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7300B1 - 철근콘크리트구조와 전통한식목구조가 혼용된 한옥 및 이의 건축방법 - Google Patents

철근콘크리트구조와 전통한식목구조가 혼용된 한옥 및 이의 건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7300B1
KR100967300B1 KR1020090071347A KR20090071347A KR100967300B1 KR 100967300 B1 KR100967300 B1 KR 100967300B1 KR 1020090071347 A KR1020090071347 A KR 1020090071347A KR 20090071347 A KR20090071347 A KR 20090071347A KR 100967300 B1 KR100967300 B1 KR 100967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ed concrete
hanok
construction step
wood
bea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1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경래
Original Assignee
조경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경래 filed Critical 조경래
Priority to KR1020090071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73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7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7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6Structures made from masses, e.g. of concrete,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with or without making use of additional elements, such as permanent forms, substructures to be coated with load-bearing material
    • E04B1/165Structures made from masses, e.g. of concrete,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with or without making use of additional elements, such as permanent forms, substructures to be coated with load-bearing material with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cast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옥에 관한 것으로서, 현대건축의 철근콘크리트구조와 전통한식목구조의 혼용공법으로 건축구조적인 면에서 한옥구조에서의 측면 칸사이(Span)의 한계를 극복하여 개방된 공간(넓은 복도, 명쾌한 공간 구성, 배치도 등)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써 한옥내의 관리 인력을 최소화함으로 운영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내구성 문제, 전기, 설비, 냉난방시설 등의 설치, 단열, 방습, 높은 건축비 등의 제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한옥의 아름다움과 미학적 가치, 자연친화적이고 치유적, 대체의학적 기능요소를 갖춘 한옥 및 이의 건축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옥, 철근콘크리트구조, 전통한식목구조

Description

철근콘크리트구조와 전통한식목구조가 혼용된 한옥 및 이의 건축방법{Traditional Korean-style house having reinforced concrete and wood and its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한옥에 관한 것으로서, 현대건축의 철근콘크리트구조와 전통한식목구조의 혼용공법으로 건축구조적인 면에서 한옥구조에서의 측면 칸사이(Span)의 한계를 극복하여 개방된 공간(넓은 복도, 명쾌한 공간 구성, 배치도 등)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써 한옥내의 관리 인력을 최소화함으로 운영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내구성 문제, 전기, 설비, 냉난방시설 등의 설치, 단열, 방습, 높은 건축비 등의 제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한옥의 아름다움과 미학적 가치, 자연친화적이고 치유적, 대체의학적 기능요소를 갖춘 한옥 및 이의 건축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옥은 대목장 또는 도편수라는 목조건축의 최고 장인이 직접 설계, 자재 선정, 부재 가공 및 조립 등의 모든 것을 결정하고 각 부재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가공한 후 조립하는 방법을 따라 건축이 되므로 그 작업공정이 매우 복잡하고 공사기간이 길다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한옥 건축의 주재료인 각종 목재를 톱으로 자르거나 대 패로 깎아내고 끌로 구멍을 파는 등 조립을 할 수 있도록 만드는 전반적인 작업공정을 치목이라 하는데 이는 고도의 숙련공을 필요로 하는 공정이며 작업시간도 오래 걸린다는 문제가 있어왔다.
과거에는 한옥이 다소 불편하다는 인식 때문에 일반 수요자들에게 외면 되었으나 개성을 존중하고 환경친화적인 건물을 선호하는 수요자들이 늘어나면서 최근에는 크게 각광 받고 있는 실정이며, 한옥에 대한 수요도 날로 증대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각종 유흥지, 골프장 등에 한옥식 건축양식이 활발히 도입되고 있는 실정이며, 전성기를 구가하고 있는 사극 드라마의 영향으로 전통양식의 한옥을 기반으로한 드라마세트장 건설이 붐을 이루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와 같은 건축방법으로는 한옥의 건축기간도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건축비용도 높다는 문제가 있다. 현재도 일반 살림집으로 짖는 한옥의 건축 비용은 여타 현대식 건축물이나, 목조건축 및 통나무 건축 등과 비교하여 볼 때 건축비용이 상당히 높은 것이 사실이다. 또한, 최근에 한류의 붐과 더불어 한옥의 수출도 중장기적인 핵심사업으로 추진할 필요성이 절실하나 제한된 기술자의 확보 및 체계화된 시스템의 부재로 인하여 한옥의 국제화는 아직까지 이뤄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옥의 문제점 및 장애요인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한옥은 기본적으로 내구성에 문제가 있다. 그 중에서도 습기와 관련된 문제가 가장 심각하다. 예를들면 지붕위에 올리는 다량의 흙이다. 지붕을 되도록 가볍게 처리하려는 서양식 건축의 입장에서 보면 이것은 매우 충격적이다. 물론 이 흙이 있어서 지붕선이 유지되고 단열도 되며 건물이 흔들리지 않는다. 그러나 결국 이 흙으로 인해 한옥지붕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 또한 사실이다. 한옥을 해체해 보면 서까래를 포함한 지붕 목구조의 상당 부분이 썩어 있다. 습기를 머금은 흙과 직접 닿아 있으니 피할 수 없는 결과다.
둘째, 협소성이다. 한옥은 그 기본재료인 목재의 한계로 인하여 기본적으로 콘크리트 일반 현대식 건물에 비해 공간이 협소하다.
셋째, 생활이 불편하다. 현대적 주방, 욕실, 냉난방 등 삶을 편리하게 해 주는 모든 것이 불편하다.
넷째, 한옥은 원래 천연재료로만 지어진다. 예를 들면 벽에 바르는 회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다시마를 끓인 물을 사용하는데, 이는 그 안의 섬유질을 이용하여 회가 잘 떨어지지 않게 하는 것이 목적이다. 즉 일종의 섬유보강구조(fiber-reinforced structure)이다. 웰빙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한옥의 이러한 특성은 더할 나위 없는 좋은 장점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그러나 문제는 있다. 인간에게 좋은 환경은 동시에 벌레와 동물들에게도 좋은 환경이다. 천연벽지에는 곰팡이가 잘 피며, 댓가지로 엮고 흙과 짚을 섞어 채운 벽에는 벌레가 생긴다. 자연친화 주택을 이야기하고 새집증후군을 비판하는 이면에는 이런 어려움이 있다.
다섯째, 한옥은 사실 흙의 단열성능은 그리 대단한 것이 못 된다. 웃풍이 심한 한옥의 특성은 이렇게 단열이 취약한 데서 오는 것이다.
여섯째, 기와집은 비싸다. 경제성은 모든 것에 앞서 한옥이 지닌 가장 큰 문제다. 예나 지금이나 한옥, 그중에서도 기와집은 비싼 집이다. 그러니 보통 사람들은 이런 집에 살기 어려웠다. 오죽 했으면 이상적인 집을 이야기할 때 고래등 같은 기와 집’이라고 했을까 그만큼 한옥은 사람의 손이 많이 가고, 재료 또한 쉽게 구하거나 가공할 수 있는 것들이 아니다. 이런 상황에서 한옥의 아름다움, 미학적 가치만을 노래하는 것은 고답적인 태도이다. 결국 주거와 관련된 우리 사회의 기본 상황이 변했고, 한옥이 충분히 대응하지 못했다는 것을 인정할 필요가 있다.
한편, 한옥의 제조공정을 간단히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1. 부지공사: 1) 측량 및 규준틀 설치 2) 토공사(부지조성) 3) 좌향의 확인
2.기초공사 
3.초석설치 
4. 목재재제ㆍ치목ㆍ조립(조립순서)
기둥→익공→창방→주두→소로→장여→퇴량→대들보→측량→주심도리→동자주→종량→중장여→중도리→대공→대공소로→창방→상장여→상도리→추녀→서까래(장연)→평고대→갈모산방→선자연서까래(단연)→서까래개판→선자연개판→사래→벌부연→이매기→선자부연→부연개판→집부사→풍판→박공→목기연개판→적심도리(마룻도리)
5.지붕공사(보토다짐→적심설치→강회다짐→기와잇기(암막새→암기와→수막새→수키와→착고 부고→용마루→내림마루))
6. 수장공사
7. 미장공사(벽심설치→초벽치기→사벽바름→재사벽ㆍ회사벽바름)
8. 기단공사 및 창호공사(전기ㆍ설비공사)
결국 종래의 한옥은 이러한 복잡한 공정을 거치고, 그로 인하여 많은 건축비를 필요로 하면서도 그 구조적인 한계로 인하여 여러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현대건축의 철근콘크리트구조와 전통한식목구조의 혼용공법으로 건축구조적인 면에서 한옥구조에서의 측면 칸사이(Span)의 한계를 극복하여 개방된 공간(넓은 복도, 명쾌한 공간 구성, 배치도 등)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함이며, 이로써 건물관리 인력을 최소화함으로 운영관리비용을 절감, 내구성 문제, 전기, 설비, 냉난방시설 등의 설치, 단열, 방습, 높은 건축비 등의 제반의 문제를 해결하고, 또한 한옥의 아름다움과 미학적 가치,자연친화적이고 치유적, 대체의학적 기능요소를 살린 철근콘크리트구조와 전통한식목구조가 혼용된 한옥 및 이의 건축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철근콘크리트구조와 전통한식목구조가 혼용된 한옥은 기둥과 보는 철근콘트리트 구조물로 만들어지고, 상기 기둥과 보에 연결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은 목재 구조물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기둥 사이에 위치하는 내벽이 벽돌로 만들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철근콘크리트구조와 전통한식목구조가 혼용된 한옥의 건축방법은 측량 및 규준틀 설치, 부지조성, 좌향의 확인을 거치는 부지공사단계; 한옥이 설치될 바닥을 다지는 기초공사 단계;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기둥과 보를 시공하기 위하여 먹매김, 거푸집공사, 철근공사, 콘크리트 타설의 과정을 실시하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단계; 상기 기둥과 보에 연결되어 한옥을 이루는 목재를 제재, 치목, 조립하는 목재 구조물 시공단계; 적심설치 후 기와잇기를 실시하는 지붕공사단계;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단계에서 형성된 내벽에 사벽바름후 재사벽ㆍ회사벽바름 과정을 거치는 미장공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단계 이후에 기둥 사이에 위치하는 내벽을 벽돌로 쌓는 내벽시공단계가 추가로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철근콘크리트구조와 전통한식목구조가 혼용된 한옥은 한옥의 장점인 수려한 아름다움과 미학적 가치, 자연친화적이고 치유적, 대체의학적 기능요소를 살리면서도 대량 및 기둥 등의 주요구조재를 철근콘크리트로 구성함으로써 비싼 목재의 수요량과 목재치목에 따른 전통한식목수의 인건비를 절감하고, 한식목구조의 평면 및 단면 계획상의 한계를 극복하여 대형건물 및 기능적인 건물 등에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철근콘크리트구조와 전통한식목구조가 혼용된 한옥의 건축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철근콘크리트구조와 전통한식목구조가 혼용된 한옥의 건축방법은 부지공사단계, 기초공사단계,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단계, 목재 구조물 시공단계, 지붕공사단계, 미장공사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이하 각 단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부지공사단계는 측량 및 규준틀 설치, 부지조성, 좌향의 확인을 거친다.
1) 측량 및 규준틀 설치
가. 측량 : 실제의 부지와 설계도서와 정합을 확인하기 위하여 평면측량, 고저측량을 한다.
나. 기준점 설치: 기준점에는 위치, 표고 등을 표시하여 공사의 기준이 되도록 한다.
다. 규준틀 설치 : 규준틀은 설계도서에 따라 건물의 모서리 및 기타 필요한 장소에 설치한다.
2) 토공사(부지조성)
가. 터고르기 : 부지 안에 있는 장애물은 처리하고 터고르기를 한다.
나. 터파기 : 굴착사면의 경사 및 높이는 토질, 지하수, 주변의 상황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다. 사면 및 바닥고르기 : 모든 굴토, 성토시의 사면은 도면에 표시된 경사, 단면 지반고에 맞추어 잘 다져야 한다.
라. 되메우기 및 잔토처리 : 되메우기는 지형의 원상복구를 원칙으로 한다.
3) 좌향의 확인
: 집터가 닦이면, 설계 시 결정한 집이 들어설 자리, 좌향을 실제로 현장에서 확인한다. 고려할 주요한 사항 중에 하나인 풍수는, 집의 방향, 높이, 조망 등에서 세심한 배려를 요구하므로 반드시 현장에서 재확인/재조정하는 과정을 필요로 한다.
기초공사단계는 한옥이 설치될 바닥을 다지는 단계이다.
기초공사의 경우는 전통한옥에서는 잡석지정, 입사지정, 삼화토지정, 판축지정 등 여러공법을 사용하였으나 최근에는 무근콘크리트독립기초나 철근콘크리트 독립기초, 철근콘크리트온통기초 등의 기초공법을 사용한다.
1) 잡석지정 : 생땅이 나올때까지 구덩이를 판 후 잡석을 한층 한층 다져서 채우는 지정.
2) 입사지정 : 다진 잡석층 위에 모래를 덮고 물로 다지는 지정.
3) 삼화토지정 : 석회,흙,석비례를 1:1:1정도의 비율로 섞어 만든 것을 물로 다지는 지정.
4) 판축지정 : 잡석층과 강회층을 반복하여 다져 채우는 지정.
5)무근콘크리트 독립기초 : 콘크리트는 잡석층 위에 거푸집을 이용하여 규정강도(210kg/c㎡)이상의 레미콘을 사용하여 타설한다.
6) 철근콘크리트 독립기초: 연약지반에서 충분한 지내력을 얻기 위하여 기초 깊이 를 다르게 시공하는 경우가 있다.
7) 철근콘크리트 온통기초 : 성토지반, 이질지반인 경우, 전체적으로 연약한 지반일 경우 전반적인 침하가 예상되므로 온통기초를 설치하여야 한다.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단계는 한옥 건축과정에서 한옥의 뼈대를 이루거나 많은 목재를 필요로 하면서도 한옥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부분인 기둥과 보를 철근콘크리트 구조물로 시공하기 위하여 먹매김, 거푸집공사, 철근공사, 콘크리트 타설하는 단계이다.
한옥에서 뼈대를 이루는 부분에는 굵고 긴 목재가 사용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목재를 구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한옥에서는 많은 기둥의 사용되어지고 이로 인하여 한옥구조에서의 측면 칸사이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부분에 목재 대용으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을 사용함으로 인하여 측면 칸사이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반면의 이러한 기둥과 보는 한옥의 내부에 있는 부분으로서 외부는 노출이 되지 않는 부분인데, 본 발명에서는 기둥과 보의 외부는 후술하는 목재 구조물 시공단계에서 목재구조물로 시공되므로, 본 발명에 의한 한옥을 외부에서 볼 때에는 전통적인 한옥과 마찬가지로서 전통한옥의 아름다움과 미적감각을 그대로 살리고 있다.
즉 종래의 전통한옥구조의 경우 골조부의 주요 부재인 기둥, 보, 도리, 인방, 연목(부연) 등이 목조로 이음, 맞춤 등의 결구로 짜여지나, 이에 반해 본 발명에 의한 철근콘크리트구조와 전통한식목구조가 혼용된 한옥의 건축방법의 골조부는 주요구조재 중 목재수량이 많이 차지하는 기둥, 보 등의 부재가 철근콘크리트로 골조를 형성한다는 점이며, 이에 건물벽면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인 보머리, 익공, 주두, 소로, 창방, 인방 등의 부재만 이음, 맞춤, 붙임 등으로 결구되어 구성된다는 점이 큰 차이점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의 기둥과 보는 목재가 사용되는 부분과 결합 될 수 있도록 시공되어야 한다.
본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단계에서는 철근콘크리트가 시공될 위치를 표시하는 먹매김, 먹매김된 위치에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공사, 강도보강을 위한 철근공사와 마지막으로 콘크리트 타설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한옥의 기둥 사이에 위치하는 내부 벽체(내벽)는 벽돌로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단계 이후에 내벽을 벽돌로 쌓는 내벽시공단계를 추가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서 한옥구조에서 느낄 수 있는 습기가 가득찬 꿉꿉한 흙냄새가 줄어들게 된다.
목재 구조물 시공단계는 상기 기둥과 보에 연결되어 한옥을 이루는 목재를 제재, 치목, 조립하는 단계이다. 제재란 원통형의 나무를 동력이나 기계를 사용하여 켜는 일을 말한다. 목재를 톱으로 자르거나 대패로 깍아내고 끌로 구멍을 파는 등 조립 을 할 수 있도록 만드는 전반적인 작업공정을 치목(治木)이라 한다. 치목의 순서는 서까래, 주요부재 순으로 진행된다. 한 부재의 치목은 일반적으로 겉목치기 - 먹매김 - 대패질 - 마름질 - 바심질의 순으로 진행된다. 바심질이 끝나면 부재번호를 기입하여 치목을 일단락 한다. 이 치목의 과정 또한 종래의 한옥 건축방법과 차이가 없으며 결구기법의 차이로 인한 치목의 차이가 날뿐, 근본적으로 한옥 건축방법의 치목기법과 결구기법을 따른다는 점은 차이가 없다.
종래의 한옥건축방법의 결구법은 기둥과 보아지의 결구는 기둥에 보아지를 통끼움(통맞춤)이며, 장혀와 기둥의 결구는 장혀의 주먹장부를 기둥의 사괘에 내리끼움(맞춤)을 하였다. 그 위에 보의 숭어턱을 내리 끼운 다음 도리의 두겁주먹장을 내리 맞춤을 하는 결구법이다.
반면에 본 발명에 의한 철근콘크리트구조와 전통한식목구조가 혼용된 한옥의 건축방법의 결구법은 기둥의 사괘에 보아지를 통끼움한 뒤 장혀를의 주먹장부를 기둥사괘에 내리 맞춤한다. 그 위에 보머리 숭어턱을 내리끼우고 도리의 두겁주먹장을 내리 맞추는 결구법이다. 도 2는 종래의 한옥과 본 발명에 의한 한옥의 결구법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종래의 한옥의 결구법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한옥의 결구법을 도시한 것이다.
결국 결구기법과 치목법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으나 본 발명에 의한 철근콘크리트구조와 전통한식목구조가 혼용된 한옥의 건축방법의 결구법은 건물외부벽면에 노출 되는 부분만 결구되어 진다는 점이 다른점이라 할 수 있다. 이로서 건물외부에서 볼때는 전통한옥목구조와 같은 외관을 유지하면서 목구조의 구조역학적인 하중의 문제를 철근콘크리트구조로 대체하므로서 목재수량이 감소하여 목재비ㆍ재제비ㆍ치목비와 조립에 따른 인건비가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목재 기둥이 다른 목재와 결구되는 부분인 화통가지는 결구의 편리성과 결구 강도 향상을 위하여 도 3과 같은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기둥의 화통가지(111)에서 주먹장(210)이 결합하는 부분은 상기 기둥의 중앙부분에서 외부로 나아가면서 폭이 점점 좁아지는 형태를 가진다. 마찬가지로 주먹장(210)도 이와 결합될 수 있는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결구시 쉽게 빠지지 않고 그 결합의 강도가 향상된다.
- 다음은 주요 목재 부재의 치목방법을 언급하였다.
1. 기둥
1) 사각으로 제제한 재목을 모탕위에 놓고 고정시킨 뒤 양쪽 마구리 단면을 자르고, 다듬는다.
(2) 마구리 부분에 다림추를 내려 중심선을 긋는다.
(3) 4면을 평활하게 대패질한다.
(4) 기둥상부 마구리에 익공이 조립되는 부분은 곧은장으로 먹선을 그리고 창방이 조립되는 부분은 주먹장으로 그린다.
(5) 먹선에 따라 톱질한 후 끌로 파내고 다듬는다.
(6) 수장재(하방, 상방, 중방)를 끼울 부분은 쌍장부 홈을 그려 파낸다.
2. 장여
1) 장방형 단면으로 제재한 재목을 대패질 한다.
2) 장여간 이음은 제혀 주먹장이나 주먹장이음을 하는데, 장여와 장여를 맞댄 후 기둥 중심선에서 보의 숭어턱 폭 만큼 선을 그어 톱으로 따낸다.
3) 굴도리집 장여는 도리를 얹을 수 있도록 장여 윗면을 도리 곡률에 맞춰 배대패로 깍아낸다.(납도리 경우는 납도리 밑면과 장여의 윗면이 밀착되도록 평탄하게 깍는다.)
3. 보
1) 사각으로 제재한 재목을 설계치수에 맞게 대패질한 다음 굽이를 살펴 중심먹을 친다.
2) 보머리의 상부에는 보목 가공선을 그리는데 장여와 도리를 조립할 수 있도록 한다. 하부는 주두 위에 조립되므로 주두 치수대로 먹선을 긋는다.
3) 먹선에 따라 먼저 톱으로 홈을 내고 도끼나 자귀로 깍아 낸다. 숭어턱 만을 남기고 굴도리와 장여, 주두가 조립될 부분을 따낸 다음 끌로 다듬는다.
4) 보머리조각은 도안을 떠서 사용하는데 보 뺄목 부위에 도안을 대고 먹칼 등으로 그린다.(게눈각조각)
5) 뺄목은 먹선을 따라 조각끌을 이용하여 새긴다.
6) 보의 상면은 평활하게 하고 밑면은 보의 중앙이 시각적으로 처져 보이는 것을 교정해 주기 위하여 마무리는 곱 대패로 살짝 굴려준다.
4. 도리
1) 부재를 모탕위에 놓은 뒤 양쪽마구리 단면을 자르고 다듬는다.
2) 양쪽마구리에 중심먹을 그린다.
3) 양쪽마구리에 도리 지름에 해당하는 치수로 정사각형을 그린다. 몸통에도 먹선을 친다, 8각으로 다시 마구리에 먹선을 그린 후 몸통에도 먹선을 친다.
4) 자귀나 도끼를 이용하여 모서리를 깍는다.
5) 16, 32각이 되도록 위 작업을 반복하여 모서리는 대패로 깍아낸다.
6) 원형으로 대패질이 끝나고 나면 부재의 손상여부나 흠, 굽이 등을 살펴 상하로 구분하고 다림추를 놓아 다시 중심선을 확인한다.
7) 표면이 매끄러운 곡면이 되도록 대패질하여 마무리 한다.
8) 원형으로 치목된 굴도리는 보 위에 놓이므로, 보의 숭어턱에 해당하는 치수 만큼 도리를 따낸다.
9) 보를 중심으로 도리 간 이음은 나비장으로 한다. 도리 끝에는 주먹장을 그려 따내고 조립 할때는 대칭되는 부재의 주먹장과 이음하여 주먹장 홈에 나비장을 끼운다.
5. 대공
1) 대공은 높이를 적당히 등분한 뒤 은못이음하여 사용한다.
2) 중심선을 기준으로 도리, 장여, 소로, 창방을 조립할 부분에 그림과 같이 주먹장 치수와 따내야 할 소로 모양을 그린다.
3) 소로, 창방, 장여, 도리 등의 다른 부재를 대공에 조립할 수 있도록 홈을 판다. 창방과 장여는 주먹장, 도리는 반원과 숭어턱으로 가공, 소로는 소로 치수대로 끌을 이용하여 따낸다. 대공소로는 통따넣기 한다.
4) 대공상부(어깨)는 서까래가 걸리지 않도록 빗깍기 한다.
6. 추녀
1) 길이 방향의 양면을 도끼나 자귀로 치수에 맞춰 깍고 1차 대패질한다.
2)주심도리를 기준하여 외목끝점(평선자자리)과 내목끝점(중도리)을 연결하는 먹선을 친다.
3)합판으로 만든 현촌도를 추녀 외목의 한 면에 대고 그린다.
4) 선에 맞춰 직각으로 마구리를 절단한 후 이를 기준으로 다른 한 면에도 현촌도를 대고 그린다.
5) 추녀 외목 밑면은 약간 둥글게 깍아 주고 끝부분에는 게눈각을 새긴다.
6) 내목의 밑면은 평평하게 깍아준다.
7) 추녀의 외목 끝부분에는 평고대를 조립하는데 평고대가 앉을 자리는 평고대가 밀리지 않을 정도로 얕게 따낸다.
8) 마지막으로 손대패질 하여 마무리 한다.
7. 사래
- 사래는 부연을 거는 겹처마 집에만 있는 부재로 추녀 위에 조립한다. 치목은 추녀와 동일하다. 다만 사래의 하부는 평고대(초매기)와 결구되므로 평고대 자리만큼 따내야 한다.
8. 평고대
1) 조로평고대는 자연스럽게 휜 부재를 켜서 사용한다.
2) 개판에 조립되는 평고대의 안쪽은 홈을 파낸다.
3) 평고대(초매기)상부는 전면에서 5푼 정도 띄운 다음 부연을 조립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깍아낸다.
4) 평고대의 이음은 연귀반턱맞춤을 하는데 조로 평고대의 이음은 선자연을 지나 평서까래 위에서 이어야 한다.
9. 서까래
1) 원목의 경우 상하부를 좌판 위에 앉힐 수 있게 대패질한 후 중심먹을 친다.
2) 목재의 밑둥이 연목 마구리가 되게 좌판 위에 놓고 외목과 내목 기점을 표시한 후 휘어진 정도에 따라 번호(나이)를 부여한다.
3) 좌판 경사에 맞춰 서까래 마구리 경사를 그린다.
4) 먹선에 따라 서까래 마구리를 자르고 대패로 다듬은 후 서까래 마구리 지름에 해당하는 원을 그린다.
5) 먹선에 따라 자귀나 대패를 이용하여 초벌깍기 한다.
6) 서까래 끝은 보통의 경우 서까래 내민 치수의 1/3지점에서 조금 후려 깍는다.
7) 손대패를 이용하여 마무리 한다.
8) 짧은 서까래와 맞닿는 부분은 서로 엇깔려 물리므로 양볼을 따낸다.
10. 선자서까래
1) 중도리 중심선과 추녀 가장자리 선의 교차점을 기준하여 선자연 나누기를 한다.
2) 초장은 반원형이 아닌 선자연 마구리 면적의 2/3정도에 해당하는 원으로 한다. 원형의 1/3정도는 평활하게 깍아낸다. 이는 추녀 양볼에 붙이기 위해서이다.
3) 선자 나누기 하여 얻은 값(통)을 참고하여 2장, 3장 순으로 치목한다.
11. 부연
1) 외목과 내목, 마구리 경사를 결정하여 얇은 합판으로 현촌도(本)를 만든다.
2) 재목의 한 면을 평평하게 대패질하고 마구리를 경사에 맞춰 자른다.
3) 대패질 한 면에 부연 모양을 본떠 만든 합판을 대고 그린다.
4) 그려진 부연 모양에 맞춰 대패로 다듬는다.
5) 뒤초리 길이는 외목길이의 1.5-2배 정도가 적당하나 처마물매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6) 부연외목 옆볼은 부연내밀기의 1/3지점에서 경사지게 후려 준다.
7) 마지막으로 손대패질 하여 마무리한다.
8) 부연을 조립할 때 부연 착고 끼울 위치를 표시하고 톱과 끌을 이용하여 홈을 파낸 다음 못을 박아 고정시킨다.
12. 선자부연
1) 곡재를 사래 옆에 대고 곡에 따라 먹선을 친다. 이때 앞부분은 이매기에 닿게 하고 뒤초리는 선자개판 위에 닿아야 한다.
2) 먹선 따라 자귀를 이용하여 깍는다.
3) 선자부연 마구리는 경사지게 자르고 벌부연과 동일하게 외목의 1/3지점에 양볼을 후려 준다.
4) 조립할 때 평고대(이매기)선에 맞추어 부연착고자리를 경사지게 따 내는데 먼저 먹칼로 선을 그린 다음 톱과 끌을 이용하여 널 홈을 판다.
13. 박공
1) 박공은 곡재를 사용하는데 4면에 조립 될 박공의 휜 정도가 같아야 한다.
2) 제재한 박공감을 평평하게 대패질 한 다음 긴 장척이나 곧고 긴 각재를 이용하여 박공의 곡선을 만든다.
3) 곡선에 따라 톱으로 켜낸 다음 대패로 다듬는다.
지붕공사단계는 지붕을 완성하는 단계이다. 종래의 한옥에서는 보토다짐?적심설치?강회다짐?기와잇기의 과정을 거치게 되나, 본 발명에서의 지붕공사단계는 종래의 한옥건축방법의 보토다짐ㆍ 강회다짐의 공정이 필요없게 된다. 이는 혼용공법에서는 콘크리트 슬라브골조가 형성되기 때문에 앙토를 받기위한 보토다짐과 지붕방수를 위한 강회다짐 공정이 필요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지붕공사단계는 적심설치후 바로 기와잇기 과정을 진행하게 된다.
미장공사단계에 있어서도, 종래의 한옥의 건축방법에서는 벽심설치→초벽치기→사벽바름→재사벽ㆍ회사벽바름 과정을 거치게 되나, 본 발명에 의한 철근콘크리트구조와 전통한식목구조가 혼용된 한옥의 건축방법에서는 벽돌을 사용하기 때문에 벽심설치ㆍ초벽치기(홑벽치기ㆍ맞벽치기)의 공정이 필요없게 된다. 한편 벽돌의 외측면은 시멘트 미장을 발라서 시멘트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멘트층의 외부에는 진흙, 모래, 강회를 혼합하여 사벽을 바르고 그 위에 재사벽을 바르는 절차를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서 한옥구조에서 느낄 수 있는 습기가 가득찬 꿉꿉한 흙냄새가 줄어들며, 공사기간을 줄일 수 있으며, 공정이 줄어들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한옥의 일부분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조재로서 설계되는 기둥(110)과 보(120)는 철근콘크리트로 시공되어지고, 내벽(130)은 벽돌로 시공되어지며, 벽돌로 시공된 내벽(130)의 외측면에는 시멘트로 미장하여 시멘트층(140)을 형성한다. 시멘트층(140)의 외부는 사벽(150), 재사벽(160)이 형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철근콘크리트구조와 전통한식목구조가 혼용된 한옥의 건축방법의 흐름도,
도 2는 종래의 한옥과 본 발명에 의한 한옥의 결구법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3은 기둥 화통가지의 결구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한옥 일부분에 대한 단면도이다.

Claims (4)

  1. 구조재인 기둥과 보는 철근콘트리트 구조물로 만들어지고, 상기 기둥과 보에 연결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비구조재인 목재 기둥과 목재 보와 같은 목재 부재들은 목재 구조물로 만들어지는 철근콘크리트구조와 전통한식목구조가 혼용된 한옥에 있어서,
    상기 목재 구조물의 목재 부재들은 노출되는 부위에서만 상호간에 결구되고,
    상기 목재 구조물의 비구조재인 기둥에는 화통가지가 마련되고,
    상기 화통가지에서 상기 목재구조물의 주먹장이 결합하는 부분은 기둥의 중앙부분에서 외부로 나아가면서 폭이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한옥의 지붕 골조는 콘크리트 슬라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구조와 전통한식목구조가 혼용된 한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콘크리트 기둥 사이에 위치하는 내벽이 벽돌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구조와 전통한식목구조가 혼용된 한옥.
  3. 측량 및 규준틀 설치, 부지조성, 좌향의 확인을 거치는 부지공사단계;
    한옥이 설치될 바닥을 다지는 기초공사단계;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기둥과 보를 시공하기 위하여 먹매김, 거푸집공사, 철근공사, 콘크리트 타설의 과정을 실시하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단계;
    상기 철근콘크리트 기둥과 보에 연결되어 한옥을 이루는 목재를 제재, 치목, 조립하여 비구조재인 목재 기둥과 목재 보와 같은 목재 부재들을 시공하는 목재 구조물 시공단계;
    적심설치 후 기와잇기를 실시하는 지붕공사단계;
    상기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단계에서 형성된 내벽에 사벽바름후 재사벽ㆍ회사벽바름 과정을 거치는 미장공사단계가 마련되고,
    상기 목재 구조물 시공단계는 목재를 노출되는 부위에서만 결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목재 구조물 시공단계는 상기 목재 기둥에 화통가지를 형성하되, 상기 화통가지에서 상기 목재 구조물의 주먹장이 결합하는 부분이 기둥의 중앙부분에서 외부로 나아가면서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지붕공사단계는 콘크리트 슬라브를 이용하여 지붕 골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구조와 전통한식목구조가 혼용된 한옥의 건축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단계 이후에 기둥 사이에 위치하는 내벽을 벽돌로 쌓는 내벽시공단계가 추가로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구조와 전통한식목구조가 혼용된 한옥의 건축방법.
KR1020090071347A 2009-08-03 2009-08-03 철근콘크리트구조와 전통한식목구조가 혼용된 한옥 및 이의 건축방법 KR100967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347A KR100967300B1 (ko) 2009-08-03 2009-08-03 철근콘크리트구조와 전통한식목구조가 혼용된 한옥 및 이의 건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347A KR100967300B1 (ko) 2009-08-03 2009-08-03 철근콘크리트구조와 전통한식목구조가 혼용된 한옥 및 이의 건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7300B1 true KR100967300B1 (ko) 2010-07-01

Family

ID=42645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1347A KR100967300B1 (ko) 2009-08-03 2009-08-03 철근콘크리트구조와 전통한식목구조가 혼용된 한옥 및 이의 건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730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350B1 (ko) 2011-02-01 2011-06-30 임지중 모형용 조립체
KR101566891B1 (ko) * 2015-06-12 2015-11-06 라은건설 (주) 한옥 양식의 건축물 시공방법
KR20200104753A (ko) 2019-02-27 2020-09-04 주식회사 한진건설 콘크리트 상부 수평면처리 연목성형거푸집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상부 수평면처리 연목성형거푸집
CN113982102A (zh) * 2021-10-25 2022-01-28 杨霁 一种装配式钢筋混凝土建筑主体结构
KR102526359B1 (ko) * 2022-09-19 2023-05-04 (주)피씨엠글로벌기술사건축사사무소 소방 제연설비중 수직풍도 골조 일체형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6206A (ko) * 2003-12-03 2003-12-24 홍용환 전통 한옥의 소형부재를 기둥과 옹벽에 일체로 설치하는방법
KR100890342B1 (ko) * 2008-12-31 2009-03-25 안중각 현대식 건축물을 전통목구조 건축물로 시공할 수 있는 가구식 구조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6206A (ko) * 2003-12-03 2003-12-24 홍용환 전통 한옥의 소형부재를 기둥과 옹벽에 일체로 설치하는방법
KR100890342B1 (ko) * 2008-12-31 2009-03-25 안중각 현대식 건축물을 전통목구조 건축물로 시공할 수 있는 가구식 구조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350B1 (ko) 2011-02-01 2011-06-30 임지중 모형용 조립체
KR101566891B1 (ko) * 2015-06-12 2015-11-06 라은건설 (주) 한옥 양식의 건축물 시공방법
KR20200104753A (ko) 2019-02-27 2020-09-04 주식회사 한진건설 콘크리트 상부 수평면처리 연목성형거푸집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상부 수평면처리 연목성형거푸집
CN113982102A (zh) * 2021-10-25 2022-01-28 杨霁 一种装配式钢筋混凝土建筑主体结构
KR102526359B1 (ko) * 2022-09-19 2023-05-04 (주)피씨엠글로벌기술사건축사사무소 소방 제연설비중 수직풍도 골조 일체형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40812B (zh) 铝合金房屋
US8429876B2 (en) Concrete rib construction method
KR100967300B1 (ko) 철근콘크리트구조와 전통한식목구조가 혼용된 한옥 및 이의 건축방법
KR101730460B1 (ko) 철골조물과 전통 목조건축기법을 혼용한 하이브리드 한옥 및 그러한 하이브리드 한옥의 건축방법
Jones Building with straw bales: a practical manual for self-builders and architects
US20050155297A1 (en) Massive construction system using rock masonry
Hall et al. European modern earth construction
Kiroff et al. Sustainable construction technologies: Earth buildings in New Zealand
KR20190030885A (ko) 한옥과 목조 주택을 조합한 견본주택(모델하우스) 시공 방법
CN106522222A (zh) 基于在家具厂房成型时实现预埋桩基础的操作工艺
Öztank An investigation of traditional Turkish wooden houses
Tugui et al. Earth buildings in Romania. Tradition and perspectives
Bański et al. Architectural transformations of residential buildings in rural areas of the Lublin region
CN2778940Y (zh) 多功能多形建筑板材
Slocombe Traditional Building Materials
Seddon Practical Pole Building Construction: With Plans for Barns, Cabins, & Outbuildings
Farm Information guide to straw bale building
Milutiene et al. Straw bale building–reaching energy efficiency and sustainability in Northern Latitudes
Pericleanu et al. Restoration and preservation of the authentic traditional housing model. Case study-the peasant house in the Danube Delta area
Craswell A pinch of pepper
Schaaf Architektura szkieletowa i technika budowlana na początku XVIII wieku na przykładzie rozbudowy kościoła w Rościsławicach
Woredekal Restoration of historical monuments of Gondar
McLeod Glazed paradox
Barbeta et al. A pentagonal block home
Elsayed Straw bale is future house building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