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0342B1 - 현대식 건축물을 전통목구조 건축물로 시공할 수 있는 가구식 구조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현대식 건축물을 전통목구조 건축물로 시공할 수 있는 가구식 구조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0342B1
KR100890342B1 KR1020080137995A KR20080137995A KR100890342B1 KR 100890342 B1 KR100890342 B1 KR 100890342B1 KR 1020080137995 A KR1020080137995 A KR 1020080137995A KR 20080137995 A KR20080137995 A KR 20080137995A KR 100890342 B1 KR100890342 B1 KR 100890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
building
wall
roof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7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중각
Original Assignee
안중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중각 filed Critical 안중각
Priority to KR1020080137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03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0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0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85Connections not covered by E04B1/21 and E04B1/2403, e.g. connections between structural parts of different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1/1903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 E04B7/026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consisting of prefabricated modules,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대식 건축물을 전통목구조 건축물로 시공할 수 있는 가구식 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현대식 건축물을 전통목구조 건축물로 시공할 수 있는 가구식 구조는 외벽모서리에 위치한 바닥 기초에 철근이 외벽 밖으로 돌출되도록 철재골조가 설치되어 있는 기초 건축물과, 목재기둥의 일측면에 길이방향의 장홈을 형성시키고 장홈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철재골조에 하단부가 지지되도록 바닥 기초로부터 지붕 처마의 사이에 입설시켜 지붕을 바닥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도록 밀착결합되어 있는 처마기둥과, 처마기둥의 단부에 결합되어 이웃하는 처마기둥들을 상호 연결하는 기둥 보와, 기둥 보의 상측에 설치되어 무늬와 형상을 형성하는 살미와 살미의 후면에 경화제와 실리콘이 혼합된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어 앙카피스에 의해 기초 건축물의 외벽에 결합되어 있는 판상형의 접합부 그리고 접합부의 상면에 설치되어 살미가 지붕의 하중에 의해 뒤집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가로 보를 포함하는 공포와, 공포의 상면 단부에 고정되는 서까래와, 서까래의 단부에 덧얹어 설치되어 처마 끝을 위로 들어올려진 모양이 나게 하는 부연, 그리고 부연의 상측에 기와 지붕판을 올려 고정되는 지붕을 포함한다.
현대식, 건축물, 전통, 목구조, 가구식, 시공, 공포

Description

현대식 건축물을 전통목구조 건축물로 시공할 수 있는 가구식 구조 및 그 시공방법{A POST-AND-LINTEL CONSTRUCTION TO DO RE-MODELING OF A GENERAL WOOD BUILDING TO A TRADITIONAL BUILDING AND AN EXECUTION METHOD OF THE POST-AND-LINTEL CONSTRUCTION}
본 발명은 현대식 건축물을 전통목구조 건축물로 시공할 수 있는 가구식 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대식 건축물의 기초 위에 외벽 및 지붕을 가구식 구조로 마감하여 건축비용을 대폭 절감하고 친환경적인 전통목구조 건축물의 형태로 리모델링할 수 있는 가구식 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물리적인 환경으로써 전통주거인 한옥은 보존할 만한 충분한 가치를 지닌 문화적 전통이다. 그러나 생활양식의 변화와, 유입되는 서구식 주거 양식으로 우리의 전통주거인 한옥이 사라져가고 있다. 특히 1970년대 초반에 전국적으로 시행된 목조건축물의 건축규제도 한 이유이다. 이러한 법적인 부분은 가장 효과적으로 한옥이 쇠퇴되도록 하였으며, 목조건축의 발전을 저해한 요소이기도 하다.
종래의 전통목구조 건축물을 축조하는 방법으로는 먼저 건축하고자 하는 터 를 조성하고, 그 터에 건축하고자 하는 건물의 위치를 선정하여 기둥을 세울자리에 주춧돌을 세우고, 그 주춧돌 위에 기둥을 수직하게 세우고, 기둥 위에는 대들보와 중간보를 가로 세로방향으로 교차시키는 상태로 골조를 설치하여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이며, 상기 공간구조에서 주춧돌과 기둥사이의 공간에 마루 및 온돌을 구비하는 방바닥을 형성하며, 기둥과 기둥 그리고 중간보 사이의 공간을 흙벽돌 또는 창문 문틀 소재로 막아 벽을 형성하여 방을 형성하거나 마루 등을 구획하는 구조이고, 대들보와 중간보 위에는 서까래를 설치하여 기와를 사용하는 지붕을 형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전통가옥을 건축할 때에는 반드시 건축자재와 공정을 책임지고 해결하는 목수가 필요하였고, 선정된 목수를 재료를 구매하여 현장에서 용도에 맞게 가공하는 방식으로 구조물을 설치하는 관계로 전통가옥이 완성되기까지는 7개월 내지 9개월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현재의 주변상황에서 전통가옥을 건축하기 위하여 고급인력인 목수를 구하기는 매우 어려워 작업진행이 용이하지 못하고, 건축재료를 현장에서 직접 가공하여 사용하므로 정밀도와 취급성이 매우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건축재료가 규격화 되지 못하여 현장에서 재료를 현장의 규격에 맞도록 가공하므로 시간과 작업공수가 증가되고, 당연히 시공비용이 증대되는 것이다.
특히, 건축구조적인 부분에서는 벽체와 기둥이 단순연결 상태를 유지하므로 건축 후 이완현상이 발생하고, 지붕의 무거운 하중이 대들보와 중간보 및 기둥으로 집중되는 현상이 있어 각 부재에 변형이 많이 발생하여 구조적으로도 안전성이 떨 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둥이나 대들보 및 중간보와 같은 건축부재는 생목재 자체로만 사용하는 관계로 건축 후 비틀리거나 갈라지는 현상을 배제할 수가 없으며, 기둥과 기둥사이에 형성하는 벽체는 기둥과 흙벽돌이 각각의 구조물로 존재하게 되어 구조적 안전성이 결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통 한옥의 문제점을 보완한 현대식 한옥을 건축할 수 있는 현대식 건축물을 전통목구조 건축물로 시공할 수 있는 가구식 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현대 건축물의 장점과 전통목구조 건축물에서 볼 수 있는 가구식 구조의 장점을 접합함으로써 전통가옥을 안정된 구조로 조립 건축할 수 있으며, 건축 후에도 비틀림이나 이완되는 구조적 결함을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현대식 건축물을 전통목구조 건축물로 시공할 수 있는 가구식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전통목구조 건축물들을 규격화하고 조립식 구조를 갖추어 공사시에 소요되는 기간의 단축과,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하는 현대식 건축물을 전통목구조 건축물로 시공할 수 있는 가구식 구조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현대식 건축물을 전통목구조 건축물로 시공할 수 있는 가구식 구조는, 외벽모서리에 위치한 바닥 기초에 철근이 외벽 밖으로 돌출되도록 철재골조가 설치되어 있는 기초 건축물, 목재기둥의 일측면에 길이방향의 장홈을 형성시키고 상기 장홈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기 철재골조에 하단부가 지지되도록 바닥 기초로부터 지붕 처마의 사이에 입설시켜 지붕을 바닥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도록 밀착결합되어 있는 제1 기둥과 목재기둥을 길이방향으로 2등분하고 절단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상기 기초 건축물의 외벽 일측에 입설되어 지붕을 바닥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도록 밀착결합되어 있는 제2 기둥을 포함하는 처마기둥, 상기 제1 기둥 및 상기 제2 기둥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기둥 및 상기 제2 기둥을 상호 연결하는 기둥 보, 상기 기둥 보의 상측에 설치되어 무늬와 형상을 형성하는 살미와 상기 살미의 후면에 결합되어 앙카피스에 의해 상기 기초 건축물의 외벽에 결합되는 판상형의 접합부 그리고 상기 접합부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살미가 지붕의 하중에 의해 뒤집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가로 보를 포함하는 공포, 상기 공포의 외벽측 상면에 놓여져 고정되는 서까래, 상기 서까래의 단부에 덧얹어 설치되어 처마 끝을 위로 들어올려진 모양이 나게 하는 부연, 그리고 상기 부연의 상측에 기와 지붕판을 올려 고정되는 지붕을 포함한다.
상기 기둥 보는 상기 처마기둥의 상부 양측에 기둥 보 홈이 형성되고, 상기 기둥 보 홈에 상기 기둥 보가 끼워져 장부 맞춤되어 상기 제1 기둥과 제2 기둥이 상호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현대식 건축물을 전통목구조 건축물로 시공할 수 있는 가구식 구조의 시공방법은 외벽모서리가 위치한 바닥 기초에 철재골조가 외벽 밖으로 돌출되도록 외벽을 설치하는 기초 건축물 설치공정, 목재기둥의 일측면에 길이방향의 장홈을 형성시키고 상기 장홈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기 철재골조에 하단부가 지지되도록 바닥 기초로부터 지붕 처마의 사이에 제1 기둥을 입설 시키고, 목재기둥을 길이방향으로 2등분하고 절단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기 기초 건축물의 외벽에 제2 기둥을 입설시켜 지붕을 바닥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도록 밀착결합시키는 처마기둥 설치공정, 상기 제1 기둥 및 상기 제2 기둥의 단부에 동일 수평면상에 결합되어 지붕의 하중을 지탱하여 강한 구조내력을 지니게 하도록 상기 제1 기둥과 상기 제2 기둥을 상호 연결시키는 기둥 보 설치공정, 상기 기둥 보의 상측에 공포의 무늬와 형상을 형성하는 살미를 설치하고 상기 살미의 후면에 연결되어 상기 기초 건축물의 외벽에 부착하기 위한 접합부를 설치하고 상기 접합부의 상면에 접하여 상기 기초 건축물의 외벽에 부착되어 상기 살미가 지붕의 하중에 의해 뒤집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로 보를 설치하는 공포 설치공정, 상기 공포의 외벽측 상면에 서까래를 놓아 고정시키는 서까래 설치공정, 상기 서까래의 끝에 덧얹어 설치되어 처마 끝을 위로 들어올려 모양이 나게 하는 부연을 설치하는 부연 설치공정, 그리고 상기 부연 위에 기와 지붕판을 올려 고정하는 지붕 설치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기둥 보 설치공정은 상기 처마기둥의 상단 양측에 기둥 보 홈을 형성하고, 상기 기둥 보 홈에 상기 기둥 보의 단부가 장부 맞춤되어 상기 제1 기둥과 상기 제2 기둥을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공포 설치공정은 상기 살미의 후방 벽면측 단면 하부는 상기 기둥 보와 접면시키고 상기 살미의 후방 벽면측 단면 상부는 상기 접합부의 정면과 접면시키되, 상기 살미과 상기 접합부는 경화제와 실리콘이 혼합된 접착제로 부착되며, 상기 접합부의 후면은 앙카피스로 상기 기초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현대식 건축물을 전통목구조 건축물로 시공할 수 있는 가구식 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하면 현대 건축물의 장점과 전통목구조 건축물의 장점을 동시에 활용할 수 있으며, 시공성을 향상시켜 공기를 단축시키고, 비싼 목재의 사용을 줄일 수 있어 건축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현대식 건축물을 전통목구조 건축물로 시공할 수 있는 가구식 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하면 콘크리트 외벽에 대하여 목재로 마감하여 별도의 페인팅 작업이 불필요하여 도색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여 공기를 단축시키고 도색에 따르는 원부자재 그리고 인력 손실 등을 없애 시공가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현대식 건축물을 전통목구조 건축물로 시공할 수 있는 가구식 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하면 목조 건물에 따른 목재 사용량을 줄이고, 콘크리트 표면 마감 미장을 위한 별도의 시멘트 및 모래의 사용량을 줄여 사용 자재를 경량화된 구조물을 완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고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 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현대식 건축물을 전통목구조 건축물로 시공할 수 있는 가구식 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해 리모델링된 모습을 나타낸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처마기둥에 기둥 보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둥 보의 상면에 공포의 살미 및 접합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포의 접합부의 상면에 가로 보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포의 외벽측 상면 끝에는 서까래 및 부연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현대식 건축물을 전통목구조 건축물로 시공할 수 있는 가구식 구조(架構式 構造)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현대식 건축물을 전통목구조 건축물로 시공할 수 있는 가구식(架構式) 구조는 현대식 기초 건축물(10)의 외부에 설치되어 전통목구조 건축물의 형상으로 바꾸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초 건축물(10)을 전통목구조 건축물로 시공할 수 있는 가구식 구조는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초 건축물(10)과, 처마기둥(100)과, 처 마기둥(100)을 연결하는 기둥 보(200)와, 기둥 보(200) 위에 놓이는 공포(300)로 크게 3개 부분으로 분리하여 이루어지며, 이에 서까래(400), 부연(500) 및 지붕(10c)이 더 설치된다.
먼저, 기초 건축물(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기초(10a)로부터 적어도 정면벽과 측벽 및 후면벽이 세워진 골조로서, 골조를 만들 때 철근이 벽 외부로 돌출되도록 철재골조(10d)를 설치한다. 즉, 외벽모서리에 위치한 각 바닥 기초(10a)에 철근이 외벽 밖으로 돌출되도록 철재골조가 설치되어 있다.
처마기둥(100)은 목재 중 원목이나 집성목이 사용되며, 원기둥 형상으로 기초 건축물(10)의 바닥 기초(10a)로부터 지붕 처마(10b)의 사이에 입설되어 지붕(10c)의 하중을 받아 그 하중을 초석에 전달하며, 실질적으로 공간을 형성하는 기본 뼈대가 된다. 이러한 처마기둥(100)은 기초 건축물(10)의 사방 모서리에 설치되는 제1 기둥(110)과, 전면 출입구 앞에 설치되는 제2 기둥(120)의 2개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제1 기둥(110)은 기초 건축물(10)의 각 외벽모서리에 설치되는 것으로, 목재기둥의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장홈(112)이 형성되도록 하고, 장홈(112)을 기초 건축물(10)의 외벽모서리에 접착제에 의해 밀착결합시켜 설치된다. 또한, 제2 기둥(120)은 기초 건축물(10)의 외벽에 설치하기 위하여 목재기둥을 길이방향으로 2등분하고, 단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기초 건축물(10)의 외벽에 밀착결합시켜 설치된다. 이때, 처마기둥(100)을 기초 건축물(10)에 견고하게 설치하기 위하여 처마기둥(100)의 하단은 기초 건축물(10)의 철재골조(10d)에 의해 지지되어 안정되게 세워진다. 이상과 같이 처마기둥(100)은 접착제 및 철재골조(10d)에 의해 기초 건축물(10)에 견고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기둥 보(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마기둥(100)의 머리에 동일 수평면상에 결합하여 지붕(10c)의 하중을 지탱하여 강한 구조내력을 지니게 하도록 처마기둥(100)을 연결하는 나무 부재이다. 처마기둥(100)과 기둥 보(200)의 접합은 여러 가지 유형으로 제작할 수 있겠으나, 대체로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우선 처마기둥(100)을 그대로 두고 기둥 보(200)를 양 처마기둥(100) 사이에 접하도록 접합하는 경우와, 처마기둥(100)의 상부 양측에는 기둥 보(200)의 폭으로 기둥 보 홈(104)을 판 다음 기둥 보(200)의 단부를 끼워 장부 맞춤하는 경우로 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 보(200)는 기초 건축물(10)의 양측 모서리에 부착된 처마기둥(100)의 상부에 형성된 기둥 보 홈(104)에 기둥 보(200)의 단부를 끼워 장부 맞춤하는 경우로 시공할 수 있다. 기둥 보(200)의 상면에는 공포(供包,貢包)(300)가 설치된다.
공포(300)는 목조건물에서 지붕 처마(10b) 끝의 하중을 받치기 위해 기둥머리 같은 데 짜맞추어 댄 나무 부재로서, 지붕(10c)의 하중을 처마기둥(100)에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공포의 종류는 처마기둥(100) 위에만 공포가 있는 주심포식, 처마기둥(100) 위 뿐만 아니라 처마기둥(100) 사이에도 공포를 짠 다포식, 그 외 주심포식이 더 간략화된 익공식 등으로 다양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포식 공포를 적용하여 설명하기로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공포(3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 보(200)의 상면에 맞닿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크게 무늬와 형상을 형성하는 살미(310)와, 살 미(310)의 후면에 연결되어 기초 건축물(10)에 부착하기 위한 접합부(320), 그리고 접합부(320)의 상면에 설치되어 살미(310)가 지붕(10c)의 하중에 의해 뒤집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로 보(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살미(310)는 공포에서 처마기둥(100) 위의 도리 사이를 소의 혀 모양으로 꾸민 부재로서, 살미(310)에 형성되는 무늬와 형상은 다양하게 전해 내려오는 종래의 것을 채택하고 그 형상에 맞추어 디자인되며, 지붕(10c)의 하중 또는 기둥 보(200)의 길이에 따라 다수 개로 설치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살미(310)의 후방 벽면측 단면 하부는 기둥 보(200)와 접촉되며, 살미(310)의 후방 벽면측 단면 상부는 후술되는 접합부(320)의 정면과 접면되어, 접합부(320)는 경화제와 실리콘이 혼합된 접착제에 의해 기초 건축물(10)의 외벽에 견고히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살미(310)는 디자인적 요소를 가미하도록 기둥 보(200)에 대해 바닥면으로 기울어지게 뻗어 있으며, 그 각도를 15°로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합부(320)는 정면으로 살미(310)의 후방 벽면측 단면 상부와 접면되도록 판상형을 가지고, 후면으로는 기초 건축물(10)의 외벽과 접면되어 앙카피스(미도시)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기초 건축물(10)의 외벽에 견고하게 설치되어 공포(300) 자체의 무게와 지붕(10c)의 무게를 지탱하게 된다. 이러한 접합부(320)가 설치된 살미(310)들은 지붕(10c)의 하중에 의해 뒤집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평부재 즉, 가로 보(330)가 설치된다.
상기 가로 보(3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부(320)의 상부에 위치하며, 양측이 처마기둥(100)의 상단에 상술한 기둥 보(200)의 형태와 같이 접합되어 접합부(320)를 효과적으로 지지하여 지붕(10c)으로부터의 하중을 살미(310)로 균등 분산시키도록 한다.
서까래(400)는 공포(300)의 외벽측 상면에 놓여져 고정되며, 부연(500)은 서까래(400)의 단부에 덧얹어 설치되어 처마 끝을 위로 들어올려진 모양이 나게 한다. 그리고 지붕(10c)은 부연(500)의 상측에 기와 지붕판을 올려 고정된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현대식 건축물을 전통목구조 건축물로 시공할 수 있는 가구식 구조의 시공방법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현대식 건축물을 전통목구조 건축물로 시공할 수 있는 가구식 구조의 시공방법의 순서도이다.
상기와 같은 가구식(架構式) 구조를 갖도록 하는 시공방법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 건축물 설치공정(S10), 처마기둥 설치공정(S20), 기둥 보 설치공정(S30), 공포 설치공정(S40), 서까래 설치공정(S50), 부연 설치공정(S60) 그리고 지붕 설치공정(S70)으로 이루어진다.
기초 건축물 설치공정(S10)은 적어도 정면벽과 측벽 및 후면벽으로 세워진 기초 골조로서, 외벽모서리에 위치한 각 바닥 기초(10a)에 철근이 외벽 밖으로 돌출되도록 철재골조를 설치한다.
처마기둥 설치공정(S20)은 기초 건축물(10)의 외벽모서리에 바닥 기초(10a)로부터 지붕 처마(10b)의 사이에 입설되어 지붕(10c)을 바닥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는 목재로 된 제1 기둥(110) 및 제2 기둥(120)을 세우되, 제1 기둥(110)의 일측면 에 길이방향으로 장홈(112)이 형성되도록 하고, 장홈(112)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기초 건축물(10)의 외벽모서리에 밀착결합시켜 설치한다. 그리고, 기초 건축물(10)의 외벽에 설치되는 제2 기둥(120)은 목재기둥을 2등분하고, 단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밀착결합시켜 설치한다.
기둥 보 설치공정(S30)은 처마기둥(100)의 머리에 동일 수평면상에 결합하여 지붕(10c)의 하중을 지탱하여 강한 구조내력을 지니게 하도록 제1 기둥(110)과 제2 기둥(120)을 연결시킨다. 이때, 처마기둥(100)의 양측에 기둥 보 홈(104)을 구비하고, 기둥 보 홈(104)에 기둥 보(200)의 단부가 통끼움 방식으로 삽입되어 양측 제1 기둥(110)과 제2 기둥(120)을 연결 및 지지한다.
공포 설치공정(S40)은 세부적으로 세 단계로 이루어진다. 첫째, 기둥 보(200)의 상측에 공포(300)의 무늬와 형상을 형성하는 살미(310)를 설치한다. 둘째, 살미(310)의 후면에 연결되어 기초 건축물(10)의 외벽에 부착하기 위한 접합부(320)를 설치한다. 특히, 접합부(320)를 설치하는데 있어서 살미(310)의 후방 벽면측 단면 하부는 기둥 보(200)와 접면되고 살미(310)의 후방 벽면측 단면 상부는 접합부(320)의 정면과 접면되어, 살미(310)과 접합부(320)는 경화제와 실리콘이 혼합된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며, 접합부(320)의 후면은 기초 건축물(10)의 외벽과 접면되어 앙카피스에 의해 기초 건축물(10)의 외벽에 부착고정시킨다. 셋째, 접합부(320)의 상면에 접하여 기초 건축물(10)의 외벽에 부착되어 살미(310)가 지붕(10c)의 하중에 의해 뒤집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로 보(330)를 설치한다.
서까래 설치공정(S5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보(330)가 설치되 면 공포(300)의 외벽측 상면 끝에는 서까래(400)가 놓여져 고정된다.
부연 설치공정(S60)은 서까래(400)의 끝에 덧얹어 설치되어 처마 끝을 위로 들어올려 모양이 나게 한다. 이때 부연(500)은 사각기둥 또는 원통형으로 설치된다.
지붕 설치공정(S70)은, 이와 같이 가구식 구조(架構式 構造)의 조립이 끝나면 서까래 위에 개판 또는 적심을 얹고 보토(흙)를 올린 후 강회다짐을 하고 기와를 올려 도 1에서와 같이 지붕(10c)을 완성한다.
이후 정면의 거의 전부를 벽체 대신 창호로 구성할 수 있는데, 벽체를 형성하는 부위는 측면과 배면이고, 측면 및 배면에 흙을 바르거나 나무로 접합한 후 석회로 마감하여 매끈한 벽체를 완성하여 전통목구조 건축물로의 리모델링이 완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현대식 건축물을 전통목구조 건축물로 시공할 수 있는 가구식 구조 및 시공방법은 현대식 기초 건축물(10)의 안정성에 처마기둥(100), 기둥 보(200) 및 공포(300)의 설치로 전통목구조의 디자인적 요소를 동시에 향상시키게 하며, 조립 또는 해체 과정을 통해 나무 부재의 재순환을 가능하게 하여 환경친화적 건축으로 환경보호에도 상당히 큰 도움을 주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포(300)의 구조는 살미(310), 접합부(320) 및 가로 보(330)의 기능적 또는 디자인적 변형을 통해 다양한 공포 유형을 만들 수 있게 하며, 공포(300)의 대량 생산을 가능하게 한다.
지금까지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현대식 건축물을 전통목구조 건축물로 리모델링된 가구식 구조의 모습을 나타낸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처마기둥에 기둥 보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둥 보의 상면에 공포의 살미 및 접합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포의 접합부의 상면에 가로 보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포의 외벽측 상면 끝에는 서까래 및 부연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현대식 건축물을 전통목구조 건축물로 리모델링된 가구식 구조의 시공방법의 순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기초 건축물 10a. 바닥 기초
10b. 지붕 처마 10c. 지붕
10d. 철재골조 100. 처마기둥
104. 기둥 보 홈 110. 제1 기둥
112. 장홈 120. 제2 기둥
200. 기둥 보 300. 공포
310. 살미 320. 접합부
330. 가로 보 400. 서까래
500. 부연

Claims (5)

  1. 외벽모서리에 위치한 바닥 기초에 철근이 외벽 밖으로 돌출되도록 철재골조가 설치되어 있는 기초 건축물,
    목재기둥의 일측면에 길이방향의 장홈을 형성시키고 상기 장홈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기 철재골조에 하단부가 지지되도록 바닥 기초로부터 지붕 처마의 사이에 입설시켜 지붕을 바닥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도록 밀착결합되어 있는 제1 기둥과, 목재기둥을 길이방향으로 2등분하고 절단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상기 기초 건축물의 외벽 일측에 입설되어 지붕을 바닥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도록 밀착결합되어 있는 제2 기둥을 포함하는 처마기둥,
    상기 제1 기둥 및 상기 제2 기둥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기둥 및 상기 제2 기둥을 상호 연결하는 기둥 보,
    상기 기둥 보의 상측에 설치되어 무늬와 형상을 형성하는 살미, 상기 살미의 후면에 결합되어 앙카피스에 의해 상기 기초 건축물의 외벽에 결합되는 판상형의 접합부, 그리고 상기 접합부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살미가 지붕의 하중에 의해 뒤집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가로 보를 포함하는 공포,
    상기 공포의 외벽측 상면에 놓여져 고정되는 서까래,
    상기 서까래의 단부에 덧얹어 설치되어 처마 끝을 위로 들어올려진 모양이 나게 하는 부연, 그리고
    상기 부연의 상측에 기와 지붕판을 올려 고정되는 지붕을
    포함하는 현대식 건축물을 전통목구조 건축물로 시공할 수 있는 가구식 구조.
  2. 제1항에서,
    상기 기둥 보는,
    상기 처마기둥의 상부 양측에 기둥 보 홈이 형성되고, 상기 기둥 보 홈에 상기 기둥 보가 끼워져 장부 맞춤되어 상기 제1 기둥과 제2 기둥이 상호 연결되어 있는 현대식 건축물을 전통목구조 건축물로 시공할 수 있는 가구식 구조.
  3. 외벽모서리가 위치한 바닥 기초에 철재골조가 외벽 밖으로 돌출되도록 외벽을 설치하는 기초 건축물 설치공정,
    목재기둥의 일측면에 길이방향의 장홈을 형성시키고 상기 장홈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기 철재골조에 하단부가 지지되도록 바닥 기초로부터 지붕 처마의 사이에 제1 기둥을 입설시키고, 목재기둥을 길이방향으로 2등분하고 절단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기 기초 건축물의 외벽에 제2 기둥을 입설시켜 지붕을 바닥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도록 밀착결합시키는 처마기둥 설치공정,
    상기 제1 기둥 및 상기 제2 기둥의 단부에 동일 수평면상에 결합되어 지붕의 하중을 지탱하여 강한 구조내력을 지니게 하도록 상기 제1 기둥과 상기 제2 기둥을 상호 연결시키는 기둥 보 설치공정,
    상기 기둥 보의 상측에 공포의 무늬와 형상을 형성하는 살미를 설치하고, 상 기 살미의 후면에 연결되어 상기 기초 건축물의 외벽에 부착하기 위한 접합부를 설치하고, 상기 접합부의 상면에 접하여 상기 기초 건축물의 외벽에 부착되어 상기 살미가 지붕의 하중에 의해 뒤집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로 보를 설치하는 공포 설치공정,
    상기 공포의 외벽측 상면에 서까래를 놓아 고정시키는 서까래 설치공정,
    상기 서까래의 끝에 덧얹어 설치되어 처마 끝을 위로 들어올려 모양이 나게 하는 부연을 설치하는 부연 설치공정, 그리고
    상기 부연 위에 기와 지붕판을 올려 고정하는 지붕 설치공정을
    포함하는 현대식 건축물을 전통목구조 건축물로 시공할 수 있는 가구식 구조의 시공방법.
  4. 제3항에서,
    상기 기둥 보 설치공정은,
    상기 처마기둥의 상단 양측에 기둥 보 홈을 형성하고, 상기 기둥 보 홈에 상기 기둥 보의 단부가 장부 맞춤되어 상기 제1 기둥과 상기 제2 기둥을 연결시키는 현대식 건축물을 전통목구조 건축물로 시공할 수 있는 가구식 구조의 시공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서,
    상기 공포 설치공정은,
    상기 살미의 후방 벽면측 단면 하부는 상기 기둥 보와 접면시키고 상기 살미 의 후방 벽면측 단면 상부는 상기 접합부의 정면과 접면시키되, 상기 살미과 상기 접합부는 접착제로 부착되며, 상기 접합부의 후면은 앙카피스로 상기 기초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시키는 현대식 건축물을 전통목구조 건축물로 시공할 수 있는 가구식 구조의 시공방법.
KR1020080137995A 2008-12-31 2008-12-31 현대식 건축물을 전통목구조 건축물로 시공할 수 있는 가구식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890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7995A KR100890342B1 (ko) 2008-12-31 2008-12-31 현대식 건축물을 전통목구조 건축물로 시공할 수 있는 가구식 구조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7995A KR100890342B1 (ko) 2008-12-31 2008-12-31 현대식 건축물을 전통목구조 건축물로 시공할 수 있는 가구식 구조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0342B1 true KR100890342B1 (ko) 2009-03-25

Family

ID=40698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7995A KR100890342B1 (ko) 2008-12-31 2008-12-31 현대식 건축물을 전통목구조 건축물로 시공할 수 있는 가구식 구조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034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300B1 (ko) * 2009-08-03 2010-07-01 조경래 철근콘크리트구조와 전통한식목구조가 혼용된 한옥 및 이의 건축방법
KR101085007B1 (ko) 2011-03-22 2011-11-21 주식회사 한국그린피아 전통 한옥지붕을 갖는 건축 구조물
KR101213504B1 (ko) 2009-07-23 2012-12-24 어경해 가구식 건축물의 조립식 한옥 건축공법 및 조립식 한옥 구조
KR101555156B1 (ko) 2014-10-27 2015-09-22 김범식 전통 목조건축의 일체형 화반 설치구조
KR200481105Y1 (ko) * 2015-11-23 2016-08-16 주식회사 황토와문화 이동식 가옥의 지붕구조
KR101707374B1 (ko) * 2016-04-28 2017-02-17 우종태 단열 및 내구성이 보강된 한옥 기둥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850740B1 (ko) * 2016-02-23 2018-04-20 김진우 한옥 및 사찰의 공포 조립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3957A (ko) * 2003-10-07 2005-04-14 김종헌 철골조의 공포 결구구조
KR20050086977A (ko) * 2005-07-28 2005-08-30 (주) 동산조경 건축물 지붕의 체결장치 및 이에 구비되는 지붕서까래체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3957A (ko) * 2003-10-07 2005-04-14 김종헌 철골조의 공포 결구구조
KR20050086977A (ko) * 2005-07-28 2005-08-30 (주) 동산조경 건축물 지붕의 체결장치 및 이에 구비되는 지붕서까래체결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3504B1 (ko) 2009-07-23 2012-12-24 어경해 가구식 건축물의 조립식 한옥 건축공법 및 조립식 한옥 구조
KR100967300B1 (ko) * 2009-08-03 2010-07-01 조경래 철근콘크리트구조와 전통한식목구조가 혼용된 한옥 및 이의 건축방법
KR101085007B1 (ko) 2011-03-22 2011-11-21 주식회사 한국그린피아 전통 한옥지붕을 갖는 건축 구조물
KR101555156B1 (ko) 2014-10-27 2015-09-22 김범식 전통 목조건축의 일체형 화반 설치구조
KR200481105Y1 (ko) * 2015-11-23 2016-08-16 주식회사 황토와문화 이동식 가옥의 지붕구조
KR101850740B1 (ko) * 2016-02-23 2018-04-20 김진우 한옥 및 사찰의 공포 조립구조
KR101707374B1 (ko) * 2016-04-28 2017-02-17 우종태 단열 및 내구성이 보강된 한옥 기둥 구조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0342B1 (ko) 현대식 건축물을 전통목구조 건축물로 시공할 수 있는 가구식 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206570920U (zh) 一种利用alc板设计生产装配式建筑
KR100830240B1 (ko) 어댑터를 이용한 경량 합성구조 시스템의 상하층 경량합성벽체와 콘크리트 바닥 슬래브의 복합화방법
JP6456973B2 (ja) 韓屋及び木造住宅を現代建築に導入した建築構造
WO2006095266A1 (en) Method of constructing structures using prefabricated materials
KR101213504B1 (ko) 가구식 건축물의 조립식 한옥 건축공법 및 조립식 한옥 구조
KR20190030885A (ko) 한옥과 목조 주택을 조합한 견본주택(모델하우스) 시공 방법
KR20020037002A (ko) 가구식 건축물의 조립식 한옥 건축방법 및 그 한옥구조
WO2006032078A1 (en) Modular construction system and method
KR101292748B1 (ko) 가구식 건축물의 맞춤식 공법 및 전통한식 구조
JP3843161B2 (ja) ピロティ
JP2005201011A (ja) ユニット建物及びユニット建物の施工方法
JPH05195575A (ja) パネル及び軸組プレカットパネル嵌め込み構法
CN203742024U (zh) 复合墙板与建筑结构一体化墙体体系
JP3168257B2 (ja) 木造住宅の施工方法
KR102234782B1 (ko) 철골구조로 이루어지면서 전통 한옥의 외관을 갖는 다층 한옥의 골조
KR101386415B1 (ko)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구조체와 모듈러 건축물의 모듈유닛 및 그 제작방법
JP5934124B2 (ja) ユニット式建物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200256938Y1 (ko) 황토 판재를 이용한 건물 구조체
JP7150529B2 (ja) 組立式テント
CN107268776B (zh) 一种带屋架的条板墙体房屋
RU2668888C1 (ru) Способ реконструкции каменного здания
JPH01219230A (ja) 新規な木造三階建家屋の建築工法
KR20210009603A (ko) 철골구조로 이루어지는 다층 하이브리드 전통 목조 건축물의 골조
KR100436414B1 (ko) 황토 판재를 이용한 건물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