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7006B1 - 건물 장식용 무기질재 조립식 몰딩 - Google Patents

건물 장식용 무기질재 조립식 몰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7006B1
KR101087006B1 KR1020080058278A KR20080058278A KR101087006B1 KR 101087006 B1 KR101087006 B1 KR 101087006B1 KR 1020080058278 A KR1020080058278 A KR 1020080058278A KR 20080058278 A KR20080058278 A KR 20080058278A KR 101087006 B1 KR101087006 B1 KR 101087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decorative
fastening
building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8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32155A (ko
Inventor
이근우
Original Assignee
㈜익성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익성텍 filed Critical ㈜익성텍
Priority to KR1020080058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7006B1/ko
Publication of KR20090132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2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7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7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2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the material is extrud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04F2019/04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E04F2019/0418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stone or stone 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파트나 개인주택, 상가건물등의 내, 외벽을 장식하는 몰딩에 관한 것이다.
몰딩은 기단(基壇) ·문설주 ·주두 ·아치 등의 모서리나 표면을 밀어서 두드러지거나 오목하게 만드는 장식법으로 주로 환형구조와 같은 라운드형, 요철형등에 의하여 외부를 장식하는 구조로 주로 서양식 구조에 상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몰딩의 재료로 발포 콘크리트에 의하여 경량화한 것을 사용하거나 혹은 발포합성수지(주로 스티로폼)의 표면을 착생코팅처리한 제품을 이용하고 있다. 우선 이런 제품중 발포 콘크리트는 내구성이 없어 오랜 세월이 경과하면서 크랙발생등에 의하여 파괴되므로 외관을 흉하게 하는 원인이된다. 그리고 발포합성수지재질도 역시 강도가 약하여 가벼운 충격에도 파괴가 됨은 물론 오랜 시간 태양광과 저온과 고온에 노출되면서 열화되어 분리되어버리거나 파괴되어 장시간 경과시 보기에 흉한 형태로 된다.
본 발명은 세멘트 혹은 석고와 같은 수경성 무기질 결합제, 규사와 같은 광물분체, 메일 에틸셀룰로스와 가소성 증점제와 같은 첨가물,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합성섬유사나 면류와 같은 천연섬유사로 구성된 섬유재, 경량골재를 혼련하여 연속적인 압출성형으로 성형하되 내부에 다수의 중공부를 주어 경량화를 이루는 동시에 콘크리트와 동일한 강도를 갖춘 몰딩을 개발하였다. 따라서 기존 콘크리트 구조물에 부착시 콘크리트 구조물과 동일한 내구성을 갖추도록 하였으며, 장시간 경과하여도 이미 제조시에 고온고압으로 성형하므로서 고온과 저온, 태양광, 산성비등에 의하여 전혀 변성이 없는 강한 몰딩을 제공하게 되었다.
무기질, 몰딩, 조립식

Description

건물 장식용 무기질재 조립식 몰딩{Molding decorating the outer face of constructuror made by the continuous extrusion method}
본 발명은 아파트나 개인주택, 상가건물 등의 내벽, 외벽을 장식하는 조립식 복합 몰딩에 관한 것이다.
몰딩은 기단(基壇) ·문설주 ·주두 ·아치 등의 모서리나 표면을 밀어서 두드러지거나 오목하게 만드는 장식법으로 주로 환형구조와 같은 라운드형, 요철형등에 의하여 외부를 장식하는 구조로 주로 서양식 구조에 상용되는 것이다.
건물의 외벽모양은 마감재의 선택과 함께 외벽마감을 밋밋하고 평범하게 시공하기 보다 어떤 몰딩 소재를 어느 부위에 적용하여 시공하느냐에 따라 건물의 의미지가 크게 달라진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건축문화가 점차 서구화되어가면서 건물의 외벽을 아름답게 차별화하기 위하여 외벽마감자재나 시공방법에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 왔다.
외벽마감재에 따라 장식효과를 주기 위하여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는 몰딩소재들을 보면 석재를 가공하여 만든 석재몰딩, 철판등을 접어서 가공한 철재 몰딩, 유리섬유강화 석고 성형품, 합성수지 압출 성형품 등이 있다.
이들 제품은 우선 대량생산이 어려움은 물론 시공도 전문 기능공에 의해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비용이 높아 널리 보급되지 못하고 있다. 80년대 이후에는 외벽단열마감시스템(일명 드라이비트 시스템)이 국내에 보급되면서 최근까지 건물 외벽 디자인이 파격적으로 변화해 가고 있다.
도 1 은 외벽단열마감재위에 스티로폼의 성형몰딩을 부착하고 유리섬유로 보강하고 그 위에 다시 필요한 마감을 하여 완성한 스티로폼 몰딩 구조이다. 이 구조는 우선 가볍고, 시공비가 저렴하며 공사가 간단하여 외벽단열시스템외에도 어떠한 마감재에 사용할 수 있어 다양한 건축물에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고층아파트 외벽에 까지 널리 사용되면서 소재가 스티로폼이 갖는 내구성의 한계로 충격에 쉽게 파손되며, 특히 열에 약하여 특별한 관리를 필요로 하였다. 비록 외부를 유리섬유로 강화하였다고 하나, 유리섬유를 바르고 경화수지를 다시 도포하는 작업이 전부 수작업으로 이루어져 정교성이 떨어지고 생산성이 크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그외에도 발포 콘크리트는 경량이므로 취급이 용이하여 작업성이 좋은 특성이 있으나 콘크리트가 갖는 한계로 표면무늬가 극히 단순하여 장식성이 떨어진다. 또하나의 단점은 내구성이 없어 오랜 세월이 경과하면서 크랙발생 등에 의하여 파괴되므로 외관을 흉하게 하는 원인이 된다. 그리고 발포합성수지재질도 역시 강도가 약하여 가벼운 충격에도 파괴가 됨은 물론 오랜 시간 태양광과 저온과 고온에 노출되면서 열화되어 분리되어버리거나 파괴되어 장시간 경과시 보기에 흉한 형태로 된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고자 도 2와 같이 본 발명자의 실용등록제 404410호에 서는 세멘트와 각종 천연 및 합성섬유사 그리고 성능개선제를 혼련하여 금형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압출후 고온고압으로 양생처리한 중공형 몰딩을 개발하였다.
연속압출식이므로 생산성이 크게 개선되어지는 효과와 함께 세멘트의 양생이 완성되면 암석과 동등한 수준의 내구성을 갖게 되므로 건물 수명과 거의 동등한 수준이 되어 기존의 합성수지재 혹은 금속재가 갖는 단점을 일거에 개선한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한 실용신안이 갖는 특징에 덧붙여 건물의 높이가 점차 상승하면서 장식기능이 약화되는 단점이 노출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높이가 10층 미만일 경우와 그 이상의 높이로 건물이 높아지게 되면 동일한 크기의 몰딩을 부착하더라도 10층 이상의 높이에 부착한 몰딩은 원근감에 의하여 아주 왜소하게 보이게 된다. 특히 20층 이상으로 높아지게 되면 지상에서 15층 높이(약 30m 이상)의 몰딩은 거의 몰딩이 설치되었는지 조차도 파악이 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몰딩의 크기를 층고(層高)가 높아지면서 점차 비례적으로 확대하면 되지만 몰딩이 커지면 커질수록 무게는 점차 증가하며, 무게의 증가는 설치에 어려움이 있음은 물론 생산에도 큰 문제로 되었다. 특히 설치후에 자체적인 중량이 커지면서, 건물 벽체와 결합상태가 아무리 강하게 체결한다하여도 세월이 경과하면서 체결상태가 약화될 수 밖에 없으며, 체결상태의 약화는 몰딩이 벽체와 분리되면서 낙하시 심각한 안전성 문제를 발생하게 되었다.
그외에도 등록실용신안 제430548호에서는 건축물의 외벽장식용 조형물에 관한 것으로, 장식부재(10)의 내측 상부에 흡음재(20) 또는 우레탄을 부가하여 비가 내릴 경우에 소음을 흡수하는 구성이 기재하고 있어, 조형물이 흡음효과도 함께 거두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선등록된 기술의 단점은 층고가 높아지고, 건물형태가 변화하는 경우 그 건물의 구조와 크기 그리고 건물 외부 형태와 조화를 이룰 수 있는 몰딩구조물로 채용이 어렵다는 점이다.
예를 들면, 건물의 외부구조의 형태로 볼 때, 몰딩 구조물이 라운딩, 원형, 각형, 요철형, 등이 적절히 선택되어야 함에 도 불구하고 몰딩의 형태가 크기에 따라 한정되어져 있는 단점들이 노출되고 있다.
이상의 단점을 개선한 것으로 본 발명자는 도 3과 도 4에 도시하듯이 중간에 설치되는 중공구조의 몰딩부와 그 상부에 별도의 부착조립형 부재를 함께 일체로 구성하여 몰딩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 제거하는 동시에 층고가 높아지더라도 무게가 증가하지 않으면서도 크기를 임의로 증가가능한 몰딩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개발에 의하여 어느 정도 몰딩이 갖는 내부식성의 획기적 개선, 중량의 감소, 조립성의 안정성과 설치후에 내구성도 크게 개선하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건물의 형태가 점차 다양화되어 가면서 획일적 구조의 몰딩이 아닌 개성이 중시되는 몰딩구조물이 점점 필요하게 되었다.
그외에도 몰딩을 설치함에 있어 층마다, 혹은 동(棟)마다 다른 형태의 몰딩을 설치하는 데에는 제한이 있다.
본 발명은 건물의 층고가 높아지더라도 그 높이에 비례하여 몰딩을 증가시켜 주면서도 중량을 가볍게 하면서도 체결력은 크게 향상시킨 몰딩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특히 세멘트나 석고와 같은 수경성 무기질겹합제를 주재료로 성능개선제, 섬유재, 경량골재를 혼련하여 연속적인 압출성형으로 성형하여 내구성과 소음차단 기능이 탁월한 부분과 복잡하고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 형성이 가능한 부분을 일체로 구성한 무기질재 조립식 몰딩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합성수지, 금속 혹은 목재와 같은 천연재질과 같이 제작 원료에 제한을 받지 않고 제작한 몰딩이 설치후에 낙하하는 빗물, 우박 등으로 몰딩에 충도하면서 발생하는 충격음을 최소화한 충격음 완화 기능이 있는 몰딩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기본적인 구조만 확보되면 장식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합성수지, 금속, 석재, 각종 합성보드재 등 어떠한 재질로 구성하여도 조립과 설치가 용이하며, 설치후에도 이종(異種) 재질간 접착불량에 의한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한 몰딩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부몰딩, 하부몰딩 그리고 중간몰딩으로 3분화하여 제작하도록하였으며, 특히 이들 몰딩간 조립은 별도의 앵커부재에 의하여 조립이 이루어 지도록 하였다. 따라서 상, 하 그리고 중간 몰딩을 현장의 상황에 맞추어 임의로 선택하여 조립구성하면 건물마다 독특한 미관을 현출할 수 있으며, 조립성도 크게 개선하는 동시에 내구성도 크게 개선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몰딩을 구성함에 있어 설치현장의 상황에 맞추어 다양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상몰딩부, 하몰딩부 그리고 중간몰딩부를 구분하여 구성하였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몰딩부들을 세멘트나 석고와 같은 무기질재를 이용하여 연속압출 성형하도록 하여, 대기중 노출이 되어 장시간 태양광, 고온, 저온 습기 등에 의하여 변색, 부식, 강도약화 등이 없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조립식으로 하면서 내부를 중공 구조로 하여 조립이 된 다음에 전체 무게를 절감하도록 하여, 건물에 대한 부하를 최소화한 조립구조로 다양한 건물에 적용이 가능하게 하였다.
이상 본 발명의 상몰딩부는 세멘트나 석고를 양생하여 제조한 것이므로 내구성과 내후성에 있어 부식성이 약한 금속이나 합성수지재질에 비하여 수십 내지 수백배에 이르는 내구성을 보이게 된다. 따라서 상몰딩부에 어떤 기계적 충격이 가해진다 하여도 내충격성이 일반 콘크리트와 동일한 수준이므로 내구성이 건물과 거의 동일한 수준을 지니게 되었다.
본 발명은 특히 층고가 높아지면서 보디부 자체를 층고에 비례하여 증가하게 되면 필연적으로 무게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를 중공구조로 구성하므로 경량화가 가능하며, 특히 노출된 장식면에 얼마든지 임의로 무늬를 줄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은 특히 상몰딩부, 하몰딩부, 중간몰딩부 그리고 중간고정부가 분리된 조립구조물로 현장에 알맞도록 이들 구조물을 취사선택할 수 있어 주택이나 상용건물의 형태가 소비자의 요구에 맞추어 다양하게 변화하면서 그 요구에 맞춘 적절한 미감을 줄 수 있는 몰딩으로 조립구성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상,하몰딩부에 별도의 무늬가 있는 장식부재를 끼워 맞추도록 구성하게 되면, 다른 무늬를 줄 수 있어, 시공사의 요구에 맞는 무늬를 제작 시공할 수 있으며, 오랜 세월이 경과하여 몰드 무늬가 식상하거나 혹은 무늬의 일부가 손상 된 경우 그 부분만을 제거하여 다시 시공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아파트나 개인주택, 상가 건물등의 내벽(內壁), 외벽(外壁)을 장식하는 몰딩(molding)에 관한 것으로, 특히 층고의 높이와 관계없이 몰딩의 크기를 증감하면서도 체결력이 개선된 무기질재 조립식 몰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존의 발포합성수지와 달리 세멘트 혹은 석고와 같은 무기질 결합제를 주재료로 하여 합성섬유사나 천연섬유사로 구성된 섬유사, 가소성과 점착성을 부여하는 가소점착제 그리고 중량감소를 위한 경량골재등을 물과 함께 혼련하여 압출성형장치에 의하여 일정한 금형을 통하여 성형된 것으로, 실온양생이 아닌 고온 고압의 온도에서 양생처리하여 강한 내구성(耐久性)과 내후성(耐朽性)이 동시에 개선된 상.하몰딩부, 중간몰딩부를 일체로 조립가능하게 구성한 몰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본적인 상.하몰딩부나 중간몰딩부의 구성을 중앙이 비어 있는 중공구조로 구성하여 중량을 낮추도록 하며, 크기도 임의로 증감가능하고, 특히 중공구조의 치명적 단점인 우박이나 빗물에 의한 충격음을 흡수할 수 있는 몰딩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상몰딩부와 하몰딩부를 중간고정부에 의하여 연결하고, 중간몰딩부는 상몰딩부와 하몰딩부를 연결하여 일체로 구성한 것을 대표적인 실시예로 구성하며, 하몰딩부가 없는 구조를 또 다른 실시예로 설명한다. 그리고 상몰딩부와 중간고정부 혹은 장식부재와 상하몰딩부간의 체결시에 탄성층이나 흡음층을 설치하는 구조를 또 다른 실시예로 설명한다.
도 6 은 본 발명의 상하몰딩부와 중간몰딩부가 조립설치되어지는 상태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 은 상몰딩부와 중간고정부사이에 흡음층을 설치한 상태의 단면구성도, 도 8 은 상몰딩부와 중간고정부사이에 흡음층을 설치하는 동시에 상몰딩부의 장식돌기부에 별도의 장식부재를 설치하는 상태의 단면구성도이다. 도 9 는 상몰딩부에 장식부재를 체결시 탄성층이 동시에 조립되어지는 설치상태의 분해상태사시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하몰딩이 없는 상태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이고, 도 11 은 본 발명의 하몰딩이 없는 상태의 또 다른 실시예로 중간몰딩부에 또 다른 장식부재를 체결하는 것을 예시하는 단면구성도이며. 도 12 는 중간몰딩부의 외측면 자체에 장식구조가 형성된 상태를 예시한 단면구성도이며, 도 13 은 상몰딩부에 체결되는 장식부재의 또 다른 조립상태를 예시한 단면구성도이며, 도 14 는 도 10의 하몰딩이 없는 상태의 조립설치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세멘트나 석고로 구성되는 수경성 무기질겹합제, 광물분체, 섬유사, 알킬 치환된 셀룰로오스를 진공압출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압출성형하여 고온고압으로 양생하는 아파트, 주택, 상가건물등의 내,외벽을 장식하는 장식 몰딩에 있어서,
삭제
상측면 전체를 덮을 수 있는 ㄱ 자형의 단면을 갖는 판상구조이면서, 지면을 향하여 절곡되어진 중공구조의 장식돌기부(11)를 형성하되 이 장식돌기부의 내측면(11c)에 중간몰딩부의 상측과 체결하는 체결부(12)를 형성한 상몰딩부,
ㄷ 자형 단면구조로 건물벽체와 접한 고정부(21)에 의하여 건물의 벽체와 고정되며, 지면과 수평으로 연장되어진 상측절곡부(21a)와 하측절곡부(21b)의 각각에는 상.하몰딩부와 접하여 상고정부(13)와 하고정부(43)에 의하여 상.하몰딩부를 고정하여주는 중간고정부,
요철형 장식구조를 무작위적으로 형성한 장식면(31)이 외측면에 형성되며, 상하측에는 상. 하몰딩부의 내측면과 접하는 곳에 상체결부(32a)와 하체결부(32b)가 형성되어 상. 하몰딩부와 체결되도록 한 중간몰딩부,
그리고 상기한 상몰딩부와 대칭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ㄴ 자형의 판상구조이면서, 지면과 수직으로 굴곡되어진 중공구조의 장식돌기부(44)를 형성하되 이 장식돌기부의 내측면(44c)에 중간몰딩부의 하측과 체결하는 체결부(42)를 형성한 하몰딩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장식용 무기질재 조립식 몰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몰딩부와 하몰딩부에 형성된 장식돌기부(11)(44)가 이중중공구조(11a)(11b)가 형성되어져 있다. 상몰딩부의 경우 내측중공부(11a)와 외측중공부(11b)로 구분형성되며, 하몰딩부의 경우에도 내측중공부(41a)와 외측중공부(41b)가 구분형성되어져 있다. 이러한 구분형성은 내측중공부는 중간몰딩부와 체결이 되기 위한 역활을 하게 되는 반면에 외측중공부는 설치후 건물외부에서 받는 각종 충격을 완화시켜 주는 역활을 한다. 즉, 내부가 중공구조이므로 외부에서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을 일단 완화해주며 내측중공부도 외측중공부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소음을 감소시켜주게 된다. 더 나아가서 상몰딩부와 하몰딩부의 외측중공부에 별도의 장식부재를 탈부착할 수 있어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장식기능을 더 부가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중공구조의 수, 크기 형태는 설치될 건물의 구조에 따라 숫자를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물의 층고가 높아지는 경우 상. 하몰딩부의 크기를 중가시켜 주어 고층에서도 설치된 몰딩을 육안으로 확연히 구분할 수 있게 하여 준다. 이럴 경우 부피의 증가로 인한 무게증가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중공의 숫자를 3, 4 등으로 증가시켜주어 무게를 감소시켜주게 된다.
건물벽체(B)와 고정을 위한 고정부(21)는 앵커볼트 구조체와 같이 건물외벽에 소정의 드릴공을 형성하고 이곳에 앵커볼트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방식이 가장 일반적이며, 필요에 따라 접착제와 병용하여 고정강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 도 8에 도시하듯이 상몰딩부의 외측중공부(11b)에 체결홈(11f)를 구성하고, 이곳에 별도의 장식부재(11i)를 체결하여주는 것이다. 장식부재는 단순한 각형구조, 라운드형, 요철형, 불규칙한 파형 등으로 다양하게 표면무늬부를 구성하여 시각적으로 미감을 주도록 하며, 이 체결홈(11f)에 억지 끼워 맞춤이 가능한 체결돌기(11d)를 형성하여 임의로 조립이 가능토록 하였다. 장식부재의 체결은 도시하듯이 끼워맞춤 구조가 가장 적용이 손쉽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조립식과 혹은 접착층을 동시에 적용하여 부착하는 방식이 가능하며 이러한 체결방식은 현장에 맞추어 취사선택한다.
체결부의 구조는 상기한 방식과 반대로 도 13에 도시하듯이 장식부재(11i)에 홈을 형성하고 상물딩부에 역으로 체결돌기(11d)를 형성하여 끼워맞추는 형태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 도 9에 도시하듯이 체결홈에 별도의 탄성층(11g)을 매개로 하여 체결돌기(11d)를 체결하여 장식부재로 구성된 외부무늬부가 진동이나 충격을 받을 경우 탄성층에서 흡수하도록 한다.
장식부재는 필요에 따라서는 고온처리된 세라믹 재질인 타일도 건물의 외관에 맞추어 설치가능하며, 색상 또한 얼마든지 변형하여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 도 7에 도시하듯이 중간고정부와 상몰딩부의 접합면 사이에는 탄성의 흡음층(15)을 구성할 수 있으며, 상몰딩부에 타격을 주는 우박, 빗방울 등의 충격에너지를 이곳에서 흡수 제거하도록 하여, 진동이나 소음이 건물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한다. 흡음층은 기본적으로 고무쉬이트, 발포구조를 갖는 고무적층체 혹은 합성수지 쉬이트를 발포한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중간고정부는 ㄷ 자형, ㅠ 형, ㅠ 형과 ㄱ 형이 조합된 형태로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중간고정부가 가장 단순한 ㄷ 자형외에도, ㅠ 자형과 이들이 서로 조합하여 구성하게 되어 현장에 설치된 건물의 외관을 보고 가장 최적의 형태로 몰딜을 구성하여 부착할 수 있는 지를 판단하게 되어, 현장에서의 적응성이 크게 향상되고,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에 부응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0과 도 14에 ㅠ 자 형과 ㄱ 자형이 조합된 산(山)을 뒤집은 형태의 단면구조를 갖으면서, 벽체와 접하는 고정부(21) 외에 중간연결부(25)와 엔딩굴곡부(27)를 지면을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한 중간고정부를 이용한 몰딩 구조이다. 상기한 중간연결부에는 또 다른 경사부(25a)를 형성하되, 이 경사부는 엔딩굴곡부와 경사각이 일치하도록, 즉, 엔딩굴곡부와 경사부가 지면과 갖는 각도가 서로 일치토록 구성하여 중간몰딩부의 내측면이 경사부와 엔딩굴곡부에 동시에 접하도록 한다. 중간몰딩부의 중간경사면(36a)과 상측경사면(36b)이 동시에 접하여 안정된 조립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하몰딩부의 설치가 어려운 현장이나 건물의 구조특성상 하몰딩부를 생략하는 것이 미감을 좋게 하는 경우 혹은 하몰딩부 고정구조가 부족한 경우에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 도 11에 도시하듯이 중간몰딩부를 경사 배치하여 주는 동시에 중간몰딩부의 표면부에 다수의 중공부(29c)를 형성하되, 중공부를 관통하는 체결부(29d)를 형성하여 외부에서 체결가능한 장식부재(11i)들을 끼워 맞추도록 하거나 혹은 위 설명하듯이 접착제 혹은 다른 수단에 의하여 부착하는 것이다. 조립방식은 앞서 설명한 외부 장식부재(11i)와 같이 각형구조, 라운드형, 요철형, 불규칙한 파형 등으로 다양하게 표면무늬부를 구성하여 시각적으로 미감을 주도록 한다. 동일한 형태로 체결홈이 아니라 이곳을 돌기형태로 하고 무늬부가 끼워 주도록 하거나 체결홈에 별도의 탄성층을 구성하여 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도 12에 도시한 것은 중간몰딩부에 무늬부를 조립하는 구조가 없이 중간몰딩부 표면자체에 자체적인 무늬를 형성하여 주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몰딩부, 하몰딩부 그리고 중간몰딩부가 알파-반수석고 20 내지 60%, 규산염광물과 같은 광물분체를 20 내지 60%, 마이카 1 내지 10%, 섬유사 0.1 내지 2.0%, 알킬 치환된 셀룰로오스 0.1 내지 1.0%를 수혼련하여 진공압출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압출성형하여 양생한다. 또 다른 예로서 알파-반수 석고 대신에 세멘트를 사용하여도 가능하며 단, 이런 경우 양생을 촉진하기 위하여 고압오토클레이브에서 적어도 24시간 고압양생처리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연속압출성형식이란 도 5에 도시하듯이 세멘트에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유기질 섬유사 혹은 세피오라이트와 같은 무기질계 섬유사 그리고 펄프와 같은 천연섬유사를 메틸셀룰로스계열의 가소점착제등 그리고 규사, 옥가루, 제올라이트, 맥반석, 펄라이트, 발포세라믹과 같은 경량골재, 황토, 질석와 함께 물로 혼련한 슬러리를 퍼그밀(Pug Mil)을 통하여 이송하고, 이어서 진공장치를 거치면서 압출오거로 일정한 압력으로 압축된 다음 선단의 금형을 빠져나오면서 일정한 몰딩형태를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압출성형장치로 부터 성형되므로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압출되면서 생산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며, 이렇게 성형된 제품은 110에서 180℃와 1내지 1.2기압의 압력이 유지되는 양생실에서 양생처리된다. 구체적으로는 선등록받은 특허 제111770호(연속압출식 무기질재 창문틀의 성형방법) 혹은 특허제503742호(무석면 압출성형식 건축자재 조성물..) 그리고 기타 본 발명자의 특허와 실용신안에 의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에서 경량골재의 선택은 외벽 장식의 경우에는 규사와 섬유사를 주재로 세멘트에 배합하여 사용하지만, 실내 벽체 장식의 경우에는 실내에서 배출되는 여러 가지 환경 유해인자들의 흡수와 건강 증진을 위하여 옥가루, 다공성의 제올라이트나 맥반석 혹은 펄라이트 혹은 고온 소성으로 양생된 세라믹 발포체등을 이용하여 장식기능과 함께 실내유해인자 흡수제거의 기능도 발휘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양생 처리로 세멘트가 실온에서 10년정도의 양생이 되어야 발휘하는 강도를 발휘하여 기존의 합성수지발포제품이나 발포 콘크리트제품에 비하여 수십배의 내구성과 내후성을 갖게 된다.
도 1 은 종래 몰딩을 설치한 상태의 단면구성도,
도 2 는 종래 몰딩을 벽돌벽체위에 설치한 상태의 단면구성도,
도 3 은 종래 몰딩의 조립 상태 단면사시도,
도 4 는 종래 몰딩의 조립 상태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상몰딩부를 압출 성형하는 압출기의 단면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의 상. 하몰딩부와 중간몰딩부가 조립설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상태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탄성층 설치 상태의 단면 구성도,
도 8 은 본 발명의 상몰딩부에 장식부재가 체결되는 상태의 단면 구성도,
도 9 는 본 발명의 상몰딩부에 장식부재체결과 동시에 탄성층이 조립설치되는 상태의 분해상태사시도,
도 10 은 본 발명의 하몰딩이 없는 상태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
도 11 은 본 발명의 하몰딩이 없는 상태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
도 12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설치상태 단면 구성도,
도 13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설치상태 단면 구성도,
도 14 는 본 발명의 하몰딩부가 없는 상태의 조립설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상태 사시도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장식돌기부 12 : 체결부 21 : 고정부 31 : 장식면 32 : 체결부

Claims (9)

  1. 세멘트나 석고로 구성되는 수경성 무기질겹합제, 광물분체, 섬유사, 알킬 치환된 셀룰로오스를 진공압출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압출성형하여 고온고압으로 양생하는 아파트, 주택, 상가건물등의 내, 외벽을 장식하는 장식 몰딩에 있어서,
    상측면 전체를 덮을 수 있는 ㄱ 자형의 단면을 갖는 판상구조이면서, 지면을 향하여 절곡되어진 중공구조의 장식돌기부(11)를 형성하되 이 장식돌기부의 내측면(11c)에 중간몰딩부의 상측과 체결하는 체결부(12)를 형성한 상몰딩부,
    ㄷ 자형 단면구조로 건물벽체와 접한 고정부(21)에 의하여 건물의 벽체와 고정되며, 지면과 수평으로 연장된 상측절곡부(21a)와 하측절곡부(21b)의 각각에는 상. 하몰딩부와 접하여 상고정부(13)와 하고정부(43)에 의하여 상. 하몰딩부를 고정하여주는 중간고정부,
    요철형 장식구조를 무작위적으로 형성한 장식면(31)이 외측면에 형성되며, 상하측에는 상. 하몰딩부의 내측면과 접하는 곳에 상체결부(32a)와 하체결부(32b)가 형성되어 상. 하몰딩부와 체결되도록 한 중간몰딩부,
    그리고 상기한 상몰딩부와 대칭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ㄴ 자형의 판상구조이면서, 지면과 수직으로 절곡되어진 중공구조의 장식돌기부(44)를 형성하되 이 장식돌기부의 내측면(44c)에 중간몰딩부의 하측과 체결하는 체결부(42)를 형성한 하몰딩부로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장식용 무기질재 조립식 몰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 몰딩부의 장식돌기부(11)가 내측중공부(11a)와 외측중공부(11b)의 이중구조로 구성되며, 외측중공부에 체결홈(11f)을 형성하여 장식부재(11i)를 삽입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장식용 무기질재 조립식 몰딩,
  3. 제 1 항에 있어서,
    상몰딩부의 장식돌기부(11)의 외측중공부(11b)에 체결홈(11f)을 슬릿형태로 형성하고, 이 체결홈에 탄성층(11g)를 삽입고정한 다음, 이 탄성층에 체결구(11d)를 억지끼워맞추어 조립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장식용 무기질재 조립 몰딩.
  4. 제 1 항에 있어서,
    중간고정부와 상몰딩부의 접합면 사이에는 탄성의 흡음층(15)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장식용 무기질재 조립식 몰딩.
  5. 세멘트나 석고로 구성되는 수경성 무기질겹합제, 광물분체, 섬유사, 알킬 치환된 셀룰로오스를 진공압출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압출성형하여 고온고압으로 양생하는 아파트, 주택, 상가건물등의 내,외벽을 장식하는 장식 몰딩에 있어서,
    상측면 전체를 덮을 수 있는 ㄱ 자형의 단면을 갖는 판상구조이면서, 지면을 향하여 절곡되어진 중공구조의 장식돌기부(11)를 형성하되 이 장식돌기부의 내측면(11c)에 중간몰딩부의 상측과 체결하는 체결부(12)를 형성한 상몰딩부,
    뒤집은 산(山) 형태의 단면구조를 갖으면서, 벽체와 접하는 고정부(21)외에 중간연결부(25)와 엔딩굴곡부(27)를 지면을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하며, 이 중간연결부에는 또 다른 경사부(25a)를 형성하되 이 경사부는 엔딩굴곡부와 경사각이 일치하도록 구성한 중간고정부,
    상기한 중간고정부와 중간경사면(36a)과 상측경사면(36b)이 동시에 접하도록 구성한 중공구조의 중간몰딩부로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장식용 무기질재 조립식 몰딩.
  6. 제 5 항에 있어서,
    중간몰딩부에 중공부(29c)들을 형성하되, 중공부를 관통하는 체결부(29d)도 형성하여 장식부재(11i)들이 임의로 체결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장식용 무기질재 조립식 몰딩.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80058278A 2008-06-20 2008-06-20 건물 장식용 무기질재 조립식 몰딩 KR101087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8278A KR101087006B1 (ko) 2008-06-20 2008-06-20 건물 장식용 무기질재 조립식 몰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8278A KR101087006B1 (ko) 2008-06-20 2008-06-20 건물 장식용 무기질재 조립식 몰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2155A KR20090132155A (ko) 2009-12-30
KR101087006B1 true KR101087006B1 (ko) 2011-11-25

Family

ID=41691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8278A KR101087006B1 (ko) 2008-06-20 2008-06-20 건물 장식용 무기질재 조립식 몰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70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9389B1 (ko) * 2013-08-22 2015-06-16 최은숙 조형물
KR101530359B1 (ko) * 2014-09-05 2015-06-19 이승용 건축물의 외벽 장식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33984B (zh) * 2011-09-30 2013-12-04 无锡金城幕墙装饰工程有限公司 装配式铝合金外装饰条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4410Y1 (ko) * 2005-09-23 2005-12-22 ㈜익성텍 연속압출성형식 건물 장식용 중공 몰딩
KR200418718Y1 (ko) * 2006-03-28 2006-06-14 전찬복 건축물의 외부장식용 조형물
KR100769889B1 (ko) * 2006-11-15 2007-10-24 정하음 건물 외부 장식용 몰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4410Y1 (ko) * 2005-09-23 2005-12-22 ㈜익성텍 연속압출성형식 건물 장식용 중공 몰딩
KR200418718Y1 (ko) * 2006-03-28 2006-06-14 전찬복 건축물의 외부장식용 조형물
KR100769889B1 (ko) * 2006-11-15 2007-10-24 정하음 건물 외부 장식용 몰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9389B1 (ko) * 2013-08-22 2015-06-16 최은숙 조형물
KR101530359B1 (ko) * 2014-09-05 2015-06-19 이승용 건축물의 외벽 장식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2155A (ko) 2009-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0232366B2 (en) Cementitious articles, formulations, methods of making and uses
KR101669522B1 (ko) 방수, 방화, 단열, 장식 효과가 있는 일체형 발포유리판
KR20200035815A (ko) 단열패널유닛 및 이에 초슬림석재판과 결합된 외장용 복합패널을 이용한 벽체의 상하 결합구조
KR101087006B1 (ko) 건물 장식용 무기질재 조립식 몰딩
CN111042361A (zh) 凝胶不燃保温板外墙外保温系统及施工方法
KR200404410Y1 (ko) 연속압출성형식 건물 장식용 중공 몰딩
KR101995382B1 (ko) 단열패널유닛에 초슬림석재판과 결합된 외장용 복합패널을 이용한 벽체 결합구조
CN201214848Y (zh) 钢网增强高强度隔墙条板
CN201109973Y (zh) 保温加强装饰板
CN207974357U (zh) 一种环保建筑墙体木塑复合型材
CN201343779Y (zh) 新型轻钢建筑
CN201172911Y (zh) 绝热混凝土夹芯墙板
KR101963555B1 (ko) 건축물의 외벽 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
CN109487920B (zh) 一种墙体外侧保温抗裂饰面施工方法、构造及专用锚钉
CN201605768U (zh) 一种复合地板
KR200397738Y1 (ko) 단열 강화 보드를 이용한 주거용 건물의 발코니
KR100639482B1 (ko) 단열 강화 보드를 이용한 주거용 건물의 발코니
KR102190967B1 (ko) 건축용 외장몰딩 구조체 및 제조방법
CN110130596B (zh) 一种外墙饰面防开裂粉刷工艺
CN215366812U (zh) 一种用于室外钢箱梁天桥防水铺装结构
KR20110010601U (ko) 건축물의 외벽장식용 조형물
KR102136757B1 (ko) 초슬림석재판과 결합된 외장용 복합패널의 구조
JP2006112049A (ja) 型枠を兼ねた外断熱壁材と、型枠を兼ねた外断熱壁材を利用した外断熱壁の構築方法
JP2007132001A (ja) セメントボード、セメントボードを用いた壁面を有する建造物、セメントボードを用いた壁面を有する建造物の建築方法
KR100880662B1 (ko) 인조석 몰딩 제조용 금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