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6415B1 -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구조체와 모듈러 건축물의 모듈유닛 및 그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구조체와 모듈러 건축물의 모듈유닛 및 그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6415B1
KR101386415B1 KR1020120072491A KR20120072491A KR101386415B1 KR 101386415 B1 KR101386415 B1 KR 101386415B1 KR 1020120072491 A KR1020120072491 A KR 1020120072491A KR 20120072491 A KR20120072491 A KR 20120072491A KR 101386415 B1 KR101386415 B1 KR 101386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plate structure
modular building
pillar member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2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6330A (ko
Inventor
김갑득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72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6415B1/ko
Publication of KR20140006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6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6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6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02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 E04B5/08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assembled of block-shaped elements, e.g. hollow 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04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04B1/043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3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three-dimensional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04B1/34853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the supporting structure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구조체와 모듈러 건축물의 모듈유닛 및 그 제작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구조체는,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포함하는 복수의 모듈유닛이 상하 또는 좌우로 조립 시공되는 모듈러 건축물에 사용되는 바닥판 구조체로서, 상기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을 구성하는 바닥판부재; 및, 상기 바닥판부재의 테두리에 마주보도록 설치되며, 상기 바닥판부재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적어도 한쌍의 테두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판부재와 상기 테두리부재는 콘크리트 재질로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부재는, 양단에 기둥부재가 볼트 접합되도록 상기 테두리부재의 콘크리트에 일부가 매립 설치되는 매립볼트를 구비하는 접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구조체와 모듈러 건축물의 모듈유닛 및 그 제작방법{FLOOR STRUCTURE AND MODULAR UNIT OF MODULAR BUILD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구조체와 모듈러 건축물의 모듈유닛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모듈러 건축물의 제작기간과 제작비용을 절감하는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구조체와 모듈러 건축물의 모듈유닛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듈러 공법(Modular Construction)은 공장에서 제작 및 조립된 3차원적인 상자형의 모듈 유닛을 현장으로 운반하여 조립하는 공법이다. 상기 모듈 유닛은 전기 및 기계설비, 창호를 포함한 내외장재, 바닥재, 천장재 등을 포함한다. 이에 건축물의 90% 이상이 공장에서 완성된다.
모듈러 공법을 적용한 모듈러 건축물은 공장에서 제작된 각 모듈 유닛을 현장에서 상하, 전후, 좌우로 조립하여 완성된다. 또한, 상기 모듈 유닛은 동일한 형태와 크기로 제작되어 조립 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모듈러 건축물은 공장생산을 통한 품질의 향상과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여 현장시공시 공기 단축을 통한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어 최근 들어 다양한 유형의 건축물에 폭넓게 적용되고 있다.
모듈러 건축물을 구성하는 시스템에는 구조시스템, 바닥판 시스템과, 벽체시스템, 천장시스템, 화장실시스템, 전기 및 설비시스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바닥판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바닥판 시스템은 골조를 먼저 구성하고 그 위에 콘크리트로 바닥판을 타설하거나 또는 조이스트를 설치하고 그 위에 합판 등을 깔아 조립한다.
일반적으로 좌식생활을 주로 하는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에는 바닥판의 진동이나 울림 등에 민감하므로,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의 구조는 건식바닥이 아닌 콘크리트를 타설한 습식바닥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 모듈러 건축물의 콘크리트 바닥판을 시공하는 방법으로는 거푸집과 지주 등의 가설재를 설치하고 바닥판 철근을 배근한 다음 그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방법, 바닥보 상부에 데크 플레이트를 설치하고 그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는 방법, 바닥보 상부에 얇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recast Concrete,PC, 이하 "피씨"라 함) 바닥판을 설치하고 그 상부에 철근을 배근한 다음 현장에서 토핑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하프 슬래브를 이용한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종래 바닥판 또는 슬래브판을 시공하는 방법들은, 콘크리트의 타설을 위한 거푸집이나 지주 등의 가설재 또는 데크 플레이트, 피씨 바닥판의 설치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추가적인 공기 및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에 따른 시간이 별도로 소요되므로 모듈 유닛을 제작하는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 측면은, 모듈러 건축물 제작의 비용을 절감하고, 공기를 단축시키는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구조체와 모듈러 건축물의 모듈유닛 및 그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써, 철골조를 사용하지 않고도 모듈러 건축물의 구조적 안전성을 증대시키는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구조체와 모듈러 건축물의 모듈유닛 및 그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포함하는 복수의 모듈유닛이 상하 또는 좌우로 조립 시공되는 모듈러 건축물에 사용되는 바닥판 구조체로서, 상기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을 구성하는 바닥판부재; 및, 상기 바닥판부재의 테두리에 마주보도록 설치되며, 상기 바닥판부재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적어도 한쌍의 테두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판부재와 상기 테두리부재는 콘크리트 재질로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부재는, 양단에 기둥부재가 볼트 접합되도록 상기 테두리부재의 콘크리트에 일부가 매립 설치되는 매립볼트를 구비하는 접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구조체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테두리부재는, 상기 바닥판부재의 하면보다 하부로 돌출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테두리부재는, 길이방향으로 배근되는 보강철근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바람직하게, 상기 매립볼트는, 상기 테두리부재의 콘크리트에 매립 고정되는 헤드부;와, 상기 접합부의 접합면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연장되어 상기 기둥부재의 단부에 형성된 볼트홀에 관통되는 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바닥판 구조체;와, 상기 바닥판 구조체에 구비된 접합부에 볼트결합에 의해 설치되는 기둥부재;와, 상기 기둥부재와 상기 바닥판 구조체에 결합되는 벽체패널;과, 상기 기둥부재와 벽체패널의 상부에 설치되는 천장패널;을 포함하는 모듈러 건축물의 모듈유닛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둥부재는, 상기 바닥판 구조체와 접하는 단부에 형성되는 볼트홀;과, 상기 바닥판 구조체와의 볼트 체결이 용이하도록 하부 측면에 관통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바닥판 구조체를 제작하는 바닥판 구조체 제작단계;와, 상기 바닥판 구조체에 기둥부재를 설치하는 기둥부재 설치단계;와, 상기 바닥판 구조체와 상기 기둥부재에 벽체패널을 결합하는 벽체패널 설치단계;와, 상기 기둥부재와 상기 벽체패널의 상부에 천장패널을 조립설치하는 천장패널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모듈러 건축물의 모듈유닛 제작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둥부재 설치단계는, 상기 기둥부재의 단부에 관통형성된 볼트홀에 상기 테두리부재의 접합부에 구비된 매립볼트를 관통한 후, 상기 매립볼트에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구조체와 모듈러 건축물의 모듈유닛 및 그 제작방법에 의하면, 모듈러 건축물을 구성하는 바닥판 시스템에서 철골보를 사용하지 않고 보와 바닥슬라브를 콘크리트 재질로 일체화하여 형성함으로써 모듈러 건축물 제작시 자재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공기를 단축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테두리부재의 두께와 테두리부재의 내부에 배근되는 보강철근에 의해 휨강성이 향상되어 모듈러 건축물의 구조적 안전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구조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구조체에 기둥부재가 접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B-B'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듈러 건축물의 모듈유닛 제작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듈러 건축물의 모듈유닛 제작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인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구조체와 모듈러 건축물의 모듈유닛 및 그 제작방법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구조체(100)는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포함하는 복수의 모듈유닛이 상하 또는 좌우로 조립시공되는 모듈러 건축물에 사용되는 것을 기초로 한다. 상기 수평부재는 상기 모듈유닛을 구성하는 바닥판 또는 천장패널일 수 있고, 상기 수직부재는 상기 바닥판과 상기 천장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모듈유닛에 작용하는 수직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구조체(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바닥판부재(110)와 상기 바닥판부재(110)와 일체로 형성되는 테두리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판부재(11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기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을 구성하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recast Concrete)공법으로 형성되는 프리캐스트 슬라브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법이라 함은 콘크리트를 현장 타설하여 구조물을 만드는 것이 아니고 공장이나 현장 등에서 구조물의 일부를 별도 제작해서 조립하는 식의 공법을 말한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법을 적용하여 본 발명의 바닥판부재(110)를 제작하는 경우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의 강도나 슬럼프, 배합비등은 구조물의 특성에 따라 구조 계산에 의해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테두리부재(130)는 상기 바닥판부재(110)의 테두리에 마주보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한 쌍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테두리부재(130)의 두께는 상기 바닥판부재(110)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판부재(110)와 상기 테두리부재(130)는 콘크리트 재질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 및 도 2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상기 테두리부재(130)는 상기 바닥판부재(110)의 테두리에 마주보도록 설치되며, 바닥판부재(110)의 2개 또는 4개의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테두리부재(130)는 상기 바닥판부재(110)와 같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법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바닥판부재(110)와 일체로 형성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구조체(100)는, 바닥판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하여 따로 철골 골조를 설치함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보와 바닥슬라브가 일체로 형성된 콘크리트 바닥판 구조체(100)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듈러 건축물을 구성하는 모듈 유닛 제작시에, 철골보를 설치하고 거푸집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일련의 과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자재비용을 절감하고 공기를 단축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테두리부재(130)의 두께는 상기 바닥판부재(110)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와 같이 바닥판부재(110)의 가장자리에 철골보를 설치하지 않아도, 상기 바닥판부재(110)의 테두리에 상기 바닥판부재(110)와 일체로 형성되는 테두리부재(130)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바닥판부재(110)의 휨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테두리부재(130)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기 바닥판부재(110)의 하면보다 하부로 돌출되는 부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테두리부재(130)는 강성보강을 위해 상기 바닥판부재(110)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는데, 상기 테두리부재(130)를 설치할 때 상기 바닥판부재(110)의 두께보다 초과되는 부분을 상기 바닥판부재(110)의 하면 하부로 배치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바닥판부재(110)의 비틀림저항성을 크게 할 수 있어 상기 바닥판 구조체의 강성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모듈러 건축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테두리부재(130)는, 상기 테두리부재(130)의 길이방향으로 배근되는 보강철근(13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보강철근(131)은 장방형의 상기 테두리부재(130)에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배근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철근(131)의 개수와 길이는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상기 바닥판 구조체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도 2의 미설명 도면부호인 132a는 상기 보강철근(131)을 둘러싸는 띠철근이며, 미설명 도면부호인 132b는 상기 보강철근(131)에 수직으로 배근되며 상기 바닥판 부재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배근되는 철근이다.
이에 따라, 상기 테두리부재(130)의 휨강성이 증대될 수 있으며, 상기 테두리부재(130)와 일체로 형성되는 상기 바닥판부재(110)의 강성 또한 향상되어,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구조체에서 철골보를 설치하지 않고도 구조적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기 테두리부재(130)는, 양단에 기둥부재(210)가 볼트 접합되도록 상기 테두리부재(130)의 콘크리트에 일부가 매립 설치되는 매립볼트(135)를 구비하는 접합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의 네 모서리에는 기둥부재(210)가 연결되는데, 상기 바닥판 구조체(100)는 네 모서리에 배치되는 상기 테두리부재(130)의 양단에 기둥부재(210)가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접합부(133)는 상기 테두리부재(130)의 양단에 형성될 수 있으며, 기둥부재(210)의 단부가 접합되는 접합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둥부재(210)는 일반적으로 강관과 같은 강재로 되어 있고 상기 테두리부재(130)는 콘크리트 재질로 형성되므로, 상기 기둥부재(210)는 단부를 관통하는 매립볼트(135)를 통해 상기 테두리부재(130)와 접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매립볼트(135)는, 상기 테두리부재(130)의 콘크리트에 매립 고정되는 헤드부(135a)와, 상기 접합부(133)의 접합면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연장되어 상기 기둥부재(210)의 단부에 형성된 볼트홀(211)에 관통되는 몸체부(135b)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기 테두리부재(130)의 단부에는 상기 헤드부(135a)를 포함하는 매립볼트(135)의 일부가 테두리부재(130)의 콘크리트에 매립되어 고정될 수 있고, 상기 몸체부(135b)는 상기 접합부(133)의 접합면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기둥부재(210)에 형성된 볼트홀(211)에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너트(136)로 상기 몸체부(135b)를 체결하여 상기 기둥부재(210)와 상기 바닥판 구조체(100)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둥부재(210)의 하측 측면에는 관통형성된 개구부(213)가 형성되어, 작업자가 개구부(213)를 통해 볼트 작업 가능토록 형성되어 상기 기둥부재(210)와 상기 테두리부재(130)의 볼트체결을 용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기둥부재(210)와 상기 테두리부재(130)를 포함하는 상기 바닥판 구조체(100)는 간단하고 견고하게 접합고정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매립볼트(135)의 개수와 위치는 도시된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모듈러 건축물의 모듈유닛(200)에 대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듈러 건축물의 모듈유닛(200)은, 도 5(d)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기 바닥판 구조체(100)와, 상기 바닥판 구조체(100)에 구비된 접합부(133)에 볼트결합에 의해 설치되는 기둥부재(210)와, 상기 기둥부재(210)와 상기 바닥판 구조체(100)에 결합되는 벽체패널(230)과, 상기 기둥부재(210) 및 벽체패널(230)의 상부에 설치되는 천장패널(25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바닥판 구조체(100)는 상기 바닥판부재(110)와 상기 테두리부재(130)가 콘크리트 재질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테두리부재(130)에는 길이방향으로 배근되는 보강철근(131)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둥부재(210)는, 상기 바닥판 구조체(100)와 접하는 단부에 형성되는 볼트홀(211)과, 상기 바닥판 구조체(100)와의 볼트 체결이 용이하도록 하부 측면에 관통형성된 개구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하부측면에 관통형성된 개구부(213)를 통하여 상기 볼트홀(211)에 상기 접합부(133)의 매립볼트(135)를 관통한 후, 너트(136)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기둥부재(210)을 상기 바닥판 구조체(100)에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벽체패널(230)과 상기 천장패널(250)의 결합방식은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천장패널(250)은 상기 바닥판 구조체(100)와 같이 철골보를 사용하지 않고 콘크리트 재질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벽체패널(230)은 상기 바닥판 구조체(100) 및 상기 기둥부재(210)와 볼트 결합에 의해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벽체패널(230)과 천장패널(250)의 결합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듈러 건축물의 모듈유닛(200)은, 상기 바닥판 구조체(100)가 철골보를 사용하지 않고 보와 바닥슬라브를 콘크리트 재질로 일체화하여 형성됨으로써, 모듈러 건축물 제작시 자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판 구조체(100)를 미리 제작하여 조립하므로 상기 모듈유닛(200) 제작시에 콘크리트 경화 등의 시간을 생략할 수 있어 공기를 단축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한 모듈러 건축물의 모듈유닛 제작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듈러 건축물의 모듈유닛 제작방법은, 상기 바닥판 구조체(100)를 제작하는 바닥판 구조체 제작단계(S110)와, 상기 바닥판 구조체(100)에 기둥부재(210)를 설치하는 기둥부재 설치단계(S130)와, 상기 바닥판 구조체(100)와 상기 기둥부재(210)에 벽체패널(230)을 결합하는 벽체패널 설치단계(S150)와, 상기 기둥부재(210)와 상기 벽체패널(230)의 상부에 천장패널(250)을 조립설치하는 천장패널 설치단계(S1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판 구조체 제작단계(S110)는, 바닥판을 구성하는 바닥판부재(110)와 상기 바닥판 부재의 테두리에 설치되는 테두리부재(130)를 콘크리트 재질로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즉, 철골보를 사용하지 않고 보와 바닥슬라브를 콘크리트 재질로 일체화하여 형성됨으로써, 모듈러 건축물 제작시 자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바닥판 구조체(100)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법으로 제작되어 상기 기둥부재(210) 및 상기 벽체패널(230)과 조립되므로, 모듈 유닛 제작시 현장에서의 작업공정이 단순해지고 공기가 단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기둥부재 설치단계(S130)는, 상기 기둥부재(210)의 단부에 관통형성된 볼트홀(211)에 상기 테두리부재(130)의 접합부(133)에 구비된 매립볼트(135)를 관통한 후, 상기 매립볼트(135)에 너트(136)를 체결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둥부재(210)의 하부 측면에는 개구부(213)가 관통형성됨으로써, 작업자가 상기 볼트홀(211)에 상기 매립볼트(135)를 관통하고 너트(136)를 조립하는 공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 후, 도 5(c) 및 도 5(d)와 같이, 상기 벽체패널 설치단계(S150)와 상기 천장패널 설치단계(S17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벽체패널 설치단계는, 상기 벽체패널을 상기 바닥판 구조체(100)와 상기 기둥부재에 동시에 접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구조체와 모듈러 건축물의 모듈유닛 및 그 제작방법을 이용하면, 모듈러 건축물을 구성하는 바닥판 시스템에서 철골보를 사용하지 않고 보와 바닥슬라브를 콘크리트 재질로 일체화하여 형성함으로써 모듈러 건축물을 제작시 자재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공기를 단축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테두리부재의 두께와 테두리부재의 내부에 배근되는 보강철근에 의해 휨강성이 향상되어 모듈러 건축물의 구조적 안전성이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00 :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구조체 110 : 바닥판부재
130 : 테두리부재 131 : 보강철근
133 : 접합부 135 : 매립볼트
200 : 모듈러 건축물의 모듈유닛 210 : 기둥부재
230 : 벽체패널 250 : 천장패널

Claims (9)

  1.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포함하는 복수의 모듈유닛이 상하 또는 좌우로 조립 시공되는 모듈러 건축물에 사용되는 바닥판 구조체로서,
    상기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을 구성하는 바닥판부재; 및,
    상기 바닥판부재의 테두리에 마주보도록 설치되며, 상기 바닥판부재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적어도 한쌍의 테두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판부재와 상기 테두리부재는 콘크리트 재질로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부재는, 양단에 기둥부재가 볼트 접합되도록 상기 테두리부재의 콘크리트에 일부가 매립 설치되는 매립볼트를 구비하는 접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재는, 상기 바닥판부재의 하면보다 하부로 돌출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재는, 상기 테두리부재의 길이방향으로 배근되는 보강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구조체.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볼트는
    상기 테두리부재의 콘크리트에 매립 고정되는 헤드부; 및,
    상기 접합부의 접합면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연장되어 상기 기둥부재의 단부에 형성된 볼트홀에 관통되는 몸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구조체.
  6.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바닥판 구조체;
    상기 바닥판 구조체에 구비된 접합부에 볼트결합에 의해 설치되는 기둥부재;
    상기 기둥부재와 상기 바닥판 구조체에 결합되는 벽체패널; 및,
    상기 기둥부재와 벽체패널의 상부에 설치되는 천장패널;
    을 포함하는 모듈러 건축물의 모듈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재는
    상기 바닥판 구조체와 접하는 단부에 형성되는 볼트홀; 및,
    상기 바닥판 구조체와의 볼트 체결이 용이하도록 하부 측면에 관통형성된 개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건축물의 모듈유닛.
  8.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바닥판 구조체를 제작하는 바닥판 구조체 제작단계;
    상기 바닥판 구조체에 기둥부재를 설치하는 기둥부재 설치단계;
    상기 바닥판 구조체와 상기 기둥부재에 벽체패널을 결합하는 벽체패널 설치단계; 및,
    상기 기둥부재와 상기 벽체패널의 상부에 천장패널을 조립설치하는 천장패널 설치단계;
    를 포함하는 모듈러 건축물의 모듈유닛 제작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재 설치단계는
    상기 기둥부재의 단부에 관통형성된 볼트홀에 상기 테두리부재의 접합부에 구비된 매립볼트를 관통한 후, 상기 매립볼트에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건축물의 모듈유닛 제작방법.
KR1020120072491A 2012-07-03 2012-07-03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구조체와 모듈러 건축물의 모듈유닛 및 그 제작방법 KR101386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491A KR101386415B1 (ko) 2012-07-03 2012-07-03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구조체와 모듈러 건축물의 모듈유닛 및 그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491A KR101386415B1 (ko) 2012-07-03 2012-07-03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구조체와 모듈러 건축물의 모듈유닛 및 그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330A KR20140006330A (ko) 2014-01-16
KR101386415B1 true KR101386415B1 (ko) 2014-04-21

Family

ID=50141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2491A KR101386415B1 (ko) 2012-07-03 2012-07-03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구조체와 모듈러 건축물의 모듈유닛 및 그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64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5816B1 (ko) 2022-12-19 2023-10-3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오폐수 유지관리 기능을 갖는 모듈러 건축물 및 그 시공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9930A (ja) * 1995-03-07 1996-09-17 Nippon Samikon Kk 駐車場用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床版
JP2002081160A (ja) * 2000-09-11 2002-03-22 Misawa Homes Co Ltd 床構造および建物ユニット
KR100427137B1 (ko) * 2000-06-02 2004-04-17 황형목 철재 조립식 주택
KR100760393B1 (ko) * 2006-09-29 2007-09-27 주식회사삼환까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 및 그를 이용한 슬래브의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9930A (ja) * 1995-03-07 1996-09-17 Nippon Samikon Kk 駐車場用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床版
KR100427137B1 (ko) * 2000-06-02 2004-04-17 황형목 철재 조립식 주택
JP2002081160A (ja) * 2000-09-11 2002-03-22 Misawa Homes Co Ltd 床構造および建物ユニット
KR100760393B1 (ko) * 2006-09-29 2007-09-27 주식회사삼환까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 및 그를 이용한 슬래브의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5816B1 (ko) 2022-12-19 2023-10-3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오폐수 유지관리 기능을 갖는 모듈러 건축물 및 그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330A (ko) 201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0419B1 (ko)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결합구조
KR101791819B1 (ko) 건물의 내진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둥의 안정성을 높인 강판프레임 콘크리트 내진보강공법
KR101295740B1 (ko) 콘크리트충전강관기둥의 상하 분리식 접합부구조
KR101182536B1 (ko) 용도와 기능에 맞는 표면재와 구조용 철근을 적용하고 조립식 구조를 갖는 더블월 피씨패널
KR101558930B1 (ko)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구조체 및 이를 활용한 모듈유닛
KR20100121866A (ko) 세트화된 배근구조를 갖는 건축 구조물용 피씨 슬래브
KR20170032826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이중벽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178168B1 (ko) 건축물의 장스팬 고하중용 아이엠티 슬래브
KR101407502B1 (ko)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구조 및 그 접합시공방법
KR102120884B1 (ko) Rc 벽체와 합성보 간 접합구조가 개선된 건축 구조물 시공방법
KR102252141B1 (ko) 거푸집 겸용 건축물 벽체
KR101036177B1 (ko) 피알씨 복합화 공법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386415B1 (ko)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구조체와 모듈러 건축물의 모듈유닛 및 그 제작방법
KR101785722B1 (ko) 단열재 일체형 데크플레이트
KR101440556B1 (ko)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구조체
JP2017014713A (ja) 既存コンクリート構造物補強構造
KR101781492B1 (ko) 조립형강과 데크 플레이트를 활용한 일체화 구조를 갖는 수벽
KR101202300B1 (ko) 조립식 거푸집 제조방법
KR101202296B1 (ko) 조립식 거푸집
JP5643141B2 (ja) 混構造式建物および混構造式建物の施工方法
KR101885145B1 (ko) Src와 pc를 이용한 기둥과 보의 설치 구조
JP3941053B2 (ja) 耐震壁、及び耐震壁構造体の構築方法
KR102109900B1 (ko) 형틀 없는 콘크리트공법 및 철근 콘크리트 구조체
KR102530366B1 (ko) 영구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벽체 시공방법
KR101174665B1 (ko) 개량형 철근트러스 데크플레이트에의 고정설치를 위한 경량성형재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경량 슬래브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