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8895B1 - 기둥과 마루틀 결합부의 부식방지 결합구조를 갖는 정자 - Google Patents

기둥과 마루틀 결합부의 부식방지 결합구조를 갖는 정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8895B1
KR101178895B1 KR1020120041514A KR20120041514A KR101178895B1 KR 101178895 B1 KR101178895 B1 KR 101178895B1 KR 1020120041514 A KR1020120041514 A KR 1020120041514A KR 20120041514 A KR20120041514 A KR 20120041514A KR 101178895 B1 KR101178895 B1 KR 101178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
floor
sperm
insertion groove
corro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1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드조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드조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드조경
Priority to KR1020120041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88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8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8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둥과 마루틀 결합부의 부식방지 결합구조를 갖는 정자에 관한 것으로 목재로 제작되는 정자의 기둥와 마루틀의 결합부 내부에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여 목재의 부식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테두리부에 다수의 기둥이 설치되고, 다수의 기둥 내측으로 다각형의 마루틀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정자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기둥 각각의 내측에 다각형으로 된 마루틀의 모서리부가 결합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 결합되는 마루틀 각각의 모서리부에 삽입홈의 내부표면과 대응되게 기밀유지캡을 밀착 형성하여 마루틀을 기둥의 삽입홈에 결합 구성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기둥과 마루틀 결합부의 부식방지 결합구조를 갖는 정자{Pavilion with connection structure for rust proofing}
본 발명은 기둥과 마루틀 결합부의 부식방지 결합구조를 갖는 정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목재로 제작되는 정자의 기둥와 마루틀의 결합부 내부에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여 목재의 부식을 방지하도록 하는 기둥과 마루틀 결합부의 부식방지 결합구조를 갖는 정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자는 경관이 수려하고 사방이 터진 곳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예로부터 선조들이 자연 속에서 풍류를 즐기며 정신수양의 장소로 활용되었던 건축물이다. 최근에는 정자를 공원이나 주택 등에 조망을 향상시키거나 시민들이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인 휴게시설물로 설치하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정자는 기둥, 마루틀, 지붕이 상호 결합구조로 상호간에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그 설치되는 형태에 따라 4각, 6각, 8각, 12각 등의 다각형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정자의 종래 기둥과 마루틀의 결합구조를 살펴 보면 도 1에서와 같이 각형으로 배치되는 기둥의 내측에 삽입홈을 형성하고 그 삽입홈에 마루틀에 끼워 고정하는 방식으로 설치하게 된다.
상기한 구조로 결합되면 그 결합은 용이하나 주로 목재로 제작되어 외부에 설치되는 특성상 비가 오게 되면 그 빗물, 습기 등이 기둥과 마루틀의 결합부에 스며들게 되어 부식을 초래하게 되므로 정자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빗물 뿐만 아니라 기타 외부 유입물이 스며들어 부식을 일으키는 문제점 또한 안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목재로 제작되는 정자의 기둥와 마루틀의 결합부 내부에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여 목재의 부식을 방지하도록 하는 기둥과 마루틀 결합부의 부식방지 결합구조를 갖는 정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테두리부에 다수의 기둥이 설치되고, 다수의 기둥 내측으로 다각형의 마루틀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정자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기둥 각각의 내측에 다각형으로 된 마루틀의 모서리부가 결합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 결합되는 마루틀 각각의 모서리부에 삽입홈의 내부표면과 대응되게 기밀유지캡을 밀착 형성하여 마루틀을 기둥의 삽입홈에 결합 구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마루틀 결합부의 부식방지 결합구조를 갖는 정자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기둥과 마루틀 결합부의 부식방지 결합구조를 갖는 정자는 기둥과 마루틀의 결합부에 기밀유지캡을 구비함으로써 비를 포함한 외부의 수분이 기둥과 마루틀의 결합부 내측으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부식을 방지할 수 있어 정자의 수명을 오래 유지토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발명의 정자기둥과 마루틀 결합구조를 알 수 있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기둥과 마루틀 결합부의 부식방지 결합구조를 갖는 정자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기둥과 마루틀의 결합구조를 알 수 있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마루틀에 기밀유지캡이 결합되어 기둥에 결합되는 구조를 알 수 있는 사시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들의 측단면도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8을 함께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한 기둥과 마루틀 결합부의 부식방지 결합구조를 갖는 정자는 기둥(10)과 마루틀(20)의 결합부에 기밀유지캡(30)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정자는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통상 다각형 구조로 구성되며, 특히 4각, 6각, 8각, 12각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다각형 구조의 정자 테두리부에는 정자를 구성하기 위한 다수의 기둥(10)이 설치된다.
상기 기둥(10)은 원형을 비롯한 다각형 형태로 이루어지나, 본 발명에서는 원형으로 제작되는 기둥(10)을 실시예로서 설명한다.
상기 기둥(10)이 정자의 테두리부에 배열되어 고정설치되면, 기둥(10)의 내측으로 마루틀(20)이 결합된다. 마루틀(20)은 미리 설치된 기둥(10)의 개수에 맞게 다각형으로 제작되며, 주로 4각, 6각, 8각, 12각 등으로 정자가 구성되므로 이에 상응되는 다각 형태로 형성되나, 본 발명에서는 팔각형으로 제작되는 마루틀(20)을 실시예로서 설명한다.
상기 마루틀(20)을 기둥(10)에 결합하기 위해서 도 4에서와 같이 설치되는 기둥(10)의 내측에 각각 삽입홈(12)을 형성한다. 삽입홈(12)은 마루틀(20)의 모서리부가 결합되어 마루틀(20)의 하부측이 안착되면서 마루틀(20)의 모서리부 전체가 삽입홈(12)에 의해 감싸지도록 형성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마루틀(20)을 다각형 형태로 다수 설치된 기둥(10)의 내측으로 결합한다. 이때 기둥(10)과 마루틀(20)은 통상 목재로 제작되고, 실외에 설치되므로 비가 오게 되면 빗물이 기둥(10)과 마루틀(20)의 결합부 내측으로 쉽게 스며들게 된다. 빗물 뿐만 아니라 사용자나 기타 외부에서 인위적인 이물질이 유입될 수 도 있다. 이로 인해 상기 결합부 내측에 수분이 쉽게 유입되며, 이는 결합부 내부의 부식을 초래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기둥(10)의 삽입홈(12)과, 그 삽입홈(12)에 결합되는 마루틀(20)의 모서리부 사이에 기밀유지캡(30)을 구비한다.
그 일예로서 상기 기밀유지캡(30)은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마루틀(20) 각각의 모서리부에 밀착 형성되며, 삽입홈(12)의 내부표면과 대응되게 형성하여 마루틀(20)의 모서리부에 밀착된 기밀유지캡(30)이 기둥(10)의 삽입홈(12)에 밀착되어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여 그 사이에서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기밀유지캡(30)은 부식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부식방지 가능하면서도 제작이 용이하도록 스테인레스 스틸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구성과 밀착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3~5㎜의 두께로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두께가 3㎜ 이하이면 얇은 두께로 인하여 상호간에 밀착성을 유지하기 힘들 뿐만 아니라 기밀유지캡(30)의 자체의 내구성이 떨어지게 되고, 그 두께가 5㎜ 이상이면 제작성 및 작업성이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한 기밀유지캡(30)의 밀착성 및 기밀성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기둥(20)의 형성된 삽입홈(12)의 내부표면에도 기밀유지캡(30)을 더 구비할 수도 있고, 도 8에서와 같이 마루틀(20)의 모서리부에는 구비하지 않고 상기 삽입홈(12)의 내부표면에만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기밀유지캡(30)이 마루틀(20)의 모서리부 표면에 밀착되면 결합시 그 두께로 인하여 외관이 깔끔하지 못할 우려가 발생된다. 이를 위해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기둥(10)의 삽입홈(12) 내부표면에 대응되는 마루틀(20)의 모서리부에 내향 단턱부(22)를 형성하고, 상기 내향 단턱부(22)에 기밀유지캡(30)을 밀착 형성하되, 마루틀(20)의 모서리부 표면과 기밀유지캡(30)의 상,하 표면이 수평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기밀유지캡(30)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6에서와 같이 테두리부 전체에 외향 절곡부(35)를 형성하여 기밀유지캡(30)이 밀착된 마루틀(20)의 모서리부가 기둥(10)의 삽입홈(12)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향 절곡부(35)가 기둥(10)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미도시되었으나 상기한 구조의 기밀유지캡(30)을 기둥(10)의 삽입홈(12)과 마루틀(20)의 모서리부에 결합한 후 그 외측을 몰딩처리하면 기밀성을 더 높일 수 있다.
10 : 기둥 12 : 삽입홈
20 : 마루틀 22 : 단턱부
30 : 기밀유지캡

Claims (5)

  1. 테두리부에 다수의 기둥(10)이 설치되고, 다수의 기둥(10) 내측으로 다각형의 마루틀(20)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정자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기둥(10) 각각의 내측에 다각형으로 된 마루틀(20)의 모서리부가 결합되는 삽입홈(12)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2)에 결합되는 마루틀(20) 각각의 모서리부에 삽입홈(12)의 내부표면과 대응되게 기밀유지캡(30)을 밀착 형성하여 마루틀(20)을 기둥(10)의 삽입홈(12)에 결합 구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마루틀 결합부의 부식방지 결합구조를 갖는 정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10)의 삽입홈(12) 내부표면에 대응되는 마루틀(20)의 모서리부에 내향 단턱부(22)를 형성하고, 상기 내향 단턱부(22)에 기밀유지캡(30)을 밀착 형성하되, 마루틀(20)의 모서리부 표면과 기밀유지캡(30)의 표면이 수평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마루틀 결합부의 부식방지 결합구조를 갖는 정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유지캡(30)은 기둥(10)에 형성된 삽입홈(12)의 내부표면에 밀착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마루틀 결합부의 부식방지 결합구조를 갖는 정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유지캡(30)은 부식방지가 가능하도록 스테인레스 스틸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하되, 내구성, 밀착성, 제작성으로 고려하여 3~5㎜로 형성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마루틀 결합부의 부식방지 결합구조를 갖는 정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유지캡(30)은 테두리부 전체에 외향 절곡부(35)를 형성하여 기밀유지캡(30)이 밀착된 마루틀(20)의 모서리부가 기둥(10)의 삽입홈(12)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향 절곡부(35)가 기둥(10)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마루틀 결합부의 부식방지 결합구조를 갖는 정자.
KR1020120041514A 2012-04-20 2012-04-20 기둥과 마루틀 결합부의 부식방지 결합구조를 갖는 정자 KR101178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1514A KR101178895B1 (ko) 2012-04-20 2012-04-20 기둥과 마루틀 결합부의 부식방지 결합구조를 갖는 정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1514A KR101178895B1 (ko) 2012-04-20 2012-04-20 기둥과 마루틀 결합부의 부식방지 결합구조를 갖는 정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8895B1 true KR101178895B1 (ko) 2012-09-03

Family

ID=47073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1514A KR101178895B1 (ko) 2012-04-20 2012-04-20 기둥과 마루틀 결합부의 부식방지 결합구조를 갖는 정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88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95267A (zh) * 2013-04-08 2013-07-10 张明华 轻型不锈钢凉亭及其生产方法
KR101691190B1 (ko) * 2016-05-11 2016-12-29 박종규 조립식 정자의 마루판 조립 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4443A (ja) 1998-08-26 2000-02-29 Fuji House Kk 木造建物における柱と床材間の気密装置
JP2002256622A (ja) 2001-03-02 2002-09-11 Shimizu Corp 木造建物における仕口部の構造
KR101014591B1 (ko) 2010-08-04 2011-02-16 고미혜 휘어진 원목으로 형성한 기둥과 들보로 축조하는 이동식 목조건축물 및 축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4443A (ja) 1998-08-26 2000-02-29 Fuji House Kk 木造建物における柱と床材間の気密装置
JP2002256622A (ja) 2001-03-02 2002-09-11 Shimizu Corp 木造建物における仕口部の構造
KR101014591B1 (ko) 2010-08-04 2011-02-16 고미혜 휘어진 원목으로 형성한 기둥과 들보로 축조하는 이동식 목조건축물 및 축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95267A (zh) * 2013-04-08 2013-07-10 张明华 轻型不锈钢凉亭及其生产方法
KR101691190B1 (ko) * 2016-05-11 2016-12-29 박종규 조립식 정자의 마루판 조립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8592B2 (en) Methods of underwater seaming
KR100847690B1 (ko) 기둥구조
CN104372914B (zh) 磁吸式地板组件
KR101067629B1 (ko) 파고라의 기둥구조
KR101178895B1 (ko) 기둥과 마루틀 결합부의 부식방지 결합구조를 갖는 정자
KR200414028Y1 (ko) 파고라의 기둥구조
US9322177B2 (en) Skylight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20140150367A1 (en) Construction set for covering substrate, in particular floor substrate
JP2008127920A (ja) 基礎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31738B1 (ko) 건축마감패널용 마감구
EP2740850B1 (en) Gutter drain
KR101144052B1 (ko) 재래시장 아케이트의 지붕시트 고정프레임
KR101613506B1 (ko) 누수방지 및 방음효과가 뛰어난 패널과 가스켓의 조립체
KR200196472Y1 (ko) 건축용 패널의 조립구조
KR101588370B1 (ko) 방부가 가능한 조립용 목재 데크
JP2009257082A5 (ko)
JP2005207193A (ja) 石組み構造体
JP5429549B2 (ja) 曲面壁構造
KR101527524B1 (ko) 블록을 이용한 데크 부재, 데크 부재를 제조하는 방법, 데크 및 데크를 시공하는 방법
CN105735830B (zh) 一种整体式人造石窗套及其与墙板的快速安装方法
JP3140775U (ja) 墓の芝台構造
JP5906526B1 (ja) ログハウス
CN204299118U (zh) 不锈钢装饰边pvc槽
KR102100755B1 (ko) 건축용 조립식 외장패널
KR200201289Y1 (ko) 건축용 바닥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