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9960B1 - 몽골 텐트 - Google Patents

몽골 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9960B1
KR102109960B1 KR1020190016570A KR20190016570A KR102109960B1 KR 102109960 B1 KR102109960 B1 KR 102109960B1 KR 1020190016570 A KR1020190016570 A KR 1020190016570A KR 20190016570 A KR20190016570 A KR 20190016570A KR 102109960 B1 KR102109960 B1 KR 102109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tent
frame
mongolian
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6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8400A (ko
Inventor
홍지애
Original Assignee
홍지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지애 filed Critical 홍지애
Priority to KR1020190016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9960B1/ko
Publication of KR20190028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8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9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9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10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 E04H15/14Ventilating
    • E04H15/16Ventilating of tent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22Stretch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4Covers of tents or canop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몽골 텐트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천으로 형성되는 도어 개방 시 탄성수단에 의해 쉽게 개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텐트의 지붕 첨단부에 송풍구를 형성하여 원활한 환풍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텐트의 지붕 천이 울지 않고 항시 팽팽함을 유지시킬 수 있는 몽골 텐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외각지주(110)가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설치되고, 이 외각지주(110)의 상단부에 외각지주(110)를 횡으로 연결하는 상부 프레임(130)이 구비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130)의 상부에 결합되되, 하부면에 지붕 천(220)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살(121)이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천정 프레임(120)과, 상기 외각지주(110) 사이를 외부와 차단하는 벽천(210)으로 이루어진 몽골 텐트(100)에 있어서, 상기 벽천(210)의 일측면은 도어(230)로 활용할 수 있도록 중간부가 절개되어 미닫이문 형식으로 구성되고, 상기 절개부에는 개폐가 가능하도록 결속수단(240)이 구비되며, 양측 단부는 상기 외각지주(110)에 고정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130)의 하부에는 상기 외각지주(110) 각각을 연결하기 위해 횡으로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140)의 하부에 가이드부(170)가 구비되며, 상기 도어(230)는 그 상단부가 상기 가이드부(170)에 의해 가이딩되고, 상기 도어(230)의 표면에는 탄성수단(15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몽골 텐트{Mongolian tent}
본 발명은 몽골 텐트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천으로 형성되는 도어 개방 시 탄성수단에 의해 쉽게 개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텐트의 지붕 첨단부에 송풍구를 형성하여 원활한 환풍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텐트의 지붕 천이 울지 않고 항시 팽팽함을 유지시킬 수 있는 몽골 텐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몽골 텐트라 불리는 몽골 텐트는 여러 개의 외각지주를 세우고 그 위에 천막용 천을 씌워 그늘이나 차양을 만들어 줌으로써 햇빛이나 눈, 비로부터 천막 내의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구조물을 의미한다.
이러한 몽골 텐트는 크게 일체형과 조립형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몽골 텐트의 모양, 크기, 재질 등은 천막의 사용 목적, 장소, 인원, 계절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최근에는 소수의 작업자로도 설치 및 해체 가능한 조립식 몽골 텐트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 몽골 텐트는 구조가 복잡하고 조립 및 해체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으며, 확장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몽골 텐트는 지붕 천의 처짐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지붕 천에 처짐 현상이 발생될 경우 약한 바람에도 쉽게 흔들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처진 지붕 천에 비나 눈이 고일 경우에는 천막프레임 자체가 휘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고,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몽골 텐트의 처짐 현상을 최소할 수 있는 텐트 구조물에 대한 여러 가지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42476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천으로 형성되는 도어 개방 시 탄성수단에 의해 쉽게 개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텐트의 지붕 첨단부에 송풍구를 형성하여 원활한 환풍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텐트의 지붕 천이 울지 않고 항시 팽팽함을 유지시킬 수 있는 몽골 텐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의 외각지주(110)가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설치되고, 이 외각지주(110)의 상단부에 외각지주(110)를 횡으로 연결하는 상부 프레임(130)이 구비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130)의 상부에 결합되되, 하부면에 지붕 천(220)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살(121)이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천정 프레임(120)과, 상기 외각지주(110) 사이를 외부와 차단하는 벽천(210)으로 이루어진 몽골 텐트(100)에 있어서, 상기 벽천(210)의 일측면은 도어(230)로 활용할 수 있도록 중간부가 절개되어 미닫이문 형식으로 구성되고, 상기 절개부에는 개폐가 가능하도록 결속수단(240)이 구비되며, 양측 단부는 상기 외각지주(110)에 고정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130)의 하부에는 상기 외각지주(110) 각각을 연결하기 위해 횡으로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140)의 하부에 가이드부(170)가 구비되며, 상기 도어(230)는 그 상단부가 상기 가이드부(170)에 의해 가이딩되고, 상기 도어(230)의 표면에는 탄성수단(15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각지주(110)는, 사각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각각의 외측면에는 T형 홈(111)이 형성되고 상기 T형 홈(111)에 도어(230)의 양 끝단부가 고정부재(112)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어(230)는, 두 겹으로 구성되거나 홑겹으로 구성되어 양측 단부가 상기 외각지주(110)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부(170)도 상기 도어(230)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천장 프레임(120)의 상단부에는 송풍부(160)가 구비되며, 상기 송풍부(160)는 개폐가 가능하여 필요에 따라 개폐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붕 천(220)의 구겨지거나 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붕 천(220)의 내측면에 와이어(251)의 일단을 결속하고, 중간부는 상부 프레임(130) 및 하부 프레임(140)의 외측면에 감싸며, 타단부는 상부 프레임(130)의 T형 홈(111)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몽골 텐트에 의하면, 천으로 형성되는 도어 개방 시 탄성수단에 의해 쉽게 개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기존과 같이 도어 개방 시 도어 천을 말지 않아도 되어 텐트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텐트의 지붕 첨단부에 송풍구를 형성하여 원활한 환풍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동절기 방한효과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셋째, 텐트의 지붕 천이 울지 않고 항시 팽팽함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여 빗물이나 눈이 쌓이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도어를 출입할 시 빗물이나 눈을 맞지 않게 함과 동시에 수분에 의한 지붕 천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몽골 텐트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지붕 천 및 벽천을 제거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몽골 텐트의 도어가 외각지주에 고정된 모습 및 절개부가 결속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변형예로서 도어가 2중으로 구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절개부의 결속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 몽골 텐트의 상단에 구비된 송풍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 몽골 텐트의 지붕 천이 항상 구겨지거나 울지 않고 팽팽함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구체적인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본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몽골 텐트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몽골 텐트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지붕 천 및 벽천을 제거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몽골 텐트의 도어가 외각지주에 고정된 모습 및 절개부가 결속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변형예로서 도어가 2중으로 구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 4에서 절개부의 결속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몽골 텐트(100)는 다수의 외각지주(110)가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설치되고, 이 외각지주(110)의 상단부에 외각지주(110)를 횡으로 연결하도록 상부 프레임(130)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몽골 텐트(100)는 외각지주의 개수에 따라 다각기둥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사각 기둥의 형상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외각지주(110)의 형상도 다각기둥의 형상으로 형성이 가능하지만, 제조 및 몽골 텐트 설치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서는 사각기둥의 형상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프레임(130)의 상부에 결합되되, 하부면에 지붕 천(220)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살(121)이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천정 프레임(120)과, 상기 외각지주(110) 사이를 외부와 차단하는 벽천(210)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벽천(210)의 일측면은 도어(230)로 활용할 수 있도록 중간부가 절개되어 미닫이문 형식으로 구성되고, 상기 절개부에는 개폐가 가능하도록 결속수단(240)이 구비되며, 양측 단부는 상기 외각지주(110)에 고정된다.
여기서 벽천(210), 지붕 천(220) 및 도어(230)는 모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천막용 천으로 구성되고, 모두 동일한 소재로 구성된다. 다만, 설명의 편의상 벽천(210), 지붕 천(220) 및 도어(230)로 구분하여 설명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외각지주(110)는 사각기둥의 형태로 형성되며, 각각의 면에 T형 홈(111)이 형성된다. 상기 T형 홈(111)의 경우 벽천(210) 또는 도어(230)를 설치할 면에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후술할 탄성수단(150)의 결합 및 몽골 텐트(100)의 신속한 설치를 위해 외각 지주(110)의 모든 면에 T형 홈(111)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몽골 텐트(100)의 벽면을 구성하면서 외부를 차단하는 벽천(210)의 경우 T형 홈(111)에 도어(230)의 양 끝단부가 고정부재(112)에 의해 고정됨으로서 3면이 벽면을 이루게 되며, 나머지 한 면이 도어(230)가 되는 것이다. 여기서 도어(230)의 경우 일면에만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고정부재(112)는, T형 홈(111)에 삽입되되 용이하도록 사각편으로 형성되며, 고정부재(112)의 중간부에 도어(230)가 결속되어 상기 T형 홈(111)의 개방부를 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한 결속수단(240)의 경우 도어(230)의 절개부에 결합되며, 일단부는 도어(230)의 각 절개부에 결합되며, 타단부는 단면의 형상이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엇갈린 배치로 되어 결속된다. 따라서 결속수단(240)은 도어(230)의 절개부 양 측에 결합되며, 설명의 편의상 제1 결속부(241) 및 제2 결속부(242)로 구분된다. 제1 및 제2 결속부(241, 242)의 경우 그 끝단의 형상은 동일하나, 제2 결속부(242)의 경우 도어(230)를 폐쇄할 경우 도어의 일부 개방 및 도어의 장력 조절을 위하여 제2 결속수단(242)의 몸체 중간부에는 ‘’형상의 결속체(243)가 복수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도어(230)는, 두 겹으로 구성되거나 홑겹으로 구성되어 양측 단부가 상기 외각지주(11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도어(230)에는 직접적으로 외부와 차단하기 위한 출입 천(231)이 구비될 수 있으며, 그 내측부 즉 텐트 내측으로 해충의 침입을 막기 위한 방충망(232)으로 구성되어 두 겹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프레임(130)의 하부에는 상기 외각지주(110) 각각을 연결하기 위해 횡으로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140)의 하부에 가이드부(17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한 도어(230) 및 가이드부(170)는, 상기 도어(230)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도 2의 ‘B’, ‘C’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가 홑겹일 경우 가이드부(170)도 1개로, 도어가 두 겹일 경우 가이드부(170)도 2개로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가이드부(170)는 도어(230)가 구비되는 몽골 텐트(100)의 전방부에만 구성되는 것이며, 그 외의 3면에는 설치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도어(230)는 그 상단부가 상기 가이드부(170)에 의해 가이딩되고, 상기 도어(230)의 표면에는 탄성수단(150)이 구비된다. 또한, 가이드부(170)는 하부 프레임(160)의 하부에 볼트 등에 의하여 고정되고, 그 내측에는 도어(230)의 상단부와 연결되어 가이드부(170)의 내측을 타고 이동될 수 있는 이동용 롤러(171)가 내재된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수단(150)은 두 종류로 구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30)가 홑겹으로 구성될 경우 고정부재(112)가 양측 외각지주(110)가 서로 마주보는 면에 결합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30)가 두 겹으로 구성될 경우 고정부재(112)는 외각지주(110)의 전면 및 후면 즉, 텐트의 외측과 내측에 각각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어(230)가 홑겹일 경우에는 탄성수단(150)의 탄성부재(151)가 양 도어(230)의 내측면에 그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별도의 탄성부재 고정체(152)가 몽골 텐트(100) 내측면에 위치하는 외각지주(110) T형 홈(111)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결속수단(240)의 제1 및 제2 결속수단(241, 242)의 결속을 해제하게 되면 탄성부재(151)의 탄성력에 의하여 도어는 좌우측으로 당겨서 도어(230)가 개방된다.
여기서 탄성부재 고정체(152)는, 그 전단부에 탄성부재(151)가 결속되기 위해 일부가 개방되는 탄성부재 결속공(152a)가 형성되고, 그 후단 하부에는 상기한 T형 홈(111)에 삽입되어 체결되기 위한 결속바(152b)가 형성된다. 도 3 ‘D’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속바(152b)는 T형 홈(111)의 개방부의 길이보다는 짧게 형성되어 T형 홈(111)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즉, ‘D’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문자에 기재된 순서(①→②→③)로 삽입된다. 이때 결속바(152b)의 길이는 T형 홈(111)의 개방부보다 길이는 짧아 삽입은 용이하고, 탄성부재(151)의 탄성력에 의해 T형 홈(111)의 일단부에 가압되어 쉽게 이탈되지 않는 견고한 결속구조가 된다.
한편, 도어(230)가 두 겹일 경우에는 탄성수단(150)의 탄성부재(151)가 양 도어(230)의 내측면에 재봉된다. 따라서 결속수단(240)의 제1 및 제2 결속수단(241, 242)의 결속을 해제하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151)의 탄성력에 의하여 도어는 좌우측으로 당겨서 도어(230)가 개방된다.
이와 같은 탄성수단(150)은 도어의 전체에 구성되는 것이 아닌,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도어의 상단부터 하단까지 약 2 내지 4개로 구성되며, 이는 몽골 텐트의 규모에 따라 적절하게 구성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몽골 텐트의 지붕 첨단부에는 송풍부가 구비되어 텐트 내측에서 발생되는 연기의 배출 및 환기를 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 몽골 텐트의 상단에 구비된 송풍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몽골 텐트(100)의 지붕의 첨단부에는 첨단부를 개폐하는 송풍문(161)이 구비되고, 상기 송풍문(161)의 하단부에는 텐트의 내측에 고정되는 송풍문 지지프레임(162)이 구비되며, 송풍문(161)과 송풍문 지지프레임(162)간에는 스프링(163)이 개재된다. 또한, 송풍문(161)의 하부면에는 와이어(164)가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164)는 제1 롤러(165)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제1 롤러(165)에 의해 지지되는 와이어(164)는 텐트 내측에 구비되는 제2 롤러(166)에 지지된다. 즉, 몽골 텐트(100) 설치 시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164)를 잡아당겨 텐트 내측의 구조물에 묶어 결속을 하여 송풍문(161)을 폐쇄하게 된다. 또는 동절기 방한을 위하여 송풍문(161)을 폐쇄하게 된다. 그러나 몽골 텐트(100)의 내측에서 발생된 오염된 공기를 외기로 내보내 환기를 시키기 위해서는 송풍문(161)을 개방하여야 되며, 이때 묶어서 결속된 와이어(164)를 풀게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문(161)은 스프링(163)에 의해 상승하여 텐트의 상부는 개방된다. 따라서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환기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몽골 텐트(100)는 설치 시 지붕 천이 구겨지거나 울 수 있게 된다. 이럴 경우 비 또는 눈이올 경우 지붕 천(220)에 빗물 고이거나 눈이 쌓여 텐트의 하중을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지붕 천(220)이 견디다 못해 빗물이나 눈에 의해 텐트의 내측으로 함몰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도 8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 몽골 텐트의 지붕 천이 항상 구겨지거나 울지 않고 팽팽함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지붕 천(220)의 구겨지거나 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붕 천(220)의 내측면에 와이어(251)의 일단을 결속하고, 중간부는 상부 프레임(130) 및 하부 프레임(140)의 외측면에 감싸며, 타단부는 상부 프레임(130)의 T형 홈(111)에 고정하게 된다. 이때, 별도의 고정편(252)을 이용하여 상부 프레임(130)의 T형 홈(111)에 결속하게 된다. 한편, 도면과 달리 와이어를 상부 프레임(130)에 결속이 용이하지 않을 경우 중량감이 있는 추 또는 돌멩이를 이용하여 와이어(251)를 당길 수도 있게 된다. 여기서 와이어(251)는 고무줄과 같이 그 자체가 탄력이 있는 재질로 만든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한 번 설명하면, 벽천(210)의 일측면은 도어(230)로 활용할 수 있도록 중간부가 절개되어 미닫이문 형식으로 구성되고, 상기 절개부에는 개폐가 가능하도록 결속수단(240)이 구비되며, 양측 단부는 상기 외각지주(110)에 고정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130)의 하부에는 상기 외각지주(110) 각각을 연결하기 위해 횡으로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140)의 하부에 가이드부(170)가 구비되며, 상기 도어(230)는 그 상단부가 상기 가이드부(170)에 의해 가이딩되고, 상기 도어(230)의 표면에는 탄성수단(150)이 구비되며, 몽골텐트의 지붕 첨단부에는 텐트 내측에서 발생되는 연기의 배출 및 환기를 위한 송풍부(1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속수단(240)은 일단부는 도어의 절개부에 결합되며, 타단부는 몽골텐트의 내측으로 휘어져 갈고리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1결속부(241); 일단부는 도어의 절개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몽골텐트의 외측으로 휘어지는 갈고리 형태의 결속체(243)가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며, 도어의 일부 개방 및 장력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속체 중 하나에 상기 제1결속부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결속되는 제2결속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수단(150)는 전단부는 각 도어와 연결되는 탄성부재(151)가 결속되기 위해 일부가 개방되는 탄성부재 결속공(152a)과, 후단부에는 T형 홈(111)삽입되어 체결되도록 T형 홈의 개방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T형 홈의 일단부에 가압되는 결속바(152b)가 마련되는 탄성부재 고정체(1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부(160)는 상기 몽골텐트의 첨단부에 구비되며 첨단부를 개폐하는 송풍문(161); 상기 송풍문(161)의 하단부에 마련되며 텐트의 내측에 고정되는 송풍문 지프레임(162); 상기 송풍문(161)과 상기 송풍문 지지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163); 상기 송풍문(161)에 하부면에 연결되며, 상기 몽골텐트 내측에 구비된 제1, 2롤러(165, 166)에 지지되고 당김과 풀림에 의해 상기 스프링(163)을 조절하여 상기 송풍문을 개폐하는 와이어(16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몽골 텐트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몽골 텐트 110 : 외각지주
111 : T형 홈 112 : 고정부재
120 : 천장 프레임 121 : 지지살
130 : 상부 프레임 140 : 하부 프레임
150 : 탄성수단 151 : 탄성부재
152 : 탄성부재 고정체 152a : 결속공
152b : 결속바 160 : 송풍부
161 : 송풍문 162 : 송풍문 지지프레임
163 : 스프링 164 : 와이어
165 : 제1 롤러 166 : 제2 롤러
170 : 가이드부 171 : 이동용 롤러
210 : 벽천 220 : 지붕 천
230 : 도어 231 : 출입 천
232 : 방충망 240 : 결속수단
241 : 제1 결속수단 242 : 제2 결속수단
243 : 결속체 251 : 와이어
252 : 고정편

Claims (5)

  1. 다수의 외각지주(110)가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설치되고, 이 외각지주(110)의 상단부에 외각지주(110)를 횡으로 연결하는 상부 프레임(130)이 구비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130)의 상부에 결합되되, 하부면에 지붕 천(220)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살(121)이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천정 프레임(120)과, 상기 외각지주(110) 사이를 외부와 차단하는 벽천(210)으로 이루어진 몽골 텐트(100)에 있어서,
    상기 벽천(210)의 일측면은 도어(230)로 활용할 수 있도록 중간부가 절개되어 미닫이문 형식으로 구성되고, 상기 절개부에는 개폐가 가능하도록 결속수단(240)이 구비되며, 양측 단부는 상기 외각지주(110)에 고정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130)의 하부에는 상기 외각지주(110) 각각을 연결하기 위해 횡으로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140)의 하부에 가이드부(170)가 구비되며,
    상기 도어(230)는 그 상단부가 상기 가이드부(170)에 의해 가이딩되고, 상기 도어(230)의 표면에는 탄성수단(150)이 구비되며,
    몽골텐트의 지붕 첨단부에는 텐트 내측에서 발생되는 연기의 배출 및 환기를 위한 송풍부(160)가 구비되되,
    상기 결속수단(240)은
    일단부는 도어의 절개부에 결합되며, 타단부는 몽골텐트의 내측으로 휘어져 갈고리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1결속부(241);
    일단부는 도어의 절개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몽골텐트의 외측으로 휘어지는 갈고리 형태의 결속체(243)가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며, 도어의 일부 개방 및 장력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속체 중 하나에 상기 제1결속부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결속되는 제2결속부(242);
    상기 탄성수단(150)는
    전단부는 각 도어와 연결되는 탄성부재(151)가 결속되기 위해 일부가 개방되는 탄성부재 결속공(152a)과, 후단부에는 T형 홈(111)삽입되어 체결되도록 T형 홈의 개방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T형 홈의 일단부에 가압되는 결속바(152b)가 마련되는 탄성부재 고정체(152)를 포함하며,
    상기 송풍부(160)는
    상기 몽골텐트의 첨단부에 구비되며 첨단부를 개폐하는 송풍문(161);
    상기 송풍문(161)의 하단부에 마련되며 텐트의 내측에 고정되는 송풍문 지지프레임(162);
    상기 송풍문(161)과 상기 송풍문 지지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163);
    상기 송풍문(161)에 하부면에 연결되며, 상기 몽골텐트 내측에 구비된 제1, 2롤러(165, 166)에 지지되고 당김과 풀림에 의해 상기 스프링(163)을 조절하여 상기 송풍문을 개폐하는 와이어(16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몽골 텐트.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각지주(110)는,
    사각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각각의 외측면에는 T형 홈(111)이 형성되고 상기 T형 홈(111)에 도어(230)의 양 끝단부가 고정부재(112)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몽골 텐트.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230)는, 두 겹으로 구성되거나 홑겹으로 구성되어 양측 단부가 상기 외각지주(110)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부(170)도 상기 도어(230)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몽골 텐트.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 천(220)의 구겨지거나 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붕 천(220)의 내측면에 와이어(251)의 일단을 결속하고, 중간부는 상부 프레임(130) 및 하부 프레임(140)의 외측면에 감싸며, 타단부는 상부 프레임(130)의 T형 홈(111)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몽골 텐트.
KR1020190016570A 2019-02-13 2019-02-13 몽골 텐트 KR102109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570A KR102109960B1 (ko) 2019-02-13 2019-02-13 몽골 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570A KR102109960B1 (ko) 2019-02-13 2019-02-13 몽골 텐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755 Division 2017-09-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8400A KR20190028400A (ko) 2019-03-18
KR102109960B1 true KR102109960B1 (ko) 2020-05-28

Family

ID=65948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6570A KR102109960B1 (ko) 2019-02-13 2019-02-13 몽골 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9960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167A (ko) * 2015-06-23 2017-01-02 유재춘 조립식 천막
KR101742476B1 (ko) 2016-10-20 2017-06-01 곽인근 몽골텐트형 조립식 천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8400A (ko) 2019-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3336B2 (en) Umbrella featuring a vertically deployable sun shade
KR102012748B1 (ko) 아치형 개폐식 지붕장치
KR100604215B1 (ko) 돔형 지붕의 개폐구조를 갖는 건물 간 막구조물
KR102116841B1 (ko) 차량용 텐트
KR20180077655A (ko) 막구조물의 버티컬 셔터
JP6232686B2 (ja) 開閉構造及びその形成方法
KR102109960B1 (ko) 몽골 텐트
KR101188018B1 (ko) 타프
US20170335594A1 (en) Vent control system for tent
KR200476979Y1 (ko) 차양막 처짐방지 구조를 갖는 차양장치
KR20200062694A (ko) 텐트
US9784010B2 (en) Moveable cover assembly for shelter structures
KR102211321B1 (ko) 육각 오토텐트의 구조적 특수성을 이용한 회전 결합형 타프천막
JP2017053125A (ja) テント
KR101482716B1 (ko) 몽골식 천막
KR20120057297A (ko) 온실 천창용 방충망
JP3289829B2 (ja) 開閉式膜屋根装置
KR200179375Y1 (ko) 텐트용 플라이
GB2460391A (en) Self erecting tent with integral canopy
CN217759671U (zh) 一种窗饰折叠篷
KR20130004911U (ko) 텐트의 탈부착형 출입문 장치
KR200392044Y1 (ko) 낚시용 그늘막 텐트
KR100359701B1 (ko) 온실
JP2008025202A (ja) 伸縮雨戸装置
KR200488280Y1 (ko) 차양 방갈로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