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4591B1 - 휘어진 원목으로 형성한 기둥과 들보로 축조하는 이동식 목조건축물 및 축조방법 - Google Patents

휘어진 원목으로 형성한 기둥과 들보로 축조하는 이동식 목조건축물 및 축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4591B1
KR101014591B1 KR1020100075139A KR20100075139A KR101014591B1 KR 101014591 B1 KR101014591 B1 KR 101014591B1 KR 1020100075139 A KR1020100075139 A KR 1020100075139A KR 20100075139 A KR20100075139 A KR 20100075139A KR 101014591 B1 KR101014591 B1 KR 101014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groove
horizontal
long axis
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5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구용
고미혜
Original Assignee
고미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미혜 filed Critical 고미혜
Priority to KR1020100075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45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4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4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04B1/2604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2001/0053Build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layout grid
    • E04B2001/0084Buildings with non right-angled horizontal layout grid, e.g. triangular or hexagonal
    • E04B2001/0092Small buildings with hexagonal or similar horizontal cross-s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04B1/2604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2001/262Connection node with interlocking of specially shaped wooden members, e.g. puzzle type conn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휘어진 원목으로 형성한 기둥과 들보로 축조하는 이동식 목조건축물 및 축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평면상 네 개의 기둥이 세워지고 네 개의 기둥 공간 하부에 프레임들이 연결되고 마루판자가 프레임들에 이어지게 결합되어 마루를 형성하고, 마루 위에는 난간대가 설치되고 기둥 상단면에는 사방으로 도리와 얹혀져서 들보와 석가래가 차례로 얹혀지며, 슁글 또는 기와로 지붕이 마감되는 목조건축물에 있어서, 지면으로부터 적정한 높이에는 평단면상 1/4 원의 분량을 파내어진 프레임홈이 형성되고, 수직방향 상단부에서부터 하단부에 이르기까지 곡선형으로 점차 휘어지서 상단부가 ㄷ자형마루의 중심을 향하여 2° ~ 3°기울어지게 가둥이 설치되고, 상기의 프레임홈에는 양쪽 단부에 직각턱이 형성되고 일측의 수직 상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면에 적정한 간격을 두고 수평장홈이 길게 형성된 장축횡프레임과, 양쪽 단면에는 직각턱을 형성하나 일측면 길이방향에는 일단부로부터 적정한 간격을 두고 전면과 상면이 개방된 수직홈과 이 수직홈으로부터 연장된 수평장홈을 가진 장축종프레임을 형성하며, 또 일단부에는 직각턱이 형성되나 타단부에는 깍지끼움 ㄷ자형결합홈이 형성된 정면프레임과, 일측 길이방향 상면에는 상기의 장축횡프레임에 형성한 수평장홈과 일치하는 길이방향으로 수평장홈이 형성되고, 이 수평장홈의 선단부에는 일단부로부터 적정한 간격을 두고 마무리판자 너비와 일치하는 마루판입구를 가진 단축횡프레임을 형성하며, 또한, 상기의 장축종프레임에 형성된 수평장홈과 적정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일치하는 수평장홈이 형성되고 이 수평장홈 선단부에는 단축횡프레임의 수직홈에 끼워지는 간격을 감안한 지점부터 마무리판자의 너비와 일치하는 마루판입구를 가진 단축종프레임을 형성하여, 상기 장축횡프레임과 장축종프레임의 직각턱을 맞물려지도록 프레임홈에 끼우는 한편, 상기 맞물려 끼워진 장축종프레임의 반대쪽 직각턱은, 정면프레임의 직각턱과 맞물려져서 정면 양쪽의 기둥에 형성된 프레임홈에 끼움으로, 상기 장축횡프레임, 장축종프레임, 정면프레임이 평면상 네 개의 기둥과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의 단축횡프레임과 단축종프레임은, 수평장홈이 장축횡프레임의 수평장홈과 마주보는 상태로 양쪽 단부를 장축종프레임의 수직홈에 끼워서 결합하며, 또 단축종프레임은 수평장홈이 장축종프레임의 수평장홈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일측단부는 단축횡프레임의 수직홈에 끼워지고 그 타단부에 형성된 ㄷ자형결합홈은, 상기 정면프레임홈에 형성된 ㄷ자형결합홈에 깍지끼움 형태로 결합하며, 너비와 길이가 동일하고 양쪽 단부에는 단턱 형상의 슬라이드를 가진 수 개의 슬라이드판자를 형성하여, 상기의 마루판입구를 통하여 수평장홈에 차례대로 밀착되도록 삽입한 후, 일단부에는 단턱 형상의 슬라이드가 형성되고 타단부는 직각단면을 가진 마무리판자를 형성하여 마루판입구를 봉합(폐쇄)하며, 도리 상면 중앙에 이음이 없고 가공하지 않은 자연상태의 아치형 들보가 포함되어 축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휘어진 원목으로 형성한 기둥과 들보로 축조하는 이동식 목조건축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휘어진 원목으로 형성한 기둥과 들보로 축조하는 이동식 목조건축물을 축조하는 방법으로서, 1조(채) 이상의 이동식 목조건축물을 축조할 수 있는 면적으로서 적어도 가로세로 5m × 7m 이상 되며 도면을 표시할 수 있도록 표면이 고른 콘크리트 바닥 또는 콘크리트 면에 에폭시 등의 페인팅이 코팅된 바닥면이 구비된 이동식 목조건축물을 축조하는 장소를 준비하는 단계; 축조장소 바닥면에 축조할 목조건축물의 평면 규격과 일치하는 기둥중심기준점과 프레임네모서리기준점과 프레임바깥사면기준선과 도리네모서리기준점과 도리바깥사면기준선과 처마네모서리기준점과 처마바깥사면기준선과 각도확인선과 중심교차점을 나타내는 평면상태의 축조도면을 상기의 바닥면에 표시하는 단계; 축조도면에 표시된 기둥중심기준점에 기둥을 가설하는 단계와; 기둥중심기준점과 프레임네모서리기준점과 프레임바깥사면기준선에, 기둥과 사면의 장축횡프레임과 장축종프레임과 정면프레임이 정상적인 각도로 설치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수정하는 단계; 슬라이드판자를 모두 결합한 후, 마무리판자로 마루결합작업을 마무리하여 ㄷ자형마루의 축조를 완성하는 단계; 기둥 상단부에 우물정자 형태로 도리를 설치한 후, 도리의 직각모서리가 바닥면에 표시된 축조도면의 도리네모서리기준점 및 도리바깥사면기준선에 일치하는 지를 확인하고 수정하는 단계; 나무껍질을 벗겨내고 옹이를 다듬은 자연 상태의 아치형 원목 들보의 볼록한 형태가 상향하도록 도리 상면에 설치하는 단계; 상량과 석가래와 처마도리를 차례로 설치한 후, 처마의 네 곳 모서리와 처마의 바깥 사면이, 바닥면에 표시된 축조도면의 처마네모서리기준점 및 처마바깥사면기준선에 일치하는지 실에 매달은 추를 내려서 확인하는 단계를 거쳐서, 이음이 없고 가공하지 않은 휘어진 원목으로 형성한 기둥과 들보로 축조하는 이동식 목조건축물 축조방법이 제공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휘어진 원목으로 형성한 기둥과 들보로 축조하는 이동식 목조건축물 및 축조방법{The movable type wooden building which builds with the pillar and the cross-beam which forms with the log which comes to bend and building method}
본 발명은 휘어진 원목으로 형성한 기둥과 들보로 축조하는 이동식 목조건축물 및 축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벌목이나 수해 등으로 버려지는 목재를 반 이동식 목조건축물에 사용함으로써, 자원낭비 및 수해 등의 재해를 예방과 또 환경과 자연을 보호하며, 동시에 자연원목을 사용함으로써 자연원목의 미려함과 높은 강도의 이동식 목조건축물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이동식 목조건축물의 새로운 조립구조와 축조방법이 제공되는 휘어진 원목으로 형성한 기둥과 들보를 축조하는 이동식 목조건축물 및 축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목재를 이용하여 주거를 목적으로 하는 전통 건축물의 축조 방법은 매우 복잡하여 축조기간이 많이 소요되지만, 축조된 목조건축물은 여름에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하며 외형적으로 매우 아름다운 특징이 있다.
이러한 전통방식의 목조 건축물은 고궁에서 그 특징을 찾아볼 수 있지만, 보존이 잘되고 있는 전통한옥이나 사찰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목조건축물은 주거를 목적으로 하는 건축물이 있지만 최근에 들어와서는 문화수준이 높아지면서 주거 목적에서 떠나 휴게실 개념의 이동식 목조건축물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알려진 이동식 목조건축물의 축조방법은 정형화한 도면에 따라 잘 다듬어진 목재를 사용해서 축조하기 때문에 목조건축물 축조에 큰 어려움은 없으나, 이와 같은 이동식 목조건축물은 기대하는 만큼 견고한 이동식 목조건축물을 제공할 수 없으므로, 축조 후 이동식 목조건축물을 이동 설치하는 과정에서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 되고 있으며 또한, 잘 가공된 목재로 축조된 이동식 목조건축물은 고가이기 때문에 널리 보급할 수 없는 문제가 있고, 특히 지금까지 알려진 이동식 목조건축물은, 마루프레임의 길이방향 상면에 적정깊이의 단 턱 홈을 형성한 후, 마루판자를 얹어서 마루판자에 직접 못을 박아서 고정하거나, 혹은 마루판자 양쪽 단면을 단 턱 내지는 요철 형성한 후, 마루프레임 단 턱 홈에 연접시켜서 끼운 다음, 길게 가공한 목재 몰딩 또는 금속 몰딩을 단 턱 내지는 요철에 일치시키고 못 또는 나사못으로 고정하는 방법을 사용해 왔기 때문에, 목조건축물 축조 후 오래되지 않아서 못에 녹이 슬고 부식되는 문제가 발생하며 마루판자에 뒤틀림 등의 변형 문제가 발생하면서 마루판 이곳저곳이 돌출되어 수시로 보수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 사실이다.
그뿐만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정자를 비롯하여 이동식 목조건축물은, 평면상 사방(삭각)형, 육방(육각)형, 팔방(팔각)형 전체면에 마루판자가 깔려지는 구조여서 정자에 올라앉으려면 반드시 신발을 벗고 올라가야 하고 그렇기 때문에, 신발끈이 많은 신발을 신고 있는 사람과 신발을 벗지 않는 문화를 가진 외국 관광객들에게는 사용이 매우 불편한 것이 사실이다.
또한, 목조건축물 축조에 필요한 목재를 얻기 위해서는 벌목이 불가피해지는 것이 사실이고 이러한 벌목 문제는 가뜩이나 심각한 자연을 크게 훼손시켜서 사막화 되어가고 있는 지구를 더욱 사막화를 가속화시키는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을 뿐 아니라, 산사태를 가중시키는 심각한 원인이 되고 있다.
한편, 병충해가 발생한 산에서는 그 병충해를 제거하고 다른 곳으로 더 번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서 벌목을 하고 또한 나무가 지나치게 밀집한 산에서는 산불 예방과 적정한 밀집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벌목하게 되는데, 이때에 벌목된 나무들은 상태가 좋은 곧은 나무들만 골라서 사용될 뿐, 구부러진 나무들은 재목으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대부분은 산에 버려지거나 방치되어 폭우가 쏟아지는 경우에는 심각한 산사태와 홍수를 발생시키고 원인이 되고 있을 뿐 아니라 산불이 발생한 경우에는 불 쏘시게 역할을 하여 산불을 더욱 확대시키는 문제가 발생 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병충해 제거 및 이 병충해가 번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서 벌목된 나무들 또한 지나치게 밀집한 지역에서 산불 예방 및 적정한 밀집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벌목된 나무들 중에서 구부러져서 버려지는 나무들을 수집하여 이동식 목조건축물의 기둥과 들보로 사용함으로써, 버려진 나무들로 발생하는 산사태 및 홍수를 예방하는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가공된 양질의 목재로 이동식 목조건축물을 축조하기 위해서 벌목하는 문제로 발생하는 자연훼손을 예방하는 동시에 저렴하게 널리 보급할 수 있는 이동식 목조건축물을 제공하는 목적과, 축조기간을 단축하고 비용을 절감하며 파손이나 훼손이 발생할 경우 쉽고 빠르게 보수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면 수평이 양호하고 표면이 매끈한 콘크리트 바닥을 양생한 지정된 장소를 구축한 바닥면에 축조할 목조건축물의 평면 상태의 도면을 선으로 표시한 후, 표시된 위치에 따라 순차적으로 기둥을 세우고 프레임을 설치하고 마루를 앉히며 난간과 지붕을 얹는 순으로 견고하게 완성된 이동식 목조건축물을 축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사방(사각)형, 육방(육각)형, 팔방(팔각)형 이동식 목조건축물 전체 바닥면에 마루를 형성하지 않고, 신발을 벗지 않고 벤치(bench)에 앉듯이 자유롭게 걸터앉을 수 있도록 마루의 입구로부터 중앙 일부를 공간 처리하여 신발을 벗지 않고 앉을 수 있게 되는 벤치형 마루 바닥을 제공하는 특징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공되는 본 발명은 바닥면으로부터 적정한 높이에 기둥을 깊이 파서 각 방향의 프레임들을 직각방향으로 결속하는 특징과, 또 각 방향의 프레임에는 수평장홈을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몰딩이나 못을 사용하지 않고도 슬라이드판자(마루판)가 변형 없이 견고한 상태를 반 영구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으며, 특히 단축종프레임과 정면프레임이 직각연결된 정면 양쪽의 직각부 저면에 별도의 받침기둥을 설치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삭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지면으로부터 적정한 높이에는 프레임홈과 난간설치홈이 적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위에서부터 아래까지 길이방향으로 2°~ 3°의 기울기로 휘어진 자연목 기둥과; 양쪽 단부에는 평면상 직각방향으로 장축종프레임이 맞물려 지도록 직각턱이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일측 상면에는 수평장홈을 가진 한 개의 장축횡프레임과; 한쪽 단부는 상기의 장축횡프레임에 형성한 직각턱과 직각방향으로 맞물리고 다른 한쪽 단부는 정면프레임의 한쪽 단부와 직각방향으로 맞물려지는 직각턱이 형성되며 길이방향의 일측면에는 한쪽 끝으로부터 적정한 거리에 개방형태의 수직홈이 형성되는 한편 길이방향으로 수평장홈을 가진 장축종프레임과; 또 길이방향 일측 상면에는 슬라이드판자가 연접상태로 슬라이드 결합되는 수평장홈이 형성되는 한편 이 수평장홈의 일단부 연장선상에는 마루판 기능의 슬라이드판자를 밀어 넣은 후 마무리판자로 슬라이드판자 조립을 마감 폐쇄하는 마루판입구를 형성하며 상기의 수평장홈 뒷면에는 양쪽 단부로부터 적정한 거리에 단축종프레임이 결합되는 개방형태의 수직홈을 가진 단축횡프레임과; 또한, 일측 상면의 길이방향에는 상기 장축종프레임에 가진 수평장홈과 대향하여 슬라이드판자가 슬라이드 수평상태로 연접(連接)되는 수평장홈이 형성되고 이 수평장홈 일단부에는 슬라이드판자가 전부 밀어 넣어진 후 마무리판자로 마감 폐쇄하는 마루판입구가 형성되며 또 한쪽 단부에는 정면프레임 일단부와 깎지 결합 되는 ㄷ자형결합홈을 가진 단축종프레임과; 상기의 장축종프레임 및 단축종프레임 끝에 결합 되는 ㄷ자형결합홈과 직각턱을 가진 정면프레임과; 상기 각각의 프레임들에 형성된 수평장홈에 끼워져서 슬라이드를 돕는 단 턱 형태의 슬라이드를 가진 수 개의 슬라이드판자와; 일 측 단면은 직각단면을 형성하고 다른 일 측은 단 턱 형태의 슬라이드가 형성되어 슬라이드판자 조립공정을 마무리하도록 마루판입구를 폐쇄하는 마무리 마루판자와; 양쪽 끝의 안쪽 모서리는 직각면으로 형성하고 바깥모서리는 사선방향으로 잘라내거나 곡선형으로 형성한 난간대와; 기둥 상단에 얹혀져서 평면상 우물정자 모양으로 결합되는 도리와; 지붕하중을 떠받칠 수 있도록 이음새 없이 아치형성된 들보와; 길이 방향으로 지붕 중심이 되는 상량과; 일정한 간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석가래와; 석가래 위를 덮어서 평면을 형성하는 지붕판자와; 공중으로부터 습기가 차단되고 한기와 열기가 차단되는 루프시트와; 단위 규격의 지붕마감재(기와, 노와, 싱글 등)를 포함하여 축조된 이동식 목조건축물을 제공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목조건축물은, 폭과 길이가 6m × 10m 이상 되는 면적의 표면이 고른 콘크리트 바닥 또는 에폭시 및 페인트로 코팅된 바닥면을 가진 축조장소를 준비하는 단계와; 준비된 축조장소 바닥면에 축조할 목조건축물의 평면 규격과 일치하는 요소의 기준점 및 기준선들을 나타내는 축조도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된 기준점 위치에 준비된 기둥을 입설하는 단계와; 한 개의 장축횡방향프레임과 두 개의 장축종방향프레임 또 두 개의 정면프레임을 단부끼리 맞물려서 직각방향으로 기둥에 형성한 프레임홈에 끼워서 결합하며 단축횡방향프레임을 단축종방향프레임을 상기의 장축종방향프레임과 정면프레임에 결합한 후, 기둥과 프레임들의 위치 및 각도가 축조도면에 표시된 기둥중심점, 프레임네모서리기준점, 프레임바깥사면기준점에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고 빗나갔을 경우 위치를 수정 또는 보정하는 단계와; ㄷ자형으로 수평형성된 마루프레임의 수평장홈에 슬라이드판자를 밀어넣어서 밀착되도록 연접시키고 마무리판자로 마루판입구를 폐쇄하여 마루조립작업을 마무리하는 단계와; 도리를 얹고 난 후, 도리의 위치와 각도가 바닥면에 표시된 축조도면의 도리네모서리기준점 및 도리바깥사면기준선에 일치하는 지를 확인하고 빗나갔을 경우 수정 또는 보정하는 단계와; 들보와 상량과 석가래를 차례로 얹은 후, 석가래 처마 끝이 바닥면에 표시된 처마네모서리기준점 및 처마바깥사면기준선에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로 휘어진 원목으로 형성한 기둥과 들보로 축조하는 이동식 목조건축물의 축조방법을 제공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휘어진 원목으로 형성한 기둥과 들보로 축조하는 이동식 목조건축물을 축조하는 방법으로서, 1조 이상의 이동식 목조건축물을 축조할 수 있는 면적으로서 적어도 가로세로 5m × 7m 이상 되며 도면을 표시할 수 있도록 표면이 고른 콘크리트 바닥 또는 콘크리트 면에 에폭시 등의 페인팅이 코팅된 바닥면이 구비된 이동식 목조건축물을 축조하는 장소를 준비하는 단계; 축조장소 바닥면에 축조할 목조건축물의 평면 규격과 일치하는 기둥중심기준점과 프레임네모서리기준점과 프레임바깥사면기준선과 도리네모서리기준점과 도리바깥사면기준선과 처마네모서리기준점과 처마바깥사면기준선과 각도확인선과 중심교차점을 나타내는 평면상태의 축조도면을 상기의 바닥면에 표시하는 단계; 축조도면에 표시된 기둥중심기준점에 기둥을 가설하는 단계와; 기둥중심기준점과 프레임네모서리기준점과 프레임바깥사면기준선에, 기둥과 사면의 장축횡프레임과 장축종프레임과 정면프레임이 정상적인 각도로 설치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수정하는 단계; 슬라이드판자를 모두 결합한 후, 마무리판자로 마루결합작업을 마무리하여 ㄷ자형마루의 축조를 완성하는 단계; 기둥 상단부에 우물정자 형태로 도리를 설치한 후, 도리의 직각모서리가 바닥면에 표시된 축조도면의 도리네모서리기준점 및 도리바깥사면기준선에 일치하는 지를 확인하고 수정하는 단계; 나무껍질을 벗겨내고 옹이를 다듬은 자연 상태의 아치형 원목 들보의 볼록한 형태가 상향하도록 도리 상면에 설치하는 단계; 상량과 석가래와 처마도리를 차례로 설치한 후, 처마의 네 곳 모서리와 처마의 바깥 사면이, 바닥면에 표시된 축조도면의 처마네모서리기준점 및 처마바깥사면기준선에 일치하는지 실에 매달은 추를 내려서 확인하는 단계를 거쳐서, 이음이 없고 가공하지 않은 휘어진 원목으로 형성한 기둥과 들보로 축조하는 이동식 목조건축물 축조방법을 제공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병충해 및 산불 등의 이유로 자연에서 벌목된 나무들 중에서 구부러졌다는 이유로 화목(火木)으로 사용되거나 산에 버려지는 나무들 중에서 보기 좋게 활 대 모양으로 휘어진 적정한 굵기의 나무들을 수집해서 이동식 목조건축물의 기둥과 들보로 사용하기 때문에, 첫째는 이동식 목조건축물을 축조하기 위해서 나무를 자르는 등 자연을 해치는 문제가 효과적으로 예방되며, 둘째는 병충해나 산불 등으로 벌목된 후 산에 버려지는 나무들로 인해서 발생 되는 산사태 등의 홍수와 산불 등의 재난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되며, 셋째는 균일하게 가공된 목재 재료를 사용해서 이동식 목조건축물을 축조했을 때 비교되는 원부자재의 비용과 축조기간을 크게 절감할 수 있기 때문에 저렴한 예산으로 이동식 목조건축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지면으로부터 적정한 높이에 평단면상 원의 1/4 분량에 해당하는 프레임홈을 형성하고 이 프레임홈에는 프레임의 기초가 되는 한 개의 장축횡프레임 및 각각 두 개씩의 장축종프레임과 정면프레임 단부가 직각형으로 맞물려서 끼워지기 때문에 목조건축물의 기초가 튼튼하게 되어 이동 운송 중에도 뒤틀림이나 변형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되며, 슬라이드판자 양쪽 단면에는 단 턱 형태의 슬라이드를 형성하고 상기 양쪽의 슬라이드 부분이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수평장홈에 끼워져서 연접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며 마지막 마루판입구에 마무리판자를 끼운 상태에서 마루판입구 쪽 직각단면 쪽에만 못을 박아서 고정하기 때문에, 못 부식으로 인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축조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게 되는 효과와 원가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축조 후 목재가 건조되는 과정에서 슬라이드판자(마루판)가 뒤틀림 등의 문제로 변형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거의 가공하지 않은 원목 상태의 기둥과 들보를 사용하기 때문에, 가공된 목재로 축조된 일반적인 목조건축물에 비하여 튼튼하기 때문에 변형이나 변질 없이 훨씬 장구히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와, 축조 후 중장비로 이동 설치하는 과정에서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목조건축물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목조건축물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확대 도시한 종단면도로서, 실에 메어 달린 추를 이용해서 바닥면에 표시된 프레임바깥사면기준선과 처마바깥사면기준선의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ㄷ자형마루와 난간대가 설치된 이동식 목조건축물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사방(사각)형 마루가 축조된 이동식 목조건축물의 다른 실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상기 도 5의 사방(사각)형 마루가 축조된 이동식 목조건축물에 난간대가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기둥을 비롯한 ㄷ자형마루와 난간대와 도리가 축조된 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기둥에 ㄷ자형마루가 축조된 상태를 예시한 평면도로서, 한 개의 장축횡프레임과 각각 두 개씩의 장축종프레임 및 정면프레임 단부들이 수평상 직각방향으로 맞물려 기둥의 프레임홈에 끼워져서 결합되고 또한 한 개의 단축횡프레임 및 두 개의 단축종프레임이 상기의 장축횡프레임을 비롯한 장축종프레임과 정면프레임에 결합되어 마루프레임을 구성하고 있는 상태와, 이 마루프레임에 슬라이드판자와 마무리판자가 결합되어 평면상 ㄷ자형마루가 형성되는 상태를 예시한 평면상태의 요부단면도이다(직사각형에 가는 사선이 표현된 부분은 제일 먼저 끼워지는 슬라이드판자와 마지막에 끼워지는 마무리판자를 표시한 것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ㄷ자형마루의 축조과정 및 구조를 설명하는 부분확대 평면도이다.
도 8c는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ㄷ자형마루의 전체 구조를 설명하는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8d는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상기 도 8c의 일부를 절개해서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ㄷ자형마루와 난간대의 축조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사방(사각)형마루와 난간대의 축조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둥을 중심으로 장축횡방향프레임, 장축종방향프레임, 단축횡방향프레임, 단축종방향프레임이 연결되는 구조 및 슬라이드판자와 마무리판자의 연접상태를 설명하는 요부확대 사시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에 따른 기둥을 중심으로 장축횡방향프레임, 장축종방향프레임, 단축횡방향프레임, 단축종방향프레임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는 주요부 절개확대 사시도이다.
도 12b는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ㄷ자형마루의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슬라이드판자가 장축종프레임과 단축종프레임에 형성된 수평장홈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는 부분확대단면도로서, 슬라이드판자의 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3b는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장축종프레임과 단축종프레임의 수평장홈과 마루판입구에 마무리판자가 결합된 상태를 예시한 부분확대단면도이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기둥의 구조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4b는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기둥의 하부에 형성된 프레임홈의 구조를 예시한 평면상태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14c는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기둥 상단부에 형성된 도리홈의 실시상태를 예시한 확대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기둥 상단부 도리홈에 도리가 설치되는 상태를 예시한 일부확대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기둥에 마루와 도리가 축조되는 상태를 설명부분확대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7a는 본 발명의 실시상태에 따른 이동식 목조건축물이 평면상 직사각형 인경우 축조할 이동식 목조건축물과 1 : 1 크기로 축조현장 콘크리트 바닥면에 표시한 축조도면의 예시도이다.
도 17b는 본 발명의 실시상태에 따른 이동식 목조건축물이 평면상 정사각형 인경우 축조할 이동식 목조건축물과 1 : 1 크기로 축조현장 콘크리트 바닥면에 표시한 축조도면의 예시도이다.
도 17c는 본 발명의 실시상태에 따른 이동식 목조건축물이 평면상 팔각형인 경우 축조할 이동식 목조건축물과 1 : 1 크기로 축조현장 콘크리트 바닥면에 표시한 축조도면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휘어진 원목으로 형성한 기둥과 들보로 축조하는 이동식 목조건축물 및 축조방법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삭제
본 발명의 이동식 목조건축물은, 각각 한 개씩의 장축횡프레임과 단축횡프레임 및 그리고 각각 두 개씩의 장축종프레임과 단축종프레임 및 정면프레임이 입설된 네 개의 기둥 하부에서 ㄷ자형으로 결합되어 ㄷ자형마루프레임이 구성된다.
상기의 ㄷ자형마루프레임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축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수평장홈에 슬라이드판자와 마무리판자가 연접되어 ㄷ자형마루가 완성된다.
상기 ㄷ자형마루가 완성된 기둥의 상단부에는 평면상 우물정자 형태로 도리가 얹혀지고 도리의 상면에는 아치형으로 휘어진 자연원목으로 형성한 들보가 고정되며 들보의 상면 중앙에는 상량이 얹혀진 후 일정한 간격으로 석가래가 얹혀지고 또 석가래의 상면에는 지붕판자를 비롯한 루프시트와 마감재인 슁글 또는 기와로 지붕이 마무리되는 것으로서, 이하 첨부도면에 따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4a 는,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기둥(10)의 구조를 설명하는 사시도 이고, 도 14b 는,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기둥(10) 하부에 형성된 프레임홈(10a)을 평면상태의 단면으로 확대 예시된 것이며, 도 14c 는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기둥(10) 상단부에 형성되는 도리홈(10c)의 다른 실시 상태를 예시한 확대평면도임을 알 수 있다.
이때의 상기 기둥(10)은 목조건축물의 평면모양에 따라 목조건축물의 평면 모양이 사각형이면 기둥(10)은 네 개를 구비하고, 목조건축물의 평면모양이 팔각형이면 기둥(10)은 여덟 개를 구비한다.
그러나, 본원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목조건축물 평면모양이 사각형인 것을 예시로 설명하기로 하며, 또한 본원에서 설명하는 기둥(10)이 세워지는 위치 설명은 편의상 도 8a 를 기준으로 하여 ㄷ 자형의 개방된 부분을 정면으로 정하여 그 좌측, 우측, 배면으로 설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이동식 목조건축물은 평면상 사각형인 것을 예로 설명하는 것으로서, 네 개의 기둥(10)이 구비되어 사방 직각부에 세워진다.
이때의 상기 기둥(10)은, 도 14a 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에는 지면으로부터 적정한 높이에 프레임홈(10a)이 형성되고, 또 상기의 프레임홈(10a)으로부터 적정한 높이에는 상기 프레임홈(10a)의 수직벽면체인 직각면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난간설치홈(10b)이 양쪽으로 형성되며, 상단부 평면에는 적정한 깊이의 도리홈(10a)이 형성된다. 이때의 도리홈(10a)은 도 14c 에 예시된 바와 같이 + 자형으로 실시하는 것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의 기둥(10)은 채취한 원목을 적정한 길이로 아래 위를 자르되, 상단부가 하단부에 비해서 ㄷ자형마루(2)의 수직중심 안쪽으로 2°~ 3°기울기 각도를 유지하도록 평행선상으로 상단부와 하단부를 절단 형성한다.
삭제
삭제
이어서 상기 구비된 기둥(10)은 겉면의 두꺼운 나무껍질을 깨끗하게 제거하고, 도 14a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지면으로부터 적정한 설정하여 프레임홈(10a)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프레임홈(10a)으로부터 적정한 높이를 설정하여 난간홈(10b)을 형성한다.
상기의 프레임홈(10a)은, 도 14b 에 평면상태의 단면으로 예시한 바와 같이, 마치 원형케이크의 1/4 쪽을 떼어내듯이, 원의 1/4 에 해당하는 만큼 직각형으로 파내서 도 12a, 도 14a 에 예시된 바와 같은 모양의 직각의 수직벽면과 아래 위에 바닥면 및 천정을 가지는 형태로 형성한다.
한편, 상기의 난간홈(10b)은 상기 프레임홈(10a)으로부터 적정한 높이를 설정하여 프레임홈(10a)의 수직벽면과 일치하는 직각 방향 양쪽에 형성한다.
상기 형성된 네 개의 기둥(10)은 도 8a 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직각부 네 모서리에 세워진다.
이어서 배면방향 양쪽 기둥(10)에 형성된 프레임홈(10a)에는 장축횡프레임(20) 양쪽 단부가 끼워지고, 상기 장축횡프레임(20) 단부가 끼워진 배면 양쪽 기둥(10)의 프레임홈(10a)에는 각각의 장축종프레임(40) 일단부가 끼워져서 먼저 끼워진 장축횡프레임(20)의 양쪽단부와 1/2씩 맞물려 진다.
그리고 상기의 장축횡프레임(20) 양단부에 맞물리도록 프레임홈(10a)에 끼워진 양측의 장축종프레임(40) 타단부는 정면에 세워진 양쪽 기둥(10)의 프레임홈(10a)에 끼워지며, 이어서 양편으로 분리된 정면프레임(60) 일단부가 상기 장축종프레임(40) 일단부가 끼워진 프레임홈(10a)에 끼워져서 장축종프레임(40) 단부와 맞물려 결합된 상태를 유지된다.
한편, 상기 결합된 장축횡프레임(20)과 장축횡프레임(20)의 양쪽 단부에는 도 12a 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가 서로 1/2씩 맞물려질 수 있게 되는 직각턱(21)(41)이 형성되고, 정면프레임(60)은 도 8c, 도 8d, 및 도 9 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각각 일단부에만 직각턱(62)이 형성되어 장축종프레임(40) 일단부와 맞물려 결합되는 한편 다른 일단부는 상부로 개방된 ㄷ자형결합홈(61)이 형성되어, 저면으로 개방된 ㄷ자형결합홈(54)을 가진 단축종프레임(50)의 일단부와 깎지끼움(요철) 형태로 결합된다.
또한, 정면프레임(60) 일단부와 맞물려 결합된 상기 단축종프레임(50)의 타단부는 단축횡프레임(30)의 수직홈(33)에 끼워져서 결합되며, 상기의 단축종프레임(50)이 결합된 단축횡프레임(30) 양단부는 상기 장축종프레임(40)에 형성된 수직홈(43)에 결합되므로, 기둥(10) 하부에 완벽한 ㄷ자형마루프레임이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결합된 장축횡프레임(20)과 장축종프레임(40)과 정면프레임(60)은 네 개의 기둥(10) 하단부에 형성된 프레임홈(10a)에 끼워진 상태에서 안쪽 모서리로부터 기둥(10)을 향해서 구멍을 뚫어서 200mm 이상 긴 볼트(15)를 박아서 견고하게 결속시키고, 또 단축횡프레임(30)과 장축종프레임(40)은 각 수직홈(33), (43)의 바깥쪽에서 안쪽을 향해서 구멍을 뚫은 다음, 상기와 같이 200mm 이상 긴 볼트(15)를 박아서 견고하게 결속시키며, 입구 양쪽의 정면프레임(60)과 단축종프레임(50)의 깍지 결합부에도 위에서 아래로 향한 구멍을 뚫은 다음, 200mm 이상 긴 볼트(15)를 박아서 상호 튼튼한 결속관계를 유지한다.
그리고, 간격을 두고 나란히 결합된 상기 배면측의 장축횡프레임(20)과 단축횡프레임(30)에는, 상단면으로부터 적정한 간격을 설정하여 마주보는 길이방향에 수평장홈(22)(31)을 길게 형성하되, 상기 단축횡프레임(30)에 형성되는 수평장홈(31) 선단부에는 상부로 개방되는 마루판입구(32)를 형성하고, 또 상기의 마루판입구(32)를 형성한 반대면 양쪽에는 단부로부터 적정한 간격을 설정하여 상부로 개방된 수직홈(33)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양쪽의 장축종프레임(40)과 간격을 두고 나란히 결합된 단축종프레임(50)에도 길이방향으로 마주보는 수평장홈(42)(52)을 형성하고, 그 중 단축종프레임(50)에 형성한 수평장홈(52) 일단부에는 상부로 개방된 마루판입구(53)를 형성한다.
특히, 상기 수평장홈(22)(31)(42)(52)은, 각각의 장축횡프레임(20)을 비롯한 단축횡프레임(30) 및 장축종프레임(40)과 단축종프레임(50)의 길이방향 상단면으로부터 정밀도를 유지하는 공간의 간격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수평장홈(22)(31)(42)(52)의 간격 및 깊이도 길이방향으로 정밀도가 유지되도록 형성한다.
상기 단축횡프레임(30)과 단축종프레임(50)에 형성하는 수평장홈(31)(52)의 연장선상 일단부에 형성하는 마루판입구(32)(53)는, 단축횡프레임(30) 단부와 단축종프레임(50) 단부가 수직홈(33)(43)에 끼워지는 간격을 감안한 지점에서부터 마무리판자(71)의 너비와 일치되도록 형성한 다음, 마루판입구(32)(53)를 통하여서 슬라이드판자(70)를 연달아 끼워져서 틈새 없이 연접 되도록 결합하고, 이어서 마무리판자(71)를 마루판입구(32)(53)에 결합하여 슬라이드판자(70) 조립작업을 마무리한다.
상기와 같이 마루판입구(32)(53)로 삽입되어 수평장홈(22)(31)(42)(52)에서 연접 결합되는 슬라이드판자(70)는, 도 13a 에 결합상태의 단면으로 예시된 바와 같이, 양쪽 단부에 직각상의 슬라이드(70a)가 단턱지게 형성되고, 상기의 마무리판자(71)는 도 8c ~ 8d 및 도 12b 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일측 단면에만 단턱 상의 슬라이드(71a)를 형성하고 그 반대 단면에는 직각단면(71b)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의 슬라이드판자(70)를 결합하는 방법은, 기둥(10) 하부 프레임 홈(10a)에 장축횡프레임(20), 단축횡프레임(30), 장축종프레임(40), 단축종프레임(50), 정면프레임(60)의 조립작업을 완료한 후, 마루판입구(32)에서, 이 마루판입구(32)와 마주보고 있는 장축횡프레임(20)의 수평장홈(22)에 슬라이드판자(70) 일단부에 형성된 슬라이드(70a)를 단턱이 상향하도록 밀어서 끼우고, 이어서 손에 들고 있는 슬라이드판자(70)를 수직방향으로 내려놓고 약간의 누르는 힘을 가하게 되면 손에 잡고 있던 슬라이드(70a)가 마루판입구(32)에 끼워지게 된다.
결국, 위와 같이 실시한 슬라이드판자(70)는, 도 8b 에 예시된 바와 같이, 먼저 끼워진 일단부의 슬라이드(70a)는 단턱부가 상향한 상태로 장축횡프레임(20)의 수평장홈(22) 선단부에 끼워진 상태가 되고, 상기 반대쪽의 슬라이드(70a)는 단턱부가 상향한 상태로 단축횡프레임(30)의 마루판입구(32)에 내려앉아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슬라이드판(70)을 도 8b 에 예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밀어주게 되면 양단부의 슬라이드(70a)가 장축횡프레임(20)과 단축횡프레임(30)의 수평장홈(22)(31)에서 안내를 받으면서 화살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수개의 슬라이드판자(70)는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연달아 끼워서 밀착되게 결합하게 되는 것이며, 이어서 도 12b 에 예시한 바와 같이, 마지막으로 마무리판자(71)를 마루판입구(32)에 끼운 다음 직각단면(71b) 쪽에 못을 박아주게 되면, 도 11 및 도 8a 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장축횡프레임(20) 및 단축횡프레임(30) 공간을 슬라이드판자(70)와 마무리판자(71)로 메우는 마루조합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의 마무리판자(71)를 끼우는 방법은, 먼저 손에 들고 있는 마무리판자(71)의 단턱부가 상향하도록 일단부의 슬라이드(71a)를 장축횡프레임(20)의 수평장홈(21)에 끼운 다음 이어서 손에 들고 있던 직각단면(71b) 부를 수직방향으로 내려놓은 상태에서 직각단면(71a) 부를 가볍게 발로 가볍게 밟아주거나 흠집이 발생하지 않도록 나무망치로 충격한다.
위와 같이 실시하게 되면 상기의 마무리판자(71)는, 도 11 에 예시된 바와 같이, 그 일단부의 슬라이드(71a)가 장축횡프레임(20)의 수평장홈(22)에 꽉 끼워지는 한편 그 반대쪽의 직각단면(71b) 부는 마루판입구(32)를 틈새 없이 폐쇄한 상태로 끼워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직각단면(71b)에 못을 박아 주게 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장축횡프레임(20) 및 단축횡프레임(30) 공간을 슬라이드판자(70)와 마무리판자(71)가 완전히 메우는 마루판조합 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은 양쪽으로 나란히 결합된 장축종프레임(40)과 단축종프레임(50)의 수평장홈(41)(52)과 마루판입구(53)에도 동일하게 적용실시 하며, 위와 같이 실시된 본 발명은, 도 4 및 도 5, 도 8a, 도 9 에 예시된 바와 같이 완성된 ㄷ자형마루(2)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8b 에 예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슬라이드판(70)을 밀어 넣는 방법은, 1.5cm 틈새에 반드시 양손사용만 허용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서는 끝이 직각으로 구부려지고 면이 넓은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는 것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완료된 ㄷ자형마루(2) 에는 도 4, 도 7, 도 9 에 예시된 바와 같이 ㄷ자형마루(2)의 바깥 방향에 적정한 높이에 난간대(90)를 설치하는데, 이때의 난간대(90)는, 수직상의 지지대(90)가 기울기를 가지고 대각선상으로 설치되고, 난간대(80) 상기의 지지대(90) 상면에 수평선상으로 고정되는 한편 양쪽 끝 부분 안쪽에는 직각모서리(81)가 형성되고 그 바깥쪽 모서리는 대각선상의 곡면(82)이 형성되어 난간설치홈(10b)에 끼워져서 고정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더 구체적으로, 상기의 난간대(80)는, 도 1, 2, 3 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적정길이의 지지대(90)를 구비하여 그 하단부에 직각상의 지지부를 형성해서 못을 박아 상기의 장축횡프레임(20)과 장축종프레임(40) 바깥쪽 상부모서리에 경사지게 고정하고, 그 상단면은 수평면을 갖게하여 난간대(80)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못을 박아 고정하며 또 상기 난간대(80)의 양쪽 끝 부분 안쪽에는 직각모서리(81)를 형성하여 상기의 기둥(10)에 형성된 난간설치홈(10b)에 끼운 상태에서 길이가 긴 볼트(15)를 박아서 난간대(80)가 견고하게 고정된 ㄷ자형마루(2)를 완성한다.
그리고, 상기의 ㄷ자형마루(20)를 완성한 후에는, 상기의 기둥(10) 상단부에 형성한 도리홈(10c)에 평면상 사방으로 도리(100)를 올려서 우물정자 형태가 되도록 도 15 에 예시된 바와 같이, 긴 볼트(15)를 박아서 도리홈(10c)에 고정하고, 상기의 도리(100) 상면에는 도 1, 2, 3 에 예시된 바와 같이 양쪽 도리(100)를 가로질러서 지붕을 떠받치는 들보(3)를 고정한다.
이때의 상기 들보(3)는 목재를 가공해서 인위적으로 중앙을 잇는 ∧ 형태의 일반적인 들보가 아니라, 자연에서 아치(arch)형으로 형성된 원목을 벌목현장 등 자연에서 수집하여 껍질을 벗기고 일정한 길이로 절단해서 형성된 것으로서, 두 개 또는 새 세 개가 도리(100)위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설치된 들보(3)의 상면 중앙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형 상량(a)이 고정되고 상기 공정된 상량(a)으로부터 도리(100) 상면에는 적정한 간격으로 석가래(b)가 설치되고, 상기의 석가래(b) 상면에는 지붕판자(c)와 루프시트(d)가 차례로 덮여지며, 이어서 처마도리(e)를 사면으로 형성한다음, 슁글 또는 기와 등의 지붕마감재(f)를 덮어서 이동식 목조건축물의 축조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휘어진 원목으로 기둥과 들보를 축조하는 이동식 목조건축물의 축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는 본원 설명의 편의상 평면상 사각형인 이동식 목조건축물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에 대한 도면은 도 17a 이 제시되며, 이때의 도 17a 는, 평면상 직사각형인 이동식 목조건축물을 1 : 1 크기로 축조현장 바닥면(4)에 표시한 평면상태의 축조도면(12)으로 제시된다.
참고로, 도 17b는 본 발명의 실시상태에 따른 정사각형의 이동식 목조건축물과 1 : 1 크기로 축조현장 바닥면(4)에 표시한 평면상태의 축조도면(12)이고, 도 17c는 본 발명의 실시상태에 따른 팔각형 이동식 목조건축물과 1 : 1 크기로 축조현장 바닥면(4)에 표시한 평면상태의 축조도면(12)을 예시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이동식 목조건축물은, 1조 이상의 이동식 목조건축물을 축조할 수 있는 면적으로서 적어도 가로세로 5m × 7m 이상 되며 도면을 표시할 수 있도록 표면이 고른 콘크리트 바닥 또는 콘크리트 면에 에폭시 등의 페인팅이 코팅된 상태의 바닥면(4)을 가진 축조장소를 준비하는 단계와;
축조장소 바닥면(4)에, 축조할 이동식 목조건축물의 평면 규격과 일치하는 기둥중심기준점(5)과 프레임네모서리기준점(6a)과 프레임바깥사면기준선(6b)과 도리네모서리기준점(7a)과 도리바깥사면기준선(7b)과 처마네모서리기준점(8a)과 처마바깥사면기준선(8b)과 각 방향 및 각 위치의 기준점을 X 방향으로 확인하는 각도확인선(Q)(Q')과 중심교차점(11) 들을 나타내는 평면상태의 축조도면(12)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와 같이 표시된 축조도면(12)의 기둥중심기준점(5)에 기둥(10)을 가설하는 단계와;
슬라이드마루판자(70)와 마무리판자(71)를 결합하기 전 기둥중심기준점(5)과 프레임네모서리기준점(6a)과 프레임바깥사면기준선(6b)에, 기둥(10)과 사면의 장축횡프레임(20), 장축종프레임(40), 정면프레임(6)이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슬라이드마루판자(70)와 마무리판자(71)를 나란히 마주하는 장축횡프레임(20), 단축횡프레임(30) 및 장축종프레임(40)과 단축종프레임(50)의 수평장홈(22)(31), (42)(52)에 끼워 맞추고 마무리판자(71)를 마루판입구(32), (53)에 끼워서 마루판조립작업을 마무리하는 단계와;
기둥(10) 상단부에 도리(100)를 우물정자 형태로 얹은 후, 도리(100)의 네 모서리와 바깥 사면이 바닥(4)에 표시된 축조도면(12)의 도리네모서리기준(7a) 및 도리바깥사면기준선(7b)에 일치하는 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들보(3)와 상량(a)과 석가래(b)와 처마도리(e)를 얹은 후, 바닥면(4)에 표시된 축조도면(12)의 처마네모서리기준점(8a)과 처마바깥사면기준선(8b)에 일치하는지 실(14a)에 매달은 추(14b)를 내려서 처마도리(e)의 위치, 수평, 수직각도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휘어진 원목으로 기둥과 들보로 축조하는 이동식 목조건축물 축조방법이 제공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한편,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당해 기술 분야의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원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a : 상량
b : 석가래
c : 지붕판자
d : 루프시트
e : 처마도리
f : 지붕마감재
Q, Q' : 각도확인선
2 : ㄷ자형마루
3 : 들보
4 : 바닥면
5 : 기둥중심기준점
6a : 프레임네모서리기준점
6b : 프레임바깥사면기준선
7a : 도리네모서리기준점
7b : 도리바깥사면기준선
8a : 처마네모서리기준점
8b : 처마바깥사면기준선
10 : 기둥
10a : 프레임홈
10b : 난간설치홈
10c : 도리홈
11 : 중심교차점
12 : 축조도면
14a : 실
14b : 추
15 : 긴 볼트
20 : 장축횡프레임
21, 41, 62 : 직각턱
22, 31, 42, 52 : 수평장홈
30 : 단축횡프레임
32, 53 : 마루판입구
33, 43 : 수직홈
40 : 장축종프레임
50 : 단축종프레임
54, 61 : ㄷ자형결합홈
60 : 정면프레임
70 : 슬라이드판자
70a, 71a : 슬라이드
71 : 마무리판자
71b : 직각단면
80 : 난간대
81 : 직각모서리
82 : 곡면
90 : 지지대
100 : 도리

Claims (4)

  1. 평면상 네 개의 기둥이 세워지고 네 개의 기둥 공간 하부에 프레임들이 연결되고 마루판자가 프레임들에 이어지게 결합되어 마루를 형성하고, 마루 위에는 난간대가 설치되고 기둥 상단면에는 사방으로 도리와 얹혀져서 들보와 석가래가 차례로 얹혀지며, 슁글 또는 기와로 지붕이 마감되는 이동식 목조건축물에 있어서,
    지면으로부터 적정한 높이에는 평단면상 1/4 원의 분량을 파내어진 프레임홈(10a)이 형성되고, 수직방향 상단부에서부터 하단부에 이르기까지 곡선형으로 점차 휘어져서 상단부가 ㄷ자형마루(2)의 중심을 향하여 2° ~ 3°기울어지게 기둥(10)이 설치되고, 상기의 프레임홈(10a)에는 양쪽 단부에 직각턱(21)이 형성되고 일측의 수직 상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면에 적정한 간격을 두고 수평장홈(22)이 길게 형성된 장축횡프레임(20)과, 양쪽 단면에는 직각턱(41)을 형성하나 일측면 길이방향에는 일단부로부터 적정한 간격을 두고 전면과 상면이 개방된 수직홈(43)과 이 수직홈(43)으로부터 연장된 수평장홈(42)을 가진 장축종프레임(40)을 형성하며, 또 일단부에는 직각턱(62)이 형성되나 타단부에는 깍지끼움 ㄷ자형결합홈(61)이 형성된 정면프레임(60)과, 일측 길이방향 상면에는 상기의 장축횡프레임(20)에 형성한 수평장홈(22)과 일치하는 길이방향으로 수평장홈(31)이 형성되고, 이 수평장홈(31)의 선단부에는 일단부로부터 적정한 간격을 두고 마무리판자(71) 넓이와 일치하는 마루판입구(53)를 가진 단축횡프레임(30)을 형성하며, 또한, 상기의 장축종프레임(40)에 형성된 수평장홈(42)과 적정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일치하는 수평장홈(52)이 형성되고 이 수평장홈(52) 선단부에는 단축횡프레임(30)의 수직홈(33)에 끼워지는 간격을 감안한 지점부터 마무리판자(71)의 너비와 일치하는 마루판입구(53)를 가진 단축종프레임(50)을 형성하여, 상기 장축횡프레임(20)과 장축종프레임(40)의 직각턱(21)(41)을 맞물려지도록 프레임홈(10a)에 끼우는 한편, 상기 맞물려 끼워진 장축종프레임(40)의 반대쪽 직각턱(41)은, 정면프레임(60)의 직각턱(62)과 맞물려져서 정면 양쪽의 기둥(10)에 형성된 프레임홈(10a)에 끼움으로, 상기 장축횡프레임(20), 장축종프레임(40), 정면프레임(60)이 평면상 네 개의 기둥(10)과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의 단축횡프레임(30)은, 수평장홈(31)이 장축횡프레임(20)의 수평장홈(22)과 마주보는 상태로 양쪽 단부를 장축종프레임(40)의 수직홈(43)에 끼워서 결합하며, 또 단축종프레임(50)은 수평장홈(52)이 장축종프레임(40)의 수평장홈(42)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일측단부는 단축횡프레임(30)의 수직홈(33)에 끼워지고 그 타단부에 형성된 ㄷ자형결합홈(54)은, 상기 정면프레임(60)에 형성된 ㄷ자형결합홈(61)에 깍지끼움 형태로 결합하며, 너비와 길이는 동일하고 양쪽 단부에는 단턱 형상의 슬라이드(70a)를 가진 수 개의 슬라이드판자(70)를 형성하여, 상기의 마루판입구(32)(53)를 통하여 수평장홈(22)(31), (42)(52)에 차례대로 밀착되도록 삽입한 후, 일단부에는 단턱 형상의 슬라이드(71a)가 형성되고 타단부는 직각단면(71b)을 가진 마무리판자(71)를 형성하여 마루판입구(32)(53)를 봉합(폐쇄)하며, 도리(90) 상면 중앙에 이음이 없고 가공하지 않은 자연상태의 아치형 들보(3)가 포함되어 축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휘어진 원목으로 기둥과 들보로 축조하는 이동식 목조건축물.
  2. 삭제
  3. 삭제
  4. 1조 이상의 이동식 목조건축물을 축조할 수 있는 면적으로서 적어도 가로세로 5m × 7m 이상 되며 도면을 표시할 수 있도록 표면이 고른 콘크리트 바닥 또는 콘크리트 면에 에폭시 등의 페인팅이 코팅된 바닥면(4)이 구비된 이동식 목조건축물을 축조하는 장소를 준비하는 단계;
    축조장소 바닥면(4)에 축조할 목조건축물의 평면 규격과 일치하는 기둥중심기준점(5)과 프레임네모서리기준점(6a)과 프레임바깥사면기준선(6b)과 도리네모서리기준점(7a)과 도리바깥사면기준선(7b)과 처마네모서리기준점(8a)과 처마바깥사면기준선(8b)과 각도확인선(Q, Q')과 중심교차점(11)을 나타내는 평면상태의 축조도면(12)을 상기의 바닥면(4)에 표시하는 단계;
    축조도면(12)에 표시된 기둥중심기준점(5)에 기둥(10)을 가설하는 단계와;
    기둥중심기준점(5)과 프레임네모서리기준점(6a)과 프레임바깥사면기준선(6b)에, 기둥(10)과 사면의 장축횡프레임(20)과 장축종프레임(40)과 정면프레임(60)이 정상적인 각도로 설치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수정하는 단계;
    슬라이드판자(70)를 모두 결합한 후, 마무리판자(71)로 마루결합작업을 마무리하여 ㄷ자형마루(2)의 축조를 완성하는 단계;
    기둥(10) 상단부에 우물정자 형태로 도리(100)를 설치한 후, 도리(100)의 직각모서리가 바닥면(4)에 표시된 축조도면(12)의 도리네모서리기준점(7a) 및 도리바깥사면기준선(7b)에 일치하는 지를 확인하고 수정하는 단계;
    나무껍질을 벗겨내고 옹이를 다듬은 자연 상태의 아치형 원목 들보(3)의 볼록한 형태가 상향하도록 도리(100) 상면에 설치하는 단계;
    상량(a)과 석가래(b)와 처마도리(e)를 차례로 설치한 후, 처마의 네 곳 모서리와 처마의 바깥 사면이, 바닥면(4)에 표시된 축조도면(12)의 처마네모서리기준점(8a) 및 처마바깥사면기준선(8b)에 일치하는지 실(14a)에 매달은 추(14b)를 내려서 확인하는 단계를 거쳐서, 이음이 없고 가공하지 않은 휘어진 원목으로 형성한 기둥과 들보로 축조하는 이동식 목조건축물 축조방법.
KR1020100075139A 2010-08-04 2010-08-04 휘어진 원목으로 형성한 기둥과 들보로 축조하는 이동식 목조건축물 및 축조방법 KR101014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5139A KR101014591B1 (ko) 2010-08-04 2010-08-04 휘어진 원목으로 형성한 기둥과 들보로 축조하는 이동식 목조건축물 및 축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5139A KR101014591B1 (ko) 2010-08-04 2010-08-04 휘어진 원목으로 형성한 기둥과 들보로 축조하는 이동식 목조건축물 및 축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4591B1 true KR101014591B1 (ko) 2011-02-16

Family

ID=43777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5139A KR101014591B1 (ko) 2010-08-04 2010-08-04 휘어진 원목으로 형성한 기둥과 들보로 축조하는 이동식 목조건축물 및 축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459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229B1 (ko) * 2011-04-19 2011-12-14 윤봉구 이동식 목재 원두막 짓는 방법 및 이동식 목재원두막
KR101178895B1 (ko) 2012-04-20 2012-09-03 주식회사 위드조경 기둥과 마루틀 결합부의 부식방지 결합구조를 갖는 정자
KR101312983B1 (ko) 2011-04-26 2013-10-01 고미혜 자연원목을 이용한 원두막의 벤치구조
KR101641183B1 (ko) * 2016-05-04 2016-07-20 박종환 목조건축물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935B1 (ko) * 2007-02-16 2007-11-28 이형철 대나무를 이용한 원두막
KR100902642B1 (ko) * 2009-01-30 2009-06-15 대흥우드산업(주) 정자
KR100912494B1 (ko) * 2009-02-06 2009-08-17 서삼덕 이동식 파고라 및 그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954856B1 (ko) * 2008-02-21 2010-04-28 무안군 안쏠림 기둥배치 방식으로 이루어진 복층 목조 건축물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935B1 (ko) * 2007-02-16 2007-11-28 이형철 대나무를 이용한 원두막
KR100954856B1 (ko) * 2008-02-21 2010-04-28 무안군 안쏠림 기둥배치 방식으로 이루어진 복층 목조 건축물 구조
KR100902642B1 (ko) * 2009-01-30 2009-06-15 대흥우드산업(주) 정자
KR100912494B1 (ko) * 2009-02-06 2009-08-17 서삼덕 이동식 파고라 및 그를 이용한 시공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229B1 (ko) * 2011-04-19 2011-12-14 윤봉구 이동식 목재 원두막 짓는 방법 및 이동식 목재원두막
KR101312983B1 (ko) 2011-04-26 2013-10-01 고미혜 자연원목을 이용한 원두막의 벤치구조
KR101178895B1 (ko) 2012-04-20 2012-09-03 주식회사 위드조경 기둥과 마루틀 결합부의 부식방지 결합구조를 갖는 정자
KR101641183B1 (ko) * 2016-05-04 2016-07-20 박종환 목조건축물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41715B2 (en) Prefabricated modular building component
US7621089B2 (en) Prefabricated modular building component and method of use
KR100902642B1 (ko) 정자
US7571576B2 (en) Decking system
KR101014591B1 (ko) 휘어진 원목으로 형성한 기둥과 들보로 축조하는 이동식 목조건축물 및 축조방법
KR101181794B1 (ko) 철골조와 합성수지기와를 이용한 개량한옥과 그 시공방법
EP1392936B1 (en) Wood board floor on external terraces
Anderson Wood-frame house construction
KR101291678B1 (ko) 통나무를 수직재로 이용한 벽식구조체
US3626651A (en) Panel for surfacing buildings
Öztank An investigation of traditional Turkish wooden houses
KR101312983B1 (ko) 자연원목을 이용한 원두막의 벤치구조
KR101216948B1 (ko) 박공 지붕의 누수 방지용 시트패널
KR100976970B1 (ko) 한옥(韓屋)의 기와지붕 구조 시공방법
Shafer Jay Shafer's DIY Book of Backyard Sheds & Tiny Houses: Build Your Own Guest Cottage, Writing Studio, Home Office, Craft Workshop, Or Personal Retreat
Molloy Roof construction and repair
Midon et al. Construction manual of prefabricated timber house
JP4500281B2 (ja) 棟工法
Mitchell et al. Half-Timbered Work.
Pompeiano et al. Preliminary studies on traditional timber roof structures in Gjirokastra, Albania
JP6889528B2 (ja) 屋根構造及び屋根材
KR101592458B1 (ko) 방수 및 단열을 위한 평슬라브 옥상의 지붕 골조 시스템
RU67142U1 (ru) Керамическая облицовка и сейсмостойкая усиливающая конструкция с ее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варианты)
EP3375950A1 (en) Roof space insulation installation, kit and method for roof space insulation
CA3178396A1 (en) Temporary building enclos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