한옥암기와는 상기 상면과 저면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적용시켜 구비한 것과,
상기 내진 신한옥암기와의 수평지지편의 아래측에는, 암기와 오목 표면에 수평 길이방향으로 암기와를 중첩될때 지지될 수 있는 암기와받침턱을 구비한 것과,
상기 내진 신한옥암기와의 암기와받침턱의 아래측에는 빗물흐름을 느리게하여 낙수가 튀지 않게하고, 수평으로 단턱을 구비하여 시공시에는 암기와가 적층시공 된 것처럼 형성되는 반원형 형태 이단적층표시부를 구비한 것과,
상기 내진암기와는 오목부의 내면 양측으로 삽입홈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고정핀을 구비하되, 상기 고정핀에 일체로 탈부착형 위치조절핀을 선택적으로 구비한 것과,
상기 망와는 점토를 성형하고 이를 소성시켜서 음각라운드부와 양각라운드부 형태를 갖는 바디를 구비하고, 상기 바디의 편측에는 상측으로 경사지는 문양이 형성되는 문양표시마감판을 경사지게 구비한것과,
상기 걸림블럭에는 내진에 내부지지력을 높일 수 있도록 음각형태의 삼각 또는 반원형 흔들림방지홈을 선택적으로 구비한 것과,
상기 이격편에는 내진에 내부지지력을 높일 수 있도록 음각 또는 양각 형태의 방지편를 선택적으로 구비한 것과,
상기 돌출홈에는 한옥지붕의 전체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고 제품 경량화를 높일 수 있는 경량홈부를 상기 저면에 하나 이상 선택적으로 구비한 것과,
상기 내진암막새의 양각라운드부에는 한옥지붕의 전체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고 제품 경량화를 높일 수 있는 음각홈부를 선택적으로 구비한 것과,
상기 내진수키와의 수용홈의 후단에는 한옥지붕의 전체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고 제품 경량화를 높일 수 있는 경량음각홈를 선택적으로 구비한 것과,
상기 내진숫막새의 음각요입부에는 한옥지붕의 전체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고 제품 경량화를 높일 수 있는 무게감소홈을 선택적으로 구비한다.
상기 본 발명의 내진 및 경량 구조를 갖는 한옥지붕 기와은 적층체결구조에 의해 지진에 각 기와들 간의 이탈이나 흔들림에 대한 체결 및 지지의 연결 구조가 개선되는 이점이 있고,
또, 각 바닥면을 따라 구비하는 현수곡선부와 저경사부에는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신한옥암기와 및 내진암기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외관이 자연스러우면서도 전체지붕에 설치되는 기와의 경량화 및 내진화를 통해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또, 상기 신한옥암기와 사용에 따른 신한옥암기와 및 내진암기와 사용매수저감에 따른 원재료비 및 시공비 절감효과가 있고,
또한, 신한옥암기와 및 내진암기와를 혼용하여 건식 또는 습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또, 기존 전통은 그대로 살리면서 쉽고 간편하게 주력기와인 암기와들을 정밀하게 중첩 고정시킬 수 있는 간편한 구조를 가질 수 있어 시공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는 등 그 기대하는 바가 실로 다대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상태의 개념을 나타낸 예시도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신한옥암기와의 바람직한 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내진암기와의 바람직한 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내진암기와의 응용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내진수키와의 바람직한 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8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내진암막새의 바람직한 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1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내진숫막새의 바람직한 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3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착고의 바람직한 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5 내지 도 26은 본 발명의 망와의 바람직한 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임.
본 발명의 내진 및 경량 구조를 갖는 한옥지붕 기와는 도 1 내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들보와 중간보위에는 서까래를 설치하고 그 위에 다양한 기와를 사용하여 팔작지붕, 우진각지붕, 맞배지붕형태로 한옥지붕(R) 시공을 위한 바닥면(B-1)을 구비하고, 상기 각 바닥면(B-1)에는 외측 하단부 또는 편측으로 수평 또는 완만한 곡면형상의 현수곡선부(B-2)를 구비하며, 상기 각 바닥면(B-1)이 서로 만나는 경계면에는 완만한 곡면형상의 경사각을 형성한 물매를 형성하는 저경사부(B-3)를 구비하여 그 바닥면(B-1), 현수곡선부(B-2) 및 저경사부(B-3)의 상면에 시공되는 한옥지붕 기와에 있어서,
상기 한옥지붕(R) 전체하중을 감소시키고 지진에 의한 외부충격에도 내진성과 체결성을 높이고 경량화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적층체결구조(A)을 구비한다.
도 1 내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층체결구조(A)는,
바닥면(B-1) 상면에는 습식공법 또는 건식공법에 따라 고정설치되는 수개의 신한옥암기와(1)를 구비하고,
상기 바닥면(B-1)의 일측 또는 타측에는 현수곡선부(B-2)와 저경사부(B-3)를 구비하며,
상기 현수곡선부(B-2)와 저경사부(B-3)에는 완만한 곡선 또는 경사면에 외부에서 보여지는 미관표현을 높이고 중첩부위 밀착도가 높여 들뜸에 의한 누수를 방지하는 내진암기와(2)를 구비하고,
도 5 내지 도 9 또는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한옥암기와(1) 및 내진암기와(2)는,
서로 중첩되어 포개어지는 상기 신한옥암기와(1)에는 외측 끝단 하단턱(195)이 다른 신한옥암기와(1)의 암기와받침턱(102)(102a)에 서로 걸림지지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내진암기와(2)의 하턱(295)은 상기 다른 내진암기와(2)의 양측 지지턱(211)에 걸림고정되도록 구비하며,
상기 신한옥암기와(1) 및 내진암기와(2)는 서로 중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구비한 것과,
도 17 또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한옥암기와(1) 또는 내진암기와(2)의 외측 끝단에는 내진암막새(4)의 걸림지지턱(403)에 걸림지지 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서로 혼합되어 시공된 신한옥암기와(1) 및 내진암기와(2)의 상면에는 내진수키와(3)를 세로방향으로 적층지지 되도록 구비하되, 그 외측 끝단에는 내진숫막새(5)가 고정지지되도록 구비한 것과,
도 17 또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옥지붕(R)의 상측에는 내진암기와(2)를 다단으로 수평 또는 완만한 곡선으로 형태로 적층된 고랑을 구비하되, 그 고랑의 전·후측 하단부에는 마감용 착고(6)를 구비하고, 상기 내진암기와(2) 상측에는 내진수키와(3-1)를 수평 또는 완만한 곡선으로 구비하되, 그 양측에는 망와(7)로 갖는 용마루(8)를 구비한 것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마루(8)의 양측 끝단 바닥면(B-1)이 만나는 경계면 상측에는 내진암기와(2)를 다단으로 적층시공하고, 상기 내진암기와(2) 상측에는 내진수키와(3-1)를 수직으로 구비하되, 그 끝단에는 망와(7)를 갖는 내림마루(9)를 구비한 것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내림마루(9)의 양측 끝단 저경사부(B-3)에는 내진암기와(2)를 다단으로 적층시공하고, 상기 적층 된 내진암기와(2) 상측에는 내진수키와(3-1)를 구비하되, 그 외측 끝단에는 망와(7)로 이루어진 추녀마루(1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현수곡선부(B-2)와 저경사부(B-3)에는,
비중을 많이 차지하는 신한옥암기와(1)의 중첩사용시 유효면적이 넓어 특히 저경사부(B-3)에서는 완만한 곡선을 표현과 앞 뒷장의 중첩부위 밀착도가 떨어져 들뜸에 의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내진암기와(2)를 구비할 수 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층체결구조(A)는,
지붕에 흙을 얹어 시공되는 습식공법과, 흙을 사용하지 않고 목재로 지붕의 물매를 잡아 시공하는 건식공법에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비하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옥지붕(R)에는,
내진암기와(2)와 내진 신한옥암기와(1)를 3:7 또는 4:6 비율로 팔작지붕, 우진각지붕 및 맞배지붕에 혼합시공할 수 있도록 구비하고,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진 신한옥암기와(1)는,
점토를 성형하고 이를 소성시켜서 상부 중앙에 각재 고정용 못구멍(151)을 구비하고,
상기 못구멍(151)의 상면(U)은 외곽 테두리 세변에 단턱 형태로 돌출되는 빗물유입방지턱(110)(110-1)(110-2)을 구비하고,
상기 빗물유입방지턱(110)의 중앙에는 암기와를 적층시켜서 이동할 때 유격을 해소할 수 있도록 돌턱삽입홈(101)을 양측으로 구비하며,
상기 돌턱삽입홈(101)의 아래측 못구멍(151) 양측에는 수평지지편(120)을 구비한 것과,
상기 상면(U)의 반대측 저면(D)은 길이방향 외곽 양변에는 수직절개면(161)을 형성한 테두리(162)를 구비하고,
상기 테두리(162) 양변 상단 중심에는 각재 걸림용 돌턱(163)을 하나 이상 수평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구비하되, 그 양측 끝단에는 걸림블럭(163-1)을 구비하며,
상기 돌턱(163) 아래측에는 볼록표면(D-1)에 각재걸림공간(164)을 구비하고,
상기 각재걸림공간(164)의 하측에는 음각홈(165)과 돌출홈(166)이 구비된 고정돌기부(167)를 구비하며,
고정돌기부(167) 편측에는 수평적재간격유지턱(168)을 구비하고,
상기 수평적재간격유지턱(168)의 하측에는 수평으로 개방면(169)(169-1)을 구비하되, 그 아래측 양측에는 이격편(171)(172)을 형성한 밀림방지편(170)을 구비하며,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진암기와(2)는,
점토를 성형하고 이를 소성시켜서 오복부(210)와 볼록부(220) 형태의 굴곡형상을 갖는 몸체(200)을 구비하되, 상기 몸체(200)의 상측 중앙에는 고정을 위한 위치고정구멍(200a)을 구비하고,
상기 몸체(200)의 오목부(210)에는 그 하단 양측으로 지지턱(211)을 구비하되, 그 하단 양측으로 지지턱(211)을 구비하되, 그 반대 측 볼록부(220)에는 경량화홈(220-1)을 구비하며,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진수키와(3)는,
반호 형상의 본체(301)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301)의 편측에는 단부(311)를 구비하되, 그 내측으로 반원형 음각요입부(312)을 구비하며,
상기 음각요입부(312)의 중앙 하측에는 수용홈(314)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301)의 반대측 타측에는 층이 져 나온 반호형 미구(321)를 구비하되, 그 중심에는 사각형상으로 중앙에 구멍이 천공되어 돌출되는 못구멍(322)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301)와 미구(321) 사이에는 다른 수키와를 이기 위한 수키와의 위쪽 턱과 그 턱에 다른 수키와의 아래쪽 끝을 물려서 연결되어 맞물리도록 하는 언강(323)을 구비하며,
상기 미구(321)와 언강(323)이 접하는 위치에 본체(301)의 못구멍(322)을 수용하는 요입부(324)로 구비하며,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진암막새(4)는,
점토를 성형하고 이를 소성시켜서 음각라운드부(402)와 양각라운드부(404) 형태를 갖는 바디(401)를 구비하되, 상기 바디의 편측 중앙 상면에는 고정홀(409)을 구비하고,
상기 바디(401)의 음각라운드부(402)에는 그 중심 양측으로 걸림지지턱(403)을 구비하되, 그 편측에는 외측으로 문양이 형성되는 문양표시마감판(410)을 경사지게 구비하고,
도 21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진숫막새(5)는,
반호 형상의 본체(501)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501)의 내측중심에는 반원형 음각요입부(512)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501)의 편측에는 외측으로 문양이 형성되는 문양마감판(530)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501)의 반대측 타측에는 층이 져 나온 반호형 미구(521)를 구비하되, 그 중심에는 사각형상으로 중앙에 구멍이 천공되어 돌출되는 못구멍(522)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501)와 미구(521) 사이에는 상기 내진수키와(3)의 수용홈(314)에 맞물리도록 요입부(524)와 언강(523)을 구비하며,
도 23 내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고(6)는,
반호 형상의 커버체(601)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체(601)의 하측에는 양측에 음각원형홈(602)을 구비하고,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진 신한옥암기와(1)는,
상기 상면(U)과 저면(D)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적용시켜 구비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진 신한옥암기와(1)의 수평지지편(120)의 아래측에는,
암기와(1) 오목 표면(U-1)에 수평 길이방향으로 암기와(1)를 중첩될 때 지지될 수 있는 암기와받침턱(102)(102a)과,
빗물흐름을 느리게하여 낙수가 튀지 않게하고, 수평으로 단턱(103a)을 구비하여 시공시에는 암기와(1)가 적층시공 된 것처럼 형성되는 반원형 형태 이단적층표시부(103)를 구비하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진암기와(2)는,
오목부(210)의 내면 양측으로 삽입홈(210-1)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홈(210-1)에 삽입되는 고정핀(211-2)을 구비하되, 상기 고정핀(211-2)에 일체로 탈부착형 위치조절핀(211-1)을 선택적으로 구비하며,
도 25 내지 도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망와(7)는,
점토를 성형하고 이를 소성시켜서 음각라운드부(702)와 양각라운드부(704) 형태를 갖는 바디(701)를 구비하고,
상기 바디(701)의 편측에는 상측으로 경사지는 문양이 형성되는 문양표시마감판(710)을 경사지게 구비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블럭(163-1)에는,
내진에 내부지지력을 높일 수 있도록 음각형태의 삼각 또는 반원형 흔들림방지홈(163-2)을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격편(171)(172)에는,
내진에 내부지지력을 높일 수 있도록 음각 또는 양각 형태의 방지편(170a)(170b)를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홈(166)에는,
한옥지붕(R)의 전체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고 제품 경량화를 높일 수 있는 경량홈부(180)를 상기 저면(D)에 하나 이상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진암막새(4)의 양각라운드부(404)에는,
한옥지붕(R)의 전체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고 제품 경량화를 높일 수 있는 음각홈부(404a)를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고,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진수키와(3)의 수용홈(314)의 후단에는,
한옥지붕(R)의 전체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고 제품 경량화를 높일 수 있는 경량음각홈(319)를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진숫막새(5)의 음각요입부(512)에는,
한옥지붕(R)의 전체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고 제품 경량화를 높일 수 있는 무게감소홈(512a)을 선택적으로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진 및 경량 구조를 갖는 한옥지붕 기와의 각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가 좁고 아래측으로 넓어지는 형태를 갖는 한옥지붕(R) 각 바닥면(B-1)에 흙, 석회석 반죽 및 목재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한옥지붕(R)에는 현수곡선부(B-2)와 경사각을 갖는 물매가 3/10~4/10 범위로 형성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a),(b),(c)와 같이 각 바닥면(B-1)에는 일정한 굴곡 또는 경사각이 없는 부위에는 신한옥암기와(1)를 대부분 적층시공하고, 굴곡 및 경사각이 있는 곳은 특히 양쪽 끝을 고정시키고 중간 부분을 자연스럽게 늘어뜨렸을 때 형성되는 현수곡선부(B-2)와 상기 각 바닥면(B-1)이 만나는 경계면은 경사 또는 완만한 라운드 곡선을 형태의 경사각을 갖는 물매를 형성하는 저경사부(B-3)를 구비하며,
상기 한옥지붕(R)의 경우 외측 끝단부에 경사각을 가지는 물매를 형성하여 그 물매의 형태가 비교적 라운드 곡선 형태가 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현수곡선부(B-2)와 저경사부(B-3)에는 내진암기와(2)를 설치하여 신한옥암기와(1) 및 내진암기와(2)와 같이 전체하중을 감소시키고 지진에 따른 내·외부 내진성과 체결성을 높일 수 있도록 적층체결구조(A)을 구비하여 경량화 및 내진성을 동시에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한옥암기와(1), 내진암기와(2), 내진수키와(3), 내진암막새(4), 내진숫막새(5), 착고(6), 망와(7), 용마루(8), 내림마루(9) 및 추녀마루(10)를 필수적으로 구비하게 되고, 그 외 모서리암기와, 사래기와등 다양한 형태의 기와가 사용될 수 있다.
또, 상기 다양한 종류의 기와를 적층할 때 필수적으로 각 기와의 위치유지 및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한 흙, 석회석반죽 및 목재등을 이용하여 건식 또는 습식공법에 따라 기와를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내용은 공지된 내용이므로 세부적인 제조, 배합 및 유기적인 결합에 따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층체결구조(A)는,
건식 또는 습식공법으로 시공되는 바닥면(B-1), 현수곡선부(B-2) 및 저경사부(B-3)에는 견고하게 고정설치되는 다수개의 신한옥암기와(1)를 구비하여 경량화, 내진성 및 체결성을 높일 수 있도록 구비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옥지붕(R)에 대부분 신한옥암기와(1)를 60%~70%를 사용하여 경량화 및 내진성을 높이도록 시공되고 그 나머지 현수곡선부(B-2) 및 저경사부(B-3)에는 내진암기와(2)를 사용하여 전체적인 외관미감이 자연스럽게 나오도록 사용하며,
상기 신한옥암기와(1) 및 내진암기와(2)의 외측 끝단에는 도 18 내지 도2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진암막새(4)를 설치하여 마감될 수 있도록 구비하되, 상기 내진암막새(4)에 내부에는 경량화를 통해 전체하중을 감소시키도록 시공하고,
도 1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로 맞물려 접촉되는 신한옥암기와(1)의 상면에는 도 21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진수키와(3)를 세로방향으로 각각 고정설치 되도록 구비하되 그 외측 끝단에는 내부 경량화가 이루어진 내진숫막새(5)에 의해 마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시공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옥지붕(R)의 상측에는 경량화가 이루어진 내진암기와(2)를 다단으로 적층한 다음 그 하측으로 전·후측에 착고(6)를 통해 마감이 이루어지도록 시공하고, 상기 착고(6)는 외곽 상기 내진암기와(2)와 한옥지붕(R)의 상부 신한옥암기와(1) 사이 전·후측에 부착되어 마감이 이루어지도록 시공하고,
상기 적층 된 내진암기와(2) 상측에는 경량화된 내진수키와(3-1)를 수평 또는 완만한 곡선으로 구비하되, 그 양측에는 망와(7)로 갖는 용마루(8)를 구비하여 내진성과 체결성을 높이도록 시공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마루(8)의 양측 끝단 바닥면(B-1)이 만나는 경계면 상측에는 내진암기와(2)를 다단으로 적층시공하고, 상기 내진암기와(2) 상측에는 내진수키와(3-1)를 수직으로 구비하되, 그 끝단에는 망와(7)를 갖는 내림마루(9)를 구비할 때 상기 내진암기와(2), 내진수키와(3-1) 및 망와(7)에는 경량화를통해 내진성과 체결성을 높일 수 있도록 시공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내림마루(9)의 양측 끝단 저경사부(B-3)에는 내진성을 높인 내진암기와(2)를 다단으로 적층시공하고, 상기 적층 된 내진암기와(2) 상측에는 내진수키와(3-1)를 경사 또는 완만한 라운드 굴곡형태로 구비하되, 그 외측 끝단에는 망와(7)로 이루어진 추녀마루(10)가 구비하여 경량화, 내진성 및 체결성을 높이도록 시공 한옥지붕(R) 전체 시공 경량화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현수곡선부(B-2)와 저경사부(B-3)에는 신한옥암기와(1)의 다단 적층이 표시될 수 있도록 사용되지만 유효면적이 넓어 저경사부(B-3)에서는 앞 뒷장의 중첩부위 밀착도가 떨어지는 문제로 결합강도약화 및 누수 발생 우려가 있어 내진암기와(2)를 대체시공하여 상기 신한옥암기와(1)의 단점을 극복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외부에서 보여질 때 경사면 형태의 물매를 갖는 저경사부 또는 부드럽게 완만한 굴곡 형태의 현수곡선부로 이루어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부위에따라 내진암기와(2)를 부분적으로 시공하여 외부에서 육안으로 똑같은 기와가 시공되는 것으로 보여지도록 하며,
상기 신한옥암기와(1) 이단적층표시에 의해 넓은 면적에는 한장의 신한옥암기와(1)를 통해 시각적으로 2장의 기와를 사용한 것처럼 시공하여 경량화를 높일 수 있도록 시공하고,
또, 상기 신한옥암기와(1)가 시공되고 저경사부(B-3) 또는 현수곡선부(B-2)에는 이단적층 표시없이 부드럽게 기와의 형태가 나올 수 있게 내진암기와(2)를 시공하며,

또한, 상기 적층체결구조(A)을 통해 지붕에 흙을 얹어 시공되는 습식공법과, 흙을 사용하지 않고 목재로 지붕의 물매를 잡아 시공하는 건식공법에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하여 한옥지붕(R)에 접목시킬 수 있도록 하여 대량생산을 통해 다양한 시공방법에 맞도록 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삭제
상기 건식공법에서는 알매흙이나 홍두께흙을 전혀 사용하지 않으므로 습식시공에 비해 보토만큼의 추가 지붕하중감소효과를 누릴 수 있도록 하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옥지붕(R)에는 전체 시공되는 내진암기와(2) 및 신한옥암기와(1)의 시공 사용비율을 3:7 또는 4:6 비율로 혼합시공할 수 있도록 구비하여 경량화와 내진성을 높일 수 있도록 시공하되, 상기 현숙곡선부(B-2)와 저경사부(B-3)에는 내진암기와(2)를 부분적으로 사용하고,
상기 바닥면(B-1)에는 신한옥암기와(1)를 사용하여 상기 한옥지붕(R)의 전체 시공하중을 경량화, 내진성 및 체결성을 높일 수 있도록 시공하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옥지붕(R)에 신한옥암기와(1)는 건식시공 방법의 경우 각재 걸림용 돌턱(163)을 각재걸림공간(164)을 구비하여 걸림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시공되거나, 습식 시공방법은 상기 고정돌기부(167)에 의해 쉽게 고정되도록 시공하고,
상기 시공된 신한옥암기와(1)는 밀림방지편(170)이 암기와받침턱(102)(102a)에 걸림 고정 지지됨과 동시에 세변이 빗물유입방지턱(110)(110-1)(110-2)에 맞물려져 흔들림 없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신한옥암기와(1)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통상 점토를 주원료로 소성 성형하되, 성형시 못구멍(151)을 통해 건식 또는 습식공법에 따라 바닥면(B-1)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구비한 다음,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한옥암기와(1)가 외부로 노출되는 상면(U)에는 양측 및 상단으로 외곽 테두리 세변이 단턱 형태로 돌출되는 빗물유입방지턱(110)(110-1)(110-2)을 구비하여 경사지게 세로방향으로 중첩시켜서 설치되는 구조에서 빗물이 낙수되어 신한옥암기와(1) 상면(U)에 떨어질 때 상기 외곽에 구비된 빗물유입방지턱(110)(110-1)(110-2)의 단턱 형태의 돌출구조에 방지턱 역활로 인해 빗물이 기와 속으로 튀지 않도록 하고, 그 하측에 하단턱(195)을 구비하여 다른 신한옥암기와(1)의 암기와받침턱(102)(102a)에 서로 걸림지지되도록 구비하고,
또, 상기 신한옥암기와(1)의 상면(U) 상단에는 빗물유입방지턱(110)의 중앙에는 돌턱삽입홈(101)을 양측에 구비하여 신한옥암기와(1)를 대량으로 운반할 때 상기 걸림용 돌턱(163)을 수용되어 서로 수평으로 적층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상기 돌턱삽입홈(101)의 아래측 양측에는 수평으로 수평지지편(120)은 상기 암기와(1)를 중첩 고정시킬때 상기 암기와 저면(D) 양측에 이격편(171)(172)을 형성한 밀림방지편(170)이 중첩시켜 개방면(169)(169-1)에 고정될 수 있도록 시공되고,
또, 상기 신한옥암기와(1)의 상면(U) 오목 표면(U-1)에는 암기와 받침턱(102)(102a)을 양측에 구비하여 암기와(1)의 저면(D) 하단부가 수평으로 걸림지지 될 수 있도록 하고 규격화하여 상기 신한옥암기와(1)의 적층을 통해 전체 내진암기와(2)의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 신한옥암기와(1)의 저면(D)에는 양측 변에 수직절개면(161)을 형성한 테두리(162)를 구비하여 상기 상면(U)의 빗물유입방지턱(110-1)(110-2)과 견고하게 중첩되어 힘을 분산되도록 하여 신한옥암기와(1)에 시공후 전체적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도록 하며,
상기 각재걸림공간(164)의 하측에는 음각홈(165)과 돌출홈(166)이 구비된 고정돌기부(167)를 구비하여 신한옥암기와(1)가 시공될 때 균열 및 파손 방지와 가로, 세로 이동 및 미끌림이 방지되고 힘을 분산시켜 줄 수 있도록 시공되고,
상기 고정돌기부(167)의 편측에 수평적재간격유지턱(168)를 구비한 신한옥암기와(1)는,
상부(U)가 지면이 보도록 적층시킬 때 상기 돌턱(163)이 돌턱삽입홈(101)에 삽설되어 고정지지됨과 동시에 신한옥암기와(1)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받쳐주어서 적층이 쉽고 안전하게 포개어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돌기부(167)의 하측에는 개방면(169)(169-1)을 구비하여 신한옥암기와(1)의 상면(U) 양측 빗물유입방지턱(110-1)(110-2)이 고정되어 상·하로 중첩된 암기와(1)들은 서로 미세하게 조절하여서 암기와받침턱(102)(102a)에 의해 고정지지될 수 있도록 하고,
또, 암기와받침턱(102)(102a)의 아래측에는 신한옥암기와(1)를 중첩하여 시공한 것처럼 보여질 수 있도록 하고 신한옥암기와(1)의 사용량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조밀하게 보여질 수 있도록 하고 낙수의 흐름을 완만하게 하고 낙수가 튀지 않도록 단턱(103a)을 구비한 반원형 형태의 이단적층표시부(103)를 가질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상기 신한옥암기와(1)를 상면(U)과 저면(D)을 선택적으로 적용시켜 생산할 수 있고,
도 7의 (a), (b), (c)의 상기 이격편(171)(172)에는 내진성을 높이고 걸림지지력을 놓일 수 있는 음각 또는 양각 형태의 방지편(170a)(170b)를 선택적으로 건식 또는 습식공법에 적용하여 견고하게 고정지지 할 수 있도록 구비하고,
도 7의 상기 걸림블럭(163-1)에는 내진에 내부지지력을 높일 수 있도록 음각형태의 삼각 또는 반원형 흔들림방지홈(163-2)을 선택적으로 건식 또는 습식공법에 적용하여 견고하게 고정지지 할 수 있도록 구비하며,
도 7에 도시된 상기 돌출홈(166)에는 한옥지붕(R)의 전체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고 제품 경량화를 높일 수 있는 경량홈부(180)를 상기 저면(D)에 하나 이상 선택적으로 구비하여 제품 경량화 및 경량화에 따른 음각홈에 의해 건식 또는 습식시공시 견고하게 체결지지 되도록 구비하고,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진 신한옥암기와(1)는,
상기 상면(U)과 저면(D)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적용시켜 구비하여 다양한 형태의 신한옥암기와(1)를 제품별로 구성할 수 있도록 구비할 수 있고,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진 신한옥암기와(1)의 수평지지편(120)의 아래 측에는, 암기와(1) 오목 표면(U-1)에 수평 길이방향으로 암기와(1)를 중첩시켜 지지될 수 있는 암기와받침턱(102)(102a)을 구비하여 내진성 및 체결성을 높일 수 있도록 구비하며,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진 신한옥암기와(1)의 암기와받침턱(102)(102a)의 아래측에는, 빗물흐름을 느리게하여 낙수가 튀지 않게하고, 수평으로 단턱(103a)을 구비하여 시공시에는 암기와(1)가 적층시공 된 것처럼 형성되는 반원형 형태 이단적층표시부(103)를 구비하여 빗물 흐름을 느리게 하고 내진성 및 체결성을 높일 수 있도록 구비할 수 있고,
도 11 내지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진암기와(2)는,
점토를 성형하고 이를 소성시켜서 오복부(210)와 볼록부(220) 형태의 굴곡형상을 갖는 몸체(200)을 구비하되, 그 하측에 하턱(295)를 구비하여 중첩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하여 상기 바닥면(B-1), 현수곡선부(B-2) 및 저경사부(B-3)에 선택적으로 시공되도록 하되, 상기 몸체(200)의 상측 중앙에는 위치고정을 위한 위치고정구멍(200a)을 구비하여 건식 또는 습식공법에서 못으로 고정지지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몸체(200)의 오목부(210)에는 그 하단 양측으로 상기 신한옥암기와(1) 또는 내진암기와(2)를 중첩하여 시공할 때 걸림고정을 위한 지지턱(211)을 구비하여 고정되도록 하며,
또, 그 반대측 볼록부(220)의 외면에는 경량화홈(220-1)을 구비하여 시공시 제품의 경량화를 높여 전체 한옥지붕(R)의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진암기와(2)는 오목부(210)의 내면 양측으로 삽입홈(210-1)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홈(210-1)에 삽입되는 고정핀(211-2)을 구비하되, 상기 고정핀(211-2)에 일체로 탈부착형 위치조절핀(211-1)을 구비하여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시공될 수 있고,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진수키와(3)는 반호 형상의 본체(301)를 구비하되 그 편측에는 단부(311)를 구비하고, 그 내측으로 반원형 음각요입부(312)을 구비하여 그 음각요입부(312)에는 상기 신한옥암기와(1), 내진암기와(2)가 서로 맞물리는 중앙 상측에 수직방향으로 시공되도록 하고,
상기 음각요입부(312)의 중앙 하측에는 수용홈(314)을 구비하여 상기 수용홈(314)에 또 다른 내진암기와(2)의 못구멍(322)이 수용되면서 체결고정 되도록 구비하며,
상기 본체(301)의 반대측 타측에는 층이 져 나온 반호형 미구(321)를 구비하되, 그 중심에는 사각형상으로 중앙에 구멍이 천공되어 돌출되는 못구멍(322)을 구비하여 상기 신한옥암기와(1), 내진암기와(2)가 서로 맞물려 시공될때 그 사이에 고정지지할 수 있는 못 형태가 시공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본체(301)와 미구(321) 사이에는 다른 수키와를 이기 위한 수키와의 위쪽 턱과 그 턱에 다른 수키와의 아래쪽 끝을 물려서 연결되어 맞물리도록 하는 언강(323)을 구비하여 서로 견고하게 체결고정 되도록 구비하며,
상기 미구(321)와 언강(323)이 접하는 위치에 본체(301)의 못구멍(322)을 수용하는 요입부(324)로 구비하여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구비하고,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진수키와(3)의 수용홈(314)의 후단에는 한옥지붕(R)의 전체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고 제품 경량화를 높일 수 있는 경량음각홈(319)를 선택적으로 구비하여 한옥지붕(R)이 설치되는 적층체결구조(A)의 기와들의 경량화을 높여 내진성 및 체결성을 높이도록 시공하며,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진암막새(4)는 신한옥암기와(1) 또는 내진암기와(2)의 외측 끝단에 마감형태로 시공되도록 점토를 성형하고 이를 소성시켜서 음각라운드부(402)와 양각라운드부(404) 형태를 갖는 바디(401)를 구비하되, 상기 바디의 편측 중앙 상면에는 고정홀(409)을 구비하여 상기 바닥면(B-1)에 고정설치 되도록 구비하며,
상기 바디(401)의 음각라운드부(402)에는 그 중심 양측으로 걸림지지턱(403)을 구비하여 상기 신한옥암기와(1) 및 내진암기와(2)가 걸림되도록 구비하되, 그 편측에는 외측으로 문양이 형성되는 문양표시마감판(410)을 경사지게 구비하여 다향한 형태의 문양을 제조할 수 있도록 구비하고,
도 2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진암막새(4)의 양각라운드부(404)에는 한옥지붕(R)의 전체 하중을 감소시켜 제품 경량화를 높일 수 있는 음각홈부(404a)를 선택적으로 구비 경량화를 높일 수 있어 내진성 및 체결성을 높일 수 있도록 시공하며,
도 21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진숫막새(5)는 반호 형상의 본체(501)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501)의 내측중심에는 반원형 음각요입부(512)을 구비하여 상기 신한옥암기와(1) 및 내진암기와(2)들이 서로 맞물리는 상측 중앙에 위치하여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본체(501)의 편측에는 외측으로 문양이 형성되는 문양마감판(530)을 구비하여 상기 내진수키와(3)의 외측 마감이 되도록 구비하며,
상기 본체(501)의 반대측 타측에는 층이 져 나온 반호형 미구(521)를 구비하되, 그 중심에는 사각형상으로 중앙에 구멍이 천공되어 돌출되는 못구멍(522)을 구비하여 바닥면(B-1)에 고정설치 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본체(501)와 미구(521) 사이에는 상기 내진수키와(3)의 수용홈(314)에 맞물리도록 요입부(524)와 언강(523)을 구비하여 내진성과 체결성을 높이도록 체결고정 되도록 시공되며,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진숫막새(5)의 음각요입부(512)에는 한옥지붕(R)의 전체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고 제품 경량화를 높일 수 있는 무게감소홈(512a)을 선택적으로 구비하여 경량화를 통해 상기 한옥지붕(R)의 전체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시공되고,
도 23 내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고(6)는 반호 형상의 커버체(601)를 구비하여 상기 한옥지붕(R) 상측 용마루(8)에 전·후측에 마주보도록 수평으로 설치되어 그 상측에 내진암기와(2)가 다단으로 적층될 수 있도록 시공하고, 상기 커버체(601)의 하측에는 양측에 음각원형홈(602)을 선택적으로 구비하여 내진성 및 경량화를 높일 수 있도록 시공하며,
도 25 내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망와(7)는 점토를 성형하고 이를 소성시켜서 음각라운드부(702)와 양각라운드부(704) 형태를 갖는 바디(701)를 구비하여 상기 용마루(8), 내림마루(10) 및 추녀마루의 양측에 마감으로 시공하고, 상기 바디(701)의 외측 편측에는 문양이 형성되는 문양표시마감판(710)을 경사지게 구비하여 시공한다.
A: 적층체결구조 B-1: 바닥면
B-2: 현수곡선부 B-3: 저경사부
D: 저면 D-1: 볼록표면
R: 한옥지붕 기와 U: 상면
1: 신한옥암기와 2: 내진암기와
3,3-1: 내진수키와 4: 내진암막새
5: 내진숫막새 6: 착고
7: 망와 8: 용마루
9: 내림마루 10: 추녀마루
110,110-1,110-2: 빗물유입방지턱 101: 돌턱삽입홈
102,102a: 암기와받침턱 103a: 단턱
103: 이단적층표시부 120: 수평지지편
120: 수평지지편 151: 못구멍
161: 수직절개면 162: 테두리
163: 돌턱 163-1: 걸림블럭
163-2: 흔들림방지홈 164: 각재걸림공간
165: 음각홈 166: 돌출홈
167: 고정돌기부 168: 수평적재간격유지턱
169,169-1: 개방면 171,172: 이격편
170: 밀림방지편 170a,170b:방지편
170: 밀림방지편 180: 경량홈부
200: 몸체 200a: 위치고정구멍
210: 오복부 210: 오목부
210-1: 삽입홈 211: 지지턱
211-2: 고정핀 211-1: 위치조절핀
220: 볼록부 220-1: 경량화홈
301: 본체 311: 단부 312: 음각요입부 314: 수용홈 319: 경량음각홈 321,521: 미구 322,522: 못구멍 323,523: 언강 324,524: 요입부 401: 바디 402: 음각라운드부 403: 걸림지지턱 404: 양각라운드부 404a: 음각홈부 409: 고정홀 410: 문양표시마감판 501: 본체 512: 음각요입부 512a: 무게감소홈 530: 문양마감판 6: 착고 601: 커버체 602: 음각원형홈 7: 망와 701: 바디 702: 음각라운드부 704: 양각라운드부 710: 문양표시마감판

Claims (22)

  1. 대들보와 중간보위에는 서까래를 설치하고 그 위에 다양한 기와를 사용하여
    팔작지붕, 우진각지붕, 맞배지붕형태로 한옥지붕(R) 시공을 위한 바닥면(B-1)을 구비하고, 상기 각 바닥면(B-1)에는 외측 하단부 또는 편측으로 수평 또는 완만한 곡면형상의 현수곡선부(B-2)를 구비하며, 상기 각 바닥면(B-1)이 서로 만나는 경계면에는 완만한 곡면형상의 경사각을 형성한 물매를 형성하는 저경사부(B-3)를 구비하여 그 바닥면(B-1), 현수곡선부(B-2) 및 저경사부(B-3)의 상면에 시공되는 한옥지붕 기와에 있어서,

    상기 한옥지붕(R) 전체하중을 감소시키고 지진에 의한 외부충격에도 내진성과 체결성을 높이고 경량화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적층체결구조(A)을 구비한 것과,
    상기 적층체결구조(A)는,
    바닥면(B-1) 상면에는 습식공법 또는 건식공법에 따라 고정설치되는 수개의 신한옥암기와(1)를 구비하고,
    상기 바닥면(B-1)의 일측 또는 타측에는 현수곡선부(B-2)와 저경사부(B-3)를 구비하며,
    상기 현수곡선부(B-2)와 저경사부(B-3)에는 완만한 곡선 또는 경사면에 외부에서 보여지는 미관표현을 높이고 중첩부위 밀착도가 높여 들뜸에 의한 누수를 방지하는 내진암기와(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내진 및 경량 구조를 갖는 한옥지붕 기와를 특징으로 한 내진 및 경량 구조를 갖는 한옥지붕 기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한옥암기와(1) 및 내진암기와(2)는,
    서로 중첩시켜 포개어지는 상기 신한옥암기와(1)에는 외측 끝단 하단턱(195)이 다른 신한옥암기와(1)의 암기와받침턱(102)(102a)에 서로 걸림지지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내진암기와(2)의 하턱(295)은 상기 다른 내진암기와(2)의 양측 지지턱(211)에 걸림고정되도록 구비하며,
    상기 신한옥암기와(1) 및 내진암기와(2)는 서로 중첩시 지지될 수 있도록 구비한 것과,

    상기 신한옥암기와(1) 또는 내진암기와(2)의 외측 끝단에는 내진암막새(4)의 걸림지지턱(403)에 걸림지지 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서로 혼합되어 시공된 신한옥암기와(1) 및 내진암기와(2)의 상면에는 내진수키와(3)를 세로방향으로 적층지지 되도록 구비하되, 그 외측 끝단에는 내진숫막새(5)가 고정지지되도록 구비한 것과,

    상기 한옥지붕(R)의 상측에는 내진암기와(2)를 다단으로 수평 또는 완만한 곡선으로 형태로 적층된 고랑을 구비하되, 그 고랑의 전·후측 하단부에는 마감용 착고(6)를 구비하고, 상기 내진암기와(2) 상측에는 내진수키와(3-1)를 수평 또는 완만한 곡선으로 구비하되, 그 양측에는 망와(7)로 갖는 용마루(8)를 구비한 것과,

    상기 용마루(8)의 양측 끝단 바닥면(B-1)이 만나는 경계면 상측에는 내진암기와(2)를 다단으로 적층시공하고, 상기 내진암기와(2) 상측에는 내진수키와(3-1)를 수직으로 구비하되, 그 끝단에는 망와(7)를 갖는 내림마루(9)를 구비한 것과,

    상기 각 내림마루(9)의 양측 끝단 저경사부(B-3)에는 내진암기와(2)를 다단으로 적층시공하고, 상기 적층 된 내진암기와(2) 상측에는 내진수키와(3-1)를 구비하되, 그 외측 끝단에는 망와(7)로 이루어진 추녀마루(10)가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내진 및 경량 구조를 갖는 한옥지붕 기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결구조(A)는,
    지붕에 흙을 얹어 시공되는 습식공법과, 흙을 사용하지 않고 목재로 지붕의 물매를 잡아 시공하는 건식공법에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내진 및 경량 구조를 갖는 한옥지붕 기와
  4. 제2항에 있어서,
    내진 신한옥암기와(1)는,
    점토를 성형하고 이를 소성시켜서 상부 중앙에 각재 고정용 못구멍(151)을 구비하고,
    상기 못구멍(151)의 상면(U)은 외곽 테두리 세변에 단턱 형태로 돌출되는 빗물유입방지턱(110)(110-1)(110-2)을 구비하며,
    상기 빗물유입방지턱(110)의 중앙에는 암기와를 적층시켜서 이동할 때 유격을 해소할 수 있도록 돌턱삽입홈(101)을 양측으로 구비하고,
    상기 돌턱삽입홈(101)의 아래측 못구멍(151) 양측에는 수평지지편(120)을 구비한 것과,

    상기 상면(U)의 반대측 저면(D)은 길이방향 외곽 양변에는 수직절개면(161)을 형성한 테두리(162)를 구비하고,
    상기 테두리(162) 양변 상단 중심에는 각재 걸림용 돌턱(163)을 하나 이상 수평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구비하되, 그 양측 끝단에는 걸림블럭(163-1)을 구비하며,
    상기 돌턱(163) 아래측에는 볼록표면(D-1)에 각재걸림공간(164)을 구비하고,
    상기 각재걸림공간(164)의 하측에는 음각홈(165)과 돌출홈(166)이 구비된 고정돌기부(167)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돌기부(167) 편측에는 수평적재간격유지턱(168)을 구비하고,
    상기 수평적재간격유지턱(168)의 하측에는 수평으로 개방면(169)(169-1)을 구비하되, 그 아래측 양측에는 이격편(171)(172)을 형성한 밀림방지편(17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내진 및 경량 구조를 갖는 한옥지붕 기와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진암기와(2)는,
    점토를 성형하고 이를 소성시켜서 오복부(210)와 볼록부(220) 형태의 굴곡형상을 갖는 몸체(200)을 구비하되, 상기 몸체(200)의 상측 중앙에는 고정을 위한 위치고정구멍(200a)을 구비하고,
    상기 몸체(200)의 오목부(210)에는 그 하단 양측으로 지지턱(211)을 구비하되, 그 반대 측 볼록부(220)에는 경량화홈(220-1)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내진 및 경량 구조를 갖는 한옥지붕 기와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진수키와(3)는,
    반호 형상의 본체(301)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301)의 편측에는 단부(311)를 구비하되, 그 내측으로 반원형 음각요입부(312)을 구비하며,
    상기 음각요입부(312)의 중앙 하측에는 수용홈(314)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301)의 반대측 타측에는 층이 져 나온 반호형 미구(321)를 구비하되, 그 중심에는 사각형상으로 중앙에 구멍이 천공되어 돌출되는 못구멍(322)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301)와 미구(321) 사이에는 다른 수키와를 이기 위한 수키와의 위쪽 턱과 그 턱에 다른 수키와의 아래쪽 끝을 물려서 연결되어 맞물리도록 하는 언강(323)을 구비하며,
    상기 미구(321)와 언강(323)이 접하는 위치에 본체(301)의 못구멍(322)을 수용하는 요입부(324)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내진 및 경량 구조를 갖는 한옥지붕 기와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진암막새(4)는,
    점토를 성형하고 이를 소성시켜서 음각라운드부(402)와 양각라운드부(404) 형태를 갖는 바디(401)를 구비하되, 상기 바디의 편측 중앙 상면에는 고정홀(409)을 구비하고,
    상기 바디(401)의 음각라운드부(402)에는 그 중심 양측으로 걸림지지턱(403)을 구비하되, 그 편측에는 외측으로 문양이 형성되는 문양표시마감판(410)을 경사지게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내진 및 경량 구조를 갖는 한옥지붕 기와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진숫막새(5)는,
    반호 형상의 본체(501)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501)의 내측중심에는 반원형 음각요입부(512)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501)의 편측에는 외측으로 문양이 형성되는 문양마감판(530)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501)의 반대측 타측에는 층이 져 나온 반호형 미구(521)를 구비하되, 그 중심에는 사각형상으로 중앙에 구멍이 천공되어 돌출되는 못구멍(522)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501)와 미구(521) 사이에는 상기 내진수키와(3)의 수용홈(314)에 맞물리도록 요입부(524)와 언강(523)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내진 및 경량 구조를 갖는 한옥지붕 기와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고(6)는,
    반호 형상의 커버체(601)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체(601)의 하측에는 양측에 음각원형홈(60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내진 및 경량 구조를 갖는 한옥지붕 기와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진 신한옥암기와(1)는,
    상기 상면(U)과 저면(D)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적용시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내진 및 경량 구조를 갖는 한옥지붕 기와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진 신한옥암기와(1)의 수평지지편(120)의 아래측에는,
    암기와(1) 오목 표면(U-1)에 수평 길이방향으로 암기와(1)를 중첩시켜 지지될 수 있는 암기와받침턱(102)(102a)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내진 및 경량 구조를 갖는 한옥지붕 기와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진 신한옥암기와(1)의 암기와받침턱(102)(102a)의 아래측에는,
    빗물흐름을 느리게하여 낙수가 튀지 않게하고, 수평으로 단턱(103a)을 구비하여 시공시에는 암기와(1)가 적층시공 된 것처럼 형성되는 반원형 형태 이단적층표시부(10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내진 및 경량 구조를 갖는 한옥지붕 기와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진암기와(2)는,
    오목부(210)의 내면 양측으로 삽입홈(210-1)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홈(210-1)에 삽입되는 고정핀(211-2)을 구비하되, 상기 고정핀(211-2)에 일체로 탈부착형 위치조절핀(211-1)을 선택적으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내진 및 경량 구조를 갖는 한옥지붕 기와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망와(7)는,
    점토를 성형하고 이를 소성시켜서 음각라운드부(702)와 양각라운드부(704) 형태를 갖는 바디(701)를 구비하고, 상기 바디(701)의 편측에는 상측으로 경사지는 문양이 형성되는 문양표시마감판(710)을 경사지게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내진 및 경량 구조를 갖는 한옥지붕 기와
  15. 제4항에있어서,
    상기 걸림블럭(163-1)에는,
    내진에 내부지지력을 높일 수 있도록 음각형태의 삼각 또는 반원형 흔들림방지홈(163-2)을 선택적으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내진 및 경량 구조를 갖는 한옥지붕 기와
  16. 제4항에있어서,
    상기 이격편(171)(172)에는,
    내진에 내부지지력을 높일 수 있도록 음각 또는 양각 형태의 방지편(170a)(170b)를 선택적으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내진 및 경량 구조를 갖는 한옥지붕 기와
  1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홈(166)에는,
    한옥지붕(R)의 전체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고 제품 경량화를 높일 수 있는 경량홈부(180)를 상기 저면(D)에 하나 이상 선택적으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내진 및 경량 구조를 갖는 한옥지붕 기와
  1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진암막새(4)의 양각라운드부(404)에는,
    한옥지붕(R)의 전체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고 제품 경량화를 높일 수 있는 음각홈부(404a)를 선택적으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내진 및 경량 구조를 갖는 한옥지붕 기와
  1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진수키와(3)의 수용홈(314)의 후단에는,
    한옥지붕(R)의 전체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고 제품 경량화를 높일 수 있는 경량음각홈(319)를 선택적으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내진 및 경량 구조를 갖는 한옥지붕 기와
  2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진숫막새(5)의 음각요입부(512)에는,
    한옥지붕(R)의 전체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고 제품 경량화를 높일 수 있는 무게감소홈(512a)을 선택적으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내진 및 경량 구조를 갖는 한옥지붕 기와
  21. 삭제
  22. 삭제
KR1020220002044A 2022-01-06 2022-01-06 내진 및 경량 구조를 갖는 한옥지붕 기와 KR102389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2044A KR102389585B1 (ko) 2022-01-06 2022-01-06 내진 및 경량 구조를 갖는 한옥지붕 기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2044A KR102389585B1 (ko) 2022-01-06 2022-01-06 내진 및 경량 구조를 갖는 한옥지붕 기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9585B1 true KR102389585B1 (ko) 2022-04-22

Family

ID=81452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2044A KR102389585B1 (ko) 2022-01-06 2022-01-06 내진 및 경량 구조를 갖는 한옥지붕 기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958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4196A (ja) * 2002-08-23 2004-03-18 Kaminaka:Kk 耐震、耐風雨瓦
KR101085007B1 (ko) 2011-03-22 2011-11-21 주식회사 한국그린피아 전통 한옥지붕을 갖는 건축 구조물
KR101286278B1 (ko) 2012-12-20 2013-07-15 채민수 한옥지붕구조
KR101770965B1 (ko) * 2017-03-31 2017-08-24 주식회사 고령기와 내진설계를 적용한 한식 이단암기와
KR102063860B1 (ko) 2018-01-11 2020-01-08 진경애 한옥의 기와지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084972B1 (ko) 2018-05-31 2020-03-05 주식회사 한옥새움 한옥의 지붕 내진 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4196A (ja) * 2002-08-23 2004-03-18 Kaminaka:Kk 耐震、耐風雨瓦
KR101085007B1 (ko) 2011-03-22 2011-11-21 주식회사 한국그린피아 전통 한옥지붕을 갖는 건축 구조물
KR101286278B1 (ko) 2012-12-20 2013-07-15 채민수 한옥지붕구조
KR101770965B1 (ko) * 2017-03-31 2017-08-24 주식회사 고령기와 내진설계를 적용한 한식 이단암기와
KR102063860B1 (ko) 2018-01-11 2020-01-08 진경애 한옥의 기와지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084972B1 (ko) 2018-05-31 2020-03-05 주식회사 한옥새움 한옥의 지붕 내진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6600B2 (en) System for modular building construction
Reid Understanding Buildings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US20160160515A1 (en) System for modular building construction
EP0038800B1 (de) Offenes skelett-rahmensystem zur errichtung von bauwerken
JPH01280140A (ja) モジュール式建物構造とそのプレハブ構成要素および方法
AU2019277269A1 (en) Connection system
US20130081343A1 (en) Techniques for building construction using fabricated timbers
US1354753A (en) Portable building
KR102389585B1 (ko) 내진 및 경량 구조를 갖는 한옥지붕 기와
CA2508365C (en) Mechanism for securing together building modules
Öztank An investigation of traditional Turkish wooden houses
US3466818A (en) Prefabricated buildings
US2181169A (en) Prefabricated house
TWI784477B (zh) 壁面構造體及建物
DE19847070A1 (de) Gebäudekonstruktion, insbesondere für ein Niedrigenergie-Gebäude
JP3146988U (ja) 建物の構造
JP7054888B2 (ja) 壁面構造体
GB2200383A (en) Engineered housing
KR200415136Y1 (ko) 건축용 블럭 조립체
ES2319373B2 (es) Forjado ligero para pisos.
AU2015100472A4 (en) Constructions having solid load bearing walls
BE1023535B1 (nl) Constructiemodule en modulair bouwsysteem omvattende één of meerdere van dergelijke constructiemodules
AU2014265071A1 (en) A building and methods of constructing the building
CN106522632B (zh) 横置半蜂巢结构抗震应急房及其施工方法
KR20210117504A (ko) 루프 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