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2145B1 - 자동 상하 이동형 그물망 펜스 - Google Patents

자동 상하 이동형 그물망 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2145B1
KR101582145B1 KR1020150145455A KR20150145455A KR101582145B1 KR 101582145 B1 KR101582145 B1 KR 101582145B1 KR 1020150145455 A KR1020150145455 A KR 1020150145455A KR 20150145455 A KR20150145455 A KR 20150145455A KR 101582145 B1 KR101582145 B1 KR 101582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wire
support
rail member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5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광희
Original Assignee
(주)우림에프엔씨
주식회사 로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림에프엔씨, 주식회사 로드텍 filed Critical (주)우림에프엔씨
Priority to KR1020150145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21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2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2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4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ly adapted wire, e.g. barbed wire, wire mesh, toothed strip or the like; Coupl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6Parts for wire fen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10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way of connecting wire to posts; Drop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상하 이동형 그물망 펜스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지지기둥; 복수의 지지기둥 각각에 지지기둥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레일부재; 복수의 레일부재 각각의 내부에 상하로 연결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이동대차; 복수의 지지기둥 중 한 곳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복수의 이동대차를 지지기둥의 상단 또는 하단 쪽으로 이동시키도록 모터로 구동되는 하단 또는 상단 구동장치; 상기 하단 및 상단 구동장치의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 지지기둥에 설치되며, 모터와 제어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며, 복수의 이동대차는 레일부재의 상단에 위치하는 최상단 이동대차, 레일부재의 하단에 위치하는 최하단 이동대차, 및 최상단 이동대차와 최하단 이동대차 사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한 개의 중간 이동대차를 포함하며, 복수의 레일부재 중 인접한 2개의 레일부재에 설치된 2개의 최상단 이동대차 사이에는 상단지지부재가 연결되며, 2개의 최하단 이동대차 사이에는 하단지지부재가 연결되며, 2개의 중간 이동대차 사이에는 중간지지부재가 연결되며, 상단지지부재, 중간지지부재, 및 하단지지부재 사이에는 그물망이 설치되고, 하단 구동장치는 상기 최하단 이동대차를 상승시켜 그물망이 지지기둥의 상단 쪽으로 접히도록 하며, 상단 구동장치는 최상단 이동대차를 하강시켜 그물망이 상기 지지기둥의 하단 쪽에 접히도록 한다.

Description

자동 상하 이동형 그물망 펜스{Automatically vertically movable net fence}
본 발명은 각종 체육시설이나 학교 등의 울타리로 설치되는 그물망 펜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레일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이동대차를 사용하여 필요에 따라 자동으로 그물망을 상측 방향이나 하측 방향으로 접을 수 있는 자동 상하 이동형 그물망 펜스에 관한 것이다.
축구장, 야구장, 골프장 등과 같은 체육시설이나 학교 운동장 등의 주위에는 공이 외부로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울타리로 사용되는 펜스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펜스로는 공의 충격이나 임의의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원상 회복이 용이하고, 설치 비용이 저렴하며, 운반 및 시공이 용이한 그물망 펜스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그물망 펜스는 그물망의 보수 또는 교체를 하는 경우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거나, 태풍 등과 같이 강풍이 부는 경우에 그물망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물망 펜스를 아래로 하강시켜 접을 수 있는 이동형으로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이동형 그물망 펜스는 강이나 하천에 인접한 지역에 설치되는 경우에, 그물망을 상측으로 접을 수 없으므로 홍수 등에 의해 강물이 범람하면 그물망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한 이동형 그물망 펜스는 복수의 기둥 사이에 설치된 그물망을 각각 사람이 수동으로 이동시켜야 하므로 그물망을 접는데 힘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유사시 그물망을 작동시키는데 어려움이 많다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한 이동형 그물망 펜스는 그물망을 구동하는 구동장치가 기둥의 아래 쪽에 설치되어 있어, 강물이 범람하면 구동장치가 물에 잠겨 훼손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0342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9981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57362호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051684호
일본 공개특허 특개2005-16350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자동으로 그물망을 지지기둥의 상단이나 하단 쪽으로 접을 수 있는 자동 상하 이동형 그물망 펜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지지기둥 사이에 설치된 복수의 그물망을 자동으로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자동 상하 이동형 그물망 펜스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그물망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장치가 지지기둥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강물이 범람시에도 구동장치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 상하 이동형 그물망 펜스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그물망 펜스는 밧데리 또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구비하여 계통 전원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장소에서도 자체 전원 공급에 의해 자동으로 그물망을 상하 방향으로 고속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면에 일정 간격 떨어져서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기둥;
상기 복수의 지지기둥 각각에 지지기둥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레일부재;
상기 복수의 레일부재 각각의 내부에 상하로 연결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이동대차;
상기 복수의 지지기둥 중 한 곳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이동대차를 상기 지지기둥의 상단 쪽으로 이동시키도록 모터로 구동되는 하단 구동장치;
상기 하단 구동장치가 설치된 상기 지지기둥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이동대차를 상기 지지기둥의 하단 쪽으로 이동시키도록 모터로 구동되는 상단 구동장치;
상기 하단 구동장치의 모터와 상기 상단 구동장치의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
상기 하단 구동장치가 설치된 상기 지지기둥에 설치되며, 상기 하단 구동장치의 모터, 상기 상단 구동장치의 모터, 및 상기 제어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이동대차는 상기 레일부재의 상단에 위치하는 최상단 이동대차, 상기 레일부재의 하단에 위치하는 최하단 이동대차, 및 상기 최상단 이동대차와 최하단 이동대차 사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한 개의 중간 이동대차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레일부재 중 인접한 2개의 레일부재에 설치된 2개의 최상단 이동대차 사이에는 상단지지부재가 연결되며, 2개의 최하단 이동대차 사이에는 하단지지부재가 연결되며, 2개의 중간 이동대차 사이에는 중간지지부재가 연결되며, 상기 상단지지부재, 중간지지부재, 및 하단지지부재 사이에는 그물망이 설치되고,
상기 하단 구동장치는 상기 최하단 이동대차를 상승시켜 상기 그물망이 상기 지지기둥의 상단 쪽으로 접히도록 하며, 상기 상단 구동장치는 상기 최상단 이동대차를 하강시켜 상기 그물망이 상기 지지기둥의 하단 쪽에 접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단 구동장치와 하단 구동장치가 설치된 지지기둥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상단 구동장치와 하단 구동장치의 구동력을 좌우로 인접하게 설치된 지지기둥의 레일부재에 설치된 상기 복수의 이동대차로 분배하도록 형성된 분배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단 구동장치와 상기 상단 구동장치 각각은 상기 분배유닛을 통해 상기 복수의 레일부재 사이에 설치된 복수의 그물망을 동시에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충전 배터리 및 태양열 발전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이동대차 각각은, 이동몸체; 상기 이동몸체의 좌우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레일부재의 내면의 전면과 후면을 따라 이동하는 4개의 메인 바퀴; 및 상기 이동몸체의 상단과 하단에 상기 메인 바퀴와 간섭되지 않도록 설치되며, 상기 레일부재의 내면의 양측면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의 보조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 상하 이동형 그물망 펜스는 기상이변이나 태풍 등으로 강풍이 부는 경우, 그물망을 신속히 지표면으로 내려놓을 수 있으므로, 강풍에 의한 그물망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 상하 이동형 그물망 펜스는 장마나 태풍 등으로 강이나 하천의 물이 범람하는 경우에, 원격으로 신속하게 그물망을 지지기둥의 상단 쪽으로 접을 수 있으므로, 범람한 강물에 의해 그물망이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그물망이 범람한 강물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종래기술의 이동형 그물망 펜스와 같이 구동장치가 외부에 노출되는 경우 어린이들이나 주변 사람들이 부상을 입을 수 있고 미관이 좋지 않으며, 특히 강물이나 하천의 물이 범람한 경우 구동장치가 유실될 수 있으며, 각종 오물에 구동장치의 작동이 불가능해 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하 이동형 그물망 펜스는 구동장치를 지지기둥의 상부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따라서, 미관이 아름답고 안전성이 제고된다.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한 이동형 그물망 펜스는 복수의 지지기둥 사이의 복수의 그물망을 각각 상하로 동작시켜야 하므로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힘이 들어 유사시 작동에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하 이동형 그물망 펜스는 원격으로 한 개의 구동장치로 복수의 그물망을 동시에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으므로, 단시간에 작업이 가능하다. 따라서, 유사시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그물망 펜스는 밧데리 또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구비하여 계통 전원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장소에서도 자체 전원 공급에 의해 자동으로 그물망을 상하 방향으로 고속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하 이동형 그물망 펜스는 구동장치의 모터를 제어실 또는 스마트폰으로 무선으로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편안하고 신속하게 그물망을 작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 상하 이동형 그물망 펜스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 상하 이동형 그물망 펜스에서 상단 구동장치와 하단 구동장치가 설치된 지지기둥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 상하 이동형 그물망 펜스의 일부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 상하 이동형 그물망 펜스에서 복수의 이동대차가 설치된 레일부재를 수직으로 절단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 상하 이동형 그물망 펜스에서 최상단 이동대차와 상단 구동와이어 및 하단 구동와이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 4의 레일부재를 선A-A를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 상하 이동형 그물망 펜스에서 최하단 이동대차와 상단 구동와이어 및 하단 구동와이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 4의 레일부재를 선B-B를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 상하 이동형 그물망 펜스의 기능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 상하 이동형 그물망 펜스에 사용될 수 있는 이동대차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a는 도 7의 이동대차를 사용하는 자동 상하 이동형 그물망 펜스에서 최상단 이동대차와 상단 구동와이어 및 하단 구동와이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8b는 도 7의 이동대차를 사용하는 자동 상하 이동형 그물망 펜스에서 최하단 이동대차와 상단 구동와이어 및 하단 구동와이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 상하 이동형 그물망 펜스에서 복수의 수평 풀리에 의해 인접한 지지기둥에 설치된 복수의 이동대차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 상하 이동형 그물망 펜스에서 그물망이 지지기둥의 하단 쪽으로 접혀진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하 이동형 그물망 펜스에서 그물망이 지지기둥의 상단 쪽으로 접혀진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상하 이동형 그물망 펜스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과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하 이동형 그물망 펜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하 이동형 그물망 펜스에서 상단 구동장치와 하단 구동장치가 설치된 지지기둥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하 이동형 그물망 펜스의 일부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하 이동형 그물망 펜스에서 복수의 이동대차가 설치된 레일부재를 수직으로 절단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하 이동형 그물망 펜스에서 최상단 이동대차와 상단 구동와이어 및 하단 구동와이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 4의 레일부재를 선A-A를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하 이동형 그물망 펜스에서 최하단 이동대차와 상단 구동와이어 및 하단 구동와이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 4의 레일부재를 선B-B를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하 이동형 그물망 펜스(1)는 복수의 지지기둥(10,11,12,13,14), 복수의 레일부재(20,21,22,23,24), 복수의 이동대차(30), 상단 구동장치(50), 하단 구동장치(60), 제어장치(300), 전원공급장치(330), 및 그물망(9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지지기둥(10,11,12,13,14)은 지면(3)에 일정 간격 떨어져서 설치된다. 각 지지기둥(10,11,12,13,14)의 일단은 땅속에 삽입되어 설치되거나, 지면(3)에 마련된 기초에 볼트 등으로 고정된다. 지지기둥(10,11,12,13,14)의 타단은 지면(3)에 대해 수직하게 돌출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이동형 그물망 펜스(1)가 5개의 지지기둥(10,11,12,13,14)을 포함한다. 5개의 지지기둥(10,11,12,13,14)은 서로 일정한 거리 떨어져서 설치되며, 그 사이에는 4개의 그물망(90)이 설치되어 있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중앙의 지지기둥(10)을 중앙 지지기둥이라 하고, 중앙 지지기둥(10)의 좌측에 있는 2개의 지지기둥을 각각 제1지지기둥(11)과 제3지지기둥(13)이라 하고, 중앙 지지기둥(10)의 우측에 있는 2개의 지지기둥을 각각 제2지지기둥(12)과 제4지지기둥(14)이라 한다.
복수의 레일부재(20,21,22,23,24)는 복수의 지지기둥(10,11,12,13,14) 각각의 일측에 지지기둥에 평행하게 설치된다. 레일부재(20,21,22,23,24)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기둥(10,11,12,13,14)의 전면에 지지기둥(10,11,12,13,14)의 길이 방향으로 지지기둥과 평행하게 설치된다. 레일부재(20,21,22,23,24)는 복수의 고정브라켓(5)에 의해 지지기둥(10,11,12,13,14)에 고정된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필요한 경우, 중앙 지지기둥(10), 제1지지기둥(11), 제2지지기둥(12), 제3지지기둥(13), 및 제4지지기둥(14)에 설치된 레일부재를 각각 중앙 레일부재(20), 제1레일부재(21), 제2레일부재(22), 제3레일부재(23), 및 제4레일부재(24)라 한다.
레일부재(20,21,22,23,24)는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일 측면에 레일부재(20,21,22,23,24)의 길이 방향으로 레일부재(20,21,22,23,24)와 평행하게 형성된 슬롯(26)을 포함한다. 일 예로서, 레일부재(20,21,22,23,24)는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사각 파이프의 일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슬롯(26)을 형성하여 제작할 수 있다.
레일부재(20,21,22,23,24)의 내부에는 이동대차(30)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레일부재(20,21,22,23,24)의 슬롯(26)으로는 이동대차(30)의 후크(43)가 돌출된다.
레일부재(20,21,22,23,24)는 슬롯(26)이 형성된 면의 반대 면이 지지기둥(10,11,12,13,14)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복수의 지지기둥(10,11,12,13,14) 중 최외측단에 있는 2개의 지지기둥, 즉 도 1에서 좌측단과 우측단에 있는 제3 및 제4지지기둥(13,14)에 설치되는 제3 및 제4레일부재(23,24)는 슬롯(26)이 형성된 면이 지지기둥(13,14)에 수직하도록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도 1에서 제3지지기둥(13)과 제4지지기둥(14) 각각에 설치되는 제3레일부재(23)와 제4레일부재(24)는 슬롯(26)이 형성된 면이 제3지지기둥(13)과 제4지지기둥(14)에 수직하도록 설치된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단과 우측단 사이의 중간에 있는 제2지지기둥(12)에 설치되는 제2레일부재(22)는 슬롯(26)이 형성된 면이 제2지지기둥(12)과 반대쪽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우측단의 제4지지기둥(14)에 설치되는 제4레일부재(24)는 슬롯(26)이 형성된 면이 인접한 제2레일부재(22)를 향하도록 설치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좌측단의 제3지지기둥(13)에 설치되는 제3레일부재(23)도 슬롯(26)이 형성된 면이 인접한 제1레일부재(21)를 향하도록 설치된다.
복수의 이동대차(30)는 각각 레일부재(20,21,22,23,24)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한 개의 레일부재(20,21,22,23,24) 내에는 복수의 이동대차(30)가 설치되며, 복수의 이동대차(30)는 연결와이어(7)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하에서, 복수의 이동대차(30) 중 레일부재의 상단에 위치하는 이동대차를 최상단 이동대차(31)라 하고, 레일부재의 하단에 위치하는 이동대차를 최하단 이동대차(32)라하며, 상기 최상단 이동대차(31)와 최하단 이동대차(32) 사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한 개의 이동대차를 중간 이동대차(33)라 한다. 일 예로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한 개의 레일부재(20,21,22,23,24)에 총 6개의 이동대차(30), 즉 최상단 이동대차(31), 최하단 이동대차(32) 및 4개의 중간 이동대차(33)가 설치되어 있다.
이동대차(30)는 연결와이어(7) 또는 구동와이어(101-104,201-204)가 연결되는 이동몸체(41)와 이동몸체(41)의 양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4개의 바퀴(42)를 포함한다. 4개의 바퀴(42)는 레일부재(20,21,22,23,24)의 내면을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연결와이어(7)나 구동와이어(101-104,201-204)에 의해 힘이 인가되면, 이동대차(30)는 레일부재(20,21,22,23,24)의 내면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몸체(41)의 전면에는 후크(43)가 마련된다. 후크(43)에는 그물망(90)을 지지하는 지지부재(91,92,93)가 고정된다. 지지부재(91,92,93)로는 와이어 또는 로프가 사용될 수 있다. 이동몸체(41)의 상단 및 하단에는 연결와이어(7) 또는 구동와이어(101-104,201-204)가 연결된다.
이와 같은 이동몸체(41)는 2가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최하단 이동대차(32)의 이동몸체(41)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와이어(7,202)가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최하단 이동대차(32)의 이동몸체(41)는 하단 구동와이어(202)와 연결와이어(7)가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최하단 이동대차(32)의 하단에는 연결와이어(7)가 연결되지 않는다.
최하단 이동대차(32) 이외의 최상단 이동대차(31)와 중간 이동대차(33)에 사용되는 이동몸체(41)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개의 와이어(102)만 연결될 수 있고, 바퀴(42)와 이동몸체(41) 사이의 공간(45)으로 하단 구동와이어(202)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최상단 이동대차(31)의 이동몸체(41)의 상단에는 상단 구동와이어(102)가 연결되며, 이동몸체(41)의 하단에는 연결와이어(7)가 연결된다. 중간 이동대차(33)의 이동몸체(41)의 상단과 하단에는 모두 연결와이어(7)가 연결된다.
이동대차(30)는 상술한 구조외에 다른 구조의 이동대차가 사용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 상하 이동형 그물망 펜스에 사용될 수 있는 이동대차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a는 도 7의 이동대차를 사용하는 자동 상하 이동형 그물망 펜스에서 최상단 이동대차와 상단 구동와이어 및 하단 구동와이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8b는 도 7의 이동대차를 사용하는 자동 상하 이동형 그물망 펜스에서 최하단 이동대차와 상단 구동와이어 및 하단 구동와이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다른 예에 의한 이동대차(30')는 이동몸체(41), 4개의 메인 바퀴(42), 및 복수의 보조 바퀴(46,48)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몸체(41)에는 연결와이어(7) 또는 구동와이어(101-104,201-204)가 연결되어 있어 이동대차(30')가 상단 구동장치(50)나 하단 구동장치(60)에 의해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4개의 메인 바퀴(42)는 이동몸체(41)의 양측면, 즉 좌우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메인 바퀴(42)는 레일 부재(22)의 내면의 전면과 후면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는 지름을 갖는다. 따라서, 상단 구동장치(50)나 하단 구동장치(60)에 의해 작동하는 연결와이어(7)나 구동와이어(101-104,201-204)에 의해 이동몸체(41)에 힘이 인가되어 이동대차(30')가 상하로 이동할 때, 레일부재(22)의 내면의 전면과 후면에 접촉하며 회전하는 4개의 메인 바퀴(42)에 의해 상하 이동이 안내된다. 따라서, 4개의 메인 바퀴(42)는 이동대차(30')가 상하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며 지지한다.
또한, 복수의 보조 바퀴(46,48)는 이동대차(30')가 레일부재(22)의 내면의 양측면과 간섭되지 않고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동몸체(41)의 상단과 하단에 메인 바퀴(42)와 간섭되지 않도록 메인 바퀴(42)와 이격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보조 바퀴(46,48)의 회전축(46a,48a)은 메인 바퀴(42)의 회전축(42a)과 직각이 되도록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이동몸체(41)의 상단과 하단 각각에는 상단 보조 브라켓(45)과 하단 보조 브라켓(47)이 설치되고, 상단 보조 브라켓(45)과 하단 보조 브라켓(47) 각각의 양측면에는 4개의 보조 바퀴(46,48)가 설치된다. 이때, 보조 바퀴(46,48)의 회전축(46a,48a)은 메인 바퀴(42)의 회전축(42a)과 직각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대차(30')가 레일부재(22)의 내부에 설치되었을 때, 이동대차(30')의 4개의 메인 바퀴(42)는 레일부재(22)의 내면의 전면과 후면에 접촉하게 되고, 상단 보조 브라켓(45)에 설치된 4개의 보조 바퀴(46)는 레일부재(22)의 내면의 양측면, 즉 좌측면과 우측면에 접촉하게 된다. 또한, 하단 보조 브라켓(47)에 설치된 4개의 보조 바퀴(48)도 레일부재(22)의 내면의 양측면, 즉 좌측면과 우측면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대차(30')가 연결와이어(7)나 구동와이어(101-104,201-204)에 의해 상하로 이동할 때, 이동대차(30')의 4개의 메인 바퀴(42)는 레일부재(22)의 내면의 전면과 후면에 접촉하며 회전하고, 상단 보조 브라켓(45)에 설치된 4개의 보조 바퀴(46)는 레일부재(22)의 내면의 좌측면 및 우측면과 접촉하며 회전한다. 또한, 하단 보조 브라켓(47)에 설치된 4개의 보조 바퀴(48)도 레일부재(22)의 내면의 좌측면 및 우측면과 접촉하며 회전한다. 따라서, 이동대차(30')는 레일부재(22)의 4개의 내면에 대해 메인 바퀴(42)과 보조 바퀴(46,48)로 지지되고 있으므로 레일부재(22)에 걸리지 않고 원할하게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몸체(41)의 전면에는 후크(43)가 마련된다. 후크(43)에는 그물망(90)을 지지하는 지지부재(91,92,93)가 고정된다. 지지부재(91,92,93)로는 와이어 또는 로프가 사용될 수 있다.
이동몸체(41)의 상단과 하단에 설치되는 상단 보조 브라켓(45)과 하단 보조 브라켓(47)에는 연결와이어(7) 또는 구동와이어(101-104,201-204)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상단 및 하단 보조 브라켓(45,47)은 2가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최하단 이동대차(30')의 상단 보조 브라켓(45)은 2개의 와이어(7,202)가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도 8b 참조). 구체적으로, 최하단 이동대차(30)의 상단 보조 브라켓(45)은 하단 구동와이어(202)와 연결와이어(7)가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최하단 이동대차(30')의 하단 보조 브라켓(47)에는 연결와이어(7)가 연결되지 않는다.
최하단 이동대차(30') 이외의 최상단 이동대차(30')와 중간 이동대차(30')에 사용되는 상단 보조 브라켓(45)과 하단 보조 브라켓(47)은, 한 개의 와이어(102)만 연결될 수 있고, 하단 구동 와이어(202)가 통과할 수 있도록 절개된 절개부(45a)를 포함한다. 절개부(45a) 아래의 이동몸체(41)에도 하단 구동와이어(202)가 통과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다(도 8a 참조). 또한, 최상단 이동대차(30')의 상단 보조 브라켓(45)에는 상단 구동와이어(102)가 연결되며, 하단 보조 브라켓(47)에는 연결와이어(7)가 연결된다. 중간 이동대차(30')의 상단 및 하단 보조 브라켓(45,47)에는 모두 연결와이어(7)가 연결된다.
이상에서는 이동대차(30')의 이동몸체(41)가 아니라 상단 및 하단 보조 브라켓(45,47)에 구동와이어(202)와 연결와이어(7)가 고정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보조 브라켓(45,47)에 구동 와이어(202)나 연결와이어(7)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이나 개구를 형성한 경우에는 구동 와이어(202)나 연결와이어(7)는 이동몸체(41)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는 이동몸체(41)를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이동몸체(41)와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물망(90)은 2개의 인접한 레일부재(20,21,22,23,24) 사이에 설치되며, 레일부재(20,21,22,23,24)에 설치된 복수의 이동대차(30)에 고정된 복수의 지지부재(91,92,93)에 의해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지지부재(91,92,93)는 그물망(90의 상단을 지지하는 상단 지지부재(91), 그물망(90)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단 지지부재(92), 및 상단 지지부재(91)와 하단 지지부재(92) 사이에 설치되어 그물망(90)을 지지하는 적어도 한 개의 중간 지지부재(93)를 포함한다. 일 예로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그물망(90)은 상단 지지부재(91), 하단 지지부재(92) 및 4개의 중간 지지부재(93)에 의해 지지된다.
그물망(90)의 상단 지지부재(91)의 양단은 각각 인접한 2개의 레일부재(20,21,22,23,24)에 설치된 2개의 최상단 이동대차(31)의 후크(43)에 고정되며, 하단 지지부재(92)의 양단은 2개의 최하단 이동대차(32)의 후크(43)에 고정되고, 2개의 중간 이동대차(33)의 후크에는 중간 지지부재(93)의 양단이 연결된다. 따라서, 이동대차(30)가 상승하거나 하강하면, 그물망(90)의 지지부재(91,92,93)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고, 이에 의해 그물망(90)이 함께 상승 또는 하강한다.
하단 구동장치(60)는 복수의 지지기둥(10,11,12,13,14) 중 한 곳, 즉 중앙 지지기둥(10)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복수의 이동대차(30)를 레일부재(20,21,22,23,24)의 상단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구체적으로, 하단 구동장치(60)는 하단 구동와이어(61)를 통해 복수의 레일부재(20,21,22,23,24)에 설치된 최하단 이동대차(32)와 연결된다. 따라서, 하단 구동장치(60)가 하단 구동와이어(61)를 감으면, 최하단 이동대차(32)가 레일부재(20,21,22,23,24)를 따라 레일부재(20,21,22,23,24)의 상단 쪽으로 상승하고, 하단 구동와이어(61)를 풀면, 최하단 이동대차(32)가 레일부재(20,21,22,23,24)의 하단 쪽으로 하강한다.
상단 구동장치(50)는 하단 구동장치(60)가 설치된 중앙 지지기둥(10)의 상단부에 하단 구동장치(60)의 일측에 설치되며, 복수의 이동대차(30)를 레일부재(20,21,22,23,24)의 하단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단 구동장치(50)는 상단 구동와이어(51)를 통해 복수의 레일부재(20,21,22,23,24)에 설치된 최상단 이동대차(31)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단 구동장치(50)가 상단 구동와이어(51)를 감으면, 최상단 이동대차(31)가 레일부재(20,21,22,23,24)의 상단 쪽으로 상승하고, 상단 구동와이어(51)를 풀면, 최상단 이동대차(31)가 레일부재(20,21,22,23,24)의 하단 쪽으로 하강한다.
본 발명의 경우에는 한 개의 구동장치(50,60)로 복수의 그물망(9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동장치(50,60)는 복수의 지지기둥(10,11,12,13,14) 중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 지지기둥(10)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하단 구동장치(60)와 상단 구동장치(50)는 중앙 지지기둥(10)에 설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구동장치(50)와 하단 구동장치(60)는 모터(53,63)로 구동 드럼을 회전시키는 전동 윈치로 형성할 수 있다. 모터(53,63)는 양방향 회전이 가능하다.
전원공급장치(330)는 모터(53,63)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충전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다. 충전 배터리(330)는 태양 전지(340)를 통해 충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충전 배터리(330)는 태양 전지(340) 외의 별도의 외부 전원을 통해 충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장치(300)는 상단 구동장치(50)와 하단 구동장치(60)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10)와 송수신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모터(53,63)의 회전을 제어하며, 모터(53,63)의 상태와 충전 배터리(330)의 충전 상태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송수신부(320)는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의 제어실(미도시)과 연결되며, 상단 구동장치(50)와 하단 구동장치(60)의 상태 정보를 송신하고 제어실에서 전송된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어실에서 무선으로 그물망(90)의 상승 또는 하강 명령을 전송하면, 송수신부(320)는 이 명령을 수신하여 제어부(310)로 전송하고, 제어부(310)는 이 명령에 따라 모터(53,63)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그물망(9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무선통신은 WiFi, 3G, LTE, 4G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외부 제어실은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스마트폰에 제어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는 구동 앱을 설치하면, 사용자는 구동 앱을 통해 상단 구동장치(50)의 모터(53)와 하단 구동장치(60)의 모터(63)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그물망 펜스는 밧데리 또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구비하여 계통 전원, 예를 들어 한국 전력의 계통 전기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장소에서도 자체 전원 공급에 의해 자동으로 그물망을 상하 방향으로 고속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상단 구동장치(50)와 하단 구동장치(60)가 지지기둥(10)의 외부(외함에 의해 보호됨)에 설치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단 구동장치(50)와 하단 구동장치(60)는 지지기둥(10)의 내부에 설치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단 구동장치(50), 하단 구동장치(60), 상단 구동와이어(51), 하단 구동와이어(61), 롤러를 보호하기 위해 지지기둥(10)의 하단에서부터 상단 구동장치(50)와 하단 구동장치(60)를 덮을 수 있도록 외함, 즉 보호 커버(40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보호 커버(400)는 가상선으로 표시하였다. 보호 커버(400)는 상단 부분을 개방할 수 있도록 도어로 형성하면, 사용자들은 상단 구동장치(50)와 하단 구동장치(60)를 점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기둥(10)에 보호 커버(400)를 설치하면, 홍수 등으로 하천이 범람하였을 경우 등에도 상단 구동장치(50), 하단 구동장치(60), 상단 및 하단 구동와이어(51,61)를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중앙 지지기둥(10)의 상단에는 상단 구동장치(50)와 하단 구동장치(60)의 구동력을 복수의 레일부재(20,21,22,23,24)에 설치된 복수의 이동대차(30)로 분배하는 분배유닛(70)이 설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분배유닛(70)은 베이스판(71), 베이스판(71)에 수직하게 설치된 수직부재(73), 및 베이스판(71)에 상측으로 이격되며 평행하게 설치된 수평부재(72)를 포함한다.
수평부재(72)의 하면에는 베이스판(71)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4개의 수직 풀리, 즉 제1, 제2, 제3, 및 제4수직 풀리(81,82,83,84)가 설치된다. 수직부재(73)는 베이스판(71)의 일단에 수평부재(72)와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수평부재(72)를 마주하는 수직부재(73)의 측면에는 베이스판(71)에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4개의 수평 풀리, 즉 제1, 제2, 제3, 및 제4수평 풀리(91,92,93,94)가 설치된다.
제1수평 풀리(91)는 지지기둥(10)의 일측(도 2에서는 우측)으로 연장되는 제1상단 구동와이어(101)를 지지하며, 제2수평 풀리(92)는 지지기둥(10)의 타측(도 2에서는 좌측)으로 연장되는 제2상단 구동와이어(102)를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제3수평 풀리(93)는 지지기둥(10)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1하단 구동와이어(201)를 지지하며, 제4수평 풀리(94)는 지지기둥(10)의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2하단 구동와이어(202)를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제3 및 제4수평 풀리(93,94)는 제1 및 제2하단 구동와이어(201,202)가 제1 및 제2상단 구동와이어(101,102)와 간섭되지 않도록 제1 및 제2수평 풀리(91,92)보다 베이스판(71)에서 높은 위치에 설치된다.
제1 및 제2상단 구동와이어(101,102)는 제1수직 풀리(81)에 의해 지지되어 지지기둥(10)의 아래쪽에 설치된 상단 구동장치(50)의 상단 구동와이어(51)에 연결된다. 또한, 제1 및 제2하단 구동와이어(201,202)는 제4수직 풀리(84)에 의해 지지되어 지지기둥(10)의 아래 쪽에 설치된 하단 구동장치(60)의 하단 구동와이어(61)에 연결된다.
베이스판(71)에는 레일부재(20)와 연통하는 개구(75)가 형성되며, 개구(75)의 일측에는 레일부재(20)의 내부에 설치된 최상단 이동대차(31)에 연결되는 제3상단 구동와이어(103)를 지지하는 상단 지지 풀리(89)와 레일부재(20)의 내부에 설치된 최하단 이동대차(32)에 연결되는 제3하단 구동와이어(203)를 지지하는 하단 지지 풀리(99)가 설치된다. 제3상단 구동와이어(103)는 제2수직 풀리(82)에 의해 지지되어 지지기둥(10)의 아래쪽에 설치된 상단 구동장치(50)의 상단 구동와이어(51)에 연결된다. 또한, 제3하단 구동와이어(203)는 제3수직 풀리(83)에 의해 지지되어 지지기둥(10)의 아래쪽에 설치된 하단 구동장치(60)의 하단 구동와이어(61)에 연결된다.
이때, 제1, 제2, 및 제3상단 구동와이어(101,102,103)는 하나로 묶여 상단 구동장치(50)의 상단 구동와이어(51)와 연결된다. 또한, 제1, 제2, 및 제3하단 구동와이어(201,202,203)도 하나로 묶여 하단 구동장치(60)의 하단 구동와이어(61)와 연결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수평 풀리(91)에 의해 지지되는 제1상단 구동와이어(101)는 중앙 지지기둥(10)의 좌측에 인접한 제1지지기둥(11)에 설치된 제1상단 전환 풀리(85)에 의해 90도로 꺾여 제1지지기둥(11)에 부착된 제1레일부재(21)의 내부에 설치된 최상단 이동대차(31)에 연결된다. 제2수평 풀리(92)에 의해 지지되는 제2상단 구동와이어(102)는 중앙 지지기둥(10)의 우측에 인접한 제2지지기둥(12)에 설치된 제2상단 전환 풀리(86)에 의해 90도로 꺾여 제2지지기둥(12)에 부착된 제2레일부재(22)의 내부에 설치된 최상단 이동대차(31)에 연결된다. 참고로, 도 9에서는 도시의 편의성을 위해, 복수의 이동대차(30)를 간략하게 직사각형으로 표현하였으며, 레일부재(20,21,22,23,24)와 지지기둥(10,11,12,13,14) 등은 생략하였다.
또한, 제3수평 풀리(93)에 의해 지지되는 제1하단 구동와이어(201)는 중앙 지지기둥(10)의 좌측에 인접한 제1지지기둥(11)에 설치된 제1하단 전환 풀리(95)에 의해 90도로 꺾여 제1지지기둥(11)에 부착된 제1레일부재(21)의 내부에 설치된 최하단 이동대차(32)에 연결된다. 제4수평 풀리(94)에 의해 지지되는 제2하단 구동와이어(202)는 중앙 지지기둥(10)의 우측에 인접한 제2지지기둥(12)에 설치된 제2하단 전환 풀리(96)에 의해 90도로 꺾여 제2지지기둥(12)에 부착된 제2레일부재(22)의 내부에 설치된 최하단 이동대차(32)에 연결된다.
제1지지기둥(11)에 인접한 제3지지기둥(13)에 부착된 제3레일부재(23)에 설치된 최상단 이동대차(31)는 제1상단 연장와이어(104)의 일단에 연결된다. 제1상단 연장와이어(104)는 제3지지기둥(13)의 상단에 설치된 제3상단 전환 풀리(87)에 의해 지지되며, 제1상단 연장와이어(104)의 타단은 제1상단 구동와이어(101)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단 구동장치(50)에 의해 제1상단 구동와이어(101)가 이동하면, 제1상단 연장와이어(104)가 이동하고 이에 의해 제3레일부재(23)에 설치된 최상단 이동대차(31)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3레일부재(23)에 설치된 최하단 이동대차(32)는 제1하단 연장와이어(204)의 일단에 연결된다. 제1하단 연장와이어(204)는 제3지지기둥(13)의 상단에 설치된 제3하단 전환 풀리(97)에 의해 지지되며, 제1하단 연장와이어(204)의 타단은 제1하단 구동와이어(201)에 결합된다. 따라서, 제1하단 구동와이어(201)가 하단 구동장치(60)에 의해 이동하면, 제1하단 연장와이어(204)가 이동하고 이에 의해 제3레일부재(23)에 설치된 최하단 이동대차(32)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제2지지기둥(12)에 인접한 제4지지기둥(14)에 부착된 제4레일부재(24)에 설치된 최상단 이동대차(31)는 제2상단 연장와이어(105)의 일단에 연결된다. 제2상단 연장와이어(105)는 제4지지기둥(14)의 상단에 설치된 제4상단 전환 풀리(88)에 의해 지지되며, 제2상단 연장와이어(105)의 타단은 제2상단 구동와이어(102)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단 구동장치(50)에 의해 제2상단 구동와이어(102)가 이동하면, 제2상단 연장와이어(105)가 이동하고 이에 의해 제4레일부재(24)에 설치된 최상단 이동대차(31)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4레일부재(24)에 설치된 최하단 이동대차(32)는 제2하단 연장와이어(205)의 일단에 연결된다. 제2하단 연장와이어(205)는 제4지지기둥(14)의 상단에 설치된 제4하단 전환 풀리(98)에 의해 지지되며, 제2하단 연장와이어(205)의 타단은 제2하단 구동와이어(202)에 결합된다. 따라서, 제2하단 구동와이어(202)가 하단 구동장치(60)에 의해 이동하면, 제2하단 연장와이어(205)가 이동하고 이에 의해 제4레일부재(24)에 설치된 최하단 이동대차(32)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하 이동형 그물망 펜스(1)의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의한 상하 이동형 그물망 펜스(1)는 평상시에는 도 1과 같이 모든 그물망(90)이 펼쳐진 상태로 유지된다.
기상이변이나 태풍으로 인해 강풍이 부는 경우는 강풍에 의해 그물망990)이 훼손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그물망(90)을 복수의 지지기둥의 하단 쪽으로 접어 지표면에 내려놓으면, 그물망(90)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물망(90)을 지지기둥(10,11,12,13,14)의 아래쪽으로 접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제어실이나 스마트폰으로 상단 구동장치(50)의 모터(53)를 동작시켜 상단 구동와이어(51)를 푼다. 그러면, 상단 구동와이어(51)에 연결된 제1, 제2, 및 제3상단 구동와이어(101,102,103)의 일단이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1상단 구동와이어(101)의 일단이 상측으로 이동하면, 제1수직 풀리(81), 제1수평 풀리(91), 및 제1상단 전환 풀리(85)에 의해 제1상단 구동와이어(101)의 타단이 제1지지기둥(11)의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제1지지기둥(11)에 부착된 제1레일부재(21)에 설치되며, 제1상단 구동와이어(101)의 타단에 연결된 최상단 이동대차(31)가 제1레일부재(11)를 따라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1레일부재(11)의 최상단 이동대차(31)가 아래쪽으로 이동하면, 그 아래에 연결와이어(7)에 의해 연결된 복수의 중간 이동대차(33)도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복수의 중간 이동대차(33)와 최상단 이동대차(31)가 최하단 이동대차(32)의 위에 차례로 쌓이게 된다.
제2상단 구동와이어(102)의 일단이 상측으로 이동하면, 제1수직 풀리(81), 제2수평 풀리(92), 및 제2상단 전환 풀리(86)에 의해 제2상단 구동와이어(102)의 타단이 제2지지기둥(12)의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제2지지기둥(12)에 부착된 제2레일부재(22)에 설치되며, 제2상단 구동와이어(102)의 타단에 연결된 최상단 이동대차(31)가 제2레일부재(22)를 따라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2레일부재(22)의 최상단 이동대차(31)가 아래쪽으로 이동하면, 그 아래에 연결와이어(7)에 의해 연결된 복수의 중간 이동대차(33)도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복수의 중간 이동대차(33)와 최상단 이동대차(31)가 최하단 이동대차(32)의 위에 차례로 쌓이게 된다.
또한, 제3상단 구동와이어(103)의 일단이 상측으로 이동하면, 제2수직 풀리(82)와 상단 지지 풀리(89)에 의해 제3상단 구동와이어(103)의 타단은 중앙 레일부재(20)에 대해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제3상단 구동와이어(103)의 타단에 연결된 최상단 이동대차(31)가 중앙 레일부재(20)를 따라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중앙 레일부재(20)의 최상단 이동대차(31)가 아래쪽으로 이동하면, 그 아래에 연결와이어(7)에 의해 연결된 복수의 중간 이동대차(33)도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복수의 중간 이동대차(33)와 최상단 이동대차(31)가 최하단 이동대차(32)의 위에 차례로 쌓이게 된다.
이와 같이 중앙 레일부재(20)와 그 양측의 제1 및 제2레일부재(21,22)에 설치된 최하단 이동대차(32) 위에 최상단 이동대차(31)와 복수의 중간 이동대차(33)가 쌓이면, 이들 이동대차(31,33)에 연결된 그물망(90)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기둥(10,11,12,13,14) 사이의 지표면(3)에 접혀 쌓이게 된다.
다시, 그물망(90)을 정상으로 펼칠 경우에는, 사용자는 제어실이나 스마트폰으로 상단 구동장치(50)의 모터(53)를 반대로 회전시켜 상단 구동와이어(51)를 감는다. 그러면, 상단 구동와이어(51)에 연결된 제1, 제2, 및 제3상단 구동와이어(101,102,103)의 일단이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1상단 구동와이어(101)의 일단이 하측으로 이동하면, 제1수직 풀리(81), 제1수평 풀리(91), 및 제1상단 전환 풀리(85)에 의해 제1상단 구동와이어(101)의 타단이 제1지지기둥(11)의 위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제1지지기둥(11)에 부착된 제1레일부재(21)에 설치된 최상단 이동대차(31)가 위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1레일부재(21)의 최상단 이동대차(31)가 위쪽으로 이동하면, 그 아래에 연결와이어(7)에 의해 연결된 복수의 중간 이동대차(33)도 차례로 위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최상단 이동대차(31)가 제1레일부재(21)의 상단에 위치하면, 복수의 중간 이동대차(33)가 최상단 이동대차(31)와 최하단 이동대차(32)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떨어진 상태로 유지된다.
제2상단 구동와이어(102)의 일단이 하측으로 이동하면, 제1수직 풀리(81), 제2수평 풀리(92), 및 제2상단 전환 풀리(86)에 의해 제2상단 구동와이어(102)의 타단이 제2지지기둥(12)의 위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제2지지기둥(12)에 부착된 제2레일부재(22)에 설치된 최상단 이동대차(31)가 위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2레일부재(22)의 최상단 이동대차(31)가 위쪽으로 이동하면, 그 아래에 연결와이어(7)에 의해 연결된 복수의 중간 이동대차(33)도 차례로 위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최상단 이동대차(31)가 제2레일부재(22)의 상단에 위치하면, 복수의 중간 이동대차(33)가 최상단 이동대차(31)와 최하단 이동대차 (32)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떨어진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제3상단 구동와이어(103)의 일단이 아래쪽으로 이동하면, 제2수직 풀리(82)와 상단 지지 풀리(89)에 의해 제3상단 구동와이어(103)의 타단은 중앙 레일부재(20)에 대해 위쪽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제3상단 구동와이어(103)의 타단에 연결된 최상단 이동대차(31)가 위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중앙 레일부재(20)의 최상단 이동대차(31)가 위쪽으로 이동하면, 그 아래에 연결와이어(7)에 의해 연결된 복수의 중간 이동대차(33)도 차례로 위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최상단 이동대차(31)가 중앙 레일부재(20)의 상단에 위치하면, 복수의 중간 이동대차(33)는 최상단 이동대차(31)와 최하단 이동대차(32)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중앙 레일부재(20)와 그 양측의 제1 및 제2레일부재(21,22)에 설치된 최상단 이동대차(31), 복수의 중간 이동대차(33), 및 최하단 이동대차(32)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면, 이들 이동대차(30)에 연결된 그물망(90)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지지기둥(10,11,12,13,14) 사이에 펼쳐진 상태가 된다.
한편, 제1지지기둥(11)의 일측에 설치된 제3지지기둥(13)의 제3레일부재(23)에 설치된 최상단 이동대차(31)는 일단이 제1상단 구동와이어(101)에 결합된 제1상단 연장와이어(104)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1상단 구동와이어(101)의 동작이 제1상단 연장와이어(104)를 통해 제3레일부재(23)에 설치된 최상단 이동대차(31)로 전달된다. 따라서, 제3레일부재(23)에 설치된 최상단 이동대차(31) 및 복수의 중간 이동대차(33)는 제1레일부재(21)에 설치된 최상단 이동대차(31) 및 복수의 중간 이동대차(33)와 동일하게 움직인다.
또한, 제2지지기둥(12)의 일측에 설치된 제4지지기둥(14)의 제4레일부재(24)에 설치된 최상단 이동대차(31)는 일단이 제2상단 구동와이어(102)에 결합된 제2상단 연장와이어(105)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2상단 구동와이어(102)의 동작이 제2상단 연장와이어(105)를 통해 제4레일부재(24)에 설치된 최상단 이동대차(31)로 전달된다. 따라서, 제4레일부재(24)에 설치된 최상단 이동대차(31) 및 복수의 중간 이동대차(33)는 제2레일부재(22)에 설치된 최상단 이동대차(31) 및 복수의 중간 이동대차(33)와 동일하게 움직인다.
따라서, 상단 구동장치(50)의 상단 구동와이어(51)를 풀면, 복수의 레일부재(20,21,22,23,24) 각각의 내부에 설치된 최상단 이동대차(31) 및 복수의 중간 이동대차(33)가 하강하여 복수의 지지기둥(10,11,12,13,14) 사이에 설치된 복수의 그물망(90)이 동시에 지표면(3)에 접혀 쌓여 도 10과 같은 상태가 된다. 또한, 상단 구동장치(50)의 상단 구동와이어(51)를 감으면, 복수의 레일부재(20,21,22,23,24) 각각의 내부에 설치된 최상단 이동대차(31) 및 복수의 중간 이동대차(33)가 상승하여 복수의 지지기둥(10,11,12,13,14) 사이에 설치된 복수의 그물망(90)이 펼쳐져 도 1과 같은 상태가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상하 이동형 그물망 펜스(1)가 강이나 하천 근처에 설치되어 있을 때, 장마나 태풍으로 인해 강이나 하천의 물이 범람하는 경우에는 범람한 물에 의해 그물망(90)이 훼손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그물망(90)을 복수의 지지기둥(10,11,12,13,14)의 상단 쪽으로 접어 올리면, 그물망(90)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해줄 수 있다.
그물망(90)을 지지기둥(10,11,12,13,14)의 위쪽으로 접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제어실 또는 스마트폰으로 하단 구동장치(60)의 모터(63)를 동작시켜 하단 구동와이어(61)를 감는다. 그러면, 하단 구동와이어(61)에 연결된 제1, 제2, 및 제3하단 구동와이어(201,202,203)의 일단이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1하단 구동와이어(201)의 일단이 하측으로 이동하면, 제4수직 풀리(84), 제3수평 풀리(93), 및 제1하단 전환 풀리(95)에 의해 제1하단 구동와이어(201)의 타단이 제1지지기둥(11)의 위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제1지지기둥(11)에 부착된 제1레일부재(21)에 설치되며, 제1하단 구동와이어(201)의 타단에 연결된 최하단 이동대차(32)가 제1레일부재(21)를 따라 위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1레일부재(21)의 최하단 이동대차(32)가 위쪽으로 이동하면, 그 위쪽에 연결와이어(7)에 의해 연결된 복수의 중간 이동대차(33)도 최하단 이동대차(32)에 의해 차례로 위쪽으로 이동하여 복수의 중간 이동대차(33)와 최하단 이동대차(32)가 최상단 이동대차(31)의 아래에 차례로 겹치게 된다.
제2하단 구동와이어(202)의 일단이 하측으로 이동하면, 제4수직 풀리(84), 제4수평 풀리(94), 및 제2하단 전환 풀리(96)에 의해 제2하단 구동와이어(202)의 타단이 제2지지기둥(12)의 위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제2지지기둥(12)에 부착된 제2레일부재(22)에 설치되며, 제2하단 구동와이어(202)의 타단에 연결된 최하단 이동대차(32)가 제2레일부재(22)를 따라 위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2레일부재(22)의 최하단 이동대차(32)가 위쪽으로 이동하면, 그 위에 연결와이어(7)에 의해 연결된 복수의 중간 이동대차(33)도 최하단 이동대차(32)에 의해 차례로 위쪽으로 이동하여 복수의 중간 이동대차(33)와 최하단 이동대차(32)가 최상단 이동대차(31)의 아래에 차례로 겹치게 된다.
또한, 제3하단 구동와이어(203)의 일단이 하측으로 이동하면, 제3수직 풀리(83)와 하단 지지 풀리(99)에 의해 제3하단 구동와이어(203)의 타단은 중앙 레일부재(20)에 대해 위쪽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제3하단 구동와이어(203)의 타단에 연결된 최하단 이동대차(32)가 중앙 레일부재(20)를 따라 위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중앙 레일부재(20)의 최하단 이동대차(32)가 위쪽으로 이동하면, 그 아래에 연결와이어(7)에 의해 연결된 복수의 중간 이동대차(33)도 최하단 이동대차(32)에 의해 차례로 위쪽으로 이동하여 복수의 중간 이동대차(33)와 최하단 이동대차(32)가 최상단 이동대차(31)의 아래에 차례로 겹치게 된다.
이와 같이 중앙 레일부재(20)와 그 양측의 제1 및 제2레일부재(21,22)에 설치된 최상단 이동대차(31) 아래에 최하단 이동대차(32)와 복수의 중간 이동대차(33)가 겹치게 되면, 이들 이동대차(30)에 연결된 그물망(90)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기둥(10,11,12,13,14) 사이에서 지지기둥(10,11,12,13,14)의 상단 쪽으로 접히게 된다.
다시, 그물망(90)을 정상으로 펼칠 경우에는, 사용자는 제어실 또는 스마트폰으로 하단 구동장치(60)의 모터(63)를 반대로 회전시켜 하단 구동와이어(61)를 푼다. 그러면, 하단 구동와이어(61)에 연결된 제1, 제2, 및 제3하단 구동와이어(201,202,203)의 일단이 위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1하단 구동와이어(201)의 일단이 상측으로 이동하면, 제4수직 풀리(84), 제3수평 풀리(93), 및 제1하단 전환 풀리(95)에 의해 제1하단 구동와이어(201)의 타단이 제1지지기둥(11)의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제1지지기둥(11)에 부착된 제1레일부재(21)에 설치된 최하단 이동대차(32)가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1레일부재(21)의 최하단 이동대차(32)가 아래쪽으로 이동하면, 그 위에 연결와이어(7)에 의해 연결된 복수의 중간 이동대차(33)도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최하단 이동대차(32)가 제1레일부재(21)의 하단에 위치하면, 복수의 중간 이동대차(33)가 최상단 이동대차(31)와 최하단 이동대차(32)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떨어진 상태로 유지된다.
제2하단 구동와이어(202)의 일단이 상측으로 이동하면, 제4수직 풀리(84), 제4수평 풀리(94), 및 제2하단 전환 풀리(96)에 의해 제2하단 구동와이어(202)의 타단이 제2지지기둥(12)의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제2지지기둥(12)에 부착된 제2레일부재(22)에 설치된 최하단 이동대차(32)가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2레일부재(22)의 최하단 이동대차(32)가 아래쪽으로 이동하면, 그 위에 연결와이어(7)에 의해 연결된 복수의 중간 이동대차(33)도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최하단 이동대차(32)가 제2레일부재(22)의 하단에 위치하면, 복수의 중간 이동대차(33)가 최상단 이동대차(31)와 최하단 이동대차(32)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떨어진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제3하단 구동와이어(203)의 일단이 위쪽으로 이동하면, 제3수직 풀리(83)와 하단 지지 풀리(99)에 의해 제3하단 구동와이어(203)의 타단은 중앙 레일부재(20)에 대해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제3하단 구동와이어(203)의 타단에 연결된 최하단 이동대차(32)가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중앙 레일부재(20)의 최하단 이동대차(32)가 아래쪽으로 이동하면, 그 위에 연결와이어(7)에 의해 연결된 복수의 중간 이동대차(33)도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최하단 이동대차(32)가 중앙 레일부재(20)의 하단에 위치하면, 복수의 중간 이동대차(33)는 최상단 이동대차(31)와 최하단 이동대차(32)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중앙 레일부재(20)와 그 양측의 제1 및 제2레일부재(21,22)에 설치된 최상단 이동대차(31), 복수의 중간 이동대차(33), 및 최하단 이동대차(32)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면, 이들 이동대차(30)에 연결된 그물망(90)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지지기둥(10,11,12,13,14) 사이에 펼쳐진 상태가 된다.
한편, 제1지지기둥(11)의 일측에 설치된 제3지지기둥(13)의 제3레일부재(23)에 설치된 최하단 이동대차(32)는 일단이 제1하단 구동와이어(201)에 결합된 제1하단 연장와이어(204)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1하단 구동와이어(201)의 동작이 제1하단 연장와이어(204)를 통해 제3레일부재(23)에 설치된 최하단 이동대차(32)로 전달된다. 따라서, 제3레일부재(23)에 설치된 최하단 이동대차(32) 및 복수의 중간 이동대차(33)는 제1레일부재(21)에 설치된 최하단 이동대차(32) 및 복수의 중간 이동대차(33)와 동일하게 움직인다.
또한, 제2지지기둥(12)의 일측에 설치된 제4지지기둥(14)의 제4레일부재(24)에 설치된 최하단 이동대차(32)는 일단이 제2하단 구동와이어(202)에 결합된 제2하단 연장와이어(205)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2하단 구동와이어(202)의 동작이 제2하단 연장와이어(205)를 통해 제4레일부재(24)에 설치된 최하단 이동대차(32)로 전달된다. 따라서, 제4레일부재(24)에 설치된 최하단 이동대차(32) 및 복수의 중간 이동대차(33)는 제2레일부재(22)에 설치된 최하단 이동대차(32) 및 복수의 중간 이동대차(33)와 동일하게 움직인다.
따라서, 하단 구동장치(60)의 하단 구동와이어(61)를 감으면, 복수의 레일부재(20,21,22,23,24) 각각의 내부에 설치된 최하단 이동대차(32) 및 복수의 중간 이동대차(33)가 상승하여 복수의 지지기둥(10,11,12,13,14) 사이에 설치된 복수의 그물망(90)이 동시에 지지기둥(10,11,12,13,14)의 상단 근처에 접혀 도 11과 같은 상태가 된다. 또한, 하단 구동장치(60)의 하단 구동와이어(61)를 풀면, 복수의 레일부재(20,21,22,23,24) 사이에 설치된 최하단 이동대차(32) 및 복수의 중간 이동대차(33)가 하강하여 복수의 지지기둥(10,11,12,13,14) 사이에 설치된 복수의 그물망(90)이 펼쳐져 도 1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상에서는, 중앙 지지기둥(10)의 양측으로 2개의 지지기둥(11,12,13,14)이 설치된 경우, 즉 총 5개의 지지기둥(10,11,12,13,14)으로 구성된 상하 이동형 그물망 펜스(1)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중앙 지지기둥(10)의 양측으로 1개의 지지기둥을 설치하거나 또는 3개 이상의 지지기둥을 설치한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1; 상하 이동형 그물망 펜스 3; 지표
5; 고정브라켓 7; 연결와이어
10,11,12,13,14; 지지기둥 20,21,22,23,24; 레일부재
30,30'31,32,33; 이동대차 41; 이동몸체
42; 바퀴 43; 후크
45; 상단 보조 브라켓 46; 보조 바퀴
47; 하단 보조 브라켓 48; 보조 바퀴
50; 상단 구동장치 51; 상단 구동와이어
60; 하단 구동장치 61; 하단 구동와이어
70; 분배유닛 71; 베이스판
72; 수평부재 73; 수직부재
81,82,83,84; 수직 풀리 85,86,87,88; 상단 전환 풀리
89; 상단 지지 풀리 91,92,93,94; 수평 풀리
95,96,97,98; 하단 전환 풀리 99; 하단 지지 풀리
101,102,103; 상단 구동와이어 104,105; 상단 연장와이어
201,202,203; 하단 구동와이어 204,205; 하단 연장와이어
300; 제어장치 310; 제어부
320; 송수신부 330; 충전 배터리

Claims (5)

  1. 지면에 일정 간격 떨어져서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기둥;
    상기 복수의 지지기둥 각각에 지지기둥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레일부재;
    상기 복수의 레일부재 각각의 내부에 상하로 연결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이동대차;
    상기 복수의 지지기둥 중 한 곳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이동대차를 상기 지지기둥의 상단 쪽으로 이동시키도록 모터로 구동되는 하단 구동장치;
    상기 하단 구동장치가 설치된 상기 지지기둥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이동대차를 상기 지지기둥의 하단 쪽으로 이동시키도록 모터로 구동되는 상단 구동장치;
    상기 하단 구동장치의 모터와 상기 상단 구동장치의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
    상기 하단 구동장치가 설치된 상기 지지기둥에 설치되며, 상기 하단 구동장치의 모터, 상기 상단 구동장치의 모터, 및 상기 제어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이동대차는 상기 레일부재의 상단에 위치하는 최상단 이동대차, 상기 레일부재의 하단에 위치하는 최하단 이동대차, 및 상기 최상단 이동대차와 최하단 이동대차 사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한 개의 중간 이동대차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레일부재 중 인접한 2개의 레일부재에 설치된 2개의 최상단 이동대차 사이에는 상단지지부재가 연결되며, 2개의 최하단 이동대차 사이에는 하단지지부재가 연결되며, 2개의 중간 이동대차 사이에는 중간지지부재가 연결되며, 상기 상단지지부재, 중간지지부재, 및 하단지지부재 사이에는 그물망이 설치되고,
    상기 하단 구동장치는 상기 최하단 이동대차를 상승시켜 상기 그물망이 상기 지지기둥의 상단 쪽으로 접히도록 하며, 상기 상단 구동장치는 상기 최상단 이동대차를 하강시켜 상기 그물망이 상기 지지기둥의 하단 쪽에 접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상하 이동형 그물망 펜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구동장치와 하단 구동장치가 설치된 지지기둥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상단 구동장치와 하단 구동장치의 구동력을 좌우로 인접하게 설치된 지지기둥의 레일부재에 설치된 상기 복수의 이동대차로 분배하도록 형성된 분배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상하 이동형 그물망 펜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구동장치와 상기 상단 구동장치 각각은 상기 분배유닛을 통해 상기 복수의 레일부재 사이에 설치된 복수의 그물망을 동시에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상하 이동형 그물망 펜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충전 배터리 및 태양열 발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상하 이동형 그물망 펜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동대차 각각은
    이동몸체;
    상기 이동몸체의 좌우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레일부재의 내면의 전면과 후면을 따라 이동하는 4개의 메인 바퀴; 및
    상기 이동몸체의 상단과 하단에 상기 메인 바퀴와 간섭되지 않도록 설치되며, 상기 레일부재의 내면의 양측면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의 보조 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상하 이동형 그물망 펜스.
KR1020150145455A 2015-10-19 2015-10-19 자동 상하 이동형 그물망 펜스 KR101582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455A KR101582145B1 (ko) 2015-10-19 2015-10-19 자동 상하 이동형 그물망 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455A KR101582145B1 (ko) 2015-10-19 2015-10-19 자동 상하 이동형 그물망 펜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2145B1 true KR101582145B1 (ko) 2016-01-05

Family

ID=55164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5455A KR101582145B1 (ko) 2015-10-19 2015-10-19 자동 상하 이동형 그물망 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214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9261B1 (ko) * 2021-08-30 2022-06-15 주식회사 대동엠에스 이동된 구조체의 앵커장치
US20220364385A1 (en) * 2021-05-17 2022-11-17 Josh Newton Landfill debris barrier system
KR102553833B1 (ko) 2022-09-23 2023-07-10 (주)신화 승강이 용이한 자유게양식 그물망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3500A (ja) * 2003-12-05 2005-06-23 Nippon Kikai Kogyo Kk 防風雪柵
KR20140124507A (ko) * 2013-04-17 2014-10-27 최재용 회전식 자동 깃발 게양대
KR101499815B1 (ko) * 2014-04-16 2015-03-12 윤서현 가동형 비구방지 휀스
KR101503428B1 (ko) * 2014-10-29 2015-03-17 주식회사 대양금속 가동형 그물망 휀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3500A (ja) * 2003-12-05 2005-06-23 Nippon Kikai Kogyo Kk 防風雪柵
KR20140124507A (ko) * 2013-04-17 2014-10-27 최재용 회전식 자동 깃발 게양대
KR101499815B1 (ko) * 2014-04-16 2015-03-12 윤서현 가동형 비구방지 휀스
KR101503428B1 (ko) * 2014-10-29 2015-03-17 주식회사 대양금속 가동형 그물망 휀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64385A1 (en) * 2021-05-17 2022-11-17 Josh Newton Landfill debris barrier system
KR102409261B1 (ko) * 2021-08-30 2022-06-15 주식회사 대동엠에스 이동된 구조체의 앵커장치
KR102553833B1 (ko) 2022-09-23 2023-07-10 (주)신화 승강이 용이한 자유게양식 그물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2145B1 (ko) 자동 상하 이동형 그물망 펜스
US20080156929A1 (en) Captive Balloon Mobile In a Tower
KR101122713B1 (ko) 높이와 길이 조절이 가능한 캠핑트레일러를 구비한 이동식 펜션
KR101157421B1 (ko) 개폐가 가능한 보도 커버용 지붕장치를 구비하는 아케이드
CN201116259Y (zh) 隐型人货施工升降机
KR101136813B1 (ko) 현수막 게시대
CN206385866U (zh) 太阳能供电的立体停车设备
CN202913746U (zh) 立体停车场
CN105239711A (zh) 网球场全移动开合屋盖系统
CN220099917U (zh) 大跨度基坑全覆盖防尘天幕系统
US7927223B2 (en) Amusement ride
CN205134672U (zh) 网球场全移动开合屋盖系统
CN112235657A (zh) 一种具有抗风性能的5g基站
CN205242299U (zh) 智能安全道闸及安全岛组件
CN106088561A (zh) 一种建筑施工用脚手架
JP6206959B2 (ja) 避難用昇降機
CN115621862A (zh) 一种柜体结构及其etc智能机柜
CN202937038U (zh) 一种两层式伸缩车库
KR101568719B1 (ko) 상하 이동형 그물망 펜스
CN213087617U (zh) 一种5g通信基站
CN211597882U (zh) 一种用于单边升降提升的组件、装置及其舞台
CN107385818A (zh) 一种新型晾衣架
CN206942272U (zh) 一种立体车库的防坠装置
KR101895689B1 (ko) 자동 개폐 가능한 루프가 구비된 가든하우스
CN210370088U (zh) 一种立体停车塔中的升降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