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7927B1 - 다단 접이식 어닝 장치 - Google Patents

다단 접이식 어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7927B1
KR102117927B1 KR1020200027698A KR20200027698A KR102117927B1 KR 102117927 B1 KR102117927 B1 KR 102117927B1 KR 1020200027698 A KR1020200027698 A KR 1020200027698A KR 20200027698 A KR20200027698 A KR 20200027698A KR 102117927 B1 KR102117927 B1 KR 102117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wning
frame
horizontal support
waterproof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7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요한
안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양
Priority to KR1020200027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79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04F10/0607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with guiding-sections for supporting the movable end of the blin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04F10/0644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with mechanisms for unrolling or balancing the blin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04F10/066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수밀성 및 내구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전후방향 및 폭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높이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수직지지프레임의 상부에 폭방향으로 가로지르며 배치되며 전후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되는 한쌍의 수평지지프레임;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각 상기 수평지지프레임에 양단부가 연결되며 상호간 폭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중공형으로 구비되되 하부에 레일홈이 함몰 형성되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어닝프레임; 상기 어닝프레임에 배치되는 이송벨트부와, 상기 이송벨트부에 동력 연결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구동수단; 상기 구동부의 역방향 구동시 아래로 오목하게 다단 접힘되어 후방측 수평지지프레임에 배치되되, 정방향 구동시 펼침되어 전방측 수평지지프레임측으로 확장되는 방수어닝; 및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부가 상기 이송벨트부에 연결되되 상기 레일홈에 삽입되고, 하부가 상기 어닝프레임의 하측으로 노출 배치되되 상기 방수어닝이 연결되며, 상기 구동부의 정방향 구동시 상기 어닝프레임의 전방으로 이송되되 장력 부하발생시 상호간의 간격이 균등유지간격으로 배치되는 이송대차부를 포함하는 다단 접이식 어닝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단 접이식 어닝 장치{apparatus for multi-stage folding awning}
본 발명은 다단 접이식 어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밀성 및 내구성이 개선되는 다단 접이식 어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양지나 관광시설, 어린이 놀이터 및 공원 등에는 휴식에 필요한 그늘을 형성하기 위한 팔각정, 원두막 또는 차광텐트 등의 파고라(퍼걸러,pergola)를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파고라에는 사람들이 비를 피하거나 햇빛을 피해 쉼터의 역할로 구성됨으로 정자형태와 함께 등나무 등을 심어 서까래 위에서 성장된 나뭇잎에 의한 그늘을 제공하고 주위환경과의 조화를 이루어 친화적이면서 안락한 쉼터를 제공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옥외에 설치되는 어닝 또는 루프 시스템은 비나 해를 가리기 위해 창이나 벽면 등에 설치하는 천막의 일종으로서 설치 위치나 형태 등에 따라 여러 가지 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다.
여기서, 일반적인 종래의 어닝 구조를 설명하면 먼저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주의 상단에 가로방향으로 수평지지대가 구비되었다.
그리고, 상기 수평지지대의 일단에 모터가 구비되며, 상기 모터에 동력 연결되는 풀리조립체가 구비되고, 상기 수평지지대에는 차양막에 부분적으로 연결되는 슬라이딩부가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이러한 차양막은 접철식으로 폴딩되는 구조로 마련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어닝 구조는 상기 수평지지대와 차양막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미세한 틈이 형성되어 빗물이 유동되므로 우천시 상기 차양막의 테두리측으로부터 빗물이 낙하하여 사용자에 불편감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어닝 구조는 상기 차양막이 최대로 펼침되면 리미트스위치에 접촉됨에 따라 상기 모터의 구동이 정지되는 방식으로 구비되었다.
그러나, 상기 차양막의 재질 특성상 장기간 사용시 상기 차양막의 원단이 늘어나 상기 리미트스위치에 접촉되는 최대 거리로 펼침시에도 원단이 팽팽하게 유지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늘어난 차양막의 틈 사이로 빗물 및 바람이 유동되어 불편감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358606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밀성 및 내구성이 개선되는 다단 접이식 어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후방향 및 폭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높이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수직지지프레임의 상부에 폭방향으로 가로지르며 배치되며 전후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되는 한쌍의 수평지지프레임;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각 상기 수평지지프레임에 양단부가 연결되며 상호간 폭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중공형으로 구비되되 하부에 레일홈이 함몰 형성되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어닝프레임; 상기 어닝프레임에 배치되는 이송벨트부와, 상기 이송벨트부에 동력 연결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구동수단; 상기 구동부의 역방향 구동시 아래로 오목하게 다단 접힘되어 후방측 수평지지프레임에 배치되되, 정방향 구동시 펼침되어 전방측 수평지지프레임측으로 확장되는 방수어닝; 및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부가 상기 이송벨트부에 연결되되 상기 레일홈에 삽입되고, 하부가 상기 어닝프레임의 하측으로 노출 배치되되 상기 방수어닝이 연결되며, 상기 구동부의 정방향 구동시 상기 어닝프레임의 전방으로 이송되되 장력 부하발생시 상호간의 간격이 균등유지간격으로 배치되는 이송대차부를 포함하는 다단 접이식 어닝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방수어닝의 장력에 의해 발생하는 부하가 기설정장력을 초과하면 정방향 구동을 정지 제어하는 부하감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방수어닝이 펼침시 장력이 가해지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이송대차부와 상기 전방측 수평지지프레임의 사이에는 상호 이격된 장력유지간격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어닝프레임의 양단부에는 한쌍의 캡부가 구비되고, 상기 캡부의 내부에는 상기 이송벨트부가 기어 결합되는 한쌍의 벨트롤러부가 배치되되, 상기 캡부의 내부에는 상기 벨트롤러부의 반경방향 외측에 이격 배치되되 상기 이송벨트부의 외면을 감싸도록 라운드지게 구비되며, 상기 이송벨트부와 대향되는 내면부에 요철부가 형성되는 이탈차단부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어닝프레임의 하부에는 상기 레일홈과 폭방향으로 이격된 양측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전후방향을 따라 제1끼움홈이 상향 함몰 형성되며, 상기 제1끼움홈에 슬라이드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삽입부와, 상기 제1삽입부로부터 일체로 다중 굴곡지게 하향 연장되며 하단부가 상기 방수어닝의 상면에 선택적으로 방수 밀착되는 탄성 재질의 방수연장부를 포함하는 제1탄성실링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어닝프레임은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되, 상기 전방측 수평지지프레임의 후측부에 폭방향으로 연장되며 배치되되 전방측 이송대차부의 하부에 대향 배치되며 후측 상단 테두리부에 제2끼움홈이 하향 함몰 형성되는 배수안내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배수안내부의 하부에는 상기 배수안내부의 바닥면과 연통되되 중공형으로 구비된 상기 수직지지프레임의 상부와 연통되는 배수연결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끼움홈에 슬라이드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2삽입부와, 상기 제2삽입부로부터 일체로 다중 굴곡지게 상향 연장되며 상단부가 상기 전방측 이송대차부의 하부에 밀착되는 탄성 재질의 제1탄성연장부를 포함하는 제2탄성실링부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방수어닝의 장력에 의해 발생하는 부하가 기설정장력을 초과하면 구동부의 정방향 구동이 정지되며 전방측 이송대차부와 전방측 수평지지프레임의 사이에 상호 이격된 장력유지간격이 형성되어 방수어닝이 늘어나더라도 장력유지간격이 감소되면서 방수어닝의 펼침시 팽팽한 직선형으로의 유지상태를 보장할 수 있다.
둘째, 방수어닝의 양측으로 빗물의 낙하가 차단되도록 어닝프레임 하부의 제1끼움홈에 슬라이드 삽입된 제1탄성실링부의 제1삽입부를 고정단으로 하여 탄성 재질의 방수연장부가 일체로 다중 굴곡지게 하향 연장되어 하단부가 팽팽한 직선형으로 펼침된 방수어닝 상면에 방수 밀착되는 수밀구조로 방수성 및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되며 외적 심미감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셋째, 방수어닝 상면에 낙하한 빗물이 어닝프레임의 경사배치구조와 제1탄성실링부의 방수어닝 양측 수밀구조에 의해 전방으로 안내되면 전방측 수평지지프레임의 후측부에 배치된 배수안내부로 수집된 후 전방측 수직지지프레임의 중공으로 즉시 배출되므로 방수어닝의 전방향 테두리로부터 빗물의 낙하가 차단될 수 있다.
넷째, 방수어닝의 펼침시 방수어닝의 전방부측 터미널프레임의 하면에 밀착되는 제2탄성실링부와, 방수어닝의 후방부측 상면에 밀착되는 제3탄성실링부를 통해 강풍에 의한 방수어닝의 요동이 방지되어 견고한 수밀안내구조가 유지될 수 있다.
다섯째, 구동부에 동력 연결된 이송벨트부의 양단부가 어닝프레임의 캡부 내부에 배치된 벨트롤러부에 기어 결합되되 내면부에 요철부가 형성되는 이탈차단부가 이송벨트부의 외면과 대향되어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므로 구동부에 과도한 부하 발생시에도 이송벨트부의 이탈이 방지되어 작동정밀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단 접이식 어닝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단 접이식 어닝 장치에서 어닝프레임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단 접이식 어닝 장치의 전방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단 접이식 어닝 장치에서 빗물안내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단 접이식 어닝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에서 바라본 사용예시도.
도 7은 도 1의 'A'부분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단 접이식 어닝 장치에서 구동수단을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단 접이식 어닝 장치에서 이송대차부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단 접이식 어닝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단 접이식 어닝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단 접이식 어닝 장치에서 어닝프레임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단 접이식 어닝 장치의 전방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단 접이식 어닝 장치에서 빗물안내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단 접이식 어닝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에서 바라본 사용예시도이고, 도 7은 도 1의 'A'부분 확대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단 접이식 어닝 장치에서 구동수단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단 접이식 어닝 장치에서 이송대차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단 접이식 어닝 장치(100)는 수직지지프레임(10), 수평지지프레임(20), 어닝프레임(30), 구동수단(40), 방수어닝(50), 및 이송대차부(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직지지프레임(10)은 기설정된 길이로 복수개 구비되어 전후방향 및 폭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높이방향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상기 수직지지프레임(10)의 하단은 설치대상공간의 바닥면에 볼트 체결 등의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지지프레임(10)은 기설정된 제1길이로 구비되어 상기 다단 접이식 어닝 장치(100)의 전방부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전방측 수직지지프레임(10a)과, 상기 제1길이 이상의 기설정된 제2길이로 구비되되 각 상기 전방측 수직지지프레임(10a)의 후방측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다단 접이식 어닝 장치(100)의 후방부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후방측 수직지지프레임(10b)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각 상기 전방측 수직지지프레임(10a)은 각각 상호간 폭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이격 정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각 상기 후방측 수직지지프레임(10b)은 각각 상호간 폭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이격 정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상기 전방측 수직지지프레임(10a)과 각 상기 후방측 수직지지프레임(10b)은 상호 전후방향으로 이격 정렬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전방측 수직지지프레임(10a) 및 상기 후방측 수직지지프레임(10b)이 각각 3개 구비되는 경우를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수직지지프레임(10)은 높이방향 양단부가 개구된 중공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방측 수직지지프레임(10a)의 내부가 중공형으로 구비되어 개구된 상단부로부터 빗물이 유입된 후 하단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평지지프레임(20)은 한쌍으로 구비되어 각 상기 수직지지프레임(10)의 상부에 폭방향으로 가로지르며 배치되며 전후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수평지지프레임(20)은 중공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지지프레임(20)은 기설정된 길이로 구비되어 각 상기 전방측 수직지지프레임(10a)의 상부에 연결되는 전방측 수평지지프레임(20a)과, 상기 전방측 수평지지프레임(20a)에 대응되는 길이로 구비되되 상기 전방측 수평지지프레임(20a)의 후방측으로 이격 배치되어 각 상기 후방측 수직지지프레임(10b)의 상부에 연결되는 후방측 수평지지프레임(20b)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전방측 수직지지프레임(10a) 및 상기 후방측 수직지지프레임(10b)의 높이차에 의해 상기 전방측 수평지지프레임(20a)의 배치 높이가 상기 후방측 수평지지프레임(20b)의 배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 상기 수평지지프레임(20)의 양단부에는 보호캡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단 접이식 어닝 장치(100)의 폭방향 양측부에는 배치된 전방측 수직지지프레임(10a) 및 수직지지프레임(10b)의 각 높이방향 중앙부에 전후방향 양단부가 각각 연결되어 고정되는 측벽프레임(2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어닝프레임(30)은 한쌍으로 세트화되거나 복수개로 구비되어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각 상기 수평지지프레임(20)에 양단부가 연결되며 상호간 폭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며, 중공형으로 구비되고 하부에 레일홈(32)이 함몰 형성되어 전후방향으로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각 상기 어닝프레임(30)은 각 상기 수평지지프레임(20)의 상부에 전후방향 양단부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상기 수평지지프레임(20)의 상부에 연결브라켓(23)이 구비되어 각 상기 수평지지프레임(20)과 각 상기 어닝프레임(30) 간의 볼트 체결 등에 의한 연결을 매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측 수직지지프레임(10a) 및 상기 후방측 수직지지프레임(10b)의 높이차에 의해 상기 어닝프레임(30)은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후술되는 상기 방수어닝(50)의 상면으로 빗물이 낙하되면 빗물이 중력에 의해 상기 다단 접이식 어닝 장치(100)의 전방부로 유동될 수 있다.
또한, 각 상기 어닝프레임(30)의 내부에는 경량화되되 강도가 증가되도록 중공(31)이 상호 구획되며 복수개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레일홈(32)은 각 상기 어닝프레임(30)의 하부에 상향 함몰 형성되어 전후방향으로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레일홈(32)에는 복수개의 상기 이송대차부(60)의 상부가 삽입되어 전후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공(31) 내부에는 후술되는 이송벨트부(41)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수단(60)은 상기 어닝프레임(30)에 배치되는 이송벨트부(41)와, 상기 이송벨트부(41)에 동력 연결되는 구동부(44)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60)은 상기 이송벨트부(41)의 양단부가 고정되는 벨트롤러부(42)와 구동축(45)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다단 접이식 어닝 장치(100)에는 한쌍의 상기 어닝프레임(30)의 후방부에 양단부가 연결되며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모터고정프레임(21)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모터고정프레임(21)은 중공형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다단 접이식 어닝 장치(100)의 후방부에 폭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44)는 상기 모터고정프레임(21)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구동부(44)는 상기 모터고정프레임(21)에 연결되는 모터케이스와, 상기 모터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모터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구동모터와 기어 연결되는 기어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어축부는 상기 구동모터와 기설정된 기어비로 기어 연결되어 구동모터의 출력토크를 증가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어축부는 상기 모터케이스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노출되어 한쌍의 상기 구동축(45)에 동력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상기 구동축(45)은 상기 벨트롤러부(42)를 통해 상기 이송벨트부(41)에 동력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상기 이송벨트부(41)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송벨트부(41)는 환형으로 구비되어 내면에 맞물림톱니가 형성되며 각 상기 어닝프레임(30)의 개수에 대응되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각 상기 어닝프레임(30)의 중공(31)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송벨트부(41)의 양단부는 외면에 맞물림톱니가 형성된 한쌍의 상기 벨트롤러부(42)에 맞물림 결합되어 연동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어닝프레임(30)의 양단부에는 한쌍의 캡부(34)가 구비되고, 상기 캡부(34)의 내부에는 상기 이송벨트부(41)가 기어 결합되는 한쌍의 상기 벨트롤러부(42)가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캡부(34)의 내부에는 상기 벨트롤러부(42)의 반경방향 외측에 이격 배치되되 상기 이송벨트부(41)의 외면을 감싸도록 라운드지게 구비되며, 상기 이송벨트부(41)와 대향되는 내면부에 요철부(43a)가 형성되는 이탈차단부(43)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부(44)에 동력 연결되어 구동되는 상기 이송벨트부(41)의 양단부가 상기 어닝프레임(30)의 양단부에 구비된 상기 캡부(34) 내부에 배치된 벨트롤러부(42)에 기어 결합되되 내면부에 요철부(43a)가 형성되는 상기 이탈차단부(43)가 상기 이송벨트부(41)의 외면과 대향되어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므로 상기 구동부(44)에 과도한 외력 또는 부하 발생시에도 상기 이송벨트부(41)의 이탈이 방지되어 작동정밀성 및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송대차부(6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부가 상기 이송벨트부(41)에 연결되되 상기 레일홈(32)에 삽입되고, 하부가 상기 어닝프레임(30)의 하측으로 노출 배치되되 상기 방수어닝(50)이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복수개의 상기 이송대차부(60) 중 가장 전방에 배치된 이송대차부(60) 하나에만 상기 이송벨트부(41)가 동력 연결되고, 나머지 이송대차부(60)는 상기 어닝프레임(30)의 전후방향을 따라 단순 구름 이동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대차부(60)는 상기 구동부(44)의 구동시 상기 어닝프레임(30)의 전후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이송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이송대차부(60)는 상기 구동부(44)의 정방향 구동시 상기 어닝프레임(30)의 전방으로 이송되되 상호 간격이 확장되며 장력 부하발생시 상호간의 간격이 균등유지간격(d1)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송대차부(60)는 상기 구동부(44)의 역방향 구동시 상기 어닝프레임(30)의 후방으로 이송되어 밀집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이송대차부(60)는 상기 레일홈(32)에 삽입되되 상기 이송벨트부(41)의 일측에 고정되는 벨트연결부(61)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벨트연결부(61)는 상기 이송벨트부(41)의 외면이 면접촉되는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와 분리되어 구비되되 맞물림톱니가 형성된 상기 이송벨트부(41)의 내면이 면접촉되는 제2몸체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벨트연결부(61)에는 상기 이송벨트부(41)의 내면과 대향되는 위치에 맞물림톱니가 형성된 상기 이송벨트부(41)의 내면이 면접촉 형합되는 형합요철부(61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형합요철부(61a)가 상기 제2몸체에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즉, 상기 형합요철부(61a)는 상기 제2몸체에 상기 이송벨트부(41)의 내면과 대향되는 대향면에 맞물림톱니가 형성된 상기 이송벨트부(41)의 내면이 면접촉 형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레일홈(32)에 삽입되되 상기 이송벨트부(41)의 일측에 고정되는 상기 이송대차부(60)의 벨트연결부(61)에 형합요철부(61a)가 형성되어 맞물림톱니가 형성된 상기 이송벨트부(41)의 내면이 면접촉 형합됨에 따라 상기 이송대차부(60)가 상기 이송벨트부(41)에 정확하게 연동되므로 과도한 외력에 의해 상기 이송대차부(60)의 하부에 연결된 상기 방수어닝(50)의 찢어짐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구동부(44)에 과도한 부하 발생시 상기 이송벨트부(41)의 파절이 방지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벨트연결부(61)에는 상기 이송벨트부(41)가 형합 정렬된 상태에서 볼트 체결되어 상호 고정되도록 복수개의 고정홀(61b)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대차부(60)는 상기 레일홈(32)에 삽입되되 상기 벨트연결부(61)에 연결되며 상기 어닝프레임(30)의 전후방향을 따라 구름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롤러부(62)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롤러부(62)는 상기 제2몸체에 연결되는 롤러몸체와, 상기 롤러몸체에 축 연결되어 구름 이동시 회전되는 복수개의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롤러부(62)의 바퀴는 상기 어닝프레임(30)의 중공(31) 하면부에 접촉되어 전후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구름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대차부(60)는 상기 어닝프레임(30)의 하측으로 노출 배치되되 하면에 상기 방수어닝(50)의 상면이 면접촉되는 탄성 재질의 완충부(63)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완충부(63)는 하부로 갈수록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대차부(60)는 상기 완충부(63)의 하면 중앙으로부터 하향 연장 돌설되되, 상기 완충부(63)의 하부 직경 미만의 직경으로 구비되며, 하부측 외주에 체결나사산이 형성되는 결합로드(64)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다단 접이식 어닝 장치(100)에는 상기 결합로드(64)의 하부에 길이방향 양단부측 상부가 결합되되, 상기 수평지지프레임(20)과 전후방향으로 이격되며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터미널프레임(65)이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상기 터미널프레임(65)의 하부에는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조명부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수어닝(50)은 한쌍의 상기 어닝프레임(30) 간의 간격에 대응되는 폭으로 구비되며, 한쌍의 상기 수평지지프레임(20) 간의 간격에 대응되는 전후방향 길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방수어닝(50)의 폭방향 양측에는 상기 결합로드(64)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관통공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방수어닝(50)은 각 상기 관통공이 상기 결합로드(64)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방수어닝(50)의 상면이 상기 완충부(63)의 하면에 면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로드(64)의 체결나사산에 각 상기 터미널프레임(65)이 결합됨에 따라 상기 방수어닝(50)의 하면이 각 상기 터미너프레임(65)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수어닝(50)은 상기 구동부(44)의 역방향 구동시 상기 이송대차부(60)에 의해 이송됨에 따라 후방측 수평지지프레임(20b)에 배치되되 아래로 오목하게 다단 접힘되며, 정방향 구동시 펼침되어 전방측 수평지지프레임(20b)측으로 확장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부(44)는 상기 방수어닝(50)의 펼침시 상기 방수어닝(50)의 장력에 의해 발생하는 부하가 기설정장력을 초과하면 정방향 구동을 정지 제어하는 부하감지수단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방수어닝(50)이 펼침시 장력이 가해지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구동부(44)의 정방향 구동 완료시 각 상기 이송대차부(60) 간의 간격은 균등유지간격(d1)으로 배치되며, 상기 이송대차부(60)와 상기 전방측 수평지지프레임(20a)의 사이는 상호 이격되며 장력유지간격(d2)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방수어닝(50)의 장기간 사용시 원단이 늘어날수록 상기 장력유지간격(d2)은 감소 변경되도록 설정되며, 상기 균등유지간격(d1)은 증가 변경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장력유지간격(d2)이 감소할수록 상기 균등유지간격(d1)은 증가된다.
이하에서, 상기 다단 접이식 어닝 장치(100) 사용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후방측 수평지지프레임(20b)측으로 상기 이송대차부(60) 및 상기 방수어닝(50)이 밀집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44)가 정방향으로 구동되면 상기 이송벨트부(41)가 정방향 구동되어 상기 이송대차부(60)가 전방측 수평지지프레임(20b)측으로 전진 이동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이송대차부(60)에 연결된 상기 방수어닝(50)이 펼침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상기 이송대차부(60) 중 가장 전방에 배치된 이송대차부(60) 하나에만 상기 이송벨트부(41)를 통해 상기 구동부(44)가 동력 연결되고, 나머지 이송대차부(60)는 상기 어닝프레임(30)의 전후방향을 따라 단순 구름 이동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송대차부(60) 중 가장 전방에 배치된 이송대차부(60) 하나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방수어닝(50)이 1차 펼침되면 전방에서 두번째 이송대차부(60)가 2차로 이동되며 상기 방수어닝(50)이 2차 펼침되는 방식의 다단 펼침 방식으로 상기 방수어닝(50)이 펼침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대차부(60)가 전진 이동됨에 따라 상기 방수어닝(50)이 펼침되어 장력이 가해지고 상기 구동부(44)의 부하감지수단에 장력에 의해 발생하는 부하가 기설정장력을 초과하여 상기 구동부(44)의 정방향 구동이 자동 정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수어닝(50)이 펼침되고 상기 구동부(44)의 정방향 구동이 정지되면 각 상기 이송대차부(60) 및 각 상기 터미널프레임(65) 간의 간격은 균등유지간격(d1)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동시에, 가장 전방에 배치된 이송대차부(60) 및 그에 연결된 터미널프레임(65)과 상기 전방측 수평지지프레임(20a)의 사이가 상기 장력유지간격(d2)을 두고 상호 이격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방수어닝(50)의 펼침 상태에서 장력이 가해지는 상태가 유지시에도 가장 전방에 배치된 이송대차부(60) 및 그에 연결된 터미널프레임(65)이 상기 전방측 수평지지프레임(20a)에 도달하지 않고 상기 장력유지간격(d2)을 두고 이격된다.
따라서, 전방프레임에 배치된 리미트스위치에 접촉식으로 차양막을 펼치는 모터의 구동이 정지되던 종래와 달리, 상기 방수어닝(50)에 장력에 의해 발생하는 부하가 기설정장력을 초과하면 상기 구동부(44)의 정방향 구동이 정지 제어되는 비접촉식 구조로 구비되며 전방측 이송대차부(60)와 상기 전방측 수평지지프레임(20a)의 사이에 상호 이격된 장력유지간격(d2)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방수어닝(50)의 장기간 사용에 따라 원단이 늘어나더라도 상기 장력유지간격(d2)이 감소되면서 방수어닝의 펼침시 팽팽한 직선형으로의 유지상태를 보장할 수 있다. 더불어, 각 상기 이송대차부(60) 간의 간격이 균등유지간격(d1)을 유지하여 상기 방수어닝(50)의 장력이 유지되는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각 상기 이송대차부(60) 간의 간격이 균등유지간격(d1)을 유지하여 상기 방수어닝(50)의 장력이 가해지는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므로 상기 방수어닝(50)의 상면으로 낙하하는 빗물이 늘어난 틈 사이로 유출되지 않으므로 사용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어닝프레임(30)의 하부에는 상기 레일홈(32)과 폭방향으로 이격된 양측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상기 어닝프레임(30)의 전후방향을 따라 제1끼움홈(33)이 상향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단 접이식 어닝 장치(100)에는 상기 제1끼움홈(33)에 슬라이드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삽입부(71a)와, 상기 제1삽입부(71a)로부터 일체로 다중 굴곡지게 하향 연장되어 상기 어닝프레임의 하측으로 노출 배치되되 하단부가 상기 방수어닝(50)의 상면에 선택적으로 방수 밀착되는 탄성 재질의 방수연장부(71b)를 포함하는 제1탄성실링부(71)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탄성실링부(71)는 상기 제1삽입부(71a)을 고정단으로 하여 상기 방수연장부(71b)의 단부가 상기 방수어닝(50)의 상면에 선접촉되되 자유단으로서 자유롭게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수연장부(71b)는 상기 제1삽입부(71a)로부터 단부로 갈수록 물결 형상으로 다중 굴곡지게 연장되되, 단부로 갈수록 폭이 협소화되어 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방수어닝(50)의 양측으로부터 빗물의 낙하가 차단되도록 상기 어닝프레임(30) 하부의 제1끼움홈(33)에 슬라이드 삽입된 제1탄성실링부(71)의 제1삽입부(71a)를 고정단으로 하여 탄성 재질의 방수연장부(71b)가 일체로 다중 굴곡지게 하향 연장되어 하단부가 팽팽한 직선형으로 펼침된 상태의 방수어닝(50)의 상면에 방수 밀착되는 수밀구조로 빗물이 전방으로 안내 유동되어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불어, 방수성 및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되며 외적 심미감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다단 접이식 어닝 장치(100)에는 상기 전방측 수평지지프레임(20a)의 후측부에 폭방향으로 연장되며 배치되되 전방측 이송대차부(60)의 하부에 결합된 터미널프레임(65)의 하부에 대향 배치되며 후측 상단 테두리부(81)에 제2끼움홈(82)이 하향 함몰 형성되는 배수안내부(80)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배수안내부(80)는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 상기 어닝프레임(30)에 의해 상기 방수어닝(50)으로부터 낙하되는 빗물이 수집되도록 바닥면(80a)과 측벽면으로 구성되되, 전방측 측벽면이 상기 전방측 수평지지프레임(20a)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면(80a)의 일측에는 수집된 빗물이 배출되도록 배출홀(미도시)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단 접이식 어닝 장치(100)에는 상기 배수안내부(80)의 하부에 상기 배수안내부(80)의 바닥면(80a)에 형성된 상기 배출홀(미도시)과 연통되되 중공형으로 구비된 상기 수직지지프레임(10)의 상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방측 수직지지프레임(10a)의 상부와 연통되는 배수연결부(83)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배수연결부(83)는 전방부가 상기 전방측 수직지지프레임(10a)의 상단부 후면측에 결합되되, 상부가 상기 배수안내부(80)의 전후방향 폭에 대응되는 길이로 구비되어 상기 배수안내부(80)의 하면부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배수연결부(83)가 결합된 상기 전방측 수직지지프레임(10a)의 상단부 후면측은 상기 배수연결부(83)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개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연결부(83)에는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후측방향으로 경사지게 빗물안내경사면(83a)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방수어닝(50) 상면에 낙하한 빗물이 상기 어닝프레임(30)의 경사배치구조와 상기 제1탄성실링부(71)의 방수어닝 양측 수밀구조에 의해 안내되면서 전방으로 안내되면 상기 전방측 수평지지프레임(20a)의 후측부에 배치된 배수안내부(80)로 수집된 후 상기 배수연결부(83)를 따라 전방측 수직지지프레임(10a)의 중공으로 즉시 배출되므로 상기 방수어닝(50)의 전방향 테두리로부터 빗물의 낙하가 차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다단 접이식 어닝 장치(100)에는 상기 제2끼움홈(83)에 슬라이드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2삽입부(72a)와, 상기 제2삽입부(72a)로부터 일체로 다중 굴곡지게 상향 연장되어 상단부가 가장 전방에 배치된 이송대차부(60)의 하부에 결합된 터미널프레임(65)의 하면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는 탄성 재질의 제1탄성연장부(72b)를 포함하는 제2탄성실링부(72)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탄성실링부(72)는 상기 제2삽입부(72a)을 고정단으로 하여 상기 제1탄성연장부(72b)의 단부가 가장 전방에 배치된 이송대차부(60)의 하부에 결합된 터미널프레임(65)의 하면에 선접촉되되 자유단으로서 자유롭게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탄성연장부(72b)는 상기 제2삽입부(72a)로부터 단부로 갈수록 물결 형상으로 다중 굴곡지게 연장되되, 단부로 갈수록 폭이 협소화되어 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배수안내부(80)의 제2끼움홈(82)에 슬라이드 삽입된 상기 제2탄성실링부(72)의 제2삽입부(72a)를 고정단으로 하여 탄성 재질의 제1탄성연장부(72b)가 일체로 다중 굴곡지게 상향 연장되어 상단부가 상기 방수어닝(50)의 펼침시 이송대차부(60)의 하부에 결합된 터미널프레임(65)의 하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방수어닝(50)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배수안내부(80)로 낙하하는 빗물이 튀어 상기 방수어닝(50) 하부의 공간으로 비산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되어 사용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수어닝(50)의 펼침시 전후방향으로 바람이 부는 경우에도 밀착구조가 유지되어 제품의 정밀도 및 내구도가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터고정프레임(21)의 하부에는 상기 모터고정프레임(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3끼움홈(22)이 상향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단 접이식 어닝 장치(100)에는 상기 제3끼움홈(22)에 슬라이드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3삽입부(73a)와, 상기 제3삽입부(73a)로부터 일체로 다중 굴곡지게 하향 연장되어 하단부가 상기 방수어닝(50)의 상면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는 탄성 재질의 제2탄성연장부(73b)를 포함하는 제3탄성실링부(73)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3탄성실링부(73)는 상기 제3삽입부(73a)을 고정단으로 하여 상기 제2탄성연장부(73b)의 단부가 펼침된 상태의 상기 방수어닝(50)의 상면에 선접촉되되 자유단으로서 자유롭게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탄성연장부(73b)는 상기 제3삽입부(73a)로부터 단부로 갈수록 물결 형상으로 다중 굴곡지게 연장되되, 단부로 갈수록 폭이 협소화되어 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부(44)가 연결되어 상기 어닝프레임(30)의 후방부에 양단부가 연결된 모터고정프레임(21) 하부의 제3끼움홈(22)에 슬라이드 삽입된 제3탄성실링부(73)의 제3삽입부(71a)를 고정단으로 하여 탄성 재질의 제2탄성연장부(73b)가 일체로 다중 굴곡지게 하향 연장되어 하단부가 펼침된 상태의 방수어닝(50) 상면에 밀착되므로 상기 방수어닝(50)의 펼침시 전후방향으로 바람이 부는 경우에도 밀착구조가 유지되어 제품의 정밀도 및 내구도가 개선될 수 있다.
즉, 상기 방수어닝(50)의 펼침시 상기 방수어닝(50)의 전방부측 터미널프레임(65)의 하면에 밀착되는 상기 제2탄성실링부(72)와, 상기 방수어닝(50)의 후방부측 상면에 밀착되는 상기 제3탄성실링부(73)를 통해 바람에 의한 방수어닝(50)의 요동이 방지되어 견고한 수밀안내구조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다단 접이싱 어닝 장치(100)에는 상기 구동부(44)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후방측 수평지지프레임(20b) 및 각 상기 어닝프레임(30)의 후방부에 각 테두리가 연결되는 커버부(9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부(90)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90)의 하부에는 상기 구동부(44), 상기 구동축(45) 및 상기 모터고정프레임(21)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단 접이싱 어닝 장치(100)에는 각 상기 후방측 수직지지프레임(10a) 사이가 차폐되도록 각 테두리가 상기 후방측 수직지지프레임(10b) 및 상기 후방측 수평지지프레임(20b)에 각각 연결되는 후벽면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수어닝(50)의 후단부가 상기 후벽면부에 연결되어 마감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다단 접이식 어닝 장치 10: 수직지지프레임
20: 수직지지프레임 30: 어닝프레임
40: 구동수단 50: 방수어닝
60: 이송대차부 71: 제1탄성실링부
72: 제2탄성실링부 73: 제3탄성실링부
80: 배수안내부 82: 배수연결부
90: 커버부

Claims (5)

  1. 전후방향 및 폭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높이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수직지지프레임의 상부에 폭방향으로 가로지르며 배치되며 전후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되는 한쌍의 수평지지프레임;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각 상기 수평지지프레임에 양단부가 연결되며 상호간 폭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중공형으로 구비되되 하부에 레일홈이 함몰 형성되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어닝프레임;
    상기 어닝프레임에 배치되는 이송벨트부와, 상기 이송벨트부에 동력 연결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구동수단;
    상기 구동부의 역방향 구동시 아래로 오목하게 다단 접힘되어 후방측 수평지지프레임에 배치되되, 정방향 구동시 펼침되어 전방측 수평지지프레임측으로 확장되는 방수어닝; 및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부가 상기 이송벨트부에 연결되되 상기 레일홈에 삽입되고, 하부가 상기 어닝프레임의 하측으로 노출 배치되되 상기 방수어닝이 연결되며, 상기 구동부의 정방향 구동시 상기 어닝프레임의 전방으로 이송되되 장력 부하발생시 상호간의 간격이 균등유지간격으로 배치되는 이송대차부를 포함하되,
    상기 어닝프레임의 양단부에는 한쌍의 캡부가 구비되고, 상기 캡부의 내부에는 상기 이송벨트부가 기어 결합되는 한쌍의 벨트롤러부가 배치되되,
    상기 캡부의 내부에는 상기 벨트롤러부의 반경방향 외측에 이격 배치되되 상기 이송벨트부의 외면을 감싸도록 라운드지게 구비되며, 상기 이송벨트부와 대향되는 내면부에 요철부가 형성되는 이탈차단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접이식 어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방수어닝의 장력에 의해 발생하는 부하가 기설정장력을 초과하면 정방향 구동을 정지 제어하는 부하감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방수어닝이 펼침시 장력이 가해지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이송대차부와 상기 전방측 수평지지프레임의 사이에는 상호 이격된 장력유지간격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접이식 어닝 장치.
  3. 삭제
  4. 전후방향 및 폭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높이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수직지지프레임의 상부에 폭방향으로 가로지르며 배치되며 전후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되는 한쌍의 수평지지프레임;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각 상기 수평지지프레임에 양단부가 연결되며 상호간 폭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중공형으로 구비되되 하부에 레일홈이 함몰 형성되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어닝프레임;
    상기 어닝프레임에 배치되는 이송벨트부와, 상기 이송벨트부에 동력 연결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구동수단;
    상기 구동부의 역방향 구동시 아래로 오목하게 다단 접힘되어 후방측 수평지지프레임에 배치되되, 정방향 구동시 펼침되어 전방측 수평지지프레임측으로 확장되는 방수어닝; 및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부가 상기 이송벨트부에 연결되되 상기 레일홈에 삽입되고, 하부가 상기 어닝프레임의 하측으로 노출 배치되되 상기 방수어닝이 연결되며, 상기 구동부의 정방향 구동시 상기 어닝프레임의 전방으로 이송되되 장력 부하발생시 상호간의 간격이 균등유지간격으로 배치되는 이송대차부를 포함하되,
    상기 어닝프레임의 하부에는 상기 레일홈과 폭방향으로 이격된 양측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전후방향을 따라 제1끼움홈이 상향 함몰 형성되며,
    상기 제1끼움홈에 슬라이드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삽입부와, 상기 제1삽입부로부터 일체로 다중 굴곡지게 하향 연장되며 하단부가 상기 방수어닝의 상면에 선택적으로 방수 밀착되는 탄성 재질의 방수연장부를 포함하는 제1탄성실링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접이식 어닝 장치.
  5. 전후방향 및 폭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높이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수직지지프레임의 상부에 폭방향으로 가로지르며 배치되며 전후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되는 한쌍의 수평지지프레임;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각 상기 수평지지프레임에 양단부가 연결되며 상호간 폭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중공형으로 구비되되 하부에 레일홈이 함몰 형성되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어닝프레임;
    상기 어닝프레임에 배치되는 이송벨트부와, 상기 이송벨트부에 동력 연결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구동수단;
    상기 구동부의 역방향 구동시 아래로 오목하게 다단 접힘되어 후방측 수평지지프레임에 배치되되, 정방향 구동시 펼침되어 전방측 수평지지프레임측으로 확장되는 방수어닝; 및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부가 상기 이송벨트부에 연결되되 상기 레일홈에 삽입되고, 하부가 상기 어닝프레임의 하측으로 노출 배치되되 상기 방수어닝이 연결되며, 상기 구동부의 정방향 구동시 상기 어닝프레임의 전방으로 이송되되 장력 부하발생시 상호간의 간격이 균등유지간격으로 배치되는 이송대차부를 포함하되,
    상기 어닝프레임은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되,
    상기 전방측 수평지지프레임의 후측부에 폭방향으로 연장되며 배치되되 전방측 이송대차부의 하부에 대향 배치되며 후측 상단 테두리부에 제2끼움홈이 하향 함몰 형성되는 배수안내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배수안내부의 하부에는 상기 배수안내부의 바닥면과 연통되되 중공형으로 구비된 상기 수직지지프레임의 상부와 연통되는 배수연결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끼움홈에 슬라이드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2삽입부와, 상기 제2삽입부로부터 일체로 다중 굴곡지게 상향 연장되며 상단부가 상기 전방측 이송대차부의 하부에 밀착되는 탄성 재질의 제1탄성연장부를 포함하는 제2탄성실링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접이식 어닝 장치.
KR1020200027698A 2020-03-05 2020-03-05 다단 접이식 어닝 장치 KR102117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698A KR102117927B1 (ko) 2020-03-05 2020-03-05 다단 접이식 어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698A KR102117927B1 (ko) 2020-03-05 2020-03-05 다단 접이식 어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7927B1 true KR102117927B1 (ko) 2020-06-02

Family

ID=71090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7698A KR102117927B1 (ko) 2020-03-05 2020-03-05 다단 접이식 어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792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8418B1 (ko) * 2020-09-24 2021-03-16 주식회사 올찬 스카이 어닝
KR20220038863A (ko) 2020-09-21 2022-03-29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풍속에 반응하는 접이식 어닝장치
DE102020213050A1 (de) 2020-10-15 2022-04-21 Markilux GmbH + Co. KG Markise, insbesondere Wintergarten- oder Wetterschutzmarkise
KR20220148015A (ko) 2021-04-28 2022-11-04 서예성 아암 승강식 어닝
KR20230000711A (ko) 2021-06-25 2023-01-03 김옥기 빗물 차단 기능을 강화한 어닝 장치
KR102591677B1 (ko) * 2023-03-20 2023-10-19 안요한 루버 어닝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39686U (ko) * 1985-02-18 1986-08-29
JP2001090244A (ja) * 1999-09-27 2001-04-03 Nippon Eisei Center:Kk 開閉式屋根構造
JP2010519432A (ja) * 2007-02-20 2010-06-03 カトラー、ダニエル 格納式オーニング
EP2284330B1 (en) * 2009-08-10 2014-01-01 Gibus S.p.A. Folding awning
KR101358606B1 (ko) 2013-08-05 2014-02-04 유재춘 접이식 차양막 어닝을 이용한 파고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39686U (ko) * 1985-02-18 1986-08-29
JP2001090244A (ja) * 1999-09-27 2001-04-03 Nippon Eisei Center:Kk 開閉式屋根構造
JP2010519432A (ja) * 2007-02-20 2010-06-03 カトラー、ダニエル 格納式オーニング
EP2284330B1 (en) * 2009-08-10 2014-01-01 Gibus S.p.A. Folding awning
KR101358606B1 (ko) 2013-08-05 2014-02-04 유재춘 접이식 차양막 어닝을 이용한 파고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8863A (ko) 2020-09-21 2022-03-29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풍속에 반응하는 접이식 어닝장치
KR102228418B1 (ko) * 2020-09-24 2021-03-16 주식회사 올찬 스카이 어닝
DE102020213050A1 (de) 2020-10-15 2022-04-21 Markilux GmbH + Co. KG Markise, insbesondere Wintergarten- oder Wetterschutzmarkise
KR20220148015A (ko) 2021-04-28 2022-11-04 서예성 아암 승강식 어닝
KR102612970B1 (ko) * 2021-04-28 2023-12-12 서예성 아암 승강식 어닝
KR20230000711A (ko) 2021-06-25 2023-01-03 김옥기 빗물 차단 기능을 강화한 어닝 장치
KR102591677B1 (ko) * 2023-03-20 2023-10-19 안요한 루버 어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7927B1 (ko) 다단 접이식 어닝 장치
ES2810449T3 (es) Cubierta de pérgola
KR102012748B1 (ko) 아치형 개폐식 지붕장치
US20150013238A1 (en) Covering device having sliding cover elements
CN112056127B (zh) 一种温室边柱组件、温室及温室保温方法
US20070017646A1 (en) Structure with rolling roof top cover
CA2120650A1 (en) Roof panel with solar batteries and roof structure with solar batteries
CN104818807B (zh) 一种无缝天幕遮阳篷
KR101831493B1 (ko) 버티칼 어닝장치
JP2010065513A (ja) オーニング装置
KR101950194B1 (ko) 터널용 시각순응장치
KR101531675B1 (ko) 접이식 차양
KR20120109704A (ko) 권회식 어닝장치
KR20150068749A (ko) 어닝을 이용한 전통시장용 아케이드
CN107366358B (zh) 沉降防风建筑
EP2011932A1 (en) Unity for conveying rainwater in awnings, pergolas and the like
KR101865482B1 (ko) 신축식 어닝
KR20150118315A (ko) 개량된 차광구조를 갖는 정자
KR20050000805A (ko) 사면설치 가능한 차양시스템
KR101440087B1 (ko) 전통시장용 아케이드
CN106285334A (zh) 一种自动关闭的防风推拉窗
KR102591677B1 (ko) 루버 어닝 장치
CN210564280U (zh) 一种新型简易安装窗帘
CN203924761U (zh) 全挡雨公交站亭
KR200325685Y1 (ko) 사면설치 가능한 차양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