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5007B1 - 전통 한옥지붕을 갖는 건축 구조물 - Google Patents

전통 한옥지붕을 갖는 건축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5007B1
KR101085007B1 KR1020110025433A KR20110025433A KR101085007B1 KR 101085007 B1 KR101085007 B1 KR 101085007B1 KR 1020110025433 A KR1020110025433 A KR 1020110025433A KR 20110025433 A KR20110025433 A KR 20110025433A KR 101085007 B1 KR101085007 B1 KR 101085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hanok
wall
traditional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5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그린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그린피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그린피아
Priority to KR1020110025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50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5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5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 E04B7/026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consisting of prefabricated modules,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 E04B7/04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supported by horizontal beams or the equivalent resting on the walls

Abstract

본 발명은 전통 한옥지붕을 갖는 건축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옥 구조물의 한옥지붕과 벽체가 별도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한옥 벽체의 노후로 인한 한옥 구조물의 개축 시 한옥지붕을 재활용할 수 있어 경제성과 시공성에 유리한 전통 한옥지붕을 갖는 건축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통 한옥지붕을 갖는 건축 구조물은 지면에 설치되어 측면구조물을 이루는 벽체와, 상기 벽체에 대응되는 규격으로 축조되되, 목재로 이루어진 보, 도리, 마루, 서까래를 포함하는 한옥형의 지붕틀과, 상기 지붕틀의 상부에 시공되는 한옥기와가 일체형으로 축조되는 한옥지붕체와, 중장비를 이용하여 상기 한옥지붕체를 상기 벽체의 상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한옥지붕체가 상기 벽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비된 지붕결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통 한옥지붕을 갖는 건축 구조물{ARCHITECTURAL STRUCTURE HAVING TRADITIONAL KOREAN-STYLE HOUSE ROOF}
본 발명은 전통 한옥지붕을 갖는 건축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옥 구조물의 한옥지붕과 벽체가 별도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한옥 벽체의 노후로 인한 한옥 구조물의 개축 시 한옥지붕을 재활용할 수 있어 경제성과 시공성에 유리한 전통 한옥지붕을 갖는 건축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전통 한옥은 궁궐, 사찰, 사당, 민가, 초가 등 기능과 구조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것이 있다. 최근에는 고유의 한옥에 대한 가치와 그 기능이 부각됨에 따라 한옥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거주할 한옥을 직접 건축하는 경향이 있다.
일반적으로 한옥이란 한국 전통 건축양식으로 지어진 건물을 말하는데, 먼저 건축하고자하는 터에 기초공사를 실시하고, 기둥을 세울 자리에 주초속을 놓고, 주초속 위에 기둥을 세운 후, 기둥 위에 대들보와 중간보를 가로 세로방향으로 교차시켜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공간의 안쪽 바닥에 온돌을 구비하는 방바닥을 형성하고, 기둥과 기둥 사이에는 흙벽돌 또는 창문 등으로 막아 방과 마루 등을 구획하며, 서까래 또는 부연 등 위에 기와를 얹어 지붕을 형성한다.
한 때, 한옥은 고루한 건축물과 비효율적인 건축으로 인식되어 대부분 양옥으로 대체되었다. 없애야할 구시대의 잔재로 여김에 따라 많은 역사적 가치가 있는 한옥까지 사라졌으나 2000년대에 이르러 한옥의 개성과 자연친화적 기능에 힘입어 재조명되고 있다. 게다가, 아토피나 천식 등의 병을 예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극 드라마의 영향으로 한옥을 중심으로 한 드라마세트장 건설이 붐을 이루고 있어 한옥의 수요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한옥의 전통적 건축방식은 소수의 전문가에게만 전해지고 있고 전문가가 설계부터 자재 선정, 조립까지 책임지고 해결해야하기 때문에 한옥이 완성되기까지는 공사기간이 길고 공사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한옥 지붕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서 대들보와 기둥을 사용하는데 목재인 대들보는 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굽힘 모멘트에 취약한 약점이 있어 건축 후 비틀리거나 갈라지는 현상으로 구조적 안정성이 취약하다. 그에 따라 지붕의 하중을 분산하기 위해서 한옥 내부에도 기둥을 세웠는데, 이 기둥으로 인하여 내부 형태에 제한을 받고 내부 공간의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한옥은 부분적인 하자가 발생하여도 부재 간의 복잡한 결합관계로 인하여 많은 수리비용이 드는 단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공원, 유원지 등 공공장소에도 상기와 같은 한옥형의 지붕을 갖는 건축물들이 전통 방식의 한옥형 구조를 갖도록 웅장하게 지어지거나 간이 시설물 형태로 간편하게 제작될 수 있도록 합성수지재 또는 철판재와 같은 재질을 이용하여 한옥형의 형상을 모티브로 하는 시설물이 많이 제작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전통 방식을 이용한 한옥형 건축물은 목재의 결합구조가 끼워 맞춤 형식으로 시공되어 구조적인 안전성과 내구성이 좋고, 시각적인 무게감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도자기 형태의 실제 기와를 사용함으로써 축조방법이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시공단가가 높고, 시공기간이 길어지며, 유지보수가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등의 단점을 갖는 것이었다. 또한, 공공시설물의 특성상 단기간에 간편하게 시공하기 위해서 프라스틱 또는 철재 재질을 이용해서 간이 시설물 형태로 지어진 건축물은 비교적 단시간에 간편하게 시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구조적인 안전성과 내구성이 약해지게 마련이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한옥형의 지붕을 갖는 건축물은 한옥지붕을 받치고 있는 한옥벽체 또는 한옥지붕의 일부가 손상될 경우 한옥 건축물을 개축하기 위해서는 지붕을 포함한 구조물 전체를 철거한 후 재시공하여야 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었던 것이고, 이에 따른 개보수 비용과 시간이 소모됨에 따라 좀 더 효율적인 건축물의 운영 방법과 시공이 용이하면서 유지 관리가 간편한 한옥형 구조물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었다. 특히, 한옥형의 지붕 구조를 갖도록 공공장소에 설치되는 공중화장실의 경우 사용자의 잦은 이용으로 인한 건축물 본체와 내장재 등의 수명이 급격하게 단축되는 경향이 있는 것이었고, 이로 인해 견고한 전통 방식을 이용하여 제작되었던 한옥지붕의 수명이 많이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구조물을 모두 교체하여 신축 또는 개축함으로써 건축물의 재시공에 따른 시간 비용과 그와같은 유지 보수에 소모되는 비용이 많이 발생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한옥형 건축물의 신축 또는 개축을 위한 시공에 있어서, 벽체와 지붕이 착탈 가능한 구조로 별도로 구성되어 기존 벽체의 손상 시 중장비를 이용하여 한옥지붕을 별도로 분리한 후 벽체를 신축 또는 개축하고, 그 상부로 한옥지붕을 재결합하여 한옥형 구조물의 일부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옥형 건축물 시공에 소모되는 인력과 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시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한옥형 건축물의 효율적인 유지 보수 및 관리가 용이한 전통 한옥지붕을 갖는 건축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통 한옥지붕을 갖는 건축 구조물은, 지면에 설치되어 측면구조물을 이루는 벽체와, 상기 벽체에 대응되는 규격으로 축조되되, 목재로 이루어진 보, 도리, 마루, 서까래를 포함하는 한옥형의 지붕틀과, 상기 지붕틀의 상부에 시공되는 한옥기와가 일체형으로 축조되는 한옥지붕체와, 중장비를 이용하여 상기 한옥지붕체를 상기 벽체의 상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한옥지붕체가 상기 벽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비된 지붕결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통 한옥지붕을 갖는 건축 구조물은, 상기 지붕결합수단은 상기 벽체의 적어도 어느 일측 상단부에 설치된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와 수직한 방향으로 대응되는 방향의 상기 한옥지붕체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부에 형성된 레일홈에 끼워지는 상부삽입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통 한옥지붕을 갖는 건축 구조물은, 상기 레일부에는 상기 한옥지붕체와 상기 벽체가 서로 결합된 경우 상기 한옥지붕체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레일부와 상기 상부삽입체의 측면 방향으로 연속되게 관통된 볼트홀에 삽입되는 체결볼트와, 상기 볼트홀에 삽입된 체결볼트를 고정시키는 고정너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통 한옥지붕을 갖는 건축 구조물은, 상기 상부삽입체의 하부에는 상기 레일부의 레일홈 상부면을 구르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통 한옥지붕을 갖는 건축 구조물은 한옥구조물의 벽체와 지붕이 착탈 가능한 구조로 별도로 구성되어 기존 벽체의 손상 시 중장비를 이용하여 한옥지붕을 별도로 분리한 후 벽체를 신축 또는 개축하고, 그 상부로 한옥지붕을 재결합하여 한옥형 구조물의 일부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옥형 건축물 시공에 소모되는 인력과 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시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한옥형 건축물의 효율적인 유지 보수 및 관리가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통 한옥지붕을 갖는 건축 구조물을 도시한 정면결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통 한옥지붕을 갖는 건축 구조물의 지붕결합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통 한옥지붕을 갖는 건축 구조물을 도시한 측면결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통 한옥지붕을 갖는 건축 구조물의 지붕결합수단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결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통 한옥지붕을 갖는 건축 구조물의 롤러를 도시한 저면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통 한옥지붕을 갖는 건축 구조물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통 한옥지붕을 갖는 건축 구조물을 도시한 정면결합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통 한옥지붕을 갖는 건축 구조물의 지붕결합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통 한옥지붕을 갖는 건축 구조물을 도시한 측면결합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통 한옥지붕을 갖는 건축 구조물의 지붕결합수단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결합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통 한옥지붕을 갖는 건축 구조물의 롤러를 도시한 저면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전통 한옥형 지붕을 갖는 건축물을 신축 또는 개축할 경우 벽체와 한옥지붕이 착탈 가능한 구조로 별도로 구성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한옥지붕이 일체로 구성되어 기존 벽체의 손상 시 중장비를 이용하여 한옥지붕을 별도로 분리한 후 벽체를 신축 또는 개축하고, 그 상부로 한옥형 지붕이 재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새롭게 한옥지붕을 신축하지 않더라도 기존의 한옥지붕을 재활용하여 한옥형 구조물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통 한옥지붕을 갖는 건축 구조물은, 벽체(10), 한옥지붕체(20), 지붕결합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벽체(10)는 지면에 설치되어 측면구조물을 이루기 위한 것으로 지면에 주춧돌(10a)을 놓은 후 돌의 표면 굴곡에 꼭 맞도록 기둥 밑 부분을 깎아내 수직으로 세우고, 그 상부로 지붕을 받치기 위한 기둥(10b)을 세우게 된다. 그리고, 기둥(10b)과 기둥(10b) 사이에 인방(10c)이 끼워지면 상기 벽체(10)의 뼈대가 완성되며, 상기 벽체(10)의 둘레 부분을 따라 황토와 시멘트 등을 이용해서 벽면을 만들게 된다. 또한, 상기 벽체(10)가 완성되면 그 벽체(10)의 상부 둘레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대들보와 들보로 이루어진 보(11)가 수평하게 설치되게 된다. 또한, 상기 벽체(10)는 간이 시설물 형태의 건축물로 시공될 경우에는 목재, 철골, 시멘트 등을 이용한 통상의 건축물과 같은 형태를 갖도록 시공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한옥지붕체(20)는 한옥형 지붕의 축조를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대들보, 도리, 용마루, 추녀마루, 서까래 및 한옥기와 등의 자재를 이용하여 일체형으로 축조된다. 상기 한옥지붕체(20)는 상기 벽체(10)의 규격에 대응되는 크기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한옥지붕체(20)는 상기 벽체(10)의 상부에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 통상의 한옥형 지붕에 사용되는 보, 도리, 마루, 서까래와 같은 자재를 이용하여 축조되는데, 상기 한옥지붕체(20) 하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기 보(11)에 수직 방향으로 대응되는 도리(20a)가 설치되어 상기 한옥지붕체(20)가 상기 벽체(10)에 안착될 수 있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의 상기 한옥지붕체(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크레인과 같은 중장비에 와이어를 연결하여 일체형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지붕결합수단(30)은 상기 벽체(10)와 상기 한옥지붕체(20)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지붕결합수단(30)을 통해 상기 한옥지붕체(20)는 상기 벽체(10)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설치된다. 상기 지붕결합수단(30)은 레일부(31)와, 상부삽입체(32)로 구성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레일부(31)는 상기 벽체(10)의 어느 일측 상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레일부(31)가 상기 보(11)가 설치된 부분의 상부를 따라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수평하게 이어지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레일부(31)가 설치된 사이사이에는 상기 레일부(31)가 형성된 길이만큼 빈 공간을 형성하는 삽입공간부(31')가 구비된다. 상기 레일부(31)는 "┴"자 형상의 레일홈(31a)이 형성되도록 단면이 상부가 개구된 형태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삽입체(32)는 상기 레일부(31)와 결합되어 상기 한옥지붕체(20)가 상기 벽체(10)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상부삽입체(32)는 상기 한옥지붕체(20)의 하부 둘레의 방향 즉, 상기 도리(20a)가 설치된 부분의 하부에 고정못(32b)으로 고정되어 상기 레일홈(31a)에 끼워져 맞물릴 수 있도록 단면이 상기 레일홈(31a)과 같은 "┴"자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삽입체(32)가 상기 레일홈(31a) 내부에 끼워지는 형태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한옥지붕체(20)가 상기 벽체(10)와 일체로 결합되게 된다.
한편, 상기 레일부(31)에는 상기 한옥지붕체(20)와 상기 벽체(10)가 서로 결합된 경우 상기 한옥지붕체(2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310)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수단(310)은 체결볼트(311)와 고정너트(312)로 구성된다. 상기 체결볼트(311)는 상기 레일부(31)의 측면과 상기 상부삽입체(32)의 측면을 연속하여 관통하는 볼트홀(311a,312a)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너트(312)가 상기 볼트홀(311a,312a)에 삽입된 상기 체결볼트(311)의 끝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상부삽입체(32)가 상기 레일부(31)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한옥지붕체(20)는 상기 벽체(10)의 상부에서 움직이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지붕결합수단(30)에 의해서 상기 한옥지붕체(20)가 상기 벽체(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와 같은 구조를 이루기 위해서는 상기 한옥지붕체(20)가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한옥지붕체(20)는 이동식 크레인과 같은 중장비를 이용하여 상기 한옥지붕체를 상기 벽체(10)의 상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한옥지붕체(20)가 상기 벽체(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한옥형 구조물의 유지, 보수를 위한 개축 시 견고하게 지어진 한옥지붕체(20)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상부삽입체(32)의 하부에는 상기 레일부(31)의 레일홈(31a) 상부면을 구르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32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롤러(320)는 상기 한옥지붕체(20)를 상기 벽체(10)의 상부에 결합할 경우 결합 작업이 용이하도록 설치된 것이다. 상기 상부삽입체(32)는 하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움푹한 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삽입체(32)의 돌출면(32a)의 측면에는 축공(321)이 형성되는데, 상기 롤러(320)는 상기 상부삽입체(32)의 하부에 형성된 홈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축공(321)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축나사(322)에 의해 축 지지되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한옥형 구조물의 시공 시 상기 한옥지붕체(2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크레인 등의 중장비를 이용하여 상기 한옥지붕체(20)를 상기 벽체(10)의 상부로 이동시켜 결합시키게 되는데, 도 2에서와 같이 크레인과 보조작업자에 의해 상기 상부삽입체(32) 부분이 상기 삽입공간부(31') 방향으로 내려오도록 이동시킨 후 상기 상부삽입체(32)의 상기 돌출면(32a) 부분이 상기 레일부(31)의 레일홈(31a) 부분에 끼워지도록 옆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한옥지붕체(20)는 상기 상부삽입체(32)의 하부에 구비된 상기 롤러(320)에 의해 상기 레일부(31)를 따라 쉽게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작업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서도 상기 한옥지붕체(20)의 결합 작업 즉, 상기 고정수단(310)의 체결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전통 한옥지붕을 갖는 건축 구조물은 내부에 간이화장실과 같은 시설이 구비되는 공공시설물의 형태로 설치되어 구조물의 교체 주기가 비교적 짧은 건축물에 적용되었을 경우 그 효과가 더욱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종래의 일반적인 한옥형 구조물에 비하여 시공시간과 유지, 관리에 따른 소모 비용이 크게 감소하게 되는 작용효과를 갖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전통 한옥지붕을 갖는 건축 구조물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벽체 11 보
20 한옥지붕체 30 지붕결합수단
31 레일부 31a 레일홈
310 고정수단 311 체결볼트
312 고정너트 32 상부삽입체
32a 돌출면 32b 고정못
320 롤러 321 축공
322 축나사

Claims (4)

  1. 삭제
  2. 지면에 설치되어 측면구조물을 이루는 벽체와,
    상기 벽체에 대응되는 규격으로 축조되되, 목재로 이루어진 보, 도리, 마루, 서까래를 포함하는 한옥형의 지붕틀과, 상기 지붕틀의 상부에 시공되는 한옥기와가 일체형으로 축조되는 한옥지붕체와,
    중장비를 이용하여 상기 한옥지붕체를 상기 벽체의 상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한옥지붕체가 상기 벽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비된 지붕결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지붕결합수단은 상기 벽체의 적어도 어느 일측 상단부에 설치된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와 수직한 방향으로 대응되는 방향의 상기 한옥지붕체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부에 형성된 레일홈에 끼워지는 상부삽입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 한옥지붕을 갖는 건축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에는 상기 한옥지붕체와 상기 벽체가 서로 결합된 경우 상기 한옥지붕체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레일부와 상기 상부삽입체의 측면 방향으로 연속되게 관통된 볼트홀에 삽입되는 체결볼트와, 상기 볼트홀에 삽입된 체결볼트를 고정시키는 고정너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 한옥지붕을 갖는 건축 구조물.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삽입체의 하부에는 상기 레일부의 레일홈 상부면을 구르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 한옥지붕을 갖는 건축 구조물.
KR1020110025433A 2011-03-22 2011-03-22 전통 한옥지붕을 갖는 건축 구조물 KR101085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433A KR101085007B1 (ko) 2011-03-22 2011-03-22 전통 한옥지붕을 갖는 건축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433A KR101085007B1 (ko) 2011-03-22 2011-03-22 전통 한옥지붕을 갖는 건축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5007B1 true KR101085007B1 (ko) 2011-11-21

Family

ID=45397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5433A KR101085007B1 (ko) 2011-03-22 2011-03-22 전통 한옥지붕을 갖는 건축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50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9585B1 (ko) 2022-01-06 2022-04-22 주식회사 고령기와 내진 및 경량 구조를 갖는 한옥지붕 기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595Y1 (ko) 1999-09-28 2000-03-15 김익성 조립식 건물
KR100890342B1 (ko) 2008-12-31 2009-03-25 안중각 현대식 건축물을 전통목구조 건축물로 시공할 수 있는 가구식 구조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595Y1 (ko) 1999-09-28 2000-03-15 김익성 조립식 건물
KR100890342B1 (ko) 2008-12-31 2009-03-25 안중각 현대식 건축물을 전통목구조 건축물로 시공할 수 있는 가구식 구조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9585B1 (ko) 2022-01-06 2022-04-22 주식회사 고령기와 내진 및 경량 구조를 갖는 한옥지붕 기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2642B1 (ko) 정자
AU2009225124B2 (en) Prefabricated self-supporting construction element
CN202866321U (zh) 坡屋顶轻钢结构活动房
US20070039265A1 (en) Prefabricated masonry covered structural wall panel
CN2931627Y (zh) 框架、墙板组合楼房
CN204475921U (zh) 一种安全可拆卸的刚结构建筑厂房
CN113958138A (zh) 绿色支模体系施工工法
KR101172522B1 (ko) 경량형 서까래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구비한 콘크리트 한옥구조물의 시공방법
WO2020103624A1 (zh) 一种民宅快速翻建的环保施工方法
KR101085007B1 (ko) 전통 한옥지붕을 갖는 건축 구조물
PL178641B1 (pl) Okładzina budynku mocowana na układzie kratownicowym i sposób montażu okładziny budynku
KR101213504B1 (ko) 가구식 건축물의 조립식 한옥 건축공법 및 조립식 한옥 구조
KR101850948B1 (ko) 친환경 거푸집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목조 건축물의 시공 방법
CN110700414A (zh) 钢结构框架的装配式房屋及组装工艺
KR20020037002A (ko) 가구식 건축물의 조립식 한옥 건축방법 및 그 한옥구조
CN212201451U (zh) 一种装配式隔热型钢筋加工厂
CN107268778A (zh) 可组装的活动楼房
CN108412033B (zh) 建筑体外垂直森林外挑阳台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292748B1 (ko) 가구식 건축물의 맞춤식 공법 및 전통한식 구조
CN208056319U (zh) 门式刚架轻型房屋中非角部支撑钢柱与外围墙的连接结构
CN212927033U (zh) 用于大跨度后张预应力梁加腋结构的模板支撑架
AU2014336964A1 (en) Building method and system
CN111321807A (zh) 一种装配式框架结构柱-柱集束钢筋连接结构
CN216787920U (zh) 一种木结构承重房地坪加固结构
CN212176054U (zh) 全预制混合承重房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