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2595Y1 - 조립식 건물 - Google Patents

조립식 건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2595Y1
KR200172595Y1 KR2019990020764U KR19990020764U KR200172595Y1 KR 200172595 Y1 KR200172595 Y1 KR 200172595Y1 KR 2019990020764 U KR2019990020764 U KR 2019990020764U KR 19990020764 U KR19990020764 U KR 19990020764U KR 200172595 Y1 KR200172595 Y1 KR 2001725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orner
plate
shape
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07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익성
Original Assignee
김익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익성 filed Critical 김익성
Priority to KR20199900207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25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25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25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6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longitudinal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각의 부속품을 분해,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여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에까지 최소의 부피로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할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조립 작업이 간단할수 있도록 한 조립식 건물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다각의 모양을 갖는 바닥판(10)의 상면에 동일한 모양을 갖고 각 모서리에 수직으로 용접된 연결관(21)이 갖추어진 하부지지대(20)와; 상기 하부지지대의 모서리에 갖추어진 연결관에 끼워져 수직으로 각각 세워질수 있도록 하는 지주(30)와; 상기 지주의 양측면에 앵글(40)이 연결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앵글에 의해 공간부를 밀폐시켜 주는 밀폐판(50)과; 하부지지대와 동일한 크기와 모양을 갖고 지주의 상단부가 끼움 결합될수 있도록 각각의 모서리에 하부로 향하도록 연결관(61)이 용접된 상부지지대(60)와; 상기 상부지지대와 동일한 크기를 갖고 상면에 얹혀지는 상판(70)과; 상기 상판의 상면에 기와가 얹혀진 모양을 갖는 지붕(80)으로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건물{framed building}
본 고안은 조립식 건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각의 부속품을 분해,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여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에까지 최소의 부피로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할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조립 작업이 간단할수 있도록 한 조립식 건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건물은 버스정류장, 공원 또는 방갈로 등에 설치되어 버스를 기다리거나 휴식등을 취할수 있도록 되어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조립식 건물은 보편적으로 목재나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건물을 신축하게 되는데, 버스정류장에 설치되는 건물은 단순히 햇빛과 비 그리고 바람을 차단시켜 줄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지주 사이에 투명체의 판체를 결합시켜 주는 수단에 불과하여 미관상 화련함을 주지 못하고, 딱딱한 부위기만 주게 되어 있고, 도시를 벗어난 농촌의 버스정류장에는 아직도 우리 고유의 전통인 기와지붕의 모양을 같고있는 건물들이 있어 상기와 같은 조립식 건물도 기와를 사용하여 지붕을 만들고 있는데, 이는 기와가 얹혀질수 있는 기본적인 골격을 만들어준 상태에서 이의 위에 각각의 기와를 이어주어야 하므로서 작업상의 단점이 있고, 또한 사용도중 외부적인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기와가 파손되어 수시로 파손된 부분의 새로이 교체시켜 주어야 하므로서 경제적인 부담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분해,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여 각각의 부속품을 보관 및 운반시 부피를 최소화시켜 주므로서 취급이 용이하도록 함과 아울러,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게 시공이 이루어져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 -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2 -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인 부분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바닥판 20:하부지지대
21:연결관 30:지주
40:앵글 50:밀폐판
60:상부지지대 61:연결관
70:상판 80:지붕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로서, 사용용도 및 설치되는 장소에 맞도록 다각의 모양을 갖고 지면에 안착되는 바닥판(10)과,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얹혀질수 있도록 동일한 모양을 갖고 각 모서리에 수직으로 용접된 연결관(21)이 갖추어진 하부지지대(20)와, 상기 하부지지대의 모서리에 갖추어진 연결관에 끼워져 수직으로 각각 세워질수 있도록 하는 지주(30)와, 상기 지주의 양측면에 앵글(40)이 연결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앵글에 의해 공간부를 밀페시켜 주는 밀폐판(50)과, 하부지지대와 동일한 크기와 모양을 갖고 지주의 상단부가 끼움 결합될수 있도록 각각의 모서리에 하부로 향하도록 연결관(61)이 용접된 상부지지대(60)와, 상기 상부지지대와 동일한 크기를 갖고 상면에 얹혀지는 상판(70)과, 상기 상판의 상면에 기와가 얹혀진 모양을 갖는 지붕(80)으로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밀폐판(50)은 전면이 설치되는 장소와 주변의 환경에 따라 여러 가지의 모양이 사용될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여 조립된 본 고안은 우선 조립식 건물이 설치될 장소의 지면에 따라 바닥판(10)이 직접적으로 위치하거나 상기 바닥판의 저면에 지면의 경사각에 따라 길이가 각기 다른 지지대(11)를 연결시켜 준 상태에서 설치할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바닥판(10)의 상면에 하부지지대(20)가 얹혀지도록 하는데, 이때 바닥판과 하부지지대를 체결볼트에 의해 체결시켜 주어 견고하게 결합될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동일한 길이를 갖고 있는 각각의 지주(30)를 하부지지대(20)의 각 모서리측에 용접되어 있는 연결관(21)에 각각 끼움 결합시켜 이들을 체결볼트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면 지주(30)가 동일한 높이를 갖고 수직으로 세워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수직으로 세워진 지주(30)의 양측면에 앵글(40)이 결합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앵글의 전방에 밀폐판(50)과 내부에서 외부를 확인할수 있도록 창문(51)이 위치하도록 하여 이들을 체결볼트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면 외부로부터 비 바람이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때, 앵글의 내면으로는 단열제 등을 설치하여 주므로서 겨울철 보온의 기능을 갖도록 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내주면에 의자를 설치하여 주게 되면 사람이 의자에 앉아 휴식을 취할수 있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수직으로 세워진 각각의 지주(30)의 상단에 상판지지대(60)의 각 모서리측에 용접되어 있는 연결관(61)을 끼워 체결볼트에 의해 결합시켜 준 상태에서 상판지지대의 상면에 상판(70)과 지붕(80)을 올려준 상태에서 체결볼트에 의해 결합시켜 주면 조립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각각의 부속품을 건물을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에까지 분해된 상태에서 운반을 함에 따라 부피가 최소화되어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게 됨은 물론, 조립식이어서 사용도중 일부분이 파손될 경우 파손된 부위만 새로이 교체시켜 주면 되므로서, 설치 작업 및 수리가 용이하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지붕이 우리 고유의 전통 한옥집을 연상할수 있도록 기와 모양을 갖도록 하고 있어 일일이 기와를 가지고 지붕을 연결시켜 주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없이 간편히 설치 및 분해시켜 줄수 있게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다각의 모양을 갖는 바닥판(10)의 상면에 동일한 모양을 갖고 각 모서리에 수직으로 용접된 연결관(21)이 갖추어진 하부지지대(20)와; 상기 하부지지대의 모서리에 갖추어진 연결관에 끼워져 수직으로 각각 세워질수 있도록 하는 지주(30)와; 상기 지주의 양측면에 앵글(40)이 연결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앵글에 의해 공간부를 밀폐시켜 주는 밀폐판(50)과; 하부지지대와 동일한 크기와 모양을 갖고 지주의 상단부가 끼움 결합될수 있도록 각각의 모서리에 하부로 향하도록 연결관(61)이 용접된 상부지지대(60)와; 상기 상부지지대와 동일한 크기를 갖고 상면에 얹혀지는 상판(70)과; 상기 상판의 상면에 기와가 얹혀진 모양을 갖는 지붕(80)으로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조립식 건물.
KR2019990020764U 1999-09-28 1999-09-28 조립식 건물 KR2001725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764U KR200172595Y1 (ko) 1999-09-28 1999-09-28 조립식 건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764U KR200172595Y1 (ko) 1999-09-28 1999-09-28 조립식 건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2595Y1 true KR200172595Y1 (ko) 2000-03-15

Family

ID=19590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0764U KR200172595Y1 (ko) 1999-09-28 1999-09-28 조립식 건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259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4067A (ko) * 2000-12-27 2002-07-06 김종모 조립식 건축물
KR101085007B1 (ko) 2011-03-22 2011-11-21 주식회사 한국그린피아 전통 한옥지붕을 갖는 건축 구조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4067A (ko) * 2000-12-27 2002-07-06 김종모 조립식 건축물
KR101085007B1 (ko) 2011-03-22 2011-11-21 주식회사 한국그린피아 전통 한옥지붕을 갖는 건축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91352B (zh) 模块化集成房屋
US8286391B2 (en) Portable building
JPH07150627A (ja) 建築物、その建造方法及び構造部材
KR200172595Y1 (ko) 조립식 건물
CN2913498Y (zh) 木结构建筑走廊立柱
CN210597623U (zh) 一种模块化组合用房
KR200200356Y1 (ko) 조립식 주택 구조물
TWI321184B (ko)
JP2003221906A (ja) 太陽電池パネル用の架台
JP4368734B2 (ja) 組立ハウス
CN112196117A (zh) 一种装配式建筑单元体及构造体
CN203514906U (zh) 一种可快速建造的节能生态避震房屋
RU2107137C1 (ru) Архитектурно-стро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из сототермоструктурных объемных модулей для возведения жилых зданий многоугольной формы в плане
CN204754301U (zh) 一种移动组装式公厕
JP2004137859A (ja) 木造移動建築物
FR2889857A1 (fr) Systeme de construction metallique modulaire pour bungalows
CN220666653U (zh) 一种商场板柱结构
NL2031707B1 (en) Modular building and construction method
CN217028258U (zh) 一种承插式野外宿营结构
KR20190115816A (ko) 규격화 된 블록을 이용한 비닐 하우스 구조물과 시공법
JPH08284255A (ja) 組立式家屋
CN111206737A (zh) 插接式低碳保温节能板的墙体连接件
CN213297436U (zh) 一种易装易卸的施工围挡
CN212534516U (zh) 一种组装活动房主梁的连接结构
JPH033496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