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0740B1 - 한옥 및 사찰의 공포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한옥 및 사찰의 공포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0740B1
KR101850740B1 KR1020170023537A KR20170023537A KR101850740B1 KR 101850740 B1 KR101850740 B1 KR 101850740B1 KR 1020170023537 A KR1020170023537 A KR 1020170023537A KR 20170023537 A KR20170023537 A KR 20170023537A KR 101850740 B1 KR101850740 B1 KR 101850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ar
assembly
hanok
templ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3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9381A (ko
Inventor
김진우
Original Assignee
김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우 filed Critical 김진우
Priority to PCT/KR2017/00194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7146460A1/ko
Priority to US16/076,623 priority patent/US10704259B2/en
Priority to JP2018554301A priority patent/JP6677819B2/ja
Publication of KR20170099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9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0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0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 E04B7/04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supported by horizontal beams or the equivalent resting on the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04B1/2604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0Special roof-covering elements, e.g. ridge tiles, gutter tiles, gable tiles, ventilation t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4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4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 E04D1/3405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for eaves, valley, or verge t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04B1/2604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2001/262Connection node with interlocking of specially shaped wooden members, e.g. puzzle type connection
    • E04B2001/2624Connection node with interlocking of specially shaped wooden members, e.g. puzzle type connection with dovetail-type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04B1/2604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2001/2652Details of nailing, screwing, or bol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0Special roof-covering elements, e.g. ridge tiles, gutter tiles, gable tiles, ventilation tiles
    • E04D2001/301Special roof-covering elements, e.g. ridge tiles, gutter tiles, gable tiles, ventilation tiles at roof edges, e.g. intersections with walls
    • E04D2001/303Eave 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Finishing Walls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옥 및 사찰의 공포 조립구조에 있어서, 한옥 및 사찰의 공포 조립구조에 있어서, 표면에서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된 걸림홈을 갖고 피고정물에 체결되어 적층되는 공포 고정부재와, 확개부가 형성되고 일측 벽에 상기 걸림홈에 걸림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주두 및 상기 주두의 확개부에 조립되며, 하나의 공포 고정부재 위에 적층되어 위치하는 또 다른 공포 고정부재의 걸림홈에 걸림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공포 조립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공포 고정부재의 후면에 마련되고, 상기 피고정물에 고정되어 상기 공포 조립체를 상기 피고정물에 고정하는 고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 및 사찰의 공포 조립구조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의해, 공장에서 규격화된 양산 제작이 가능하여 장인이 하던 작업을 일반 기능인도 쉽게 작업할 수 있고, 신속 간편하게 현장 조립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공포 조립체 파손시 피고정물로부터 간편하게 분리하여 수리를 거쳐 신속하게 현장조립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기를 단축하고 인건비 등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목재를 갉아먹는 흰개미에 의한 각종 부재가 유실되어도 하중에 의한 스트레스의 발생이 최소화되도록 하여 유지, 관리의 편의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한옥 및 사찰의 공포 조립구조{Assembly structure of eaves-supporting member for Korean-style house and Buddhist temple}
본 발명은 한옥 및 사찰의 공포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다양한 양식 및 형상 모양을 갖고 형성되는 공포 조립체를 한옥 및 사찰의 설계에 알맞도록 규격화하여 공장에서 사전에 제작 조립함으로써 시공현장에서 피고정물의 내외측에서 신속 간편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한 한옥 및 사찰의 공포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포는 건물 지붕의 무게를 분산 혹은 집중시켜 구조적으로 안전한 완충적 기능을 하기도 하고, 내부공간을 확장시키고 건물을 높여 웅장한 멋을 낼 뿐 아니라, 그 구성과 공작이 섬세하고 화려하여 장식적으로 중요한 기능을 가진다.
여기서 공포가 놓여지는 위치와 결합 방법에 따라 주심포 양식, 다포 양식, 익공 양식으로 분류되며, 사찰 또는 한옥에 따라 그 형상 모양 및 크기 높이 등은 다양하다.
그 중에 주심포 양식은 공포가 기둥 위에만 짜이는 양식이고, 기둥 사이에는 창방이라는 횡부재가 기둥머리를 파고 놓여지며, 창방의 중앙에는 화반이나 포벽이 구성된다.
한편, 다포 양식은 공포가 기둥 위뿐만 아니라 기둥과 기둥 사이에 놓여지는 매우 화려한 모습을 가지는 양식으로 지붕의 무게가 기둥뿐만 아니라 벽을 통하여도 전달되므로 기둥머리를 연결하는 횡부재인 창방만으로는 상부의 하중을 지탱하기 어려워 창방 위에 평방이라는 횡부재를 하나 더 올려놓고 그 위에 공포를 구성한다.
또한, 익공 양식은 기둥 위의 밖으로는 쇠서의 형태로 그리고 안으로는 보아지의 역할을 하는 하나의 부재를 기둥머리에 맞물리게 끼우고 그 위에 주두, 두공과 쇠서를 짜서 공포를 꾸미는 형식이다. 익공은 놓여지는 쇠서의 수에 따라 초익공과 이익공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공포는 사찰이나 한옥에 있어서 지붕을 받치는 실질적인 기능을 하며 아름다운 미를 살리는 대표적인 부분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공포의 일종인 다포의 경우 건물을 웅장하고 화려하게 건축하기 위하여 각양각색의 제공, 첨차 등의 장식용 소품을 깎아 만들어서 현장에서 많은 시간을 들여 일일이 조립하였기 때문에 수공비의 과다지출과 더불어 현장에서의 조립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 때문에 공기가 길어지고, 공기가 길어짐에 따라 인건비 등과 같은 다양한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에 게재된 특허등록 제0869149호(공고일자 : 2008.11.19)에는 고전 한옥 및 사찰의 공포시공방법 및 그 구조물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 고전 한옥 및 사찰의 공포시공방법 및 그 구조물은, 고전 한옥 및 사찰에서 볼 수 있는 공포의 보전성을 높이고, 화재 발생시 전소를 방지할 수 있으며, 시공이 편리한 공포시공방법 및 그 구조물을 얻기 위한 것인 바, 고전 한옥, 사찰 등의 오랜 시간을 관리하면서 발생되는 소손인 화재, 충격, 지진, 부패로 인한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고전 한옥 및 사찰의 공포시공방법 및 그 구조물은, 조립시공이 편리하고 연결구조가 모두 끼워 맞춤으로 조립되므로 다른 구조물의 철근연결방법보다는 보존기간이 매우 길며, 연결기초대가 2중으로 구성되어 진동의 전달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어 지진에서도 붕괴가 되지 않고 견딜 수 있는 이점은 있으나, 시공 현장에서의 조립을 위한 양생을 거쳐 콘크리트 구조물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제조과정이 번거롭고, 콘크리트 구조물로 형성된 구조물이 무겁고 충격에 약해 시공현장에서 신속하게 설치할 수 없으며, 파손시 구조물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보는 기둥 위에서 지붕의 무게를 전달해 주는 것으로서, 도리와 직각으로 만나며, 한옥이나 사찰의 규모에 따라 크기 및 형태가 다양하게 구성되게 된다. 이러한 보는 기둥 위의 공포와 만나게 될 때 첨차 위에 소도로 물리도록 하며, 공포 상측에 보머리를 구현하게 된다.
이러한 보머리는 공포와 함께 외부로 노출되어, 특별한 장식을 새기거나 다양한 구성으로 공작을 구현함으로써, 장식적인 기능을 부여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보머리의 경우에도 상기 공포의 공포시공방법과 유사하게 시공 현장에서 다양한 형태의 보머리를 깎아 새겨야 하므로 수공비의 과다지출과 더불어 현장에서의 조립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 때문에 공기가 길어지고, 공기가 길어짐에 따라 인건비 상승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걸림홈이 형성된 고정부재를 구비하여 공포 조립체의 설치 및 보수, 관리를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기를 단축하고 인건비 등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한옥 및 사찰의 공포 조립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공포 조립구조의 내외부 구성을 따로 구성하여 피고정물의 중심축에 대해 건물 내, 외측에서 각각 설치할 수 있어, 한옥의 미적 심미감은 더욱 살리면서, 짧은 부재 사용으로 경제적인 한옥 및 사찰의 공포 조립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한옥 및 사찰의 공포 조립구조에 있어서, 표면에서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된 걸림홈을 갖고 피고정물에 체결되어 적층되는 공포 고정부재와, 확개부가 형성되고 일측 벽에 상기 걸림홈에 걸림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주두 및 상기 주두의 확개부에 조립되며, 하나의 공포 고정부재 위에 적층되어 위치하는 또 다른 공포 고정부재의 걸림홈에 걸림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공포 조립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공포 고정부재의 후면에 마련되고, 상기 피고정물에 고정되어 상기 공포 조립체를 상기 피고정물에 고정하는 고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 및 사찰의 공포 조립구조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또한, 상기 공포 조립체는, 일측 벽에 걸림돌기가 형성된 보머리를 포함하며, 표면에서 함몰된 형상으로 상기 걸림돌기가 걸리는 걸림홈을 갖고, 상기 피고정물에 체결되어 적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머리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보머리가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포 조립구조는, 상기 공포 고정부재 또는 상기 고정판에 의해 한옥 및 사찰의 피고정물의 중심축에 대해 내외측으로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판은 두 면을 잇는 모서리부가 형성된 고정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공포 고정부재는 표면에서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홈을 갖고 두 면을 잇는 모서리부가 형성된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여, 피고정물의 내외측 코너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공장에서 규격화되어 양산 제작이 가능하여 장인이 하던 작업을 일반 기능인도 쉽게 작업을 행할 수 있는 이점과 아울러 공포 조립체 또는 공포 조립체의 단청을 한옥 및 사찰 시공 현장이 아닌 공장에서 바로 행하여 조립된 공포 조립체를 한옥 특히 복층 한옥 및 사찰 시공현장에서 신속 간편하게 현장 조립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공포 조립체의 파손시 피고정물로부터 간편하게 분리하여 수리를 거쳐 신속하게 현장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기를 단축하고 인건비 등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포 조립체를 포함하는 공포 조립구조의 내외부 구성을 따로 구성하여 피고정물의 중심축에 대해 내, 외측에서 각각 설치할 수 있어, 한옥의 미적 심미감은 더욱 살리면서, 목재를 갉아먹는 흰개미에 의한 각종 부재가 유실되어도 하중에 의한 스트레스를 없애주고, 유지관리의 편의성, 시공의 편리성, 공기의 단축, 인건비의 절감 등의 경제적인 효과는 월등히 개선한 장점이 있다.
도 1 -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포 조립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 2 - 본 발명 제 2 실시예 따른 다포 조립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 3 - 도 2에 따른 다포 조립구조의 조립상태를 보인 확대 종단면도.
도 4 - 본 발명에 따른 다포 조립구조의 일 예를 보인 예시도.
도 5 - 본 발명에 따른 다포 조립구조를 한옥 및 사찰의 내부와 외부 코너에 시공한 것을 예시한 예시도.
도 6 -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보머리 조립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 7 - 도 6에 따른 보머리 조립구조의 조립상태를 보인 확대 종단면도.
도 8 - 본 발명의 다양한 적용 예시도((a)다포 조립구조, (b)익공 조립구조))
본 발명은 한옥 및 사찰에서 중요한 장식적인 기능을 하는 공포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공포의 다양한 양식(다포 양식, 익공 양식 등)에 적용될 수 있으며, 전통적인 건축 양식뿐만 아니라 적절하게 디자인 변경되어 다양한 건축 양식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공포 중 다포 양식에 따른 다포 조립구조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포 조립구조에 의한 다포 조립체(1)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적층 마련되는 다포 고정부재(30)와 상기 다포 고정부재(30)에 조립되는 주두(40)와 상기 주두(40)에 조립되는 다포(50)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다포 고정부재(30)와 주두(40) 그리고 다포(50)를 포함한 다포 조립체(1)의 형상 및 모양은 사찰 또는 한옥의 건축 양식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고, 그 크기 등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서 도시된 형상 모양에 특정하거나 국한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포 고정부재(30)는 표면에서 함몰된 형상의 걸림홈(31)이 형성되어 있고, 볼트(32)로써 피고정물(100)(건물을 이루는 기둥의 상부 부분과 도리의 하부 부분 사이)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다포 고정부재(30)는 건축 양식에 알맞은 다포(50)를 설치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어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형상 모양이나 크기 및 높이 등은 다를 수 있으나, 걸림홈(31)은 반드시 구비된다.
한편, 다포 고정부재(30)에 걸림 조립되는 주두(40)에는 확개부(41)가 형성되어 있고, 일측 벽에는 상기 걸림홈(31)에 삽입 걸림되는 걸림돌기(42)가 형성되어 걸림돌기(42)가 걸림홈(31)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조립되고, 상기 다포(50)는 내향하는 걸림홈(51) 및 걸림돌기(52)를 갖고 상기 주두(40)의 확개부에 안착된 상태로 조립되며, 상기 걸림돌기(52)는 하나의 다포 고정부재(30)위에 적층되어 위치하는 또 다른 다포 고정부재(30)의 걸림홈(31)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조립되어 피고정물(100)에 직접 볼트(32)로 고정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포 조립구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다포 조립구조의 조립상태를 보인 확대 종단면도로서 이들 도면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에서와 달리 복층 한옥 및 사찰의 안과 밖 즉, 내외부를 이루는 일부 피고정물(건물을 이루는 기둥의 상부 부분과 도리의 하부 부분 사이)(100)의 수평 또는 수직면에 볼트(21)로 고정되는 고정판(20)을 더 구비하고 있는데, 상기 고정판(20)의 전면에 고정되는 다포 고정부재(30)와, 다포 고정부재(30)에 걸림 조립되는 주두(40)와, 주두(40) 상부에 조립되는 다포(50)를 포함한 다포 조립체(1)는 볼트(32)가 다포 고정부재(30)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판(20)에 고정되고 이어서, 상기 고정판(20)이 피고정물(1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한옥 및 사찰의 다포 조립구조에 따른 다포(50)는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주두(40), 살미(53), 소로(54), 첨차(55) 등으로 구성되며, 다포(50)를 포함하는 다포 조립체(1)는 시공될 한옥 및 사찰의 양식에 알맞게 설계되며, 다양한 형상 모양 및 크기 높이를 갖고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 도시한 도면에 특정하거나 국한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포 조립체(1)는 공장에서 규격화된 상태로 양산 제작되고, 따라서 장인이 하던 작업을 일반 기능인도 작업 가능하며, 아울러 단청을 한옥 및 사찰 시공 현장이 아닌 공장에서 사전에 행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고정물(100)과 고정판(20)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는 다수의 다포 고정부재(30)가 설치되고, 다포 고정부재(30)의 전방에는 주두(40)의 걸림돌기(42)가 다포 고정부재(30)의 걸림홈(31)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주두(40)의 상부에는 다포(50)의 걸림홈(51)이 주두(40)의 외측에서 삽입되고 다포의 걸림돌기(52)가 걸림홈(31)에 삽입 조립되는 것으로서 조립 완성된 다포 조립체(1)는 현장에서 복층 한옥 및 사찰을 이루는 피고정물(100) 또는 고정판(20)의 수평 또는 수직면에 볼트(32)로 고정하는 것으로서 다포 조립체(1)의 설치가 완료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포 조립체(1)는 사전에 공장에서 조립하여 둔다면 현장에서의 시공 공기는 매우 단축된다. 여기서 피고정물(100) 또는 고정판(20)에 고정되는 다포 조립체(1)의 개수는 한옥 및 사찰의 양식에 따라 다를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포 조립체를 복층 한옥 및 사찰의 내부와 외부의 코너에 시공한 것을 예시한 예시도로서, 여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판(20)과 다포 고정부재(30)의 다른 예를 볼 수 있다.
위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정판(20a)은 두 면을 잇는 모서리부(23)가 형성된 것을 볼 수 있다. 즉 다포 고정부재(30a)는 표면에서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홈(33)이 형성되어 있으며, 두 면을 잇는 모서리부(23)를 갖고 있기 때문에 복층 한옥 및 사찰의 피고정물(100)의 안과 밖인 내 외측 코너부에도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도 상기 고정판(20a)은 피고정물(100)에 고착된 브래킷(10)에 볼트(32)로 고정되며, 다포 고정부재(30a) 또한 볼트(21)로서 고정판(20a)에 고정됨은 물론이다. 여기서 도면부호 10은 브래킷을 표시한 것으로서 고정판(20a)을 피고정물(100)과 필요에 따라 간격을 두기 위함이기 때문에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닐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보머리 조립구조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이에 대한 확대 종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제 3 실시예는 제 1 및 제 2 실시예에서와 달리 한옥 및 사찰의 공포에서 다포 또는 익공 양식에 부가되어 기둥 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보머리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제 1 실시예에서와 유사하게, 표면에서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된 걸림홈(61)을 갖고 피고정물(100)에 볼트로 체결되어 적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머리 고정부재(60) 및 일측 벽에 상기 걸림홈(61)에 걸림되는 걸림돌기(71)가 형성된 보머리(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보머리(70)의 형상 및 모양은 사찰 또는 한옥의 건축 양식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고, 그 크기 등이 다를 수 있으며, 다포 조립체의 상측에 보의 일측에 보머리 조립체가 더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서 도시된 형상이나 모양에 특정하거나 국한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보머리 고정부재(60)는 상기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서와 같이 다포 고정부재와 동일하게 표면에서 함몰된 형상의 걸림홈(61)이 형성되어 있고, 볼트(62)로써 피고정물(다포 조립체 상측, 기둥 상부, 보의 일측 또는 보의 단부)(100)에 고정된다.
여기서, 보머리 고정부재(60)는 건축 양식에 알맞은 보머리(70)를 설치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어 적층되어 형성될 수도 있으며, 그 형상이나 크기 및 높이 등은 다를 수 있으나, 상기 보머리 고정부재(60)의 걸림홈(61)은 반드시 구비된다.
이러한 보머리 고정부재(60)에 형성된 걸림홈(61)에 보머리(70)의 걸림돌기(71)가 삽입되는 것으로 조립되게 된다. 건축 양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보머리가 복수개로 구현되어 상기 보머리 고정부재(60) 및 다른 보머리에 조립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보머리에는 상기 다포 조립체와 유사하게 별도의 걸림홈 및 걸림돌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보머리(70)는 피고정물(다포 조립체 상측, 보의 일측 또는 보의 단부)(100)에 보머리 고정부재(60)를 매개로 하여 볼트(62)에 의해 체결되어 바로 보머리 조립구조를 구현할 수 있으나, 상기 보머리 고정부재(60)의 후면과 상기 피고정물(100) 사이에 마련되어 볼트(62)로서 상기 피고정물(100)에 고정되어 상기 보머리(70)를 상기 피고정물(100)이 고정하는 고정판(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와 유사하게 보머리 고정부재(60)와 피고정물(100) 사이에 볼트(62)로 고정되는 고정판(80)을 더 구비하여 보머리(70) 또는 보머리 조립체는 볼트(62)가 보머리 고정부재(60)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판(80)에 고정되고 이어서, 상기 고정판(80)이 피고정물(1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보머리(70)가 다양한 형태 및 크기의 복수의 보머리 조각으로 구성되어 이를 하나의 보머리 조립체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고정판(80)에 고정 후 피고정물(100)에 고정함으로써, 복잡한 구성의 보머리 조립체라 하더라도 고정판(80)에 미리 고정하여 피고정물(100)에 결합만 하면 되도록 하여 일반 기능인 누구나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공기 단축 및 인건비 절감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공포 중 다포 양식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익공 양식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 한옥이나 사찰의 건축 양식에 따라 적절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적용 예시도((a)다포 조립구조, (b)익공 조립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다포 양식 및 익공 양식에 본 발명이 적용된 사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공포 조립구조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포 고정부재 또는 상기 고정판에 의해 한옥 및 사찰의 피고정물의 중심축에 대해 건물 내,외측에서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기존의 한옥에서 공포 조립구조는 내외부 장식 부재를 일체로 형성하고, 각 구성품 및 각 연결구조를 모두 끼워 맞춤으로 조립하여야 하므로, 설치가 까다롭고 파손으로 교체 시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공포 조립체(예컨대, 다포 조립체 또는 익공 조립체)를 포함하는 공포 조립구조의 내외부 구성을 따로 구성하여 피고정물의 중심축에 대해 건물 내, 외측에서 각각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공포 고정부재 또는 고정판을 도입하였으며, 공포 조립체가 결합된 상기 공포 고정부재 및 고정판을 피고정물에 결합시키는 방법에 의해 시공의 편리성, 공기의 단축, 인건비의 절감 등의 효과를 구현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복층 한옥이나 사찰 등에 적용할 수 있으며, 전통적인 한옥 건축 방식뿐만 아니라 여기에서 탈피하여 한옥이나 사찰의 구조물을 철구조물(H빔)로 형성하고, 철구조물과 목재를 이용하는 복합 건축 방식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도 8은 이러한 복합 건축 방식에 본 발명에 따른 공포 조립구조를 피고정물(철구조물)의 내외측으로 각각 설치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에 의해, 단층뿐만 아니라 복층의 한옥을 구현할 수 있으며, 목재를 갉아먹는 흰개미에 의한 각종 부재의 유실 등의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어 수리 및 유지 관리가 편리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건축물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한옥 건축 양식에서 장식적으로 매우 중요하고 공기가 상대적으로 오래 걸리는 공포를 시공 현장이 아닌 공장에서 조립 완성 후 조립된 공포 조립체를 바로 신속 간편하게 현장에서 설치할 수 있어, 한옥의 미적 심미감은 더욱 살리면서, 유지관리의 편의성, 시공의 편리성, 공기의 단축, 인건비의 절감 등의 경제적인 효과는 월등히 개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공장에서 신속 간편하게 조립한 공포 조립체를 한옥(또는 복층 한옥) 및 사찰 시공현장에서 신속 간편하게 현장 조립할 수 있어서 한옥 및 사찰의 공기를 단축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인건비를 절감하며, 유지, 관리가 편리하면서 파손시 피고정물로부터 간편하게 분리한 후 신속하게 교체가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 : 다포 조립체 2 : 익공 조립체
10 : 브래킷 20, 20a : 고정판
21, 32, 62 : 볼트 23, 33 : 모서리부
30, 30a : 다포 고정부재 31, 33 : 걸림홈
40 : 주두 41 : 확개부
42 : 걸림돌기 50 : 다포
51 : 걸림홈 52 : 걸림돌기
60 : 보머리 고정부재 61 : 걸림홈
70 : 보머리 71 : 걸림돌기
80 : 고정판 90 : 익공
100 : 피고정물

Claims (5)

  1. 한옥 및 사찰의 공포 조립구조에 있어서,
    표면에서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된 걸림홈을 갖고 피고정물에 체결되어 적층되는 공포 고정부재;
    확개부가 형성되고 일측 벽에 상기 걸림홈에 걸림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주두; 및
    상기 주두의 확개부에 조립되며, 하나의 공포 고정부재 위에 적층되어 위치하는 또 다른 공포 고정부재의 걸림홈에 걸림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공포 조립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공포 고정부재의 후면에 마련되고, 상기 피고정물에 고정되어 상기 공포 조립체를 상기 피고정물에 고정하는 고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 및 사찰의 공포 조립구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포 조립체는,
    일측 벽에 걸림돌기가 형성된 보머리를 포함하며,
    표면에서 함몰된 형상으로 상기 걸림돌기가 걸리는 걸림홈을 갖고, 상기 피고정물에 체결되어 적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머리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보머리가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 및 사찰의 공포 조립구조.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공포 조립구조는,
    상기 공포 고정부재 또는 상기 고정판에 의해 한옥 및 사찰의 피고정물의 중심축에 대해 내외측으로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 및 사찰의 공포 조립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두 면을 잇는 모서리부가 형성된 고정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공포 고정부재는 표면에서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홈을 갖고 두 면을 잇는 모서리부가 형성된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여,
    피고정물의 내외측 코너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 및 사찰의 공포 조립구조.
KR1020170023537A 2016-02-23 2017-02-22 한옥 및 사찰의 공포 조립구조 KR101850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01944 WO2017146460A1 (ko) 2016-02-23 2017-02-22 한옥 및 사찰의 공포 조립구조
US16/076,623 US10704259B2 (en) 2016-02-23 2017-02-22 Gongpo assembly structure of traditional Korean-style house and temple
JP2018554301A JP6677819B2 (ja) 2016-02-23 2017-02-22 韓屋及び寺院の組物組立構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21327 2016-02-23
KR1020160021327 2016-02-23
KR1020160177115A KR20170099354A (ko) 2016-02-23 2016-12-22 복층 한옥 및 사찰의 다포 조립구조
KR1020160177115 2016-1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381A KR20170099381A (ko) 2017-08-31
KR101850740B1 true KR101850740B1 (ko) 2018-04-20

Family

ID=5976103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7115A KR20170099354A (ko) 2016-02-23 2016-12-22 복층 한옥 및 사찰의 다포 조립구조
KR1020170023537A KR101850740B1 (ko) 2016-02-23 2017-02-22 한옥 및 사찰의 공포 조립구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7115A KR20170099354A (ko) 2016-02-23 2016-12-22 복층 한옥 및 사찰의 다포 조립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704259B2 (ko)
EP (1) EP3421679B1 (ko)
JP (1) JP6677819B2 (ko)
KR (2) KR20170099354A (ko)
CN (1) CN10869983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33439B1 (en) * 2016-03-22 2020-07-08 Glavloc Build Systems Limited A construction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342B1 (ko) * 2008-12-31 2009-03-25 안중각 현대식 건축물을 전통목구조 건축물로 시공할 수 있는 가구식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216825B1 (ko) * 2012-07-05 2012-12-28 한국전통문화학교산학협력단 전통 목조 건축 부재 접합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25107A (en) * 1921-03-30 1922-08-08 Levinson David Toy
US1763748A (en) * 1928-10-10 1930-06-17 John H Best & Sons Joint for costumers and other articles
US3866371A (en) * 1973-03-07 1975-02-18 Midwest Housing Research Corp Structural framing system
US3966337A (en) * 1975-04-18 1976-06-29 Elsie Crawford Modular post and beam joint
US4409763A (en) * 1981-03-23 1983-10-18 Rydeen Robert J Post and beam building
CA1241976A (en) * 1983-10-17 1988-09-13 Louis G. Derouin Locking puzzle
US4540308A (en) * 1983-12-27 1985-09-10 Edward Colby Joint for furniture support structure
US5040797A (en) * 1988-01-14 1991-08-20 Dykstra Dirk H Block puzzle
US4873797A (en) * 1988-06-01 1989-10-17 R. J. Ryddeen & Associates Stressed skin post and beam building construction system
JPH01310036A (ja) 1988-06-07 1989-12-14 Shokusan Jutaku Sogo Co Ltd 建物の構造用金物
US5185982A (en) * 1991-09-23 1993-02-16 Stark Forest Products Inc. Corner joint for modular assemblies
GB9302660D0 (en) * 1993-02-10 1993-03-24 Sihra Kirpal S A building system
US5799452A (en) * 1997-06-11 1998-09-01 Moore; Kenneth G. Log construction
US6241248B1 (en) * 1999-08-05 2001-06-05 Stephen J. Winter Interlocking solid puzzles with sliding movement control mechanisms
KR100572821B1 (ko) 2004-01-30 2006-04-24 장춘식 고전한옥 및 사찰의 조립식 공포
KR200363394Y1 (ko) 2004-06-15 2004-10-01 전주시 모형 한옥의 공포 조립구조
CN2835391Y (zh) * 2005-11-11 2006-11-08 武汉重工铸锻有限责任公司 铸造铜合金斗栱
KR100869149B1 (ko) 2007-11-26 2008-11-19 어용구 고전한옥 및 사찰의 공포시공방법 및 그 구조물
KR20150112476A (ko) 2014-03-28 2015-10-07 최연수 건식 벽돌벽 구조체
KR101477234B1 (ko) * 2014-05-16 2014-12-29 고범섭 한옥과 목조주택을 현대 건축에 도입한 건축 구조
CN104389396B (zh) * 2014-11-20 2017-04-12 沈阳建筑大学 仿古建筑檐下装饰保温体系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342B1 (ko) * 2008-12-31 2009-03-25 안중각 현대식 건축물을 전통목구조 건축물로 시공할 수 있는 가구식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216825B1 (ko) * 2012-07-05 2012-12-28 한국전통문화학교산학협력단 전통 목조 건축 부재 접합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699837B (zh) 2021-02-19
CN108699837A (zh) 2018-10-23
KR20170099381A (ko) 2017-08-31
US20190048586A1 (en) 2019-02-14
US10704259B2 (en) 2020-07-07
JP6677819B2 (ja) 2020-04-08
KR20170099354A (ko) 2017-08-31
EP3421679B1 (en) 2021-06-16
JP2019507263A (ja) 2019-03-14
EP3421679A1 (en) 2019-01-02
EP3421679A4 (en) 2019-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9662B1 (ko) 비정형 건축구조물의 곡면 외피를 시공하기 위한 철골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비정형 건축구조물 시공방법
CN105189887B (zh) 配合形成临时楼梯的阶梯模块
KR101850740B1 (ko) 한옥 및 사찰의 공포 조립구조
KR101642088B1 (ko) 조립식 주택의 조립구조물
KR101530359B1 (ko) 건축물의 외벽 장식재
AU2017222476A1 (en) Structure with hollow or partially hollow structural elements, with modular and improved system of joints
JP5709150B1 (ja) 組立式足場
KR101864648B1 (ko) 간편하게 설치 가능한 조립식 벽체
KR102041344B1 (ko) 커튼월 시스템
US20130122234A1 (en) Precast veneer panel arrangement
US20110162310A1 (en) Tile And Strut Construction System For Geodesic Dome
JP2009221748A (ja) 柱梁の接合構造および屋外構造体
WO2017146460A1 (ko) 한옥 및 사찰의 공포 조립구조
KR100435045B1 (ko) 조립식 건축벽체
KR20160065451A (ko) 유리벽 고정장치
KR102030249B1 (ko) 유로폼
JP2021193259A (ja) 仮設構造物
KR20150088126A (ko) 비정형 그리드 쉘 구조물의 테넌 조인트
KR20180129737A (ko) 스티로폼을 이용한 모듈러 건축물 및 그 시공방법
KR20160078094A (ko) 모듈러 유닛용 슬래브를 이용한 모듈러 건축물의 시공방법
KR100415273B1 (ko) 욕실용 조립식 내장판재
JP7094720B2 (ja) 床構造体
KR101632927B1 (ko) 판넬 조립식 구조물 구축용 연결부재
KR101567876B1 (ko) 무변형 프레임 코너부 결합구조
KR20210051041A (ko) 10m 이상급 대공간 다포 형식의 한옥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