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3430Y1 - 조립식 정자 - Google Patents

조립식 정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3430Y1
KR200423430Y1 KR2020060013331U KR20060013331U KR200423430Y1 KR 200423430 Y1 KR200423430 Y1 KR 200423430Y1 KR 2020060013331 U KR2020060013331 U KR 2020060013331U KR 20060013331 U KR20060013331 U KR 20060013331U KR 200423430 Y1 KR200423430 Y1 KR 2004234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support
vertical
hand rail
suppor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33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혜
Original Assignee
김미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미혜 filed Critical 김미혜
Priority to KR20200600133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34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34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343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Awnings And Sunshad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가장 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핸드 레일을 포함하는 핸드 레일부; 상기 핸드 레일의 측부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수직 지지대; 상기 수직 지지대의 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수직 지지대에 의하여 지지되는 가로대; 상기 가로대에 장착되는 차양부;를 구비하며, 상기 핸드 레일의 외측단에는 상기 수직 지지대를 수용하는 수직 지지대 수용홈이 구비되는 조립식 정자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정자는, 전개 및 감김 가능한 차양부가 장착된 가로대를 지지하는 수직 지지대가 핸드 레일부에 의하여 공고하게 지지됨으로써, 조립성과 더불어 안정성을 강화시키는 구조를 취할 수 있고, 수직 지지대의 외측에 배치되는 수직 돌출부와 핸드 레일부의 형성된 수직 돌출부 수용부와의 맞물림에 의하여, 핸드 레일과 수직 지지대가 이루는 평면에서 수직 지지대를 보다 공고히 지지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으며, 가로대에 형성된 가이드 홈과 수직 지지대 상단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맞물리는 가이드 롤러 등과 같은 구성 요소에 의하여 보다 용이하게 가로대의 장착이 가능한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정자{A prefabricated arbor}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수직 지지대 및 핸드 레일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일예에 대한 변형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 분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2의 일예에 대한 다른 변형예에 대한 작동 전후의 개략적인 사시 분해도이다.
도 5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가이드 지지부 및 가로대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일예에 대한 변형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5c는 도 5b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5d는 도 5b의 변형예에 대한 가로대 및 차양부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베이스 200...핸드 레일부
300...수직 지지대 400...가로대
500...차양부
본 고안은 조립식 정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의 안정성과 조립성을 강화시킨 구조의 조립식 정자에 관한 것이다.
근래 건강에 대한 중요성이 점점 증대됨과 더불어 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이에 관한 제품의 수요도 날로 증대되고 있다. 유기 농산물에서부터 친환경 화장품에 이르기까지 수요자의 니즈를 충족시킬 다양한 제품이 연구 및 제조되고 있는데, 이러한 소비성 제품에 대한 수요와 더불어 자연적 환경에 대한 욕구도 증대됨에 따라 실내 및 실외에서의 자연적 환경을 형성할 수 있는 정원 및 조경 시장 규모도 커지고 있다. 이러한 정원 및 조경에서 사람에게 안정적인 휴식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물로서 정자(亭子)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종래의 정자는 단순한 목재의 결합을 통하여 사람이 걸터앉는 공간을 제공하는 평상(平床)으로서의 기능을 하였는데, 지붕을 구비하지 않는 개방식이거나 지붕을 구비하는 덮개 구조를 취하였다. 또한, 덮개 구조의 정자의 경우, 고정된 지붕 구조를 취하는 고정식 지붕과, 단순한 파라솔과 같은 햇빛 가림 수단을 사용하는 접이식 지붕을 취하였다.
하지만, 정자의 고정식 지붕은, 정자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는 다양한 식물에 충분한 햇빛 조사량을 제공하기 어렵고, 파라솔과 같은 접이식 지붕을 채택하는 경우, 바람과 같은 외력에 영향을 받으므로 안정적인 장착이 어렵다는 문제점과 더 불어 외관상의 미려함이 저감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개 및 감김이 가능하고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지붕 내지 차양부를 구비하는 조립식 형태의 정자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가장 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핸드 레일을 포함하는 핸드 레일부; 상기 핸드 레일의 측부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수직 지지대; 상기 수직 지지대의 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수직 지지대에 의하여 지지되는 가로대; 상기 가로대에 장착되는 차양부;를 구비하며, 상기 핸드 레일의 외측단에는 상기 수직 지지대를 수용하는 수직 지지대 수용홈이 구비되는 조립식 정자를 제공한다.
상기 조립식 정자에 있어서, 상기 수직 지지대의 외측에는 상기 핸드 레일에 수평하게 돌출되는 수직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핸드 레일에는 상기 수직 돌출부와 대응되는 수직 돌출부 수용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직 지지대의 상기 핸드 레일을 향한 일측에는 상기 핸드 레일을 향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수직 회전 걸림대가 장착되고, 상기 핸드 레일에는 상기 수직 회전 걸림대를 수용하기 위한 걸림대 수용홈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가로대의 상기 수직 지지대를 향한 일면에는 가이드 홈이 구비되고, 상기 수직 지지대는 두 개가 구비되되, 상기 수직 지지대의 상단에는 상기 가이드 홈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가이드 지지부가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조립식 정자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지지부는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회전하며 상대 운동하는 가이드 롤러일 수도 있고, 상기 가이드 홈의 상면에는 상기 가이드 롤러의 이동을 제한하는 가이드 롤러 고정홈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정자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정자의 일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조립식 정자(10)는 베이스(100), 핸드 레일부(200), 복수 개의 수직 지지대(300), 가로대(400) 및 차양부(500)를 구비한다.
베이스(100)는 이하 기술되는 다른 구성 요소들이 배치되는 평판 타입의 구성 요소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 개의 조립편들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조립식 베이스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단일의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0)가 복수의 층을 이루며 중심부 외곽에 외곽 데크(120)를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단일의 층을 이루는 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핸드 레일부(200)는 베이스(100)의 상부로, 베이스(100)의 가장 자리를 따라 배치된다. 핸드 레일부(200)는 핸드 레일(210)과 핸드 레일 지지대(220)를 구비하는데, 핸드 레일 지지대(220)는 베이스(100)의 일면 상에 이와 수직하게 배치되고, 핸드 레일(210)은 핸드 레일 지지대(220)의 상단에 의하여 지지된다. 도 1에서 핸드 레일 지지대(220)는 4개가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고안에 따른 핸드 레일 지지대는 상기 개수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 레일 지지대 간의 중간 영역에서의 핸드 레일(210) 및/또는 핸드 레일 지지대(220)를 지지 보조하기 위한 수평/수직 보조 지지대(230,24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베이스(100)의 일면 상으로 핸드 레일부가 장착된 부분의 내측에는 꽃/식물이 배치되는 플랜트 박스(plant box), 벤치 등이 배치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수직 지지대(300)는 핸드 레일부(200)의 핸드 레일(210)의 측부에 배치되는데, 수직 지지대(300)는 복수 개가 배치된다. 도 1에서 수직 지지대(300)는 두 개가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직 지지대(300)의 일단은 베이스(100), 구체적으로 외곽 데크(120)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배치되고, 타단은 위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본 고안에 따른 수직 지지대(300)는 적어도 핸드 레일(210)에 의하여 지지된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 레일(210)의 외측단에는 수직 지지대 수용홈(211)이 형성되고, 수직 지지대(300)의 일부는 수직 지지대 수용홈(211)에 수용된다. 수직 지지대 수용홈(211)의 내측면에는 수직 지지대(300)가 수직 지지대 수용홈(211) 내에 수용되는 경우 수직 지지대(300)와 핸드 레일(210) 간의 충돌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직 지지대 수용홈(211)에는 수직 지지대 완충재(213)가 더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수직 지지대의 일부가 핸드 레일에 형성된 수직 지지대 수용홈에 의하여 수용 및 지지되는 구조를 취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지지대(300)의 하단이 베이스(100)의 측부에 형성된 수직 지지대 수용홈(111)에 수용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 하다.
가로대(400)는 복수 개의 수직 지지대(300)의 상단에 배치되어 수직 지지대(300)에 의하여 지지되고, 차양부(500)는 가로대(400)의 측면에 배치된다. 차양부(500, 도 1 및 도 5d 참조)는 차양축(510), 차양막(520), 제 1 고정 바아(530), 제 2 고정 바아(540) 및 차양 링크(550)를 포함한다. 차양축(510)은 차양축 고정대(511)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가로대(400)의 일측면 상에 고정 장착된다. 차양축 고정대(511) 상에서 회전 운동에 의하여 정회전 및/또는 역회전을 함으로써, 차양축(510)의 외주 상에는 차양막(520)이 감김 및/또는 풀림 배치된다.
제 1 고정 바아(530)는 차양축(510)과 평행하게 배치되는데, 차양축 고정대(511)의 일단에는 고정 바아 고정구(513)가 형성되고, 제 1 고정 바아(530)의 양단은 각각의 고정 바아 고정구(513)에 장착되어 가로대(400)에 대하여 고정 배치된다. 제 2 고정 바아(540)는, 차양축(510) 상에 감겨진 차양막(520)의 일단의 반대편에 제 1 고정 바아(530)와 평행하도록 배치되어 차양막(520)의 타단을 지지한다. 차양 링크(550)는 제 1 고정 바아(530)와 제 2 고정 바아(540) 사이에 접철식으로 배치되어, 제 2 고정 바아(540)가 제 1 고정 바아(530)에 대하여 상대 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즉, 복수 개의 링크로 구성된 차양 링크(550)의 일단은 제 1 고정 바아(53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타단은 다른 차양 링크의 일단과 상대 회전 가능하게 조인트 연결되고, 다른 차양 링크의 타단은 제 2 고정 바아(54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차양축(510)이 회전함에 따라 차양축(510)의 일단에 고정된 차양막(520)도 회전하여 감기거나 풀려 차양막(520) 이 이동함에 따라, 차양 링크(550)에 각각 장착된 제 1 고정 바아(530) 및 제 2 고정 바아(540) 간의 상대 운동이 발생함으로써, 차양부(500)의 전개 및 감김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양축(510)의 회전은 수동으로 실시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전동 모터를 더 구비하여, 사용자의 작동 신호에 따라 전동 모터를 작동시켜 차양축을 회전시킴으로써 차양막의 전개 내지 감김 상태를 형성할 수도 있음은 명백하다. 또한, 도 1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된 복수 개의 차양 링크(550)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었는데, 이들이 서로 간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핸드 레일에 형성된 수직 지지대 수용홈 및 수직 지지대는 다른 변형예를 형성할 수도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지지대(300)의 외측에는 핸드 레일(210)에 수평하게 돌출 형성되는 수직 돌출부(310)가 ㅕ배치된다. 핸드 레일(210) 측의 수직 돌출부(310)와 대응되는 영역에는 수직 돌출부 수용부(213)가 형성된다. 따라서, 수직 지지대(300)에 핸드 레일(210)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핸드 레일(210)의 수직 지지대 수용홈(211)에 수용되는 경우, 수직 지지대(300)의 적어도 일측에 돌출 형성된 수직 돌출부(310)는 핸드 레일(210)에 형성된 수직 돌출부 수용부(213) 내부로 수용된다. 따라서, 수직 지지대(300)가 핸드 레일(210)에 장착되어 지지되는 경우, 수직 돌출부(310) 및 수직 돌출부 수용부(213)에 의하여 더욱 견고한 지지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수직 지지대와 핸드 레일 간의 결합은 또 다른 변형예를 구비할 수도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지지대(300)는 수직 회전 걸림대(320)를 더 구비하고, 핸드 레일(210)에는 걸림대 수용홈(215)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수직 지지대(300)가 핸드 레일(210)의 수직 지지대 수용홈(211)에 삽입되는 경우 핸드 레일(210)을 향한 수직 지지대(300)의 일측면 상에는 수직 회전 걸림대(320)가 배치된다. 수직 회전 걸림대(320)는 수직 지지대(300)의 일측 상에 형성된 수직 회전 걸림대 안착홈(323)에 안착 수용되는데, 일단은 수직 지지대(300)의 수직 회전 걸림대 안착홈(323)의 내측 하단에 걸림대 힌지(322)에 의하여 힌지 결합된다. 수직 회전 걸림대(320)의 타단에는 걸림대 돌기(321)가 형성되고 핸드 레일(210)의 일측 상에는 걸림대 돌기(321)에 대응되는 걸림대 수용홈(215)이 형성됨으로써, 수직 회전 걸림대(320)는 걸림대 힌지(322)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걸림대 돌기(321)가 걸림대 수용홈(215)에 수용되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걸림대 돌기(321)와 걸림대 수용홈(215)의 결합에 의하여 수직 지지대는 핸드 레일에 의하여 더욱 공고히 지지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또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차양부가 장착된 가로대의 설치를 보다 용이하게 하고 조립성을 강화시키기 위한 구조의 조립식 정자를 제공할 수도 있다. 즉,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지지대는 복수 개, 구체적으로 두 개가 구비되고, 가로대(400)의 수직 지지대(300)를 향한 일면에는 가이드 홈(410)이 배치된다. 수직 지지대(300)의 상단에는 가이드 지지부(330)가 배치되는데, 가이드 지지부(330)는 적어도 일측을 향하여 돌출된 형상을 구비하고 가이드 홈(410)은 가이드 지지부(330)에 대응되는 구조를 취한다. 따라서, 가이드 홈(410)이 가이드 지지부(330)에 맞물리어 상대 운동을 이룸으로써, 가로대(400)가 수직 지지대 (300)에 의하여 지지되며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정자의 수직 지지대 상단에 배치되는 가이드 지지부는 상기와 같은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5b 내지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지지대 및 수직 지지대의 상단에 장착된 가로대의 맞물림 결합은 롤러 타입을 취할 수도 있다. 수직 지지대(300)의 상단에는 가이드 롤러(331)가 배치되되, 가이드 롤러(331)는 수직 지지대(330)의 상단에 배치된 가이드 롤러 지지축(333) 상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가로대(400)의 내측에는 가이드 홈(410)이 형성되는데, 가이드 홈(410)은 가로대(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따라서, 가로대(400)에 형성된 가이드 홈(410)에 가이드 롤러(331)가 맞물리는 경우, 가이드 롤러(331)는 가이드 홈(410)을 따라 상대적으로 안내됨으로써, 가로대(400)가 수직 지지대(300)에 의하여 지지되며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가로대를 수직 지지대 상에 안정적이면서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가이드 롤러와 가이드 홈의 상대 운동을 통하여 이동하는 가로대의 안정적인 설치를 위하여, 가이드 홈에는 가이드 롤러의 이동을 제한하는 구성 요소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홈의 상면에는 가이드 롤러 고정홈(420)이 형성되고, 가이드 롤러(331)가 가이드 홈(410)을 따라 안내되어 이동한 후 가이드 롤러 고정홈(420)에 도달하는 경우, 가로대(400)의 자중에 의하여 가로대(400)의 가이드 롤러 고정홈(420)이 가이드 롤러(331)와 맞닿게 되어, 가이드 롤러 고정홈(420)의 내측면이 가이드 롤러(331)에 대하여 턱으로 작용함으로써, 가로대(400)가 길이 방향으로 원치 않는 이동을 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들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들로, 본 고안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실시예들에서 가로대와 수직 지지대의 결합은 단순한 체결 결합일 수도 있고, 별도의 가이드 롤러를 구비하지 않고 가이드 홈을 따라 삽입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끼워 맞춤 타입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차양부의 차양축이 전기 모터와 같은 구동기에 의하여 구동되는 자동 전개 차양막을 구비할 수도 있으며, 베이스 측이 수직 지지대를 더 지지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차양부가 장착되는 가로대를 지지하는 수직 지지대가 핸드 레일에 의하여 지지되는 구성을 취하는 점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정자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정자는, 전개 및 감김 가능한 차양부가 장착된 가로대를 지지하는 수직 지지대가 핸드 레일부에 의하여 공고하게 지지됨으로써, 조립성과 더불어 안정성을 강화시키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둘째,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정자는, 수직 지지대의 외측에 배치되는 수직 돌출부와 핸드 레일부의 형성된 수직 돌출부 수용부와의 맞물림에 의하여, 핸드 레일과 수직 지지대가 이루는 평면에서 수직 지지대를 보다 공고히 지지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셋째,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정자는, 가로대에 형성된 가이드 홈과 수직 지 지대 상단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맞물리는 가이드 롤러 등과 같은 구성 요소에 의하여 보다 용이하게 가로대의 장착이 가능한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가장 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핸드 레일을 포함하는 핸드 레일부;
    상기 핸드 레일의 측부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수직 지지대;
    상기 수직 지지대의 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수직 지지대에 의하여 지지되는 가로대;
    상기 가로대에 장착되는 차양부;를 구비하며,
    상기 핸드 레일의 외측단에는 상기 수직 지지대를 수용하는 수직 지지대 수용홈이 구비되는 조립식 정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지지대의 외측에는 상기 핸드 레일에 수평하게 돌출되는 수직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핸드 레일에는 상기 수직 돌출부와 대응되는 수직 돌출부 수용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정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지지대의 상기 핸드 레일을 향한 일측에는 상기 핸드 레일을 향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수직 회전 걸림대가 장착되고,
    상기 핸드 레일에는 상기 수직 회전 걸림대를 수용하기 위한 걸림대 수용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정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대의 상기 수직 지지대를 향한 일면에는 가이드 홈이 구비되고,
    상기 수직 지지대는 두 개가 구비되되, 상기 수직 지지대의 상단에는 상기 가이드 홈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가이드 지지부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정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지지부는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회전하며 상대 운동하는 가이드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정자.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의 상면에는 상기 가이드 롤러의 이동을 제한하는 가이드 롤러 고정홈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정자.
KR2020060013331U 2006-05-18 2006-05-18 조립식 정자 KR2004234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331U KR200423430Y1 (ko) 2006-05-18 2006-05-18 조립식 정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331U KR200423430Y1 (ko) 2006-05-18 2006-05-18 조립식 정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3430Y1 true KR200423430Y1 (ko) 2006-08-07

Family

ID=41772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3331U KR200423430Y1 (ko) 2006-05-18 2006-05-18 조립식 정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3430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935B1 (ko) 2007-02-16 2007-11-28 이형철 대나무를 이용한 원두막
KR101202771B1 (ko) 2010-03-30 2012-11-19 원대희 반음지성 식물 재배용 구조체
KR101210823B1 (ko) 2012-07-30 2012-12-18 오리코스포텍(주) 차양기능이 강화된 퍼걸러
KR101253349B1 (ko) 2011-04-28 2013-04-10 주식회사 초원조경개발공사 방한/방풍문이 자동 개폐되는 정자
KR101295913B1 (ko) 2012-07-26 2013-08-13 주식회사 초원조경개발공사 원터치로 자동 구동되는 차광막과 비닐막의 이중 막을 갖는 정자
KR101587948B1 (ko) 2015-03-11 2016-02-02 주식회사 두손피씨 프레임의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차양용 구조물
KR101913581B1 (ko) * 2018-05-29 2018-10-31 주식회사 베스트컴퍼니 조립식 정자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935B1 (ko) 2007-02-16 2007-11-28 이형철 대나무를 이용한 원두막
KR101202771B1 (ko) 2010-03-30 2012-11-19 원대희 반음지성 식물 재배용 구조체
KR101253349B1 (ko) 2011-04-28 2013-04-10 주식회사 초원조경개발공사 방한/방풍문이 자동 개폐되는 정자
KR101295913B1 (ko) 2012-07-26 2013-08-13 주식회사 초원조경개발공사 원터치로 자동 구동되는 차광막과 비닐막의 이중 막을 갖는 정자
KR101210823B1 (ko) 2012-07-30 2012-12-18 오리코스포텍(주) 차양기능이 강화된 퍼걸러
KR101587948B1 (ko) 2015-03-11 2016-02-02 주식회사 두손피씨 프레임의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차양용 구조물
KR101913581B1 (ko) * 2018-05-29 2018-10-31 주식회사 베스트컴퍼니 조립식 정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3430Y1 (ko) 조립식 정자
US5564453A (en) Apparatus for stationary screening
EP1889983A1 (en) Composite awning device
US20170071139A1 (en) Greenhouse with synchronizing cover assembly and method for inducing plant photoperiodism in plants
CN102859099B (zh) 雨伞式自动帐篷支架结构
US9845607B2 (en) Cover assembly for a spa
CA2516014A1 (en) Sunshade, umbrella or the like
KR101831493B1 (ko) 버티칼 어닝장치
US20100258252A1 (en) Awning
CN201953140U (zh) 一种调节顶部开窗的帐篷
KR20180020837A (ko) 스쿠터용 접이식 차양막
KR200461639Y1 (ko) 다기능 방충문
KR200384470Y1 (ko) 낚시용 파라솔
KR101439648B1 (ko) 수납식 가구의 승하강 구동 장치
AU738481B2 (en) Weather protection device with at least one foldable protection component
CA2647667A1 (en) Foldable tent
CN201775347U (zh) 伸缩折叠方形蚊帐架
CN213710145U (zh) 一种房车全自动雨棚
KR20140003970A (ko) 파라솔
CN215407639U (zh) 一种多功能的基础设施亭
CN219953117U (zh) 一种单电机可折叠天棚帘
KR100316141B1 (ko) 휴대용 파라솔 구조물
KR200343875Y1 (ko) 차양장치
KR20150030361A (ko) 차양 구조를 구비하는 벤치
KR102039561B1 (ko) 조명이 구비된 분리식 파라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