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0581B1 - 병행설치 및 볼록곡면 설치가 용이한 섬유보강 복합소재 바닥판 - Google Patents

병행설치 및 볼록곡면 설치가 용이한 섬유보강 복합소재 바닥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0581B1
KR101450581B1 KR1020140093923A KR20140093923A KR101450581B1 KR 101450581 B1 KR101450581 B1 KR 101450581B1 KR 1020140093923 A KR1020140093923 A KR 1020140093923A KR 20140093923 A KR20140093923 A KR 20140093923A KR 101450581 B1 KR101450581 B1 KR 101450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p
panel
main
longitudina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3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남훈
김인태
Original Assignee
(주)아름다운강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름다운강산 filed Critical (주)아름다운강산
Priority to KR1020140093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05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0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0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04F15/105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of organic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or filling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3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characterised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between neighbouring floo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 FRP 패널과, 연직하게 위에서 아래로 끼워져서 서로 이웃하게 연속 배치된 FRP 패널을 서로 일체로 연결 결합하는 T형 FRP 연결패널로 구성되어, 복수개의 메인 FRP 패널을 배치한 상태에서 T형 FRP 연결패널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이웃하는 메인 FRP 패널을 일체화시킬 수 있으며, 메인 FRP 패널이 놓이는 설치면이 위로 볼록한 곡면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스냅-핏 방식의 결합이 견고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연직 방향으로의 메인 FRP 패널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병행설치 및 곡선표면설치가 용이한 섬유보강 복합소재 바닥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병행설치 및 볼록곡면 설치가 용이한 섬유보강 복합소재 바닥판{Fiber Reinforced Plastic Decks}
본 발명은 섬유보강 복합소재 바닥판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섬유강화 복합소재(Fiber Reinforced Plastic)(이하, "FRP"라고 약칭함)를 이용하여 중공단면을 가지도록 공장에서 제작된 메인(main) FRP 패널과, 연직하게 위에서 아래로 끼워져서 서로 이웃하게 연속 배치된 메인 FRP 패널을 서로 일체로 연결 조립 결합하는 T형 FRP 연결패널로 구성되어, 복수개의 메인 FRP 패널을 배치한 상태에서 T형 FRP 연결패널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이웃하는 메인 FRP 패널을 병행하여 동시에 일체화시킬 수 있으며, 메인 FRP 패널이 놓이는 설치면이 위로 볼록한 곡면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스냅-핏(Snap-fit) 방식의 결합이 견고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연직 방향으로의 메인 FRP 패널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병행설치 및 곡선표면설치가 용이한 섬유보강 복합소재 바닥판"에 관한 것이다.
FRP로 제작된 패널(이하, "FRP 패널")을 끼움 결합 방식 즉, 소위 스냅-핏 연결방식으로 결합하여 바닥판을 형성하는 종래 기술의 일예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18029호에 의해 공지되어 있다.
종래의 FRP 패널은, 종방향으로 FRP 패널이 순차적으로 조립되어 바닥판을 형성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도 15에는 종래의 FRP 패널이 조립되는 형상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6에는 도 15의 선 M-M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편의상 본 명세서에서는, FRP 패널에서 중공(中空)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방향(도 15에서 화살표 K 방향)을 "횡방향"이라고 기재하고, FRP 패널이 서로에 대해 이웃하게 배치되는 방향(도 15에서 화살표 J 방향)을 "종방향"이라고 기재한다.
종래의 FRP 패널과 이를 이용한 종래의 바닥판에서는,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종방향으로 FRP 패널을 서로 결합할 때, 종방향 일측에 FRP 패널이 설치되어 있어야 종방향 타측 방향으로 후속하는 FRP 패널이 조립 설치될 수 있다. 즉, 종방향으로 일측에서부터 타측을 향하여 한쪽 방향으로만 그리고 반드시 순차적으로만 FRP 패널이 조립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종방향 일측 FRP 패널이 설치되어 있지 아니하면 후속하는 FRP 패널이 조립 설치될 수 없으며, 이러한 이유 때문에 종래 기술에 따른 FRP 패널의 조립에는 오랜 시간이 소요될 수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FRP 패널에서, FRP 패널이 놓이는 설치면이 위로 볼록한 형태의 볼록곡면으로 이루어진 경우, 한쪽 방향으로 FRP 패널을 차례로 조립해갈수록, FRP 파일간의 스냅-핏 결합이 어려워지며, 스냅-핏 결합이 느슨해져서 FRP 패널 간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매우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도 17에는 종래의 FRP 패널이 볼록곡면에 놓여서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었을 때 상향으로 돌출된 돌기결합부(200)가 변형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 16의 원 N부분의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7에서 점선은 FRP 패널이 단순히 볼록곡면에 놓였을 때의 형상이고, 실선은 FRP 패널의 하부판이 볼록곡면에 밀착되도록 결합되었을 때의 형상이다. 도 16에 도시된 것처럼, 원래 FRP 패널의 하부판은 평면인데 반하여 FRP 패널이 놓이는 볼록곡면은 곡률을 가지고 있으므로, 평평한 FRP 패널의 하부판이 볼록곡면에 밀착되어 결합되는 경우, FRP 패널에 형성되어 있던 돌기결합부(200)는 수직하게 세워져 있던 위치에서 종방향으로 각도 φ만큼 기울어지게 된다. 하나의 FRP 패널에 있어서는 볼록곡면에 놓임으로써 돌기결합부(200)가 수직한 위치로부터 기울어지는 각도(φ)가 작을 수 있지만, 복수개의 FRP 패널이 종방향으로 순차 결합되면, 나중에 결합되는 FRP 패널에서는 돌기결합부(200)가 수직한 위치로부터 기울어지는 각도가 누적되어, 원래의 하부판으로부터 수직하게 세워져 있던 상태보다 돌기결합부(200)가 종방향 외측 방향으로 상당한 각도로 기울어져 있게 된다. 이렇게 돌기결합부(200)가 연직 상태가 아닌 기울어진 상태에 있게 되면, 후속하여 결합될 FRP 패널은 돌기결합부(200) 간의 스냅-핏 결합이 매우 어렵거나 불가능한 상태가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쉽게 돌기결합부 간의 결합이 풀리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종래의 FRP 패널은 위에서 아래로 가압되면서 이웃하는 FRP 패널과 결합되는데, 돌기결합부(200) 간의 밀착 및 걸림이 느슨해지는 경우, FRP 패널이 위로 뽑히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18029호(2012. 03. 05. 공고).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이 문제점과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종방향으로 일측에서부터 타측을 향하여 한쪽 방향으로만 그리고 반드시 순차적으로만 FRP 패널이 조립되어야만 하는 종래 기술의 한계와 문제점을 극복하여, 복수개의 FRP 패널을 동시에 결합할 수 있게 함으로써 FRP 패널에 의한 바닥판 시공작업의 속도를 높이고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FRP 패널이 볼록곡면에 밀착하여 설치되더라도, 돌기결합부의 위치변형이 누적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후속하여 결합되는 FRP 패널에서도 돌기결합부 간의 스냅-핏 결합이 용이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FRP 패널이 조립된 후에, FRP 패널이 위쪽으로 뽑혀서 분리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 내지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부판, 하부판, 및 복부판으로 이루어져 복수개의 다각형 중공이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횡방향 단면 형상을 가지며, 하부판의 종방향 양측에는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하부 연장부가 각각 존재하고, 각각의 하부 연장부에서 종방향 단부에는 상향 돌출되는 제1상향돌기결합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복부판 중에서 종방향 양쪽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복부판의 외측면에는 각각 제2상향돌기결합부가 상향 돌출되어 구비되어 있는 메인 FRP 패널; 및 연직 복부판과, 상기 연직 복부판의 상단에서 종방향 양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있는 상부 연장판으로 이루어져 횡방향의 단면 형상이 영문자 T자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연직 복부판의 하단에는, 집게 형태의 연결돌기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상부 연장판에서 종방향 단부에는, 하향돌기결합부가 하향 돌출되어 구비되어 있는 T형 FRP 연결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2개의 메인 FRP 패널이 종방향으로 이웃하게 연속 배치된 상태에서 1개의 T형 FRP 연결패널이 2개의 메인 FRP 패널 사이에서 하향 가압되어, 연결돌기결합부가 2개의 메인 FRP 패널에서 서로 마주 접하고 있는 2개의 제1상향돌기결합부를 동시에 감싸면서 기계적으로 맞물림되고, 하향돌기결합부가 제2상향돌기결합부와 기계적으로 맞물림되어 조립 결합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판이 제공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바닥판에 있어서, 메인 FRP 패널의 종방향 일측에 존재하는 제1상향돌기결합부의 연직한 종방향 외면에는 인발방지용 끼움돌기가 종방향으로 돌출 구비되고, 메인 FRP 패널의 종방향 타측에 존재하는 제1상향돌기결합부의 연직한 종방향 외면에는 오목홈이 형성되어, 2개의 메인 FRP 패널이 종방향으로 이웃하게 연속 배치되었을 때, 끼움돌기가 오목홈에 끼워져서, 메인 FRP 패널이 연직방향으로 인발되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고, 더 나아가, 제1상향돌기결합부는 하부 연장부에 대해 수직방향으로부터 종방향 외측 방향으로 각도를 가지고 기울어진 상태로 하부 연장부로부터 상향 돌출되어 있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2개의 메인 FRP 패널과 1개의 T형 FRP 연결패널의 조립 결합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바닥판의 최소 단위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최소 단위를 위와 동일한 방식으로 T형 FRP 연결패널에 의해 필요한 개수로 연결하여 필요한 종방향 길이를 가지는 바닥판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개의 메인 FRP 패널을 T형 FRP 연결패널을 이용하여 동시에 결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종방향으로 가면서 순차적으로 조립 결합을 진행할 필요가 없으며, 설치면의 여러 위치에서 메인 FRP 패널을 각각 별도로 조립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고, 그에 따라 바닥판의 조립 설치 작업이 더욱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바닥판의 시공 기간을 종래 기술에 비하여 크게 단축할 수 있게 되고, 그만큼 시공비용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더 나아가, 필요한 위치에서만 신속하게 메인 FRP 패널을 결합하여 부분적으로 바닥판을 시공할 수 있게 되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제1상향돌기결합부에 끼움돌기와 오목홈의 삽입 결합 구성을 가질 수 있는데,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메인 FRP 패널이 연직 방향의 힘에 의하여 쉽게 들어 올려져서 분리되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제1상향돌기결합부를 수직위치보다 종방향 외측으로 소정 각도 기울어진 형태로 구비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메인 FRP 패널이 볼록곡면에 밀착하여 설치되더라도, 제1상향돌기결합부의 위치변형이 누적되지 않게 되고 이웃하는 메인 FRP 패널의 제1상향돌기결합부가 서로 충실하게 밀착되므로, 이웃하여 마주 접한 2개의 제1상향돌기결합부는 T형 FRP 연결패널의 연결돌기결합부의 집게 형상에 용이하게 끼워져서 견고하게 기계적으로 맞물림되고, 그에 따라 견고한 조립 구조의 바닥판을 이루게 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판을 형성하는 메인 FRP 패널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판을 형성하는 T형 FRP 연결패널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바닥판을 형성하기 위하여 메인 FRP 패널과 T형 FRP 연결패널을 조립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바닥판을 형성하기 위하여 메인 FRP 패널과 T형 FRP 연결패널을 조립 완료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선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선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원 C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5의 원 D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6의 원 E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10은 제1상향돌기결합부가 기울어진 형태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 7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11은 복수개의 메인 FRP 패널을 설치면에 배치한 상태에서 복수개의 T형 FRP 연결패널을 동시에 하향 가압하여 조립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횡방향으로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설치면이 볼록곡면일 경우에 메인 FRP 패널이 설치되고 T형 FRP 연결패널이 결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 5에 대응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설치면이 볼록곡면일 경우에 메인 FRP 패널이 설치되고 T형 FRP 연결패널이 결합된 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 6에 대응되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원 F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15는 종래의 FRP 패널이 조립되는 형상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선 M-M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7은 종래의 FRP 패널이 볼록곡면에 놓여서 볼록곡면에 결합되었을 때 상향으로 돌출된 돌기결합부가 변형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 16의 원 N부분의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판을 형성하는 메인(main) FRP 패널(1)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판을 형성하는 T형 FRP 연결패널(2)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 및 도 4에는 각각 본 발명의 바닥판(100)을 형성하기 위하여 메인 FRP 패널(1)과 T형 FRP 연결패널(2)을 조립하는 과정(도 3) 및 조립이 완료된 상태(도 4)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는 각각 도 3의 선 A-A에 따른 단면도(도 5)와 도 4의 선 B-B에 따른 단면도(도 6)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바닥판(100)은, 메인 FRP 패널(1)과 T형 FRP 연결패널(2)의 조립으로 이루어지는데, 2개의 메인 FRP 패널(1)이 종방향으로 이웃하게 연속 배치된 상태에서 1개의 T형 FRP 연결패널(2)이 2개의 메인 FRP 패널(1) 사이를 일체로 결합한 것이 "최소 단위"가 되며, 한 개의 최소 단위가 그 자체로서 본 발명의 바닥판(100)을 이루거나 또는 복수개의 최소 단위가 T형 FRP 연결패널(2)에 의해 일체 연결되어 본 발명의 바닥판(100)을 이루게 된다. 최소 단위가 T형 FRP 연결패널(2)에 의해 일체 조립 연결되는 방식은, 2개의 이웃하는 메인 FRP 패널(1)이 T형 FRP 연결패널(2)에 의해 조립 결합되는 방식과 동일하다.
우선 메인 FRP 패널(1)의 구성을 살펴보면, 메인 FRP 패널(1)은 상부판(11), 하부판(12), 및 복부판(13)으로 이루어져 복수 개의 중공(17)이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횡방향 단면 구성을 가진다. 메인 FRP 패널(1)의 하부판(12)에서, 종방향 양측에는 종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있는 하부 연장부(14)가 각각 존재하는데, 각각의 하부 연장부(14)에서 종방향 단부에는 상향으로 돌출되는 제1상향돌기결합부(14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메인 FRP 패널(1)의 복부판(13) 중에서 종방향 양쪽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복부판(13a)의 외측면에는 각각 제2상향돌기결합부(141)가 상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되어 있다. 메인 FRP 패널(1)이 설치면에 놓여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부 연장부(14)에는 설치면과의 결합을 위한 볼트 등의 결합부재(5)가 관통되는 결합공이 미리 형성되어 존재할 수 있다.
도 7에는 도 5의 원 C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도 5의 원 D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9에는 도 6의 원 E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필요에 따라서는 메인 FRP 패널(1)의 종방향 일측에 존재하는 제1상향돌기결합부(140)의 연직한 종방향 외면에는 인발방지용 끼움돌기(144)가 종방향으로 돌출 구비되고, 이에 대응하여 메인 FRP 패널(1)의 종방향 타측에 존재하는 제1상향돌기결합부(140)의 연직한 종방향 외면에는 끼움돌기(144)가 삽입되는 오목홈(145)이 형성될 수 있다. 끼움돌기(144)와 오목홈(145)의 관계 및 작용효과는 후술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상향돌기결합부(140)는 하부 연장부(14)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될 수도 있지만, 수직방향으로부터 종방향 외측 방향으로 소정 각도(θ)만큼 기울어진 상태로 상향 돌출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10에는 도 7에 대응되는 제1상향돌기결합부(140)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도로서 제1상향돌기결합부(140)가 기울어진 형태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메인 FRP 패널(1)이 놓이는 설치면이 수평한 평면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제1상향돌기결합부(140)는 하부 연장부(14)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도 무방하다. 그러나 메인 FRP 패널(1)이 놓이는 설치면이 볼록곡면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이와 같이 제1상향돌기결합부(140)가 하부 연장부(14)로부터 종방향 외측 방향으로 각도를 가지고 기울어진 상태로 상향 돌출되는 것이 유리한데, 메인 FRP 패널(1)이 볼록곡면으로 이루어진 설치면에 놓여서 밀착 설치되었을 때, 제1상향돌기결합부(140)가 오히려 설치면에 대해 수직한 상태로 되어 T형 FRP 연결패널(2)의 연결돌기결합부(210)와 견고한 스냅-핏에 의한 기계적인 맞물림 결합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메인 FRP 패널(1)의 재료가 되는 FRP는, 수지와 섬유로 이루어지는데, 수지로서는 폴리에스터, 비닐에스터, 패놀 또는 에폭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섬유로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아라미드 섬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FRP 패널(1)은 인발성형공법에 의하여 제작될 수 있는데, 후술하는 T형 FRP 연결패널(2) 역시 메인 FRP 패널(1)과 동일한 재료 및 동일한 인발성형공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T형 FRP 연결패널(2)은, 연직 복부판(21)과, 상기 연직 복부판(21)의 상단에서 종방향 양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있는 상부 연장판(22)으로 이루어져, 횡방향의 단면 형상이 영문자 T자 형태를 이루고 있는 부재이다. 연직 복부판(21)의 하단에는, 메인 FRP 패널(1)의 제1상향돌기결합부(140)와 스냅-핏 방식의 기계적인 맞물림을 이루게 되는 집게 형태의 연결돌기결합부(210)가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상부 연장판(22)에서 종방향 단부에는, 제2상향돌기결합부(141)와 스냅-핏 방식의 기계적인 맞물림을 이루게 되는 하향돌기결합부(220)가 아래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부 연장판(22)은 메인 FRP 패널(1)의 하부 연장부(14)의 종방향 길이에 대응되는 종방향 길이를 가진다.
다음에서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메인 FRP 패널(1)과 T형 FRP 연결패널(2)의 조립 결합에 의해 본 발명의 바닥판(100)을 형성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의 경우는, 평평한 수평면으로 형성된 설치면에 바닥판(100)을 고정 설치하며, 2개의 메인 FRP 패널(1)과 1개의 T형 FRP 연결패널(2)로 이루어진 "최소 단위"를 형성하는 실시예에 해당한다.
우선 2개의 메인 FRP 패널(1)을 종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연속하여 설치면에 배치한다. 이 때 메인 FRP 패널(1)의 중공(17)은 횡방향을 향하게 된다. 하부판(12)과 하부 연장부(14)가 설치면에 밀착되는데,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볼트와 같은 결합부재(5)를 하부 연장부(14)에 관통시켜 체결함으로써, 메인 FRP 패널(1)이 설치면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상향돌기결합부(140)에 끼움돌기(144)와 오목홈(145)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 이와 같이 2개의 메인 FRP 패널(1)이 종방향으로 연속 배치될 때, 이웃하는 메인 FRP 패널(1)의 제1상향돌기결합부(140)끼리 종방향으로 마주하게 되면서 끼움돌기(144)가 오목홈(145)에 삽입된다(도 9 참조). 끼움돌기(144)가 오목홈(145)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메인 FRP 패널(1)에 연직 방향으로 메인 FRP 패널(1)을 들어 올리거나 또는 아래로 내리려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2개의 메인 FRP 패널(1)이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즉, 끼움돌기(144)와 오목홈(145) 간의 끼움 결합에 의해 메인 FRP 패널(1) 간의 분리를 억제하는 작용효과가 발휘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2개의 메인 FRP 패널(1)에서 서로 이웃하여 연속 위치하게 된 상태에서, 하부 연장부(14) 위쪽에는 T형 FRP 연결패널(2)이 위치하여 위쪽으로부터 연직하게 가압됨으로써 T형 FRP 연결패널(2)이 2개의 메인 FRP 패널(1)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T형 FRP 연결패널(2)에 형성되어 있는 집게 형태의 연결돌기결합부(210)는 2개의 메인 FRP 패널(1)에서 서로 마주 접하고 있는 2개의 제1상향돌기결합부(140)를 동시에 감싸면서 기계적으로 맞물림된다. 즉, 연결돌기결합부(210)의 내면에는 걸림톱니가 형성되어 있고, 제1상향돌기결합부(140)에도 각각 걸림톱니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2개의 제1상향돌기결합부(140)가 동시에 연결돌기결합부(210)의 집게 형상 내부로 끼워지면서 걸림톱니끼리 맞물리면서 견고한 기계적인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T형 FRP 연결패널(2)이 연직하게 가압될 때, 위와 같은 연결돌기결합부(210)와 제1상향돌기결합부(140)간의 맞물림과 동시에, 하향돌기결합부(220)와 제2상향돌기결합부(141)간의 기계적인 맞물림도 형성된다. 즉, 하향돌기결합부(220)가 제2상향돌기결합부(141)와 외측 복부판(13a)의 외측면 사이의 간격으로 끼워지면서 하향돌기결합부(220)에 형성된 걸림톱니와 제2상향돌기결합부(141)의 걸림톱니간의 맞물림에 의해 하향돌기결합부(220)와 제2상향돌기결합부(141)가 기계적으로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2개의 메인 FRP 패널(1)과 1개의 T형 FRP 연결패널(2)의 조립 결합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바닥판(1)의 최소 단위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최소 단위 자체가 바닥판(1)을 이룰 수도 있지만, 최소 단위를 위와 동일한 방식으로 T형 FRP 연결패널(2)에 의해 필요한 개수로 연결하여 필요한 종방향 길이를 가지는 바닥판(1)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종방향으로 가면서 순차적으로 조립 결합을 진행할 필요가 없다.
도 11에는 복수개의 메인 FRP 패널(1)을 설치면에 배치한 상태에서 복수개의 T형 FRP 연결패널(2)을 동시에 하향 가압하여 메인 FRP 패널(1)과 결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횡방향으로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서는 메인 FRP 패널(1) 만을 미리 설치면에 배치한 상태에서, 복수개의 T형 FRP 연결패널(2)을 동시에 병행하여 메인 FRP 패널(1)에 결합할 수 있는 거시다. 따라서 종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조립 결합을 진행할 수밖에 없는 종래 기술에 비하여, 본 발명에서는 바닥판(100)의 조립 설치 작업이 더욱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바닥판(100)의 시공 기간을 종래 기술에 비하여 크게 단축할 수 있게 되고, 그만큼 시공비용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T형 FRP 연결패널(2)을 병행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설치면의 여러 위치에서 메인 FRP 패널(1)을 별도로 조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2 및 도 13에는 각각 설치면이 볼록곡면일 경우에 메인 FRP 패널(1)이 설치되고 T형 FRP 연결패널(2)이 결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 5에 대응되는 단면도(도 12)와, 결합된 이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 6에 대응되는 단면도(도 13)가 도시되어 있다. 도 14에는 도 13의 원 F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메인 FRP 패널(1)이 볼록곡면으로 이루어진 설치면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제1상향돌기결합부(140)가 하부 연장부(14)로부터 종방향 외측 방향으로 각도를 가지고 기울어진 상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향 돌출된 제1상향돌기결합부(140)가 하부 연장부(14)로부터 종방향 외측 방향으로 각도(θ)를 가지고 기울어져 있는 구성을 가지는 2개의 메인 FRP 패널(1)이, 볼록곡면으로 이루어진 설치면에 배치되었을 때에는,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이웃하는 메인 FRP 패널(1)의 제1상향돌기결합부(140)는 그 기울어진 경사로 인하여 오히려 설치면에 대해 수직한 위치에 있게 되고, 그에 따라 2개의 이웃한 제1상향돌기결합부(140)는 서로 충실하게 밀착되는 형태가 된다. 따라서 2개의 제1상향돌기결합부(140)는 연결돌기결합부(210)의 집게 형상에 용이하게 끼워져서 견고하게 기계적으로 맞물림된다. 또한 도 12 내지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되며, 상향 돌출된 제1상향돌기결합부(140)가 하부 연장부(14)로부터 종방향 외측 방향으로 각도를 가지고 기울어져 있는 구성을 가지는 경우, 2개의 이웃한 제1상향돌기결합부(140)는 서로 충실하게 밀착되기 때문에 끼움돌기(144)가 충분한 깊이로 오목홈(145)에 삽입되어 메인 FRP 패널(1)의 뽑힘 방지 효과가 더욱 확실하게 나타나게 되는 추가적인 장점이 있다.
1: 메인 FRP 패널
2: T형 FRP 연결패널
100: 바닥판
140: 제1상향돌기결합부
141: 제2상향돌기결합부
210: 연결돌기결합부
220: 하향돌기결합부

Claims (3)

  1. 상부판(11), 하부판(12), 및 복부판(13)으로 이루어져 복수개의 중공(17)이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횡방향 단면 형상을 가지며, 하부판(12)의 종방향 양측에는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하부 연장부(14)가 각각 존재하고, 각각의 하부 연장부(14)에서 종방향 단부에는 상향 돌출되는 제1상향돌기결합부(140)가 구비되어 있으며, 복부판(13) 중에서 종방향 양쪽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복부판(13a)의 외측면에는 각각 제2상향돌기결합부(141)가 상향 돌출되어 구비되어 있는 메인 FRP 패널(1); 및
    연직 복부판(21)과, 상기 연직 복부판(21)의 상단에서 종방향 양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있는 상부 연장판(22)으로 이루어져 횡방향의 단면 형상이 영문자 T자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연직 복부판(21)의 하단에는 집게 형태의 연결돌기결합부(210)가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상부 연장판(22)에서 종방향 단부에는 하향돌기결합부(220)가 하향 돌출되어 구비되어 있는 T형 FRP 연결패널(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2개의 메인 FRP 패널(1)이 종방향으로 이웃하게 연속 배치된 상태에서 1개의 T형 FRP 연결패널(2)이 2개의 메인 FRP 패널(1) 사이에서 하향 가압되어, 연결돌기결합부(210)가 2개의 메인 FRP 패널(1)에서 서로 마주 접하고 있는 2개의 제1상향돌기결합부(140)를 동시에 감싸면서 기계적으로 맞물림되고, 하향돌기결합부(220)가 제2상향돌기결합부(141)와 기계적으로 맞물림되어 조립 결합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판.
  2. 제1항에 있어서,
    메인 FRP 패널(1)의 종방향 일측에 존재하는 제1상향돌기결합부(140)의 연직한 종방향 외면에는 인발방지용 끼움돌기(144)가 종방향으로 돌출 구비되고,
    메인 FRP 패널(1)의 종방향 타측에 존재하는 제1상향돌기결합부(140)의 연직한 종방향 외면에는 오목홈(145)이 형성되어,
    2개의 메인 FRP 패널(1)이 종방향으로 이웃하게 연속 배치되었을 때, 끼움돌기(144)가 오목홈(145)에 끼워져서, 메인 FRP 패널(1)이 연직방향으로 인발되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상향돌기결합부(140)는 하부 연장부(14)에 대해 수직방향으로부터 종방향 외측 방향으로 각도(θ)를 가지고 기울어진 상태로 하부 연장부(14)로부터 상향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판.
KR1020140093923A 2014-07-24 2014-07-24 병행설치 및 볼록곡면 설치가 용이한 섬유보강 복합소재 바닥판 KR101450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923A KR101450581B1 (ko) 2014-07-24 2014-07-24 병행설치 및 볼록곡면 설치가 용이한 섬유보강 복합소재 바닥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923A KR101450581B1 (ko) 2014-07-24 2014-07-24 병행설치 및 볼록곡면 설치가 용이한 섬유보강 복합소재 바닥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0581B1 true KR101450581B1 (ko) 2014-10-15

Family

ID=51997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3923A KR101450581B1 (ko) 2014-07-24 2014-07-24 병행설치 및 볼록곡면 설치가 용이한 섬유보강 복합소재 바닥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058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071131A1 (en) * 2017-05-19 2019-03-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odular truck bed floor
KR101991765B1 (ko) * 2018-10-05 2019-06-21 이성우 대칭형 frp 패널과 덮개형 연결패널을 이용한 스냅-핏 결합의 잠김 및 패널 분리교체 가능 구성을 가지는 frp 패널의 조립구조, 이를 구비한 바닥판 및 그 시공방법
KR102120940B1 (ko) * 2019-09-26 2020-06-10 강태윤 건축용 다기능 다목적 지지대
KR102267146B1 (ko) * 2020-09-08 2021-06-22 우리산업 주식회사 현장 시공이 용이한 데크로드
EP3821088A4 (en) * 2018-07-13 2022-08-17 Arild Hardeng WASHROOM ELEMENT AND WASHROOM WITH SUCH ELEMENT
KR102511853B1 (ko) * 2022-06-30 2023-03-20 금산씨엔씨(주) 건물 외벽 장식용 부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1986A (ko) * 2004-09-06 2006-03-09 주식회사 국민씨아이 스냅-핏 결합구조를 가진 중공단면의 섬유강화 복합소재교량 바닥판
KR20060032808A (ko) * 2004-10-13 2006-04-18 주식회사 국민씨아이 기계적 착탈 결합구조를 가진 중공단면의 평면 및 곡면형섬유강화 복합소재 패널과, 그 커넥터
KR20060060145A (ko) * 2004-11-30 2006-06-05 주식회사 국민씨아이 중공단면의 조립식 복합소재 패널용 코너 커넥터 및 이를이용한 구조물
KR20090100026A (ko) * 2008-03-19 2009-09-23 주식회사 국민씨아이 데크 연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데크 매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1986A (ko) * 2004-09-06 2006-03-09 주식회사 국민씨아이 스냅-핏 결합구조를 가진 중공단면의 섬유강화 복합소재교량 바닥판
KR20060032808A (ko) * 2004-10-13 2006-04-18 주식회사 국민씨아이 기계적 착탈 결합구조를 가진 중공단면의 평면 및 곡면형섬유강화 복합소재 패널과, 그 커넥터
KR20060060145A (ko) * 2004-11-30 2006-06-05 주식회사 국민씨아이 중공단면의 조립식 복합소재 패널용 코너 커넥터 및 이를이용한 구조물
KR20090100026A (ko) * 2008-03-19 2009-09-23 주식회사 국민씨아이 데크 연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데크 매트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071131A1 (en) * 2017-05-19 2019-03-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odular truck bed floor
US10875583B2 (en) * 2017-05-19 2020-12-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odular truck bed floor
EP3821088A4 (en) * 2018-07-13 2022-08-17 Arild Hardeng WASHROOM ELEMENT AND WASHROOM WITH SUCH ELEMENT
KR101991765B1 (ko) * 2018-10-05 2019-06-21 이성우 대칭형 frp 패널과 덮개형 연결패널을 이용한 스냅-핏 결합의 잠김 및 패널 분리교체 가능 구성을 가지는 frp 패널의 조립구조, 이를 구비한 바닥판 및 그 시공방법
WO2020071700A1 (ko) * 2018-10-05 2020-04-09 이성우 대칭형 frp 패널과 덮개형 연결패널을 이용한 frp 패널의 조립구조, 이를 구비한 바닥판 및 그 시공방법
KR102120940B1 (ko) * 2019-09-26 2020-06-10 강태윤 건축용 다기능 다목적 지지대
KR102267146B1 (ko) * 2020-09-08 2021-06-22 우리산업 주식회사 현장 시공이 용이한 데크로드
KR102511853B1 (ko) * 2022-06-30 2023-03-20 금산씨엔씨(주) 건물 외벽 장식용 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0581B1 (ko) 병행설치 및 볼록곡면 설치가 용이한 섬유보강 복합소재 바닥판
KR101786490B1 (ko) 방음벽 패널 연결 구조
CN101743366A (zh) 用于将两个并置的面板固定于构件的组件
US20120291375A1 (en) Construction panel and stiffening plate
KR102575473B1 (ko) 케이블 트레이 접합부 및 이음매 판 결합 시스템
KR101303196B1 (ko)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
US11891817B2 (en) Floor panel and floor
KR101533294B1 (ko) 조립식 파고라 기둥 구조체
KR101010046B1 (ko) 지붕패널 고정프레임
KR101805132B1 (ko) 트러스 거더 설치용 지지대
KR200456085Y1 (ko) 패널 연결용 프레임
KR101417507B1 (ko) 강관 접합 구조물
KR200423646Y1 (ko) 벽체 또는 천장구조물의 패널 지지구조
KR101324770B1 (ko) 천정 및 벽용 패널 조립체
KR101989114B1 (ko) 열 팽창 리텐션 클립
KR20150090818A (ko) 지붕 설치용 착고형 싱글 패널 조립체
JP4700455B2 (ja) 留め付け金具及び外壁施工構造
KR101898522B1 (ko)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조립식 칸막이
KR101850067B1 (ko) 조립식 트레이용 측판
KR101208341B1 (ko) 다리 연결구를 갖는 테이블
EP3266952B1 (en) Assembly for cladding surfaces
KR20120062419A (ko)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
CN210559454U (zh) 卡扣结构及净水机
KR101824461B1 (ko) 샌드위치 패널 커플링 유니트
US20050115184A1 (en) Panel conn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