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7504A - 루프 매트 - Google Patents

루프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7504A
KR20210117504A KR1020200033785A KR20200033785A KR20210117504A KR 20210117504 A KR20210117504 A KR 20210117504A KR 1020200033785 A KR1020200033785 A KR 1020200033785A KR 20200033785 A KR20200033785 A KR 20200033785A KR 20210117504 A KR20210117504 A KR 202101175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mat
loop
seated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3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8407B1 (ko
Inventor
임대호
Original Assignee
임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대호 filed Critical 임대호
Priority to KR1020200033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8407B1/ko
Publication of KR20210117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7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8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8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9/00Roof covering by using straw, thatch, or like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팔각정, 모정, 초정의 루프 상면에 안착되게 설치되어 상기 루프를 보호하고외관을 수려하게 하는 루프 매트로서, 상기 루프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이 되도록 천연 재료를 이용하여 일정한 패턴으로 엮어서 형성하며 상기 루프의 상면에 안착되게 설치되는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매트를 제시함으로써, 친환경적인 천연재료를 사용하여 루프 매트를 제작함으로써 환경을 보호하고 폐기물의 양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비용이 저렴하고 설치가 용이하도록 함과 아울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외관을 수려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루프 매트{ROOF MAT}
본 발명은 환경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루프 매트에 관한 것이다.
정자는 자연경관을 감상하면서 휴식을 취하거나 사색의 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주변 경관이 좋은 곳, 예를 들어 산의 정상 부근 등 높은 곳이나 강가 등 멀리까지 경치가 내다보이는 곳에 지어지는 한국의 전통 목조 건축물이다.
정자는 주거 공간이라기보다는 풍류와 수양의 공간으로 인식되고 활용되었기 때문에 주변 산세 등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미관을 형성하도록 설계되고 건축되었다.
이에 따라 정자는 한국의 산세와 어울리는 곡선미를 제공하는 기와지붕을 갖는 구조로 건축되는데, 정자의 지붕에 기와를 얹기 위해서는, 먼저 시공하려는 정자의 형태에 따라 주춧돌을 사각형, 육각형 또는 팔각형의 형상으로 배열한다. 이는 각각 추후 사모지붕, 육모지붕, 팔모지붕의 형태로 발전하게 된다.
주춧돌 위에 목재 기둥을 세운 후에, 인접한 기둥들의 상부를 처마도리로 연결하고, 필요한 경우 지붕을 가로지르는 대들보를 기둥과 기둥 사이에 설치한다.(마루 시공과정은 생략)
이어서 처마끝단과 지붕중심부를 잇는 추녀를 각 기둥마다 하나씩 설치하고, 인접한 추녀 사이에 평고대를 건너지른 다음, 평고대에 맞춰 서까래를 걸어 나간다. 한국 전통 건축에서는 이러한 형태의 지붕, 즉 용마루 없이 하나의 꼭짓점에서 추녀가 형성하는 지붕골들이 만나는 지붕의 형태를 모임지붕이라고 한다.
서까래 위에 개판을 깔고, 처마 끝단에 연함을 설치한 다음, 상기 개판 위에 기와를 차곡차곡 얹으면 정자의 지붕이 완성된다.
이러한 형태로 건축된 정자 지붕의 자세한 구조와 그 시공방법은 등록특허 제10-1113991호(20120305 공고) '정자지붕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특허에도 개시된 바와 같이, 이처럼 정자의 모임지붕을 시공할 때에는 서까래의 상단부를 쐐기모양으로 미리 깎아둬야만 추녀와 평고대 설치 후에 서까래 설치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서까래 상단부 가공작업은 상당한 시간을 소요하게 하는 것으로서 전반적인 작업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정자는 목조 건축물이므로 사전에 가공한 서까래의 가공 상태가 항상 일정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고, 서까래 가공은 일정하게 되더라도 추녀 사이의 간격이 오차범위를 벗어나게 시공될 수도 있는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서까래들이 추녀 사이에 딱 들어맞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현장에서 서까래를 추가로 가공해야할 것이므로, 더더욱 작업 진행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친환경적인 천연재료를 사용하여 루프 매트를 제작함으로써 환경을 보호하고 폐기물의 양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비용이 저렴하고 설치가 용이하도록 함과 아울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외관을 수려하게 할 수 있는 루프 매트를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팔각정, 모정, 초정의 루프 상면에 안착되게 설치되어 상기 루프를 보호하고외관을 수려하게 하는 루프 매트로서, 상기 루프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이 되도록 천연 재료를 이용하여 일정한 패턴으로 엮어서 형성하며 상기 루프의 상면에 안착되게 설치되는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매트를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를 형성하는 상기 천연 재료는 코코아 열매에서 추출한 화이바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는 상기 루프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전체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 상면의 복수의 개소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가 상기 루프로부터 임의로 분리됨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몸체는 전체가 복수의 조각으로 분리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몸체의 상면에 안착되는 바 형상의 바형부재와, 상기 바형부재와 상기 몸체를 관통하여 상기 팔각정, 모정, 초정에 고정되는 체결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바형부재는 천연목재,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스크류 볼트, 못, 타카못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복수의 조각으로 분리되게 형성된 상기 몸체 단부에는 별도의 걸림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친환경적인 천연재료를 사용하여 루프 매트를 제작함으로써 환경을 보호하고 폐기물의 양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비용이 저렴하고 설치가 용이하도록 함과 아울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외관을 수려하게 할 수 있는 루프 매트를 제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프 매트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루프 매트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프 매트가 팔각정에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사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루프 매트가 팔각정에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프 매트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루프 매트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프 매트가 팔각정에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사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루프 매트가 팔각정에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프 매트는, 팔각정, 모정, 초정의 루프 상면에 안착되게 설치되어 상기 루프를 보호하고 외관을 수려하게 하는 루프 매트로서, 상기 루프(1)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이 되도록 천연 재료를 이용하여 일정한 패턴으로 엮어서 형성하며 상기 루프(1)의 상면에 안착되게 설치되는 몸체(1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몸체(100)는 천연 재료를 이용하여 일정한 패턴으로 엮어서 루프(1)의 상면과 동일한 형상이 되도록 형성한 부재로서, 루프(1)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로 설치됨으로써 루프(1)의 상면을 보호함과 동시에 팔각정, 모정, 초정의 외관이 수려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몸체(100)를 형성하는 상기 천연 재료는 코코아 열매에서 추출한 화이바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화이바를 이용하여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교차시켜 직조함으로써 루프(1)의 상면과 동일한 형상이 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몸체(100)는 루프(1)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전체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00)는 전체가 복수의 조각으로 분리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몸체(100) 전체가 일체로 형성된 경우에 중앙 영역에는 루프(1)의 중앙에 돌출되게 형성된 꼭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절개공(110)이 절개 형성되며, 전체가 조각으로 분리되게 형성된 경우에도 상기 꼭지와 간섭되지 않도록 단부 일부가 절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몸체(100)가 일체로 형성된 경우에는 후술할 이탈방지부(200)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더라도 몸체(100) 자체의 중량으로 팔각정, 초정, 모정의 루프(1)에 안착된 상태가 유지되지만, 몸체(100)가 복수의 조각으로 분리되게 형성된 경우에는 몸체(100)가 루프(1)에 안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필수적으로 이탈방지부(200)가 설치되어야 할 것이다.
이탈방지부(200)가 설치되지 않더라도 복수의 조각으로 분리되게 형성된 몸체(100)가 루프(1)에 안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단부의 절개된 영역에 몸체(100)와 동일한 천연재질로 형성된 걸림고리(120)와 같은 부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탈방지부(200)는 몸체(100)가 루프(1)에 안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뿐만 아니라, 루프(1)로부터 몸체(100)가 임의로 분리됨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데, 이를 위하여 이탈방지부(200)는 몸체(100) 상면의 복수의 개소에 설치되도록 한다.
이탈방지부(200)는 몸체(100)의 상면에 안착되는 바 형상의 바형부재(210)와, 바형부재(210)와 몸체(100)를 관통하여 상기 팔각정, 모정, 초정에 고정되는 체결부재(220)로 구성될 수 있다.
팔각정이나 사각정과 같은 다각 형상으로 형성된 정자의 루프(1) 상면에 설치되는 이탈방지부(200)의 바형부재(210)는 루프(1)가 삼각 형상의 결합으로 이루어짐을 감안할 때, 상면의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어 전체적으로 삼각 형상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모정이나 초정과 같은 굴곡진 형상으로 형성된 정자의 루프(1) 상면에 설치되는 이탈방지부(200)의 바형부재(210)는 루프(1)가 굴곡진 형상으로 형성됨을 감안할 때, 둘레 방향을 따라서는 평탄하게 형성되고 높이 방향을 따라서는 굴곡지게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바형부재(210)는 천연목재,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체결부재(220)는 스크류 볼트, 못, 타카못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어 바형부재(210)와 몸체(100)를 관통하여 루프(1)에 체결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루프 매트를 팔각정, 모정, 초정에 설치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코코아 열매에서 추출한 화이바와 같은 천연 재료를 이용하여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엮어서 몸체(100)를 형성하게 되는데, 몸체(100)는 루프(1)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 및 면적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100) 전체가 일체로 형성된 경우에는 몸체(100)의 중앙에 절개공(110)이 형성되도록 하여 루프(1)에 돌출되게 형성된 꼭지가 절개공(110)을 통하여 몸체(10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몸체(100)가 복수의 조각으로 분리되게 형성된 경우에는 루프(1)에 몸체(100)를 설치시에 상기 꼭지와 간섭되지 않도록 단부 일부가 절개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100)의 형성이 완료되면 몸체(100)가 루프(1)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설치한 후에 몸체(100)가 루프(1)에서부터 임의로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탈방지부(200)를 설치하게 된다.
이탈방지부(200)를 설치시에는 바형 부재(210)가 몸체(100) 상면의 복수의 개소에 안착되도록 한 후에 바형 부재(210)가 고정되도록 스크류 볼트, 못, 타카못과 같은 체결부재(220)가 바형 부재(210)와 몸체(100)를 관통하여 체결부재(220)의 단부가 루프(1)에 체결되도록 한다.
여기서, 바형 부재(210)를 몸체(100)의 상면에 안착시에 팔각정이나 사각정과 같이 루프(1)의 형상이 삼각 형상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바형 부재(210)를 삼각 형상으로 배치하여 체결부재(220)를 체결하게 된다.
그리고, 바형 부재(210)를 몸체(100)의 상면에 안착시에 모정이나 초정과 같이 루프(1)의 형상이 굴곡진 형상일 경우에는 바형 부재(210)를 부채꼴 형상으로 배치하여 체결부재(220)를 체결함으로써 루프 매트의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루프 매트는 친환경적인 천연재료를 사용하여 루프 매트를 제작함으로써 환경을 보호하고 폐기물의 양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비용이 저렴하고 설치가 용이하도록 함과 아울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외관을 수려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루프 100 : 몸체
110 : 절개공 200 : 이탈방지부
210 : 바형 부재 220 : 체결 부재

Claims (8)

  1. 팔각정, 모정, 초정의 루프 상면에 안착되게 설치되어 상기 루프를 보호하고외관을 수려하게 하는 루프 매트로서,
    상기 루프(1)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이 되도록 천연 재료를 이용하여 일정한 패턴으로 엮어서 형성하며 상기 루프의 상면에 안착되게 설치되는 몸체(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를 형성하는 상기 천연 재료는 코코아 열매에서 추출한 화이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매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는 상기 루프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전체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매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 상면의 복수의 개소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100)가 상기 루프(1)로부터 임의로 분리됨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20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매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는 전체가 복수의 조각으로 분리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매트.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200)는 상기 몸체의 상면에 안착되는 바 형상의 바형부재(210)와, 상기 바형부재(210)와 상기 몸체를 관통하여 상기 팔각정, 모정, 초정에 고정되는 체결부재(2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매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형부재(210)는 천연목재,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220)는 스크류 볼트, 못, 타카못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매트.
  8. 제5항에 있어서,
    복수의 조각으로 분리되게 형성된 상기 몸체(100) 단부에는 별도의 걸림고리(1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매트.
KR1020200033785A 2020-03-19 2020-03-19 루프 매트 KR102378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785A KR102378407B1 (ko) 2020-03-19 2020-03-19 루프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785A KR102378407B1 (ko) 2020-03-19 2020-03-19 루프 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7504A true KR20210117504A (ko) 2021-09-29
KR102378407B1 KR102378407B1 (ko) 2022-03-23

Family

ID=77924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3785A KR102378407B1 (ko) 2020-03-19 2020-03-19 루프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840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564B1 (ko) * 2013-02-08 2013-06-03 진도산업 주식회사 조립식 정자
KR20150039945A (ko) * 2013-10-04 2015-04-14 주식회사 와이제이조경산업 정자의 금속연결구체
KR101520465B1 (ko) * 2015-01-08 2015-05-18 윤봉구 이동식 원두막
KR101610669B1 (ko) * 2015-02-24 2016-04-08 (주)경구 조립식 파라솔
KR101792688B1 (ko) * 2016-12-13 2017-11-20 (주)경구 독립하중의 바닥 지지유닛 및 이를 구비한 조립식 원두막 파라솔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564B1 (ko) * 2013-02-08 2013-06-03 진도산업 주식회사 조립식 정자
KR20150039945A (ko) * 2013-10-04 2015-04-14 주식회사 와이제이조경산업 정자의 금속연결구체
KR101520465B1 (ko) * 2015-01-08 2015-05-18 윤봉구 이동식 원두막
KR101610669B1 (ko) * 2015-02-24 2016-04-08 (주)경구 조립식 파라솔
KR101792688B1 (ko) * 2016-12-13 2017-11-20 (주)경구 독립하중의 바닥 지지유닛 및 이를 구비한 조립식 원두막 파라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8407B1 (ko) 2022-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90162A (en) Building construction
US6662517B1 (en) Retrofit hurricane-earthquake clip
AU757709B2 (en) Modular element for crawl spaces and floor structures
US7665251B1 (en) Structural steel framed houses with gable end frames, intermediate frames, and wall and roof panels having perimeters of C-shaped steel channels
JP2022079556A (ja) 建物
KR102378407B1 (ko) 루프 매트
KR100967300B1 (ko) 철근콘크리트구조와 전통한식목구조가 혼용된 한옥 및 이의 건축방법
WO2014009702A1 (en) Pitched roof structures and their methods of assembly and construction
KR101014591B1 (ko) 휘어진 원목으로 형성한 기둥과 들보로 축조하는 이동식 목조건축물 및 축조방법
KR101896358B1 (ko) 시공성이 향상된 서까래 고정구조를 포함하는 정자의 경량 기와용 지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120011580A (ko) 한옥의 지붕구조
KR101912098B1 (ko) 시공성이 향상된 서까래 고정구조를 포함하는 정자의 중량 기와용 지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114477B1 (ko) 기둥의 내구성 향상과 처마도리 조립성 향상을 위해 상하방 복합결합구조를 구비한 기둥머리를 포함하는 처마도리 조립구조
KR102389585B1 (ko) 내진 및 경량 구조를 갖는 한옥지붕 기와
JP3850714B2 (ja) 金具装置及びこれを使用した土木・建築構造体
KR101580133B1 (ko) 한옥의 지붕슬래브 서까래 고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조립식 한옥지붕
US7581358B2 (en) Roof construction
US20230258009A1 (en) Temporary building enclosure
AU2008100223A4 (en) Mobile shelter for construction work
KR100976970B1 (ko) 한옥(韓屋)의 기와지붕 구조 시공방법
Zámolyi Change of shape, size and form related to traditional and new materials in Atoni buildings in Central Timor: A comparison of the region near Nikiniki, Soe and Kefamenanu
KR100979060B1 (ko) 2중바닥구조의 한옥지붕 결구(結構)방법
Berežanskytė et al. The traditional sacral wooden construction in Lithuania between XVIII and XIX century
JP7044470B2 (ja) 建物
KR20100001755A (ko) 한옥 양식의 역사관 건축구조 및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