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0359B1 - 건축물의 외벽 장식재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외벽 장식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0359B1
KR101530359B1 KR1020140119153A KR20140119153A KR101530359B1 KR 101530359 B1 KR101530359 B1 KR 101530359B1 KR 1020140119153 A KR1020140119153 A KR 1020140119153A KR 20140119153 A KR20140119153 A KR 20140119153A KR 101530359 B1 KR101530359 B1 KR 101530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bracket
building
wal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9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용
Original Assignee
이승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용 filed Critical 이승용
Priority to KR1020140119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03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0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0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Abstract

본 발명은 아파트 또는 빌딩과 같은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할 수 있으며, 건축물의 외관의 미려함을 증대시키는 외벽 몰딩과 같은 외벽 장식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건축물의 외벽 장식재는 판상의 석재, 이 석재의 하부에 배치되는 받침부, 받침부에서 일체로 연장되거나 결합되는 장식부, 석재와 받침부를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축물의 외벽 장식재{Outer wall molding of a building}
본 발명은 아파트 또는 빌딩과 같은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할 수 있으며, 건축물의 외관의 미려함을 증대시키는 외벽 몰딩과 같은 외벽 장식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벽 장식재(일반적으로 외벽용 몰딩을 의미함)는 아파트와 같은 건축물의 외벽에 외관의 미려함을 증대시키기 위해 설치한다. 즉, 외벽 장식재는 아파트 등의 건물의 외벽의 층간 사이 등에 대략 수평방향으로 다양한 모양으로 설치한다. 이러한 외벽 장식재는 스티로폼 등으로 제작된다.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진 외벽 장식재는 시공이 편리하고 설치 작업이 용이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바람이나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어 건물의 가치를 오히려 떨어뜨리는 단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47011호에는 건물 장식용 알루미늄 몰딩이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공보에는 외벽 장식재를 알루미늄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하고 걸림돌기가 제공된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외벽 장식재를 건물의 외벽에 고정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의 외벽 장식재는 견고하여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외벽 장식재의 내부에 공간이 제공되어 비바람이 몰아칠 때에는 소음이 발생하여 주거 환경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특허공보 제10-1147011호(2012. 05. 10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시공이 용이하고 견고하며 동시에 비바람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는 건축물의 외벽 장식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건축물의 외관의 미려함을 더욱 향상시켜 건축물의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증대시키는 건축물의 외벽 장식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공이 용이하여 설치 비용을 줄일 수 있는 건축물의 외벽 장식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작비용을 줄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건축물의 외벽 장식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판상의 석재, 상기 석재의 하부에 배치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에서 일체로 연장되거나 결합되는 장식부, 상기 석재와 상기 받침부를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건축물의 외벽 장식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판상의 석재, 상기 석재의 하부에 배치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에서 일체로 연장되거나 결합되는 장식부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의 상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석재끼움결합홈이 제공되고, 상기 석재끼움결합홈에 상기 석재가 끼움 결합되는 건축물의 외벽 장식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판상의 석재, 상기 석재의 하부에 배치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에서 일체로 연장되거나 결합되는 장식부, 상기 석재와 상기 받침부를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받침부와 상기 장식부를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하는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을 상기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건축물의 외벽 장식재를 제공한다.
상기 받침부와 상기 장식부는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재질은 금속재 또는 비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받침부와 상기 장식부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합금재가 압출 성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부 또는 상기 장식부에는 각각 서로 마주하는 끝부분에 연결홈이 제공되고, 상기 연결홈에 연결부재가 끼움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에는 서로 마주하는 끝부분에 연결브라켓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와 상기 장식부에는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하는 고정브라켓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받침부에 고정되는 제1 브라켓과 상기 장식부를 고정하는 제2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브라켓은 상기 받침부를 지지하는 받침지지부와 건축물의 외벽에 접촉되는 고정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지지부에는 상기 석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끼움홈 이 제공되고, 상기 고정지지부에는 상기 받침지지부에 제공된 끼움홈과 나란한 방향으로 또 다른 끼움홈이 제공되며, 상기 끼움홈들에 끼워져 고정되는 보강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브라켓에는 상기 제1 브라켓에 끼움결합되며 상기 석재의 윗부분에 접촉되면서 상기 석재의 높이에 따라 끼워지는 높이조절 브라켓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식부에는 저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체결홈이 제공되고, 상기 체결홈에 보호커버가 끼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건축물의 외벽 장식재는 알루미늄을 압출 성형하여 받침부와 장식부를 만들고, 받침부의 상부에 판상의 석재를 결합하여 건축물의 외벽에 시공함으로써, 비바람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건축물의 외벽 장식재는 장식부를 다양한 형태로 압출 성형하여 제작하므로 건축물의 외관의 미려함을 더욱 향상시켜 건축물의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건축물의 외벽 장식재는 시공이 용이하여 설치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건축물의 외벽에 외벽 장식재가 설치된 상태의 일부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고정브라켓의 다른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주요 부분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고정브라켓의 또 다른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고정브라켓의 또 다른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석재를 고정하는 구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고정브라켓의 또 다른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받침부와 장식부의 끝 부분이 접촉하는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연결부재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석재와 인접하는 또 다른 석재가 서로 연결되는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고정브라켓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해 받침부와 장식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주요 부분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4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해 길이 방향에 대해 일부를 수직한 방향으로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시시도로, 건축물의 외벽 장식재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건축물의 외벽 장식재는, 석재(1), 받침부(3), 장식부(5), 그리고 결합부재(7)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건축물의 외벽 장식재는 상술한 석재(1), 받침부(3), 장식부(5)와 이들을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브라켓(9)을 포함할 수 있다.
석재(1)는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정한 길이와 두께를 가지는 것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석재(1)는 대리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석재(1)는 외관의 미려함을 증대시키면서도 동시에 비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현저하게 줄이 수 있다.
받침부(3)와 장식부(5)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이 포함된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압출 성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받침부(3)와 장식부(5)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압축 성형에 의해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받침부(3)는 석재(1)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받침부(3)는 석재(1)의 저면 전체에 배치된 예를 도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석재(1)의 일부분(폭 방향을 기준으로 일부분)에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받침부(3)의 면적을 줄여 받침부(3)를 제작하는데 소요되는 제작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장식부(5)는 받침부(3)와 일체로 연장될 수 있으며, 길이 방향을 따라 굴곡진 부분을 구비하여 외관의 미려함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장식부(5)는 길이 방향을 따라 굴곡진 부분을 볼록하게 하거나 오목하게 구성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하여 외관의 미려함을 극대화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받침부(3)와 장식부(5)는 경우에 따라서는 고강도의 합성수지재로도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예는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면서도 제작 비용을 현저하게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결합부재(7)는 볼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부재(7)는 석재(1)와 받침부(3)를 결합하여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결합부재(7)는 석재(1), 받침부(3) 그리고 고정브라켓(9)을 함께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고정브라켓(9)은 받침부(3)와 장식부(5)를 건축물의 외벽(W, 이하, '외벽'이라고 함)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브라켓(9)은 외벽(W)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브라켓(9)은 제1 브라켓(11)과 제2 브라켓(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브라켓(11)은 받침부(3)를 외벽(W)에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제2 브라켓(13)은 장식부(5)를 외벽(W)에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물론, 고정브라켓(9)은 볼트 또는 나사와 같은 별도의 체결부재에 의해 외벽(W)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브라켓(11)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지지부(11a), 고정지지부(11b), 그리고 보강지지부(11c)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지지부(11a)는 대략 수평(도 2 기준)으로 배치되어 받침부(3)를 지지하며 받침부(3)에 결합된다. 물론, 받침지지부(11a)는 석재(1)와 받침부(3)에 체결부재에 의해 함께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지지부(11b)는 받침지지부(11a)에서 대략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어 외벽(W)에 밀착될 수 있다. 고정지지부(11b)에는 볼트 또는 나사 등의 체결부재를 통해 외벽(W)에 고정할 수 있는 결합공(h)들이 제공될 수 있다. 보강지지부(11c)는 받침지지부(11a)와 고정지지부(11b)를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보강지지부(1c)는 제1 브라켓(11)의 강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브라켓(13)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식부(5)의 일측을 지지하는 장식지지부(13a)와 장식지지부(13a)에서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는 또 다른 고정지지부(13b)를 포함한다. 장식지지부(13a)는 장식부(5)의 내부(외벽(W)에 의해 받침부(3)와 장식부(5)가 폐쇄된 구조를 가정함)에 볼트 또는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로 결합된다. 그리고 제2 브라켓(13)의 고정지지부(13b)에는 외벽(W)에 볼트 또는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로 고정할 수 있는 결합공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의 고정브라켓(9)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의 고정브라켓(9)은 상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여 다른 점 만을 설명하고 동일한 부분은 상술한 설명으로 대치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에서 상술한 부분과 같은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는 상술한 예와 도면의 부호를 동일하게 부여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의 고정브라켓(9)은 제1 브라켓(11)과 제2 브라켓(13)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의 제1 브라켓(11, 도 4 참조)에는 받침지지부(11a)의 일측에 석재(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끼움홈(11d)이 제공된다. 즉, 제1 브라켓(13)에는 고정지지부(11b)를 연장한 연장부(11f)가 제공된다. 그리고 제1 브라켓(13)에는 상술한 연장부(11f)의 일부를 수평 방향으로 밴딩한 석재지지부(11e)가 제공된다. 상술한 연장부(11f)는 제1 브라켓(11)의 받침지지부(11a)에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배치되어 석재(1)의 상면 일부를 지지한다. 이러한 석재지지부(11e)와 받침지지부(11a)가 이루는 공간이 끼움홈(11d)이 된다. 그리고 이 끼움홈(11d)에 석재(1)와 받침부(3)가 끼워질 수 있다.
한편, 제1 브라켓(11)을 외벽(W)에 볼트 또는 나사 등과 같은 체결부재로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h)은 제1 브라켓(11)의 고정지지부(11b, 도 2 참조)에 제공될 수 도 있고, 상술한 끼움홈(11d)이 제공되는 부분인 제1 브라켓(11)의 연장부(11f)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는 석재(1)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고정 작업의 작업성이 뛰어난 이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를 도시한 도면으로, 제1 브라켓(11, 편의상 상술한 예와 동일한 부분은 같은 부호를 부여함)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또 다른 예시의 제1 브라켓(11)의 설명은 상술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은 상술한 실시예와 같은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으로 대치하고 다른 부분 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의 제1 브라켓(11)은 상술한 예와 동일하고, 다만, 석재(1)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길게 이루어지는 점에 차이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는 작업자가 고공에서 제1 고정브라켓(11)을 설치할 때 수평을 쉽게 유지할 수 있어 비교적 간단하게 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또 다른 예시로, 제1 브라켓(11, 편의상 상술한 예와 동일한 부분은 같은 부호를 부여함)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는 제1 브라켓(11)의 받침지지부(11a)에 결합홈(15)이 제공되고, 제1 브라켓(11)의 고정지지부(11b)에 또 다른 결합홈(17)이 제공된다. 이들 결합홈(15, 17)들은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대응하는 위치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결합홈(15, 17)들은 석재(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브라켓(11)의 보강지지부(11c)는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보강지지부(11c)의 양끝 부분에는 상술한 결합홈(15, 17)과 대응하여 끼워질 수 있는 결합돌기(19, 21)이 제공된다. 따라서 보강지지부(11c)의 결합돌기(19, 21)가 받침지지부(11a) 및 고정지지부(11b)에 제공된 결합홈(15, 17)에 끼워질 수 있다. 따라서 보강지지부(11c)는 받침지지부(11a)와 고정지지부(11b)에 대각선 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는 제1 브라켓(11)을 외벽(W)에 쉽게 고정할 수 있으면서도 보강지지부(11c)의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는 제1 브라켓(11)을 외벽(W)에 볼트 또는 나사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먼저 부착하고 후에 보강지지부(11c)를 받침지지부(11a)와 고정지지부(11b)에 끼움 결합하여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하여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는 결합홈(15, 17)과 결합돌기(19, 21)가 서로 바뀌어 이루어져도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또 다른 예시로, 건축물의 외벽 장식재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의 설명에서 상술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은 같은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는 받침부(3)에 석재끼움결합홈(3a)이 길이 방향을 따라 제공된다. 석재끼움결합홈(3a)은 더브테일 모양의 홈 또는 더브테일 모양의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석재끼움결합홈(3a)에 끼워지는 석재(1)는 석재끼움 결합홈(3a)과 대응하는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도 7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는 석재(1)을 간단하게 받침부(3)에 결합할 수 있어 설치 작업과정에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7의 다른 예시로 도 17과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석재(1)를 받침부(3)의 상부에 설치할 수 있다. 즉, 받침부(3)는 일측에서 연장되는 연장고정부(23)가 제공된다. 연장고정부(23)의 외벽(W)을 기준으로 외벽(W)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연장고정부(23)는 받침부(3)와 일체로 압출 성형되어 제작되거나,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별도의 부품으로 제작되어 볼트 또는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받침부(3)에 고정될 수 도 있다. 연장고정부(23)는 받침부(3)의 길이 방향(또는 석재(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는 석재(1)를 더욱 쉽게 고정할 수 있으면서도 석재(1)를 라운드 모양으로 가공할 때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즉, 석재(1)가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는 모서리 부분을 라운드 형태로 가공하지 않고도 단지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석재(1)를 잘라서 사용하여 라운드 형상 또는 다양한 형상을 만들 수 있어 외관의 아름다움을 유지할 수 있다. 즉, 연장고정부(23)의 길이 방향을 직각으로 잘라서 본 단면을 라운드 모양 또는 라운드 모양이 서로 연결된 다양한 형상으로 가공하여 설치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석재(1)를 가공하는 가공비를 없애면서도 외관의 미려함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또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해 제1 브라켓(11, 편의상 상술한 실시예의 설명의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함)을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로 석재(1)의 두께(t1)가 비교적 얇은 것을 사용한 예이고, 도 9는 석재(1)의 두께(t2)가 상술한 도 8에 도시한 석재(1)의 두께(t1)에 비해 더 두꺼운 것을 사용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과 도 9에 도시하여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또 다른 예시 역시 상술한 설명과 동일한 부분은 같은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다른 점 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의 제1 브라켓(11)은 고정지지부(11b)를 연장한 연장부(11f)를 포함한다. 그리고 연장부(11f)는 고정지지부(11b)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의 제1 브라켓(11)는 연장부(11f)의 끝 부분에 걸림홈부(11g)가 제공된다. 이 연장부(11f)와 걸림홈부(11g)는 석재(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걸림홈부(11g)에는 높이조절브라켓(25)이 끼움결합된다. 높이조절브라켓(25)은 석재접촉부(25a), 수직연장부(25b), 그리고 걸림돌출부(25c)를 포함한다.
석재접촉부(25a)는 석재(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석재(1)의 사이드측 일부에 접촉될 수 있다. 석재접촉부(25a)는 석재(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석재(1)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수직연장부(25b)는 석재접촉부(25a)에서 직각 방향으로 밴딩된다. 수직연장부(25b)는 석재(1)의 두께(t1)에 따라 그 높이(h1, 도 8에 도시함)가 달라질 수 있다. 즉, 석재(1)의 두께에 따라 적절한 높이(h1)를 가지는 수직연장부(25b)가 사용될 수 있다(도 9의 수직연장부 h2와 비교하여 참조). 이러한 수직연장부(25b)는 고정지지부(11b)에서 연장되는 연장부(11f)의 일면에 밀착되어 석재(1)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걸림돌출부(25c)는 수직연장부(25b)의 상단 끝 부분(도 8 기준)에 석재(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공된다. 걸림돌출부(25c)는 걸림홈부(11g)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쉽게 끼움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는 석재(1)의 두께가 t1인 경우(도 8에 도시함)에는 높이조절브라켓(25)의 수직연장부(25b)의 높이가 h1 인 것을 사용하고, 석재(1)의 두께가 t2(도 8의 t1보다 더 두꺼움)인 경우(도 9에 도시함)에는 높이조절브라켓(25)의 수직연장부(25b)의 높이가 h2(도 8의 h1 보다 작음)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는 석재(1)의 두께(t1, t2)가 달라진 경우에 그에 적합한 높이조절브라켓(25)을 사용함으로써, 작업자가 작업 현장에서 쉽게 작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는 통상적으로 고공에서 건축물의 외벽 장식재를 설치하는 작업을 할 때 작업이 용이해지므로 작업공수를 줄이는 것은 물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또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받침부(3)와 장식부(5)의 연결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또 다른 예시에서 상술한 설명과 비교하여 동일한 부분은 같은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다른 점 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받침부(3)와 장식부(5)에는 각각의 일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연결홈(3b, 5b)이 제공된다. 연결홈(3b, 5b)에는 도 11에 도시한 연결부재(27)가 삽입될 수 있다. 연결홈(3b, 5b)은 받침부(3)와 장식부(5)를 압출 성형으로 제작하는 과정에서 함께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재(27)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홈(3b, 5b)에 삽입될 수 있는 정도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연결부재(27)는 일면에 스토퍼 역할을 하는 걸림턱(27a)이 제공될 수 있다. 걸림턱(27a)은 연결부재(27)의 일면의 가운데 부분에 돌출되는 부분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점 모양의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는 작업자가 고공에서 받침부(3)와 장식부(5)의 끝 부분을 서로 조립하는 과정에서 단지 연결부재(27)를 끼움결합하는 것에 의해 쉽게 받침부(3) 또는 장식부(5)의 길이 방향을 단차가 생기지 않도록 서로 일치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또 다른 예시는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작업자의 숙련도도 필요하지 않으며 시공 후에 받침부(3)와 장식부(5)가 단차 없이 각각 일직선으로 맞추어지므로 외관의 미려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또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석재(1)의 연결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또 다른 예시 역시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같은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의 또 다른 예시에서 상술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은 상술한 예의 설명으로 대치하고 다른 점 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석재(1)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또 다른 석재(1, 편의상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의 끝부분에 위치하는 받침부(3)에는 연결브라켓(29)이 결합된다. 이 연결브라켓(29)은 받침부(3)에 나사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29a), 고정플레이트(29a)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플레이트(29b) 그리고 연장플레이트(29b)에서 다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석재(1)의 상부에 접촉하는 접촉플레이트(29c)를 포함한다.
고정플레이트(29a)는 나사 등의 체결부재로 받침부(3)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연장플레이트(29b)는 대략 고정플레이트(29a)의 가운데 부분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연장플레이트(29b)는 석재(1)들의 끝면 사이에 삽입되어 석재(1)들의 끝면에 밀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연장플레이트(29b)는 석재(1)들의 끝면이 서로 부딪히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접촉플레이트(29c)는 석재(1)들의 끝 부분의 상부에 배치되어 석재(1)들을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접촉플레이트(29c)는 석재(1)들이 마주하는 끝 부분이 단차가 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접촉플레이트(29c)는 석재(1)의 폭(w1)을 기준은 2/3의 범위 이내의 폭(도 12에서 w2로 표시함)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촉플레이트(29c)가 이러한 기준을 넘어가는 경우에는 외관이 미려함이 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연결브라켓(29)은 시공과정에서 숙련도 떨어지는 작업자들에 의해 석재(1)들이 서로 마주하는 선단부분이 부딪혀 파손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는 작업자의 숙련도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시공이 용이하면서도 외관의 미려함을 떨어뜨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또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고정브라켓(9)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또 다른 예시에서 상술한 실시예의 설명과 동일한 내용은 상술한 설명으로 대치하고, 다른 점 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의 또 다른 예시에서 상술한 예와 동일한 부분은 편의상 같은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고정브라켓(9)이 제1 브라켓(11)과 제2 브라켓(13)이 나누어진 예를 도시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도 13에 도시한 고정브라켓(9)은 제1 브라켓(11)과 제2 브라켓(13)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예시는 부품의 수를 줄여 고공에서 작업의 용이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는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고정브라켓(9)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보강지지부(11c)는 상술한 예와 같이 끼움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4와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또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받침부(3)와 장식부(5)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또 다른 예시에서 다른 점만을 설명하고, 상술한 설명과 동일한 내용은 상술한 예의 설명으로 대치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의 또 다른 예시에서 상술한 예와 동일한 부분은 같은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받침부(3)와 장식부(5)가 일체로 이루어진 예를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에서는 받침부(3)와 장식부(5)가 각각 별도로 압출 성형에 의해 제작되어 조립될 수 있는 것을 보여준다.
즉, 받침부(3)에는 길이 방향으로 장식부연결부(3c)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이 장식부연결부(3c)에 대응하는 위치의 장식부(5)에 받침부연결부(5c)가 제공될 수 있다. 받침부연결부(5c)는 장식부(5)의 길이 방향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식부연결부(3c)과 받침부연결부(5c)는 서로 대응되어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단면의 형상이 홈 또는 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받침부(3)와 장식부(5)가 두개로 분리되어 압출 성형에 의해 제작되는 경우에 단면의 외주면을 연결한 직경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제작비용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받침부(3)와 장식부(5)를 2개로 분리하는 경우 각각 다른 재질로 사용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석재(1)의 힘을 많이 받는 장식부(5)는 금속재로 제작하고 상대적으로 장식부(5)에 비해 적게 힘을 받는 받침부(3)는 비금속재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장식부(5)는 디자인적인 요소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받침부(3)와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작 외관의 미려함을 유지하면서도 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장식부(5)는 저면에 체결홈(5d)이 길이 방향을 따라 제공될 수 있다(도 14 및 도 15 참조). 이 체결홈(5d)에는 나사구멍이 일정한 간격(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함)으로 제공되어 제2 브라켓(13)에 나사 등으로 장식부(5)를 고정할 수 있다. 체결홈(5d)에는 양 사이드 측에 걸림홈(5e)들이 서로 마주하여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홈(5d)에는 보호커버(31)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물론, 보호커버(31)도 체결홈(5d)과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커버(31)는 상술한 걸림홈(5e)에 대응하는 걸림돌기(31a)가 제공된다. 그리고 걸림돌기(31a)가 제공되는 부분은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보호커버(31)의 걸림돌기(31a)가 걸림홈(5e)에 삽입되면서 탄성력에 의해 보호커버(31)가 장식부(5)의 체결홈(5d)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식부(5)가 제2 브라켓(13)에 고정되는 부분에서 외관의 미려함을 떨어질 수 있지만 이 결합부분을 보호커버(31)로 가릴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외관이 미려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호커버(31)의 형상을 다양하게 구현하여 오히려 외관의 미려함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디자인적 요소를 부가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건축물의 외벽 장식재를 폭 방향으로 잘라서 본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또 다른 예시에서 다른 점만을 설명하고 동일한 내용은 상술한 예의 설명으로 대치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의 또 다른 예시에서 상술한 예와 동일한 부분은 같은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이 실시예의 다른 예시는 상술한 예시와 마찬가지로 받침부(3)와 장식부(5)를 분리하여 제작한 후 시공할 때 결합할 수도 있으면서 받침부(3)의 두께(t3)를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는 석재(1)의 두께(t4, 도 16 참조)에 따라 받침부(3)의 두께를 맞추어 설계하여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시공하는 과정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는 외벽(W)에 제1 브라켓(11)과 제2 브라켓(13)을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로 고정한다. 그리고 받침부(3)와 장식부(5)를 제1 브라켓(11)과 제2 브라켓(13)에 고정한다. 계속해서 작업자는 석재(1)를 받침부(3)의 상부에 배치하고 고정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건축물의 외벽 장식재를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고공에서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숙련도를 요하지 않아도 외관의 미려함을 감소시키지 않고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의 건축물의 외벽 장식재는 알루미늄을 압출 성형하여 받침부(3)와 장식부(5)를 만들고, 받침부(3)의 상부에 판상의 석재(1)를 결합하여 건축물의 외벽에 시공함으로써, 비바람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건축물의 외벽 장식재는 장식부(5)를 다양한 형태로 압출 성형하여 제작하므로 건축물의 외관의 미려함을 더욱 향상시켜 건축물의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증대시키고, 시공이 용이하여 설치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석재,
3. 받침부, 3a. 석재끼움결합홈, 3b. 연결홈, 3c. 장식부연결부,
5. 장식부, 5b. 연결홈, 5c.받침부연결부, 5d. 체결홈, 5e. 걸림홈,
7. 결합부재,
9. 고정 브라켓,
11. 제1 브라켓, 11a. 받침지지부, 11b. 고정지지부, 11c. 보강지지부,
11d. 끼움홈, 11f. 연장부, 11g, 걸림홈부,
13. 제2 브라켓, 13a. 장식지지부, 13b. 고정지지부,
15, 17. 결합홈,
19, 21. 결합돌기,
23. 연장고정부,
25. 높이조절브라켓, 25a. 석재접촉부, 25b. 수직연장부, 25c. 걸림돌출부,
27. 연결부재,
29. 연결브라켓, 29a. 고정플레이트, 29b. 연장플레이트, 29c. 접촉플레이트,
31. 보호커버, 31a. 걸림돌기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판상의 석재,
    상기 석재의 하부에 배치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에서 일체로 연장되거나 결합되는 장식부,
    상기 석재와 상기 받침부를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받침부와 상기 장식부를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하는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을 상기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받침부를 고정하는 제1 브라켓과 상기 장식부를 고정하는 제2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브라켓에는
    상기 제1 브라켓에 끼움결합되며 상기 석재의 윗부분에 접촉되면서 상기 석재의 높이에 따라 끼워지는 높이조절 브라켓이 제공되는 건축물의 외벽 장식재.
  4. 삭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와 상기 장식부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합금재가 압출 성형으로 이루어지는 건축물의 외벽 장식재.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 또는 상기 장식부에는
    각각 서로 마주하는 끝부분에 연결홈이 제공되고, 상기 연결홈에 연결부재가 끼움결합되는 건축물의 외벽 장식재.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에는
    서로 마주하는 끝부분에 연결브라켓이 결합되는 건축물의 외벽 장식재.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라켓은
    상기 받침부를 지지하는 받침지지부와 건축물의 외벽에 접촉되는 고정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지지부에는 상기 석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끼움홈 이 제공되고, 상기 고정지지부에는 상기 받침지지부에 제공된 끼움홈과 나란한 방향으로 또 다른 끼움홈이 제공되며, 상기 끼움홈들에 끼워져 고정되는 보강지지부를 포함하는 건축물의 외벽 장식재.
  11. 삭제
  12.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에는
    저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체결홈이 제공되고, 상기 체결홈에 보호커버가 끼움 결합되는 건축물의 외벽 장식재.
KR1020140119153A 2014-09-05 2014-09-05 건축물의 외벽 장식재 KR101530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9153A KR101530359B1 (ko) 2014-09-05 2014-09-05 건축물의 외벽 장식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9153A KR101530359B1 (ko) 2014-09-05 2014-09-05 건축물의 외벽 장식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0359B1 true KR101530359B1 (ko) 2015-06-19

Family

ID=53519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9153A KR101530359B1 (ko) 2014-09-05 2014-09-05 건축물의 외벽 장식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035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4929B1 (ko) 2017-01-06 2017-12-05 김현재 리모델링에 사용되는 인테리어용 몰딩재
KR101963555B1 (ko) 2018-06-07 2019-07-31 오성석 건축물의 외벽 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190967B1 (ko) 2020-02-11 2020-12-14 오성석 건축용 외장몰딩 구조체 및 제조방법
KR102511853B1 (ko) 2022-06-30 2023-03-20 금산씨엔씨(주) 건물 외벽 장식용 부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458Y1 (ko) * 2000-12-21 2001-06-15 배형진 천장몰딩의 구조
KR20070095500A (ko) * 2005-10-10 2007-10-01 손동일 일체형 건축외장몰딩의 제조방법
KR101087006B1 (ko) * 2008-06-20 2011-11-25 ㈜익성텍 건물 장식용 무기질재 조립식 몰딩
KR101147011B1 (ko) * 2009-12-10 2012-05-17 주식회사 대진아트 건물 장식용 알루미늄 몰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458Y1 (ko) * 2000-12-21 2001-06-15 배형진 천장몰딩의 구조
KR20070095500A (ko) * 2005-10-10 2007-10-01 손동일 일체형 건축외장몰딩의 제조방법
KR101087006B1 (ko) * 2008-06-20 2011-11-25 ㈜익성텍 건물 장식용 무기질재 조립식 몰딩
KR101147011B1 (ko) * 2009-12-10 2012-05-17 주식회사 대진아트 건물 장식용 알루미늄 몰딩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4929B1 (ko) 2017-01-06 2017-12-05 김현재 리모델링에 사용되는 인테리어용 몰딩재
KR101963555B1 (ko) 2018-06-07 2019-07-31 오성석 건축물의 외벽 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190967B1 (ko) 2020-02-11 2020-12-14 오성석 건축용 외장몰딩 구조체 및 제조방법
KR102511853B1 (ko) 2022-06-30 2023-03-20 금산씨엔씨(주) 건물 외벽 장식용 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0359B1 (ko) 건축물의 외벽 장식재
US10577795B2 (en) Construction panel assembly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CN106522496B (zh) 外装构造
US20070039257A1 (en) Low profile architectural detailing assembly
JP2006307423A (ja) 幕板およびその幕板を用いた外壁施工構造
US20100199580A1 (en) Door frame structure and mounting method thereof
KR102221604B1 (ko) 커튼월 및 이의 생산 방법
US6315026B1 (en) Cornice box
US11428013B2 (en) Mounting member and building wall structure
KR102236474B1 (ko) 우물천장 구조물
WO2015146475A1 (ja) パネルの取付構造
JP2018066151A (ja) 板材の端面取付具、壁構造及び板材の施工方法
KR100758378B1 (ko) 고층용 창호
KR101648197B1 (ko) 외장패널 고정구 및 그를 이용한 외장패널 시공방법
KR200174254Y1 (ko) 건축물의 외장재
KR102513835B1 (ko) 건축물 외장용 기능성 복합판넬 결합장치
JP2005299244A (ja) エクステリア構築物
JP7005870B2 (ja) 建物の止水構造
JP5758607B2 (ja) 手摺壁および手摺壁の施工方法
KR100415273B1 (ko) 욕실용 조립식 내장판재
KR20140127580A (ko) 건축물 벽체의 조립식 외장구조
KR101311075B1 (ko) 인테리어용 몰딩재와 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 설치 방법
KR100867182B1 (ko) 복합 개폐식 창호
KR102283881B1 (ko) 버드 스크린이 구비된 건축용 외장패널
JP6934845B2 (ja) 乾式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