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3349B1 - 방한/방풍문이 자동 개폐되는 정자 - Google Patents

방한/방풍문이 자동 개폐되는 정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3349B1
KR101253349B1 KR1020110041075A KR20110041075A KR101253349B1 KR 101253349 B1 KR101253349 B1 KR 101253349B1 KR 1020110041075 A KR1020110041075 A KR 1020110041075A KR 20110041075 A KR20110041075 A KR 20110041075A KR 101253349 B1 KR101253349 B1 KR 101253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old
windproof
pillar
spe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1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2738A (ko
Inventor
박기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초원조경개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초원조경개발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초원조경개발공사
Priority to KR1020110041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3349B1/ko
Publication of KR20120122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2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3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3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0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fol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한/방풍문이 자동 개폐되는 정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쉼터로 이용되는 정자(1)에 있어서,
접이식 방한/방풍문(8)의 승하강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레일(7)이 수직으로 형성된 기둥(3)과;
횡보(4)에 경첩(9b)으로 결합되거나 상기 기둥(3)의 상부에 회전자재토록 축봉(12)으로 축설되는 상단 문(8a)과 하부에 개폐줄(14) 일단이 축봉에 고정되는 승하강 안내롤러(13)가 형성된 하단 문(8b)이 서로 경첩(9a)으로 결합되거나 힌지(10) 결합되어 접이식으로 각 기둥(3)과 기둥 사이에 형성된 방한/방풍문(8) 및;
상기 방한/방풍문(8)을 개별 또는 동시 개폐하기 위하여 각 기둥(3)과 기둥 사이의 상부에 형성된 횡보(4)에 설치된 모터(16)의 양 축(19)에 형성되어 일단이 방한/방풍문(8)의 하단에 고정된 개폐줄(14)을 감거나 풀어주는 드럼(17)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은 기둥과 기둥 사이에 자동으로 개폐되는 방한/방풍문을 설치하여 추위와 비바람을 막아 줌으로써 정자를 일년 내내 쉼터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방한/방풍문이 자동 개폐되는 정자{Winter/wind-door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of gazebo}
본 발명은 방한/방풍문이 자동 개폐되는 정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노상에 설치하여 쉼터로 이용하는 정자의 각 기둥과 기둥 사이에 추위와 비바람을 막아주는 접이식 방한/방풍문을 설치하여 자동으로 개폐함으로써 일년 내내 쉼터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방한/방풍문이 자동 개폐되는 정자에 관한 것이다.
정자는 노상에 설치하여 쉼터로 이용하며, 상기 정자는 주춧돌 위에 기둥을 세우고 마루를 짠 다음 지붕을 덮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정자는 사방이 뚫려 있어 여름철 시원하게 이용할 수 있지만 비바람이 불거나 추운 겨울에는 이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정자는 사방이 뚫려 있어 먼지 등이 마루에 쌓이게 되므로 꾸준한 청소 등의 관리가 요구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정자의 기둥과 기둥 사이에 알루미늄으로 제작한 서양식 문을 달아 사람이 열고 닫는 정자를 시공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 정자는 기와로 지붕을 덮은 우리나라 전통 건축물에 알루미늄으로 짠 서양식 문을 달은 것이므로 조화가 맞지 않아 건축미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비바람과 추위를 막아 줄 수 있는 방한/방풍문이 자동으로 개폐되는 정자를 제공하여 일년 내내 쉼터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한/방풍문을 전통방식으로 형성하여 기와로 지붕을 형성한 우리나나 전통정자와 조화가 이루어져 전통 건축미를 갖는 정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정자를 형성하는 기둥과 기둥 사이에 방한/방풍문을 설치하되 상기 기둥에는 가이드 레일을 수직으로 형성하여 상기 방한/방풍문을 접고 펼 때 하단 문에 형성된 승하강 안내롤러를 안내하고, 상기 방한/방풍문은 상단 문과 하단 문으로 형성하여 상단 문은 횡보에 경첩으로 결합하고 상단 문과 하단 문도 경첩으로 결합하여 접고 펴며, 방한/방풍문의 하단 문에는 개폐줄 일단을 고정하여 횡보에 설치된 모터의 양 축에 형성된 드럼에 감거나 풀어 상기 방한/방풍문을 자동으로 개폐하는 수단을 강구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한/방풍문을 나무로 문살을 짜고 한지로 된 창호지를 발라 추위와 비바람을 막아 주면서 전통미를 갖도록 하였다.
상술한 본 발명은 기둥과 기둥 사이에 자동으로 개폐되는 방한/방풍문을 설치하여 추위와 비바람을 막아 줌으로써 정자를 일년 내내 쉼터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자를 이용하지 않을 때 방한/방풍문을 닫아 둠으로써 마루에 먼지가 쌓이는 것을 방지하므로 항상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정자 방한/방풍문이 전부 열린 상태 정면도
도 1b는 본 발명의 정자 방한/방풍문이 전부 열린 상태 요부 평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정자 출입구측 방한/방풍문이 열린 상태 정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정자 출입구측 방한/방풍문이 열린 상태 요부 평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정자 방한/방풍문이 전부 닫힌 상태 정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정자 방한/방풍문이 전부 닫힌 상태 요부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정자 주요부를 구성하는 기둥과 가이드레일 및 방한/방풍문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정자 방한/방풍문을 닫은 상태 요부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정자 방한/방풍문을 열은 상태 요부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5c는 본 발명의 정자 요부 평면도
도 5d는 본 발명의 정자 일요부 확대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정자 요부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요부 평면도
본 발명의 방한/방풍문이 자동 개폐되는 정자의 구성과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하,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정자(1)는 사각정자, 육각정자, 팔각정자 모두에 적용된다.
상기 정자(1)는 주춧돌(2)과; 상기 주춧돌(2) 위에 세워지는 기둥(3)과; 상기 기둥(3)과 기둥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횡보(4)와; 상기 기둥(3)의 상부에 형성되는 지붕(5) 및 상기 기둥(3)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마루(6)를 기본 구성으로 한다.
상기 정자(1)의 각 기둥(3)과 기둥 사이에는 방한/방풍문(8)을 접이식으로 구성 한다.
상기 기둥(3)에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정자, 육각정자, 팔각정자의 각도에 맞게 수직으로 홈을 따서 ㄷ자 모양의 가이드레일(7)을 삽입, 고정한다.
상기 방한/방풍문(8)은 나무로 문살을 짜맞추고 한지로 된 창호지를 발라 추위와 비바람을 방지하면서 전통미를 갖도록 하였다.
상기 방한/방풍문(8)은 도 5a, 5d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문(8a)과 하단 문(8b)으로 제작하여 상기 상단 문(8a)과 하단 문(8b)을 경첩(9a)으로 결합하거나 서로 맞물리는 힌지(10)로 결합하여 접힐 수 있도록 형성하고, 상기 방한/방풍문(8)은 기둥(3)과 기둥 사이에 형성된 횡보(4)에 상단 문(8a)을 경첩(9b)으로 결합하거나 일단이 기둥(3)에 회전자재토록 축삽되는 축봉(12)을 형성하여 상기 방한/방풍문(8)이 경첩(9b) 또는 축봉(12)을 중심으로 접이식으로 열리고 닫히도록 하였다.
상기 방한/방풍문(8)의 상단 문(8a) 축봉(12)에는 회전자재 하는 지지롤러(18)를 형성하여 방한/방풍문(8)을 접고 펴는 것이 원활하도록 하였다.
상기 방한/방풍문(8)은 도 5a,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 문(8b)의 하부 양측에 승하강 안내롤러(13)를 형성하여 기둥(3)에 형성된 가이드레일(7)을 따라 승하강하며, 상기 승하강 안내롤러(13)의 축봉에는 구멍을 뚫어 개폐줄(14) 일단을 끼운 다음 고정하거나 상기 하단 문(8b)의 하부 측면에 개폐줄 고정구(15)를 형성하여 상기 개폐줄(14)의 일단을 고정함으로써 횡보(4)에 설치된 모터(16)의 양 축(19)에 형성된 드럼(17)으로 상기 개폐줄(14)을 감거나 풀어 방한/방풍문(8)을 여닫는다.
상기 방한/방풍문(8)은 각 기둥(3)과 기둥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방한/방풍문(8)을 개폐하기 위한 모터(16)는 각 횡보(4)의 상단에 설치된다.
상기 모터(16)는 횡보(4)에 안착하여 양 축(19)을 축 지지구(11)로 지지한 다음 양 축(19)에 개폐줄(14)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개폐줄(14)을 풀거나 감는 드럼(17)을 구동하도록 하였다.
상기 정자(1)의 각 횡보(4) 상단에 설치된 각 모터(16)는 컨트롤박스에 의해 개별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출입구측 및 필요한 방향의 방한/방풍문(8)을 개별 여닫거나 동시에 여닫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기둥(3)에 형성된 가이드레일(7) 안쪽에 방충망 설치홈(21)을 형성하여 롤에 방충망지 일단이 고정되어 일측에 형성된 개폐롤러를 줄로 당기면 상, 하로 열리고 닫히는 방충망(20)을 상기 기둥(3) 상부 또는 횡보(4)에 축설하여 모기, 파리 등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방충망(20)은 그 형태와 구조를 다양하게 설계변경하여 실시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방한/방풍문이 자동 개폐되는 정자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정자(1)는 평상시에는 도 1a,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3)과 기둥 사이에 형성된 방한/방풍문(8)을 전부 접어 시원하게 사용하다가 비바람이 불거나 추운 겨울에는 도 3a,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3)과 기둥 사이에 형성된 방한/방풍문(8)을 모두 닫아 방한/방풍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방한/방풍문(8)이 전부 닫힌 상태에서 정자(1)에 출입할 때에는 도 2a,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구측 방한/방풍문(8)만을 개폐하면 된다.
상기 접이식 방한/방풍문(8)의 개폐를 도 5a, 5b와 관련하여 설명하면, 먼저 출입구측 횡보(4)에 설치된 모터(16)를 구동시키면 상기 모터(16)의 양 축(19)에 형성된 드럼(17)에 개폐줄(14)이 감기면서 기둥(3)과 기둥 사이에 형성된 방한/방풍문(8)의 하단 문(8b) 하부에 형성된 승하강 안내롤러(13) 또는 개폐줄 고정구(15)에 일단이 고정된 상기 하단 문(8b)이 횡보(4)에 경첩(9a) 또는 힌지(10)로 결합된 상단 문(8b)을 밀쳐 접으면서 승강하여 횡보(4)와 결합된 경첩(9b)을 중심으로 접히게 되어 출입구측 방한/방풍문(8)이 열리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방한/방풍문(8)의 하단 문(8b)은 하부 양측에 형성된 승하강 안내롤러(13)가 기둥(3)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레일(7)을 따라 안정된 상태에서 원활하게 승하강하게 된다.
상기 출입구측 방한/방풍문(8)을 닫을 때에는 출입구측 모터(16)를 역회전시켜 드럼(17)에 감긴 개폐줄(14)을 풀어주면 닫히게 된다.
그리고 출입구측을 제외한 나머지 방한/방충문(8)을 열고 닫을 때에는 각 기둥(3)과 기둥 사이의 횡보(4) 상단에 설치된 모터(16)를 개별 또는 동시 구동시켜 개폐줄(14)을 드럼(17)에 감거나 풀어주면 된다.
1 : 정자 3 : 기둥
4 : 횡보 7 : 가이드레일
8 : 방한/방풍문 9a. 9b : 경첩
13: 승하강 안내롤러 14: 개폐줄
16: 모터 17: 드럼

Claims (3)

  1. 쉼터로 이용되는 정자(1)에 있어서,
    접이식 방한/방풍문(8)의 승하강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레일(7)이 수직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기둥(3)과;
    횡보(4)에 경첩(9b)으로 결합되거나 상기 기둥(3)의 상부에 회전자재토록 축봉(12)으로 축설되는 상단 문(8a)과 하부에 개폐줄(14) 일단이 축봉에 고정되는 승하강 안내롤러(13)가 형성된 하단 문(8b)이 서로 경첩(9a)으로 결합되거나 힌지(10) 결합되어 접이식으로 각 기둥(3)과 기둥 사이에 형성된 방한/방풍문(8) 및;
    상기 방한/방풍문(8)을 개별 또는 동시 개폐하기 위하여 각 기둥(3)과 기둥 사이의 상부에 형성된 횡보(4)에 설치된 모터(16)의 양 축(19)에 형성되어 일단이 방한/방풍문(8)의 하단에 고정된 개폐줄(14)을 감거나 풀어주는 드럼(17)으로 구성되며,
    상기 개폐줄(14)은 방한/방풍문(8)의 하단 문(8b) 하부에 개폐줄 고정구(15)를 형성하여 일단을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방풍문이 자동 개폐되는 정자.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3)에 형성된 가이드레일(7)과 인접하여 방충망 설치홈(21)을 형성한 다음 방충망(20)을 기둥(3)과 기둥 사이 상부에 축설하여 방한/방풍문(8)이 내측에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방풍문이 자동 개폐되는 정자.
KR1020110041075A 2011-04-28 2011-04-28 방한/방풍문이 자동 개폐되는 정자 KR101253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075A KR101253349B1 (ko) 2011-04-28 2011-04-28 방한/방풍문이 자동 개폐되는 정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075A KR101253349B1 (ko) 2011-04-28 2011-04-28 방한/방풍문이 자동 개폐되는 정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2738A KR20120122738A (ko) 2012-11-07
KR101253349B1 true KR101253349B1 (ko) 2013-04-10

Family

ID=47508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1075A KR101253349B1 (ko) 2011-04-28 2011-04-28 방한/방풍문이 자동 개폐되는 정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334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0458A (ja) * 1993-03-26 1994-10-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昇降扉
KR200319639Y1 (ko) 2003-04-25 2003-07-12 민경옥 창문용 블라인드
KR200407596Y1 (ko) * 2005-09-01 2006-02-01 주식회사 설산실업 방갈로형 원두막
KR200423430Y1 (ko) 2006-05-18 2006-08-07 김미혜 조립식 정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0458A (ja) * 1993-03-26 1994-10-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昇降扉
KR200319639Y1 (ko) 2003-04-25 2003-07-12 민경옥 창문용 블라인드
KR200407596Y1 (ko) * 2005-09-01 2006-02-01 주식회사 설산실업 방갈로형 원두막
KR200423430Y1 (ko) 2006-05-18 2006-08-07 김미혜 조립식 정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2738A (ko) 201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8429B2 (en) Patio cover and storm protection device
KR102012748B1 (ko) 아치형 개폐식 지붕장치
JP2010065513A (ja) オーニング装置
KR20180077655A (ko) 막구조물의 버티컬 셔터
US4301851A (en) Combined movable shutter and awning
KR101514016B1 (ko) 캐노피형 어닝
KR101932129B1 (ko) 혹한과 혹서를 대비한 버스 대기소
KR20140143039A (ko) 가변형 구조물
KR101589481B1 (ko) 개량된 차광구조를 갖는 정자
KR101253349B1 (ko) 방한/방풍문이 자동 개폐되는 정자
KR101765013B1 (ko) 실외용 차양장치
KR101746553B1 (ko) 공동주택용 발코니 차양장치
KR101128503B1 (ko) 접이식 차양 구조물
KR20160120635A (ko) 창호 시스템
KR100778826B1 (ko) 아케이드 구조물
KR101184446B1 (ko) 방한/방풍문이 자동 개폐되는 정자
US20100199578A1 (en) Home saver storm shield
US11937567B2 (en) Retractable curtain for livestock structures
KR200482821Y1 (ko) 텐션장치가 구비된 전동식 차양막
KR200446420Y1 (ko) 베니션블라인드의 고정장치
KR101588967B1 (ko) 접이식 수평덧창 및 수평도어
KR101324728B1 (ko) 캐노피 기능을 갖는 천막형 체육시설용 출입구 개폐구조
KR101895689B1 (ko) 자동 개폐 가능한 루프가 구비된 가든하우스
KR102117188B1 (ko) 복층형 이동식 주택
CN114016683B (zh) 一种开合式挡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