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4295B1 - 블록 조립체 - Google Patents

블록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4295B1
KR101744295B1 KR1020140141749A KR20140141749A KR101744295B1 KR 101744295 B1 KR101744295 B1 KR 101744295B1 KR 1020140141749 A KR1020140141749 A KR 1020140141749A KR 20140141749 A KR20140141749 A KR 20140141749A KR 101744295 B1 KR101744295 B1 KR 101744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ner
grooves
projections
block body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1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6378A (ko
Inventor
장만구
Original Assignee
장만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만구 filed Critical 장만구
Priority to KR1020140141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4295B1/ko
Publication of KR20160046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6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4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4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도 등에 설치되는 블록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본체가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져 지형에 따라 굴곡을 손쉽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며, 자체의 견고함과 강성으로 보도 바닥 마감재에서 지반 구조물의 역할에 참여할 수 있으며, 지반침하에 따른 바닥 처짐을 최소화 하여 계단 현상을 방지하고, 인접하는 본체의 모서리와 홈의 결합으로 도로 시공 시 다양한 패턴으로 디자인이 가능한 블록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블록 조립체{BLOCK ASSEMBLY}
본 발명은 인도 등에 설치되는 블록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본체가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져 지형에 따라 굴곡을 손쉽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며, 자체의 견고함과 강성으로 보도 바닥 마감재에서 지반 구조물의 역할에 참여할 수 있으며, 지반침하에 따른 바닥 처짐을 최소화 하여 계단 현상을 방지하고, 인접하는 본체의 모서리와 홈의 결합으로 도로 시공 시 다양한 패턴으로 디자인이 가능한 블록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도를 시공하는 경우에는 복수개의 분체로 이루어진 블록 조립체를 이용하여 다양한 디자인과, 시공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러한 블록에 대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0859262호 『보도용 블록 및 이를 구비한 보도용 블록 조립체』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로는 보도와 차도를 포함하는 도로의 일측에 상기 보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보도용 블록으로서, 상기 차도의 하중이 인가될 수 있도록 상기 차도의 하부에 배치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단차지게 상기 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된 보도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와 상기 보도부의 양측면 각각에는 탄성 부재가 장착되는 탄성부재 장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용 블록 및 이를 구비한 보도용 블록 조립체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차도의 하중으로 지지되고, 차도 옆에 보도로 이용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분체를 일방향으로 조립하여 형성하는 것으로서, 일반도로 옆에 사용되는 보도를 형성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지면의 굴곡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동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기술로 등록실용신안 제20-0405581호 『호안 블록 및 호안 블록 조립체』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호안 블록 본체의 각 모서리에 결합공을 형성하고, 이 결합공에 결속부재를 결합한 후 캡을 통해 고정함으로써, 호안 블록의 설치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블록 상호간의 결속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호안 블록 및 그 조립체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결속부재를 이용하여 블록을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서, 결속부재의 분실 염려가 있으며, 조립을 완료한 후에 따로 결속부재의 시공 작업을 진행함으로서 시공시간이 늘어나고 작업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종래기술로 공개특허 제10-2004-0037500호 『타일 부착형 보도블록 조립체』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콘크리트, 시멘트 모르타르 혹은 고무나 수지 폐자재를 이용하여 성형되는 보도블록 본체와, 상기 보도블록 본체의 상면에 일체 성형되는 타일을 포함하는 타일 부착형 보도블록 조립체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타일은 보도블록 본체의 상면에 다수개의 것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보도블록 본체의 테두리에 강성부재를 설치하되, 상기 강성부재의 돌기가 상기 타일의 홈에 삽입된 상태로 보도블록 본체와 함께 일체 성형되게 하고, 상기 강성부재는 연결봉이 삽입 결합되는 연결구멍을 구비하되, 상기 연결구멍은 마개에 의해 막혀진 상태로 성형되고, 이후 제거되도록 구성하는 타일 부착형 보도블록 조립체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보도블록 본체 상면에 다수개의 타일을 결합하는 기술로서, 그 구조가 복잡하고, 보도블록 시공과 타일 결합을 위한 시공을 반복함에 따라 작업시간이 늘어나고, 공정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기술로 등록실용신안 제20-0312350호 『PVC 재질을 용축 첨지한 타일 조립체』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건축물의 외벽이나, 실외 바닥, 실내의 바닥면, 벽면 등을 마감하는 타일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위 타일들이 PVC수지로 연결되어 있는 타일 조립체로서, 접착력이 강력하여 비교적 무거운 자기질 석재 타일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타일간의 간격이 균일하게 유지되어 작업성이 우수하도록 하기 위해 합성수지를 유착하여 단위 타일을 연결하는 PVC 재질을 용축 첨지한 타일 조립체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인접하는 타일 사이에 합성수지를 융착하여 연결하는 것으로서, 강도가 약하고, 지반침하에 따른 바닥 처짐을 방지할 수 없으며 견고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육각 형상의 블록 본체를 구성하되, 복수개의 돌기와 홈을 구비하여 상호 결합이 가능하게 구성함에 따라 결합 또는 조립이 용이하게 하는 블록 본체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기에 돌출부재를 더 구비하여 인접하는 블록 사이에 이격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바닥 설치 시 흙이 채워지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블록 본체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돌기와 홈이 서로 접촉하는 접촉면을 아치형 형상으로 구비하여 설치면에 형성된 굴곡에 따라 인접하는 본체 상호간에 서로 경사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굴곡면에 맞게 블록을 설치 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내구성,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본체의 상부가 하부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어 상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견디기 용이하게 하여 견고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는 블록 조립체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조립체는
여섯 모서리를 포함하는 육각 형상의 블록 본체;
상기 블록 본체의 세 모서리를 구성하며 서로 인접하지 않는 제 1 모서리, 제 2 모서리 및 제 3 모서리;
상기 블록 본체의 나머지 세 모서리를 구성하며, 상기 제 1 모서리 내지 상기 제 3 모서리 중 두 모서리와 각각 인접하는 제 4 모서리, 제 5 모서리 및 제 6 모서리;
상기 제 1 모서리 내지 상기 제 3 모서리의 상부 측면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블록 본체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제 1 돌기 내지 제 3 돌기;
상기 제 4 모서리 내지 상기 제 6 모서리의 상부 측면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블록 본체의 중심 방향으로 형성된 제 1 홈 내지 제 3 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조립체는 육각 형상의 블록 본체를 복수개로 구비하여 상호 결합이 용이하도록 돌기와 홈을 구비하여 시공이 간편하여 시공시간이 단축되고,
돌기와 홈이 교차 구비됨에 따라 서로 맞물려 견고하게 결합되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부가 하부보다 두껍게 형성됨에 따라 강도를 보강하여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돌출부재에 의해 인접하는 블록 본체 사이에 이격부가 형성됨에 따라 시공 시 모래가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여 시공의 용이성을 향상시키고 보다 견고하게 조립이 유지될 수 있다.
아울러 지반 침하에 따른 바닥 처짐을 최소화 하고, 기존 블록에서 바닥 처짐으로 인해 발생되는 계단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복수개의 본체가 상호 결합됨에 따라 S 자 형태, 또는 ㄱ 자형태 등 도로 시공시 다양한 패턴으로 디자인이 가능하고, 지형에 따른 완만하고 자연스러운 경사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경사 형성에 따라 계단현상을 방지함으로서 보도에 장애물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 함에 따라 보행자의 보행 시, 특히 장애인의 휠체어 이용 시 안전한 이동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조립체의 실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조립체의 평면도 및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조립체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조립체의 결합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조립체의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조립체(A)는 여섯 모서리를 포함하는 육각 형상의 블록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세 모서리를 구성하는 제1 모서리(21), 제2 모서리(22), 제3 모서리(23)와, 다른 세 모서리를 구성하는 제4 모서리(24), 제5 모서리(25), 제6 모서리(26)를 포함하고, 상부(11) 측면에 구비되는 제1 내지 제3 돌기(31)(32)(33)와 제1 내지 제3 홈(41)(42)(43)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로 구비되어 서로 연결되는 블록 본체(10)가 구비되어 있는데, 하나의 블록 본체(10)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기 블록 본체는 여섯 모서리(20)를 포함하는 육각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블록 본체(10)의 세 모서리는 서로 인접하지 않는 제1 모서리(21) 제2 모서리(22) 제3 모서리(23)와, 나머지 세 모서리는 상기 제1 모서리 내지 상기 제3 모서리(21)(22)(23) 중 두 모서리와 각각 인접하는 제4 모서리(24), 제5 모서리(25), 제6 모서리(26)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즉, 제1 모서리(21)를 기준으로 임의의 한 방향으로 제1 모서리(21), 제4 모서리(24), 제2 모서리(22), 제5 모서리(25), 제3 모서리(23), 제6 모서리(26)가 순차적으로 구비되어 기본적으로 육각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 인접하는 본체(10)가 상호 결합을 하기 위해 돌기(30)와 홈(40)이 구비되게 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 모서리(21), 제2 모서리(22), 제3 모서리(23)의 상부(11) 측면에는 상기 블록 본체(10)의 중심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제1 돌기(31), 제2 돌기(32), 제3 돌기(33)가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4 모서리(24), 제5 모서리(25), 제6 모서리(26)의 상부(11) 측면에는 상기 블록 본체(10)의 중심 방향으로 형성된 제1 홈(41), 제2 홈(42), 제3 홈(43)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모서리(21)를 기준으로 제1 돌기(31), 제1 홈(41), 제2 돌기(32), 제2 홈(42), 제3 돌기(33), 제3 홈(43)이 순차적으로 더 구비되어 블록 상부의 형상을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처럼 본체(10)에는 복수개의 돌기(30)와 홈(40)이 모두 구비됨에 따라 인접하는 본체(10)의 돌기(30)와 홈(40)이 서로 결합되어 상호 고정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돌기(30)와 홈(40)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 돌기 내지 제3 돌기(31)(32)(33) 및 제1 홈 내지 제3 홈(41)(42)(43)은 상호 연결이 가능하도록 모두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 돌기 내지 제3 돌기(31)(32)(33)는 각각 돌기 중심면(311)(321)(331)이 구비되고, 상기 돌기 중심면 양측으로 돌기 경사면(313)(323)(333)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홈 내지 제3 홈(41)(42)(43)은 각각 홈 중심면(411)(421)(431)과, 상기 홈 중심면(411)(421)(431) 양측으로 홈 경사면(413)(423)(4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돌기 내지 제3 돌기(31)(32)(33)의 돌기 경사면(313)(323)(333)은 각각 인접하는 상기 제1 홈 내지 제3 홈(41)(42)(43)의 홈 중심면(411)(421)(431)과 평행하게 구성되게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돌기(31)의 일측에 구비되는 돌기 경사면(313)은 인접하는 제1 홈(41)의 홈 중심면(411)과 평행하고, 타측의 돌기 경사면(313′)은 인접하는 제3 홈(43)의 홈 중심면(431)과 평행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제2 돌기(32) 일측에 구비되는 돌기 경사면(323)은 인접하는 제2 홈(42)의 홈 중심면(421)과 평행, 타측의 돌기 경사면(323′)은 인접하는 제1 홈(41)의 홈 중심면(411)과 평팽하며, 제3 돌기(33)의 일측의 돌기 경사면(333)은 인접하는 제3 홈(43)의 홈 중심면(431)과 평행, 타측의 돌기 경사면(333′)은 인접하는 제2 홈(42)의 홈 중심면(421)과 각각 평행하도록 이루어지게 된다.
아울러 상기 홈(40) 또한 홈 중심면(411)(421)(431)과 홈 경사면(413)(423)(433)을 구비하게 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 홈(41)의 일측의 홈 경사면(413)은 상기 제2 돌기(32)의 일측의 돌기 경사면(323)과 평행을 이루고, 타측의 홈 경사면(413′)은 제1 돌기(31)의 타측의 돌기 경사면(313′)과 평행을 이룬다. 또한 제2 홈(42)의 일측의 홈 경사면(423)은 제3 돌기(33)의 일측의 돌기 경사면(333)과 평행을 이루고, 타측의 홈 경사면(423′)은 인접하는 제2 돌기(32)의 타측의 돌기 경사면(323′)과 평행을 이룬다. 아울러 제3 홈(43)의 일측의 홈 경사면(433)은 제1 돌기(31)의 일측의 돌기 경사면(313)과 평행을 이루고, 타측의 홈 경사면(433′)은 제2 돌기(32)의 타측의 돌기 경사면(323′)과 평행을 이루어 돌기(30)와 홈(40)이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블록 본체(10)의 상부(11) 표면은 상기 제1 모서리 내지 제3 모서리(21)(22)(23)의 제1 돌기 내지 제3 돌기(31)(32)(33)가 포함하는 돌기 중심면(311)(321)(333)과, 돌기 경사면(313)(313′)(323)(323′)(333)(333′), 상기 제4 모서리 내지 제6 모서리(24)(25)(26)의 제1 홈 내지 제3 홈(41)(42)(43)이 포함하는 홈 중심면 (411)(421)(431) 및 홈 경사면(413)(413′)(423)(423′)(433)(433′)을 통하여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와 달리 상기 블록 본체(10)의 하부(13) 표면은 정육각형을 형성하게 된다.
아울러 상부(11) 표면은 다각형을 이루고, 하부(13) 표면은 육각형을 이룸에 따라 상기 제1 홈 내지 제3 홈(41)(42)(43)의 하부에는 인접하는 본체(10)의 제1 돌기 내지 제3 돌기(31)(32)(33) 중 하나의 하부면과 맞닿는 접촉면(415)이 구비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돌기(31)는 인접하는 본체의 제1 홈 내지 제3 홈(41)(42)(43)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는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돌기(31)가 제1 홈(41)에 결합되는 경우를 살펴보면, 상기 제1 돌기(31)의 하부면은 제1 홈(41)에 구비되는 접촉면(415)이 조립되게 되는데, 상기 접촉면(415)은 서로 결합된 본체(10)의 상하를 서로 받쳐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접촉면(415)에 결합되는 제1 돌기(31)의 하부에는 아치 형상으로 이루어진 볼록부(315)가 형성되어 있어(제2 돌기(32)에도 볼록부(325)가 형성되고, 제3 돌기(33)에도 볼록부(미도시)가 형성됨) 다양한 경사를 계단식으로 형성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형성 할 수 있도록 하여 장애물이 생기는 것을 방지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볼록부(315)는 제1 돌기 내지 제3 돌기(31)(32)(33)의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부(417)가 제1 홈 내지 제3 홈(41)(42)(43)(도면에는 제1 홈(41)만 표현될 수 있도록 도시함)의 접촉면(415)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해석 해서는 안된다.
아울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내지 제3 모서리(21)(22)(23)의 하부에는 돌출부재(211)(221)(231)가 더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돌출부재(211)(221)(231)는 각각 복수개로 구비되어 인접하는 본체(10) 사이가 이격될 수 있도록 이격부(419)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이격부(419)는 반원형의 돌기로 제1 내지 제3 모서리(21)(22)(23) 하부에 각각 복수개로 구비되는 돌출부재(211)(221)(231)에 의해 형성 되는데, 이는 본체(10)를 바닥에 설치하는 경우, 지반의 흙이 본체(10)를 밀어 넣는 경우 함께 틈새로 투입되어, 의도치 않게 이격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흙이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재(211)(221)(231)에 의하여 인접하는 두 본체(10)의 간격이 유지되고, 각 본체(10)의 견고함을 더해주는 줄눈의 유실을 상기 접촉면에 에 의해 각 본체의 결합 단면에 단턱이 형성되어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블록의 시공 완료시 전체면이 하나의 평면 구조물처럼 견고해지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이격부(419)에 다양한 색상의 모래를 투입함으로서 화려한 디자인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된다.
더 나아가 상기 본체(10)의 상부(11)와 하부(13)의 두께는 상부(11)가 하부(13)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 나아가 상부(11)의 두께(a) : 하부(13)의 두께(b) = 3 : 1 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직접적인 하중을 받는 블록 본체(10)의 상부(11)는 하중에 의하여 쉽게 깨질 수 있기 때문에 전체 블록 본체(10) 두께의 3/4를 차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강도를 향상하고 내구성을 향상시켜 파손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조립체의 변형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바닥에 설치되는 본체(10)에는 복수개의 관통공(15)이 구비되고, 상기 관통공(15)에 광섬유(L)가 각각 내삽될 수 있다. 이 때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광섬유(L)는 본체 하부에서 하나의 가닥으로 합쳐져 메인컨트롤러와 연결될 수 있으며, 복수개가 서로 조립되어 구비되는 본체(10) 각각에 구비됨에 따라 블록 조립체 전체에 통일된 디자인 적 요소를 가미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섬유(L)에서 발산하는 빛을 상기 메인컨트롤러에서 제어함에 따라 각각의 본체(10)에 서로 다른 문양 또는 디자인 또는 조명 효과를 나타낼 수도 있고, 블록 조립체 전체에 통일된 디자인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하여 광고효과, 안내효과 등 다양한 정보전달 및 디자인 효과를 가미할 수 있다.
아울러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조립체(A)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블록 조립체(A)는 벽돌, 콘크리트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돌기(30)와 홈(40)이 서로 결합되는 경우, 서로 접촉되는 면이 마찰이나 압력 등의 이유로 쉽게 부서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고자,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기(30)의 하부 테두리에는 곡선형으로 이루어지는 아치부(39)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40)에는 상기 아치부(39)와 상응하는 형상의 대응아치부(49)가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돌기(30)와 홈(40)이 상호 결합되는 경우, 아치부(39)와 대응아치부(49)의 결합으로 모서리가 닳아 없어지는 등의 파손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어 블록 조립체(A)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내구성이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조립체(A)의 본체(10)에는 장식공(19)이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블록 조립체(A)를 잔디 쪽에 놓아두면 상기 장식공(19)을 통하여 잔디가 돌출되어 잔디블록(G)을 형성할 수 있고, 다른 콘크리트(투습용)를 채워 투습형블록(P)을 형성할 수 도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장식공(19)에 다양한 색상 및 재질을 바꿔 디자인을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음에 따라 설치 장소에 제약이 없으며 다양한 미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블록 조립체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블록 조립체 10 : 본체
11 : 본체 상부 13 : 본체 하부
20 : 모서리 21 : 제1 모서리
22 : 제2 모서리 23 : 제3 모서리
24 : 제4 모서리 25 : 제5 모서리
26 : 제6 모서리 211,221,231 : 돌출부재
30 : 돌기 31 : 제1 돌기
32 : 제2 돌기 33 : 제3 돌기
311,321,331 : 돌기 중심면
313,313′,323,323′,333,333′: 돌기 경사면
315,325,417 : 볼록부 40 : 홈
41 : 제1 홈 42 : 제2 홈
43 : 제3 홈 411,421,431 : 홈 중심면
413,413′,423,423′,433,433′ : 홈 경사면
415 : 접촉면 419 : 이격부

Claims (5)

  1. 여섯 모서리를 포함하는 육각 형상의 블록 본체(10);
    상기 블록 본체(10)의 세 모서리를 구성하며 서로 인접하지 않는 제 1 모서리(21), 제 2 모서리(22) 및 제 3 모서리(23);
    상기 블록 본체(10)의 나머지 세 모서리를 구성하며, 상기 제 1 모서리 내지 상기 제 3 모서리(21)(22)(23) 중 두 모서리와 각각 인접하는 제 4 모서리(24), 제 5 모서리(25) 및 제 6 모서리(26);
    상기 제 1 모서리 내지 상기 제 3 모서리(21)(22)(23)의 상부 측면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블록 본체(10)의 중심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제 1 돌기 내지 제 3 돌기(31)(32)(33);
    상기 제 4 모서리 내지 상기 제 6 모서리(24)(25)(26)의 상부 측면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블록 본체(10)의 중심 방향으로 형성된 제 1 홈 내지 제 3 홈(41)(42)(43);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돌기 내지 상기 제 3 돌기(31)(32)(33) 및 상기 제 1 홈 내지 상기 제 3 홈(41)(42)(43)은,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1 돌기 내지 상기 제 3 돌기(31)(32)(33)는, 각각 돌기 중심면(311)(321)(331) 및 돌기 경사면(313, 313′)(323, 323′)(333, 333′)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홈 내지 상기 제 3 홈(41)(42)(43)은, 각각 홈 중심면(411)(421)(431) 및 홈 경사면(413, 413′)(423, 423′)(433, 433′)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돌기 내지 상기 제 3 돌기의 돌기 경사면은, 각각 인접한 상기 제 1 홈 내지 제 3 홈의 홈 중심과 평행하고,
    상기 블록 본체(10)의 하부(13) 표면은 정육각형이고,
    상기 블록 본체(10)의 상부(11) 표면은 : 상기 제 1 모서리 내지 상기 제 3 모서리의 제 1 돌기 내지 제 3 돌기가 포함하는 돌기 중심면 및 돌기 경사면; 상기 제 4 모서리 내지 상기 제 6 모서의 제 1 홈 내지 제 3 홈이 포함하는 홈 중심면 및 홈 경사면;이 형성하는 다각형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홈 내지 제 3 홈(41)(42)(43) 하부에는 상기 제 1 돌기 내지 상기 제 3 돌기의 하부면과 맞닿는 접촉면(415)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돌기 내지 제3 돌기(31)(32)(33)의 하부면은 아치 형상으로 이루어진 볼록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 1 모서리 내지 상기 제 3 모서리(21)(22)(23)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돌출부재(211)(221)(231)가 더 구비되어, 인접하는 상기 블록 본체들 사이가 이격될 수 있도록 이격부(419)를 형성하며,
    상기 블록 본체(10)의 두께는 상부(11)가 하부(13)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며, 상부(11)의 두께(a) : 하부(13)의 두께(b) = 3 : 1 이고,
    상기 본체(10)에는 복수의 관통공(15)이 구비되고, 상기 관통공(15)에는 광섬유(L)가 내삽되고,
    상기 제 1 돌기 내지 제 3 돌기(31)(32)(33)의 하부 테두리에는 곡선형으로 이루어진 아치부(39)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홈 내지 제 3 홈(41)(42)(43)에는 상기 아치부(39)와 상응하는 형상의 대응아치부(49)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10)에는 장식공(19)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40141749A 2014-10-20 2014-10-20 블록 조립체 KR101744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1749A KR101744295B1 (ko) 2014-10-20 2014-10-20 블록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1749A KR101744295B1 (ko) 2014-10-20 2014-10-20 블록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6378A KR20160046378A (ko) 2016-04-29
KR101744295B1 true KR101744295B1 (ko) 2017-06-07

Family

ID=55915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1749A KR101744295B1 (ko) 2014-10-20 2014-10-20 블록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42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28172C1 (ru) * 2019-08-13 2020-07-28 Владимир Всеволодович Давыдов Плита для устройства сбор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сбор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и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а сбор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69203B2 (ja) * 1999-04-07 2003-11-25 日本興業株式会社 舗設用ブロック構造体及びその施工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69203B2 (ja) * 1999-04-07 2003-11-25 日本興業株式会社 舗設用ブロック構造体及びその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6378A (ko) 2016-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03279B (zh) 用于地板覆盖物的系统
KR100953477B1 (ko) 거푸집 겸용 벽돌 및 이를 이용한 벽면 시공방법
CN202809427U (zh) 互锁式植草砖
US4648226A (en) Glass element, notably glass block or tile
ES2460840B2 (es) Sistema constructivo
US7160052B2 (en) Paving system using arrays of vertically interlocking paving blocks
KR101744295B1 (ko) 블록 조립체
KR100846833B1 (ko) 계단용 논슬립 및 그에 결합되는 마구리 캡
KR20110010437A (ko) 바닥용 고무매트
KR101126355B1 (ko) 데크 구조체
KR101972320B1 (ko) 다용도 조립형 보도 블록
KR20100037858A (ko) 보도블록과 그 연결핀
KR20110051712A (ko) 인공지반 녹화용 보행판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446327Y1 (ko) 미끄럼방지용 경계석
KR200439482Y1 (ko) 바닥용 탄성 고무매트
KR200401175Y1 (ko) 도로의 조립식 보도시설물 설치구조
KR101527524B1 (ko) 블록을 이용한 데크 부재, 데크 부재를 제조하는 방법, 데크 및 데크를 시공하는 방법
CN105298041A (zh) 一种户外楼梯
KR102037665B1 (ko) 다용도 건축 자재용 조립식 계단 블록
KR101218595B1 (ko) 벽체 및 그의 시공방법
KR102222616B1 (ko) 콘크리트 기초가 내장된 블록형 목재 데크
CN215164267U (zh) 一种榫卯结构的园路上层铺装
KR20190011489A (ko) 조립식 바닥재
KR102655192B1 (ko)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
CN216690035U (zh) 一种装配式围墙用砌块及装配式围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