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1853B1 - 건물 외벽 장식용 부재 - Google Patents

건물 외벽 장식용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1853B1
KR102511853B1 KR1020220080282A KR20220080282A KR102511853B1 KR 102511853 B1 KR102511853 B1 KR 102511853B1 KR 1020220080282 A KR1020220080282 A KR 1020220080282A KR 20220080282 A KR20220080282 A KR 20220080282A KR 102511853 B1 KR102511853 B1 KR 102511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ve member
building
wall
decorative
curv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0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현수
Original Assignee
금산씨엔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산씨엔씨(주) filed Critical 금산씨엔씨(주)
Priority to KR1020220080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18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1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1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metal or with an outer layer of metal or enameled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외벽에 손쉽게 장식용 부재를 설치할 수 있는 효과와 장식용 부재를 건물 외벽에 쉽게 부착할 수 있는 효과와 장식용 부재를 통해 건물에 물결 모양의 장식성과 심미감 창출의 효과를 제공하는 발명으로, 제1 장식용 부재(100), 제2 장식용 부재(200), 마감 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물 외벽 장식용 부재{A materials for decoration of outer wall of buildings}
본 발명은 건물 외벽 장식용 부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건물 외벽에 부착 설치되는 일정 높이와 폭을 갖는 곡률형 장식 부재와 평판형 장식 부재로 구성된 장식 부재, 곡률형 장식 부재와 평판형 장식 부재의 연결 부위를 마감하는 마감 부재, 간단한 구조의 설치 부재를 이용해, 건물 외벽에 손쉽게 장식용 부재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건물에 물결 모양의 장식성과 심미감을 제공하도록 하는 건물 외벽 장식용 부재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나날이 기술이 발달하면서 우리 생활도 편리하고 윤택해지고 있고, 특히 삶의 질 향상에 초점을 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건축/건설 분야의 경우, 과거에는 단순히 건물의 기능적, 구조적 측면만을 고려한 건물 시공이 주를 이루었지만, 최근에는 생활 편의성, 안락성과 같은 높은 주거성과 함께 디자인적인 심미감이 반영된 건물 시공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신축 건물이나 기존 건물에 디자인적 심미감을 제공하는 각종 인테리어 기술이 개발되고 있고, 건물에 디자인적인 심미감을 보강하도록 하는 각종 장식 구조물이 생산 보급되고 있다.
한편, 건물의 인테리어 부재는 실내외 공사에 따라 내장재와 외장재로 크게 구분되고, 외장재는 건물 외부의 심미감 및 장식성을 높이도록 건물 외벽에 부착되는 마감재로, 신축 건물의 외부 마감 공사 또는 기존 건물의 리모델링 공사 시에 다양한 형태와 기능을 갖는 외장재가 건물 외벽에 부착되어 건물에 다양한 장식성과 심미감을 제공한다.
건물에 다양한 장식성과 심미감 제공을 위해, 건물 외벽에는 다수의 외장재가 부착 설치되는데, 종래의 경우, 건물 외벽에 외장재 부착 시, 복잡한 설치 부재들을 사용하는 불편함과 외장재 부착의 곤란성과 건물 외벽에 부착된 외장재가 건물 외벽에서 이탈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도록, 건물 외벽에 부착 설치되는 일정 높이와 폭을 갖는 곡률형 장식 부재와 평판형 장식 부재로 구성된 장식 부재, 곡률형 장식 부재와 평판형 장식 부재의 연결 부위를 마감하는 마감 부재, 간단한 구조의 설치 부재를 이용해, 건물 외벽에 손쉽게 장식용 부재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건물에 물결 모양의 장식성과 심미감을 제공하도록 하는 건물 외벽 장식용 부재에 관한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다음은 이와 관련한 종래의 선행기술 들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15770호 건물의 내외장재용 블록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43322호 건물의 외벽 장식몰딩 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30359호 건축물의 외벽 장식재
본 발명은 건물 외벽에 부착 설치되는 일정 높이와 폭을 갖는 곡률형 장식 부재와 평판형 장식 부재로 구성된 장식 부재, 곡률형 장식 부재와 평판형 장식 부재의 연결 부위를 마감하는 마감 부재, 간단한 구조의 설치 부재를 이용해, 건물 외벽에 안전하고 손쉽게 장식용 부재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곡률형 장식 부재와 평판형 장식 부재 양측에 절곡부를 형성하여 장식 부재의 건물 외벽에 대한 부착 용이성과 곡률형 장식 부재와 평판형 장식 부재의 연결 용이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곡률형 장식 부재와 평판형 장식 부재를 통해 건물에 물결 모양의 장식성과 심미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인 건물 외벽 장식용 부재는,
제2 장식용 부재(200)와 쌍을 이루어 건물 외벽에 물결 모양 장식성 부여를 위해,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제1 장식용 부재(100)와;
제1 장식용 부재(100) 일측 끝단에 연장 연결되어 제1 장식용 부재(100)와 쌍을 이루어 건물 외벽에 물결 모양 장식성 부여를 위해,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제2 장식용 부재(200)와;
제1 장식용 부재(100)와 제2 장식용 부재(200)의 연결 부위를 마감 처리하는 마감 부재(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건물 외벽에 부착 설치되는 일정 높이와 폭을 갖는 곡률형 장식 부재와 평판형 장식 부재로 구성된 장식 부재, 곡률형 장식 부재와 평판형 장식 부재의 연결 부위를 마감하는 마감 부재, 간단한 구조의 설치 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건물 외벽에 안전하고 손쉽게 장식용 부재를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곡률형 장식 부재와 평판형 장식 부재 양측에 절곡부가 형성되어 장식 부재를 건물 외벽에 쉽게 부착할 수 있는 효과와 곡률형 장식 부재와 평판형 장식 부재를 쉽게 연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곡률형 장식 부재와 평판형 장식 부재를 통해 건물에 물결 모양의 장식성과 심미감 창출의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물 외벽 설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장식용 부재 세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장식용 부재 세부 구성도 1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장식용 부재 세부 구성도 2
도 6은 본 발명의 마감 부재 세부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설치 부재 세부 구성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인 건물 외벽 장식용 부재(10, 이하 본 발명)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외벽에 손쉽게 장식용 부재를 설치할 수 있는 효과와 장식용 부재를 건물 외벽에 쉽게 부착할 수 있는 효과와 장식용 부재를 통해 건물에 물결 모양의 장식성과 심미감 창출의 효과를 제공하는 발명으로, 제1 장식용 부재(100), 제2 장식용 부재(200), 마감 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인 건물 외벽 장식용 부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장식용 부재(200)와 쌍을 이루어 건물 외벽에 물결 모양 장식성 부여를 위해,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제1 장식용 부재(100)와;
제1 장식용 부재(100) 일측 끝단에 연장 연결되어 제1 장식용 부재(100)와 쌍을 이루어 건물 외벽에 물결 모양 장식성 부여를 위해,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제2 장식용 부재(200)와;
제1 장식용 부재(100)와 제2 장식용 부재(200)의 연결 부위를 마감 처리하는 마감 부재(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장식용 부재(100)는 제2 장식용 부재(200)와 쌍을 이루어 건물 외벽에 물결 모양 장식성 부여를 위해,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상기 제1 장식용 부재(100)는 일정 높이와 폭과 수평 방향의 곡률을 갖는 양 측면이 절곡된 곡률형 금속판이다.
일정 높이와 폭과 수평 방향의 곡률을 갖는 곡률형 금속판인 상기 제1 장식용 부재(100)는 제1 장식용 부재(100)와 쌍을 이루어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제2 장식용 부재(200)의 형태에 따라 건물 외벽에 부여되는 장식성이 다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장식용 부재(100)와 쌍을 이루어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제2 장식용 부재(200)의 형태가 제1 장식용 부재(100)와 동일한 일정 높이와 폭과 수평 방향의 곡률을 갖는 곡률형 금속판인 경우, 건물 외벽에는 완전한 물결 모양의 장식성이 부여되고, 제2 장식용 부재(200)의 형태가 일정 높이와 폭을 갖는 평판형 금속판인 경우, 건물 외벽에는 반쪽 물결 모양의 장식성이 부여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장식용 부재(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높이와 폭을 갖고 수평 방향으로 곡률이 형성된 곡률형 판재 형상의 곡률부(110)와,
제1 장식용 부재(100)를 건물 외벽에 부착 설치하기 위한 체결 부재가 관통할 수 있도록 곡률부(110) 일측 끝단에 2단 절곡 형태로 형성되는 제1 절곡부(120)와,
제1 장식용 부재(100)를 건물 외벽에 부착 설치하기 위한 체결 부재가 관통할 수 있도록 곡률부(110) 타측 끝단에 3단 절곡 형태로 형성되는 제2 절곡부(130)와,
마감 부재(300)가 결합할 수 있도록 제2 절곡부(130) 초입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직선형 결합홈(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곡률부(110)는 제1 장식용 부재(100)를 통해 건물 외벽에 물결 모양의 장식성이 부여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높이와 폭을 갖고 수평 방향으로 곡률이 형성된 곡률형 판재 형상이다.
즉,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곡률 모양에 의해, 제1 장식용 부재(100)가 건물 외벽에 부착 설치 시, 건물 외벽에 물결 모양의 장식성이 부여된다.
상기 제1 절곡부(120)는 제1 장식용 부재(100)를 건물 외벽에 부착 설치하기 위한 체결 부재가 관통할 수 있도록 곡률부(110) 일측 끝단에 2단 절곡 형태로 형성되는 구성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절곡부(120)를 2단 절곡 형태로 형성하는 이유는 건물 외벽에 부착 설치된 제1 장식용 부재(100)의 곡률 형태 유지를 위함이다.
즉, 제1 절곡부(120)가 없는 경우, 체결 부재를 곡률부(110) 일측 끝단에 직접 체결하게 되는데, 체결 부재를 곡률부(110) 일측 끝단에 직접 체결하게 되면, 체결 가압력에 의해 건물 외벽에 부착 설치되는 제1 장식용 부재(100)의 곡률 형태가 틀어질 수 있고, 이로 인해, 건물 외벽에 물결 모양의 장식성 부여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곡률부(110) 일측 끝단에 2단 절곡 형태의 제1 절곡부(120)를 형성하고, 2단 절곡 형태의 제1 절곡부(120) 끝단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부재를 체결하는 것이다.
상기 제2 절곡부(130)는 제1 장식용 부재(100)를 건물 외벽에 부착 설치하기 위한 체결 부재가 관통할 수 있도록 곡률부(110) 타측 끝단에 3단 절곡 형태로 형성되는 구성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절곡부(130)를 3단 절곡 형태로 형성하는 이유는 건물 외벽에 부착 설치된 제1 장식용 부재(100)의 곡률 형태 유지와 추가적인 요철 모양의 장식성 부여를 위함이다.
즉, 제2 절곡부(130)가 없는 경우, 체결 부재를 곡률부(110) 타측 끝단에 직접 체결하게 되는데, 체결 부재를 곡률부(110) 타측 끝단에 직접 체결하게 되면, 체결 가압력에 의해 건물 외벽에 부착 설치되는 제1 장식용 부재(100)의 곡률 형태가 틀어질 수 있고, 이로 인해, 건물 외벽에 물결 모양의 장식성 부여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곡률부(110) 타측 끝단에 3단 절곡 형태의 제2 절곡부(130)를 형성하고, 3단 절곡 형태의 제2 절곡부(130) 끝단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부재를 체결하는 것이다.
또한, 3단 절곡 형태의 제2 절곡부(130)에 의해 요철 모양의 장식성이 부여된다. 3단 절곡 형태의 제2 절곡부(130)에는 3단 절곡 형태의 제2 장식용 부재(200)의 제2 절곡부(230)가 연장 연결되는데, 상호 연결되는 3단 절곡 형태의 제1 장식용 부재(100)의 제2 절곡부(130)와 제2 장식용 부재(200)의 제2 절곡부(230)에 의해 건물 외벽에는 도 1,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결 모양의 장식성 이외에 추가적인 요철 모양의 장식성 부여된다.
상기 직선형 결합홈(140)은 마감 부재(300)가 결합할 수 있도록 제2 절곡부(130) 초입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절곡부(120) 초입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결합홈인 직선형 결합홈(140)에 후술할 요철 형태의 마감 부재(300)의 직선형 결합 돌기(310)가 끼움 결합되어 제1 장식용 부재(100)와 제2 장식용 부재(200)의 연결 부위에 요철 형태의 장식성이 부여되도록 마감 처리된다.
상기 제2 장식용 부재(200)는 제1 장식용 부재(100) 일측 끝단에 연장 연결되어 제1 장식용 부재(100)와 쌍을 이루어 건물 외벽에 물결 모양 장식성 부여를 위해,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상기 제2 장식용 부재(200)는 일정 높이와 폭과 수평 방향의 곡률을 갖는 양 측면이 절곡된 곡률형 금속판이거나, 일정 높이와 폭을 갖는 양 측면이 절곡된 평판형 금속판이다.
일정 높이와 폭과 수평 방향의 곡률을 갖는 곡률형 금속판인 상기 제1 장식용 부재(100)의 일측 끝단에 연장 연결되는 제2 장식용 부재(200)의 형태에 따라 건물 외벽에 부여되는 장식성이 다르다.
도 1,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장식용 부재(100)와 쌍을 이루어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제2 장식용 부재(200)의 형태가 제1 장식용 부재(100)와 동일한 일정 높이와 폭과 수평 방향의 곡률을 갖는 곡률형 금속판인 경우, 건물 외벽에는 완전한 물결 모양의 장식성이 부여되고, 제2 장식용 부재(200)의 형태가 일정 높이와 폭을 갖는 평판형 금속판인 경우, 건물 외벽에는 반쪽 물결 모양의 장식성이 부여된다.
제1 장식용 부재(100)와 쌍을 이루어 건물 외벽에 물결 모양의 장식성을 부여를 위해, 제1 장식용 부재(100) 일측 끝단에 연장 연결되는 제2 장식용 부재(200)는 제2 장식용 부재(200)의 설치 지점이 단순한 건물 외벽인 경우, 제1 장식용 부재(100)와 동일한 일정 높이와 폭과 수평 방향의 곡률을 갖는 곡률형 금속판 형태의 제2 장식용 부재(200)가 제1 장식용 부재(100)에 연결 설치되어 건물 외벽에 완전한 물결 모양의 장식성이 부여되고, 제2 장식용 부재(200)의 설치 지점이 창문이 설치된 지점인 경우, 일정 높이와 폭을 갖는 평판형 금속판 형태의 제2 장식용 부재(200)가 제1 장식용 부재(100)에 연결 설치되어 건물 외벽에 반쪽 물결 모양의 장식성이 부여된다.
즉, 창문이 곡률형 금속판 형태의 제2 장식용 부재(200)에 의해 가려지지 않도록 일정 높이와 폭을 갖는 평판형 금속판 형태의 제2 장식용 부재(200)가 제1 장식용 부재(200)에 연결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제2 장식용 부재(200)가 곡률형 금속판인 경우, 상기 제2 장식용 부재(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높이와 폭을 갖고 수평 방향으로 곡률이 형성된 곡률형 판재 형상의 곡률부(210)와,
제2 장식용 부재(200)를 건물 외벽에 부착 설치하기 위한 체결 부재가 관통할 수 있도록 곡률부(210) 일측 끝단에 2단 절곡 형태로 형성되는 제1 절곡부(220)와,
제2 장식용 부재(200)를 건물 외벽에 부착 설치하기 위한 체결 부재가 관통할 수 있도록 곡률부(210) 타측 끝단에 3단 절곡 형태로 형성되는 제2 절곡부(230)와,
마감 부재(300)가 결합할 수 있도록 제2 절곡부(230) 초입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직선형 결합홈(2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제2 장식용 부재(200)가 곡률형 금속판인 경우, 상기 제2 장식용 부재(200)의 구조적 특징은 제1 장식용 부재(100)와 동일하다.
상기 곡률부(210)는 제2 장식용 부재(200)를 통해 건물 외벽에 물결 모양의 장식성이 부여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높이와 폭을 갖고 수평 방향으로 곡률이 형성된 곡률형 판재 형상이다.
즉,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곡률 모양에 의해, 제2 장식용 부재(200)가 건물 외벽에 부착 설치 시, 건물 외벽에 물결 모양의 장식성이 부여된다.
상기 제1 절곡부(220)는 제2 장식용 부재(200)를 건물 외벽에 부착 설치하기 위한 체결 부재가 관통할 수 있도록 곡률부(210) 일측 끝단에 2단 절곡 형태로 형성되는 구성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절곡부(220)를 2단 절곡 형태로 형성하는 이유는 건물 외벽에 부착 설치된 제2 장식용 부재(200)의 곡률 형태 유지를 위함이다.
즉, 제1 절곡부(220)가 없는 경우, 체결 부재를 곡률부(210) 일측 끝단에 직접 체결하게 되는데, 체결 부재를 곡률부(210) 일측 끝단에 직접 체결하게 되면, 체결 가압력에 의해 건물 외벽에 부착 설치되는 제2 장식용 부재(200)의 곡률 형태가 틀어질 수 있고, 이로 인해, 건물 외벽에 물결 모양의 장식성 부여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곡률부(210) 일측 끝단에 2단 절곡 형태의 제1 절곡부(220)를 형성하고, 2단 절곡 형태의 제1 절곡부(220) 끝단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부재를 체결하는 것이다.
상기 제2 절곡부(230)는 제2 장식용 부재(200)를 건물 외벽에 부착 설치하기 위한 체결 부재가 관통할 수 있도록 곡률부(210) 타측 끝단에 3단 절곡 형태로 형성되는 구성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절곡부(230)를 3단 절곡 형태로 형성하는 이유는 건물 외벽에 부착 설치된 제2 장식용 부재(200)의 곡률 형태 유지와 추가적인 요철 모양의 장식성 부여를 위함이다.
즉, 제2 절곡부(230)가 없는 경우, 체결 부재를 곡률부(210) 타측 끝단에 직접 체결하게 되는데, 체결 부재를 곡률부(210) 타측 끝단에 직접 체결하게 되면, 체결 가압력에 의해 건물 외벽에 부착 설치되는 제2 장식용 부재(200)의 곡률 형태가 틀어질 수 있고, 이로 인해, 건물 외벽에 물결 모양의 장식성 부여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곡률부(210) 타측 끝단에 3단 절곡 형태의 제2 절곡부(230)를 형성하고, 3단 절곡 형태의 제2 절곡부(230) 끝단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부재를 체결하는 것이다.
또한, 3단 절곡 형태의 제2 절곡부(230)에 의해 요철 모양의 장식성이 부여된다. 3단 절곡 형태의 제2 절곡부(230)에는 3단 절곡 형태의 제1 장식용 부재(100)의 제2 절곡부(130)가 연장 연결되는데, 상호 연결되는 3단 절곡 형태의 제1 장식용 부재(100)의 제2 절곡부(130)와 제2 장식용 부재(200)의 제2 절곡부(230)에 의해 건물 외벽에는 도 1,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결 모양의 장식성 이외에 추가적인 요철 모양의 장식성 부여된다.
상기 직선형 결합홈(240)은 마감 부재(300)가 결합할 수 있도록 제2 절곡부(230) 초입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절곡부(230) 초입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결합홈인 직선형 결합홈(240)에 후술할 요철 형태의 마감 부재(300)의 직선형 결합 돌기(310)가 끼움 결합되어 제1 장식용 부재(100)와 제2 장식용 부재(200)의 연결 부위에 요철 형태의 장식성이 부여되도록 마감 처리된다.
상기 제2 장식용 부재(200)가 평판형 금속판인 경우, 상기 제2 장식용 부재(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높이와 폭을 갖는 평판형 판재 형상의 평판부(250)와,
제2 장식용 부재(200)를 건물 외벽에 부착 설치하기 위한 체결 부재가 관통할 수 있도록 평판부(250) 일측 끝단에 1단 절곡 형태로 형성되는 제3 절곡부(260)와,
제2 장식용 부재(200)를 건물 외벽에 부착 설치하기 위한 체결 부재가 관통할 수 있도록 평판부(250) 타측 끝단에 3단 절곡 형태로 형성되는 제2 절곡부(230)와,
마감 부재(300)가 결합할 수 있도록 제2 절곡부(230) 초입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직선형 결합홈(2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평판부(250)는 제2 장식용 부재(200)를 통해 건물 외벽에 반쪽 물결 모양의 장식성이 부여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높이와 폭을 갖는 평판형 판재 형상이다.
평판부(250)가 형성된 제2 장식용 부재(200)를 건물 외벽에 설치하는 경우는, 제2 장식용 부재(200)의 설치 지점이 창문이 설치된 지점인 경우, 일정 높이와 폭을 갖는 평판형 금속판 형태의 제2 장식용 부재(200)가 제1 장식용 부재(100)에 연결 설치되어 건물 외벽에 반쪽 물결 모양의 장식성이 부여된다.
상기 제3 절곡부(260)는 제2 장식용 부재(200)를 건물 외벽에 부착 설치하기 위한 체결 부재가 관통할 수 있도록 곡률부(210) 일측 끝단에 1단 절곡 형태로 형성되는 구성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절곡부(260)를 1단 절곡 형태로 형성하는 이유는 건물 외벽에 부착 설치된 제2 장식용 부재(200)의 판상 형태 유지를 위함이다.
즉, 제3 절곡부(260)가 없는 경우, 체결 부재를 평판부(250) 일측 끝단에 직접 체결하게 되는데, 체결 부재를 평판부(250) 일측 끝단에 직접 체결하게 되면, 체결 가압력에 의해 건물 외벽에 부착 설치되는 제2 장식용 부재(200)의 판상 형태가 틀어질 수 있고, 이로 인해, 건물 외벽에 반쪽 물결 모양의 장식성 부여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평판부(250) 일측 끝단에 1단 절곡 형태의 제3 절곡부(260)를 형성하고, 1단 절곡 형태의 제3 절곡부(260) 끝단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부재를 체결하는 것이다.
상기 제2 절곡부(230)는 제2 장식용 부재(200)를 건물 외벽에 부착 설치하기 위한 체결 부재가 관통할 수 있도록 평판부(250) 타측 끝단에 3단 절곡 형태로 형성되는 구성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절곡부(230)를 3단 절곡 형태로 형성하는 이유는 건물 외벽에 부착 설치된 제2 장식용 부재(200)의 판상 형태 유지와 추가적인 요철 모양의 장식성 부여를 위함이다.
즉, 제2 절곡부(230)가 없는 경우, 체결 부재를 평판부(250) 타측 끝단에 직접 체결하게 되는데, 체결 부재를 평판부(250) 타측 끝단에 직접 체결하게 되면, 체결 가압력에 의해 건물 외벽에 부착 설치되는 제2 장식용 부재(200)의 판상 형태가 틀어질 수 있고, 이로 인해, 건물 외벽에 반쪽 물결 모양의 장식성 부여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평판부(250) 타측 끝단에 3단 절곡 형태의 제2 절곡부(230)를 형성하고, 3단 절곡 형태의 제2 절곡부(230) 끝단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부재를 체결하는 것이다.
또한, 3단 절곡 형태의 제2 절곡부(230)에 의해 요철 모양의 장식성이 부여된다. 3단 절곡 형태의 제2 절곡부(230)에는 3단 절곡 형태의 제1 장식용 부재(100)의 제2 절곡부(130)가 연장 연결되는데, 상호 연결되는 3단 절곡 형태의 제1 장식용 부재(100)의 제2 절곡부(130)와 제2 장식용 부재(200)의 제2 절곡부(230)에 의해 건물 외벽에는 도 1,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결 모양의 장식성 이외에 추가적인 요철 모양의 장식성 부여된다.
상기 직선형 결합홈(240)은 마감 부재(300)가 결합할 수 있도록 제2 절곡부(230) 초입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절곡부(230) 초입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결합홈인 직선형 결합홈(240)에 후술할 요철 형태의 마감 부재(300)의 직선형 결합 돌기(310)가 끼움 결합되어 제1 장식용 부재(100)와 제2 장식용 부재(200)의 연결 부위에 요철 형태의 장식성이 부여되도록 마감 처리된다.
상기 마감 부재(300)는 제1 장식용 부재(100)와 제2 장식용 부재(200)의 연결 부위를 마감 처리하는 구성으로, 상기 마감 부재(300)는 일정 높이와 폭을 갖는 요철형 금속판이다.
제1 장식용 부재(100)와 제2 장식용 부재(200)가 건물 외벽에 설치 시, 제1 장식용 부재(100)에 형성된 3단 절곡 형태의 제2 절곡부(130)와 제2 장식용 부재(200)에 형성된 3단 절곡 형태의 제2 절곡부(230)가 상호 연결되어 요철 형태의 연결 부위가 형성되는데, 이 부분을 마감 처리하는 구성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높이와 폭을 갖는 요철형 금속판인 마감 부재(300)이다.
특히, 상기 마감 부재(300)의 양측 끝단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형 결합 돌기(310)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직선형 결합 돌기(3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장식용 부재(100)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직선형 결합홈(140)과 제2 장식용 부재(200)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직선형 결합홈(240)에 삽입된다.
즉, 제1 장식용 부재(100)와 제2 장식용 부재(200)가 건물 외벽에 설치 시, 제1 장식용 부재(100)에 형성된 3단 절곡 형태의 제2 절곡부(130)와 제2 장식용 부재(200)에 형성된 3단 절곡 형태의 제2 절곡부(230)가 상호 연결되어 요철 형태의 연결 부위가 형성되는데, 마감 부재(300)를 이용한 요철 형태의 연결 부위 마감 시, 상기 직선형 결합 돌기(310)가 제1 장식용 부재(100)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직선형 결합홈(140)과 제2 장식용 부재(200)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직선형 결합홈(240)에 삽입되어 마감 부재(300)가 제1 장식용 부재(100)와 제2 장식용 부재(200)에 결합 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상기 제1 장식용 부재(100)와 제2 장식용 부재(200)와 마감 부재(300)는 동일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금속이거나 합성수지 재질일 수 있고, 금속인 경우, 알루미늄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제1 장식용 부재(100)와 제2 장식용 부재(200)를 건물 외벽에 쉽고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건물 외벽에 설치되어 제1 장식용 부재(100)와 제2 장식용 부재(200)가 결합하는 설치 부재(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설치 부재(4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장식용 부재(100)를 건물 외벽에 설치할 수 있도록, 건물 외벽에 부착 설치되고 제1 장식용 부재(100)의 일측 끝단이 결합하는 제1 설치 부재(410)와,
제2 장식용 부재(200)를 건물 외벽에 설치할 수 있도록, 건물 외벽에 부착 설치되고 제2 장식용 부재(200)의 일측 끝단이 결합하는 제2 설치 부재(420)와,
제1 장식용 부재(100)와 제2 장식용 부재(200)를 건물 외벽에 설치할 수 있도록 건물 외벽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설치되고, 제1 장식용 부재(100)의 타측 끝단과 제2 장식용 부재(200)의 타측 끝단이 결합하는 제3 설치 부재(430)와,
제3 설치 부재(430)가 건물 외벽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설치될 수 있도록 건물 외벽에 부착 설치되고, 일측 끝단에 제3 설치 부재(430)가 부착 설치되는 일정 길이를 갖는 이격바(4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설치 부재(410)는 제1 장식용 부재(100)를 건물 외벽에 설치할 수 있도록 건물 외벽에 부착 설치되고, 제1 장식용 부재(100)의 일측 끝단이 결합하는 구성으로, 제1 장식용 부재(100)의 결합 용이성을 위해, 제1 설치 부재(410)는 일정 길이의 각관일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설치 부재(410)에는 제1 장식용 부재(100)의 일측 끝단인 2단 절곡 형태인 제1 절곡부(120)의 끝단이 체결 부재를 통해 결합 되어 제1 장식용 부재(100)의 일측 끝단이 건물 외벽에 결합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 설치 부재(420)는 제2 장식용 부재(200)를 건물 외벽에 설치할 수 있도록 건물 외벽에 부착 설치되고, 제2 장식용 부재(100)의 일측 끝단이 결합하는 구성으로, 제2 장식용 부재(200)의 결합 용이성을 위해, 제2 설치 부재(420)는 일정 길이의 각관일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설치 부재(420)에는 제2 장식용 부재(200)의 일측 끝단(제2 장식용 부재(200)가 곡률형 금속판인 경우 2단 절곡 형태인 제1 절곡부(220) 끝단, 또는 제2 장식용 부재(200)가 평판형 금속판인 경우 1단 절곡 형태인 제3 절곡부(260) 끝단)이 체결 부재를 통해 결합 되어 제2 장식용 부재(200)의 일측 끝단이 건물 외벽에 결합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3 설치 부재(430)는 제1 장식용 부재(100)와 제2 장식용 부재(200)를 건물 외벽에 설치할 수 있도록 건물 외벽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설치되고, 제1 장식용 부재(100)의 타측 끝단과 제2 장식용 부재(200)의 타측 끝단이 결합하는 구성으로, 제1 장식용 부재(100)와 제2 장식용 부재(200)의 결합 용이성을 위해, 제3 설치 부재(430) 역시 일정 길이의 각관일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설치 부재(430)에는 제1 장식용 부재(100)의 타측 끝단인 3단 절곡 형태인 제2 절곡부(130)의 끝단과 제2 장식용 부재(200)의 타측 끝단인 3단 절곡 형태인 제2 절곡부(230)의 끝단이 체결 부재를 통해 결합 되어 제1 장식용 부재(100)와 제2 장식용 부재(200)의 연결 부분이 건물 외벽에 결합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격바(440)는 제3 설치 부재(430)가 건물 외벽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설치될 수 있도록, 건물 외벽에 부착 설치되고 일측 끝단에 제3 설치 부재(430)가 부착 설치되는 일정 길이를 갖는 구성이다.
제1 장식용 부재(100)의 타측 끝단인 3단 절곡 형태인 제2 절곡부(130)의 끝단과 제2 장식용 부재(200)의 타측 끝단인 3단 절곡 형태인 제2 절곡부(230)의 끝단이 체결되는 제3 설치 부재(430)는 건물 외벽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있어야 하는데, 제3 설치 부재(430)가 건물 외벽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있도록 지지하는 구성이 이격바(440)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주 내에서 변형한 것까지 포함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건물 외벽 장식용 부재
100 : 제1 장식용 부재
200 : 제2 장식용 부재
300 : 마감 부재
400 : 설치 부재

Claims (9)

  1. 건물 외벽 장식용 부재에 있어서,
    제2 장식용 부재(200)와 쌍을 이루어 건물 외벽에 물결 모양 장식성 부여를 위해,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제1 장식용 부재(100)와;
    제1 장식용 부재(100) 일측 끝단에 연장 연결되어 제1 장식용 부재(100)와 쌍을 이루어 건물 외벽에 물결 모양 장식성 부여를 위해,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제2 장식용 부재(200)와;
    제1 장식용 부재(100)와 제2 장식용 부재(200)의 연결 부위를 마감 처리하는 마감 부재(300)와;
    제1 장식용 부재(100)와 제2 장식용 부재(200)가 건물 외벽에 설치될 수 있도록, 건물 외벽에 설치되어 제1 장식용 부재(100)와 제2 장식용 부재(200)가 결합하는 설치 부재(400)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 부재(400)는,
    제1 장식용 부재(100)를 건물 외벽에 설치할 수 있도록, 건물 외벽에 부착 설치되고 제1 장식용 부재(100)의 일측 끝단이 결합하는 제1 설치 부재(410)와,
    제2 장식용 부재(200)를 건물 외벽에 설치할 수 있도록, 건물 외벽에 부착 설치되고 제2 장식용 부재(200)의 일측 끝단이 결합하는 제2 설치 부재(420)와,
    제1 장식용 부재(100)와 제2 장식용 부재(200)를 건물 외벽에 설치할 수 있도록 건물 외벽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설치되고, 제1 장식용 부재(100)의 타측 끝단과 제2 장식용 부재(200)의 타측 끝단이 결합하는 제3 설치 부재(430)와,
    제3 설치 부재(430)가 건물 외벽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설치될 수 있도록 건물 외벽에 부착 설치되고, 일측 끝단에 제3 설치 부재(430)가 부착 설치되는 일정 길이를 갖는 이격바(4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 장식용 부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식용 부재(100)는,
    일정 높이와 폭과 수평 방향의 곡률을 갖는 양 측면이 절곡된 곡률형 금속판이고,
    상기 제2 장식용 부재(200)는,
    일정 높이와 폭과 수평 방향의 곡률을 갖는 양 측면이 절곡된 곡률형 금속판이거나, 일정 높이와 폭을 갖는 양 측면이 절곡된 평판형 금속판이고,
    상기 마감 부재(300)는,
    일정 높이와 폭을 갖는 요철형 금속판이고,
    상기 제1 장식용 부재(100)와 제2 장식용 부재(200)와 마감 부재(300)는 동일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 장식용 부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식용 부재(100)는,
    일정 높이와 폭을 갖고 수평 방향으로 곡률이 형성된 곡률형 판재 형상의 곡률부(110)와,
    제1 장식용 부재(100)를 건물 외벽에 부착 설치하기 위한 체결 부재가 관통할 수 있도록 곡률부(110) 일측 끝단에 2단 절곡 형태로 형성되는 제1 절곡부(120)와,
    제1 장식용 부재(100)를 건물 외벽에 부착 설치하기 위한 체결 부재가 관통할 수 있도록 곡률부(110) 타측 끝단에 3단 절곡 형태로 형성되는 제2 절곡부(130)와,
    마감 부재(300)가 결합할 수 있도록 제2 절곡부(130) 초입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직선형 결합홈(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 장식용 부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장식용 부재(200)가 곡률형 금속판인 경우,
    상기 제2 장식용 부재(200)는,
    일정 높이와 폭을 갖고 수평 방향으로 곡률이 형성된 곡률형 판재 형상의 곡률부(210)와,
    제2 장식용 부재(200)를 건물 외벽에 부착 설치하기 위한 체결 부재가 관통할 수 있도록 곡률부(210) 일측 끝단에 2단 절곡 형태로 형성되는 제1 절곡부(220)와,
    제2 장식용 부재(200)를 건물 외벽에 부착 설치하기 위한 체결 부재가 관통할 수 있도록 곡률부(210) 타측 끝단에 3단 절곡 형태로 형성되는 제2 절곡부(230)와,
    마감 부재(300)가 결합할 수 있도록 제2 절곡부(230) 초입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직선형 결합홈(2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 장식용 부재.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장식용 부재(200)가 평판형 금속판인 경우,
    상기 제2 장식용 부재(200)는,
    일정 높이와 폭을 갖는 평판형 판재 형상의 평판부(250)와,
    제2 장식용 부재(200)를 건물 외벽에 부착 설치하기 위한 체결 부재가 관통할 수 있도록 평판부(250) 일측 끝단에 1단 절곡 형태로 형성되는 제3 절곡부(260)와,
    제2 장식용 부재(200)를 건물 외벽에 부착 설치하기 위한 체결 부재가 관통할 수 있도록 평판부(250) 타측 끝단에 3단 절곡 형태로 형성되는 제2 절곡부(230)와,
    마감 부재(300)가 결합할 수 있도록 제2 절곡부(230) 초입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직선형 결합홈(2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 장식용 부재.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마감 부재(300)는,
    제1 장식용 부재(100)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직선형 결합홈(140)과 제2 장식용 부재(200)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직선형 결합홈(240)에 삽입되는 직선형 결합 돌기(310)가 양측 끝단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 장식용 부재.
  7. 청구항 2에 있어서,
    제1 장식용 부재(100)에 형성된 3단 절곡 형태의 제2 절곡부(120)와 제2 장식용 부재(200)에 형성된 3단 절곡 형태의 제2 절곡부(220)가 상호 연결되어 요철 형태의 연결 부위가 형성되고, 요철 형태의 연결 부위에 요철 형태의 마감 부재(300)가 마감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 장식용 부재.
  8. 삭제
  9. 삭제
KR1020220080282A 2022-06-30 2022-06-30 건물 외벽 장식용 부재 KR102511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282A KR102511853B1 (ko) 2022-06-30 2022-06-30 건물 외벽 장식용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282A KR102511853B1 (ko) 2022-06-30 2022-06-30 건물 외벽 장식용 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1853B1 true KR102511853B1 (ko) 2023-03-20

Family

ID=85796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0282A KR102511853B1 (ko) 2022-06-30 2022-06-30 건물 외벽 장식용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185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456Y1 (ko) * 2005-09-14 2005-12-09 유영흥 건축용 금속외장판넬의 단열 몰딩구조
KR100915770B1 (ko) 2008-01-10 2009-09-04 오재연 건물의 내외장재용 블록
KR100943322B1 (ko) 2007-10-01 2010-02-22 박왕규 건물의 외벽 장식몰딩
KR101450581B1 (ko) * 2014-07-24 2014-10-15 (주)아름다운강산 병행설치 및 볼록곡면 설치가 용이한 섬유보강 복합소재 바닥판
KR101530359B1 (ko) 2014-09-05 2015-06-19 이승용 건축물의 외벽 장식재
JP2019085789A (ja) * 2017-11-08 2019-06-06 凸版印刷株式会社 スパンドレル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456Y1 (ko) * 2005-09-14 2005-12-09 유영흥 건축용 금속외장판넬의 단열 몰딩구조
KR100943322B1 (ko) 2007-10-01 2010-02-22 박왕규 건물의 외벽 장식몰딩
KR100915770B1 (ko) 2008-01-10 2009-09-04 오재연 건물의 내외장재용 블록
KR101450581B1 (ko) * 2014-07-24 2014-10-15 (주)아름다운강산 병행설치 및 볼록곡면 설치가 용이한 섬유보강 복합소재 바닥판
KR101530359B1 (ko) 2014-09-05 2015-06-19 이승용 건축물의 외벽 장식재
JP2019085789A (ja) * 2017-11-08 2019-06-06 凸版印刷株式会社 スパンドレル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19107A1 (en) Cornice Corner Cap and Methods Related Thereto
US10337233B2 (en) Window system with interchangeable exterior accessory covers
US20070039257A1 (en) Low profile architectural detailing assembly
KR102511853B1 (ko) 건물 외벽 장식용 부재
KR101310889B1 (ko) 건축용 외장패널의 연결구조
US20120031020A1 (en) Frame construction for a fenestration
KR20110065744A (ko) 건물 장식용 알루미늄 몰딩
US20080010902A1 (en) Solid Doorframe And A Sliding Door Assembly
CN209958579U (zh) 一种装配式幕墙安装结构
KR102175185B1 (ko) 조립식 내화 칸막이
KR100758378B1 (ko) 고층용 창호
CN107288248B (zh) 玻璃幕墙及其带限位导槽可变角度的整体装配装饰带
JPS6328307Y2 (ko)
KR102196153B1 (ko) 복합창호
US20120031023A1 (en) Frame construction for a fenestration
KR101271205B1 (ko) 양면 모두 사용할 수 있는 간판프레임 시스템
KR200368280Y1 (ko) 볼트은폐식 외장패널
CN211114324U (zh) 圆型定制吊顶
CN113062549A (zh) 一种饰面墙板的装配结构及其施工方法
KR100352824B1 (ko) 날개부착형 방음 방화문
KR200475250Y1 (ko) 장식띠를 갖는 샌드위치판넬
KR200144796Y1 (ko) 천정 패널
JP3189237B2 (ja) 止縁部の構造
CN211447404U (zh) 幕墙型材
JP2558448Y2 (ja) 軒 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