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0818A - 지붕 설치용 착고형 싱글 패널 조립체 - Google Patents

지붕 설치용 착고형 싱글 패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0818A
KR20150090818A KR1020140139717A KR20140139717A KR20150090818A KR 20150090818 A KR20150090818 A KR 20150090818A KR 1020140139717 A KR1020140139717 A KR 1020140139717A KR 20140139717 A KR20140139717 A KR 20140139717A KR 20150090818 A KR20150090818 A KR 20150090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lined surface
cover plate
stepped
bending
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9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5724B1 (ko
Inventor
장준민
Original Assignee
엠스틸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스틸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엠스틸 유한회사
Priority to PCT/KR2015/000981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5115839A1/ko
Publication of KR20150090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0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5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5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6Connecting; Fastening
    • E04D3/361Connecting; Fastening by specially-profiled marginal portions of the slabs or sheets
    • E04D3/363Connecting; Fastening by specially-profiled marginal portions of the slabs or sheets with snap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6Connecting; Fastening
    • E04D3/361Connecting; Fastening by specially-profiled marginal portions of the slabs or sheets
    • E04D3/362Connecting; Fastening by specially-profiled marginal portions of the slabs or sheets by locking the edge of one slab or sheet within the profiled marginal portion of the adjacent slab or sheet, e.g. using separate connec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지붕용 싱글 패널을 지붕 구조체 위에 연속하여 조립함에 있어서, 지붕 구조체에 싱글 패널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볼트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체결볼트의 체결 부위를 통한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토록 할 뿐 아니라 지붕의 내외 온도 차이에 의해 체결볼트를 통한 결로발생을 방지하도록 하는 지붕 설치용 착고형 싱글 패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표면판의 중앙에 구비되며, 제 1 경사면과, 1 단턱면과, 제 2 경사면과, 제 1 상부면과, 제 3 경사면과, 제 2 단턱면과, 제 4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덮개판과; 덮개판의 일측에 구비되며, 제 5 경사면과, 제 3 단턱면과, 제 6 경사면과, 제 2 상부면과, 제 7 경사면과, 제 4 단턱면으로 이루어진 하부덮개판과; 덮개판의 타측에 구비되며, 제 5 단턱면과, 제 8 경사면과, 제 3 상부면과, 제 9 경사면과, 제 6 단턱면과, 제 10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상부덮개판과; 제 7 단턱면과, 제 11 경사면과, 제 4 상부면과, 제 12 경사면과, 제 8 단턱면으로 이루어진 착고형단열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지붕 설치용 착고형 싱글 패널 조립체{ASSEMABLED SINGLE PANEL OVERLAPPING TYPE FOR ROOF CONSTRUCTION}
본 발명은 지붕 설치용 착고형 싱글 패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다수의 지붕용 싱글 패널을 지붕 구조체 위에 연속하여 조립함에 있어서, 지붕 구조체에 싱글 패널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볼트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체결볼트의 체결 부위를 통한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토록 할 뿐 아니라 지붕의 내외 온도 차이에 의해 체결볼트를 통한 결로발생을 방지하도록 하는 지붕 설치용 착고형 싱글 패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붕용 싱글 패널은 특정한 패널 형상으로 제작한 강판 재질로 조립식 건물의 자재로 주로 사용된다.
또한, 지붕용 싱글패널은 대체로 사각의 판재 형상을 이루며, 이들의 가장자리 부위는 이웃하는 다른 지붕용 싱글패널과 연속하여 연결될 수 있도록 결합부를 형성하고 있다.
지붕용 싱글패널은 다른 자재에 비교하여 경량일 뿐 아니라 자체 강도가 강한 내구성 자재로서, 그 설치와 해체 등의 작업이 용이한 점과 다른 건축구조물 시공 대비 시공 기간과 시공비를 줄이는 장점이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지붕용 싱글 패널을 적용하기 이전의 종래 기술 중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22690호(2013.10.30)(이하, '선행기술'이라 함)에 개시된 바와 같이, 지붕 구조물 위에 표면판과 이면판 및 이들 사이에 단열성 재질인 충전물로 메워진 샌드위치 패널이 널리 사용되어 왔다.
상술한 선행기술에 의하면, 도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지붕의 표면 위로 그 고정을 위한 체결볼트의 머리 부위가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체결볼트가 설치되는 부위를 통해 지붕의 내부로 빗물 등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에 있어서, 샌드위치 패널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볼트는, 그 머리부 위치가 이웃하는 패널에 의해 덮이는 관계에 있으나, 지붕의 상부 외측과 근접하고, 체결볼트의 하부는 지붕의 하부 내측에 기설치된 구조물에 체결되는 관계에 있다.
즉, 체결볼트는 일반적으로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 재질이고, 외기의 온도에 대하여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는 하지만, 그 머리부는 표면판과 접하여 있으므로 결국 표면판 온도와 같은 수준에 이르고, 지붕 하부의 실내로 이어진 부위 또한 마찬가지로 외기의 온도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체결볼트의 열전도 관계는 그 체결이 이루어지는 지붕 구조물 주변으로 확대되며, 이들 부위는 외기와 내기의 온도 차이에 따라 결로를 유발하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결로 현상의 지속은, 체결보트는 물론 이와 체결관계에 있는 지붕 구조물까지도 부식시킬 뿐 아니라 더 확대될 경우 체결볼트의 결합력 약화로 인하여 샌드위치 패널의 들뜸 내지 지붕 구조물로부터의 이탈하는 문제를 야기한다.
더욱이 체결볼트와 체결토록 지붕 구조물에 형성된 체결홀 주연은, 그 관통 형성과정을 포함하여 체결볼트와의 체결관계에 의해 부식 가능성이 매우 높은 관계에 있음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본 출원의 발명자는 앞서 살펴본 선행기술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3-0053836호(2013.05.13. 출원번호)를 통해 출원한 바 있으나, 위와 같은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는 관계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본원 발명을 개발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22690호(2013.10.30)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지붕용 싱글 패널을 지붕 구조체 위에 설치함에 있어서, 그 표면으로 볼트가 노출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볼트의 체결 부위를 통해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토록 하고 볼트를 통한 결로를 방지하기 위한 지붕 설치용 착고형 싱글 패널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붕 설치용 착고형 싱글 패널 조립체는 폭 방향에 대하여 상부로 돌출되게 굴곡진 형상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덮개판이 하나 이상 형성된 표면판과; 상기 표면판의 하부에 밀착시킨 착고형단열구조체;를 하부에 단열성능을 갖는 충전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지붕 설치용 샌드위치 패널 조립체에 복합체로 구성하는데 있어서,
표면판의 중앙에 구비되며, 제 1 경사면과, 1 단턱면과, 제 2 경사면과, 제 1 상부면과, 제 3 경사면과, 제 2 단턱면과, 제 4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덮개판과;
덮개판의 일측에 구비되며, 제 5 경사면과, 제 3 단턱면과, 제 6 경사면과, 제 2 상부면과, 제 7 경사면과, 제 4 단턱면으로 이루어진 하부덮개판과;
덮개판의 타측에 구비되며, 제 5 단턱면과, 제 8 경사면과, 제 3 상부면과, 제 9 경사면과, 제 6 단턱면과, 제 10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상부덮개판과;
제 7 단턱면과, 제 11 경사면과, 제 4 상부면과, 제 12 경사면과, 제 8 단턱면으로 이루어진 착고형단열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덮개판은 얇은 강판재로 이루어지고 표면판의 중앙에 상부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표면판의 선단을 상부로 절곡시켜 형성한 제 1 경사면과;
제 1 경사면의 선단에서 연이어 타측 방향으로 절곡시켜 형성한 제 1 단턱면과;
제 1 단턱면의 선단에서 일측 방향의 상부로 제1경사면과 같은 각도로 절곡시켜 형성한 제 2 경사면과;
제 2 경사면의 선단에서 일측의 수평 방향으로 절곡시켜 형성한 제 1 상부면과;
제 1 상부면의 선단에서 일측 방향의 하부로 절곡시켜 형성한 제 3 경사면과;
제 3 경사면의 선단에서 타측 방향으로 절곡시켜 형성한 제 2 단턱면과;
제 2 단턱면의 선단에서 제 3 경사면과 같은 각도로 절곡시켜 형성한 제 4 경사면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하부덮개판은 표면판의 단부에서 상부로 절곡시켜 형성한 제 5 경사면과;
제 5 경사면의 선단에서 연이어 타측 방향으로 절곡시켜 형성한 제 3 단턱면과;
제 3 단턱면의 선단에서 일측 방향의 상부로 제 5 경사면과 같은 각도로 절곡시켜 형성한 제 6 경사면과;
제 6 경사면의 선단에서 일측의 수평 방향으로 절곡시켜 형성한 제 2 상부면과;
제 2 상부면의 선단에서 일측 방향의 하부로 절곡시켜 형성한 제 7 경사면과;
제 7 경사면의 선단에서 타측 방향으로 절곡시켜 형성한 제 4 단턱면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부덮개판은 하부덮개판의 제 3 단턱면 하부에 밀착고정되는 제 5 단턱면과;
제 6 경사면의 상부에 밀착고정되는 제 8 경사면과;
제 2 상부면의 상부에 밀착고정되는 제 3 상부면과;
제 7 경사면의 상부에 밀착고정되는 제 9 경사면과;
제 4 단턱면의 하부에 밀착고정되는 제 6 단턱면과;
제 6 단턱면의 선단에서 일측 방향의 하부로 절곡시켜 형성한 제 10 경사면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착고형단열구조체는 하부덮개판의 제 3 단턱면의 상부면이 하부에 밀착 고정되는 제 7 단턱면과, 제 6 경사면의 내측면이 상부에 밀착 고정되는 제 11 경사면과, 제 2 상부면의 하부가 상부에 밀착고정되는 제 4 상부면과, 제 7 경사면 내측이 상부에 밀착고정되는 제 12 경사면과, 제 4 단턱면의 상부가 하부에 밀착 고정되는 제 8 단턱면으로 형성된 착고상부재와;
하부로 착고단열재가 삽입고정되는 착고하부재와;
열교현상으로 인한 결로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착고단열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하부덮개판 하부에 밀착될 수 있게 압출 가공된 플라스틱 착고형단열구조체의 하부에 오목 장홈을 양측에 가공하고, 타이트 후렘에 걸이부를 형성한 후 걸이부에 밀어넣어 체결하고, 직결볼트를 이용하여 타이트 후렘을 하부에 설치된 샌드위치 패널에 고정하거나, 또는 긴 직결 볼트를 이용하여 지붕 구조체에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하부덮개판 내측면 형상에 대응하여 감싸지게 굴곡된 형상으로 제작된 단열성능을 갖는 체결 구조체로서 하부의 샌드위치 패널위에 직결볼트를 이용하여 체결하거나 긴 직결 볼트를 이용하여 지붕 구조체에 직접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하부덮개판 형상에 대응하여 감싸지게 굴곡된 형상으로 제작된 고강도와 고탄성을 지닌 스테인리스 절곡 성형체에 단열성능을 갖는 알루미늄 단열바를 볼트로 결합한 체결 구조체로서 하부의 샌드위치 패널에 직결볼트를 이용하여 체결하거나 긴 직결 볼트를 이용하여 지붕 구조체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체결 구조체를 하부 받침용으로 공장에서 선제작된 타이트 후렘으로 폭 방향으로 길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하부덮개판 내표면 형상에 대응하여 감싸지게 굴곡된 형상으로 제작된 강도와 단열성을 지닌 플라스틱 압출 성형체와 하부 받침용 후렘을 결합하여 하부의 샌드위치 패널에 직결볼트를 이용하여 체결하거나 긴 직결 볼트를 이용하여 지붕 구조체에 직접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에 따르면, 지붕 설치용 착고형 싱글 패널 조립체는 지붕 설치용 싱글 패널들을 지붕 구조체를 이루는 프레임 상에 볼트로 고정하며 연이어 조립 설치함에 있어서, 지붕 외표면으로 볼트, 와셔, 캡 등이 노출되지 않아 깔끔한 형상을 이룰 뿐 아니라 돌출부의 양측 부위는 단턱면 형성에 따라 그림자가 드리워짐으로써 돌출부의 윤곽을 더욱 선명하게 하는 등 외관상 미려함을 연출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볼트가 지붕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우수의 침투 가능성이 배제되어 볼트의 체결 부위를 통해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돌출부의 형상에 따라 착고형단열구조체의 굴곡된 부위의 선단부를 감싸 파지하는 형상으로 고정이 이루어지고, 이와 더불어 착고형단열구조체의 장홈에 걸이부가 걸쳐짐에 의해 이웃하는 상호 간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들뜸이나 벌어짐에 대하여 안정적인 효과가 있다.
그리고 지붕 연결 하부판과 상부판 하부에 착고형단열구조체를 알루미늄 단열바를 사용하거나, 또는 사각형 단열 플라스틱을 착고형단열구조체로 사용하여 체결하는 등 결로방지를 완벽하게 실현할 수 있다.
더불어, 돌출부의 형상이 상부에 돌기를 형성함에 따라 강판의 굴곡 강도를 높이고, 사실적인 입체감을 연출하여 지붕에 대한 심미감을 연출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지붕 설치용 패널의 조립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덮개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착고형단열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착고형단열구조체에 지붕 설치용 착고형 싱글 패널 조립체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착고형단열구조체의 형상에 따른 덮개판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의 착고형단열구조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다이트후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예의 착고형단열구조체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여러 예에 따른 덮개판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패널의 시공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일측과 타측은 덮개판을 중심으로 덮개판의 우측을 일측으로 지칭하고, 좌측을 타측이라 지칭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덮개판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착고형단열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착고형단열구조체에 지붕 설치용 착고형 싱글 패널 조립체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착고형단열구조체의 형상에 따른 덮개판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의 착고형단열구조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따른 다이트후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예의 착고형단열구조체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여러 예에 따른 덮개판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1 및 도 12는 패널의 시공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예 1]
먼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지붕 설치용 싱글 패널 조립체 구성은, 도 2 ~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샌드패널의 상부에 안착고정되는 표면판(30)과; 표면판(30)의 중앙에 구비되며, 제 1 경사면(41)과, 1 단턱면(42)과, 제 2 경사면(43)과, 제 1 상부면(44)과, 제 3 경사면(45)과, 제 2 단턱면(46)과, 제 4 경사면(47)으로 이루어진 덮개판(40)과; 덮개판(40)의 일측에 구비되며, 제 5 경사면(51)과, 제 3 단턱면(52)과, 제 6 경사면(53)과, 제 2 상부면(54)과, 제 7 경사면(55)과, 제 4 단턱면(56)으로 이루어진 하부덮개판(50)과; 덮개판(40)의 타측에 구비되며, 제 5 단턱면(61)과, 제 8 경사면(62)과, 제 3 상부면(63)과, 제 9 경사면(64)과, 제 6 단턱면(65)과, 제 10 경사면(66)으로 이루어진 상부덮개판(60)과; 제 7 단턱면(71-1), 제 11 경사면(71-2), 제 4 상부면(71-3), 제 12 경사면(72-4), 제 8 단턱면(71-5)으로 이루어진 착고형단열구조체(7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구성인 표면판(30)은, 샌드패널(80)의 상부에 안착고정되되, 중앙부에 덮개판(40)이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덮개판(40)의 제 1 경사면(41)과, 제 4 경사면(47)이 각각 연장되어 형성된 표면판(31, 3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표면판(31, 32)의 끝단 각각에는 하부덮개판(50)과 상부덮개판(60)이 구비된다.
그리고 덮개판(40)은 얇은 강판재로 이루어지고 표면판(30)의 중앙에 상부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표면판(32)의 선단을 상부로 절곡시켜 형성한 제 1 경사면(41)과, 제 1 경사면(41)의 선단에서 연이어 타측 방향으로 절곡시켜 형성한 제 1 단턱면(42)과, 제 1 단턱면(42)의 선단에서 일측 방향의 상부로 제1경사면(41)과 같은 각도로 절곡시켜 형성한 제 2 경사면(43)과, 제 2 경사면(43)의 선단에서 일측의 수평 방향으로 절곡시켜 형성한 제 1 상부면(44)과, 제 1 상부면(44)의 선단에서 일측 방향의 하부로 절곡시켜 형성한 제 3 경사면(45)과, 제 3 경사면(45)의 선단에서 타측 방향으로 절곡시켜 형성한 제 2 단턱면(46)과, 제 2 단턱면(46)의 선단에서 제 3 경사면(45)과 같은 각도로 절곡시켜 형성한 제 4 경사면(47)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하부덮개판(50)은 표면판(31)의 단부에서 상부로 절곡시켜 형성한 제 5 경사면(51)과, 제 5 경사면(51)의 선단에서 연이어 타측 방향으로 절곡시켜 형성한 제 3 단턱면(52)과, 제 3 단턱면(52)의 선단에서 일측 방향의 상부로 제 5 경사면과 같은 각도로 절곡시켜 형성한 제 6 경사면(53)과, 제 6 경사면(53)의 선단에서 일측의 수평 방향으로 절곡시켜 형성한 제 2 상부면(54)과, 제 2 상부면(54)의 선단에서 일측 방향의 하부로 절곡시켜 형성한 제 7 경사면(55)과, 제 7 경사면의 선단에서 타측 방향으로 절곡시켜 형성한 제 4 단턱면(56)으로 연속하여 연결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덮개판(60)은 하부덮개판(50)의 제 3 단턱면(52) 하부에 밀착고정되는 제 5 단턱면(61)과, 제 6 경사면(53)의 상부에 밀착고정되는 제 8 경사면(62)과, 제 2 상부면(54)의 상부에 밀착고정되는 제 3 상부면(63)과, 제 7 경사면(55)의 상부에 밀착고정되는 제 9 경사면(64)과, 제 4 단턱면(56)의 하부에 밀착고정되는 제 6 단턱면(65)과, 제 6 단턱면(65)의 선단에서 일측 방향의 하부로 절곡시켜 형성한 제 10 경사면(66)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착고형단열구조체(70)는 하부덮개판(50)에 형성된 제 3 단턱면(52)의 상부면이 하부에 밀착 고정되는 제 7 단턱면(71-1)과, 제 6 경사면(53)의 내측면이 상부에 밀착 고정되는 제 11 경사면(71-2)과, 제 2 상부면(54)의 하부가 상부에 밀착고정되는 제 4 상부면(71-3)과, 제 7 경사면(55)의 내측이 상부에 밀착고정되는 제 12 경사면(72-4)과, 제 4 단턱면(56)의 상부가 하부에 밀착 고정되는 제 8 단턱면(71-5)으로 형성된 상고상부재(71)와, 그 하부로는 착고단열재(75)가 삽입고정되는 착고하부재로(73)로 구성된다.
착고형단열구조체(70)의 착고하부재로(73)를 연장하여 형성한 연장편(73-1)을 샌드패널(80)에 직결볼트를 이용하여 샌드패널(80)에 고정하거나, 긴 직결볼트를 이용하여 지붕 구조물(Purlin)에 직접 체결한다.
이때 착고형단열구조체(70)는 단열성능이 우수한 단열바로 제작되어 열교현상으로 인한 결로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고형단열구조체(70)에 하부덮개판(50)을 체결할 때 하부덮개판(50)의 제 3 단턱면(52)과 제 4 단턱면(56)에 각각 대응하는 제 5 단턱면(61)과 제 6 단턱면(65)에 이웃하여 놓이는 제 6 경사면(53)과 제 7 경사면(55)의 상부로부터 씌워지는 과정에서 쉽게 벌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부터 상부덮개판(60) 중 제 5,6 단턱면(61, 65)은 각각 대응하는 부위가 제 3, 4 단턱면(52, 56) 하부에 위치하면서 탄력적으로 오므려지며 그 형상이 복원되면서 제 6 경사면(53), 제 2 상부면(54), 제 7 경사면(55)의 상부를 파지함으로써 상호 이웃하는 두 개의 지붕 설치용 싱글 패널들은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결합관계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3 단턱면(52)에 대응하는 제 5 단턱면(61) 부위가 제 3 단턱면(52)에 걸치도록 한 상태에서 제 9 경사면(64)과 제 3 상부면(63)과 제 9 경사면(64)과 제 6 단턱면(65)으로 연이어진 부위를 회전 위치시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더불어, 하나의 표면판(30)에 있어서, 덮개부(40)의 개수는 표면판(30)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하나씩 형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표면판(30)의 양측에 형성되는 덮개판(50, 60)은 폭 방향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지붕 설치용 싱글 패널 조립체 하부에는 상부면이 평평하게 제작된 데크형태의 샌드위치 패널일 수 있고, 또는 기존의 지붕용 샌드위치 패널처럼 돌출부를 갖는 형태일 수 있다.
이하 샌드위치 패널 조립체의 설치과정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샌드위치 패널(80) 상부에 착고형단열구조체(70)를 직결볼트를 이용하여 고정하거나, 또는 긴 직결 볼트를 이용하여 지붕 구조체에 체결한다.
이후 착고형단열구조체(70)의 상부에 지붕 설치용 샌드위치 패널 조립체의 하부덮개판(50)을 체결하는데, 착고형단열구조체(70)에 형성된 제 7 단턱면(71-1)의 하부면에 하부덮개판(50)에 형성된 제 3 단턱면(52)의 상부면이 밀착되게, 그리고 착고형단열구조체(70)에 형성된 제 11 경사면(71-2)의 외측면에 하부덮개판(50)에 형성된 제 6 경사면(53)의 내측면이 밀차되게, 착고형단열구조체(70)에 형성된 제 4 상부면(71-3)의 상부면에 하부덮개판(50)에 형성된 제 2 상부면(54)의 하부면이 밀착되게, 착고형단열구조체(70)에 형성된 제 12 경사면(72-4)의 외측면에 하부덮개판(50)에 형성된 제 7 경사면(55)의 내측면이 밀착되게, 착고형단열구조체(70)에 형성된 제 8 단턱면(71-5)의 하부면에 하부덮개판(50)에 형성된 제 4 단턱면(56) 상부면이 밀착되게 체결한다.
이후 하부덮개판(50)의 제 3 단턱면(52)의 하부면에 상부덮개판(50)에 형성된 5 단턱면(61)의 상부면이 밀착되게, 하부덮개판(50)의 제 6 경사면(53) 외측면에 제 8 경사면(62)의 내측면이 밀착되게, 제 2 상부면(54)의 상부면에 상부덮개판(50)에 형성된 제 3 상부면(63)의 외측면이 밀착되게, 제 7 경사면(55)의 외측면에 상부덮개판(50)에 형성된 제 9 경사면(64)의 내측면이 밀착되게, 제 4 단턱면(56)의 하부면에 상부덮개판(50)에 형성된 제 6 단턱면(65)의 상부면이 밀착되게 체결한다.
[실시예 2]
한편,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지붕 설치용 샌드위치 패널 조립체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실시 예에서 금속성 재질의 착고형단열구조체(70)를 샌드패널(80)에 직접체결한 반면에 제 2 실시의 예에서는 단열성능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을 이용하여 단열성과 지붕 표면판의 길이 방향으로 태양열에 의한 신축팽창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한 착고단열재(75)에 길이방향으로 장홈(715-1)을 타이트 후렘(90)에는 걸이구(91)를 형성하여 착고형단열구조체(70)가 슬라이딩되어 체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즉, 지붕표면 판의 하부덮개판(50) 하부에 밀착될 수 있게 압출 가공된 플라스틱 착고형단열구조체(70)의 하부에 오목 장홈(71)을 양측에 가공하고, 공장에서 제작된 타이트 후렘(90)의 걸이부(91)에 밀어넣어 체결하고, 직결볼트를 이용하여 타이트 후렘(90)을 하부에 설치된 샌드위치 패널(80)에 고정하거나, 또는 긴 직결 볼트를 이용하여 지붕 구조체에 체결하는 방법으로 단열성능이 우수한 플라스틱 착고형단열구조체(70)로 인하여 열교현상으로 인한 결로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 착고형단열구조체(70)를 사용함으로써 작업중에 지붕 표면판의 코팅면에 손상을 주지 않으므로 내구성을 장구히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타이트 후렘(90)을 공장에서 장척으로 생산하여 현장에서 플라스틱 착고형단열구조체(70)를 끼워 넣기만 하면 되므로 시공 인원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공기 단축으로 인한 경제적인 이득과 고품질의 시공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지붕 설치용 싱글 패널 조립공사를 신속하고 고품질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하여 공장에서 제작된 타이트 후렘(90)에 착고형단열구조체를 선조립하여 지붕위의 고소에서의 위험한 작업을 최소화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구조적 견고함과 정밀작업에 도움이 된다.
또한, 타이트 후렘(90)을 이용하여 기존 건물의 지붕 형태와 표면의 재질에 관계없이 해체작업을 하지 않고 그 위에 본 발명의 지붕용 싱글 패널을 간편하게 조립하여 개보수 작업을 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덮개판 내표면 형상에 대응하여 감싸지게 굴곡된 형상으로 제작된 강도와 단열성을 지닌 플라스틱 압출 성형체와 하부 받침용 후렘을 결합하여 하부의 샌드위치 패널에 직결볼트를 이용하여 체결하거나 긴 직결 볼트를 이용하여 지붕 구조체에 직접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이를 근거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형과 수정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30 : 표면판 40 : 덮개판
50 : 하부덮개판 60 : 상부덮개판
70 : 착고형단열구조체 80 : 샌드패널
90 : 타이드 후렘

Claims (9)

  1. 폭 방향에 대하여 상부로 돌출되게 굴곡진 형상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덮개판이 하나 이상 형성된 표면판과; 상기 표면판의 하부에 밀착시킨 착고형단열구조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지붕 설치용 착고형 싱글 패널 조립체에 있어서,
    표면판의 중앙에 구비되며, 제 1 경사면과, 1 단턱면과, 제 2 경사면과, 제 1 상부면과, 제 3 경사면과, 제 2 단턱면과, 제 4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덮개판과;
    덮개판의 일측에 구비되며, 제 5 경사면과, 제 3 단턱면과, 제 6 경사면과, 제 2 상부면과, 제 7 경사면과, 제 4 단턱면이 일체로 이루어진 하부덮개판과;
    덮개판의 타측에 구비되며, 제 5 단턱면과, 제 8 경사면과, 제 3 상부면과, 제 9 경사면과, 제 6 단턱면과, 제 10 경사면이 일체로 이루어진 상부덮개판과;
    제 7 단턱면과, 제 11 경사면과, 제 4 상부면과, 제 12 경사면과, 제 8 단턱면이 일체로 이루어진 착고형단열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설치용 착고형 싱글 패널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덮개판은 얇은 강판재로 이루어지고 표면판의 중앙에 상부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표면판의 선단을 상부로 절곡시켜 형성한 제 1 경사면과;
    제 1 경사면의 선단에서 연이어 타측 방향으로 절곡시켜 형성한 제 1 단턱면과;
    제 1 단턱면의 선단에서 일측 방향의 상부로 제1경사면과 같은 각도로 절곡시켜 형성한 제 2 경사면과;
    제 2 경사면의 선단에서 일측의 수평 방향으로 절곡시켜 형성한 제 1 상부면과;
    제 1 상부면의 선단에서 일측 방향의 하부로 절곡시켜 형성한 제 3 경사면과;
    제 3 경사면의 선단에서 타측 방향으로 절곡시켜 형성한 제 2 단턱면과;
    제 2 단턱면의 선단에서 제 3 경사면과 같은 각도로 절곡시켜 형성한 제 4 경사면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설치용 착고형 싱글 패널 조립체.
  3. 제 1항에 있어서,
    하부덮개판은 표면판의 단부에서 상부로 절곡시켜 형성한 제 5 경사면과;
    제 5 경사면의 선단에서 연이어 타측 방향으로 절곡시켜 형성한 제 3 단턱면과;
    제 3 단턱면의 선단에서 일측 방향의 상부로 제 5 경사면과 같은 각도로 절곡시켜 형성한 제 6 경사면과;
    제 6 경사면의 선단에서 일측의 수평 방향으로 절곡시켜 형성한 제 2 상부면과;
    제 2 상부면의 선단에서 일측 방향의 하부로 절곡시켜 형성한 제 7 경사면과;
    제 7 경사면의 선단에서 타측 방향으로 절곡시켜 형성한 제 4 단턱면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설치용 착고형 싱글 패널 조립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부덮개판은 하부덮개판의 제 3 단턱면 하부에 밀착고정되는 제 5 단턱면과;
    제 6 경사면의 상부에 밀착고정되는 제 8 경사면과;
    제 2 상부면의 상부에 밀착고정되는 제 3 상부면과;
    제 7 경사면의 상부에 밀착고정되는 제 9 경사면과;
    제 4 단턱면의 하부에 밀착고정되는 제 6 단턱면과;
    제 6 단턱면의 선단에서 일측 방향의 하부로 절곡시켜 형성한 제 10 경사면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설치용 착고형 싱글 패널 조립체.
  5. 제 1항에 있어서,
    착고형단열구조체는 하부덮개판의 제 3 단턱면의 상부면이 하부에 밀착 고정되는 제 7 단턱면과, 제 6 경사면의 내측면이 상부에 밀착 고정되는 제 11 경사면과, 제 2 상부면의 하부가 상부에 밀착고정되는 제 4 상부면과, 제 7 경사면 내측이 상부에 밀착고정되는 제 12 경사면과, 제 4 단턱면의 상부가 하부에 밀착 고정되는 제 8 단턱면으로 형성된 착고상부재와;
    하부로 착고단열재가 삽입고정되는 착고하부재와;
    열교현상으로 인한 결로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착고단열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설치용 착고형 싱글 패널 조립체.
  6. 제 5항에 있어서,
    하부덮개판 하부에 밀착될 수 있게 압출 가공된 플라스틱 착고형단열구조체의 하부에 오목 장홈을 양측에 가공하고, 타이트 후렘에 걸이부를 형성한 후 걸이부에 밀어넣어 체결하고, 직결볼트를 이용하여 타이트 후렘을 하부에 설치된 샌드위치 패널에 고정하거나, 또는 긴 직결 볼트를 이용하여 지붕 구조체에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설치용 착고형 싱글 패널 조립체.
  7. 제 1항에 있어서,
    착고형단열구조체는 하부덮개판 내측면 형상에 대응하여 감싸지게 굴곡된 형상으로 제작된 단열성능을 갖는 체결 구조체로서 하부의 샌드위치 패널 위에 직결볼트를 이용하여 체결하거나 긴 직결 볼트를 이용하여 지붕 구조체에 직접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설치용 착고형 싱글 패널 조립체.
  8. 제 1항에 있어서,
    착고형단열구조체는 하부덮개판 형상에 대응하여 감싸지게 굴곡된 형상으로 제작된 고강도와 고탄성을 지닌 스테인리스 절곡 성형체에 단열성능을 갖는 알루미늄 단열바를 볼트로 결합한 체결 구조체로서 하부의 샌드위치 패널에 직결볼트를 이용하여 체결하거나 긴 직결 볼트를 이용하여 지붕 구조체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설치용 착고형 싱글 패널 조립체.
  9. 제 1항에 있어서,
    하부덮개판 내표면 형상에 대응하여 감싸지게 굴곡된 형상으로 제작된 강도와 단열성을 지닌 플라스틱 압출 성형체와 하부 받침용 후렘을 결합하여 하부의 샌드위치 패널에 직결볼트를 이용하여 체결하거나 긴 직결 볼트를 이용하여 지붕 구조체에 직접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설치용 착고형 싱글 패널 조립체.
KR1020140139717A 2014-01-29 2014-10-16 지붕 설치용 착고형 싱글 패널 조립체 KR101615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00981 WO2015115839A1 (ko) 2014-01-29 2015-01-29 지붕 설치용 착고형 싱글 패널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11242 2014-01-29
KR1020140011242 2014-0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0818A true KR20150090818A (ko) 2015-08-06
KR101615724B1 KR101615724B1 (ko) 2016-04-27

Family

ID=53885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9717A KR101615724B1 (ko) 2014-01-29 2014-10-16 지붕 설치용 착고형 싱글 패널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57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9955B1 (ko) * 2021-05-28 2021-09-09 (주)삼일아이엔씨 4방향 연결 조립이 용이한 방수 지붕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3883B1 (ko) * 2018-08-21 2019-07-25 주식회사 우진루프패널 내진보강 및 열차단 기능을 갖는 지붕 조립체
KR102003898B1 (ko) * 2018-08-21 2019-07-25 주식회사 우진루프패널 내진보강 및 열차단 기능을 갖는 지붕 조립체의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6200A (ja) * 1995-02-20 1996-09-03 Fujitakenzou Kogyo:Kk 外囲体
JP2007040027A (ja) * 2005-08-04 2007-02-15 Nippon Steel & Sumikin Coated Sheet Corp 屋根
KR101322690B1 (ko) 2013-04-04 2013-10-30 (주)영화 덮개 일체형 볼트레스 외장판넬 구조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6200A (ja) * 1995-02-20 1996-09-03 Fujitakenzou Kogyo:Kk 外囲体
JP2007040027A (ja) * 2005-08-04 2007-02-15 Nippon Steel & Sumikin Coated Sheet Corp 屋根
KR101322690B1 (ko) 2013-04-04 2013-10-30 (주)영화 덮개 일체형 볼트레스 외장판넬 구조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9955B1 (ko) * 2021-05-28 2021-09-09 (주)삼일아이엔씨 4방향 연결 조립이 용이한 방수 지붕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5724B1 (ko) 2016-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60054C (fi) Yttervaegg- eller takbeklaednad
EP2762654B1 (en) Solar light roof panel abutment structure
US20080000176A1 (en) Insulated panel system
US20070022938A1 (en) Rail and panel system for pontoon boat
WO2010113003A1 (en) A system for fixing photovoltaic modula on a covering cope
CN201843253U (zh) 一种加强型复合板
JP5864565B2 (ja) 太陽エネルギーを収集するための設備
KR101303196B1 (ko)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
KR101615724B1 (ko) 지붕 설치용 착고형 싱글 패널 조립체
KR101692286B1 (ko) 강도보강 및 단열 구조를 갖는 커튼월 프레임
KR200481429Y1 (ko) 지붕 패널 구조체
KR20140001072U (ko) 건축용 지붕패널
US20150218826A1 (en) Skylight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CN201273022Y (zh) 保温节能型活动房
JP4955639B2 (ja) 外装材用取付部材、その取付構造、その取付方法、及び外装構造の施工方法
KR101705717B1 (ko) 건축용 외장 패널 시스템 및 이의 설치 방법
KR20170066024A (ko) 철골구조물의 건식 내화피복구조체
KR200443542Y1 (ko) 샌드위치 패널 및 그 접합구조
CN104879053A (zh) 一种装饰百叶
RU212446U1 (ru) Строительная панель для облицовки внешних и внутренних поверхностей зданий
CN212836240U (zh) 新型快拆墙板
CN217481103U (zh) 一种可以实现门窗型材杆件运输的改造结构
JP7193368B2 (ja) 屋根パネル
CN215484262U (zh) 一种保温复合墙板
TWI716248B (zh) 勾卡式固定框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