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9261B1 - 이동된 구조체의 앵커장치 - Google Patents
이동된 구조체의 앵커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09261B1 KR102409261B1 KR1020210114747A KR20210114747A KR102409261B1 KR 102409261 B1 KR102409261 B1 KR 102409261B1 KR 1020210114747 A KR1020210114747 A KR 1020210114747A KR 20210114747 A KR20210114747 A KR 20210114747A KR 102409261 B1 KR102409261 B1 KR 10240926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nchor
- guide block
- base member
- moved
- recessed groov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E04H17/22—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이동된 구조체의 앵커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이동된 구조체의 앵커장치는: 구조체의 양쪽 하부에 대응되도록 나란하게 배치되고 축 방향을 따라 함몰홈이 형성되는 가이드블록, 및 구조체를 대응되는 가이드블록에 이동 안내하는 이동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동된 구조체의 앵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체를 바닥면 롤러와 측면 베어링으로 마찰계수를 최소화하여 설정 위치로 용이하게 수평 이동하고 나서, 지면에 홈 내측에 매립된 슬리브와 구조체의 하측으로 앵커볼트로써 앵커링 후, 홈에 고강도 콘크리트를 충진함에 따라 기존에 지면의 상측으로 돌출된 앵커 대비 구조체를 고정 지지하는 모듈의 내구성을 증대하고, 구조체를 이동 설치 가능함에 따라 제작(축조)을 위한 공간 제약성을 줄이고자 하는 이동된 구조체의 앵커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 구조체 및 토목 구조체 등의 하중을 지지함 있어서, 구조물의 기초구조는 상부구조물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하면서 동시에 그 하중에 대한 침하량이 상부구조물에 대해서 사용상 및 구조상 유해한 변형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기초 구조를 적절하게 선정할 필요가 있다.
종래 구조체는 모듈 지지 구조물에 장착된다.
모듈 지지 구조물은 지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박힌 콘크리트 구조물과,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에 구비된 철근 구조물과, 콘크리트 구조물 외부로 돌출되도록 콘크리트 구조물에 박힌 앵커 볼트들과, 앵커 볼트들에 결합되는 지주와, 앵커 볼트들에 각각 체결되어 지주를 고정시키는 너트, 그리고 스플라이스 슬리브(sleeve)를 포함한다.
구조체는 지주의 상단부에 장착된다.
그리고, 종래 모듈 지지 구조물을 설치하는 순서는, 지반에 설정된 면적과 깊이로 터파기를 하고, 터를 판 곳에 거푸집을 설치하며, 거푸집 내부에 슬리브(sleeve)와 철근 구조물을 배근한다. 그리고 철근 구조물에 앵커 볼트가 설치되며 슬리브에 1/2가량 삽입하여 팀 플레이트(team plate)에 맞춰 주철근에 묶어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된다.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 거푸집이 해체되고 나서 콘크리트 구조물이 흙으로 메꿔진다. 콘크리트 구조물에 돌출된 앵커 볼트들이 구조체를 고정한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88971호(발명의 명칭: 매립형 기초 구조체, 등록일자: 2019년 06월 07일)가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 구조체는 지반의 외측으로 돌출된 앵커 볼트에 고정된 채 트러스트빔 등으로 축조(시공) 됨에 따라, 공사 현장 여건에 따라 시공 작업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공사 현장에서 고공 시공 작업을 해야 함에 따른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기존 기초 구조체를 고정하는 앵커 볼트가 측하중이 작용되어 변형이 발생되는 등 앵커 볼트의 내구성이 저하되고, 이로 인해 구조체가 무너지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구조체를 바닥면 롤러와 측면 베어링으로 마찰계수를 최소화하여 설정 위치로 용이하게 수평 이동하고 나서, 지면에 홈 내측에 매립된 슬리브와 구조체의 하측으로 앵커볼트로써 앵커링 후, 홈에 고강도 콘크리트(그라우팅)를 충진함에 따라 기존에 지면의 상측으로 돌출된 앵커 대비 구조체를 고정 지지하는 모듈의 내구성을 증대하고, 구조체를 이동 설치 가능함에 따라 제작(축조)을 위한 공간 제약성을 줄이고자 하는 이동된 구조체의 앵커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된 구조체의 앵커장치는; 구조체의 양쪽 하부에 대응되도록 나란하게 배치되고, 축 방향을 따라 함몰홈이 형성되는 가이드블록; 상기 구조체를 대응되는 상기 가이드블록에 이동 안내하는 이동안내부; 및 설정 위치로 이동 완료된 상기 구조체를 상기 가이드블록에 위치 고정하는 앵커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안내부는, 상기 가이드블록에 대응되도록 상기 구조체의 하부에 구비되는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구조체를 지지한 채 상기 가이드블록의 축 방향을 따라 상기 함몰홈의 내부 바닥면에 구름 회전되며 이동하는 로어롤러부재; 및 상기 가이드블록의 축 방향을 따라 양측 또는 일측에 대응되는 상기 함몰홈의 내측면에 접하여 구름 회전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사이드롤러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앵커부는, 상기 함몰홈에 대응되도록 상기 가이드블록의 설정 위치에 축 삽입되는 앵커슬리브; 상기 구조체의 하측에 구비되는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앵커슬리브에 연결되는 앵커볼트; 상기 앵커슬리브에 연결된 상기 앵커볼트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앵커슬리브의 일측 내부로 내부충진재를 충진하기 위한 충진주입관; 및 상기 앵커슬리브의 내부에 과충진되는 상기 내부충진재를 배출 안내하기 위해 상기 앵커슬리브의 타측에 연결되는 충진토출관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부재에 의해 상기 함몰홈의 밀폐된 내부의 공간은 지지충진재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함몰홈의 내부로 노출된 상기 앵커볼트는 레벨조정플레이트에 의해 측방향 휨에 대해 지지되면서 상기 베이스부재의 수평을 확인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조체 또는 상기 베이스부재는 인양기에 의해 인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된 구조체의 앵커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구조체를 바닥면 롤러와 측면 베어링으로 마찰계수를 최소화하여 설정 위치로 용이하게 수평 이동하고 나서, 지면에 홈 내측에 매립된 슬리브와 구조체의 하측으로 앵커볼트로써 앵커링 후, 홈에 고강도 콘크리트를 충진함에 따라 기존에 지면의 상측으로 돌출된 앵커 대비 구조체를 고정 지지하는 모듈의 내구성을 증대하고, 구조체를 이동 설치 가능함에 따라 제작(축조)을 위한 공간 제약성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된 구조체의 앵커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된 구조체의 앵커장치가 앵커부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된 구조체의 앵커장치를 가이드블록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설치하는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된 구조체의 앵커장치의 이동안내부를 보인 요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된 구조체의 앵커장치의 이동안내부 중 베이스부재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된 구조체의 앵커장치가 이동안내부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된 구조체의 앵커장치의 설치 순서를 보인 요부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된 구조체의 앵커장치가 앵커부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된 구조체의 앵커장치를 가이드블록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설치하는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된 구조체의 앵커장치의 이동안내부를 보인 요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된 구조체의 앵커장치의 이동안내부 중 베이스부재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된 구조체의 앵커장치가 이동안내부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된 구조체의 앵커장치의 설치 순서를 보인 요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된 구조체의 앵커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된 구조체의 앵커장치의 종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된 구조체의 앵커장치가 앵커부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된 구조체의 앵커장치를 가이드블록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설치하는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된 구조체의 앵커장치의 이동안내부를 보인 요부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된 구조체의 앵커장치의 이동안내부 중 베이스부재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된 구조체의 앵커장치가 이동안내부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된 구조체의 앵커장치의 설치 순서를 보인 요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된 구조체(300)의 앵커장치(100)는 가이드블록(200), 이동안내부(400) 및 앵커부(500)를 포함한다.
가이드블록(200)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가이드블록(200)은 구조체(300)의 이동을 안내함으로써, 구조체(300)의 설치공간을 확장할 수 있게 한다.
아울러, 가이드블록(200)은 지면(10)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될 수도 있고, 지면(10)의 패인 홈의 내부에 타설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편의상, 가이드블록(200)은 지면(10)의 바닥에 삽입된 채 상부 방향으로 노출되게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이때, 가이드블록(200)은 콘크리트 타설되어 제작될 수도 있고, 금속으로 금형 제작될 수도 있다.
그리고, 가이드블록(200)은 축 방향을 따라 함몰홈(210)이 형성된다. 함몰홈(210)은 가이드블록(200)의 상부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가이드블록(200)이 콘크리트 타설되어 제작될 경우, 가이드블록(200)은 함몰홈(210)의 내부 바닥면에 금속성의 판재를 구비할 수 있다. 판재는 후술할 로어롤러부재(420)의 구름 회전에 대한 마찰저항을 줄이는 역할을 하고, 가이드블록(200)의 내구성을 증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구조체(300)는 축조(시공)된 후 가이드블록(200)을 따라 설정 위치로 이동 후 앵커링 고정된다.
이때, 구조체(300)의 양쪽 하부는 나란한 한 쌍의 가이드블록(200)에 각각 지지된다. 구조체(300)는 트러스트빔 등 다양하게 제작된다.
아울러, 구조체(300)는 살수유닛(330)을 포함한다.
살수유닛(330)은 살수액이송빔(332) 및 살수노즐(334)을 포함한다.
살수액이송빔(332)은 구조체(300)의 내측에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살수액을 공급받아 축 방향으로 이송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살수노즐(334)은 살수액이송빔(332)의 설정 위치에 구비되어, 살수액이송빔(332)을 따라 이송되는 살수액을 구조체(300)의 내부에 살수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이동안내부(400)는 구조체(300)를 대응되는 가이드블록(200)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하여, 구조체(300)를 하나 이상 축조 후 설정된 위치로 순서대로 이동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앵커부(500)는 가이드블록(200)을 따라 야적장(10)의 설정 위치로 이동 완료된 구조체(300)를 해당 가이드블록(200)에 위치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세히, 이동안내부(400)는 베이스부재(410), 로어롤러부재(420) 및 사이드롤러부재(43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재(410)는 가이드블록(200)에 대응되도록 구조체(300)의 하부에 구비된다. 이때, 베이스부재(410)는 구조체(300)에 대한 지지력을 갖도록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함몰홈(210)의 내측에 수용되는 크기로 이루어지며, 넓은 직육면체 또는 패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구조체(300)는 다양한 방식으로 베이스부재(410)에 연결된다.
또한, 로어롤러부재(420)는 베이스부재(410)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분리 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베이스부재(410)는 하측면에 설치브라켓(422)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고, 로어롤러부재(420)는 설치브라켓(422)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에 따라, 로어롤러부재(420)는 구조체(300)를 지지한 채 가이드블록(200)의 축 방향을 따라 함몰홈(210)의 내부 바닥면에 구름 회전되며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때, 로어롤러부재(420)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사이드롤러부재(430)는 가이드블록(200)의 축 방향을 따라 양측 또는 일측에 대응되는 함몰홈(210)의 내측면에 접하여 구름 회전되도록, 베이스부재(410)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된다.
특히, 사이드롤러부재(430)는 함몰홈(210)의 내측면을 따라 구름 회전함에 따라, 베이스부재(410)가 가이드블록(200)에 접함에 따른 이송 저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편의상, 베이스부재(410)는 평면상 사각 형상으로 도시하고, 사이드롤러부재(430)는 베이스부재(410)의 각 코너 부위에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아울러, 사이드롤러부재(430)는 베이스부재(410)의 상측면과 하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물론, 사이드롤러부재(430)는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베이스부재(410)는 다양한 구동원에 의해 함몰홈(210)을 따라 강제로 설정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구조체(300)의 베이스부재(410)가 가이드블록(200)에 대해 설정 위치로 이동 후, 앵커부(500)에 의해 가이드블록(200)에 고정된다. 이때, 베이스부재(410)는 가이드블록(200)에 구비되는 센서 또는 스토퍼 등에 의해 정위치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앵커부(500)는 앵커슬리브(510), 앵커볼트(520), 충진주입관(530), 충진토출관(540), 내부충진재(550) 및 지지충진재(560)를 포함한다.
앵커슬리브(510)는 함몰홈(210)에 대응되도록 가이드블록(200)의 설정 위치 즉, 위치 고정되는 베이스부재(410)에 대응되도록 가이드블록(200)에 축 삽입된다.
이때, 앵커슬리브(510)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앵커볼트(520)는 베이스부재(410)에 삽입 또는 나사 결합 후, 대응되는 앵커슬리브(510)의 내부에 나사 결합된다. 특히, 앵커볼트(520)는 일대일 대응되는 앵커슬리브(510)의 상부로 축 삽입된다.
앵커슬리브(510)는 개방된 상부가 함몰홈(210)의 바닥면을 통해 노출되도록, 가이드블록(200)을 제작시 가이드블록(200)의 설정위치마다 매립된다.
아울러, 앵커슬리브(510)는 가이드블록(200)의 내부에 고정된 앵커리브(514)를 하부 방향으로 축 삽입한다. 그래서, 앵커슬리브(510)는 앵커볼트(520)의 일부를 상부로 축 삽입하고, 앵커리브(514)의 일부를 하부로 축 삽입한다.
충진주입관(530)은 앵커슬리브(510)에 삽입된 앵커볼트(520)와 앵커리브(514)를 고정하기 위해, 앵커슬리브(510)의 일측 내부로 내부충진재(550)를 충진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충진주입관(530)은 일측이 앵커슬리브(510)의 충진포트(516)에 접속된 채 가이드블록(200)의 타설 또는 성형 제작됨에 따라 일부가 가이드블록(200)의 내부에 매립된다.
그래서, 충진주입관(530)은 외부로부터 유동성의 내부충진재(550)를 공급받아 앵커슬리브(510)의 내부에 충진된다.
그리고, 충진토출관(540)은 앵커슬리브(510)의 내부에 과충진되는 유동성의 내부충진재(550)를 배출 안내하기 위해 앵커슬리브(510)의 토출포트(518)에 접속된다.
충진토출관(540)은 일부가 가이드블록(200)의 내부에 매립된다.
따라서, 내부충진재(550)가 앵커슬리브(510) 내부에 충진된 후 경화되면, 앵커볼트(520)와 앵커리브(514)는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로써, 베이스부재(410)는 가이드블록(20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때, 가이드블록(200)은 축 방향을 따라 함몰홈(210)의 양측 가장자리에 단턱(212)을 형성한다. 그래서, 베이스부재(410)는 단턱(212)에 접하여 지지된 채 앵커볼트(520)에 의해 가이드블록(200)에 고정된다.
그리고, 베이스부재(410)에 의해 함몰홈(210)의 밀폐된 내부의 공간은 지지충진재(560)가 충진된다. 지지충진재(560)는 함몰홈(210)의 내부에 충진된 후 경화됨으로써, 베이스부재(410)의 하측면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앵커볼트(520)가 함몰홈(210)의 내부의 공간에서 노출된다. 이로 인해, 앵커볼트(520)는 측방향 휨력을 작용받게 된다.
지지충진재(560)가 함몰홈(210)의 내부의 공간에 노출된 앵커볼트(520)의 해당 부위를 감싼 채 경화됨에 따라, 앵커볼트(520)의 변형이 방지된다.
물론, 내부충진재(550)와 지지충진재(560)는 몰타르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또한, 함몰홈(210)의 내부로 노출된 앵커볼트(520)는 레벨조정플레이트(570)에 의해 측방향 휨에 대해 지지되면서 베이스부재(410)의 수평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레벨조정플레이트(570)는 규격화되어 동일한 베이스부재(410)에 이웃하게 삽입 설치되는 앵커볼트(520)의 축 방향에 대해 동일 위치끼리를 연결 또는 삽입하게 된다. 그래서, 레벨조정플레이트(570)는 지지충진재(560)가 충진되기 전에 함몰홈(210)의 바닥면에 대해 나란한 상태인지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레벨조정플레이트(570)가 적어도 이웃한 한 쌍의 앵커볼트(520)를 연결함으로써, 앵커볼트(520)의 측방향에 대한 지지력이 증가된다.
물론, 레벨조정플레이트(57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한편, 구조체(300) 또는 베이스부재(410)는 인양기(600)에 의해 인양된다.
더욱 상세히, 로어롤러부재(420)와 사이드롤러부재(430)에 의해, 베이스부재(410)가 함몰홈(210)을 따라 설정 위치까지 이동된 후, 앵커부(500)에 의해 가이드블록(200)에 앵커링 처리된다.
이때, 베이스부재(410)가 앵커링 처리되기 전(前)에, 베이스부재(410) 각각에 설치된 로어롤러부재(420)와 사이드롤러부재(430)는 제거되어 재활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위치 설정된 베이스부재(410)는 인양기(600)에 의해 가이드블록(200)에 대해 상부 방향으로 설정 높이만큼 인양된다. 그리고 나서, 작업자가 베이스부재(410)에 설치된 로어롤러부재(420)와 사이드롤러부재(430)를 제거 후 베이스부재(410)를 설정 위치로 하향한다.
물론, 인양기(600)는 타워 크레인이나 잭(jack)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지면 100: 앵커장치
200: 가이드블록 210: 함몰홈
212: 단턱 300: 구조체
330: 살수유닛 400: 이동안내부
410: 베이스부재 420: 로어롤러부재
430: 사이드롤러부재 500: 앵커부
510: 앵커슬리브 520: 앵커볼트
530: 충진주입관 540: 충진토출관
550: 내부충진재 560: 지지충진재
570: 레벨조정플레이트 600: 인양기
200: 가이드블록 210: 함몰홈
212: 단턱 300: 구조체
330: 살수유닛 400: 이동안내부
410: 베이스부재 420: 로어롤러부재
430: 사이드롤러부재 500: 앵커부
510: 앵커슬리브 520: 앵커볼트
530: 충진주입관 540: 충진토출관
550: 내부충진재 560: 지지충진재
570: 레벨조정플레이트 600: 인양기
Claims (7)
- 구조체의 양쪽 하부에 대응되도록 나란하게 배치되고, 축 방향을 따라 함몰홈이 형성되는 가이드블록; 상기 구조체가 대응되는 상기 가이드블록을 따라 설정 위치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이동안내부; 및 설정 위치로 이동 완료된 상기 구조체를 상기 가이드블록에 위치 고정하는 앵커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안내부는, 상기 가이드블록에 대응되도록 상기 구조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대응되는 상기 가이드블록을 따라 설정 위치로 이동 후 상기 앵커부에 의해 상기 가이드블록에 위치 고정되는 베이스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앵커부는, 상기 함몰홈에 대응되도록 상기 가이드블록의 설정 위치에 축 삽입되는 앵커슬리브;
상기 구조체의 하측에 구비되는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앵커슬리브에 연결되는 앵커볼트;
상기 앵커슬리브에 연결된 상기 앵커볼트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앵커슬리브의 일측 내부로 내부충진재를 충진하기 위한 충진주입관; 및
상기 앵커슬리브의 내부에 과충진되는 상기 내부충진재를 배출 안내하기 위해 상기 앵커슬리브의 타측에 연결되는 충진토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된 구조체의 앵커장치.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안내부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구조체를 지지한 채 상기 가이드블록의 축 방향을 따라 상기 함몰홈의 내부 바닥면에 구름 회전되며 이동하는 로어롤러부재; 및
상기 가이드블록의 축 방향을 따라 양측 또는 일측에 대응되는 상기 함몰홈의 내측면에 접하여 구름 회전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사이드롤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된 구조체의 앵커장치.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에 의해 상기 함몰홈의 밀폐된 내부의 공간은 지지충진재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된 구조체의 앵커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홈의 내부로 노출된 상기 앵커볼트는 레벨조정플레이트에 의해 측방향 휨에 대해 지지되면서 상기 베이스부재의 수평을 확인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된 구조체의 앵커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 또는 상기 베이스부재는 인양기에 의해 인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된 구조체의 앵커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14747A KR102409261B1 (ko) | 2021-08-30 | 2021-08-30 | 이동된 구조체의 앵커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14747A KR102409261B1 (ko) | 2021-08-30 | 2021-08-30 | 이동된 구조체의 앵커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09261B1 true KR102409261B1 (ko) | 2022-06-15 |
Family
ID=81987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14747A KR102409261B1 (ko) | 2021-08-30 | 2021-08-30 | 이동된 구조체의 앵커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09261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84190A (ko) * | 2008-01-31 | 2009-08-05 | 두성중공업 주식회사 | 이동식 작업장 |
KR101292691B1 (ko) * | 2013-04-18 | 2013-08-09 | (주)무한에이앤디건축사사무소 | 모듈러 하우스 구조 |
KR101582145B1 (ko) * | 2015-10-19 | 2016-01-05 | (주)우림에프엔씨 | 자동 상하 이동형 그물망 펜스 |
-
2021
- 2021-08-30 KR KR1020210114747A patent/KR10240926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84190A (ko) * | 2008-01-31 | 2009-08-05 | 두성중공업 주식회사 | 이동식 작업장 |
KR101292691B1 (ko) * | 2013-04-18 | 2013-08-09 | (주)무한에이앤디건축사사무소 | 모듈러 하우스 구조 |
KR101582145B1 (ko) * | 2015-10-19 | 2016-01-05 | (주)우림에프엔씨 | 자동 상하 이동형 그물망 펜스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6759439B (zh) | 用于基坑的塔吊基础及其施工方法 | |
CN109356210B (zh) | 一种桩基建筑物纠倾截桩托换限位结构及其施工方法 | |
ITBO20060414A1 (it) | Metodo per sollevare un manufatto edilizio. | |
CN111042185B (zh) | 一种带塔吊基础的地下室筏板基础施工方法 | |
KR100876355B1 (ko) | 인상가이드가 포함된 교량 인상 장치 및 상기 교량 인상 장치를 이용한 교량 인상 공법 | |
CN109577166B (zh) | 上跨现役公路门洞支架及施工方法 | |
CN108265618B (zh) | 一种高架桥柱墩基础地下逆向增层施工方法 | |
CN110205921A (zh) | 通过钢筋插入波纹管连接的预制拼装墩柱构造及施工方法 | |
CN110387886B (zh) | 人防工程基坑支护结构及其施工方法 | |
CN109024288B (zh) | 一种使用预制混凝土抄垫架设钢桁梁的方法 | |
CN110682433A (zh) | 一种预制立柱施工方案 | |
KR102001526B1 (ko) | 하향식 공법용 수직구 압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직구 시공방법 | |
KR20030038237A (ko) | 지하터널 형성용 구조물 설치방법 및 그 구조 | |
KR102409261B1 (ko) | 이동된 구조체의 앵커장치 | |
KR101756965B1 (ko) | 유지 보수가 가능한 높낮이 조절형 철도궤도선로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철도궤도선로 보수방법 | |
US10450715B2 (en) | Powered lifting station for and method for lifting a slab foundation | |
CN114482607B (zh) | 钢筋砼筒仓内壁加装钢板层的施工方法 | |
CN216339582U (zh) | 一种用于基坑支护的组合斜向支撑 | |
CN114293564A (zh) | 一种建筑工程基坑边坡桩基现场施工方法 | |
JP4722691B2 (ja) | 既設構造物の土間コンクリートの補修方法 | |
CN115450262B (zh) | 一种建筑结构后浇带上部设置施工通道的工作方法 | |
JP4036178B2 (ja) |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設置方法および移動装置 | |
RU2626504C1 (ru) | Способ ремонта основания стальных резервуаров и виброрейк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 |
JP5938234B2 (ja) | 上下二槽型の貯水槽構成用の外壁支柱部材及びそれを用いる上下二槽型の貯水槽並びに貯水槽の構築方法 | |
CN115478548B (zh) | 膨胀土路堑边坡减胀抗震防灾组合支挡结构及施工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