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7524B1 - 블록을 이용한 데크 부재, 데크 부재를 제조하는 방법, 데크 및 데크를 시공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을 이용한 데크 부재, 데크 부재를 제조하는 방법, 데크 및 데크를 시공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7524B1
KR101527524B1 KR1020140075166A KR20140075166A KR101527524B1 KR 101527524 B1 KR101527524 B1 KR 101527524B1 KR 1020140075166 A KR1020140075166 A KR 1020140075166A KR 20140075166 A KR20140075166 A KR 20140075166A KR 101527524 B1 KR101527524 B1 KR 101527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block
groove
deck
base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5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대현
Original Assignee
배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대현 filed Critical 배대현
Priority to KR1020140075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75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7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7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2Flooring consisting of parquetry tiles on a non-rollable sub-layer of other material, e.g. board, concrete, cork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4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wood or with a top layer of wood, e.g. with wooden or metal connecting members
    • E04F15/041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wood or with a top layer of wood, e.g. with wooden or metal connecting members with a top layer of wood in combination with a lower layer of other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을 이용한 데크 부재, 데크 부재를 제조하는 방법, 데크 및 데크를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 부재는, 상면의 제 1 측으로부터 상기 제 1 측과 마주보는 제 2 측에 이르는 홈을 구비하고, 상기 홈에 인접하여 상기 상면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측면 일부가 내측으로 인입되어 투수공을 형성하는 기저 블록; 및 상기 홈에 삽입되어 상기 기저 블록에 결합되는 목재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록을 이용한 데크 부재, 데크 부재를 제조하는 방법, 데크 및 데크를 시공하는 방법{DECK MEMBER USING BLOCK,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DECK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본 발명은 블록을 이용한 데크 부재, 데크 부재를 제조하는 방법, 데크 및 데크를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내외의 바닥에 목재 플레이트를 이어 붙여 조성된 데크는 건물 인테리어나 실외 조경에 있어서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다. 목재로 만들어지는 데크는 콘크리트나 석재 바닥에 비해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보다 친환경적인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데크는 시공이 복잡하여 공사 비용이 높고 공사 기간이 길다는 단점을 갖는다. 종래의 데크 시공은 하부 기초작업을 위해 먼저 수평을 잡고, 철골 구조물로 종과 횡을 연결하는 장선 및 멍에 작업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장선 및 멍에 작업은 데크 시공에 있어서 공사비와 공사기간을 증가시키는 주된 원인이 된다.
또한, 데크는 목재의 특성상 계절에 따라 수축 변형이 심하고, 보행 등으로 인해 장시간 하중이 가해지면 갈라짐과 부러짐이 발생할 수 있다. 그 결과, 데크에 하자가 발생하면 목재 바닥 아래의 공간으로 발이 빠지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한 경관 역시 흉물스럽고 지저분하다는 단점이 있다.
나아가, 목재 플레이트로 구성된 데크의 특성상 단조로운 패턴이 반복되고, 미적인 목적을 위해 패턴을 구현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데크 시공을 단순화시켜 공사비용 및 기간을 줄일 수 있는 데크 부재, 데크 부재 제조 방법, 데크 및 데크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데크의 하자 발생 및 그로 인한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는 데크 부재, 데크 부재 제조 방법, 데크 및 데크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종래에 비해 바닥 패턴을 다양하게 연출 가능한 데크 부재, 데크 부재 제조 방법, 데크 및 데크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 부재는, 상면의 제 1 측으로부터 상기 제 1 측과 마주보는 제 2 측에 이르는 홈을 구비하고, 상기 홈에 인접하여 상기 상면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기저 블록; 및 상기 홈에 삽입되어 상기 기저 블록에 결합되는 목재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기저 블록의 몸체는 콘크리트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안료가 포함되어 기 결정된 색상을 갖는 인조 석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상면의 제 1 측과 수직한 제 3 측 및 제 4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저 블록은 측면 일부가 내측으로 인입되어 투수공을 형성하고, 상기 투수공은 상기 기저 블록의 제 1 측면의 일부 및 상기 제 1 측면과 마주보는 제 2 측면의 일부가 인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크 부재는, 상면의 제 1 측으로부터 상기 제 1 측과 마주보는 제 2 측에 이르는 홈을 구비하고, 상기 홈에 인접하여 상기 상면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기저 블록; 및 상기 홈에 삽입되어 상기 기저 블록에 결합되는 목재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상면의 제 1 측과 수직한 제 3 측 및 제 4 측 사이에서 상기 제 3 측 및 상기 제 4 측에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은 상기 돌출부를 사이에 두고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저 블록은 측면 일부가 내측으로 인입되어 투수공을 형성하고, 상기 투수공은 상기 기저 블록의 제 1 측면과 수직한 제 3 측면의 일부 및 제 4 측면의 일부가 인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저 블록은 상면에서 하면으로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내측 투수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저 블록은 상기 상면 중 상기 홈에 해당하는 부분 상에 요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저 블록의 몸체는 콘크리트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안료가 포함되어 기 결정된 색상을 갖는 인조 석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목재 플레이트는 상기 기저 블록에 피스를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 부재 제조 방법은, 상면의 제 1 측으로부터 상기 제 1 측과 마주보는 제 2 측에 이르는 홈을 구비하고, 상기 홈에 인접하여 상기 상면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기저 블록을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홈에 목재 플레이트를 삽입하여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저 블록의 몸체는 콘크리트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안료가 포함되어 기 결정된 색상을 갖는 인조 석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상면의 제 1 측과 수직한 제 3 측 및 제 4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저 블록은 측면 일부가 내측으로 인입되어 투수공을 형성하고, 상기 투수공은 상기 기저 블록의 제 1 측면의 일부 및 상기 제 1 측면과 마주보는 제 2 측면의 일부가 인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크 부재 제조 방법은, 상면의 제 1 측으로부터 상기 제 1 측과 마주보는 제 2 측에 이르는 홈을 구비하고, 상기 홈에 인접하여 상기 상면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기저 블록을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홈에 목재 플레이트를 삽입하여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상면의 제 1 측과 수직한 제 3 측 및 제 4 측 사이에서 상기 제 3 측 및 상기 제 4 측에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은 상기 돌출부를 사이에 두고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저 블록은 측면 일부가 내측으로 인입되어 투수공을 형성하고, 상기 투수공은 상기 기저 블록의 제 1 측면과 수직한 제 3 측면의 일부 및 제 4 측면의 일부가 인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저 블록은 상면에서 하면으로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내측 투수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저 블록은 상기 상면 중 상기 홈에 해당하는 부분 상에 요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저 블록의 몸체는 콘크리트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안료가 포함되어 기 결정된 색상을 갖는 인조 석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홈에 목재 플레이트를 삽입하여 결합시키는 단계는: 상기 홈에 상기 목재 플레이트를 삽입하는 단계; 및 피스를 이용하여 상기 목재 플레이트를 상기 기저 블록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는, 기층 상에 형성되어 평탄한 면을 제공하는 중간층; 및 상기 중간층 상에 배열되는 데크 부재들을 포함하며, 데크 부재는: 상면의 제 1 측으로부터 상기 제 1 측과 마주보는 제 2 측에 이르는 홈을 구비하고, 상기 홈에 인접하여 상기 상면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기저 블록; 및 상기 홈에 삽입되어 상기 기저 블록에 결합되는 목재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기저 블록의 몸체는 콘크리트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안료가 포함되어 기 결정된 색상을 갖는 인조 석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중간층은 모래 또는 시멘트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데크 부재들 중 일부는 상기 기저 블록의 높이가 나머지 데크 부재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데크에 있어서, 상기 기저 블록의 높이가 상이한 다수의 데크 부재들은 서로 인접하게 배열되어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 시공 방법은, 평탄한 면을 제공하도록 기층 상에 중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중간층 상에 데크 부재들을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데크 부재는: 상면의 제 1 측으로부터 상기 제 1 측과 마주보는 제 2 측에 이르는 홈을 구비하고, 상기 홈에 인접하여 상기 상면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기저 블록; 및 상기 홈에 삽입되어 상기 기저 블록에 결합되는 목재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기저 블록의 몸체는 콘크리트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안료가 포함되어 기 결정된 색상을 갖는 인조 석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중간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층을 모래로 덮는 단계; 또는 상기 기층 상에 시멘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크 부재들 중 일부는 상기 기저 블록의 높이가 나머지 데크 부재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데크 부재들을 배열하는 단계는: 상기 기저 블록의 높이가 상이한 다수의 데크 부재들을 서로 인접하게 배열하여 단차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데크 시공, 특히 하부 기초작업이 단순화되어 공사비용 및 기간이 단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데크의 하자 발생 및 그로 인한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바닥 패턴 연출이 가능하여 데크의 심미감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 부재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 부재를 A-A'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크 부재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크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접한 데크 부재들을 조립하기 위한 구조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인접한 데크 부재들을 조립하기 위한 구조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 부재 제조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크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 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 부재(10)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 부재(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크 부재(10)는 기저 블록(110) 및 목재 플레이트(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저 블록(110)은 상면에 홈이 형성되며, 상기 홈에 상기 목재 플레이트(120)가 수용되어 상기 데크 부재(10)가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기저 블록(110)은 상면의 제 1 측으로부터 상기 제 1 측과 마주보는 제 2 측에 이르는 홈(111)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홈(111)에 인접하여 상기 기저 블록(110)의 상면에는 돌출부(112a, 112b)가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기저 블록(110)의 상면에 형성된 돌출부(112a, 112b)에 의해 상기 홈(111)의 형상 및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112a, 112b)는 상기 기저 블록(110)의 상면에서 제 1 측과 수직한 제 3 측 및 제 4 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돌출부(112a, 112b) 사이에서 상기 기저 블록(110)의 제 1 측부터 제 2 측에 이르기까지 상기 홈(11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저 블록(110)은 측면의 일부가 내측으로 인입되어 형성된 투수공(113a, 113b)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수공(113a, 113b)은 상기 기저 블록(110)의 제 1 측면의 일부 및 제 2 측면의 일부가 안쪽으로 인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 상기 투수공(113a, 113b)의 평면 형상은 사다리꼴로 도시되었으나, 상기 투수공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저 블록(110)은 내측 투수공(114)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내측 투수공(114)은 상기 기저 블록(110)의 상면에서 하면으로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 상기 내측 투수공(114)의 평면 형상은 사각형이고 그 개수는 2 개이나, 상기 내측 투수공의 형상 및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저 블록(110)은 상면 중 상기 홈(111)에 해당하는 부분 상에 요철부(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요철부(115)는 상기 기저 블록(110)의 상면 중 상기 돌출부(112a, 112b)에 해당하는 부분을 제외한, 상기 홈(111)에 해당하는 부분 상에 형성된다. 즉, 상기 요철부(115)는 상기 기저 블록(110)의 상면 중에서 상기 목재 플레이트(120)가 수용되는 부분에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 부재(10)를 A-A'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의 데크 부재(10)를 A-A'에서 바라보면, 상기 기저 블록(110)의 상면에서 상기 홈(111)에 해당하는 부분 상에 상기 요철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요철부(115)는 상기 기저 블록(110)의 제 1 측으로부터 제 2 측에 이르기까지 상기 홈(111)에 해당하는 부분 상에 장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상기 요철부(115)의 단면 형상은 반원 형상이나, 상기 요철부의 단면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삼각형, 사각형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데크 부재(10)는 상기 기저 블록(110)의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 투수공(113a, 113b) 및 내측 투수공(114) 뿐만 아니라, 상기 목재 플레이트(120)의 길이 방향으로도 빈 공간을 구비하여, 배수와 통풍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저 블록(110)의 몸체는 콘크리트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112a, 112b)는 안료가 포함되어 기 결정된 색상을 갖는 인조 석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돌출부(112a, 112b)는 규사와 안료를 이용하여 원하는 색상을 갖는 인조 화강석재로 만들어질 수 있으나, 상기 돌출부의 재료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실시예에 따라 상기 기저 블록(110)의 몸체와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돌출부(112a, 112b)가 소정의 색상을 갖는 인조 석재로 만들어지는 경우, 목재 플레이트(120)와 함께 다양한 디자인의 데크 표면을 구현할 수 있어 데크의 심미감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목재 플레이트(120)는 상기 기저 블록(110)에 형성된 상기 홈(111)에 삽입되어 상기 기저 블록(110)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목재 플레이트(120)는 상기 기저 블록(110)에 피스(121)를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으나, 고정에 사용되는 도구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못, 나사못 등 다양한 수단을 이용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목재 플레이트(120)는 상기 기저 블록(110)에 고정되지 않고 단순히 상기 홈(111)에 수용되기만 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크 부재(20)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크 부재(20)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크 부재(20)는 전술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데크 부재(10)와 같이 기저 블록 및 목재 플레이트로 구성되나, 그 형상 및 위치가 상이하다.
먼저, 상기 데크 부재(20)의 돌출부(212)는 기저 블록(210)의 상면에서 제 1 측과 수직한 제 3 측 및 제 4 측 사이에서 상기 제 3 측 및 제 4 측에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212)는 상기 기저 블록(210)의 상면 중앙을 지나도록 제 1 측으로부터 제 2 측까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데크 부재(20)에서 목재 플레이트(221, 222)가 삽입되는 홈(211a, 211b)은 상기 돌출부(212)를 사이에 두고 제 3 측 및 제 4 측에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저 블록(210)은 제 3 측면의 일부 및 제 4 측면의 일부가 내측으로 인입되어 형성된 투수공(213a, 213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저 블록(210)의 코너는 직각을 이루는 목재 플레이트(221, 222)의 코너와 달리 둔각을 갖는 둘 이상의 코너로 구성되어 상기 기저 블록(210)의 높이 방향으로 투수공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기저 블록(210)의 상면 중 상기 홈(211a, 211b)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요철부(2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철부(215)는 제 3 측 및 제 4 측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데크 부재(20)의 배수 및 통풍을 원활하게 만들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접한 데크 부재들을 조립하기 위한 구조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접한 데크 부재들은 목재 플레이트(120)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목재 플레이트(120)는 측면에 연결 핀(123)의 일부가 삽입되는 핀 홈(122)이 형성될 수 있으며, 두 개의 인접한 목재 플레이트들(120)이 상기 연결 핀(123)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는 상기 핀 홈(122)이 목재 플레이트(120)의 제 1 및 제 2 측면에 형성되었으나, 전술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데크 부재(20)의 경우에는 제 1 및 제 2 측면 외에 제 3 및 제 4 측면에도 핀 홈(122)이 형성되거나, 제 3 및 제 4 측면에만 핀 홈(122)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인접한 데크 부재들을 조립하기 위한 구조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목재 플레이트들(120)의 결합을 위해 별도의 연결 핀(123)을 이용하는 도 6의 실시예와 달리,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는 상기 목재 플레이트(120)의 일 측면에 오목부(124a)가 형성되고, 타 측면에 볼록부(124b)가 형성되어 이 둘의 결합에 의해 상기 목재 플레이트들(120)이 조립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오목부(124a) 및 상기 볼록부(124b)는 각각 목재 플레이트(120)의 제 1 및 제 2 측면 외에 제 3 및 제 4 측면에도 형성될 수 있으며, 제 3 측면 및 제 4 측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 부재 제조 방법(30)의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크 부재 제조 방법(30)은 기저 블록을 마련하는 단계(S310), 및 상기 기저 블록에 구비된 홈에 목재 플레이트를 삽입하여 결합시키는 단계(S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저 블록은 상면의 제 1 측으로부터 제 2 측에 이르는 홈을 구비하고, 상기 홈에 인접하여 상면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측면의 일부가 내측으로 인입되어 투수공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데크 부재 제조 방법(30)에 의해 제조되는 데크 부재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 부재(10, 20)이다.
상기 기저 블록을 마련하는 단계(S310)는 상기 기저 블록의 몸체를 콘크리트로 제작하고, 상기 돌출부를 안료가 포함되어 기 결정된 색상을 갖는 인조 석재로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기저 블록은 콘크리트 및 인조 석재를 압축 성형하고, 소정의 온도(예컨대, 20 내지 40 ℃)에서 소정의 시간(예컨대, 3 내지 7 일) 동안 양생을 통해 성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목재 플레이트는 천연목, 방부목, 합성목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나, 상기 목재 플레이트의 재질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홈에 목재 플레이트를 삽입하여 결합시키는 단계(S320)는, 상기 홈에 상기 목재 플레이트를 삽입하는 단계, 및 피스(121)를 이용하여 상기 목재 플레이트를 상기 기저 블록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목재 플레이트를 결합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도구는 피스 외에 못, 나사못 등 다양한 도구를 이용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40)의 사시도이다.
상기 데크(4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 부재(10, 20)를 이용하여 만들어진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데크(40)는 기층(400) 상에 형성되어 평탄한 면을 제공하는 중간층(410), 및 상기 중간층(410) 상에 배열되는 데크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40)는 종래와 같이 바닥 부분에 장선과 멍에와 같은 철골 구조물을 요구하지 않고, 중간층(410)으로 평탄면을 형성한 뒤 그 위에 데크 부재들을 일렬로 배열함으로써 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간층(410)은 모래 또는 시멘트로 구성될 수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중간층은 지면과 같은 기층(400) 상에 평탄한 면을 만들 수 있는 임의의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데크 부재들 중 일부는 상기 기저 블록의 높이가 나머지 데크 부재의 기저 블록과 상이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크(40)의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크(40)는 기저 블록의 높이가 상이한 데크 부재들(10a, 10b)이 배열되어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경우에 따라 데크(40)에 계단과 같은 단차를 형성하는 경우, 기층(400)이나 중간층(410)의 레벨을 다르게 하는 대신, 평탄한 중간층(410) 상에 기저 블록의 높이가 상이한 데크 부재를 이용하여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은 데크(40)의 시공을 보다 단순하게 만들어 공사비용 및 기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 시공 방법(50)의 흐름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크 시공 방법(50)은 평탄한 면을 제공하도록 기층(400) 상에 중간층(410)을 형성하는 단계(S510), 및 상기 중간층(410) 상에 데크 부재들을 배열하는 단계(S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크 시공 방법(50)에서 사용되는 데크 부재는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 부재(10, 20)와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중간층(410)을 형성하는 단계(S510)는, 상기 기층(400)을 모래로 덮는 단계, 또는 상기 기층(400) 상에 시멘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중간층(410)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데크 부재들 중 일부는 기저 블록의 높이가 나머지 데크 부재의 기저 블록과 상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데크 부재들을 배열하는 단계(S52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저 블록의 높이가 상이한 다수의 데크 부재들을 서로 인접하게 배열하여 단차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 부재는 기저 블록에 구비된 홈에 목재 플레이트가 삽입되는 구조로 제작되고, 기층 상에 마련된 중간층 상에 데크 부재들을 일렬로 배열함으로써 데크 시공이 가능하여, 시공이 간단하고 비용 및 시간이 종래의 데크 시공에 비해 크게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목재 플레이트가 기저 블록에 의해 지지되므로, 목재 플레이트의 파손 시에도 데크가 함몰되어 발이 빠지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내구성과 심미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위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상의 기술자는 전술한 실시예에 다양한 변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해석을 통해서만 정해진다.
10, 20: 데크 부재
110, 210: 기저 블록
111, 211a, 211b: 홈
112a, 112b, 212: 돌출부
113a, 113b, 213a, 213b: 투수공
114: 내측 투수공
115: 요철부
120, 221, 222: 목재 플레이트
121: 피스
122: 핀 홈
123: 연결 핀
124a: 오목부
124b: 볼록부
40: 데크
400: 기층
410: 중간층

Claims (28)

  1. 상면의 제 1 측으로부터 상기 제 1 측과 마주보는 제 2 측에 이르는 홈을 구비하고, 상기 홈에 인접하여 상기 상면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기저 블록; 및
    상기 홈에 삽입되어 상기 기저 블록에 결합되는 목재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기저 블록의 몸체는 콘크리트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안료가 포함되어 기 결정된 색상을 갖는 인조 석재로 만들어지는 데크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상면의 제 1 측과 수직한 제 3 측 및 제 4 측에 형성되는 데크 부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 블록은 측면 일부가 내측으로 인입되어 투수공을 형성하고,
    상기 투수공은 상기 기저 블록의 제 1 측면의 일부 및 상기 제 1 측면과 마주보는 제 2 측면의 일부가 인입되어 형성되는 데크 부재.
  4. 상면의 제 1 측으로부터 상기 제 1 측과 마주보는 제 2 측에 이르는 홈을 구비하고, 상기 홈에 인접하여 상기 상면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기저 블록; 및
    상기 홈에 삽입되어 상기 기저 블록에 결합되는 목재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상면의 제 1 측과 수직한 제 3 측 및 제 4 측 사이에서 상기 제 3 측 및 상기 제 4 측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데크 부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돌출부를 사이에 두고 한 쌍으로 형성되는 데크 부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 블록은 측면 일부가 내측으로 인입되어 투수공을 형성하고,
    상기 투수공은 상기 기저 블록의 제 1 측면과 수직한 제 3 측면의 일부 및 제 4 측면의 일부가 인입되어 형성되는 데크 부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 블록은 상면에서 하면으로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내측 투수공을 더 포함하는 데크 부재.
  8.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 블록은 상기 상면 중 상기 홈에 해당하는 부분 상에 요철부를 더 포함하는 데크 부재.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 블록의 몸체는 콘크리트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안료가 포함되어 기 결정된 색상을 갖는 인조 석재로 만들어지는 데크 부재.
  10.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 플레이트는 상기 기저 블록에 피스를 이용하여 고정되는 데크 부재.
  11. 상면의 제 1 측으로부터 상기 제 1 측과 마주보는 제 2 측에 이르는 홈을 구비하고, 상기 홈에 인접하여 상기 상면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기저 블록을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홈에 목재 플레이트를 삽입하여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저 블록의 몸체는 콘크리트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안료가 포함되어 기 결정된 색상을 갖는 인조 석재로 만들어지는 데크 부재 제조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상면의 제 1 측과 수직한 제 3 측 및 제 4 측에 형성되는 데크 부재 제조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 블록은 측면 일부가 내측으로 인입되어 투수공을 형성하고,
    상기 투수공은 상기 기저 블록의 제 1 측면의 일부 및 상기 제 1 측면과 마주보는 제 2 측면의 일부가 인입되어 형성되는 데크 부재 제조 방법.
  14. 상면의 제 1 측으로부터 상기 제 1 측과 마주보는 제 2 측에 이르는 홈을 구비하고, 상기 홈에 인접하여 상기 상면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기저 블록을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홈에 목재 플레이트를 삽입하여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상면의 제 1 측과 수직한 제 3 측 및 제 4 측 사이에서 상기 제 3 측 및 상기 제 4 측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데크 부재 제조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돌출부를 사이에 두고 한 쌍으로 형성되는 데크 부재 제조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 블록은 측면 일부가 내측으로 인입되어 투수공을 형성하고,
    상기 투수공은 상기 기저 블록의 제 1 측면과 수직한 제 3 측면의 일부 및 제 4 측면의 일부가 인입되어 형성되는 데크 부재 제조 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 블록은 상면에서 하면으로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내측 투수공을 더 포함하는 데크 부재 제조 방법.
  18. 제 11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 블록은 상기 상면 중 상기 홈에 해당하는 부분 상에 요철부를 더 포함하는 데크 부재 제조 방법.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 블록의 몸체는 콘크리트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안료가 포함되어 기 결정된 색상을 갖는 인조 석재로 만들어지는 데크 부재 제조 방법.
  20. 제 11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홈에 목재 플레이트를 삽입하여 결합시키는 단계는:
    상기 홈에 상기 목재 플레이트를 삽입하는 단계; 및
    피스를 이용하여 상기 목재 플레이트를 상기 기저 블록에 고정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크 부재 제조 방법.
  21. 기층 상에 형성되어 평탄한 면을 제공하는 중간층; 및
    상기 중간층 상에 배열되는 데크 부재들을 포함하며, 데크 부재는:
    상면의 제 1 측으로부터 상기 제 1 측과 마주보는 제 2 측에 이르는 홈을 구비하고, 상기 홈에 인접하여 상기 상면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기저 블록; 및
    상기 홈에 삽입되어 상기 기저 블록에 결합되는 목재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기저 블록의 몸체는 콘크리트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안료가 포함되어 기 결정된 색상을 갖는 인조 석재로 만들어지는 데크.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은 모래 또는 시멘트로 구성되는 데크.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 부재들 중 일부는 상기 기저 블록의 높이가 나머지 데크 부재와 상이한 데크.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 블록의 높이가 상이한 다수의 데크 부재들은 서로 인접하게 배열되어 단차를 형성하는 데크.
  25. 평탄한 면을 제공하도록 기층 상에 중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중간층 상에 데크 부재들을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데크 부재는:
    상면의 제 1 측으로부터 상기 제 1 측과 마주보는 제 2 측에 이르는 홈을 구비하고, 상기 홈에 인접하여 상기 상면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기저 블록; 및
    상기 홈에 삽입되어 상기 기저 블록에 결합되는 목재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기저 블록의 몸체는 콘크리트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안료가 포함되어 기 결정된 색상을 갖는 인조 석재로 만들어지는 데크 시공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층을 모래로 덮는 단계; 또는
    상기 기층 상에 시멘트를 타설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크 시공 방법.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 부재들 중 일부는 상기 기저 블록의 높이가 나머지 데크 부재와 상이한 데크 시공 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 부재들을 배열하는 단계는:
    상기 기저 블록의 높이가 상이한 다수의 데크 부재들을 서로 인접하게 배열하여 단차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크 시공 방법.
KR1020140075166A 2014-06-19 2014-06-19 블록을 이용한 데크 부재, 데크 부재를 제조하는 방법, 데크 및 데크를 시공하는 방법 KR101527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166A KR101527524B1 (ko) 2014-06-19 2014-06-19 블록을 이용한 데크 부재, 데크 부재를 제조하는 방법, 데크 및 데크를 시공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166A KR101527524B1 (ko) 2014-06-19 2014-06-19 블록을 이용한 데크 부재, 데크 부재를 제조하는 방법, 데크 및 데크를 시공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7524B1 true KR101527524B1 (ko) 2015-06-10

Family

ID=53505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5166A KR101527524B1 (ko) 2014-06-19 2014-06-19 블록을 이용한 데크 부재, 데크 부재를 제조하는 방법, 데크 및 데크를 시공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75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4193B1 (ko) * 2015-12-31 2018-03-06 정승우 하천 바닥과 일체화되어 설치되는 경관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690A (ja) * 1996-06-25 1998-01-13 Kooeki:Kk 床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445649Y1 (ko) * 2009-02-05 2009-08-20 (주)대현목재방부산업 이중재질을 갖는 건축용 데크 단위판
KR101148137B1 (ko) * 2012-02-23 2012-05-23 이길택 일체형 데크플레이트
KR20120094816A (ko) * 2011-02-17 2012-08-27 김민경 이중 투수블럭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690A (ja) * 1996-06-25 1998-01-13 Kooeki:Kk 床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445649Y1 (ko) * 2009-02-05 2009-08-20 (주)대현목재방부산업 이중재질을 갖는 건축용 데크 단위판
KR20120094816A (ko) * 2011-02-17 2012-08-27 김민경 이중 투수블럭
KR101148137B1 (ko) * 2012-02-23 2012-05-23 이길택 일체형 데크플레이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4193B1 (ko) * 2015-12-31 2018-03-06 정승우 하천 바닥과 일체화되어 설치되는 경관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5374B2 (en) Wall system and method
JP3123559U (ja) 化粧コーナー材
US20160032585A1 (en) Wood brick assembly
US4648226A (en) Glass element, notably glass block or tile
WO2015030255A1 (ja) フリーアクセスフロア
KR101701001B1 (ko) 다목적 친환경 식생블록
KR101527524B1 (ko) 블록을 이용한 데크 부재, 데크 부재를 제조하는 방법, 데크 및 데크를 시공하는 방법
JP2006511745A (ja) 中空ガラスの建築部材を使用した壁構造
CN102003055A (zh) 一种反面带凸条或凸块或凹洞的瓷砖或装饰石材
KR101518020B1 (ko) 건축용 부재
CN210858228U (zh) 一种装配式仿石隔音围墙
CN210482878U (zh) 石材地板连接结构
CN209817345U (zh) 一种用于调节支撑点状龙骨高度的调节杆
JP4558917B2 (ja) 床化粧材用敷設枠
KR101744295B1 (ko) 블록 조립체
JP6931554B2 (ja) 建築用面材
KR200384762Y1 (ko) 조립식 석재가옥
KR200495335Y1 (ko) 우산형 정자
KR20100000797U (ko) 의자기능을 갖는 화분 조립용 목재블록
CN209817346U (zh) 一种用于地面安装结构的支撑点状龙骨
KR101290645B1 (ko) 타일몰딩장치
JP6573132B2 (ja) 外壁構造
JP3145860U (ja) 舗道用れんが組立品
KR101537887B1 (ko) 공동주택 내 조경물 목재 및 조경물 목재의 시공방법
JP3070984U (ja) 家庭用畳及びフロ―リング床材の基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