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6553B1 - 공동주택용 발코니 차양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 발코니 차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6553B1
KR101746553B1 KR1020160003983A KR20160003983A KR101746553B1 KR 101746553 B1 KR101746553 B1 KR 101746553B1 KR 1020160003983 A KR1020160003983 A KR 1020160003983A KR 20160003983 A KR20160003983 A KR 20160003983A KR 101746553 B1 KR101746553 B1 KR 101746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bobbin
shade
bobbin shaf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3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민
Original Assignee
(주)아이티엠 코퍼레이션 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티엠 코퍼레이션 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아이티엠 코퍼레이션 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60003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65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6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6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04F10/0607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with guiding-sections for supporting the movable end of the blin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04F10/066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with arrangements for fastening the blind to the bui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04F10/0666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04F10/0685Covers or housings for the rolled-up bli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Awnings And Sunsha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 검측용 막대자에 관한 것으로서, 공동주택용 발코니의 외벽에 차양막을 설치하기 위한 차양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양장치는, 공동주택용 발코니 차양장치는, 공통주택의 발코니 외벽에 고정볼트로서 부착되는 고정부가 상, 하부에 마련되고, 양측에는 하향 경사각도를 갖는 지지부가 평행하게 돌출되는 차양설치대와; 상기 차양설치대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차양막을 상태적으로 감거나 풀러 주기 위한 제1보빈축 및 제2보빈축과; 상기 제1보빈축이 위치한 상기 차양설치대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차양막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와; 상기 차양설치대측 지지부의 종단되는 지점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이드롤러에 의해 안내된 차양막을 제1보빈축에서 제2보빈축, 제2보빈축에서 제1보빈축으로 리턴시키기 위한 리턴롤러와; 상기 지지부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차양막을 지지하고, 지지부를 보강하는 다수개의 지지롤러와; 상기 차양설치대의 일측에는 제1보빈축과 제2보빈축에 회전축이 각각 연결 설치되어 차양막 선택에 따라 제1보빈축 및 제2보빈축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켜 차양막을 되감기 위한 제1모터 및 제2모터와; 상기 차양설치대에 설치되어 제1모터 및 제2모터를 감싸는 모터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다층의 아파트 또는 다세대 빌라 등과 같은 공동주택의 발코니 외측 상부에 차양장치를 두어 기존의 발코니측 창틀에 설치되는 커튼이나 블라인드와 같은 차양수단을 구비하지 않고도 외부에서 차양막의 위치를 변경 조정함으로써, 창문 개방시 빗물이 실내로 유입되는 사례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차양효과와 더불어 차양막의 메쉬부 구간을 위치시킴으로 인해 일조권 및 조망을 해치지 않으면서 특히 강풍시에 차양막에 미치는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구조로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동주택용 발코니 차양장치{Balcony of sunblind apparatus for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공동주택용 발코니 차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다층의 아파트 또는 다세대 빌라 등과 같은 공동주택의 발코니 외측 상부에 차양장치를 두어 커튼이나 블라인드와 같은 차양수단을 구비하지 않고도 차양효과를 얻을 수 있고, 그 반대로 동절기에는 조망권을 해치지 않으면서 빛이 들어올 수 있도록 하고, 강풍이나 폭설시 바람과 눈의 영향을 최대한 받지 않는 모드로 전환하여 차양장치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발코니 차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양장치는 일반주택이나 상업용 건물, 건물의 출입구, 버스승강장 등에 설치되어 햇빛이나 눈, 비 등을 차단하거나 건물 내부가 인접거리에서 보여 사생활이 침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기능을 하는 차양장치는 그 설계에 있어 여러 가지 사항을 고려하여야만 한다.
상기와 같은 제반 설계사항 중에서도 특히 사람들의 눈을 즐겁게 하는 외관을 가져야 함은 물론, 실외에서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에 바람이나 그 밖의 열악한 기후 조건에서도 견딜 수 있어야 한다.
통상적인 상점의 창가 상부에 설치되는 차양장치는 철근이나 알루미늄재질의 새시프레임을 임의의 형태로 절단하여 골조를 형성하고, 그 위에 캔버스(canvas)지, 비닐지 혹은 나일론으로 피복한 천 등의 직물제의 커버부재를 덮어 씌운 다음 끈 등으로 결속하거나 스크류 등을 통하여 고정한다.
또는 롤 형태로 차양막을 구비하고, 이 차양막은 길이 가변되는 아암수단에 의해 요구하는 길이로 전진시켜 빗물이나 빛을 차단하도록 한 바 있다.
다층으로 이루어지는 공동주택의 발코니의 외부에 차양장치를 설치한 예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80187호(명칭: 공동주택 베란다의 빗물막이 차양, 등록일자: 2006년 05월 09일,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 및 차양막을 자동으로 걷거나 펼칠 수 있도록 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17815호(명칭: 차양장치, 등록일자: 2008년 03월 24일, 이하 '특허문헌 2'라 함)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의 구성을 살피면, 베란다 난간의 측벽 상단에 설치되고, 길이방향의 레일홈의 상단에 걸림턱이 양측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레일; 레일홈을 따라 이동되는 몸체의 하부에 바퀴가 설치되고, 바퀴가 걸림턱에 걸려 상부로 이탈되지 않는 이동대차; 이동대차의 몸체 상단부에 양단부가 고정되고, 내측면을 따라 레일홈이 형성되는 지지대; 실린더몸체 내부로 상하 이동하는 피스톤 상부에 로드의 일단을 고정하고, 피스톤의 일측에 가스홀이 형성되며, 로드를 둘러싸도록 스프링을 설치하여 스프링의 일단은 피스톤 상면에 지지되고, 스프링의 타단은 실린더몸체 내부 상면에 지지되며, 로드의 단부에 고정부를 형성하여 지지대의 레일홈을 따라 상하 이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실린더몸체의 하단은 이동대차의 상면에 고정되는 가스실린더; 두개가 X자 형태로 중간에 교차고정부를 형성하며 지지대에 고정되되, 일단은 로드의 고정부와 함께 이동돌기에 고정되어 레일홈을 따라 상하 이동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지지대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절첩이동바; 가이드레일의 일측에 설치되고, 가이드레일의 측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고정부에 힌지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차단바로 이루어지는 스톱퍼; 다수개의 지지대의 외측으로 고정되고,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차양막;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건물 외부로 돌출된 베란다 난간에서의 차양장치를 설치하고, 필요에 따라 차양막을 펼치거나 접을 수 있도록 한 것이지만 그 구성이 복잡하고, 오로지 차양이나 빗물을 차단하는 효과는 있지만 강풍 및 폭설에는 취약한 문제점이 지적되고, 베란다 난간에 한하여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아파트나 빌라 등과 같이 공동주택 건물의 외벽시공에는 전혀 설치가 불가하다.
한편, 상기 특허문헌 2의 차양장치 구성은, 일정간격으로 평행되게 설치된 가이드레일; 가이드레일의 양단부를 연결하는 프레임; 가이드레일의 일측 단부에 수직으로 고정된 지주; 이송수단에 의해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송되는 이송대; 이송대와 일측의 프레임에 고정된 차양막;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가이드레일의 길이에 따라 차양막의 설치면적은 확장시킬 수 있고, 차양막에 지지바가 설치됨으로써 넓게 펼쳐진 상태에서도 처지지 않고 풍압 등을 견딜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특허문헌 2는 그 구성요소의 설치가 튼튼한 구조로 설치되고, 차양막에 기잔도를 주어 풍압을 견딜 수 있도록 한 것이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아파트나 빌라 등과 같이 공동주택 건물의 외벽시공에는 전혀 설치가 불가한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0580187호(2006.05.09.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10-0817815호(2008.03.24.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다층의 아파트 또는 다세대 빌라 등과 같은 공동주택의 발코니 외측 상부에 차양장치를 두어 커튼이나 블라인드와 같은 차양수단을 구비하지 않고도 차양효과를 얻을 수 있고, 그 반대로 동절기에는 조망권을 해치지 않으면서 빛이 들어올 수 있도록 하고, 강풍이나 폭설시 바람과 눈의 영향을 최대한 받지 않는 모드로 전환하여 차양장치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발코니 차양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공동주택용 발코니의 외벽에 차양막을 설치하기 위한 차양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양장치는, 공동주택용 발코니 차양장치는, 공통주택의 발코니 외벽에 고정볼트로서 부착되는 고정부가 상, 하부에 마련되고, 양측에는 하향 경사각도를 갖는 지지부가 평행하게 돌출되는 차양설치대와; 상기 차양설치대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차양막을 상태적으로 감거나 풀러 주기 위한 제1보빈축 및 제2보빈축과; 상기 제1보빈축이 위치한 상기 차양설치대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차양막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와; 상기 차양설치대측 지지부의 종단되는 지점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이드롤러에 의해 안내된 차양막을 제1보빈축에서 제2보빈축, 제2보빈축에서 제1보빈축으로 리턴시키기 위한 리턴롤러와; 상기 지지부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차양막을 지지하고, 지지부를 보강하는 다수개의 지지롤러와; 상기 차양설치대의 일측에는 제1보빈축과 제2보빈축에 회전축이 각각 연결 설치되어 차양막 선택에 따라 제1보빈축 및 제2보빈축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켜 차양막을 되감기 위한 제1모터 및 제2모터와; 상기 차양설치대에 설치되어 제1모터 및 제2모터를 감싸는 모터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차양막은 내열에 강한 우레탄시트로 적어도 3~5mm 두께의 원단으로 이루어지되, 빗물 및 햇빛차단을 위한 가림부와 바람이나 빗물, 눈이 통과는 메쉬부로 나누어져 상기 제1보빈축과 제2보빈축에 선택적으로 되감겨지나 풀려지는 형태로 지지부상에 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메쉬부는 제2보빈축에 한 바퀴 내지 두 바퀴 감기는 길이의 제1여유폭이 형성되고, 양단측에는 50~100mm의 제2여유폭이 형성되어 가이드롤러, 지지롤러 리턴롤러에 밀착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메쉬부는 빗물이나 바람이 통과되고 눈이 쌓이지 않는 메쉬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모터 및 제2모터의 회전축은 그 단부가 후방으로 더 연장되어 상기 모터커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되, 모터커버로 연장되어 지지된 회전축상에는 볼체인휠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볼체인휠에는 볼체인을 걸어 수동으로 상기 제1모터 및 제2모터측의 회전축과 연결된 제1보빈축 및 제2보빈축을 수동으로 회전시켜 지지부로부터 차양막을 위치시키도록 구성된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발코니 차양장치는, 다층의 아파트 또는 다세대 빌라 등과 같은 공동주택의 발코니 외측 상부에 차양장치를 두어 기존의 발코니측 창틀에 설치되는 커튼이나 블라인드와 같은 차양수단을 구비하지 않고도 외부에서 차양막의 위치를 변경 조정함으로써, 창문 개방시 빗물이 실내로 유입되는 사례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차양효과와 더불어 차양막의 메쉬부 구간을 위치시킴으로 인해 일조권 및 조망을 해치지 않으면서 특히 강풍시에 차양막에 미치는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구조로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공동주택용 발코니에 설치되는 차양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양장치를 건물에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양막을 펼쳐 도시한 전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양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6은 도 5에서 차양막의 메쉬부가 인출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보빈축과 제2보빈축으로 차양막의 감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양장치의 차양막을 수동식으로 조정하는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9의 (a)(b)는 도 8에서 모터축상에 볼체인휠이 설치된 상태 및 차양장치의 제1보빈축과 제2보빈축으로 차양막의 감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공동주택용 발코니의 외벽(1)에 차양막(10)을 설치하기 위한 차양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차양장치(100)는, 고정부(111)가 상, 하부에 마련되고, 양측에는 하향 경사각도를 갖는 지지부(112)가 평행하게 돌출되는 차양설치대(110)가 공통주택의 발코니 외벽에 고정볼트로서 부착된다.
상기 차양설치대(110)의 지지부(112)는 15~20도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차양막의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고정부(111)는 다수개의 고정공을 두고 이 고정공을 통해 고정볼트로서 외벽에 설치한다.
상기 차양설치대(100)의 설치는 해당 층의 상부층 발코니에서 고정작업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차양설치대(110)에는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차양막(10)을 상대적으로 감거나 풀러 주기 위한 제1보빈축(120) 및 제2보빈축(130)이 설치된다.
상기 제1보빈축(120) 및 제2보빈축(130)에 김기는 차양막(10)은 장폭으로 대략 아파트나 빌라의 발코니 상부를 가려 빗물이나 햇빛을 차단하기 위한 롤 형태로 감겨질 수 있는 충분한 길이로 제작되며, 어느 일단은 제1보빈축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2보빈축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차양막(10)은 내열에 강한 우레탄시트로 적어도 3~5mm 두께의 원단으로 이루어지되, 첨부된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빗물 및 햇빛차단을 위한 가림부(12)와 바람이나 빗물, 눈이 통과는 메쉬부(14)로 나누어져 상기 제1보빈축(120)과 제2보빈축(130)에 선택적으로 되감겨지나 풀려지는 형태로 지지부(112)상에 세팅되는 것이다.
상기 메쉬부(14)는 상기 메쉬부(14)는 빗물이나 바람이 통과되고 눈이 쌓이지 않는 메쉬 크기로 제작되며, 제2보빈축에 대해 한바퀴 내지 두 바퀴 감기는 길이의 제1여유폭(14a)이 형성되고, 양단측에는 50~100mm의 제2여유폭(14b)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가이드롤러(140), 지지롤러(160), 리턴롤러(150)에 밀착 안내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롤로(140)는 상기 제1보빈축(120)이 위치한 상기 차양설치대(110)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차양막(10)을 가이드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리턴롤러(150)는 차양설치대(110)측 지지부(112)의 종단되는 지점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이드롤러(140)에 의해 안내된 차양막(10)을 제1보빈축(120)에서 제2보빈축(130), 제2보빈축(130)에서 제1보빈축(20)으로 리턴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롤러(160) 상기 지지부(112)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다수개 간격지게 설치되어 상기 리턴롤러(150)로 향하는 차양막(10), 리턴롤러에서 제2보빈축으로 향하는 차양막을 지지하는 역할과 함께 상기 지지부(112)를 연결하여 지지부를 상호 이어주는 보강재 역할을 한다.
상기 차양설치대(110)의 일측에는 제1보빈축(120)과 제2보빈축(130)에 회전축이 각각 연결 설치되어 차양막 선택에 따라 제1보빈축 및 제2보빈축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켜 차양막(10)을 되감기 위한 제1모터(170) 및 제2모터(180)가 구비되고, 상기 차양설치대(110)의 외측에는 제1모터(170) 및 제2모터(180)를 감싸는 모터커버(190)가 설치된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차양막(10)을 지지부(112)로 위치시키기 위한 상기 제1모터(170) 및 제2모터(180)는 리모트 콘트롤에 의해 조작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첨부된 도 8 및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모터(170) 및 제2모터(180)의 회전축은 그 단부가 후방으로 더 연장되어 상기 모터커버(19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되, 모터커버로 연장되어 지지된 회전축상에는 볼체인휠(W)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볼체인휠(W)에는 볼체인(C)을 걸어 수동으로 상기 제1모터 및 제2모터측의 회전축과 연결된 제1보빈축(120) 및 제2보빈축(130)을 수동으로 회전시켜 지지부(112)로부터 차양막(10)을 위치시키도록 구성된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2는 발코니측의 창틀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공동주택용 발코니 차양장치의 사용상에 따른 작용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차양장치는 상층에서 차양설치대측 고정부를 통해 다수개의 고정볼트로서 횡으로 발코니 외벽 상부에 고정한다.
이와 같은 형태는 첨부된 도 2에서와 같이 아파트, 빌라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차양장치(100)는 제1모터 및 제2모터중 어느 하나의 모터를 가동하여 제1보빈축 또는 제2보빈축에 감겨진 차양막을 가이드롤러를 통해 지지부측에 위치된 지지롤러, 리턴롤러를 거쳐 감아줌으로써, 차양막의 가림부 또는 메쉬부를 선택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첨부된 도 4의 경우는 제2모터(180)의 가동에 의해 제1보빈축(120)에서 차양막(10)이 이동하여 제2보빈축(130)에 차양막이 감겨져 있는 상태로 이는 차양막(10)의 가림부(12) 구간이 위치된 상태이며, 가림부(12)는 빗물차단 및 햇빛을 차단할 수 있는 상태이다.
상기 차양막(10)의 가림부(12)가 위치됨으로써, 우천시 발코니의 창틀(2)측 창문을 개방하더라도 비 들이침을 방지할 수 있는 상태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차양막(10)은 지지롤러(160), 리턴롤러(150), 지지롤러(160)를 경유하여 제2보빈축(130)에 차양막(10)의 가림부(12) 일부와 메쉬부(14) 전반부가 감겨져 있는 상태로써, 여기서 지지부(112)측 상하부에 펼쳐진 가림부(12)는 상하 이중으로 햇빛차단이 효율적이다.
상기 지지부(112)에 횡으로 설치된 지지롤러(160)는 대응되는 지지부(112) 사이를 연결 보강함과 동시에, 이를 지나는 차양막(10)은 상하 교호로 위치되어 차양막(10)을 팽팽한 상태로 만들어주어 비교적 바람이 있는 날에도 펄럭거리지 않고, 빗물고임없이 차양막을 지지시켜 준다.
한편, 첨부된 도 5의 상태는 제1모터(170)를 구동하여 가이드롤러(140)를 통해 상기 차양막(10)의 가림부(12)를 제1보빈축에 되감아 주도록 한 것으로, 이는 상술한 바의 반대동작으로 제2보빈축(130)에서 차양막(10)의 메쉬부(14)가 지지부(112)측으로 안내되어 펼쳐질 있도록 한 것이다.
이는 빗물 및 햇빛차단목적이 아닌 바람이 통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는 강풍 시에 차양막(10)이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고 통과되게 하면서, 햇빛은 일조권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고, 또한 조망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는 첨부된 도 6에서와 같이 차양막의 메쉬부가 위치된 상태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는 빗물뿐만 아니라 눈이 쌓여 차양막(10)이 눈의 무게로 처지는 상태를 방지하고, 특히 강풍에도 차양장치에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시켜 차양장치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예이다.
첨부된 도 7의 (a)(b)는 상기 제1모터, 제2모터의 회전에 따라 제1보빈축 또는 제2보빈축에 차양막이 상대적으로 감겨져 있는 상태를 보여준다.
한편, 첨부된 도 8 및 도 9의 (a)(b)는 상기와 같은 차양장치(100)에 있어, 상기 제1모터(170) 및 제2모터(180)의 회전축에 구비된 볼체인휠(W)에 볼체인(C)을 각각 걸어 창가측에서 수동방식으로 상기 볼체인(C)을 잡아 당겨줌으로써, 제1보빈축(10) 및 제2보빈축(130)으로부터의 차양막(10)을 어느 한 보빈축에 감아 주는 수동방식의 조작도 가능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는 모터커버(190) 내부에 위치된 제1모터(170), 제2모터(180)의 전기적인 구동과는 달리 수동방식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외벽 2: 창틀
10: 차양막 12: 가림부
14: 메쉬부 14a: 제1여유폭
14b: 제2여유폭 100: 차양장치
110: 차양설치대 111: 고정부
112: 지지부 120: 제1보빈축
130: 제2보빈축 140: 가이드롤러
150: 리턴롤러 160: 지지롤러
170: 제1모터 180: 제2모터
190: 모터커버 W: 볼체인휠
C: 볼체인

Claims (4)

  1. 공동주택용 발코니의 외벽(1)에 차양막(10)을 설치하기 위한 차양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차양장치(100)는,
    공통주택의 발코니 외벽에 고정볼트로서 부착되는 고정부(111)가 상, 하부에 마련되고, 양측에는 하향 경사각도를 갖는 지지부(112)가 평행하게 돌출되는 차양설치대(110)와;
    상기 차양설치대(110)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차양막(10)을 상대적으로 감거나 풀어 주기 위한 제1보빈축(120) 및 제2보빈축(130)과;
    상기 제1보빈축(120)이 위치한 상기 차양설치대(110)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차양막(10)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140)와;
    상기 차양설치대(110)측 지지부(112)의 종단되는 지점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이드롤러(140)에 의해 안내된 차양막(10)을 제1보빈축(120)에서 제2보빈축(130), 제2보빈축(130)에서 제1보빈축(20)으로 리턴시키기 위한 리턴롤러(150)와;
    상기 지지부(112)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차양막(10)을 지지하고, 지지부를 보강하는 다수개의 지지롤러(160)와;
    상기 차양설치대(110)의 일측에는 제1보빈축(120)과 제2보빈축(130)에 회전축이 각각 연결 설치되어 선택에 따라 제1보빈축 및 제2보빈축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1모터(170) 및 제2모터(180)와;
    상기 차양설치대(110)에 설치되어 제1모터(170) 및 제2모터(180)를 감싸는 모터커버(190);로 구비되고,
    상기 제1모터(170) 및 제2모터(180)의 회전축은,
    그 단부가 후방으로 더 연장되어 상기 모터커버(19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되 모터커버(190)로 연장되어 지지된 회전축상에는 볼체인휠(W)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볼체인휠(W)에는 볼체인(C)을 걸어 수동으로 상기 제1모터(170) 및 제2모터(180)측의 회전축과 연결된 제1보빈축(120) 및 제2보빈축(130)을 수동으로 회전시켜 지지부(112)로부터 차양막(10)을 위치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차양막(10)은 3mm 내지 5mm 두께의 우레탄시트 원단으로 이루어지되, 빗물 및 햇빛 차단을 위한 가림부(12)와 바람이나 빗물, 눈이 통과되는 메쉬부(14)로 나누어져 상기 제1보빈축(120)과 제2보빈축(130)에 선택적으로 되감겨지거나 풀려지는 형태로 지지부(112)상에 세팅되되,
    상기 메쉬부(14)는 제2보빈축(130)에 한 바퀴 내지 두 바퀴 감기는 길이의 제1여유폭(14a)이 형성되고, 양단측에는 50~100mm의 제2여유폭(14b)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지지롤러(160) 중 일부는 상기 차양막(10)이 되감겨지거나 풀려지는 과정에서 처짐이 방지되도록 상기 차양막(10)의 외측에서 어긋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발코니 차양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부(14)는 빗물이나 바람이 통과되고 눈이 쌓이지 않는 메쉬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발코니 차양장치.
KR1020160003983A 2016-01-13 2016-01-13 공동주택용 발코니 차양장치 KR101746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983A KR101746553B1 (ko) 2016-01-13 2016-01-13 공동주택용 발코니 차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983A KR101746553B1 (ko) 2016-01-13 2016-01-13 공동주택용 발코니 차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6553B1 true KR101746553B1 (ko) 2017-06-13

Family

ID=59218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3983A KR101746553B1 (ko) 2016-01-13 2016-01-13 공동주택용 발코니 차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655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68895A (zh) * 2019-03-06 2019-06-11 福建泉州市傲趣贸易有限公司 智能家居露台棚
CN115162762A (zh) * 2022-08-22 2022-10-11 江苏超越新能源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用防高层坠物砸伤装置
KR20230106316A (ko) 2022-01-06 2023-07-13 (주)동부어닝 조립식 막구조 프레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96510B2 (ja) * 2002-04-10 2007-03-22 神村鉄工株式会社
KR100754441B1 (ko) * 2005-07-05 2007-09-03 (주)한국윈텍 멀티 쉐이드장치
KR100864223B1 (ko) * 2007-06-04 2008-10-17 김만수 상하 통풍구조를 갖는 차양막
KR101541726B1 (ko) * 2013-11-05 2015-08-07 황문진 루프랙 거치용 차양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96510B2 (ja) * 2002-04-10 2007-03-22 神村鉄工株式会社
KR100754441B1 (ko) * 2005-07-05 2007-09-03 (주)한국윈텍 멀티 쉐이드장치
KR100864223B1 (ko) * 2007-06-04 2008-10-17 김만수 상하 통풍구조를 갖는 차양막
KR101541726B1 (ko) * 2013-11-05 2015-08-07 황문진 루프랙 거치용 차양막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68895A (zh) * 2019-03-06 2019-06-11 福建泉州市傲趣贸易有限公司 智能家居露台棚
KR20230106316A (ko) 2022-01-06 2023-07-13 (주)동부어닝 조립식 막구조 프레임
CN115162762A (zh) * 2022-08-22 2022-10-11 江苏超越新能源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用防高层坠物砸伤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94853C2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е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ое окно
US8347935B2 (en) Rigid retractable patio or window awning and operating mechanisms therefor
KR101823850B1 (ko) 슬래트형 롤러 블라인드
JPH11270089A (ja) 日除ロールスクリーン
KR101746553B1 (ko) 공동주택용 발코니 차양장치
US20120211179A1 (en) Covering System
WO2015111590A1 (ja) 窓の日射遮蔽装置
EP2136016A1 (en) Bower
CN212248947U (zh) 一种窗户结构以及带有该窗户结构的住宅
JP2000096877A (ja) オーニング装置
KR200482821Y1 (ko) 텐션장치가 구비된 전동식 차양막
US8683752B1 (en) Modular shelter assembly
KR101302689B1 (ko) 차양에 설치되는 보조차양
GB2243849A (en) Self-stowing shelter
US20210392844A1 (en) Retractable Curtain For Livestock Structures
KR102370816B1 (ko) 각도 가변형 다단 차양막장치
US3807481A (en) Device for shielding sunlight
KR200446420Y1 (ko) 베니션블라인드의 고정장치
KR100778826B1 (ko) 아케이드 구조물
US11391088B2 (en) Roller blind assembly
CN204782659U (zh) 一种新型窗外帘篷装置
KR102439925B1 (ko) 풍속에 반응하는 접이식 어닝장치
KR102655816B1 (ko) 다단 가변형 차양막 구조물
CN219241125U (zh) 一种可伸缩型系统窗
KR20190108322A (ko) 어닝 시스템용 고정브래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