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7137B1 - 철재 조립식 주택 - Google Patents

철재 조립식 주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7137B1
KR100427137B1 KR10-2000-0030522A KR20000030522A KR100427137B1 KR 100427137 B1 KR100427137 B1 KR 100427137B1 KR 20000030522 A KR20000030522 A KR 20000030522A KR 100427137 B1 KR100427137 B1 KR 100427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support
pillar
roof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0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4379A (ko
Inventor
황형목
Original Assignee
황형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형목 filed Critical 황형목
Priority to KR10-2000-0030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7137B1/ko
Publication of KR20000054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4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7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71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4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with hinged parts
    • E04B1/344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with hinged parts with articulated bar-shap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36Structures movable as a whole, e.g. mobile hom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부, 기둥부, 지붕부가 서로 끼워맞춤될 수 있는 사이즈를 가지고 각각 절첩되게 별도로 구성되어 빠른 시간내에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함은 물론 폐기물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철재 조립식 주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을 축조할 때에는 작업성이 떨어지고 많은 공사시간이 소요되며, 소음 또는 먼지 등의 공해가 유발되고, 폐기물이 발생되는 등 많은 문제가 있었던바,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양측의 주받침대 사이에 마루판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마루판의 단부에는 보조받침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바닥부와, 양측의 주기둥사이에 세로보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세로보의 단부에는 보조기둥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주기둥은 주받침대에 삽입고정되고 보조기둥은 보조받침대에 삽입고정되는 기둥부와, 세로보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이 절첩가능하게 구성되고 지지프레임에는 각각 지붕본체가 고정되어 기둥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붕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으로, 이와 같이 하면 주택축조에 소요되는 시간이 매우 짧아지고, 부재를 가공하는 일이 없으므로 소음, 먼지, 폐기물 문제를 모두 해결할 수 있으며, 각 부재가 절첩식으로 구성되므로 부재의 이동이 간단해지고, 건축물의 증,개축이 용이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철재 조립식 주택{Housing of assembling building materials}
본 발명은 철재 조립식 주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부, 기둥부, 지붕부가 서로 끼워맞춤될 수 있는 사이즈를 가지고 각각 절첩되게 별도로 구성되어 빠른 시간내에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함은 물론 폐기물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건축물을 시공할 때에는 무수히 많은 공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어렵고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밖에 없으며, 공사시 발생되는 소음, 먼지 등으로 인해 공사장 주변이 공해에 시달리게 되고, 공사현장에 많은 건축자재를 야적하여 그때그때 필요한 자재를 이용하게 되므로 불필요한 건축자재 야적공간이 있어야 하며, 이러한 공간의 확보가 어려울 경우 인도, 도로 등을 침범하게 되어 많은 시민들의 불편을 초래하게 되고, 불가분 발생될 수밖에 없는 폐기물로 인해 2차 처리비용이 증가됨은 물론 환경오염이 야기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건축물을 바닥부, 기둥부, 지붕부의 3부분으로 나누어 서로 끼워맞춤될 수 있는 사이즈로 각각 구성하되, 각각의 구성부위가 1/2 이하로 절첩될 수 있게 하여 공사현장까지의 이송을 편리하게 하며, 공사현장에서는 각각의 부위를 편 후 그대로 조립하기만 하면 건축물이 완성될 수 있어 건축물 축조에 소요되는 비용, 시간을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주변에 주는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철재 조립식 주택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재 조립식 주택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재 조립식 주택의 바닥부 상세도로서,(a)는 사시도.(b)는 접었을 때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재 조립식 주택의 기둥부 상세도로서,(a)는 사시도.(b)는 접었을 때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재 조립식 주택의 지붕부 상세도로서,(a)는 사시도.(b)는 접었을 때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철재 조립식 주택의 설치 상태도로서,(a)는 바닥부에 기둥부를 조립한 상태.(b)는 바닥부와 기둥부에 지붕부를 조립한 상태.(c)는 기둥부와 지붕부의 체결부위 상세도.(d)는 온돌패널, 벽패널, 문틀, 문을 설치한 상태.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바닥부에 바퀴를 고정한 상태.***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체결공 12 : 지지대 13 : 연결판14 : 잭볼트 15 : 바퀴 100 : 바닥부110 : 주받침대 111,121,211,221 : 브라켓 112,122 : 가로지지대120 : 보조받침대 130 : 마루판 131 : 세로지지대132 : 마루판재 200 : 기둥부 210 : 주기둥212,222 : 가로보 220 : 보조기둥 231 : 세로보300 : 지붕부 301 : 지지프레임 302 : 지붕본체303 : 경사면 304 : 마룻대 400 : 온돌패널500 : 벽패널 600 : 문틀 601 : 문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및 제시되는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본 발명에 따른 철재 조립식 주택은 도 1과 같이 크게 바닥부(100), 기둥부(200), 지붕부(300)로 나눌 수 있으며, 그밖에 온돌패널(400), 벽패널(500), 문틀(600) 및 문(601) 등의 부자재가 필요하게 된다.바닥부(100)는 도 2와 같이 브라켓(111)이 양측과 일측의 3방향에 고정된 관형상의 주받침대(110)가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어 이들 사이에 가로지지대(112)가 고정되며, 각 주받침대(110)의 양쪽 브라켓(111)에는 상부측이 마루판재(132)로 연결된 세로지지대(131)가 회전가능하게 각각 연결되어 마루판(130)을 이루고, 브라켓(121)이 세로지지대(131) 방향과 일측의 2방향으로 고정된 관형상의 보조받침대(120)가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어 이들 사이에 가로지지대(122)가 고정되며, 보조받침대(120)의 브라켓(121)이 세로지지대(131)의 외측단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루어진다.기둥부(200)는 도 3과 같이 브라켓(211)이 상부 양측과 안쪽의 3방향에 고정된 주기둥(210)이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어 이들 사이에 가로보(212)가 고정되며, 각 주기둥(210)의 양쪽 브라켓(211)에는 세로보(231)가 회전가능하게 각각 연결되고, 브라켓(221)이 세로보(231) 방향과 안쪽의 2방향에 고정된 보조기둥(220)이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어 이들 사이에 가로보(222)가 고정되며, 보조기둥(220)의 브라켓(221)이 세로보(231)의 외측단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주기둥(210)은 주받침대(110)에 각각 삽입고정되고 보조기둥(220)은 보조받침대(120)에 각각 삽입고정된다.지붕부(3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301)이 양쪽으로 구비되어 그 상단부가 서로 힌지결합되며, 지지프레임(301)보다는 큰 면적을 가진 양쪽의 지붕본체(302)가 각 지지프레임(301) 단위로 각각 고정되어 지지프레임(301)과 세로보(231)를 서로 고정하게 되는데, 지붕본체(302)의 상단부 서로 마주보는 부위에는 서로의 벌어짐 각도를 제한하도록 각각 경사면(303)을 가지며, 일측의 지붕본체(302)에는 각 지붕본체(302)가 벌어졌을 때 타측의 지붕본체(302) 상단부와 밀착되는 위치에 마룻대(304)가 형성되어 지붕을 이루게 된다.이때, 각 브라켓(111)(121)(211)(221), 각 받침대(110)(120), 각 기둥(210)(220), 각 지지프레임(301), 각 세로보(231)에는 하이텐션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통해 타부재와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체결공(11)이 형성된다.또한, 마루판(130)의 상부에 까는 온돌패널(400)과, 각 기둥(210)(220)의 사이에 끼우는 벽패널(500)과, 출입문을 이루는 문틀(600) 및 문(601)과, 기둥부(200)의 가로보(212)(222)와 지붕부(300)의 지지프레임(301) 사이에 끼워져 지붕을 받쳐주는 지지대(12) 및 이들 사이를 연결해주는 연결판(13)과, 바닥부(100)의 가로지지대(112)(122)와 바닥면 사이에 끼워져 바닥부(100)를 받쳐주는 잭볼트(14)를 더 구비하게 된다.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철재 조립식 주택의 작용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먼저, 현장답사, 사전협의를 거쳐 설계를 한 후 제작소에서는 바닥부(100), 기둥부(200), 지붕부(300)를 별도로 제작하게 되며, 이러한 조립식 구조에 맞게 온돌패널(400), 벽패널(500), 문틀(600) 및 문(601), 전기설비(미도시) 등을 같이 제작하게 된다.이때, 조립식 주택의 특성에 맞게 가벼우면서도 불연성 및 강한 강성을 가질 수 있도록 지붕본체(302)와 벽패널(500)은 그라스울 샌드위치 패널로 제작하고, 문(601)은 페어유리문으로 제작하며, 마루판(130)은 철재 데크플레이트로 제작할 수 있다.또한, 바닥부(100)와 기둥부(200)는 각각 3등분하여 서로 힌지결합되게 하고, 보조받침대(120) 또는 보조기둥(220) 역시 안쪽으로 접혀지게 구성하게 되며, 지붕부(300)는 2등분하여 간단히 접을 수 있게 구성하게 된다.이러한 상태에서 각각의 자재를 현장으로 운반하게 되면 운반이 편리해짐은 자명하며, 현장에 도착해서는 각각의 부위를 곧바로 펴서 그대로 끼워맞춘 후 하이텐션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각각의 체결공(11)을 통해 서로 결합하기만 하면 된다.즉, 바닥부(100)는 주받침대(110)를 중심으로 양쪽에서 접혀있어 각 세로지지대(131)를 펴게되면 주받침대(110)를 중심으로 양쪽에 마루판(130)이 형성될 수 있고, 이후 세로지지대(131)의 양단부의 보조받침대(120)를 편 후 그대로 놓게되면 마루판(130)이 바닥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물론, 앵커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통해 바닥면과 각 받침대(110)(120)를 고정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잭볼트(14)와 같은 지지부재로 각 지지대(112)(122)(131)의 중간중간을 받칠 수도 있다.바닥부(100)를 설치한 후에는 기둥부(200)를 설치하게 되는데, 기둥부(200) 역시 주기둥(210)을 중심으로 양쪽에서 접혀있고 세로보(231)의 양단부에는 보조기둥(220)이 접혀있어 모든 부재를 펴게 되면 바닥부(100)와 동일한 면적을 가지고 높이는 높은 기둥(210)(220)과 보(212)(222)(231)의 형상을 갖추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각 기둥(210)(220)을 각 받침대(110)(120)에 삽입하면서 각각의 체결공(11)을 통해 볼팅하게 되면 기둥(210)(220)과 보(212)(222)(231)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 상태에서 발만 깔면 평상으로 활용할 수 있다.기둥(210)(220)과 보(212)(222)(231)를 설치한 후에는 그 위에 지붕부(300)를 설치하게 되는데, 지붕부(300)는 양쪽의 지붕본체(302)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301)이 양쪽으로 구비되어 그 상단부가 힌지결합되어 있으므로 지지프레임(301)을 펴게되면 양쪽의 지붕본체(302) 역시 옆으로 벌어지면서 펴지게 된다.그런데, 지붕은 빗물 등을 하부로 흘러내리게 해야 하므로 불가분 경사질 수 밖에 없으며, 이러한 제한된 경사각을 주기 위해 지붕본체(302)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 경사면(303)을 형성한 것으로, 지붕본체(302)가 어느 정도 각으로 펴지게 되면 각 경사면(302)이 서로 밀착되면서 스토퍼 역할을 하여 더 이상 지붕본체(302)가 펴지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일측 지붕본체(302)에는 지붕본체(302)가 모두 펴졌을 때 타측 지붕본체(302)의 상단부와 밀착되는 마룻대(304)가 설치되어 있어 지붕의 연결부위가 이 마룻대(304)에 의해 커버되어 지붕을 통해 빗물의 누설이 방지될 수 있다.지붕부(300)를 모두 편 후에는 이를 기둥(210)(220)과 보(212)(222)(231)의 위에 얹고 서로 결합하게 되는데, 지지프레임(301)의 하단부 세로부위에는 다수의 체결공(11)이 형성되어 있고, 기둥부(200)의 세로보(231)에는 상기의 체결공(11)과 대응되는 체결공(11)이 형성되어 있어 이를 통해 볼트로 체결하면된다. 또한, 지붕은 그 연결부위가 구조적으로 약하므로 지붕의 연결부위가 가로보(212)(222)의 사이에 지지대(12)를 받치고, 이 지지대(12)와 지붕부(300)의 지지프레임(301) 사이에는 연결판(13)을 볼트로 체결하여 지지대(12)와 지지프레임(301)을 서로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지지대(12)는 가로보(212)(222)의 위에 그대로 얹혀진 상태에 있게 되지만 지붕부(300)가 기둥부(200)에 고정된 상태에 있으므로 지지대(12)를 굳이 가로보(212)(222)에 고정하지 않아도 되며, 필요에 따라 연결구를 사용하여 지지대(12)를 가로보(212)(222)에 고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이 상태 그대로 마루판(130)의 위에 온돌패널(400)만 깔아 정자로 활용할 수 있으며, 독신자 숙소, 방갈로, 자녀들의 공부방 등의 실내공간을 원할 경우에는 각 기둥(210)(220)의 사이에 벽패널(500)을 설치하고, 벽패널(500)의 사이에 문틀(600) 및 문(601)을 설치하며, 실내에 전기설비만 하면 모든 구성이 완료될 수 있다.한편, 도 6과 같이 바닥부(100)를 이루는 각 받침대(110)(120)의 하부에 바퀴(15)를 설치하게 되면 가까운 거리는 쉽게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식 방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바퀴(15)가 원활히 전진할 수 있으면서도 회전 및 정지가 가능한 캐스터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바닥면이 바퀴가 이동하기 가능하도록 편편해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주택을 이루는 모든 부분이 조립식으로 되어 있어 제작소에서 모든 부재를 제작하여 현장으로 운반한 후 조립하기만 하면 주택이 완성되므로 주택축조에 소요되는 시간이 20∼30분 정도로 매우 짧아지고, 부재를 가공하는 일이 없으므로 소음, 먼지, 폐기물 문제를 모두 해결할 수 있으며, 각 부재가 절첩식으로 구성되므로 부재의 이동이 간단해지고, 각 부재의 결합이 힌지와 브라켓으로만 이루어지므로 이들을 연결하는 부재만 교체하면 건축물의 증,개축이 용이해지며, 하부에 바퀴를 설치할 경우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도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브라켓(111)이 양측과 안쪽의 3방향에 고정된 관형상의 주받침대(110)가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어 이들 사이에 가로지지대(112)가 고정되며, 상기 각 주받침대(110)의 양쪽 브라켓(111)에는 상부측이 마루판재(132)로 연결된 세로지지대(131)가 회전가능하게 각각 연결되어 마루판(130)을 이루고, 브라켓(121)이 세로지지대(131) 방향과 안쪽의 2방향으로 고정된 관형상의 보조받침대(120)가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어 이들 사이에 가로지지대(122)가 고정되며, 상기 보조받침대(120)의 브라켓(121)이 상기 세로지지대(131)의 외측단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바닥부(100)와;
    브라켓(211)이 상부 양측과 안쪽의 3방향에 고정된 주기둥(210)이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어 이들 사이에 가로보(212)가 고정되며, 상기 각 주기둥(210)의 양쪽 브라켓(211)에는 세로보(231)가 회전가능하게 각각 연결되고, 브라켓(221)이 세로보(231) 방향과 안쪽의 2방향에 고정된 보조기둥(220)이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어 이들 사이에 가로보(222)가 고정되며, 상기 보조기둥(220)의 브라켓(221)이 상기 세로보(231)의 외측단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주기둥(210)은 상기 주받침대(110)에 각각 삽입 고정되고 상기 보조기둥(220)은 상기 보조받침대(120)에 각각 삽입고정되는 기둥부(200)와;
    지지프레임(301)이 양쪽으로 구비되어 그 상단부가 서로 힌지결합되며, 상기 지지프레임(301)보다는 큰 면적을 가진 양쪽의 지붕본체(302)가 상기 각 지지프레임(301) 단위로 각각 고정되어 상기 지지프레임(301)과 상기 세로보(231)를 볼트로써 서로 고정하여서 되는 지붕부(300)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조립식 주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루판(130)의 위에 깔아주는 온돌패널(400), 상기 각 기둥(210)(222)의 사이에 설치하는 벽패널(500), 문틀(600), 문(601), 상기 기둥(210)(220)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전기설비를 더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조립식 주택.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받침대(110)와 상기 보조받침대(120)의 하부에 각각 바퀴(15)를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조립식 주택.
KR10-2000-0030522A 2000-06-02 2000-06-02 철재 조립식 주택 KR100427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0522A KR100427137B1 (ko) 2000-06-02 2000-06-02 철재 조립식 주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0522A KR100427137B1 (ko) 2000-06-02 2000-06-02 철재 조립식 주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4379A KR20000054379A (ko) 2000-09-05
KR100427137B1 true KR100427137B1 (ko) 2004-04-17

Family

ID=19671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0522A KR100427137B1 (ko) 2000-06-02 2000-06-02 철재 조립식 주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71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415B1 (ko) * 2012-07-03 2014-04-21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구조체와 모듈러 건축물의 모듈유닛 및 그 제작방법
KR102124368B1 (ko) * 2019-09-26 2020-06-19 김돈중 회전형 구들방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8157Y1 (ko) * 1989-09-27 1991-10-12 배진산업 주식회사 텐트골조 결속장치
KR970027566A (ko) * 1995-11-29 1997-06-24 다카아키 시이나 간이형 가옥건립의 골조
KR20020014651A (ko) * 2001-02-15 2002-02-25 이대준 철골 및 스틸하우스용 구조체의 조립공법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8157Y1 (ko) * 1989-09-27 1991-10-12 배진산업 주식회사 텐트골조 결속장치
KR970027566A (ko) * 1995-11-29 1997-06-24 다카아키 시이나 간이형 가옥건립의 골조
KR20020014651A (ko) * 2001-02-15 2002-02-25 이대준 철골 및 스틸하우스용 구조체의 조립공법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415B1 (ko) * 2012-07-03 2014-04-21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구조체와 모듈러 건축물의 모듈유닛 및 그 제작방법
KR102124368B1 (ko) * 2019-09-26 2020-06-19 김돈중 회전형 구들방
WO2021060673A1 (ko) * 2019-09-26 2021-04-01 김돈중 회전형 구들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4379A (ko) 2000-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7137B1 (ko) 철재 조립식 주택
JP3541031B2 (ja) 組立式建物
JPH10121582A (ja) 拡張ユニットの取付構造
JPH1037309A (ja) 折畳み式階段ユニットボックスおよびこれを用いた建物
JP4368734B2 (ja) 組立ハウス
JP3269936B2 (ja) ユニット建物
JP3458977B2 (ja) バルコニ付ユニット式建物及びその施工方法
JP2000170260A (ja) 建物用屋根構造、該屋根構造を備えた建物ユニット 及び介護用住宅
JP4676609B2 (ja) ユニット式建物
JPH09317205A (ja) サンルームの増築方法
JPH0326804Y2 (ko)
JPH11193575A (ja) 仮設用ユニットハウス
JPH1193263A (ja) 簡易住宅
JPH0415845Y2 (ko)
JP2023156117A (ja) 伸縮式フレーム構造体とその伸長長さ延長方法
JP2003232075A (ja) 延長庇を有する家屋
JP2001065049A (ja) ルーフバルコニーユニット
KR930003847Y1 (ko) 이동식 조립주택 골조
JPS597480Y2 (ja) 物干台取付装置を備えたカ−ポ−ト
KR200200412Y1 (ko) 스틸재 하우스용 트러스 조립 구조
JP2822177B2 (ja) 通路シェルター
JPH06136869A (ja) 1階の床パネルの支持構造
CN113202330A (zh) 拼装式立体移动营房
JPH02279823A (ja) 複数階建て地下構築物の構築方法
JP2755508B2 (ja) 住宅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