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9935B1 - 대나무를 이용한 원두막 - Google Patents

대나무를 이용한 원두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9935B1
KR100779935B1 KR1020070016589A KR20070016589A KR100779935B1 KR 100779935 B1 KR100779935 B1 KR 100779935B1 KR 1020070016589 A KR1020070016589 A KR 1020070016589A KR 20070016589 A KR20070016589 A KR 20070016589A KR 100779935 B1 KR100779935 B1 KR 100779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mboo
support
roof
seat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6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철
Original Assignee
이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철 filed Critical 이형철
Priority to KR1020070016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99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9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9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나무를 이용하여 제조된 원두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바닥부재가 배설된 사각 지지프레임의 모퉁이에 지지포스트가 관통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 측면 및 후면에 각각 측면지지벽 및 후면지지벽이 설치된 지지부(10)와, 상기 각 지지벽의 상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착석패널 및 후면착석패널이 'ㄷ'자 형태를 이룬 착석부(20)와, 상기 착석부의 각 모통이에 난간포스트가 입설되고, 난간포스트 사이의 측면 상/하단에 각각 측면횡대 및 측면난간패널이, 후면 상/하단에 후면횡대 및 후면난간패널이, 정면 상단에 정면횡대가 각각 개재된 난간부(30)와, 상기 지지부(10)의 정면 양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입구를 형성하도록 이격된 한 쌍의 정면패널(40)과, 상기 난간포스트의 상단에 고정 지지되는 지붕(60)으로 구성되되,상기 사각프레임, 바닥부재, 지지포스트, 각 지지벽, 각 착석패널, 난간포스트, 각 난간패널, 각 횡대, 정면패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대나무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를 이용한 원두막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대나무를 이용한 원두막{Pavilion using bamboo}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두막의 지지부 조립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두막의 착석부 조립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두막의 난간부 조립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두막의 정면패널 조립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 방향의 관측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원두막의 지붕프레임 조립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원두막의 지붕 조립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원두막의 전체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두막 요부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두막 일부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지부 11 : 지지프레임
12 ; 바닥부재 13 : 지지포스트
14 : 절결홈 15 : 측면지지벽
17 : 후면지지벽 20 : 착석부
21 : 측면착석패널 22 : 후면착석패널
30 : 난간부 31 : 난간포스트
32 : 측면난간패널 33 : 측면횡대
35 : 후면난간패널 36 : 후면횡대
37 : 정면횡대 40 : 정면패널
41 : 수평보드 50 : 지붕프레임
51 : 상부연결대 52 : 하부연결대
60 : 지붕 61 : 하측지붕대
62 : 상측지붕대 64 : 모서리대
65 : 모서리받침대 66 : 보조지붕
80 : 탁자 82 : 계단
84 : 휠
본 발명은 대나무를 이용하여 제조된 원두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두막은 참외, 오이, 수박, 호박 따위의 원두를 재배하는 밭에서 원두를 지키기 위해 높이 지은 임시 거처 또는 관측대를 지칭하는 것으로, 대부분 나무를 이용하여 제조하고 있으며, 지붕은 볏짚을 엮어서 올린 형태로 되어 있으나, 이러한 전형적인 원두막은 나무가 쉽게 썩어서 내구성이 약하고, 한번 제조한 상태에서는 위치를 옮길 수 없으며, 볏짚을 이용하여 만든 지붕의 경우, 내부에 유해 곤충이나 벌레가 꼬이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최근에는 나무를 약품 등으로 가공 처리하여 정제화 된 목재를 이용하여 원두막이나 정자 등을 조립식으로 짓고 있으며, 지붕 역시 합성수지 또는 기와 등을 이용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해충이 꼬이는 것을 방지하여 식당의 정원 등에서도 설치할 수 있게 하고 있으나, 정제화 된 목재는 인체에 유해한 화학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나무 본연의 모습을 읽고 인위적인 형태를 가공되어 있으므로, 시골의 정취나 운치를 느낄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원두막이나 정자 등을 조립식으로 제조하여 운반,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하면서도 자연 상태 그대로 이용할 수 있는 대나무를 이용하여 제조함으로써 고향의 정취와 운치를 그대로 간직할 수 있도록 하는 대나무를 이용한 원두막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닥부재가 배설된 사각 지지프레임의 모퉁이에 지지포스트가 관통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 측면 및 후면에 각각 측면지지벽 및 후면지지벽이 설치된 지지부(10)와, 상기 각 지지벽의 상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착석패널 및 후면착석패널이 'ㄷ'자 형태를 이룬 착석부(20)와, 상기 착석부의 각 모통이에 난간포스트가 입설되고, 난간포스트 사이의 측면 상/하단에 각각 측면횡대 및 측면난간패널이, 후면 상/하단에 후면횡대 및 후면난간패널이, 정면 상단에 정면횡대가 각각 개재된 난간부(30)와, 상기 지지부(10)의 정면 양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입구를 형성하도록 이격된 한 쌍의 정면패널(40)과, 상기 난간포스트의 상단에 고정 지지되는 지붕(60)으로 구성되되,상기 사각프레임, 바닥부재, 지지포스트, 각 지지벽, 각 착석패널, 난간포스트, 각 난간패널, 각 횡대, 정면패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대나무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지붕은, 삼각 형상으로 되고 내부의 상/하부에 각각 상부연결대 및 하부연결대가 형성된 4개의 지붕프레임(50)과, 상기 각 지붕프레임(50)의 하부연결대(52)가 각각 양 측면/후면/정면의 각 횡대의 상단에 접하고 고정되고, 상부연결대는 사각 형상의 기초프레임에 접하여 고정되며, 상기 지붕프레임(50)의 상단에 복수의 대나무를 배설하되, 그 배설은, 대나무를 길이방향으로 절개하여 형성된 하측지붕대(61)를 'U'자 형태로 배설하고, 상기 하측지붕대(61)의 상부에 대나무를 길이방향으로 절개하여 형성된 상측지붕대(62)를 아치 형태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을 위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며,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정면, 양 측면 및 후면의 용어가 사용되는데, 이는 원두막의 입구를 기준으로 그 방향을 칭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두막의 지지부 조립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두막의 착석부 조립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두막의 난간부 조립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한 지지부(10)는, 사각 형태의 지지프레임(11)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절개된 대나무를 배설하여 바닥부재(12)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프레임(11)의 모퉁이 부분 4개소를 지지포스트(13)가 관통하게 하며, 상기 지지포스트(13)의 적당한 크기의 대나무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서 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지지포스트(13) 상단에는 일정 형태로 절결홈(14)이 형성되어, 도 2에서와 같이 착석부(20)를 이루는 착석패널을 안착시킬 수 있는데, 즉 도 5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지지포스트(13) 상단에 'ㄷ'자 형태의 절결홈(14)을 형성하고, 측면패널(21)을 형성하는 착석프레임(21a)의 일부가 상기 절결홈(14)에 삽입되게 하고, 고정구(2)와 같은 수단으로 상호 고정되게 하는 것이다.
한편, 지지프레임(11)에 대해 정면을 제외한 양 측면 및 후면에 각각 대나무를 이용하여 제조한 직사각 형태의 측면지지벽(15)과 후면지지벽(17)을 수직하게 설치하며, 이들 각 지지벽(15)의 내면에 형성된 장식부재(15a)는 대나무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모양을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지지프레임(11), 지지포스트(13) 및 지지벽(15)(17)은 고정구(2)에 의해 적당한 방법으로 상호 고정되며, 원두막의 분해, 조립성을 위해 상기 고정구(2)는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 방식의 것으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한 착석부(20)는, 상기 측면지지벽(15) 및 후면지지벽(17)의 각 상단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양 측면에 각각 한 쌍의 측면착석패널(21)이 설치되고, 후면에는 후면착석패널(22)이 형성되어 이들이 상호 'ㄷ'자 형태로 배치된다.
상기 각 착석패널(21)(22)은 복수의 대나무가 연이어 배설된 착석부재(21b)와, 상기 착석부재(21b) 하단에서 이들을 상호 연결, 고정하도록 격자 또는 사다리 모양 등으로 형성된 착석프레임(21a)으로 구성되며, 상기 착석프레임(21a)의 어느 한 부분이 상기 지지포스트(13)의 절결홈(14)에 삽입 고정되거나, 또는 지지벽의 상단에 고정되는 형태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한 난간부(30)는, 상기 착석패널(21)(22)로 이루어진 착석부(20)의 각 모통이 부분에 입설되는 난간포스트(31)와, 상기 난간포스트 사이에서 양 측면의 상/하단에 각각 설치되는 측면횡대(33) 및 측면난간패널(32)과, 후면의 상/하단에 각각 설치되는 후면횡대(36) 및 후면난간패널(35)과, 정면 상단에 설치되는 정면횡대(37)로 이루어진다.
상기 각 횡대(33)(36)(37)는 도시된 바와 같이 대나무를 이용하여 특정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고, 측면 및 후면난간패널(33)(35) 역시 대나무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형태로 변경된 것일 수 있으며, 난간포스트(31)와 그 사이에 개재된 각 횡대 및 난간패널은 대나무를 얇게 제조한 대나무 끈(34)으로 묶어서 고정되거나 또는 전술한 고정구(2)로 상호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난간포스트(31)는 적당한 직경을 가진 대나무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난간포스트(31)의 하단에 절결홈(31a)이 형성되어서 상기 절결홈(31a)이 상기 각 착석패널(21)(22)의 가장자리나 모통이 선단 부분에 안착되게 하여 난간포스트(31)가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게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두막의 정면패널 조립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 방향의 관측 단면도로서, 도 5는 지지포스트(13), 착석프레임(21a) 및 정면패널(40)의 상호 고정 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지지부(10), 착석부(20) 및 난간부(30)를 구성한 원두막 조립체 정면은 개방되어 있으므로, 정면의 벽을 형성하는 정면패널(40)이 구비되게 하며, 상기 정면패널(40)은 2개가 한 쌍으로 상호 대칭하게 설치되고, 이들은 정면의 양 외측에 설치되어 가운데 부분에 원두막 내부로 출입할 수 있는 입구가 마련된다.
정면패널(40)은 그 하단이 지지프레임(11)의 측면에 접하여 고정될 수 있고, 또한 도 5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착석프레임(21a)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21a')에 정면패널(40)의 상부가 접하여 고정구(2) 등의 수단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이때 정면패널(40)의 상단에는 수평보드(41)가 설치되어서, 간단한 물건을 올려놓는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원두막의 지붕프레임 조립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원두막의 지붕 조립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원두막의 전체 구성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한 본 발명의 지붕(60) 구조는 다음과 같다.
상기 지붕(60)은,삼각 형상의 틀로 된 지붕프레임(50)을 원두막에 대하여 정면, 양 측면 및 후면에 각각 설치되도록 4개를 마련하고, 각 지붕프레임(50)의 내부 상/하부에는 소정 위치에 상부연결대(51)와 하부연결대(52)가 마련되어 있다.
도 7에서와 같이 각 지붕프레임(50)의 하부연결대(52)는 전술한 횡대, 즉 난간포스트(31) 사이에 개재된 측면/후면/정면의 각 횡대(33)(36)(37)의 상단에 접하 여 고정구(2) 등의 수단으로 상호 고정되고, 상부연결대(51)는 사각 형상의 기초프레임(53)에 접하여 상호 고정된다.
상기 기초프레임(53)과 상부연결대(51)의 고정 설치 방법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프레임(53)을 임시로 지지할 수 있게 하는 지그 바(54)를 이용하여 적당한 높이에 임시로 기초프레임(53)을 설치한 다음, 상기 지붕프레임(50)을 설치할 때, 상부연결대(51)와 기초프레임(54)이 상호 접하게 하여 상호 고정시킴으로써 4개의 지붕프레임(50) 모두를 기초프레임(53)에 고정되게 한 후, 지그 바(54)를 제거하면 된다.
한편, 상기 지붕프레임(50)의 상단에 복수의 대나무를 배설하는데, 이는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대나무를 길이방향을 따라 반으로 절개하면 반원형의 대나무가 형성되며, 반원형의 대나무를 지붕프레임(50)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에 이르도록 'U'자 형태로 연이어 배설하여 하측 지붕대(61)를 이루고, 상기 하측지붕대(61)의 상부에 상기 반원형의 대나부를 포개는 형식으로, 즉 아치 형태로서 이웃하는 하측지붕대(61)의 사이를 덮어서 상측지붕대(62)를 이루게 하면, 비가 원두막 내부에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데, 이는 기와를 얹은 국내 전통적인 지붕 형식과 유사한 형태이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지붕프레임(50)의 이웃한 가장자리 부분, 즉 2개의 지붕프레임(50)이 접하는 부분으로 비가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각 지붕프레임(50)의 가장자리에 아치 형태의 대나무 모서리대(64)를 설치하는데, 상기 모서리대(64)는 상기 상측지붕대(62)의 각 상단을 덮도록 한다.
이렇게 하여 2개가 이웃한 모서리대(64) 하부에 다시 'U'자 형태로 대나무 모서리받침대(65)를 설치하면, 모서리대(64)에서 낙하되는 물이 모서리받침대(65)를 따라 하단까지 유도되므로 원두막 내부로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지붕 연결 형태를 그대로 적용하여 지붕(60)의 상단에 대나무로 제조된 보조지붕(66)을 더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보조지붕(66)은 지붕(60)과 어느 정도의 거리가 이격되어 그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지붕 내부의 통기성을 양호하게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두막 요부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두막 일부의 정면도로서, 본 발명의 원두막은 다양한 부가요소가 결합될 수 있는바, 즉 도 9에서와 같이 바닥부재(12) 위에 탁자(80)를 설치하면, 각 착석부(20)에 앉은 상태에서 다과나 차를 마실 수 있고, 원두막의 정면 입구 하부에 대나무를 이용하여 제조한 계단을 설치하면, 원두막에 오르내리는 것을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도 10에서와 같이 지지포스트(13) 하단에 회전 가능한 휠(84)을 설치하면, 원두막을 분해하지 않고 설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이나 관념으로 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대나무를 이용한 원두막에 따르면, 대나무를 약품 등으로 가공하지 않고 자연 상태에서 절단하여 원두막을 제조하므로, 인체에 무해할 뿐만 아니라 습기에 대한 내구성이 강하고, 대나무로 제조된 원두막은 고향의 정취와 운치를 느낄 수 있게 하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원두막을 지지부와, 착석부, 난간부 및 지붕 등으로 구분하여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하므로 조립성이 뛰어나고, 분리, 운반이 용이하여 위치 변경 설치가 가능한 이점이 있으면서도 착석부와 탁자, 수평보드 등을 부가 설치함으로서 원두막이 단순히 원두를 지키는 용도에서 탈피하여 휴식을 취함과 동시에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12)

  1. 바닥부재가 배설된 사각 지지프레임(11)의 모퉁이에 지지포스트(13)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11)의 양 측면 및 후면에 각각 측면지지벽(15) 및 후면지지벽(17)이 설치된 지지부(10)와,
    상기 각 지지벽(15)(17)의 상단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착석패널(21) 및 후면착석패널(22)로 이루어진 착석부(20)와,
    상기 착석부의 각 모통이에 난간포스트(31)가 입설되고, 난간포스트 사이의 양측면 상/하단에 측면횡대(33) 및 측면난간패널(32)이, 후면 상/하단에 후면횡대(36) 및 후면난간패널(35)이, 정면 상단에 정면횡대(37)가 각각 개재되어 이루어진 난간부(30)와,
    상기 지지부(10)의 정면 양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고 사이에 입구를 형성한 한 쌍의 정면패널(40)과,
    상기 난간포스트(31)의 상부에 형성된 지붕(60)을 포함하되,
    상기 사각프레임, 바닥부재, 지지포스트, 각 지지벽, 각 착석패널, 난간포스트, 각 난간패널, 각 횡대, 정면패널 중 하나 이상은 대나무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를 이용한 원두막.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포스트(14) 상단에 각각 절결홈(14)이 형성되고,
    상기 각 착석패널은 복수의 대나무로 배설된 착석부재(21b) 및 상기 착석부재의 하단을 연결 지지하는 착석프레임(21a)으로 구성되며,
    상기 착석프레임(21a)의 어느 한 부분이 상기 지지포스트(13)의 절결홈(14)에 삽입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를 이용한 원두막.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포스트 하단에 각각 절결홈(31a)이 형성되고, 상기 절결홈(31a)은 상기 각 착석패널의 가장자리 또는 모통이 선단에 안착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를 이용한 원두막.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착석프레임(21a)의 전방 선단에 돌출부(21a')가 형성되고, 상기 정면패널(40)의 후면이 상기 돌출부(21a')에 접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를 이용한 원두막.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패널(40) 상단에 수평보드(4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를 이용한 원두막.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60)은,
    삼각 형상으로 되고 내부의 상/하부에 각각 상부연결대(51) 및 하부연결대(52)가 형성된 4개의 지붕프레임(50)과,
    상기 각 지붕프레임(50)의 하부연결대(52)가 각각 양 측면/후면/정면의 각 횡대(33)(36)(37)의 상단에 접하여 고정되고, 상부연결대(51)는 사각 형상의 기초프레임(53)에 접하여 고정되며,
    상기 지붕프레임(50)의 상단에 복수의 대나무가 배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를 이용한 원두막.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프레임(50)의 상부의 대나무 배설은, 대나무를 길이방향으로 절개하여 형성된 하측지붕대(61)를 'U'자 형태로 배설하고, 상기 하측지붕대(61)의 상부에 대나무를 길이방향으로 절개하여 형성된 상측지붕대(62)를 아치 형태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를 이용한 원두막.
  8. 제 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2개가 이웃한 지붕프레임(50)의 가장자리에 각각 아치 형태의 대나무 모서리대(64)를 설치하고, 상기 이웃한 모서리대(64) 하부에 'U'자 형태의 대나무 모서리받침대(65)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를 이용한 원두막.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60)의 상단에 보조지붕(66)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를 이용한 원두막.
  10. 제1, 2, 3, 4, 6, 7,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12) 상단에 탁자(8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를 이용한 원두막.
  11. 제1, 2, 3, 4, 6, 7,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0)의 정면에 지지부(10)에 오를 수 있도록 하는 대나무 계단(82)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를 이용한 원두막.
  12. 제1, 2, 3, 4, 6, 7,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포스트(13) 하단에 휠(84)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를 이용한 원두막.
KR1020070016589A 2007-02-16 2007-02-16 대나무를 이용한 원두막 KR100779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6589A KR100779935B1 (ko) 2007-02-16 2007-02-16 대나무를 이용한 원두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6589A KR100779935B1 (ko) 2007-02-16 2007-02-16 대나무를 이용한 원두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9935B1 true KR100779935B1 (ko) 2007-11-28

Family

ID=39081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6589A KR100779935B1 (ko) 2007-02-16 2007-02-16 대나무를 이용한 원두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993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591B1 (ko) * 2010-08-04 2011-02-16 고미혜 휘어진 원목으로 형성한 기둥과 들보로 축조하는 이동식 목조건축물 및 축조방법
CN101691785B (zh) * 2009-10-09 2011-04-13 李登满 内墙敞开式竹结构房屋的建造方法
KR101312983B1 (ko) 2011-04-26 2013-10-01 고미혜 자연원목을 이용한 원두막의 벤치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340Y1 (ko) 2005-11-17 2006-02-08 박차훈 의자겸용난간
KR200423430Y1 (ko) 2006-05-18 2006-08-07 김미혜 조립식 정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340Y1 (ko) 2005-11-17 2006-02-08 박차훈 의자겸용난간
KR200423430Y1 (ko) 2006-05-18 2006-08-07 김미혜 조립식 정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91785B (zh) * 2009-10-09 2011-04-13 李登满 内墙敞开式竹结构房屋的建造方法
KR101014591B1 (ko) * 2010-08-04 2011-02-16 고미혜 휘어진 원목으로 형성한 기둥과 들보로 축조하는 이동식 목조건축물 및 축조방법
KR101312983B1 (ko) 2011-04-26 2013-10-01 고미혜 자연원목을 이용한 원두막의 벤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136451C (en) Modular furniture system
US10392821B2 (en) Four-device-in-one splash-and-drip-eliminating gazebo, comprising self-ventilating anti-mosquito top-roof system, splash-drip-eliminating bottom-roof system, leaf-filtering gutter-spout post system, multi-purpose multi-configuration panel system, and height-adjustable base system
US8418402B2 (en) Crop cover
US7832454B2 (en) Screen enclosure privacy system
US20130205685A1 (en) Modular integrated outdoor locker and shower stall system
US20060169965A1 (en) Pre-fabricated fencing panels
KR100779935B1 (ko) 대나무를 이용한 원두막
KR200408340Y1 (ko) 의자겸용난간
CN201567841U (zh) 框架式升降帐篷
US20170238478A1 (en) Garden plot encasement system
KR101520465B1 (ko) 이동식 원두막
KR101792688B1 (ko) 독립하중의 바닥 지지유닛 및 이를 구비한 조립식 원두막 파라솔
US2741874A (en) Slatted shelter
KR200383260Y1 (ko) 전통 조립식 원두막
KR20090037629A (ko) 파고라
KR20120000616U (ko) 통풍 및 채광이 가능한 가옥형 파고라
KR100871663B1 (ko)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
RU98455U1 (ru) Павильон сборно-разборный тентовый (варианты)
KR20200102851A (ko) 조립형 퍼걸러
GB2535551B (en) Spacing element for spacing a fence panel from a gravel board
JP3234216U (ja) 昇降式ツリーハウスおよびツリーベランダ
KR200464866Y1 (ko) 목재기둥
KR102069728B1 (ko) 와이어 로프용 울타리 간격 유지대
EP0846818A1 (en) Garden fence
TWI694035B (zh) 多功能生態浮島與多功能生態浮島組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