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5816B1 - 오폐수 유지관리 기능을 갖는 모듈러 건축물 및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오폐수 유지관리 기능을 갖는 모듈러 건축물 및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95816B1 KR102595816B1 KR1020220177900A KR20220177900A KR102595816B1 KR 102595816 B1 KR102595816 B1 KR 102595816B1 KR 1020220177900 A KR1020220177900 A KR 1020220177900A KR 20220177900 A KR20220177900 A KR 20220177900A KR 102595816 B1 KR102595816 B1 KR 10259581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undation
- members
- modular
- ground
- modular build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9000011178 precast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65 wastewater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5473 Communicabl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0293 ceram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5181 infectiou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52 review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36—Structures movable as a whole, e.g. mobile home structures
- E04B1/34352—Base structures or supporting means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1/00—Cesspoo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습식 공법의 기초 공사를 최소화하여 시공과 해체가 용이하고, PC 기초의 구조안전성 확보와 오폐수의 처리가 용이한 현장 조립형 모듈러 건축물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은, 지면(地面) 상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 Precast Concrete)로 된 복수의 기초부재; 상기 복수의 기초부재의 상부에 지면(地面)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로 된 모듈구조물; 상기 모듈구조물의 하부에서 상기 기초부재의 측면에 결합되는 레일부재; 및, 상기 모듈구조물의 하부와 지면 사이 공간에서 상기 레일부재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오폐수를 집수하는 오폐수 포집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모듈러 건축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면(地面) 상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 Precast Concrete) 기초 위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로 된 복수의 기둥과 보, 슬래브를 연결하여 구조적으로 안정된 모듈러 건축 구조물을 형성하고, 슬래브와 지면 사이에 오폐수를 유지 관리할 수 있는 오폐수 포집부재를 PC 기초에 결합된 레일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시켜 오폐수를 유지 관리할 수 있는 모듈러 건축물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내 건설현장은 기능 인력의 부족, 근로시간 단축 등의 건설산업 변화에 대응이 필요하다. 이러한 변화는 모듈러 건축물 등의 기술의 발전을 요구하고 있으며 사회적 변화에 따른 기술개발을 필요로 하고 있다.
모듈러 건축물은 단위 유닛(모듈)을 공장에서 제작, 운송, 양중 및 적층하여 현장에서 조립하는 방식이다. 우리나라는 주로 강재를 이용하여 모듈러 건축물을 건설하였으나, 경제성 등의 이유로 현재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recast Concrete, PC)를 이용한 PC모듈 공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모듈러 건축물을 현장에 건설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기초 공사가 필요한데, 모듈러를 고정하기 위한 앵커볼트가 선시공 되어야 하고, 오폐수 처리를 위한 별도의 설비가 필요하다.
모듈러 건축물은 공장에서 제작한 모듈을 현장에서 조립해서 신속시공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현재 대부분의 기초 공사는 현장에서 습식공법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모듈러 건축물의 장점이 크게 저하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모듈러 건축물은 조립·해체가 용이하기 때문에 감염병 상황에 대비한 임시 음압병동으로 활용할 수 있다. 모듈러 음압병동은 기존 병원의 주차장 등에 임시로 건설한 가설건축물에 해당하며, 존치기간이 지난 후 해체해야 한다. 주차장에 모듈러 음압병동을 건설한 경우, 기초를 철거하여 주차장으로 복구하기 위한 비용이 추가로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86415호에는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포함하는 복수의 모듈유닛이 상하 또는 좌우로 조립 시공되는 모듈러 건축물에 사용되는 바닥판 구조체로서,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을 구성하는 바닥판부재, 바닥판부재의 테두리에 마주보도록 설치되며 바닥판부재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한 쌍의 테두리부재를 포함하며, 바닥판부재와 테두리부재는 콘크리트 재질로 일체로 형성되고, 테두리부재는, 양단에 기둥부재가 볼트 접합되도록 테두리부재의 콘크리트에 일부가 매립 설치되는 매립볼트를 구비하는 접합부를 포함하는 모듈러 건축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것처럼 상기한 등록특허의 모듈러 건축물을 비롯한 종래의 모듈러 건축물을 현장에 건설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습식 공법으로 기초 공사가 필요하며, 오폐수 처리를 위한 별도의 설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모듈러 음압병동과 같은 가설건축물을 모듈러 건축물을 적용하는 경우 모듈러 건축물의 철거 시에 기초를 철거하는데 많은 비용과 노력이 요구된다.
건축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모듈의 설계 및 안전성 검토,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v.20 no.3 , 2020년, pp.35 - 42 이상섭, 박금성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습식 공법의 기초 공사를 최소화하여 시공과 해체가 용이하고, PC 기초의 구조안전성 확보와 오폐수의 처리가 용이한 현장 조립형 모듈러 건축물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은, 지면(地面) 상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 Precast Concrete)로 된 복수의 기초부재; 상기 복수의 기초부재의 상부에 지면(地面)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로 된 모듈구조물; 상기 모듈구조물의 하부에서 상기 기초부재의 측면에 결합되는 레일부재; 및, 상기 모듈구조물의 하부와 지면 사이 공간에서 상기 레일부재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오폐수를 집수하는 오폐수 포집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듈구조물은, 양단부가 상기 복수의 기초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면서 지면(地面)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복수의 기초부재를 연결하는 복수의 보부재; 하단부가 상기 기초부재에 결합되며 지면(地面)에 대해 연직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기둥부재; 및, 평판 형태로 되어 상기 보부재 상에 안착되면서 바닥면을 이루는 슬래브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초부재는 지면 위에 설치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면에 상측으로 연장되게 설치되어 측면이 상기 보부재의 끝단부와 결합되며 상부면이 상기 기둥부재의 하단부와 결합되는 부재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일부재는 'H' 빔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오폐수 포집부재는 상부면이 개방된 함체 형태를 가지며, 양측 단부가 상기 레일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오폐수 포집부재의 양측 단부에 상기 레일부재를 따라 구름 운동하는 복수의 로울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부재의 끝단부의 모서리 부분에 상기 기초부재의 측면부와 볼트 체결되는 복수의 결합금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기둥부재의 끝단부의 모서리 부분에 상기 기초부재의 상단부와 볼트 체결되는 복수의 결합금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은,
(S1) 지면(地面) 위에 복수의 기초부재를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하는 단계;
(S2) 상기 기초부재의 측면에 레일부재를 결합하는 단계;
(S3) 상기 레일부재에 오폐수 포집부재를 설치하는 단계; 및,
(S4) 상기 기초부재의 상부에 모듈러구조물을 설치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4) 단계는,
(S4-1) 복수의 보부재의 끝단부를 기초부재의 상부 측면에 결합하여 복수의 기초부재를 복수의 보부재로 연결하는 단계;
(S4-2) 상기 복수의 기초부재 각각의 상단부에 기둥부재의 하단부를 결합하는 단계;
(S4-3) 상기 복수의 기둥부재 사이를 통해 상기 복수의 보부재의 상부에 슬래브부재를 안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초부재를 작은 크기의 블록 형태로 제작하여 복수의 기초부재를 지면 상에 간격을 두고 설치함으로써 기초의 시공 및 해체가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기초부재의 상부에 복수의 보부재가 설치되어 지면(地面)과 보부재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오폐수를 집수할 수 있는 오폐수 포집부재가 레일부재를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보부재와 지면 간의 공간을 통해 슬래브부재의 내외측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즉, 오폐수 포집부재가 서랍식으로 모듈구조물의 내외측으로 인입 및 인출될 수 있으므로 오폐수 포집부재를 슬래브부재의 외부로 인출하여 슬래브부재의 하부에서 집수된 오폐수를 처리할 수 있고, 따라서 오폐수의 유지관리가 매우 용이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모듈구조물을 구축하는 복수의 보부재와 기둥부재 및 슬래브부재들이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구조적으로도 안정되고 견고하며, 해체 및 시공이 매우 용이한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의 오폐수 유지 관리를 위한 작동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을 구성하는 기초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을 구성하는 레일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을 구성하는 오폐수 포집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을 구성하는 보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을 구성하는 기둥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을 구성하는 슬래브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의 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의 시공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의 오폐수 유지 관리를 위한 작동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을 구성하는 기초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을 구성하는 레일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을 구성하는 오폐수 포집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을 구성하는 보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을 구성하는 기둥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을 구성하는 슬래브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의 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의 시공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오폐수 유지관리 기능을 갖는 모듈러 건축물 및 그 시공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은, 지면(地面) 상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기초부재(10), 상기 복수의 기초부재(10)의 상부에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로 된 모듈구조물, 상기 모듈구조물의 하부에서 상기 기초부재(10)의 측면에 결합되는 레일부재(20), 및 상기 모듈구조물의 하부와 지면(地面) 사이 공간에서 상기 레일부재(20)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오폐수 포집부재(30)를 포함한다.
상기 모듈구조물은, 양단부가 상기 복수의 기초부재(10)의 상부에 결합되면서 지면(地面)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복수의 기초부재(10)를 연결하는 복수의 보부재(40)와, 하단부가 상기 기초부재(10)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지면(地面)에 대해 연직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기둥부재(50), 및 평판 형태로 되어 상기 보부재(40) 상에 안착되면서 바닥면을 이루는 슬래브부재(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초부재(10)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 Precast Concrete)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초부재(10)는 복수개가 주차장이나 공터 등의 지면(地面) 위에 상기 보부재(40)의 길이와 대응하는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상기 기초부재(10)는 지면 위에 설치되는 본체부(11)와, 상기 본체부(11)의 상부면에 상측으로 연장되게 설치되어 측면이 상기 보부재(40)의 끝단부와 결합되며 상부면이 상기 기둥부재(50)의 하단부와 결합되는 부재결합부(12)를 포함한다.
상기 기초부재(10)의 본체부(11)는 이 실시예와 같이 직육면체의 다면체 형태를 가질 수 있지만, 이와 다르게 원형 또는 타원형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체부(11)의 측면에는 상기 레일부재(20)를 볼트 체결하기 위한 복수의 볼트홀(13) 또는 앵커볼트가 미리 매설될 수 있다.
상기 부재결합부(12)는 본체부(11)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며, 본체부(11)의 상부면 중앙에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부재결합부(12)의 측면과 상부면에는 각각 보부재(40) 및 기둥부재(50)를 볼트 체결하기 위한 복수의 볼트홀(14, 15) 또는 앵커볼트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부재(40)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로 된 사각 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며, 양단부가 복수의 기초부재(10)의 부재결합부(12)의 측면에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지면에 대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지면에 대해 대체로 수평하게 설치된다. 보부재(40)의 양 끝단부의 모서리 부분에는 상기 기초부재(10)의 부재결합부(12)의 측면에 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복수의 결합금구(42)가 미리 매립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금구(42)의 끝단부에는 볼트가 통과하는 볼트체결공이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둥부재(50)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로 된 사각 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며, 하단부가 기초부재(10)의 부재결합부(12)의 상부면에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게 결합되어 지면(地面)에 대해 연직하게 설치된다. 기둥부재(50)의 하단부의 모서리 부분에 상기 기초부재(10)의 부재결합부(12) 상단부와 볼트 체결되는 복수의 결합금구(52)가 미리 매립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금구(52)의 끝단부에 볼트가 통과하는 볼트체결공이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기둥부재(50)의 상단부에는 모듈구조물의 상부 구조를 이루는 보부재(40)를 결합하기 위한 복수의 볼트홀(54)이 매립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슬래브부재(60)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로 된 사각 평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슬래브부재(60)의 크기는 기초부재(10)를 연결하는 복수의 보부재(40)에 의해 구획된 공간보다 약간 큰 크기를 갖도록 되어 기둥부재(50) 사이 공간을 통해서 보부재(40) 상에 놓여져 지지된다. 슬래브부재(60)의 네 모서리 부분 및/또는 가장자리 부분에는 기둥부재(50)의 모서리 부분과의 간섭을 배제하기 위하여 간섭회피홈(62)이 사각형으로 절취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레일부재(20)는 오폐수 포집부재(30)를 기초부재(10)에 대해 지지하면서 모듈구조물의 내외측으로 슬라이딩시켜 인입 또는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안내부재의 기능을 하도록 된 것으로, 레일부재(20)는 복수개가 복수의 기초부재(10)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결합되어 오폐수 포집부재(30)의 양측 단부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 실시예에서 레일부재(20)는 'H' 빔으로 이루어져, 일측면은 기초부재(10)의 본체부(11)의 측면에 복수의 볼트로 체결된다.
오폐수 포집부재(30)는 슬래브부재(60)의 하측에서 오폐수를 집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이 실시예에서는 상부면이 개방된 직육면체의 함체 형태를 가지며, 양측 단부가 상기 레일부재(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오폐수 포집부재(30)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로 만들어질 수도 있지만, 이와 다르게 금속,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세라믹 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오폐수 포집부재(30)는 상부면이 개방된 직육면체의 함체 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함체 형태, 또는 탱크 형태 등 오폐수를 포집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오폐수 포집부재(30)는 레일부재(20)를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슬래브부재(60)의 일측 가장자리 외측으로 인출되거나 슬래브부재(60)의 하측으로 인입되어 은폐될 수 있다(도 1 및 도 2 참조).
오폐수 포집부재(30)가 레일부재(20)를 따라 원활하게 슬라이딩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오폐수 포집부재(30)의 양측 단부에 상기 레일부재(20)를 따라 구름 운동하는 복수의 로울러(32)가 설치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a 내지 도 10f를 참조하면, 상술한 것과 같은 구성을 갖는 모듈러 건축물은 다음과 같이 시공될 수 있다.
먼저 지면(地面) 위에 복수의 기초부재(10)를 기둥부재(50)가 설치될 위치에 맞춰서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한다. 이 때 각각의 기초부재(10)의 간격은 보부재(40)의 길이와 대응하는 간격으로 설치한다.
이어서 복수의 기초부재(10)의 본체부(11)의 측면에 레일부재(20)를 볼트로 결합한다. 그런 다음, 상기 레일부재(20)에 오폐수 포집부재(30)의 양측 단부를 연결하여 설치한다. 이 때 오폐수 포집부재(30)의 양측 단부에 복수의 로울러(32)가 설치된 경우, 로울러(32)를 레일부재(20)의 일측면 상에 안착시켜 오폐수 포집부재(30)가 레일부재(20)를 따라 원활하게 슬라이딩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
다음으로 기초부재(10) 상에 모듈구조물을 결합하여 구축한다. 먼저 복수의 보부재(40)의 양 끝단부의 네 모서리 부분에 고정된 결합금구(42)를 기초부재(10)의 부재결합부(12) 측면에 볼트로 결합하여 복수의 기초부재(10)를 복수의 보부재(40)로 연결한다.
이어서 복수의 기초부재(10) 각각의 부재결합부(12) 상부면에 기둥부재(50)의 하단부를 안착시키고, 기둥부재(50)의 네 모서리 부분의 결합금구(52)를 볼트로 결합한다.
복수의 기둥부재(50)를 모두 설치하고 다음, 복수의 기둥부재(50) 사이를 통해 슬래브부재(60)를 삽입하여 복수의 보부재(40)의 상에 슬래브부재(60)를 안착시켜 설치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기둥부재(50)를 모두 설치한 다음 슬래브부재(60)를 보부재(40) 상에 설치하지만, 이와 다르게 기둥부재(50)를 설치하기 전에 슬래브부재(60)를 보부재(40) 상에 먼저 설치하여 위치를 정렬한 다음, 복수의 기둥부재(50)를 기초부재(10)의 부재결합부(12) 상에 결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는 일부의 기둥부재(50)만 먼저 설치한 상태에서 슬래브부재(60)를 보부재(40) 상에 설치하여 위치를 정렬하고, 나머지 기둥부재(50)를 설치하여 슬래브부재(6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오폐수 포집부재(30)를 설치하는 순서도 변경될 수 있다. 즉,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보부재(40)와 기둥부재(50)와 슬래브부재(60)로 이루어진 모듈구조물을 기초부재(10) 상에 결합하기 전에 오폐수 포집부재(30)를 설치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모듈구조물을 기초부재(10) 상에 결합한 다음 오폐수 포집부재(30)의 양측 단부를 레일부재(20)의 끝단에 맞추어 밀어넣으면서 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술한 것과 같은 모듈러 건축물은 기초부재(10)를 작은 크기의 블록 형태로 제작하여 복수의 기초부재(10)를 지면 상에 간격을 두고 설치함으로써 기초의 시공 및 해체가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기초부재(10)의 상부에 복수의 보부재(40)가 설치되어 지면(地面)과 보부재(4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오폐수를 집수할 수 있는 오폐수 포집부재(30)가 레일부재(20)를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보부재(40)와 지면 간의 공간을 통해 슬래브부재(60)의 내외측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즉, 오폐수 포집부재(30)가 서랍식으로 모듈구조물의 내외측으로 인입 및 인출될 수 있으므로 오폐수 포집부재(30)를 슬래브부재(60)의 외부로 인출하여 슬래브부재(60)의 하부에서 집수된 오폐수를 처리할 수 있고, 따라서 오폐수의 유지관리가 매우 용이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모듈구조물을 구축하는 복수의 보부재(40)와 기둥부재(50) 및 슬래브부재(60)들이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구조적으로도 안정되고 견고하며, 해체 및 시공이 매우 용이한 이점도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기초부재 11 : 본체부
12 : 부재결합부 13, 14, 15 : 볼트홀
20 : 레일부재 30 : 오폐수 포집부재
32 : 로울러 40 : 보부재
42 : 결합금구 50 : 기둥부재
52 : 결합금구 54 : 볼트홀
60 : 슬래브부재 62 : 간섭회피홈
12 : 부재결합부 13, 14, 15 : 볼트홀
20 : 레일부재 30 : 오폐수 포집부재
32 : 로울러 40 : 보부재
42 : 결합금구 50 : 기둥부재
52 : 결합금구 54 : 볼트홀
60 : 슬래브부재 62 : 간섭회피홈
Claims (10)
- 지면(地面) 상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 Precast Concrete)로 된 복수의 기초부재;
상기 복수의 기초부재의 상부에 지면(地面)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로 된 모듈구조물;
상기 모듈구조물의 하부에서 상기 기초부재의 측면에 결합되는 레일부재; 및,
상기 모듈구조물의 하부와 지면 사이 공간에서 상기 레일부재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오폐수를 집수하는 오폐수 포집부재;
를 포함하는 모듈러 건축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구조물은,
양단부가 상기 복수의 기초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면서 지면(地面)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복수의 기초부재를 연결하는 복수의 보부재;
하단부가 상기 기초부재에 결합되며 지면(地面)에 대해 연직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기둥부재;
평판 형태로 되어 상기 보부재 상에 안착되면서 바닥면을 이루는 슬래브부재;
를 포함하는 모듈러 건축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재는 지면 위에 설치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면에 상측으로 연장되게 설치되어 측면이 상기 보부재의 끝단부와 결합되며 상부면이 상기 기둥부재의 하단부와 결합되는 부재결합부를 포함하는 모듈러 건축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재는 'H' 빔으로 된 모듈러 건축물.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폐수 포집부재는 상부면이 개방된 함체 형태를 가지며, 양측 단부가 상기 레일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 모듈러 건축물.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폐수 포집부재의 양측 단부에 상기 레일부재를 따라 구름 운동하는 복수의 로울러가 설치된 모듈러 건축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부재의 끝단부의 모서리 부분에 상기 기초부재의 측면부와 볼트 체결되는 복수의 결합금구가 설치된 모듈러 건축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재의 끝단부의 모서리 부분에 상기 기초부재의 상단부와 볼트 체결되는 복수의 결합금구가 설치된 모듈러 건축물.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S1) 지면(地面) 위에 복수의 기초부재를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하는 단계;
(S2) 상기 기초부재의 측면에 레일부재를 결합하는 단계;
(S3) 상기 레일부재에 오폐수 포집부재를 설치하는 단계; 및,
(S4) 상기 기초부재의 상부에 모듈러구조물을 설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듈러 건축물의 시공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S4) 단계는,
(S4-1) 복수의 보부재의 끝단부를 기초부재의 상부 측면에 결합하여 복수의 기초부재를 복수의 보부재로 연결하는 단계;
(S4-2) 상기 복수의 기초부재 각각의 상단부에 기둥부재의 하단부를 결합하는 단계;
(S4-3) 상기 복수의 기둥부재 사이를 통해 상기 복수의 보부재의 상부에 슬래브부재를 안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듈러 건축물의 시공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77900A KR102595816B1 (ko) | 2022-12-19 | 2022-12-19 | 오폐수 유지관리 기능을 갖는 모듈러 건축물 및 그 시공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77900A KR102595816B1 (ko) | 2022-12-19 | 2022-12-19 | 오폐수 유지관리 기능을 갖는 모듈러 건축물 및 그 시공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95816B1 true KR102595816B1 (ko) | 2023-10-31 |
Family
ID=88543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77900A KR102595816B1 (ko) | 2022-12-19 | 2022-12-19 | 오폐수 유지관리 기능을 갖는 모듈러 건축물 및 그 시공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95816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91807B1 (ko) * | 2023-11-16 | 2024-08-05 | 주식회사 엔알비 | 콘크리트 건축모듈 및 그의 제작방법 |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781006A (en) | 1986-11-10 | 1988-11-01 | Haynes Harvey H | Bolted chord bar connector for concrete construction |
JP2000273997A (ja) | 1999-03-26 | 2000-10-03 | Sumitomo Metal Steel Products Inc | 構造用鋼製複合床板 |
JP2006233517A (ja) * | 2005-02-23 | 2006-09-07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長尺材の切断屑回収用冶具 |
KR101085466B1 (ko) | 2011-09-23 | 2011-11-21 | (주)이명이앤씨건축사사무소 | 건축구조물 발코니에 설치되는 조립식 배수시설 |
KR101386415B1 (ko) | 2012-07-03 | 2014-04-21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구조체와 모듈러 건축물의 모듈유닛 및 그 제작방법 |
KR20150076344A (ko) * | 2013-12-26 | 2015-07-07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모듈러유닛의 바닥판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듈러유닛 |
WO2016068709A1 (en) * | 2014-10-29 | 2016-05-06 | Ecoholding Bv | Floor panel with integrated liquid collection and removal system |
KR102099933B1 (ko) | 2019-09-27 | 2020-04-10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모듈러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
KR102237910B1 (ko) * | 2020-04-29 | 2021-04-08 | 휴인 주식회사 | 모듈러 건축물의 이동식 모듈유닛 |
KR20220089399A (ko) * | 2020-12-21 | 2022-06-28 |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 모듈러 유닛 기둥 주각부의 셀프센터링 접합구조 |
-
2022
- 2022-12-19 KR KR1020220177900A patent/KR10259581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781006A (en) | 1986-11-10 | 1988-11-01 | Haynes Harvey H | Bolted chord bar connector for concrete construction |
JP2000273997A (ja) | 1999-03-26 | 2000-10-03 | Sumitomo Metal Steel Products Inc | 構造用鋼製複合床板 |
JP2006233517A (ja) * | 2005-02-23 | 2006-09-07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長尺材の切断屑回収用冶具 |
KR101085466B1 (ko) | 2011-09-23 | 2011-11-21 | (주)이명이앤씨건축사사무소 | 건축구조물 발코니에 설치되는 조립식 배수시설 |
KR101386415B1 (ko) | 2012-07-03 | 2014-04-21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구조체와 모듈러 건축물의 모듈유닛 및 그 제작방법 |
KR20150076344A (ko) * | 2013-12-26 | 2015-07-07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모듈러유닛의 바닥판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듈러유닛 |
WO2016068709A1 (en) * | 2014-10-29 | 2016-05-06 | Ecoholding Bv | Floor panel with integrated liquid collection and removal system |
KR102099933B1 (ko) | 2019-09-27 | 2020-04-10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모듈러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
KR102237910B1 (ko) * | 2020-04-29 | 2021-04-08 | 휴인 주식회사 | 모듈러 건축물의 이동식 모듈유닛 |
KR20220089399A (ko) * | 2020-12-21 | 2022-06-28 |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 모듈러 유닛 기둥 주각부의 셀프센터링 접합구조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건축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모듈의 설계 및 안전성 검토,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v.20 no.3 , 2020년, pp.35 - 42 이상섭, 박금성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91807B1 (ko) * | 2023-11-16 | 2024-08-05 | 주식회사 엔알비 | 콘크리트 건축모듈 및 그의 제작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11774523U (zh) | 一种可临时搭建的装配式建筑 | |
KR102595816B1 (ko) | 오폐수 유지관리 기능을 갖는 모듈러 건축물 및 그 시공 방법 | |
GB2334045A (en) | Modular building unit | |
CN103866859A (zh) | 一种多层移动组合房屋 | |
JP5839164B2 (ja) | 建屋の建設方法 | |
KR102099018B1 (ko) | 건축 모듈을 이용한 모듈러 구조물 시공 방법 | |
CN209924192U (zh) | 一种装配式模块化轻质隔墙房屋结构 | |
CN110965635B (zh) | 一种建筑的支撑结构及分层工业化建筑 | |
CN203066239U (zh) | 一种多层移动组合房屋 | |
JP2524409B2 (ja) | 軸組、パネル工法の家屋 | |
RU62622U1 (ru) | Сборная железобетонная каркас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многоэтажного здания, рам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каркаса, элемент перекрытия | |
CN111456249A (zh) | 一种可拆卸装配式复合建筑 | |
KR102644387B1 (ko) | 블록 모듈 및 블록 모듈러 건축물의 시공방법 | |
CN220768728U (zh) | 预制装配式模块化后加装电梯井道 | |
KR102206845B1 (ko) | 모듈러 건축물의 단위 모듈 간 결합 구조 및 방법 | |
KR102654896B1 (ko) | 하중전이에 의한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방음시설의 시공과 보수 방법 | |
RU2000133028A (ru) | Конструктивная система многоэтажного здания и способ его возведения (варианты) | |
JP4204714B2 (ja) | ユニット建物とその構築方法 | |
EP3545145A1 (en) | Construction system | |
KR100804746B1 (ko) | 건물골조시공방법 | |
CA2457716A1 (en) | System and method for erecting buildings, and buildings thereof | |
RU2076178C1 (ru) | Здание из объемных блоков | |
JP3474064B2 (ja) | ユニット建物とその構築方法 | |
SU1768735A1 (ru) | Kpупhoпaheльhoe ceйcmoctoйkoe здahиe | |
JP2024151202A (ja) | パネル支柱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型枠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