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2522B1 - 경량형 서까래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구비한 콘크리트 한옥구조물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경량형 서까래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구비한 콘크리트 한옥구조물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2522B1
KR101172522B1 KR1020120028292A KR20120028292A KR101172522B1 KR 101172522 B1 KR101172522 B1 KR 101172522B1 KR 1020120028292 A KR1020120028292 A KR 1020120028292A KR 20120028292 A KR20120028292 A KR 20120028292A KR 101172522 B1 KR101172522 B1 KR 101172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rafter
concrete
lightweight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8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유진
Original Assignee
곽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유진 filed Critical 곽유진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2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2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1/00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 B28B21/02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by casting into moulds
    • B28B21/08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by casting into moulds by slip-casting; Mould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1/00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 B28B21/56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incorporating reinforcements or inserts

Abstract

본 발명은 경량형 서까래에 관한 것으로 내부가 비어 있되 폐쇄된 내부공간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몸체와, 몸체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내부공간과 몸체의 외주면 사이의 몸체 내부에 매설된 보강부와, 몸체 내부에 일 측이 매설되고 타 측은 몸체의 상부로 연장된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량형 서까래에 의하면 철근콘크리트로 건축된 구조물에 부가되어 전통적인 한옥의 분위기를 창출할 수 있으면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처마부에 작용하는 하중을 줄여 콘크리트 한옥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량형 서까래는 기존의 콘크리트 서까래와 다르게 내부가 빈 구조로 형성되므로 중량이 감소할 뿐만 아니라 서까래를 제조하는 데 소요되는 콘크리트의 양을 줄일 수 있어 비용 절감의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경량형 서까래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구비한 콘크리트 한옥구조물의 시공방법{Lightweight rafter and manufaturing method of the lightweight rafter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concrete Korean-style house structure which has the lightweight rafter}
본 발명은 경량형 서까래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구비한 콘크리트 한옥구조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한옥구조물에 사용되는 서까래 및 이의 제조하는 방법 그리고 이를 구비한 콘크리트 한옥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한옥구조물은 기초면에 초석과 함께 기둥을 세우고, 기둥에 보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면서 수장재 등의 설치 및 층도리, 처마도리, 보 등을 결합하여 주골격을 구축하고, 기둥 간에는 상, 하인방, 문, 블럭을 설치하여 벽체를 구축하며, 주골격의 상부에는 서까래, 평고대, 부연, 개판, 용마루 등으로 구성되는 지붕골격을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지붕골격은 용마루에서 경사지는 추녀와, 추녀의 하단부를 잇는 처마도리와 용마루 사이에 서까래를 부채살의 형태로 경사지게 설치한 다음 서까래를 기반으로 기와를 얹어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서까래의 경사진 끝단은 처마도리에서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며, 기와는 서까래의 끝단보다 좀더 길게 설치하여 우기 때에 기와의 표면을 흘러내리는 빗물로부터 서까래와 처마도리를 보호하도록 하였다.
이상과 같은 종래의 한옥구조물은 기둥, 보, 도리 등이 주로 오래된 소나무 목재이므로 자재 조달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재료비가 많이 소요되고, 맞춤법과 이음법에 따라 가구식구조로 시공하기 때문에 목재의 마름질 및 바심질을 하는 작업이 어렵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경비 소요가 많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옥 지붕의 하중을 지지하는 보 및 기둥은 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굽힘 모멘트에 취약한 점이 있어 건축 후 비틀리거나 갈라지는 현상으로 구조적 안정성이 취약하며, 부분적인 하자가 발생하여도 부재 간의 복잡한 결합관계로 인하여 수리가 까다롭고 고비용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근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시공성, 구조적인 안정성 등의 기능을 충족하면서도 한옥구조물의 미려한 외관을 가질 수 있는 방법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에 서까래를 도입한 방식이 제안되었다. 상기와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서까래를 도입하는 방식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서까래를 설치하여 한옥구조물의 분위기를 창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서까래는 목재에 비하여 상당히 무겁고, 일정길이 이상 지붕 측 가장자리로부터 노출되게 설치되므로 서까래의 노출부분이 길어질수록 되므로 콘크리트 한옥구조물의 처마부위에 작용하는 수직하중이 커지게 되어 안정성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며, 이를 위하여 보강공사를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철근콘크리트로 건축된 구조물에 부가되어 전통적인 한옥의 분위기를 창출할 수 있으면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처마부에 작용하는 하중을 줄여 콘크리트 한옥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서까래 및 이의 제조 방법 그리고 이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한옥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경량형 서까래는 내부가 비어 있되 폐쇄된 내부공간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상기 내부공간과 상기 몸체의 외주면 사이의 상기 몸체 내부에 매설된 보강부와, 상기 몸체 내부에 일 측이 매설되고 타 측은 상기 몸체의 상부로 연장된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부는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몸체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다수의 보강부재들과, 상기 보강부재들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설치된 밴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는 일 단이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중 어느 일 측 방향으로 노출되게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경량형 서까래의 제조방법은 내부가 비어 있되 폐쇄된 내부공간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거푸집을 준비하는 제1준비단계와, 상기 제1거푸집이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갖고 상부가 개방된 제2거푸집을 준비하는 제2준비단계와, 상기 제1거푸집을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하는 배치단계와, 상기 제1거푸집과 상기 제2거푸집 사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상기 콘크리트가 상기 제1거푸집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구조를 갖는 몸체를 형성하는 타설 및 양생단계와, 상기 몸체로부터 상기 제2거푸집을 제거하는 제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준비단계와 상기 배치단계 사이에는 일 단이 상기 제1거푸집을 지지하고 타 단은 상기 제1거푸집의 상방으로 연장된 고정부를 설치하는 고정부설치단계와, 상기 제1거푸집의 외측에 상기 제1거푸집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다수의 보강부재들을 원주방향으로 배치하고 밴딩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보강부재들을 원주방향으로 감싸도록 밴딩하며 결속부재를 이용하여 보강부재와 밴딩부재가 만나는 지점 및 상기 고정부와 상기 보강부재가 만나는 지점을 각각 결속하여 상기 제1거푸집의 외측으로 보강부를 설치하는 보강부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치단계는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보강부가 상기 제2거푸집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할 수 있도록 상기 제2거푸집과 상기 고정부 사이에 상기 고정부를 지지하는 이격부재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경량형 서까래를 구비한 콘크리트 한옥구조물의 시공방법은 시공 대상지의 지반을 다지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지반을 형성하는 지반형성단계와, 상기 기초지반에 배근 및 콘크리트 타설하여 벽체를 형성하는 벽체형성단계와, 상기 벽체의 상부에 지붕 슬래브를 형성하도록 지붕골조를 설치하는 지붕골조설치단계와, 상기 지붕골조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서까래를 상호 이격되게 배치하되 상기 각 서까래의 일단이 상기 벽체로부터 돌출되게 상기 보강부 및 상기 고정부를 상기 지붕골조에 결속하는 결속단계와, 상기 서까래의 하부를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서까래의 상부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처마부를 형성하는 처마부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량형 서까래에 의하면 철근콘크리트로 건축된 구조물에 부가되어 전통적인 한옥의 분위기를 창출할 수 있으면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처마부에 작용하는 하중을 줄여 콘크리트 한옥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량형 서까래는 기존의 콘크리트 서까래와 다르게 내부가 빈 구조로 형성되므로 중량이 감소할 뿐만 아니라 서까래를 제조하는 데 소요되는 콘크리트의 양을 줄일 수 있어 비용 절감의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형 서까래를 도시한 부분절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형 서까래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경량형 서까래의 제조공정 중 타설 및 양생단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보강부 및 제1거푸집을 제2거푸집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한옥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콘크리트 한옥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경량형 서까래와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구비한 콘크리트 한옥구조물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형 서까래 및 이의 제조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경량형 서까래(1)는 내부가 비어있고 폐쇄된 내부공간(11)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몸체(10)와, 몸체(1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몸체(10)의 내부공간(11)과 몸체(10)의 외주면 사이의 몸체(10) 내부에 매설된 보강부(20)와, 몸체(10) 내부에 일 측이 매설되고 타 측은 몸체(10)의 상부로 연장된 고정부(30)를 구비한다.
몸체(1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콘크리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내부공간(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부공간(11)은 몸체(10)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밀폐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몸체(10)는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이 사각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이와 다르게 다각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도 있으며, 외주면에는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며 색상을 입히기 위하여 방수성 페인트를 이용한 코팅층이 구비될 수도 있다.
보강부(20)는 내부공간(11)에 의한 몸체(1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몸체(10)의 내부공간(11)과 몸체(10)의 외주면 사이의 영역 즉 몸체(10) 내부에 매설되어 있다.
보강부(20)는 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몸체(10)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며 몸체(10)의 길이방향 중 어느 일 측 방향으로 노출되게 연장된 다수의 보강부재(21)들과, 보강부재(21)들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밴딩부재(22)를 포함한다.
보강부재(21)는 인장 응력에 취약한 콘크리트의 인장력을 보강하기 위하여 콘크리트구조물 내부에 뼈대를 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철근이며, 통상적으로 마디가 있는 이형철근을 적용한다. 본 실시 예에서 보강부재(21)는 내부공간(11)을 중심으로 세 방향에 각각 배치한 구조를 적용하였으나 몸체(10)의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더 많은 수를 배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몸체(10)의 일 측으로 노출된 보강부재(21)의 일 부분은 하기의 경량형 서까래(1)를 구비한 콘크리트 한옥구조물의 시공방법에서 설명하는 지붕 슬래브를 형성하기 위한 지붕골조(80)에 고정되는 부분이다.
밴딩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보강부재(21)들이 몸체(10)의 원주방향을 둘러싸는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보강부재(21)들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의 원주방향을 따라 각 보강부재(21)들의 외측을 감싸면서 몸체(10) 및 보강부재(21)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구조로 설치 및 연장되어 있다.
상기 밴딩부는 통상적으로 건축현장에서 거푸집들 상호를 연결하거나 거푸집과 철근뼈대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반생, 소둔선, 어닐링 철선을 적용할 수 있고, 이와 다르게 보강부재(21)와 같은 이형철근을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의 밴딩부재(22)는 다수의 삼각 형상의 링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고, 이와 다르게 보강부재(21)들의 배치패턴에 따라 다각 형상의 링 구조로 제작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밴딩부재(22)를 삼각 형상의 링 구조로 제작한 경우에는 내측 각 모서리부분에 밀착시키고 보강부재(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하여 결속부재를 통해 보강부재(21)와 밴딩부재(22)가 만나는 각각의 모서리부분에만 결속부재를 체결함으로써 보강부재(21)들의 배치패턴을 유지한 상태로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결속부재는 철근과 철근을 결속하기 위하여 가느다랗고 소정길이를 갖는 철선으로 건축현장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적용한다.
고정부(30)는 몸체(10)의 내부에 일 측이 매설되고 타 측은 몸체(10)의 상부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30)는 후술하는 지붕골조(80)에 고정되는 부분으로 몸체(10)의 길이방향으로 휘어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경량형 서까래(1)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경량형 서까래(1)의 제조방법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비어 있되 폐쇄된 내부공간(41)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거푸집(40)을 준비하는 제1준비단계와, 제1거푸집(40)이 내부에 수용될 수 있게 제1거푸집(40)보다 큰 체적을 갖는 수용공간(51)이 마련되고 상부가 일부 개방형성된 제2거푸집(50)을 준비하는 제2준비단계와, 제1거푸집(40)을 수용공간(51)에 배치하는 배치단계와, 제1거푸집(40)과 제2거푸집(50) 사이로 콘크리트(12)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콘크리트(12)가 제1거푸집(40)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구조를 갖는 몸체(10)를 형성하는 타설 및 양생단계와, 타설 및 양생단계에서 형성된 몸체(10)로부터 제2거푸집(50)을 제거하는 제거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거푸집(40)과 제2거푸집(50)은 내부가 비어 있는 파이프를 적용하되, 상기의 제1거푸집(40)은 파이프 내부의 공간과 외부의 공간을 격리함으로써 후술하는 타설 및 양생단계에서 타설되는 콘크리트(12)가 파이프 내부공간(41)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개방된 양단을 폐쇄하였다. 즉, 제1거푸집(40)은 제2거푸집(50) 내부의 수용공간(51)에 콘크리트(12)가 충진될 수 있는 영역을 제한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경량형 서까래(1)의 내부공간(11)을 형성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 제2거푸집(50)은 제1거푸집(40)보다 큰 내경을 갖고 원주면 일부를 길이방향을 따라 제거한 절개부(52)가 마련되어 있으며, 제1거푸집(40)이 수용공간(51)으로 진입 가능하도록 양단이 개방되어 있다. 상기 절개부(52)는 후술하는 고정부(30)를 몸체(10)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2거푸집(50)은 양단이 모두 개방된 형태의 것을 적용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어느 일 측은 폐쇄형성하고 타 측만 개방형성할 수 있다.
타설 및 양생단계에서는 제2거푸집(50)에 제1거푸집(40)을 진입시킨 후 제1거푸집(40)과 제2거푸집(50) 사이로 콘크리트(12)를 타설할 때 제2거푸집(50)의 양단을 통해 콘크리트(12)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제2거푸집(50)의 양단에 마개(55)를 각각 설치한다. 상기 마개(55) 중 일 측의 마개(55)에는 후술하는 보강부재(21)가 통과할 수 있게 다수의 통과홀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타설 및 양생단계에서 형성된 몸체(10)는 콘크리트(12)가 제1거푸집(40)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구조를 가진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의 타설 및 양생단계에서는 콘트리트(12)를 타설 한 후 콘크리트(12)가 제1거푸집(40)의 외주면을 균일한 두께로 둘러싸는 구조를 갖는 몸체(10)를 형성하도록 제1거푸집(40)의 위치를 제2거푸집(50)의 중심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제거단계는 콘크리트(12)가 경화된 후 마개(55) 및 제2거푸집(50)을 몸체(10)로부터 제거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제2거푸집(50)의 개방된 양단 측으로 몸체(10)를 빼내거나, 제2거푸집(50)의 절개부를 벌려 몸체(10)를 제2거푸집(50)으로부터 빼내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제1준비단계와 배치단계 사이에는 일 단은 제1거푸집(40)을 지지하고 타 단은 몸체(10)를 현수 또는 고정대상체(철근 골조물 등)에 고정할 수 있도록 제1거푸집(40)의 상방으로 연장된 고정부(30)를 설치하는 고정부설치단계와, 몸체(1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제1거푸집(40)의 외측에 제1거푸집(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다수의 보강부재(21)들을 원주방향으로 배치하고, 밴딩부재(22)를 이용하여 보강부재(21)들을 원주방향으로 감싸도록 밴딩하며, 결속부재를 이용하여 보강부재(21)와 밴딩부재(22)가 만나는 지점 및 고정부(30)와 보강부재(21)가 만나는 지점을 각각 결속하여 제1거푸집(40)의 외측으로 보강부(20)를 설치하는 보강부설치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밴딩부재(22) 및 결속부재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형 서까래(1)의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는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고정부설치단계에서는 소정길이를 갖는 철근을 이용하여 제1거푸집(40)의 외측을 감싸도록 절곡하며, 보강부설치단계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부재(21)들을 제1거푸집(40)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보강부재(21)들에 밴딩부재(22)를 설치하여 보강부재(21)들이 배열된 패턴을 유지시킨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1거푸집(40)이 고정부(30)에 의해 지지되고, 고정부(30)가 결속부재에 의해 보강부재(21)들에 결합되며, 보강부재(21)들이 제1거푸집(40)에 대하여 이격되게 배치된 구조를 적용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보강부재(21)를 제1거푸집(40)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배치하고, 고정부(30)를 보강부재(21)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한 구조 즉, 보강부재(21) 및 밴딩부재(22)가 제1거푸집(40)을 지지하고, 고정부(30)가 보강부재(21) 및 밴딩부재(22)를 지지하는 구조도 적용할 수도 있다.
한편, 배치단계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51)에서 보강부(20) 및 제1거푸집(40)이 제2거푸집(50)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게 하고 보강부(20)와 제1거푸집(40)을 제2거푸집(50)의 중심에 근접하게 배치시킬 수 있도록 제2거푸집(50)과 고정부(30) 사이에 고정부(30)를 지지하는 이격부재(60)를 설치하는 위치조정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이격부재(60)는 제2거푸집(50)에 마련된 절개부(52)에 각각 안착될 수 있게 한 쌍의 다리부가 형성되어 있고, 각 다리부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격부재(60)는 보강부(20) 및 제1거푸집(40)을 제2거푸집(50)의 수용공간(51)에서 부양되게 지지한다. 이와 바와 같이 보강부(20) 및 제1거푸집(40)을 수용공간(51)에서 부양시킨 상태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게 되면 보강부(20) 및 제1거푸집(40)이 제2거푸집(50)의 중심으로부터 어느 일 측으로 치우치지 않고 제2거푸집(50)의 중심과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므로 몸체(10)의 두께를 비교적 균일하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몸체(10)의 강성 또한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조된 본 발명의 경량형 서까래(1)를 구비한 콘크리트 한옥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에 대해 도 5 및 6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경량형 서까래(1)를 구비한 콘크리트 한옥구조물의 시공방법은 한옥구조물이 들어설 시공 대상지의 지반을 다지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지반을 형성하는 지반형성단계와, 기초지반에 배근 및 콘크리트 타설하여 벽체(70)를 형성하는 벽체형성단계와, 벽체(70)의 상부에 지붕 슬래브를 형성하도록 지붕골조(80)를 설치하는 지붕골조설치단계와, 지붕골조(80)의 가장자리를 따라 서까래(1)를 상호 이격되게 배치하되 서까래(1)의 일단이 벽체(70)로부터 돌출되게 보강부(20) 및 고정부(30)를 지붕골조(80)에 결속하는 결속단계와, 서까래(1)의 하부를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도록 서까래(1)의 상부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처마부(90)를 형성하는 처마부(90)형성단계를 포함한다.
지반형성단계에서는 시공 대상지를 다지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소정두께의 콘크리트 기초지반을 형성한다. 벽체형성단계는 지반형성단계에서 기초지반에 상방으로 벽체(70)를 세우는 단계로서 배근 및 벽체용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벽체(70)를 형성한다. 상기의 지반형성단계, 벽체형성단계는 철근콘크리트구조물에서 통상적으로 수행되는 과정 및 공지의 구성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지붕골조설치단계는 벽체(70) 상부에 지붕골조(80)를 설치하고, 지붕골조(80)를 둘러싸도록 지붕슬래브용 거푸집을 설치하며,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붕슬래브를 형성한다.
결속단계에서는 도 1 내지 도 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서까래(1)를 지붕골조(80)에 고정하는 단계로서, 몸체(10)의 상부로 연장된 고정부(30) 및 몸체(10)의 일 측 방향으로 연장된 보강부재(21)를 결속부재를 통해 지붕골조(80)에 고정설치한다. 이때, 몸체(10)의 타 측 즉, 보강부재(21)가 연장된 측과 대향하는 측이 벽체(70)의 벽면으로부터 노출되게 고정한다. 그리고 서까래(1)들이 배치되는 방향을 따라 스트립상의 지지부재(100)를 설치하여 몸체(10)의 타 측을 지지한다.
처마부형성단계는 서까래(1)의 하부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서까래(1)의 상부에 처마부용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때 설치되는 처마부용 거푸집은 제1판부(111), 제2판부(112), 외곽판부 및 제3판부(113)을 포함한다. 상기의 제1판부(111)은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지붕 슬래브 측을 향하도록 배치된 서까래(1)들의 상단부 사이의 공간으로 콘크리트가 누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양단이 서까래(1)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가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2판부(50)는 서까래(1)들의 상부에서 콘크리트가 하방으로 낙하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서까래(1)들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판상으로 형성되고 서까래(1)들이 배치된 간격보다 적은 폭을 가지며 서까래(1)의 길이와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다. 제3판부(113)는 지붕 슬래브 측으로부터 먼 방향으로 배치된 서까래(1)들의 하단부 측으로 콘크리트가 누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서까래(1)들의 외측에서 서까래(1)들의 배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며 지지부재(100)에 지지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지붕 슬래브를 미리 형성한 이후에 처마부(90)를 형성하도록 된 것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다르게 지붕골조(80) 및 지붕슬래브용 거푸집을 설치하고 서까래(1) 및 처마부(90)를 형성하기 위한 제1 내지 제3판부(111,112,113)을 설치한 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붕 슬래브와 처마부(90)를 동시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경량형 서까래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구비한 콘크리트 한옥구조물은 도면에 도시된 일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서까래
10 : 몸체
20 : 보강부
21 : 보강부재
22 : 밴딩부재
30 : 고정부
40 : 제1거푸집
41 : 내부공간
50 : 제2거푸집
51 : 수용공간
60 : 이격부재
70 : 벽체
80 : 지붕골조
90 : 처마부
100 : 지지부재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내부가 비어 있되 폐쇄된 내부공간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거푸집을 준비하는 제1준비단계와;
    상기 제1거푸집이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갖고 상부가 개방된 제2거푸집을 준비하는 제2준비단계와;
    상기 제1거푸집을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하는 배치단계와;
    상기 제1거푸집과 상기 제2거푸집 사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상기 콘크리트가 상기 제1거푸집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구조를 갖는 몸체를 형성하는 타설 및 양생단계와;
    상기 몸체로부터 상기 제2거푸집을 제거하는 제거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준비단계와 상기 배치단계 사이에는 일 단이 상기 제1거푸집을 지지하고 타 단은 상기 제1거푸집의 상방으로 연장된 고정부를 설치하는 고정부설치단계와;
    상기 제1거푸집의 외측에 상기 제1거푸집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다수의 보강부재들을 원주방향으로 배치하고, 밴딩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보강부재들을 원주방향으로 감싸도록 밴딩하며, 결속부재를 이용하여 보강부재와 밴딩부재가 만나는 지점 및 상기 고정부와 상기 보강부재가 만나는 지점을 각각 결속하여 상기 제1거푸집의 외측으로 보강부를 설치하는 보강부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형 서까래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단계는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보강부가 상기 제2거푸집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할 수 있도록 상기 제2거푸집과 상기 고정부 사이에 상기 고정부를 지지하는 이격부재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형 서까래의 제조방법.
  6. 삭제
KR1020120028292A 2011-03-17 2012-03-20 경량형 서까래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구비한 콘크리트 한옥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1725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24715 2011-03-17
KR1020110024715 2011-03-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2522B1 true KR101172522B1 (ko) 2012-08-10

Family

ID=46880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8292A KR101172522B1 (ko) 2011-03-17 2012-03-20 경량형 서까래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구비한 콘크리트 한옥구조물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252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6891B1 (ko) 2015-06-12 2015-11-06 라은건설 (주) 한옥 양식의 건축물 시공방법
KR101838166B1 (ko) * 2016-04-19 2018-03-13 주식회사 청어람알앤씨건축사사무소 소방용 서까래 부재 및 그 부재를 갖는 한옥 지붕 구조
KR20180118939A (ko) 2017-04-24 2018-11-01 송창익 전통 건축물용 경량 서까래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80118941A (ko) 2017-04-24 2018-11-01 송창익 전통 건축물용 난연성 경량 서까래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00104753A (ko) * 2019-02-27 2020-09-04 주식회사 한진건설 콘크리트 상부 수평면처리 연목성형거푸집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상부 수평면처리 연목성형거푸집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6891B1 (ko) 2015-06-12 2015-11-06 라은건설 (주) 한옥 양식의 건축물 시공방법
KR101838166B1 (ko) * 2016-04-19 2018-03-13 주식회사 청어람알앤씨건축사사무소 소방용 서까래 부재 및 그 부재를 갖는 한옥 지붕 구조
KR20180118939A (ko) 2017-04-24 2018-11-01 송창익 전통 건축물용 경량 서까래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80118941A (ko) 2017-04-24 2018-11-01 송창익 전통 건축물용 난연성 경량 서까래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00104753A (ko) * 2019-02-27 2020-09-04 주식회사 한진건설 콘크리트 상부 수평면처리 연목성형거푸집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상부 수평면처리 연목성형거푸집
KR102167212B1 (ko) 2019-02-27 2020-10-19 주식회사한진건설 콘크리트 상부 수평면처리 연목성형거푸집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상부 수평면처리 연목성형거푸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8339B2 (en) Prefabricated wall panels
US8863445B2 (en) Reinforced concrete dense column structure systems
US5398472A (en) Fiber-bale composite structural system and method
US20090113820A1 (en) Prefabricated wall panel system
KR101172522B1 (ko) 경량형 서까래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구비한 콘크리트 한옥구조물의 시공방법
EP0454690B1 (en) Prefabricated building foundation element
US20130008114A1 (en) Method and device for strengthening and lightening floor and roof framing
UA82533C2 (uk) Будівництво великопролітних будинків із саморозкріпленням зі складених несучих стінових панелей і перекриттів
US7765755B2 (en) Cement building system and method
WO2014153066A1 (en) Modular concrete form panel
JP5496732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建築物の構築方法
US4144685A (en) Building construction
WO2011127522A1 (en) A method of forming a structural element and a method of building a structure
KR101459003B1 (ko) 무량판 원-웨이 구조식 와이드 거더
WO2010130433A1 (en) Foundation for metalog buildings
KR102149662B1 (ko) 피씨 슬래브를 이용한 건축물의 전이층 시공방법
RU2507347C2 (ru) Строитель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с вертикальными стенами, содержащими термопластичный полимер
US20120047835A1 (en) Wall racks, tracks, and roller for making prefabricated wall panels
EP2402525A1 (en) Method for erecting a building having a cast-in-place frame and decorative outer finish
KR101411514B1 (ko) 전통한식 sbr 구조보 서까래, 상기 서까래 제조방법 및 상기 서까래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715341B1 (ko) 지붕창이 구비된 건축구조물
ITMI20061233A1 (it) Abitazione di tipo prefabbricato e trasportabile
CN109339328B (zh) 一种空腔型屋檐结构及其施工方法
KR100992038B1 (ko) 콘크리트 충진형 건축부재
JPS5953977B2 (ja) 柱の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