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6841B1 - 차량용 텐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6841B1
KR102116841B1 KR1020180107111A KR20180107111A KR102116841B1 KR 102116841 B1 KR102116841 B1 KR 102116841B1 KR 1020180107111 A KR1020180107111 A KR 1020180107111A KR 20180107111 A KR20180107111 A KR 20180107111A KR 102116841 B1 KR102116841 B1 KR 102116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heet
opening
tent
waterproof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7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8341A (ko
Inventor
정구승
박서하
Original Assignee
정구승
박서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594915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11684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정구승, 박서하 filed Critical 정구승
Publication of KR20190028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8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6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6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06Tents at least partially supported by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8Closures; Awnings; Sunshad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텐트에 관한 것으로, 차량용 텐트의 외피를 이루며 후방으로 개방부를 형성하여 상기 개방부가 차량의 백도어, 리어패널 및 범퍼패널에 각각 연결되는 방수시트; 상기 개방부의 선단부에 내장되게 삽입되며, 상기 방수시트를 소정의 탄성력을 통해 상기 개방부의 상부면이 상기 백도어의 후방면을 감싸면서 상기 백도어에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개방부의 양측면이 상기 리어패널에 형성된 틈으로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개방부의 하부면이 상기 범퍼패널의 내측면에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텐트 고정수단; 상기 방수시트의 내면에 구성되며, 상부면이 상기 백도어와 리어패널 사이의 틈에 삽입되고, 양측면부는 상기 리어패널의 측면부의 외면을 감싸며, 하부면은 상기 리어패널의 하부면 및 범퍼패널의 상부면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차단시트; 상부면이 상기 방수시트와 결합되고, 양측부 및 하부면이 개폐수단과 결합되어 상기 방수시트와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면으로 방충망 및 그늘막이 각각 개별적으로 개폐수단과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텐트{car tent}
본 발명은 차량용 텐트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백도어에 별도의 텐트 고정장치가 없어도 쉽고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텐트가 설치된 상태에서도 이동이 가능함은 물론, 개방된 백도어를 감싸도록 설치가 이루어지면서 차량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완전히 차단하여 해충이 백도어와 텐트 사이의 틈으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용 텐트에 관한 것이다.
레저차량용 텐트는 차량의 주변에 설치하여 비나 햇빛을 피해 일정한 쉼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은 루프레일이나 해치백에 지지되게 설치된다. 하지만, 종래의 레저차량용 텐트는 사방에 지주를 세워야 하거나, 텐트지의 형태유지를 위해 텐트지의 요소에 폴대를 끼워넣어야 하는 설치절차가 필요하고, 해체시에도 많은 수의 지주 또는 폴대를 철거 및 분리해야 하는 절차가 필요하므로, 설치 및 해체가 힘들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해치 백도어 스타일의 레저차량용 오토캠핑텐트가 상당수 판매되고 있으나, 이들 대부분의 차량용 텐트는 차량의 지붕위에 설치하도록 구성된 차량용 텐트로서, 내부공간이 협소할 뿐만 아니라, 지붕 위에 설치되는 구조로 인하여 출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35657호에는, 차량의 천장과 개문(開門)된 해치백에 지지되고, 안테나식으로 다단으로 접고 펼 수 있어 길이조절이 가능하며, 각 단의 경계부위에 조임링이 설치되어 길이가 조절된 상태를 유지토록 한 복수의 다단봉과; 상기 각 다단봉의 선단부에 고정 철치되어 차량의 천장 또는 해치백 윗면에 진공압착되는 복수의 압착패킹으로 이루어진 텐트지 지지폴; 상기 텐트지 지지폴의 상부에 얹어 설치되며, 차량 뒷바퀴의 휠에 걸 수 있도록 후크가 양단에 연결된 신축밴드가 일측으로 구비되고, 타측에는 지면에 박음 고정되는 팩이 양단에 연결된 신축밴드가 구비된 텐트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차량용 텐트가 게재된 바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레저용 차량의 해치백을 개방한 상태로 캠핑할 경우, 비바람과 해충이 차량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 차량의 백도어에 별도의 텐트 고정장치가 없어도 쉽고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텐트가 설치된 상태에서도 이동이 가능한 차량용 텐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방된 백도어를 감싸도록 설치가 이루어지면서 차량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완전히 차단하여 해충이 백도어와 텐트 사이의 틈으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용 텐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용 텐트의 외피를 이루며 후방으로 개방부를 형성하여 상기 개방부가 차량의 백도어, 리어패널 및 범퍼패널에 각각 연결되는 방수시트; 상기 개방부의 선단부에 내장되게 삽입되며, 상기 방수시트를 소정의 탄성력을 통해 상기 개방부의 상부면이 상기 백도어의 후방면을 감싸면서 상기 백도어에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개방부의 양측면이 상기 리어패널에 형성된 틈으로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개방부의 하부면이 상기 범퍼패널의 내측면에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텐트 고정수단; 상기 방수시트의 내면에 구성되며, 상부면이 상기 백도어와 리어패널 사이의 틈에 삽입되고, 양측면부는 상기 리어패널의 측면부의 외면을 감싸며, 하부면은 상기 리어패널의 하부면 및 범퍼패널의 상부면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차단시트; 및 상부면이 상기 방수시트와 결합되고, 양측부 및 하부면이 개폐수단과 결합되어 상기 방수시트와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면으로 방충망 및 그늘막이 각각 개별적으로 개폐수단과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시트;를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개방부의 상부면에는 상기 차단시트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백도어와 리어패널 사이의 틈에 삽입되면서 상기리어패널의 선단부측 둘레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장시트와, 상기 연장시트에 구성되는 부착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수시트는, 상기 개폐시트, 방충망 및 그늘막 중 어느 하나만이 개폐가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개폐시트의 개폐시 상기 방충망 및 그늘막이 동시에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개폐시트에는, 상기 개폐시트의 단부와 상기 방수시트의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 구성되며, 상기 방수시트와 연결되는 연결 와이어의 권취 및 풀림이 이루어지는 와이어 롤러와, 상기 방수시트의 상부 선단부에 구성되며, 상기 연결 와이어를 결합하는 결합단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수시트에는 차창막(180)을 포함하고, 상기 차창막(180)은 상기 차량의 상기 백도어에 구비되어 있는 윈도우와 중첩되어 위치하고, 상기 차창막(180)은 투명하고, 우레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수 시트는 상기 차량의 차체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노출홈을 형성하고, 상기 노출홈을 통해서 상기 차량의 백라이트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텐트는 차량용 텐트의 외피를 이루며 후방으로 개방부를 형성하여 상기 개방부가 차량의 백도어, 리어패널 및 범퍼패널에 각각 연결되는 방수시트; 상기 개방부의 선단부에 내장되게 삽입되며, 상기 방수시트를 소정의 탄성력을 통해 상기 개방부의 상부면이 상기 백도어의 후방면을 감싸면서 상기 백도어에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개방부의 양측면이 상기 리어패널에 형성된 틈으로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개방부의 하부면이 상기 범퍼패널의 내측면에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텐트 고정수단; 상기 방수시트의 내면에 구성되며, 상부면이 상기 백도어와 리어패널 사이의 틈에 삽입되고, 양측면부는 상기 리어패널의 측면부의 외면을 감싸며, 하부면은 상기 리어패널의 하부면 및 범퍼패널의 상부면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차단시트; 상부면이 상기 방수시트와 결합되고, 양측부 및 하부면이 개폐수단과 결합되어 상기 방수시트와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며, 방충망 및 투명막이 각각 개별적으로 개폐수단과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충망은 메쉬 형상을 가지고, 상기 투명막은 우레탄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시트가 최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투명막은 상기 개폐시트 및 상기 방충망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서 상기 방충망은 메쉬 형상을 가지고, 상기 투명막은 우레탄을 포함하고, 상기 방충망이 최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개폐시트는 상기 방충망 및 상기 투명막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서 상기 방충망은 메쉬 형상을 가지고, 상기 투명막은 우레탄을 포함하고, 상기 방수 시트는 우레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도어 및 상기 백도어가 결합되고 리어패널 및 범퍼패널을 포함하는 후방 프레임을 포함하는 차량에 설치하는 차량용 텐트는 상기 차량용 텐트의 외피를 이루며 후방으로 개방부를 형성하여 상기 개방부가 상기 백도어가 오픈된 상태에서 상기 후방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백도어와 상기 후방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는 방수시트; 상기 개방부의 선단부에 내장되게 삽입되며, 상기 방수시트를 소정의 탄성력을 통해 상기 개방부의 상부면이 상기 리어패널의 상부면을 감싸도록 구성되고, 상기 개방부의 양측면이 상기 리어패널에 형성된 틈으로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개방부의 하부면이 상기 범퍼패널의 내측면에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텐트 고정수단; 상기 방수시트의 내면에 구성되며, 상부면이 상기 차량의 백도어와 상기 후방 프레임의 상부면 사이의 틈에 삽입되고, 양측면부는 상기 리어패널의 측면부의 외면을 감싸며, 하부면은 상기 범퍼패널의 상부면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차단시트; 및 상부면이 상기 방수시트와 결합되고, 양측부 및 하부면이 개폐수단과 결합되어 상기 방수시트와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며, 방충망 및 그늘막이 각각 개별적으로 개폐수단과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시트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의 백도어에 별도의 텐트 고정장치가 없어도 쉽고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텐트가 설치된 상태에서도 이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개방된 백도어를 감싸도록 설치가 이루어지면서 차량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완전히 차단하여 해충이 백도어와 텐트사이의 틈으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텐트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텐트의 시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텐트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텐트의 개폐시트 고정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텐트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방수시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차량용 텐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텐트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텐트의 시트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텐트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텐트의 개폐시트 고정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텐트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방수시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차량용 텐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도 1 및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텐트(100)는 방수시트(110), 텐트 고정수단(120), 차단시트(130), 개폐시트(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방수시트(110)는 차량용 텐트의 외피를 이루는 것으로, 빗물이나 햇빛 등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방수시트(110)는 차량과 연결되는 후방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고, 그 전방부 및 양측면에는 각각 개폐시트(140)가 개폐 가능하게 결합이 이루어진다.
또한, 방수시트(110)는 후방측 개방부의 테두리를 따라 내장 삽입되며,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여 차량용 텐트와 차량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방수 시트(110)의 고정단(118)에 형성되는 텐트 고정수단(120)이 구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방수시트(110)는 그 양측면으로 방수시트(110)와 차량의 리어패널(20) 간의 보다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재가 더 구성된다.
고정부재는 방수시트(110)의 양측면이 일부 절개되면서 형성된 절개부(112)와, 이 절개부(112)를 기준으로 양측부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끈(114) 및 상기 고정끈(114)의 길이를 조절하는 끈 조절부재(116)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고정부재는 방수시트(110)가 차량에 연결된 상태에서 끈 조절부재(116)를 이용하여 고정끈(114)을 잡아 당겨 방수시트(110)가 차량의 리어패널(20)에 더욱 밀착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텐트 고정수단(120)과 함께 소정의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텐트 고정수단(120)은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탄성체로 구성되고 방수시트(110)의 후방측 개방부의 선단부에 내장 삽입되는 것으로, 방수시트(110)가 차량의 백도어(10), 리어패널(20) 및 범퍼패널(30) 등에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결합수단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별도의 고정수단이 없어도 탄성력만을 이용하여 차량용 텐트와 차량 간의 연결이 가능함에 따라 남녀노소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본 발명의 차량용 텐트를 설치 및 분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방수시트(110)는 그 상부면이 백도어(10)의 상면에 안착을 이루면서 후방측 개방부의 상부면에 위치하는 텐트 고정수단(120)이 백도어(10)의 후방면을 감싸면서 밀착됨과 동시에 백도어(10)를 이루는 패널에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방수시트(110)의 양측면이 리어패널(20)의 외면에 밀착되면서 리어패널(20)들 사이의 틈으로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하부면이 범퍼패널(30)을 감싸면서 범퍼패널(30)의 내측면에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방수시트(110)는 차량의 백도어(10), 리어패널(20)의 단부측 및 범퍼패널(30)에 모두 결합이 이루어짐에 따라 차량과 차량용 텐트 간의 긴밀한 결합이 가능함과 동시에 장시간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 시트(110)에는 노출홈(190)이 형성될 수 있다. 방수 시트(110)의 노출홈(190)은 차량용 텐트가 설치되는 차량의 차체 일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노출홈(190)은 복수개일 수 있고, 노출홈에 의해서 차량의 백라이트(195)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용 텐트가 차량에 설치되어도, 차량의 백라이트(195)를 계속 활용할 수 있어, 차량용 텐트의 내부에서 차량의 백라이트(195)에서 출력되는 광을 통해서 차량 외부의 어두운 공간을 효과적으로 시인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시트(110)는 차창막(180)을 포함할 수 있다.
차창막(180)은 차량용 텐트가 설치되는 차량의 백도어(10, 도 2b에 도시됨)의 윈도우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차창막(180)은 차량의 백도어(10)의 윈도우와 중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차창막(180)은 우레탄을 포함하여 차량용 텐트 내부의 보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차창막(180)은 투명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차창막(180)이 차량의 백도어의 윈도우와 중첩되게 형성됨으로써, 차량용 텐트 내부에서도 차창막(180)을 통해서 외부 공간을 효과적으로 시인할 수 있다.
또한 방수시트(110)는 전면이 투명한 우레탄을 포함하여, 차량용 텐트가 설치된 차량 내부의 보온성을 더욱 더 상승시킬 수 있다.
차단시트(13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및 후방이 모두 관통되게 형성되며, 방수시트(110)의 내면에 구성되는 것으로, 빗물 등이 차량과 차량용 텐트 사이의 틈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차단시트(130)는 방수시트(110)의 후방측 개방부에 재봉 등과 같은 방법을 통해 결합될 수 있으며, 그 선단부에는 차단시트(130)가 차량에 긴밀하게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텐트 고정수단(120)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차단시트(130)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이 백도어(10)와 리어패널(20) 사이의 틈에 삽입되면서 리어패널(20)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성된다. 또한 차단시트(130)의 양측면부는 리어패널(20)의 측면부의 외면을 감싸고, 하부면은 리어패널(20)의 하부면 및 범퍼패널(30)의 상부면을 감싸도록 구성됨으로써, 차량용 텐트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과 연결되는 차량용 텐트와 차량 사이의 틈을 완전히 밀폐시키게 되어 차량의 패널들 사이의 틈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이 차량용 텐트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시트(110)의 내면 전체에 밀착 구성되며, 열융착 등과 같은 방법에 의해 방수시트(110)의 내면에 융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방수시트(110)의 후방측 개방부의 선단부 보다 연장되게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개방부의 상부면에는 차단시트(130)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연장시트(132)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연장시트(132)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도어(10)와 리어패널(20) 사이의 틈에 삽입되면서 리어패널(20)의 선단부측 둘레면, 즉 백도어(10)가 열리면서 개방되는 차량의 후방측부의 내측 둘레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빗물이 차량용 텐트 뿐만 아니라, 차량의 내부로도 유입이 이루어지는 것을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연장시트(132)에는 차량의 리어패널(20)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부착수단(134)이 더 구성될 수 있으며, 이 부착수단(134)은 통상의 벨크로 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방수시트(110)의 내부 전체면에 차단시트(130)가 밀착되는 경우, 방수시트(110)에 구성된 텐트 고정수단(120)이 차량의 각 패널들(10, 20, 30)에 결합될 때, 차단시트(130)도 함께 고정이 이루어짐에 따라 차량용 텐트를 더욱 간단하게 차량에 설치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개폐시트(140)는 방수시트(110)의 전방부, 또는 전방부 및 양측부 모두에 구성되는 것으로, 그 상부면이 방수시트(110)와 결합되고, 양측부 및 하부면이 개폐수단(142)과 결합되어 방수시트(110)와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개폐시트(140)는 개폐수단(142)에 의해 방수시트(110)와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개폐수단(142)으로는 통상의 지퍼, 또는 벨크로 테이프 등과 같은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개폐시트(140)는 통상의 방충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개폐시트(140)는 본 발명의 방수시트(11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내면으로 메쉬 형상을 가지는 방충망(150) 및 그늘막(160)이 각각 개별적으로 개폐수단(142)과 개폐 가능하게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즉 개폐시트(140)가 최외측에 위치할 수 있고, 내측으로 방충망(150) 및 그늘막(160)이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개폐시트(140), 방충망(150) 및 그늘막(160)의 위치 순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충망(150)이 최외측에 위치할 수 있고, 개폐시트(140)가 최내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그늘막(160)이 최외측에 위치할 수 있고, 방충망(150)이 최내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그늘막(160)은 투명막(미도시)로 대체될 수 있다. 기존의 그늘막(160)의 기능은 개폐시트(140)가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개폐시트(140)를 차량 주변의 지지대(예를 들면 나무)에 고정하여, 차량 후방에 그늘을 형성할 수 있다.
투명막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투명막은 투명한 우레탄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막은 최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개폐시트(140)가 최외측에 위치하고, 방충망(150)은 투명막 및 개폐시트(14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개폐시트(140), 방충망(150), 및 투명막의 위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처럼 투명막이 우레탄을 포함하여, 차량용 텐트의 보온성을 상승시키고, 투명막을 개폐하지 않아도 차량용 텐트 내부에서 외부 시인이 가능할 수 있다.사용자는 개폐시트(140), 방충망(150) 및 그늘막(160) 중 원하는 구성요소 만을 독립적으로 방수시트(110)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어 차량용 텐트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에게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날씨의 변화에 따라 다양하게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일 예로, 날씨가 더운 경우, 개폐시트(140) 및 그늘막(160) 만을 방수시트(110)로부터 분리하여 외부 공기와의 통풍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또는 그늘막(160)을 방수시트(110)로부터 분리하여 차량용 텐트 주변으로 그늘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방충망(150) 및 그늘막(160)은 개폐시트(140)와 개폐수단(142)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결합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개폐시트(140) 만을 방수시트(110)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방충망(150) 및 그늘막(160) 역시 함께 분리가 가능하게 되어 개폐 작동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개폐시트(1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시트(140)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여 차량용 텐트의 내부 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개폐시트(140)에는 개폐시트(140)의 단부와 방수시트(110)의 단부를 연결하여 개폐시트(140)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재(21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210)는 개폐시트(140)의 외면 하부에 구성되며, 방수시트(110)와 연결이 이루어지는 연결 와이어(212)의 권취 및 풀림이 이루어지는 와이어 롤러가 더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연결부재(210)는 방수시트(110)의 상부 선단부에 구성되며, 와이어 롤러로부터 풀리는 연결 와이어(212)의 단부를 결합하는 결합단추(214)가 더 구성된다.
이에 따라 개폐시트(140)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와이어 롤러로부터 연결 와이어(212)를 일정 길이 만큼 풀면서 상기 연결 와이어(212)의 단부를 결합단추(214)에 결합시켜 연결 와이어(212)의 장력에 의해 개폐시트(140)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개폐시트(140)는 소정의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되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형텐트를 더 연결하여 차량용 텐트의 내부 공간을 더 확장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면들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텐트는 방수시트가 차량의 백도어를 감싸는 형태가 아니고, 차량의 백도어가 오픈된 상태에서 차량의 후방 프레임에만 연결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후방 프레임은 전술하였던 리어패널(20) 및 범퍼패널(3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방수시트는 차량용 텐트의 설치가 완료되었을 때 최외측에 위치하지 않으며, 백도어(10)에 접촉되어 결합되지 않으며, 백도어(10)와 후방 프레임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차량용 텐트가 설치되는 경우, 앞서 도 1 및 도 2a에서 설명하였던 차량용 텐트(100)에 비해서 설치 과정이 더 단순화되어 보다 간편하게 차량용 텐트가 설치될 수 있다.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 1 및 도 2a에서 상세히 설명하였는 바 생략하도록 한다.이때, 본 발명의 차량용 텐트와 연결되는 대형텐트 역시 차량에 연결 설치할 수 있는 종류의 텐트이며, 대형텐트를 설치하는 통상의 지주들이 더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차량용 텐트 110: 방수시트
120: 텐트 고정수단 130: 차단시트
140: 개폐시트 150: 방충망
160: 그늘막

Claims (11)

  1. 차량용 텐트의 외피를 이루며 후방으로 개방부를 형성하여 상기 개방부가 차량의 백도어, 리어패널 및 범퍼패널에 각각 연결되는 방수시트;
    상기 개방부의 선단부에 내장되게 삽입되며, 상기 방수시트를 소정의 탄성력을 통해 상기 개방부의 상부면이 상기 백도어의 후방면을 감싸면서 상기 백도어에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개방부의 양측면이 상기 리어패널에 형성된 틈으로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개방부의 하부면이 상기 범퍼패널의 내측면에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텐트 고정수단;
    상기 방수시트의 내면에 구성되며, 상부면이 상기 백도어와 리어패널 사이의 틈에 삽입되고, 양측면부는 상기 리어패널의 측면부의 외면을 감싸며, 하부면은 상기 리어패널의 하부면 및 범퍼패널의 상부면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차단시트;
    상부면이 상기 방수시트와 결합되고, 양측부 및 하부면이 개폐수단과 결합되어 상기 방수시트와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며, 방충망 및 그늘막이 각각 개별적으로 개폐수단과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시트;
    상기 개방부의 상부면에 상기 차단시트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백도어와 리어패널 사이의 틈에 삽입되면서 상기 리어패널의 선단부측 둘레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장시트; 및
    상기 연장시트에 구성되는 부착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용 텐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시트는, 상기 개폐시트, 방충망 및 그늘막 중 어느 하나만이 개폐
    가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개폐시트의 개폐시 상기 방충망 및 그늘막이 동시에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텐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시트에는,
    상기 개폐시트의 단부와 상기 방수시트의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 구성되며, 상기 방수시트와 연결되는 연결 와이어의 권취 및 풀림이 이루어지는 와이어 롤러와, 상기 방수시트의 상부 선단부에 구성되며, 상기 연결 와이어를 결합하는 결합단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텐트.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시트에는 차창막을 포함하고,
    상기 차창막은 상기 차량의 상기 백도어에 구비되어 있는 윈도우와 중첩되어 위치하고,
    상기 차창막은 투명하고, 우레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텐트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시트는 상기 차량의 차체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노출홈을 형성하고,
    상기 노출홈을 통해서 상기 차량의 백라이트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텐트.
  7. 차량용 텐트의 외피를 이루며 후방으로 개방부를 형성하여 상기 개방부가 차량의 백도어, 리어패널 및 범퍼패널에 각각 연결되는 방수시트;
    상기 개방부의 선단부에 내장되게 삽입되며, 상기 방수시트를 소정의 탄성력을 통해 상기 개방부의 상부면이 상기 백도어의 후방면을 감싸면서 상기 백도어에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개방부의 양측면이 상기 리어패널에 형성된 틈으로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개방부의 하부면이 상기 범퍼패널의 내측면에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텐트 고정수단;
    상기 방수시트의 내면에 구성되며, 상부면이 상기 백도어와 리어패널 사이의 틈에 삽입되고, 양측면부는 상기 리어패널의 측면부의 외면을 감싸며, 하부면은 상기 리어패널의 하부면 및 범퍼패널의 상부면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차단시트;
    상부면이 상기 방수시트와 결합되고, 양측부 및 하부면이 개폐수단과 결합되어 상기 방수시트와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며, 방충망 및 투명막이 각각 개별적으로 개폐수단과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시트;
    상기 개방부의 상부면에 상기 차단시트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백도어와 리어패널 사이의 틈에 삽입되면서 상기 리어패널의 선단부측 둘레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장시트; 및
    상기 연장시트에 구성되는 부착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용 텐트.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방충망은 메쉬 형상을 가지고,
    상기 투명막은 우레탄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시트가 최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투명막은 상기 개폐시트 및 상기 방충망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텐트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방충망은 메쉬 형상을 가지고,
    상기 투명막은 우레탄을 포함하고,
    상기 방충망이 최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개폐시트는 상기 방충망 및 상기 투명막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텐트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방충망은 메쉬 형상을 가지고,
    상기 투명막은 우레탄을 포함하고,
    상기 방수 시트는 우레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텐트.
  11. 백도어 및 상기 백도어가 결합되고 리어패널 및 범퍼패널을 포함하는 후방 프레임을 포함하는 차량에 설치하는 차량용 텐트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텐트의 외피를 이루며 후방으로 개방부를 형성하여 상기 개방부가 상기 백도어가 오픈된 상태에서 상기 후방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백도어와 상기 후방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는 방수시트;
    상기 개방부의 선단부에 내장되게 삽입되며, 상기 방수시트를 소정의 탄성력을 통해 상기 개방부의 상부면이 상기 리어패널의 상부면을 감싸도록 구성되고, 상기 개방부의 양측면이 상기 리어패널에 형성된 틈으로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개방부의 하부면이 상기 범퍼패널의 내측면에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텐트 고정수단;
    상기 방수시트의 내면에 구성되며, 상부면이 상기 차량의 백도어와 상기 후방 프레임의 상부면 사이의 틈에 삽입되고, 양측면부는 상기 리어패널의 측면부의 외면을 감싸며, 하부면은 상기 범퍼패널의 상부면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차단시트;
    상부면이 상기 방수시트와 결합되고, 양측부 및 하부면이 개폐수단과 결합되어 상기 방수시트와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며, 방충망 및 그늘막이 각각 개별적으로 개폐수단과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시트;
    상기 개방부의 상부면에 상기 차단시트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백도어와 상기 후방 프레임 사이의 틈에 삽입되면서 상기 후방 프레임의 선단부측 둘레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장시트; 및
    상기 연장시트에 구성되는 부착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용 텐트.
KR1020180107111A 2017-09-08 2018-09-07 차량용 텐트 KR1021168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903 2017-09-08
KR20170114903 2017-09-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8341A KR20190028341A (ko) 2019-03-18
KR102116841B1 true KR102116841B1 (ko) 2020-05-29

Family

ID=65949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7111A KR102116841B1 (ko) 2017-09-08 2018-09-07 차량용 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68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2498B1 (ko) 2022-06-27 2022-10-06 김지은 차량용 텐트 설치장치
KR20230147844A (ko) 2022-04-15 2023-10-24 (주)메이튼 차량용 텐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5140B1 (ko) 2019-12-04 2022-02-23 (주)다부진캠핑하우스 공간 확장 및 숙박이 가능한 차량
KR102486917B1 (ko) * 2022-05-31 2023-01-09 정구승 차량용 텐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91894B2 (ja) * 1989-03-22 1998-08-27 スズキ株式会社 ハッチバックドア用テント
KR200478426Y1 (ko) * 2015-07-07 2015-10-19 주식회사 큐엘 차량용 모기장 텐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04049A (en) * 1983-05-25 1985-03-12 Straub Robert P Motor vehicle camping device
US5820189A (en) * 1994-02-04 1998-10-13 Tew; R. Burton Vehicle/tent camping system
KR200467077Y1 (ko) * 2011-08-17 2013-05-23 박경진 해치백 자동차의 텐트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91894B2 (ja) * 1989-03-22 1998-08-27 スズキ株式会社 ハッチバックドア用テント
KR200478426Y1 (ko) * 2015-07-07 2015-10-19 주식회사 큐엘 차량용 모기장 텐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7844A (ko) 2022-04-15 2023-10-24 (주)메이튼 차량용 텐트
KR102452498B1 (ko) 2022-06-27 2022-10-06 김지은 차량용 텐트 설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8341A (ko) 2019-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6841B1 (ko) 차량용 텐트
US9243421B2 (en) Foldable tent
CN112384669B (zh) 用于车辆的车顶帐篷
KR0122375Y1 (ko) 승용차 커버
US7654277B1 (en) Portable shade
KR101659445B1 (ko) 차량용 방충망 세트
KR200470393Y1 (ko) 탈 부착형 전실 텐트
KR101188018B1 (ko) 타프
US20150151623A1 (en) Vehicle Sun Shelter
US10718131B2 (en) Vehicle tent
KR100926452B1 (ko) 텐트의 차양막 구조
KR200433475Y1 (ko) 대형 차량용 방충망
KR102345521B1 (ko) 파라솔텐트
KR101918183B1 (ko) 방충 및 차양기능을 갖는 모자
KR102558689B1 (ko) 차량용 착탈식 방풍 방충막
CN220180527U (zh) 一种多功能卷帘及车辆
KR101912087B1 (ko) 자동차 창문에 설치되는 방충 겸용 가림개
CN215291775U (zh) 一种透气性良好的充气支撑帐篷
JPH09221941A (ja) フライシート
KR102325701B1 (ko) 차량연결형 캠핑 텐트
KR102535248B1 (ko) 격벽 구조를 통한 단독 사용이 가능한 차박 텐트
KR20210002549U (ko) 방충겸용 차량 차양막장치
KR20240014319A (ko) 다중 창 측벽을 구비한 텐트
JPH1193462A (ja) タープテント
JPH08158707A (ja) テント用フライシ−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0003100;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211021

Effective date: 2022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