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9925B1 - 풍속에 반응하는 접이식 어닝장치 - Google Patents

풍속에 반응하는 접이식 어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9925B1
KR102439925B1 KR1020200121186A KR20200121186A KR102439925B1 KR 102439925 B1 KR102439925 B1 KR 102439925B1 KR 1020200121186 A KR1020200121186 A KR 1020200121186A KR 20200121186 A KR20200121186 A KR 20200121186A KR 102439925 B1 KR102439925 B1 KR 102439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moving
wire
wind speed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1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8863A (ko
Inventor
공하성
Original Assignee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21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9925B1/ko
Publication of KR20220038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8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9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9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04F10/0607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with guiding-sections for supporting the movable end of the blin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04F10/0644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with mechanisms for unrolling or balancing the blind
    • E04F10/0659Control system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04F10/0666Accesso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Awnings And Sunsha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 외부의 풍속을 감지 후, 그 감지정보에 따라 차양막을 펼치거나 접을 수 있는 폴딩식 어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물 외벽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레일브라켓과, 상기 레일브라켓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다수 설치되는 이동부와, 플렉시블한 재질을 갖도록 상기 이동부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부의 이동방향에 따라 접힘과 펼쳐짐이 가능하여 차양(遮陽)을 만족시키는 차양막 및 구조물 외벽에 설치되되 풍속을 감지 후, 해당 감지정보와 저장된 설정정보를 대비하여 그 결과정보에 따라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이동부를 이동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레일브라켓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을 기준으로 상기 레일브라켓을 따라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브라켓 및 각각이 상기 고정브라켓과 상기 이동브라켓에 관통 삽입되게 상기 제어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이동브라켓이 이동할 수 있게 외력을 가하는 한 쌍의 외력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외력부재는 상기 이동브라켓이 상기 고정브라켓 방향으로 모일 수 있게 이동시키는 제1와이어, 상기 이동브라켓이 상기 고정브라켓과 벌어지도록 이동시키는 제2와이어 및 상기 고정브라켓과 상기 이동브라켓 외면과 면접할 수 있게 상기 제1와이어와 상기 제2와이어에 고정 구비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풍속에 반응하는 접이식 어닝장치{The folder type awning sensing the speed of wind}
본 발명은 구조물 외부의 풍속을 감지 후, 그 감지정보에 따라 차양막을 펼치거나 접을 수 있는 폴딩식 어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양지나 관광시설, 어린이 놀이터 및 공원 등에는 휴식에 필요한 그늘을 형성하기 위한 팔각정, 원두막 또는 차광텐트 등의 파고라(퍼걸러,pergola)를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파고라에는 사람들이 비를 피하거나 햇빛을 피해 쉼터의 역할로 구성됨으로 정자형태와 함께 등나무 등을 심어 서까래 위에서 성장된 나뭇잎에 의한 그늘을 제공하고 주위환경과의 조화를 이루어 친화적이면서 안락한 쉼터를 제공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조물(B) 외면(옥외)에 설치되는 어닝(10) 또는 루프 시스템은 비나 해를 가리기 위해 창이나 벽면 등에 설치하는 천막의 일종으로서 설치 위치나 형태 등에 따라 여러 가지 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다.
여기서, 일반적인 종래의 어닝 구조를 설명하면 먼저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주의 상단에 가로방향으로 수평지지대가 구비되었다.
그리고, 상기 수평지지대의 일단에 모터가 구비되며, 상기 모터에 동력 연결되는 풀리조립체가 구비되고, 상기수평지지대에는 차양막에 부분적으로 연결되는 슬라이딩부가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이러한 차양막은 접철식으로 폴딩되는 구조로 마련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폴딩 구조를 어닝으로 이루어진 종래기술은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여 접거나 펼쳐질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태풍 등으로 인해 풍속이 상당한 상황에서 이를 조작하기에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으며, 해당 사용자의 부재(예를 들어, 사용자가 잠든 상태 등)시에는 이를 조작할 사람이 없어 그 풍속에 그대로 노출되어져 파손 등이 유발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18-76998호(공개일:2018.07.06.) 국내등록특허 제10-20842200호(공고일:2020.03.03.) 국내등록특허 제10-2117927호(공고일:2020.06.02.)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부재시에도 외부 풍속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폴딩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어닝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풍속에 반응하는 접이식 어닝장치는 구조물 외벽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레일브라켓과, 상기 레일브라켓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다수 설치되는 이동부와, 플렉시블한 재질을 갖도록 상기 이동부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부의 이동방향에 따라 접힘과 펼쳐짐이 가능하여 차양(遮陽)을 만족시키는 차양막 및 구조물 외벽에 설치되되 풍속을 감지 후, 해당 감지정보와 저장된 설정정보를 대비하여 그 결과정보에 따라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이동부를 이동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레일브라켓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을 기준으로 상기 레일브라켓을 따라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브라켓 및 각각이 상기 고정브라켓과 상기 이동브라켓에 관통 삽입되게 상기 제어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이동브라켓이 이동할 수 있게 외력을 가하는 한 쌍의 외력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외력부재는 상기 이동브라켓이 상기 고정브라켓 방향으로 모일 수 있게 이동시키는 제1와이어, 상기 이동브라켓이 상기 고정브라켓과 벌어지도록 이동시키는 제2와이어 및 상기 고정브라켓과 상기 이동브라켓 외면과 면접할 수 있게 상기 제1와이어와 상기 제2와이어에 고정 구비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은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제1와이어 또는 상기 제2와이어를 회전에 의해 권출하거나 권취시켜 상기 이동브라켓을 이동시키는 모터부재와, 상기 마이컴에 의해 제어될 수 있게 한 쌍으로 구비되되 어느 하나는 상기 고정브라켓을 결속하며, 다른 하나는 상기 차양막이 펼쳐지게 이동한 상기 이동브라켓을 결속하는 결속부재 및 외부 풍속을 감지하여 그 감지정보를 상기 마이컴에 전송하는 풍속감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마이컴은 상기 풍속감지부를 통해 전송된 풍속에 대한 감지정보를 기 저장된 설정정보와 대비하여 상기 모터부재와 상기 결속부재를 제어하며, 상기 결속부재는 상기 고정브라켓 내측으로 결속봉이 출입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솔레노이드와 상기 이동브라켓 내측으로 결속봉이 출입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솔레노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솔레노이드는 상기 차양막이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고정브라켓과 가장 먼 거리에 있는 상기 이동브라켓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게 결속 또는 해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터부재는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와이어가 당겨질 수 있도록 연결되어 그 당김에 의해 상기 이동브라켓이 모여지도록 이동시키는 폴드모터 및 회전에 의해 상기 제2와이어가 당겨질 수 있도록 연결되어 그 당김에 의해 상기 이동브라켓이 벌어지도록 이동시키는 오픈모터를 포함하되, 상기 폴드모터와 상기 오픈모터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동작하여 상기 제1와이어 또는 상기 제2와이어 중 어느 하나가 당겨질 때, 다른 하나는 풀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풍속감지부를 통해 어닝장치가 설치된 구조물 외부의 풍속을 감지 후, 그 감지정보의 세기에 따라 마이컴을 통해 모터부재를 제어하여 차양막이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부재중에도 상기 어닝장치의 파손은 물론, 안전사고가 방지되게 자동으로 동작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어닝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구조물에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풍속에 반응하는 접이식 어닝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대한 레일브라켓에 설치된 이동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풍속에 반응하는 접이식 어닝장치에 대한 외력부재에 의해 모터부재와 연결된 이동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풍속에 반응하는 접이식 어닝장치에 대한 제어수단을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풍속에 반응하는 접이식 어닝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도.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풍속에 반응하는 접이식 어닝장치(이하, 간략하게 '어닝장치'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어닝장치(1)가 설치되는 하기의 구조물(B)은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어 해당 구조물(B)에 입점된 상가의 상호 등이 인쇄된 간판의 기능을 갖되 출입문의 차양(遮陽)을 목적으로 하는 어닝장치(1)를 실시예로 설명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먼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닝장치(1)는 크게 레일브라켓(100), 이동부(200), 차양막(300) 및 제어수단(400)을 포함하며, 이러한 구성들로 이루어진 상기 어닝장치(1)는 상기 제어수단(400)을 통해 풍속을 감지 후, 그 결과정보에 따라 상기 이동부(200)가 상기 레일브라켓(10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어 상기 차양막(300)이 접히거나 펼쳐져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을 갖는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레일브라켓(100)은 볼트나 리벳 등과 같은 체결수단을 통해 구조물(B) 외벽에 서로 이웃하도록 한 쌍으로 설치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브라켓(220)이 레일브라켓(100)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삽입홈(110)을 포함한다.
예컨대 삽입홈(110)은 레일브라켓(100)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롤러(221)가 삽입 및 지지되어 롤러(221)의 회전에 의해 이동브라켓(220)이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200)는 외면에 차양막(300)이 구비되되 레일브라켓(100)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제어수단(400)의 제어신호에 의해 차양막(300)이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고정브라켓(210), 이동브라켓(220) 및 외력부재(230)를 포함한다.
예컨대 고정브라켓(210)은 한 쌍으로 설치된 레일브라켓(100)의 일측 또는 타측에 위치하도록 후술하는 결속부재에 의해 고정 설치되며, 외면에는 이동브라켓(220)과 함께 제1 및 제2와이어(231,233)가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된다.
또한, 이동브라켓(220)은 이동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고정브라켓(210)과 서로 마주보게 적어도 하나 이상 레일브라켓(100)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되 제1 또는 제2와이어(231,233)의 당김이나 풀림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하여 차양막(300)이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이동브라켓(220) 끝단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홈(110)을 통해 삽입되어 레일브라켓(100) 내측에 지지되어 안정적으로 이동브라켓(220)이 이동할 수 있게 회전 가능한 롤러(221)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력부재(230)는 이동브라켓(220)이 고정브라켓(210)을 기준으로 서로 모이거나 벌어지게 이동하기 위한 외력을 가하는 구성으로 제1와이어(231), 제2와이어(233) 및 스토퍼(235)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의 제1와이어(231)는 차양막(300)이 접혀질 수 있게 이동브라켓(220)을 이동시키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이동브라켓(220)에 형성된 관통공에 관통 삽입되되 그 끝단이 폴드모터(421)와 연결되어 폴드모터(421)의 회전에 의해 당겨져 이동브라켓(220)이 고정브라켓(210) 방향으로 이동하여 모일 수 있도록 설치된다. (도 6 참조)
제2와이어(233)는 차양막(300)이 펼쳐질 수 있게 이동브라켓(220)을 이동시키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이동브라켓(220)에 형성된 관통공에 관통 삽입되되 그 끝단이 오픈모터(423)와 연결되어 오픈모터(423)의 회전에 의해 당겨져 이동브라켓(220)이 고정브라켓(21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벌어질 수 있도록 설치된다.
스토퍼(235)는 이동브라켓(220) 외면과 면접할 수 있게 제1 및 제2와이어(231,233)에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다수가 고정 구비되며, 제1 또는 제2와이어(231,233)가 모터부재(420)에 의해 이동시에 그 이동방향으로 이동브라켓(220) 외면에 외력을 가하여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차양막(300)은 고정브라켓(210) 및 이동브라켓(220)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되 풍속의 정도에 따라 이동브라켓(220)의 이동에 의해 접히거나 펼쳐져 차양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예컨대 차양막(300)은 구부러지거나 펼침이 가능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되 체결수단을 통해 각각의 고정브라켓(210) 및 이동브라켓(220) 외면에 고정 설치되어 이동브라켓(220)의 이동 방향에 따라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한다.
이때, 차양막(300) 외면에는 상호 등이 인쇄되어 간판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400)은 외부전원이 인가되도록 구조물(B) 외벽에 설치되되 해당 구조물(B) 외부 풍속을 감지하여 그 감지결과에 따라 모터부재(420)를 구동시켜 차양막(300)이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게 이동브라켓(220)을 이동 및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모터부재(420), 결속부재 및 풍속감지부(440)를 포함한다.
예컨대 모터부재(420)는 풍속감지부(440)를 통해 감지된 풍속에 따라 마이컴(410)의 제어신호를 통해 이동브라켓(220)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며, 제1와이어(231)와 연결되는 폴드모터(421) 및 제2와이어(233)와 연결되는 오픈모터(423)를 포함한다.
폴드모터(421)는 이동브라켓(220)이 서로 모이게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제1와이어(231) 일단과 연결되며, 회전에 의해 이동브라켓(220)을 고정브라켓(210) 방향으로 이동시켜 차양막(300)이 접혀질 수 있도록 한다.
오픈모터(423)는 이동브라켓(220)이 서로 벌어지게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제2와이어(233) 일단과 연결되며, 회전에 의해 이동브라켓(220)을 고정브라켓(210)과 반대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차양막(300)이 펼쳐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폴드모터(421)와 연결된 제1와이어(231)가 당겨지도록 동작하면 오픈모터(423)와 연결된 제2와이어(233)는 풀림 동작되며, 상기 오픈모터(423)와 연결된 제2와이어(233)가 당겨지면 상기 폴드모터(421)에 연결된 제1와이어(231)는 풀림 동작하여 레일브라켓(100)을 따라 서로 모이거나 벌어지도록 이동하는 이동브라켓(220)의 슬라이드 이동에 저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속부재는 마이컴(410)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결속봉이 이동브라켓(220)에 삽입될 수 있게 내/외부로 출입하여 차양막(300)이 펼쳐진 이후에 해당 이동브라켓(220)을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본 발명에서는 솔레노이드를 사용한다.
이를 위해, 제1솔레노이드(431)을 포함하는 결속부재는 다수의 고정브라켓(210) 중 가장 먼 거리에 배치되어 이동하는 이동브라켓(220)이 결속봉에 의해 결속 또는 해지할 수 있게 설치되며, 바람직한 설치 위치는 차양막(300)이 완전하게 펼쳐지게 이동이 완료된 고정브라켓(210)과 가장 먼 거리에 있는 이동브라켓(220)을 고정할 수 있도록 레일브라켓(100) 외면이나 구조물(B) 외벽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결속부재는 다른 실시예로 상기한 이동브라켓(220)의 결속이나 해지 용도로 사용되는 제1솔레노이드(431) 이외에 고정브라켓(210)의 결속 또는 해지 용도로 사용되는 제2솔레노이드(433)가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이동브라켓(220) 이외에 레일브라켓(100)과 슬라이드 이동가능한 고정브라켓(210)이 이동도 가능하게 한다.
즉, 본 발명에서의 어닝장치(1)는 도시한 바와 같이, 일 방향으로만 차양막(300)이 펼쳐지게 이동한 이후의 이동브라켓(220)을 결속봉에 의해 결속시켜 해당 차양막(300)이 펼쳐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예를 들어, 화재로 인한 사다리차의 사다리가 구조물에 거치되거나 냉난방장치에서 발생하는 배출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구조물 외벽에 설치되는 배출호스 등의 설치 등을 이유로 고정브라켓(210)이 이동하여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롤러(221)가 구비된 고정브라켓(210)을 제2솔레노이드(433)에 의해 결속과 해지가 가능하게 하여 해당 고정브라켓(210)이 제1솔레노이드(431)에 의해 결속된 이동브라켓(220) 방향으로 모터부재(420)에 의해 이동할 수 있도록 제어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풍속감지부(440)는 구조물(B) 외부에 발생하는 바람의 풍속을 감지할 수 있게 해당 구조물(B) 외벽에 박스(BOX) 형태를 유지하도록 설치되며, 상부에는 풍속감지날개(441)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해당 풍속감지날개(441)의 회전속도에 의해 풍속의 세기를 계산한 감지정보를 마이컴(410)에 전송한다.
여기서, 마이컴(410)은 전송받은 풍속에 대한 감지정보를 기 저장된 설정정보와 대비하여 해당 설정정보보다 높다고 판단되는 결과정보를 획득하면 마이컴(410)은 차양막(300)이 접혀질 수 있게 모터부재(420)를 구동시켜 이동브라켓(220)이나 고정브라켓(210)이 레일브라켓(10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마이컴(410)에 기 저장된 설정정보는 컨트롤러(미도시) 등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그 임계값이 설정되게 조작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닝장치(1)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풍속감지부(440)를 통해 어닝장치(1)가 설치된 구조물(B) 외부의 풍속을 감지 후, 그 감지정보의 세기에 따라 마이컴(410)을 통해 모터부재(420)를 제어하여 차양막(300)이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부재중에도 상기 어닝장치(1)의 파손은 물론, 안전사고가 방지되게 자동으로 동작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본 발명에 따른 풍속에 반응하는 접이식 어닝장치
100: 레일브라켓
110: 삽입홈
200: 이동부
210: 고정브라켓 220: 이동브라켓
221: 롤러 230: 외력부재
231: 제1와이어 233: 제2와이어
235: 스토퍼
300: 차양막
400: 제어수단
410: 마이컴 420: 모터부재
421: 폴드모터 423: 오픈모터
431: 제1솔레노이드
433: 제2솔레노이드 440: 풍속감지부
441: 풍속감지날개
B: 구조물

Claims (3)

  1. 구조물 외벽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레일브라켓(100);
    상기 레일브라켓(10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다수 설치되는 이동부(200);
    플렉시블한 재질을 갖도록 상기 이동부(200)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부(200)의 이동방향에 따라 접힘과 펼쳐짐이 가능하여 차양(遮陽)을 만족시키는 차양막(300); 및
    구조물(B) 외벽에 설치되되 풍속을 감지 후, 해당 감지정보와 저장된 설정정보를 대비하여 그 결과정보에 따라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이동부(200)를 이동시키는 제어수단(400);을 포함하는 접이식 어닝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200)는
    상기 제어수단(400)에 의해 상기 레일브라켓(100)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브라켓(210), 상기 고정브라켓(210)을 기준으로 상기 레일브라켓(100)을 따라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브라켓(220) 및 각각이 상기 고정브라켓(210)과 상기 이동브라켓(220)에 관통 삽입되게 상기 제어수단(400)과 연결되어 상기 이동브라켓(220)이 이동할 수 있게 외력을 가하는 한 쌍의 외력부재(230)를 포함하며,
    상기 외력부재(230)는 상기 이동브라켓(220)이 상기 고정브라켓(210) 방향으로 모일 수 있게 이동시키는 제1와이어(231), 상기 이동브라켓(220)이 상기 고정브라켓(210)과 벌어지도록 이동시키는 제2와이어(233) 및 상기 고정브라켓(210)과 상기 이동브라켓(220) 외면과 면접할 수 있게 상기 제1와이어(231)와 상기 제2와이어(233)에 고정 구비되는 스토퍼(235)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400)은
    마이컴(410)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제1와이어(231) 또는 상기 제2와이어(233)를 회전에 의해 권출하거나 권취시켜 상기 이동브라켓(220)을 이동시키는 모터부재(420);
    상기 마이컴(410)에 의해 제어될 수 있게 한 쌍으로 구비되되 어느 하나는 상기 고정브라켓(210)을 결속하며, 다른 하나는 상기 차양막(300)이 펼쳐지게 이동한 상기 이동브라켓(220)을 결속하는 결속부재; 및
    외부 풍속을 감지하여 그 감지정보를 상기 마이컴(410)에 전송하는 풍속감지부(440)를 포함하되,

    상기 마이컴(410)은 상기 풍속감지부(440)를 통해 전송된 풍속에 대한 감지정보를 기 저장된 설정정보와 대비하여 상기 모터부재(420)와 상기 결속부재(430)를 제어하며, 상기 결속부재는 상기 고정브라켓(210) 내측으로 결속봉이 출입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솔레노이드(431)와 상기 이동브라켓(220) 내측으로 결속봉이 출입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솔레노이드(433)를 포함하고,
    상기 제2솔레노이드(433)는 상기 차양막(300)이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고정브라켓(210)과 가장 먼 거리에 있는 상기 이동브라켓(220)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게 결속 또는 해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속에 반응하는 접이식 어닝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부재(420)는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와이어(231)가 당겨질 수 있도록 연결되어 그 당김에 의해 상기 이동브라켓(220)이 모여지도록 이동시키는 폴드모터(421); 및
    회전에 의해 상기 제2와이어(233)가 당겨질 수 있도록 연결되어 그 당김에 의해 상기 이동브라켓(220)이 벌어지도록 이동시키는 오픈모터(423);를 포함하되,
    상기 폴드모터(421)와 상기 오픈모터(423)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동작하여 상기 제1와이어(231) 또는 상기 제2와이어(233) 중 어느 하나가 당겨질 때, 다른 하나는 풀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속에 반응하는 접이식 어닝장치.
KR1020200121186A 2020-09-21 2020-09-21 풍속에 반응하는 접이식 어닝장치 KR102439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186A KR102439925B1 (ko) 2020-09-21 2020-09-21 풍속에 반응하는 접이식 어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186A KR102439925B1 (ko) 2020-09-21 2020-09-21 풍속에 반응하는 접이식 어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8863A KR20220038863A (ko) 2022-03-29
KR102439925B1 true KR102439925B1 (ko) 2022-09-02

Family

ID=80997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1186A KR102439925B1 (ko) 2020-09-21 2020-09-21 풍속에 반응하는 접이식 어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992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0244A (ja) * 1999-09-27 2001-04-03 Nippon Eisei Center:Kk 開閉式屋根構造
KR101141516B1 (ko) * 2011-09-20 2012-05-04 이진환 다목적용 차양 장치
KR101345274B1 (ko) * 2012-06-27 2013-12-26 김옥기 스카이 어닝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3233B1 (ko) 2017-09-04 2020-11-03 구통완 다단 절곡 아치형 접이식 어닝
KR102084220B1 (ko) 2019-07-02 2020-03-03 (주)주원창호 접이식 어닝의 틸팅 방지장치
KR102117927B1 (ko) 2020-03-05 2020-06-02 주식회사 대양 다단 접이식 어닝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0244A (ja) * 1999-09-27 2001-04-03 Nippon Eisei Center:Kk 開閉式屋根構造
KR101141516B1 (ko) * 2011-09-20 2012-05-04 이진환 다목적용 차양 장치
KR101345274B1 (ko) * 2012-06-27 2013-12-26 김옥기 스카이 어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8863A (ko) 202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99524A (en) Protection and/or decorative device for apertures in walls, windows and the like
US20130087296A1 (en) Automatic releasable top down shade system and method
KR102167751B1 (ko) 차광막 개폐장치
US7779849B2 (en) Umbrella featuring a vertically deployable sun shade
KR102103490B1 (ko) 차양구조물이 설치된 버스승강장
US20220341201A1 (en) Angle variable multi-stage sunshade device
KR101514016B1 (ko) 캐노피형 어닝
JP2010065513A (ja) オーニング装置
KR101266800B1 (ko) 계절에 따른 태양의 위치에 따라 광량으로 자동 작동하는 차양장치
KR102439925B1 (ko) 풍속에 반응하는 접이식 어닝장치
KR101932129B1 (ko) 혹한과 혹서를 대비한 버스 대기소
KR101256635B1 (ko) 차양과 통풍과 방풍 겸용 지붕 및 이를 이용한 야외 시설물
KR101746553B1 (ko) 공동주택용 발코니 차양장치
KR102260125B1 (ko) 접이식 곡면형 차양장치
JP5811146B2 (ja) 日除け装置
KR101302689B1 (ko) 차양에 설치되는 보조차양
JP2000096877A (ja) オーニング装置
KR102370816B1 (ko) 각도 가변형 다단 차양막장치
KR100778826B1 (ko) 아케이드 구조물
KR200446420Y1 (ko) 베니션블라인드의 고정장치
KR200482821Y1 (ko) 텐션장치가 구비된 전동식 차양막
KR102655816B1 (ko) 다단 가변형 차양막 구조물
JPH0440338Y2 (ko)
CN216949141U (zh) 屋面遮阳装置
KR200339981Y1 (ko) 상하 양방향으로 작동하는 차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