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5770B1 - 건물의 내외장재용 블록 - Google Patents

건물의 내외장재용 블록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5770B1
KR100915770B1 KR1020080003097A KR20080003097A KR100915770B1 KR 100915770 B1 KR100915770 B1 KR 100915770B1 KR 1020080003097 A KR1020080003097 A KR 1020080003097A KR 20080003097 A KR20080003097 A KR 20080003097A KR 100915770 B1 KR100915770 B1 KR 100915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uilding
pentagonal
interio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3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7256A (ko
Inventor
오재연
Original Assignee
오재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재연 filed Critical 오재연
Priority to KR1020080003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5770B1/ko
Publication of KR20090077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7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5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57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 E04F13/0873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the visible surface imitating natural stone, brick work, tiled surface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56Special feature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67Building elements with the appearance of several bri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내벽 또는 외벽을 마감처리 할 때 사용되는 블록을 정육면체로부터 대각방향으로 위치한 두 개의 꼭지점을 기준으로 삼등분할 된 오면체로 형성한 후 그 오면체의 블록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배열되게 벽면에 설치함에 따라 건물 내·외벽으로부터 특정 형태로 돌출되면서 입체감을 부여하게 되고 특히 내장재로 사용할 경우 다면체의 구조적인 작용에 의해 음향진로를 방해하는 요소를 제거하여 음향환경을 개선할 수 있게 한 건물의 내외장재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
즉, 건물의 내벽 또는 외벽을 마감처리 할 때 사용되는 마감재로서 정육면체의 대각방향으로 위치한 두 개의 꼭지점을 기준으로 삼등분할 되게 절개하여 하나의 정사각형과 두 개의 직각이등변삼각형 및 두 개의 직각삼각형을 갖춘 오면체의 블록으로 성형하고, 상기 오면체의 블록을 다양한 형태로 배열되게 건물의 내·외벽에 부착시공함에 따라 오면체 블록이 벽면으로부터 특정 형태로 돌출되면서 입체감을 부여하게 되고 상기 블록을 실내의 벽면에 부착할 경우 입체적인 외관미와 함께 음향전달을 방해하는 요소를 제거하게 된 것이다.

Description

건물의 내외장재용 블록{Block for interior decoration finish work of building}
본 발명은 건물의 내외장재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내벽 또는 외벽을 마감처리 할 때 사용되는 블록을 정육면체로부터 대각방향으로 위치한 두 개의 꼭지점을 기준으로 삼등분할 된 오면체로 형성한 후 그 오면체의 블록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배열되게 벽면에 설치함에 따라 건물 내·외벽으로부터 특정 형태로 돌출되면서 입체감을 부여하게 되고 특히 내장재로 사용할 경우 다면체의 구조적인 작용에 의해 음향진로를 방해하는 요소를 제거하여 음향환경을 개선할 수 있게 한 건물의 내외장재용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콘크리트 건축물의 경우에는 마무리를 위한 내외장 공사를 할 때 대리석 패널이나 금속 또는 다양한 소재의 타일 등을 사용하여 외관미와 내구성을 부여하고 있다.
상기 내외장 공사에 사용되는 패널 또는 타일 등의 마감재는 평면적으로 부착시공되는 구조와 형태적인 특성을 갖추고 있으므로 제품의 표면에 형성된 무늬나 색상 및 질감을 나타내는 효과와 모자이크처리 효과 등에서는 유리한 반면, 입체적인 외관미를 연출하기에는 거의 불가능 하였다.
또한 건물의 외관미를 고려하여 패널이나 타일 등의 마감재의 두께를 다르게 제작한 후 동일평면에 부착시공하여 표면에 높낮이를 유발되게 하는 방법과 상기 마감재를 부착하는 과정에서 높낮이에 차이가 나도록 한 방법이 있었으나, 입체적인 효과가 미흡하였을 뿐 아니라 하나의 마감재에 대해 여러 패턴으로 제작하거나 시공과정에 변화를 가해야 됨으로써 많은 어려움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건물내에 음향설비를 할 경우에는 음향전달을 방해하는 현상인 하울링(howlling)과 과도한 울림(reverb) 등을 방지하기 위해 음향기기를 조정하는 작업과 더불어 음향공학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건축구조와 마감재부분 등의 근본적인 문제를 개선해야 하였으나, 이에 따른 시설비용이 과다하였음은 물론 시공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건물의 내·외벽을 입체적으로 마감처리 하기 위한 마감재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그 목적은 마감재의 외형을 정형화된 오면체의 블록으로 형성하여 그 오면체 블록의 어느 한 면을 다양한 형태로 배열되게 벽면에 부착 시공함에 따라 다양한 입체감을 연출할 수 있는 건물의 내외장재용 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오면체 블록은 정육면체로부터 대각방향으로 위치한 두 개의 꼭지점을 기준으로 삼등분할 되게 절개하여 하나의 정사각형과 두 개의 직각이등변삼각형 및 두개의 직각삼각형에 의해 오면체를 구성하는 정형화된 형태로 성형되며, 오면체 블록은 속이 꽉찬 형태로 성형하는 것과 중공형태로 제작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물의 내벽 또는 외벽을 마감처리 할 때 사용되는 마감재로서 정육면체의 대각방향으로 위치한 두 개의 꼭지점을 기준으로 삼등분할 되게 절개하여 하나의 정사각형과 두 개의 직각이등변삼각형 및 두 개의 직각삼각형을 갖춘 오면체의 블록으로 성형하고, 상기 오면체의 블록을 다양한 형태로 배열되게 건물의 내·외벽에 부착시공함에 따라 오면체 블록이 벽면으로부터 특정 형태로 돌출되면서 입체감을 부여하게 되고 상기 블록을 실내의 벽면에 부착할 경우 입체적인 외관미와 함께 음향진로를 방해하는 요소인 반사, 흡수, 회절, 굴절 및 확산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음향공학적인 환경을 제공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건물의 내외장재용 블록은 건물의 내·외벽에 부착할 때 블록의 어느 한 면을 선택하여 다양한 형태로 배열한 후 부착시공함으로써, 다양한 입체감과 외관미를 연출하게 되고, 특히 실내의 경우에는 본 발명의 블록으로 천정 또는 벽면 등을 마감처리 하여 실내에서 발생되는 소음이나 공명음을 흡수하고 음향기기를 사용할 때 음향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오면체 블록에 대한 형태를 한정하기 위하여 정육면체의 대각방향에 위치한 두 개의 꼭지점을 기준으로 삼등분할 한 상태의 사투상도,
도 2는 상기 정육면체를 삼등분할 하여 형성된 오면체 블록을 발췌하여 그 구성요소에 대한 비율을 나타낸 사시도,
도 3a 내지 3c는 상기 오면체 블록을 구성하는 각 요소에 대한 입면 구성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오면체 블록을 건물의 벽면에 부착하는 일 예와 또 다른 예를 각각 나타낸 단면구성도,
도 5a 내지 5j는 본 발명의 오면체 블록을 여러 형태로 벽면에 시공한 예를 나타낸 사진도 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블록
Q : 정사각형
T1 : 직각이등변삼각형
T2 : 직각삼각형
B : 브라켓
P : 패널
이하, 본 발명의 건물의 내외장재용 블록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오면체 블록에 대한 형태를 한정하기 위하여 정육면체의 대각방향에 위치한 두 개의 꼭지점을 기준으로 삼등분할 한 상태의 사투상도이고, 도 2는 상기 정육면체를 삼등분할 하여 형성된 오면체 블록을 발췌하여 그 구성요소에 대한 비율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a 내지 3c는 상기 오면체 블록을 구성하는 각 요소에 대한 입면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건물의 내벽 또는 외벽을 마감처리 할 때 사용되는 마감재는 정육면체의 대각방향에 위치한 두 개의 꼭지점을 기준으로 삼등분할 되도록 절개하여 하나의 정사각형(Q)과 두 개의 직각이등변삼각형(T1) 및 두 개의 직각삼각형(T2)을 갖춘 오면체의 블록(10)으로 성형되고, 상기 오면체 블록(10)은 건물의 내·외벽의 선택된 구간 또는 선택된 장소에 다양한 형태로 배열되게 부착시공되어 벽면으로부터 다면체의 각뿔 형태로 돌출되면서 입체감을 부여하게 된다.
상기 오면체 블록(10)을 구성하는 하나의 정사각형(Q)의 한 변의 길이를 1로 할 때, 상기 정사각형에 대해 각기 수직으로 위치하는 두 개의 직각이등변삼각형(T1)의 각 변의 길이 비는 1:1:이고, 상기 정사각형의 한 변과 두 개의 직각이등변삼각형의 사변이 직각을 이루면서 정육면체의 대각방향으로 위치한 두 개의 꼭지점을 연결하는 사변으로 이루어진 두 개의 직각삼각형(T2)의 각 변의 길이 비는 1::의 비율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오면체 블록(10)은 그 구성요소 중 정사각형(Q)의 네 변에 대해 두 개의 직각이등변삼각형(T1)이 수직으로 이어지고 두 개의 직각삼각형(T2)이 경사면을 이루는 비대칭형의 사각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므로 건물의 내·외벽에 오면체 블록(10)을 부착할 때 그 오면체 블록의 부착면이 하나의 정사각형(Q) 부분과 두 개의 직각이등변삼각형(T1) 부분 중의 어느 한 부분을 선택하여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다수의 오면체 블록을 벽면에 배치할 때 다양한 문양의 구현과 입체감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오면체 블록(10)을 제조할 때 외벽이나 내구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금속, 시멘트 콘크리트, 합성수지 및 세라믹 중 어느 한 소재로 성형하는 것과 목재 또는 석재 등의 어느 하나를 가공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오면체 블록(10)을 실내의 마감재나 경량이 요구되는 마감재로 사용할 경우에는 금속판재, 인조판재 또는 종이판재 등을 사용하여 속이 빈 중공상태로 제작하여 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오면체 블록(10)을 건물의 내·외벽에 부착할 때는 도 4a에서와 같이 블록(10)의 부착면에 브라켓(B)을 이용하여 벽면에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나, 작업성을 고려한다면 도 4b에서와 같이, 다수의 블록(10)을 적정 크기의 패널(P)에 선택된 형태로 배열되게 부착한 후 상기 패널(P)을 브라켓(B)으로 벽면에 고정되게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준비된 오면체 블록(10)을 접착제 및 시멘트 몰탈 등을 사용하여 벽면에 직접적으로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시공방법은 일반적인 내외장재를 시공하는 기준에 따른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건물의 내외장재용 블록은 건물의 내·외벽에 부착할 때 블록(10)의 어느 면을 부착하고 어느 형태로 배열하느냐를 고려하여 부착시공함으로써, 도 5a 내지 5j의 여러 형태로 시공한 예를 나타낸 사진에서와 같이, 다양한 입체감과 외관미를 연출하게 되고, 특히 실내의 경우에는 본 발명의 블록으로 천정 또는 벽면 등을 마감처리 하여 음향진로를 방해하는 요소인 반사, 흡수, 회절, 굴절 및 확산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게 되므로 음향공학적인 환경을 제공하게 된 것이다.

Claims (7)

  1. 건물의 내벽 또는 외벽을 마감처리 할 때 사용되는 마감재로서 정육면체의 대각방향으로 위치한 두 개의 꼭지점을 기준으로 삼등분할 되게 절개하여 하나의 정사각형(Q)과 두 개의 직각이등변삼각형(T1) 및 두 개의 직각삼각형(T2)을 갖춘 오면체의 블록(10)으로 성형하고, 상기 오면체의 블록을 다양한 형태로 배열되게 건물의 내·외벽에 부착시공하여 벽면으로부터 특정 형태로 돌출되면서 입체감을 부여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내외장재용 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면체 블록(10)을 구성하는 정사각형(Q)의 한 변의 길이를 1이라 할 때 상기 정사각형에 대해 각기 수직으로 위치하는 두 개의 직각이등변삼각형(T1)의 각 변의 길이 비는 1:1:이고, 상기 정사각형의 한 변과 두 개의 직각이등변삼각형의 사변이 직각을 이루면서 정육면체의 대각방향으로 위치한 두 개의 꼭지점을 연결하는 사변으로 이루어진 두 개의 직각삼각형(T2)의 각 변의 길이 비는 1::의 비율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내외장재용 블록.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면체 블록(10)은 목재 또는 석재 중에서 어느 한 소재를 선택하여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내외장재용 블록.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면체 블록(10)은 금속, 시멘트 콘크리트, 합성수지 및 세라믹 중 어느 한 소재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내외장재용 블록.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면체 블록(10)은 금속판재를 사용하여 속이 빈 중공상태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내외장재용 블록.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면체 블록(10)을 건물의 내·외벽에 부착시공할 때 다수의 오면체 블록(10)을 적정 크기의 패널(P)에 선택된 형태로 배열되게 부착한 후 상기 패널(P)을 브라켓(B)으로 벽면에 고정되게 시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내외장재용 블록.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면체 블록(10)을 건물의 내·외벽에 부착할 때 그 오면체 블록의 부착면이 하나의 정사각형(Q) 부분과 두 개의 직각이등변삼각형(T1) 부분 중의 어느 한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내외장재용 블록.
KR1020080003097A 2008-01-10 2008-01-10 건물의 내외장재용 블록 KR100915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3097A KR100915770B1 (ko) 2008-01-10 2008-01-10 건물의 내외장재용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3097A KR100915770B1 (ko) 2008-01-10 2008-01-10 건물의 내외장재용 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7256A KR20090077256A (ko) 2009-07-15
KR100915770B1 true KR100915770B1 (ko) 2009-09-04

Family

ID=41335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3097A KR100915770B1 (ko) 2008-01-10 2008-01-10 건물의 내외장재용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57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1853B1 (ko) 2022-06-30 2023-03-20 금산씨엔씨(주) 건물 외벽 장식용 부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538B1 (ko) * 2009-07-27 2012-03-23 강석찬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
KR20140110179A (ko) * 2013-03-05 2014-09-17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사이언팜 사면체 블록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378580B1 (ko) * 2021-03-27 2022-03-23 김명열 알루미늄 천장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8680Y1 (ko) * 1999-09-06 2000-04-15 주식회사화동양행 입체형 매직 퍼즐
KR20010092563A (ko) * 2000-03-22 2001-10-26 김영태 직각이등변 삼각주를 이용한 다변형 입체퍼즐
KR200364334Y1 (ko) * 2004-06-18 2004-10-08 권기팔 건축용 외장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8680Y1 (ko) * 1999-09-06 2000-04-15 주식회사화동양행 입체형 매직 퍼즐
KR20010092563A (ko) * 2000-03-22 2001-10-26 김영태 직각이등변 삼각주를 이용한 다변형 입체퍼즐
KR200364334Y1 (ko) * 2004-06-18 2004-10-08 권기팔 건축용 외장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1853B1 (ko) 2022-06-30 2023-03-20 금산씨엔씨(주) 건물 외벽 장식용 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7256A (ko) 200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041331A1 (en) Universal corner panel
JP2013539831A (ja) 噛み合い型建築用ブロック、舗装用ユニット、タイルもしくは玩具エレメント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100915770B1 (ko) 건물의 내외장재용 블록
JP5000274B2 (ja) 外壁面材
US5274982A (en) Wall covering construction method
KR100771187B1 (ko) 가공석재판
CN201747021U (zh) 装饰材料与建筑外墙的固定结构
JP3236594U (ja) 形状模様彫り込み無機質立体的様相装飾材。
RU2670625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декоративных панелей и плит
RU124913U1 (ru) Облицовочная панель
CN2712623Y (zh) 矿化纤维预铸板的结构
KR200317122Y1 (ko) 흡차음 스톤블럭
US1910844A (en) Acoustical material
KR101991072B1 (ko) 패턴블록과 이를 이용한 패턴블록조립체
JP4443730B2 (ja) 破砕面を有する意匠パネル
CN2273745Y (zh) 网格马赛克
JP4056789B2 (ja) 外壁パネルの製造方法
KR20100112814A (ko) 삽입형 디자인 가변 벽돌 및 이들을 이용한 디자인 가변 벽체
Avenier Concrete and heritage
CA2359639A1 (en) A sheet of articulated masonry-like unit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112207975A (zh) 一种透光装饰材料的制作方法及其透光装饰材料
JP5869909B2 (ja) 建築板
KR101147509B1 (ko) 블록지지체 및 이를 이용한 건물의 문양벽
US20100307088A1 (en) Cladding tile
Malec-Zięba Large format design: full body ceramic tiles and their application in architectural desig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