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5689B1 - 자동 개폐 가능한 루프가 구비된 가든하우스 - Google Patents

자동 개폐 가능한 루프가 구비된 가든하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5689B1
KR101895689B1 KR1020160167864A KR20160167864A KR101895689B1 KR 101895689 B1 KR101895689 B1 KR 101895689B1 KR 1020160167864 A KR1020160167864 A KR 1020160167864A KR 20160167864 A KR20160167864 A KR 20160167864A KR 101895689 B1 KR101895689 B1 KR 101895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op
closing
opening
beam member
op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7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6716A (ko
Inventor
노용래
배유근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67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5689B1/ko
Publication of KR20180066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6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5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5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1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06Canopies, i.e. devices providing a roof above the pl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54Roof garden systems; Roof coverings with high solar reflect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4Measures for saving energy, e.g. in green hou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개폐 가능한 루프가 구비된 가든하우스는, 수직방향으로 지면에 설치되는 기둥 및 상기 기둥의 상측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보부재를 포함하는 구조부; 상기 보부재 상에서 개폐되도록 마련되는 루프; 상기 보부재의 일 측에 장착되어 상기 루프를 권취 또는 권출시키는 루프 구동부; 및 상기 보부재 및 상기 루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루프의 개폐를 가이드하는 슬라이딩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는, 상기 보부재 상에 상기 루프의 개폐 방향을 따라 연장된 연장부재; 및 상기 연장부재 상에 안착된 복수 개의 롤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개폐 가능한 루프가 구비된 가든하우스{GARDENHOUSE WITH ROOF CAPABLE OF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본 발명은 자동 개폐 가능한 루프가 구비된 가든하우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기상 여건에 따라 루프가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는 가든하우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도심의 주거 환경이 중요시 되면서 아파트 단지나 일반가정의 마당 및 놀이터 시설, 노인 회관 등이 형성되고, 아파트 단지에 주변에도 크고 작은 공원이 조성되고 있으며, 주거 지역을 벗어난 공단이나 고층 건물이 형성된 상업지역에도 사람들이 여유를 가질 수 있도록 소공원이 조성되고 있다.
이와 같이 놀이 시설이나 노인회관, 공원 등에는 여름철에 강한 햇빛을 차단하고 쉼 공간을 제공하는 가든하우스(파고라)의 구조물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가든하우스는 주위 환경과 조화를 이루면서 이용자들이 비나 햇빛을 피할 수 있도록 안락한 쉼터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철재나 목재로 된 기둥 상부에 지붕체를 형성시켜 그 내부에 그늘이나 안락한 쉼터를 제공한다.
가든하우스는 현재 미국이나 해외에서 주택 정원에도 활용성이 다양하다. 집안의 공간의 한계를 극복하고 쾌적한 자연의 공간에서 보다 편안한 파티를 즐길수 있도록 하여 인기가 높다. 그런데 현재의 가든하우스는 건축물로서 건축허가를 받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하며 그 제약이 따른다.
이와 같은 가든하우스의 일 예가 등록특허 제10-1184852호에 제시되어 있다.
종래의 파고라는 고정형 지붕을 가지고 있어서 건축물의 허가나 사용자의 구비에 따라 개패할 수 있는 시스템이 없었다. 파고라의 지붕을 열고 닫을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한다면, 건축물의 허가 대상에서 벗어날 수 있으며 이는 손쉽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사용하지 않을 때는 지붕을 개방함으로써 기존의 파고라의 패쇄성을 극복할 수 있다. 나아가 건축 허가 및 복잡한 조건에 해방된다면 많은 주택 및 설치공간에 쉽게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모터 구동에 의해 파고자 지붕의 개폐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차양용 또는 비가림용 등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자동 개폐 가능한 루프가 구비된 가든하우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기상 여건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자동으로 개폐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파고라 또는 가든하우스의 유지 보수에 적합한 자동 개폐 가능한 루프가 구비된 가든하우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루프 개폐를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루프 개폐 시 슬라이딩에 의한 마모를 방지하여 루프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자동 개폐 가능한 루프가 구비된 가든하우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기상 여건에 의한 루프의 파손(또는 변형)이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 개폐 가능한 루프가 구비된 가든하우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루프의 개폐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루프의 풀림 속도와 루프의 이송 속도를 맞춤으로써 루프의 개폐 시 루프의 겹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 개폐 가능한 루프가 구비된 가든하우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개폐 가능한 루프가 구비된 가든하우스는, 수직방향으로 지면에 설치되는 기둥 및 상기 기둥의 상측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보부재를 포함하는 구조부; 상기 보부재 상에서 개폐되도록 마련되는 루프; 상기 보부재의 일 측에 장착되어 상기 루프를 권취 또는 권출시키는 루프 구동부; 및 상기 보부재 및 상기 루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루프의 개폐를 가이드하는 슬라이딩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는, 상기 보부재 상에 상기 루프의 개폐 방향을 따라 연장된 연장부재; 및 상기 연장부재 상에 안착된 복수 개의 롤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연장부재는 복수 개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 개의 연장부재는 상기 루프의 개폐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복수 개의 롤러 부재는 상기 연장부재 상에서 서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루프의 양단에는 윈드볼이 장착되고, 상기 보부재 상에서 마주보는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윈드볼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윈드볼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윈드볼 가이드부는, 상기 루프의 개폐 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일 측에는 상기 루프가 관통되도록 개방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상기 윈드볼이 이동되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루프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루프에 인장력을 가하는 텐션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텐션 조절부에 의해 상기 루프의 개폐 시 상기 루프가 팽팽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텐션 조절부는, 상기 루프에 연결된 로프 부재; 및 상기 로프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루프에 의해 변형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 상기 루프에 인장력이 가해질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텐션 조절부는, 상기 루프에 연결된 로프 부재; 상기 로프 부재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유압이 공급되는 실린더 부재; 및 일단은 상기 실린더 부재 내에 배치되고 타단에는 상기 로프 부재가 연결된 피스톤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 부재 내 상기 피스톤 부재의 이동에 의해 상기 루프에 인장력이 가해질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텐션 조절부는, 상기 실린더 부재에 연결된 유압 공급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 부재 내에 공급되는 유압은 상기 루프의 개폐 속도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는, 상기 연장부재의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루프의 단부를 고정시키는 잠금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 부재가 해제된 후에 상기 루프 구동부에 의해 상기 루프가 권취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구조부에서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방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충부는, 상기 기둥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개폐되는 방충망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개폐 가능한 루프가 구비된 가든하우스에 의하면, 모터 구동에 의해 파고자 지붕의 개폐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차양용 또는 비가림용 등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개폐 가능한 루프가 구비된 가든하우스에 의하면, 기상 여건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자동으로 개폐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파고라 또는 가든하우스의 유지 보수에 적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개폐 가능한 루프가 구비된 가든하우스에 의하면, 루프 개폐를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루프 개폐 시 슬라이딩에 의한 마모를 방지하여 루프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개폐 가능한 루프가 구비된 가든하우스에 의하면, 기상 여건에 의한 루프의 파손(또는 변형)이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개폐 가능한 루프가 구비된 가든하우스에 의하면, 루프의 개폐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루프의 풀림 속도와 루프의 이송 속도를 맞춤으로써 루프의 개폐 시 루프의 겹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든하우스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서 루프가 제거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3은 도 1에서 A-A에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a 및 4b는 텐션 조절부의 구성을 도시한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든하우스를 도시하고, 도 2는 도 1에서 루프가 제거된 모습을 도시하고, 도 3은 도 1에서 A-A에 따른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4a 및 4b는 텐션 조절부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가든하우스(10)는 구조부(100), 루프(200), 루프 구동부(300), 슬라이딩 가이드부(400), 윈드볼 가이드부(500), 텐션 조절부(600; 도 4a 및 4b 참조) 및 방충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조부(100)는 수직방향으로 지면에 설치되는 기둥(110) 및 상기 기둥(100)의 상측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보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 개의 기둥(110)이 서로 이격 배치되고, 네 개의 기둥(110)의 상측부에서 네 개의 보부재(120)가 사각형의 형태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네 개의 기둥(110) 중 후방에 배치된 두 개의 기둥(110)은 전방에 배치된 두 개의 기둥(110)보다 높이가 높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네 개의 보부재(120)가 네 개의 기둥(110)의 상측면에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는 구조부(100) 상에서 루프(200)의 개폐를 원활하게 하고, 루프(200) 상에 놓여진 낙엽 또는 눈 등의 이물질이 루프(200)로부터 지면으로 용이하게 제거되게 할 수 있다.
또한, 구조부(100)의 형상은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경우에 따라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구조부(100)의 상부, 예를 들어 보부재(120) 상에 루프(2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루프(200)는 예를 들어 2mm인 시트로 마련될 수 있으며, 방수 재질로 마련되어 가든하우스(10) 내부를 눈 또는 비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루프(200)는 보부재(120) 상에서 일방향으로 개폐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루프(200)는 S1 화살표 방향과 같이 전방으로 후방으로 권취되면서 보부재(120) 상에서 개방될 수 있고, S2 화살표 방향과 같이 후방에서 전방으로 권출되면서 보부재(120) 상에서 폐쇄될 수 있다.
특히, 도 3을 참조하여, 루프(200)의 양단에는 윈드볼(WB)이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루프(200)에서 좌우측 단부에 적어도 하나의 윈드볼(WB)이 장착될 수 있으며, 윈드볼 가이드부(500)에 의해 윈드볼(WB)의 이동이 가이드되어 루프(200)의 개폐가 원활하게 될 수 있다. 윈드볼 가이드부(500)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술된다.
또한, 보부재(120)의 일 측에는 루프(200)를 권취 또는 권출시키기 위한 루프 구동부(3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루프 구동부(300)는 커버(310), 드럼(미도시) 및 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310)는 보부재(120) 중 후방에 배치된 보부재(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보부재(120) 상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커버(310)에는 루프(200)가 권취 또는 권출되도록 전방을 향하여 개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커버(310) 내에는 드럼 및 모터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드럼은 루프(200)가 권취 또는 권출되도록 커버(310) 내에서 커버(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상기 드럼에는 모터가 연결되어 모터에 의해 드럼이 회전될 수 있다.
이때, 모터의 구동에 의해 드럼이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루프(200)가 권취될 수 있고, 모터의 구동에 의해 드럼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루프(200)가 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터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루프(200)를 권취 또는 권출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루프(200)가 구조부(100)를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다.
또한, 보부재(120) 및 루프(200) 사이에는 슬라이딩 가이드부(4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400)는 복수 개의 연장부재(410), 복수 개의 롤러 부재(420) 및 잠금 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연장부재(410)는 보부재(120) 상에서 루프(200)의 개폐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연장부재(410)는 보부재(120) 상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연장부재(410)는 루프(200)의 개폐 방향과 수직하는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연장부재(410)는 예를 들어 'V'자 형상으로 마련되어, 복수 개의 연장부재(410) 상에 복수 개의 롤러 부재(420)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롤러 부재(420)는 복수 개의 연장부재(410) 상에서 서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으며,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루프(200)의 개폐 과정에서 슬라이딩 가이드부(400)의 복수 개의 롤러 부재(420)와 맞닿으면서 루프(200)의 슬라이딩에 의한 마모가 방지될 수 있고, 루프(200)의 개폐가 더욱 원활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연장부재(410)의 단부에는 잠금 부재(43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잠금 부재(4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연장부재(410)의 단부에서 직선 형태로 마련되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잠금 부재(430)가 복수 개의 연장부재(410) 중 일부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잠금 부재(430)는 루프(200)에 의해 구조부(100)가 폐쇄된 경우 루프(200)의 단부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루프(200)가 루프 구동부(300)에 의해 권출된 경우, 잠금 부재(430)로 루프(200)의 단부를 고정시킴으로써 바람과 같은 기상 여건에 의해 루프(200)가 펄럭거리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면, 잠금 부재(430)를 루프(200)의 단부로부터 먼저 해제시킴으로써 루프(200)에 의해 구조부(100)가 개방되거나 루프(200)가 루프 구동부(300)에 의해 권취될 수 있다.
한편, 보부재(120) 상에서 마주보는 양측에 윈드볼 가이드부(5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500)는 루프(200)의 개폐 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이드부재(51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가이드부재(510) 내에는 윈드볼(WB)이 장착된 루프(200)의 단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루프 구동부(300)에 인접하게 배치된 가이드부재(510)의 일단이 개방되어, 루프 구동부(300)에서 권취된 루프(200)가 가이드부재(510) 내에 안내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재(510)의 일 측은 루프(200)가 관통되도록 개방될 수 있으고, 가이드부재(510)에는 윈드볼(WB)이 이동되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가이드부재(510)의 하단에 윈드볼(WB)이 접촉되고, 루프(200)가 권취 또는 권출되는 경우 윈드볼(WB)이 가이드부재(510)의 하단을 따라 구르게 될 수 있다.
한편, 루프(200)의 양측에는 루프(200)에 인장력을 가하도록 텐션 조절부(600)가 배치될 수 있다.
특히, 도 4a를 참조하여, 텐션 조절부(600)는 로프 부재(610), 탄성 부재(620) 및 롤러(6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프 부재(610)는 루프(20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프 부재(610)는 루프(200)의 하단 또는 측면에 연결될 수 있으며, 루프(200)에 대하여 인장력을 가하고자 하는 방향에 따라서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탄성 부재(620)는 예를 들어 텐션 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탄성 부재(620)는 로프 부재(610)의 단부에 연결되어 로프 부재(610)로부터 나란히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탄성 부재(620)는 예를 들어 전술된 가이드부재(510) 내에 배치되거나 추가적인 프레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로프 부재(610)와 탄성 부재(620)가 나란히 배치되도록 하기 위해 로프 부재(610)와 탄성 부재(620) 사이에 롤러(63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프 부재(610)의 일단이 루프(200)의 하단에 연결되어 하방으로 연장되고, 롤러(630)를 감싸면서 상방으로 방향이 전환된 후에, 로프 부재(610)의 타단이 탄성 부재(620)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루프(200)가 개폐되는 경우 탄성 부재(620)가 상하 방향으로 변형되는 경우 탄성 부재(620)에 연결된 로프 부재(610) 또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에 의해 로프 부재(610)에 연결된 루프(200)가 당겨질 수 있다.
따라서, 탄성 부재(620)에 의해 루프(200)에 인장력이 가해져, 루프(200)가 개폐되는 동안 텐션 조절부(600)에 의해 루프(200)가 팽팽한 상태로 유지되어, 루프(200)의 겹침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도 4b를 참조하여, 텐션 조절부(600)는 로프 부재(610), 실린더 부재(620a), 피스톤 부재(620b), 유압 공급 부재(620c) 및 롤러(6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프 부재(610)는 루프(20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프 부재(610)는 루프(200)의 하단 또는 측면에 연결될 수 있으며, 루프(200)에 대하여 인장력을 가하고자 하는 방향에 따라서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실린더 부재(620a)는 로프 부재(61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유압 공급 부재(620c)로부터 유압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 부재(620b)는 일단이 실린더 부재(620a) 내에 배치되고 타단은 로프 부재(6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로프 부재(610)와 실린더 부재(620a) 또는 피스톤 부재(620b)가 서로 나란히 배치되도록 하기 위해 로프 부재(610)와 피스톤 부재(620b) 사이에 롤러(63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프 부재(610)의 일단이 루프(200)의 하단에 연결되어 하방으로 연장되고, 롤러(630)를 감싸면서 상방으로 방향이 전환된 후에, 로프 부재(610)의 타단이 피스톤 부재(620b)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린더 부재(620a) 내에 공급된 유압에 의해 피스톤 부재(620b)가 하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로프 부재(610)는 상방으로 이동되고 루프(200)에 대하여 상방으로 외력이 가해질 수 있다.
반면, 실린더 부재(620a) 내에 공급된 유압의 제거에 의해 피스톤 부재(620b)가 상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로프 부재(620)는 하방으로 이동되고 루프(200)에 대하여 하방으로 외력이 가해질 수 있다. 이에 의해 루프(200)에 하방으로 인장력이 가해져, 루프(200)가 개폐되는 동안 텐션 조절부(600)에 의해 루프(200)가 팽팽한 상태로 유지되어, 루프(200)의 겹침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루프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한 루프 구동부(300)의 구동과 실린더 부재(620a), 피스톤 부재(620b) 및 유압 공급 부재(620c)의 작동이 서로 연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루프 구동부(300)의 구동이 개시되면 실린더 부재(620a), 피스톤 부재(620b) 및 유압 공급 부재(620c)의 작동이 개시되고, 루프 구동부(300)의 구동이 정지되면 실린더 부재(620a), 피스톤 부재(620b) 및 유압 공급 부재(620c)의 작동이 또한 정지될 수 있다.
또한, 유압 공급 부재(620c)로부터 실린더 부재(620a) 내에 공급되는 유압은 루프(200)의 개폐 속도에 맞추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루프(200)의 개폐 속도가 빠른 경우, 유압 공급 부재(620c)로부터 실린더 부재(620a) 내에 유압을 공급하여, 루프(200)에 대하여 상방으로 외력이 가해지게 할 수 있다. 반면, 루프(200)의 개폐 속도가 느린 경우, 실린더 부재(620a) 내 유압을 제거하여, 루프(200)를 하방으로 당기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루프(200)의 개폐 속도를 적정 속도로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특히, 텐션 조절부(600)는 루프(200)가 구조부(100) 상에서 폐쇄되는 경우, 루프(200)의 권출 속도와 루프(200)의 이송 속도를 맞추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는 루프(200)가 구조부(100) 상에서 개방되는 경우, 루프(200)의 권취 속도와 루프(200)의 이송 속도를 맞추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구조부(100)의 측면에는 방충부(7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방충부(700)는 복수 개의 기둥(10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방충부(700)는 복수 개의 기둥(100)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개폐되도록 마련된 복수 개의 방충망 부재(7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방충망 부재(710)는 구조부(100)의 벽체로서의 역할을 하고, 복수 개의 기둥(100)은 복수 개의 방충망 부재(710)의 개폐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방충망 부재(710)를 권취 또는 권출시키는 방충망 구동부(미도시)가 복수 개의 기둥(1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방충망 구동부는 커버, 드럼 및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네 개의 보부재(120) 하부에 장착될 수 있으며, 네 개의 보부재(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내에는 드럼 및 모터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드럼은 방충망 부재(710)가 권취 또는 권출되도록 커버 내에서 커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상기 드럼에는 모터가 연결되어 모터에 의해 드럼이 회전될 수 있다.
이때, 모터의 구동에 의해 드럼이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방충망 부재(710)가 권취되어 방충망 부재(710)가 개방되고, 모터의 구동에 의해 드럼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방충망 부재(710)가 권출되어 방충망 부재(710)가 폐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개폐 가능한 루프가 구비된 가든하우스는 루프 개폐를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루프 개폐 시 슬라이딩에 의한 마모를 방지하여 루프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기상 여건에 의한 루프의 파손(또는 변형)이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루프의 개폐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루프의 풀림 속도와 루프의 이송 속도를 맞춤으로써 루프의 개폐 시 루프의 겹침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차양용 또는 비가림용 등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가든하우스
100: 구조부
110: 기둥
120: 보부재
200: 루프
300: 루프 구동부
310: 커버
400: 슬라이딩 가이드부
410: 연장부재
420: 복수 개의 롤러 부재
430: 잠금 부재
500: 윈드볼 가이드부
510: 가이드부재
600: 텐션 조절부
610: 로프 부재
620: 탄성 부재
620a: 실린더 부재
620b: 피스톤 부재
620c: 유압 공급 부재
630: 롤러
700: 방충부
710: 방충망 부재
WB: 윈드볼

Claims (10)

  1. 수직방향으로 지면에 설치되는 기둥 및 상기 기둥의 상측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보부재를 포함하는 구조부;
    상기 보부재 상에서 개폐되도록 마련되는 루프;
    상기 보부재의 일 측에 장착되어 상기 루프를 권취 또는 권출시키는 루프 구동부;
    상기 보부재 및 상기 루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루프의 개폐를 가이드하는 슬라이딩 가이드부; 및
    상기 루프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루프에 인장력을 가하는 텐션 조절부;
    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는,
    상기 보부재 상에 상기 루프의 개폐 방향을 따라 연장된 연장부재; 및
    상기 연장부재 상에 안착된 복수 개의 롤러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텐션 조절부는,
    상기 루프에 연결된 로프 부재;
    상기 로프 부재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유압이 공급되는 실린더 부재;
    일단은 상기 실린더 부재 내에 배치되고 타단에는 상기 로프 부재가 연결된 피스톤 부재; 및
    상기 실린더 부재에 연결된 유압 공급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텐션 조절부에 의해 상기 루프의 개폐 시 상기 루프가 팽팽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실린더 부재 내 상기 피스톤 부재의 이동에 의해 상기 루프에 인장력이 가해지며, 상기 실린더 부재 내에 공급되는 유압은 상기 루프의 개폐 속도에 의해 제어되는 자동 개폐 가능한 루프가 구비된 가든하우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재는 복수 개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 개의 연장부재는 상기 루프의 개폐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복수 개의 롤러 부재는 상기 연장부재 상에서 서로 나란히 배치되는 자동 개폐 가능한 루프가 구비된 가든하우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의 양단에는 윈드볼이 장착되고,
    상기 보부재 상에서 마주보는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윈드볼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윈드볼 가이드부;
    를 더 포함하는 자동 개폐 가능한 루프가 구비된 가든하우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윈드볼 가이드부는,
    상기 루프의 개폐 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이드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일 측에는 상기 루프가 관통되도록 개방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상기 윈드볼이 이동되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자동 개폐 가능한 루프가 구비된 가든하우스.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는,
    상기 연장부재의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루프의 단부를 고정시키는 잠금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 부재가 해제된 후에 상기 루프 구동부에 의해 상기 루프가 권취되는 자동 개폐 가능한 루프가 구비된 가든하우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부에서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방충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충부는,
    상기 기둥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개폐되는 방충망 부재;
    를 포함하는 자동 개폐 가능한 루프가 구비된 가든하우스.
KR1020160167864A 2016-12-09 2016-12-09 자동 개폐 가능한 루프가 구비된 가든하우스 KR101895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864A KR101895689B1 (ko) 2016-12-09 2016-12-09 자동 개폐 가능한 루프가 구비된 가든하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864A KR101895689B1 (ko) 2016-12-09 2016-12-09 자동 개폐 가능한 루프가 구비된 가든하우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6716A KR20180066716A (ko) 2018-06-19
KR101895689B1 true KR101895689B1 (ko) 2018-09-05

Family

ID=62790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7864A KR101895689B1 (ko) 2016-12-09 2016-12-09 자동 개폐 가능한 루프가 구비된 가든하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56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2756A (ko) * 2018-11-27 2020-06-04 배유근 텐션 시스템을 활용한 가든 하우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091B1 (ko) * 2011-07-14 2011-09-20 주식회사 그린포닉스 온실용 개폐식 외부차광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309350U1 (ko) * 1993-06-23 1993-08-12 Schmitz-Werke Gmbh + Co, 48282 Emsdetten, De
NL1022438C2 (nl) * 2003-01-20 2004-07-22 Naaldhoorn Ii B V Verbeterd systeem voor het aanbrengen en verwijderen van een scherm op enige afstand boven een ondergrond.
KR100527913B1 (ko) * 2004-03-25 2005-11-15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원예시설용 자동 수평예인권취식 다겹보온커튼 개폐장치
KR101753666B1 (ko) * 2015-05-08 2017-07-04 김수용 인삼밭의 차광막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091B1 (ko) * 2011-07-14 2011-09-20 주식회사 그린포닉스 온실용 개폐식 외부차광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2756A (ko) * 2018-11-27 2020-06-04 배유근 텐션 시스템을 활용한 가든 하우스
KR102311265B1 (ko) * 2018-11-27 2021-10-15 배유근 텐션 시스템을 활용한 가든 하우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6716A (ko) 2018-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369556A1 (en) Retractable wall system
KR101122713B1 (ko) 높이와 길이 조절이 가능한 캠핑트레일러를 구비한 이동식 펜션
KR102012748B1 (ko) 아치형 개폐식 지붕장치
CN110629920B (zh) 一种便捷式钢结构房屋
NZ323407A (en) Movable covering device, particularly for swimming pools
GB2450198A (en) A retractable covering System
CA2969085A1 (en) Device for deploying a planar sheet over a structure
KR101895689B1 (ko) 자동 개폐 가능한 루프가 구비된 가든하우스
JP3268297B2 (ja) シートの開閉装置
KR101514016B1 (ko) 캐노피형 어닝
US20060150529A1 (en) Weather protection system
KR101589481B1 (ko) 개량된 차광구조를 갖는 정자
JP5811146B2 (ja) 日除け装置
KR101582145B1 (ko) 자동 상하 이동형 그물망 펜스
KR101128503B1 (ko) 접이식 차양 구조물
JP2000096877A (ja) オーニング装置
JPWO2008146485A1 (ja) 構造物
CN212927163U (zh) 一种带防雨遮阳帘的景观亭
WO2002092938A1 (de) Überdachung mit einstellbaren federwellen
US20170058555A1 (en) Moveable cover assembly for shelter structures
JP2006249864A (ja) 大規模空間を内部にもつ建築物の屋根構造体
JP2006312827A (ja) 屋根装置
JP2001073494A (ja) 開閉式膜屋根装置
KR102109960B1 (ko) 몽골 텐트
KR102117188B1 (ko) 복층형 이동식 주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