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6414B1 - 황토 판재를 이용한 건물 구조체 - Google Patents

황토 판재를 이용한 건물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6414B1
KR100436414B1 KR10-2001-0046987A KR20010046987A KR100436414B1 KR 100436414 B1 KR100436414 B1 KR 100436414B1 KR 20010046987 A KR20010046987 A KR 20010046987A KR 100436414 B1 KR100436414 B1 KR 100436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ss
rafter
ocher
building structure
cl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6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1495A (ko
Inventor
신은성
Original Assignee
신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은성 filed Critical 신은성
Priority to KR10-2001-0046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6414B1/ko
Publication of KR20030011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1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6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64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4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0Self-supporting slabs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floors ceilings, or roofs, e.g. able to be loa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토 판재를 이용하여 건물의 지붕 및 천장을 조립할 수 있고, 지내력을 갖는 부재를 이용해 황토의 현장 흙치기를 통하여 벽체를 시공할 수 있는 황토 판재를 이용한 건물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붕틀의 서까래와, 중도리와, 상기 중도리의 양 끝단에서 중도리를 떠 받치며 지붕보에 수직으로 연결된 동자기둥으로 구성된 지붕틀부;와 상기 지붕보의 양 끝단에는 하부 기초로 하중을 전달하는 복수의 기둥으로 구성된 벽체부;로 구성된 황토 판재를 이용한 건물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건물 구조체의 지붕틀부에서 서까래는 상기 중도리에서 양분되어, 지붕상부의 마루대와 중도리 상부에 안치되는 제 1서까래부와, 제 2서까래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 1서까래부와 제 2서까래부는 각 측면이 체결고정되고, 측면의 각각에는 복수의 L 자 형상의 앵글이 접합되며, 상기 L 자 형상의 앵글에는 황토 판재가 각각 안치되고, 상기 건물 구조체의 벽체부에서 각 기둥은 실내측의 모서리에 리세스부가 형성되어, 상기 기둥의 리세스부에 엑스벤티드 메탈이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고정되며, 상기 엑스벤티드 메탈 상면에 흙치기 작업으로 형성된 황토층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황토 판재를 이용한 건물 구조체{An edifice structure body by using yellow soil board}
본 발명은 황토 판재를 이용하여 건물의 지붕과 벽체를 조립할 수 있고, 지내력을 갖는 부재를 포함하여 황토 벽체를 구성한 황토 판재를 이용한 건물 구조체 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건물 구조체 지붕틀의 일측을 도시한 측면도로서 종래의 지붕틀은 마루대(1; ridge piece)와 지붕보(5; tie beam)위에 수직으로 세워 상기 마루대(1)를 지지하는 대공(2; stud)으로 구성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마도리(6)와 동자기둥(4; purlin post)에 의해서 지지되며, 중도리(3; purlin) 및 마루대(1)에 지붕물매의 방향으로 서까래(20; common rafter)를 걸처 대고 지붕널(미도시)을 덮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지붕틀로 구성된 황토를 이용한 종래의 건물 구조체는 골조가 완성되면 각 지지부재를 가로로 연결시켜 나무를 댄 후 상기 가로로 댄 나무에 세로로 힘살을 박아 넣는다.
힘살이 완성되면 힘살에 수수깡이나, 대나무 등을 촘촘히 대고, 흙치기를 시작한다.
그러나, 지붕틀 작업의 경우 작업자가 지붕 상부를 보며 흙치기 작업을 행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고, 낙하에 대한 위험 부담감이 있다.
벽체부 공정에 대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은 단열재와 마감재 사이의 조적공정과 상기 조적공정에 따른 벽두께 증가 및 건물이 완성되기 까지 많은 공정을 거쳐야 하며 공사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또한, 종래의 조립식 건물구조체에서는 서까래를 중도리상에 못질을 통하여 고정함으로써 중도리 부분이 손상되어 후에 상기 중도리를 새로이 이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황토의 수축에 따른 갈라짐을 방지하고 마감이 수려하며 보다 견고한 황토판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견고한 황토판재를 일정 규격으로 대량 생산함으로써 이 황토판재를 조립식 건물구조체의 지붕틀에 이용하여 작업공정을 줄이고 경제성을 높인 황토판재를 이용한 조립식 건물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립식 건물구조체의 지붕틀부에서 중도리상에 결합부재를 수직으로 장착하여 상기 중도리상에서 결합부재의 양측으로 서까래를 안치하고 상기 양측 서까래의 일단부를 상기 결합부재에 고정함으로써 보다 체결이 견고하고 중도리에 못질로 인한 목재의 손상등을 방지하기 위한 조립식 건물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물 구조체 벽체부의 실내측으로 엑스벤티드 메탈을 기둥의 리세스부에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장착하고 엑스벤티드 메탈의 상부면에 황토 흙치기 작업을 이룸에 따라 종래의 조적 공정을 없앨수 있고, 벽체부의 두께를 줄일수 있는 건물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건물 구조체 지붕틀의 일측을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황토 흙치기로 형성된 벽체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황토 흙치기로 형성된 벽체의 정면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황토 판재를 이용하여 조립한 지붕의 일측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 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한 본 발명의 지붕틀의 평면을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황토 판재의 제조 순서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황토 판재의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 마루대(ridge piece) 2: 대공(stud)
3: 중도리(purlin) 4: 동자기둥(purlin post)
9: 단열재 10: 황토층
15: 결합부재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붕틀의 서까래와, 상기 서까래 하부에 설치되어 하중을 받는 중도리와, 상기 중도리의 양 끝단에서 중도리를 떠 받치며 지붕보에 수직으로 연결된 동자기둥으로 구성된 지붕틀부;와 상기 지붕보의 양 끝단에는 하부 기초로 하중을 전달하며 상기 지붕틀의 처마도리에 연결된 복수의 기둥으로 구성된 벽체부;로 구성된 황토 판재를 이용한 건물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건물 구조체의 지붕틀부에서 서까래는 상기 중도리에서 양분되어, 지붕상부의 마루대와 중도리 상부에 안치되는 제 1서까래부와, 상기 중도리 상부에서 처마도리에 안치되는 제 2서까래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 1서까래부와 제 2서까래부는 상기 중도리 상부면에 수직으로 장착된 결합부재에 각 측면이 체결고정되고, 상기 제 1서까래부와 제 2서까래부 측면의 각각에는 복수의 L 자 형상의 앵글이 접합되며, 상기 L 자 형상의 앵글에는 황토 판재가 각각 안치되고, 상기 건물 구조체의 벽체부에서 각 기둥은 실내측의 모서리에 리세스부가 형성되어, 상기 기둥의 리세스부에 힘살의 역할을 하며 지내력을 부여할 수 있는 엑스벤티드 메탈이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고정되며, 상기 엑스벤티드 메탈 상면에 흙치기 작업으로 형성된 황토층이 구성되고, 열전달율을 감소시키는 단열재가 구성된 상기 황토층 일측에는 복수의 결합부재가 황토층을 관통하여 상기 리세스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판재를 이용한 건물 구조체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황토 흙치기로 형성된 벽체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황토 흙치기로 형성된 벽체의 정면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벽체부의 구성은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기둥(8)은 사각기둥 형태이며, 실내측의 모서리가 리세스되어 있는 구조이다.(도 2 참조)
따라서, 실내측의 모서리 부분이 리세스(요홈)되어 있어 기둥(8)의 중앙부가 돌출되며, 엑스벤티드 메탈(17; X-bented metal)이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리세스부에 체결 고정된다.
상기 리세스부에 체결 고정된 엑스벤티드 메탈(17) 상면에 흙다지기 작업이 완료된 황토의 흙치기를 이룸에 따라 황토층(10)이 형성되며, 상기 형성된 리세스부 혹은 요홈에 복수의 결합핀(7)을 이용하여 황토층(10)을 고정시킨 구조로 되어 바닥 기초부(11)에 의해 지지된다.
바람직하게는 벽체를 구성하고 있는 상기 황토층(10)의 견고함을 더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재 및 결합핀(7)을 이용하여 처마도리(6) 등의 구조부재에 고정시킨다.
또한, 황토층(10)의 외부에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열전달율을 감소시킬 수 있는 단열재(9)가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건물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기둥의 이격거리가 표준 규격으로 생산되는 엑스벤티드 메탈(17)의 장변길이 보다 큰 경우, 상기 기초부(11)로 부터 처마도리(6) 등의 구조부재에 이르는 지지부재를 형성하여 상기 엑스벤티드 메탈(17)이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되게 한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벽체부에서 상기 단열재(9) 외측에는 진흙소성품으로서 구조용과 장식용으로 사용되는 테라코타(22; terra cotta) 등을 이용하여 마감한다.
이하, 상기 벽체부에 대한 작업 실시예를 설명한다.
상기 벽체부의 시공은 단열재(9)를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지지부재나 기둥(8)에 고정한후, 실내측의 단열재(9) 상면에 프레임이 형성되어 있는 엑스벤티드 메탈(17)을 장착하고, 상기 리세스부에 결합핀(7) 등을 이용해 고정한다.
상기 엑스벤티드 메탈(17)이 장착된 상면에 흙치기 작업을 통하여 황토층(10)을 형성하고, 도포재나 미장재를 이용하여 마감작업을 함으로써 황토를 이용한 벽체가 구성되어 바닥 기초부(11)에 의해 지지된다.또한, 바람직하게는 목조 건물의 경우, 상기 리세스부에 결합핀(7) 등의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체결되는 상기 엑스벤티드 메탈(17)의 결합공을 타원형으로 구성하여 상기 목조 기둥의 수축 및 이완에 따라 유동성을 갖는 이격부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붕틀부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황토 판재를 이용하여 조립한 지붕의 일측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 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한 본 발명의 지붕틀의 평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붕틀부의 구성은 상기에 언급했듯이 황토 판재(21)가 제 1서까래부(12)와 제 2서까래부(13)의 측면에 체결된 앵글(14; angle)에 안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황토 판재(21)를 상기 앵글(14)에 안치한 후, 황토 판재(21)의 상면에 단열재(9)를 구성하고, 기와 등으로 마감한다. 실내 거주자가 보아 천정면이 황토 판재(21)로 나타나므로 종래에 작업자가 천정을 보며 흙치기 작업을 하던 작업 공정을 줄일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여 언급했던 바와 같이, 종래에는 처마도리(6)와 동자기둥(4; purlin post)에 의해서 지지되는 중도리(3; purlin) 및 마루대(1)에 지붕물매의 방향으로 서까래(20; common rafter)를 걸처 대는 구조로 되어 있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과 달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서까래는 지붕 상부의 마루대(1)와 중도리(3) 상부에 안치되는 제 1서까래부(12)와, 상기 중도리(3) 상부에서 처마도리(6)에 안치되는 제 2서까래부(13)로 구성된다.
도 5는 도 4의 'A' 부를 상세히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제 1서까래부(12)와 제 2 서까래부(13)는 양측면에 편평한 결합부재(15)를 이용하여 결합핀(7)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황토 판재의 제조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황토 판재의 제조 순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황토 판재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황토 판재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황토 판재(21)의 제조시 흙치기 작업이 원활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황토가 저면과 이격될 수 있도록 저면에 비닐수지(16)를 놓는다.
상기 비닐수지(16) 상면에 황토의 흙치기 작업을 수행하여 황토층(10)을 형성한다.
이후에 상기 황토층(10) 상면에 힘살의 역할을 하며 지내력을 부여할 수 있는 엑스 벤티드 메탈(17; X-bented metal)을 놓은 다음, 다지기 작업이 완료된 황토를 흙지기 하여 황토층(10)을 형성한다.
상기 흙치기 작업이 완료되면, 황토 판재(21)의 내화성과 균열방지를 위한 유리섬유(18)를 도포하고, 유리섬유가 도포된 상부면에 황토층(10)을 형성함으로써 황토 판재(21)의 제조가 끝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황토 판재의 단면 구성을 도 8에 도시하였다. 상기에 언급한 것은 단지 황토 판재를 제조하는 한 방법이지만, 본 방법으로 제조된 황토 판재를 이용하여 건물 구조체의 내외장재로 활용할 수 있도록 덧붙여 지는 공정, 즉 도료 등의 도포 및 미장 작업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용이한 것으로 보인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힘살의 역할과 유리섬유를 내재한 황토 판재를 제조하고, 상기 황토 판재를 건물 구조체에 조립할 수 있도록 건물 구조체의 지붕틀부와 벽체부를 구성함으로써, 벽체부 등에서 황토의 균열을 방지하고 건물 구조체 작업 공정중에서 조적공정이 불필요함에 따라 경제적 효용 및 황토를 이용한 건물 구조체의 내구성과 지내력의 증진을 기대할 수 있고 벽체의 두께가 현저하게 줄게되어 공간 활용의 증진을 얻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지붕틀의 서까래와, 상기 서까래 하부에 설치되어 하중을 받는 중도리와, 상기 중도리의 양 끝단에서 중도리를 떠 받치며 지붕보에 수직으로 연결된 동자기둥으로 구성된 지붕틀부;와 상기 지붕보의 양 끝단에는 하부 기초로 하중을 전달하며 상기 지붕틀의 처마도리에 연결된 복수의 기둥으로 구성된 벽체부;로 구성된 황토 판재를 이용한 건물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건물 구조체의 지붕틀부에서 서까래는 상기 중도리에서 양분되어, 지붕상부의 마루대와 중도리 상부에 안치되는 제 1서까래부와, 상기 중도리 상부에서 처마도리에 안치되는 제 2서까래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 1서까래부와 제 2서까래부는 상기 중도리 상부면에 수직으로 장착된 결합부재에 각 측면이 체결고정되고, 상기 제 1서까래부와 제 2서까래부 측면의 각각에는 복수의 L 자 형상의 앵글이 접합되며, 상기 L 자 형상의 앵글에는 황토 판재가 각각 안치되고,
    상기 건물 구조체의 벽체부에서 각 기둥은 실내측의 모서리에 리세스부가 형성되어, 상기 기둥의 리세스부에 힘살의 역할을 하며 지내력을 부여할 수 있는 엑스벤티드 메탈이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고정되며, 상기 엑스벤티드 메탈 상면에 흙치기 작업으로 형성된 황토층이 구성되고, 열전달율을 감소시키는 단열재가 구성된 상기 황토층 일측에는 복수의 결합부재가 황토층을 관통하여 상기 리세스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판재를 이용한 건물 구조체.
  2. 삭제
KR10-2001-0046987A 2001-08-03 2001-08-03 황토 판재를 이용한 건물 구조체 KR100436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6987A KR100436414B1 (ko) 2001-08-03 2001-08-03 황토 판재를 이용한 건물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6987A KR100436414B1 (ko) 2001-08-03 2001-08-03 황토 판재를 이용한 건물 구조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3655U Division KR200256938Y1 (ko) 2001-08-03 2001-08-03 황토 판재를 이용한 건물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1495A KR20030011495A (ko) 2003-02-11
KR100436414B1 true KR100436414B1 (ko) 2004-06-23

Family

ID=27717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6987A KR100436414B1 (ko) 2001-08-03 2001-08-03 황토 판재를 이용한 건물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6414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7295A (ja) * 1989-08-07 1991-03-22 Brother Ind Ltd 画像濃度調整装置
US5159791A (en) * 1989-03-13 1992-11-03 Juhas William M Modular structural roofing and wall system
JPH09279747A (ja) * 1996-04-15 1997-10-28 Daiwa Danchi Kk 木造建築物の屋根組用緊結金具
KR19980083413A (ko) * 1997-05-15 1998-12-05 이천헌 황토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19980068882U (ko) * 1998-09-18 1998-12-05 김현태 컨테이너의 골조를 이용한 이동식 주택
KR19990014402A (ko) * 1998-11-05 1999-02-25 김용호 건축용 황토패널의 구조
KR19990070263A (ko) * 1998-02-18 1999-09-15 김해준 자연에너지의이용을극대화한토담목재주택의건축구조
KR19990041469U (ko) * 1998-05-19 1999-12-15 추두련 바닥재를 이용한 돗자리
KR20000032019A (ko) * 1998-11-12 2000-06-05 이상국 황토판넬
KR200241744Y1 (ko) * 2000-12-29 2001-09-25 주식회사 엘지씨아이 황토를 포함하는 불연 화장판넬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59791A (en) * 1989-03-13 1992-11-03 Juhas William M Modular structural roofing and wall system
JPH0367295A (ja) * 1989-08-07 1991-03-22 Brother Ind Ltd 画像濃度調整装置
JPH09279747A (ja) * 1996-04-15 1997-10-28 Daiwa Danchi Kk 木造建築物の屋根組用緊結金具
KR19980083413A (ko) * 1997-05-15 1998-12-05 이천헌 황토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19990070263A (ko) * 1998-02-18 1999-09-15 김해준 자연에너지의이용을극대화한토담목재주택의건축구조
KR19990041469U (ko) * 1998-05-19 1999-12-15 추두련 바닥재를 이용한 돗자리
KR19980068882U (ko) * 1998-09-18 1998-12-05 김현태 컨테이너의 골조를 이용한 이동식 주택
KR19990014402A (ko) * 1998-11-05 1999-02-25 김용호 건축용 황토패널의 구조
KR20000032019A (ko) * 1998-11-12 2000-06-05 이상국 황토판넬
KR200241744Y1 (ko) * 2000-12-29 2001-09-25 주식회사 엘지씨아이 황토를 포함하는 불연 화장판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1495A (ko) 2003-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26061A (en) Reinforced masonry construction
US593403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mensionally uniform building construction using interlocking connectors
US5526625A (en) Building panel and buildings using the panel
US4292783A (en) Insulated building structure and method for making same
EP0966577B1 (en) Concrete double monocoque building construction and method
US5937588A (en) Bale with integral load-bearing structural supports
US20100192495A1 (en) Thin stone or brick veneer wall system and clips therefor
US20070044426A1 (en) Lightweight Wall Structure For Building Construction
US20070044392A1 (en) Modular building construction employing concrete mold assembly
US6280669B2 (en) Method for making insulated pre-formed wall panels for attachment to like insulated pre-formed wall panels
US7437858B2 (en) Welded wire reinforcement for modular concrete forms
US20060254208A1 (en) Paneling system and method
US5226276A (en) Free standing wall construction, a method of constructing same, and a precast elongated construction member
KR100890342B1 (ko) 현대식 건축물을 전통목구조 건축물로 시공할 수 있는 가구식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681308B1 (ko) 압축 시멘트판과 강재 샛기둥을 사용한 고정식 거푸집패널 시스템
CA2555945A1 (en) Prefabricated masonry covered structural wall panel
US3744197A (en) Building structure
KR100436414B1 (ko) 황토 판재를 이용한 건물 구조체
KR200256938Y1 (ko) 황토 판재를 이용한 건물 구조체
KR20020037002A (ko) 가구식 건축물의 조립식 한옥 건축방법 및 그 한옥구조
JPH07504240A (ja) 成形レンガと軽量支持骨組とからなる建築システム
WO2007102830A1 (en) Modular building construction employing concrete mold assembly
RU2369707C1 (ru) Малоэтажное здание
RU2005127860A (ru) Комплект кирпичей с горизонтальными и вертикальными соединительными большими участками для завершения строительных работ и отделки
RU2811091C1 (ru) Строительное сооружени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