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5192B1 -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5192B1
KR102655192B1 KR1020220095975A KR20220095975A KR102655192B1 KR 102655192 B1 KR102655192 B1 KR 102655192B1 KR 1020220095975 A KR1020220095975 A KR 1020220095975A KR 20220095975 A KR20220095975 A KR 20220095975A KR 102655192 B1 KR102655192 B1 KR 102655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coupling
rod
fixing
coup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5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18116A (ko
Inventor
윤승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스아이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스아이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스아이피
Priority to KR1020220095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5192B1/ko
Publication of KR20240018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8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5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51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14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wooden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05Construction of joints, e.g. dividing strips
    • E04F15/02022Construction of joints, e.g. dividing strips with means for aligning the outer surfaces of the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3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outdoor use, e.g. in decks, patios, terraces, veranda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4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wood or with a top layer of wood, e.g. with wooden or metal connect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0Paving elements having build-in shock absorb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 E04F2015/02066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floo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제1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며 배열되는 제1 베이스부재;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2 베이스부재; 상기 제2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제1 방향으로 배열되고 양측부에 트렌치를 구비하는 데크부재; 및 제1 방향으로 폭이 가변 후 고정되고, 서로 이웃한 데크부재의 트렌치에 결합되는 데크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The deck road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시공이 용이하고 생산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체결 부재가 노출되지 않아서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책로로써 공원이나 강, 호스, 등산로 등의 지면위에 설치되는 데크로드는 일반적으로 주로 목재를 이용하여 제조된 데크재를 시공하여 설치되며, 지지 기둥 위에 장선을 설치하고, 장선 위에 데크재를 시공하여 바닥면을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데크로드는 자연과 어울리는 친환경적인 목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등산로나 산책로, 공원과 숲의 보행도로 및 생태관람 길, 옥외전망대, 어린이 놀이터, 하천 위, 바다 위를 건널 수 있도록 설치된 다리 등을 조성하는 등 다양한 용도로 설치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14065호에서는 '굴곡진 지면을 따라 다수 설치되는 목재 패널(4)과, 상기 목재 패널(4)의 양단을 지면에 고정하기 위해 서로 교차되게 설치되는 고정핀(8)과, 상기 목재 패널(4) 사이에 설치되어 보행자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부재(10)와, 다수의 목재 패널(4)을 구역단위인 목재 패널블럭(14)으로 연결고정하는 연결부재(16)와, 상기 구역단위로 연결고정된 목재 패널블럭(14)을 서로 연결하는 체결부재(26)로 구성되는 '데크로드가 공지된 바가 있다.
상기의 데크로드의 설치를 위해서는 목재 패널(4) 보다 높게 돌출 형성되는 마닐라로프인 미끄럼방지부재(10)와 고정틀(12)이 노출되고 목재 패널을 고정시키는 많은 체결부재들을 사용해야 하는데, 이는 시공 시간을 증가시키고, 체결부재의 노출로 인해 보행자의 안전보행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84837호(등록일: 2017년 09월 28일) 한국등록특허 제10-1819947호(등록일: 2018년 01월 12일) 한국등록특허 제10-1895269호(등록일: 2018년 08월 30일)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시공이 용이하고 생산성이 개선될 수 있는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체결 부재가 노출되지 않아서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며 배열되는 제1 베이스부재;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2 베이스부재; 상기 제2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제1 방향으로 배열되고 양측부에 트렌치를 구비하는 데크부재; 및 제1 방향으로 폭이 가변 후 고정되고, 서로 이웃한 데크부재의 트렌치에 결합되는 데크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데크결합부재는, 막대형의 제1 몸체의 하단부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된 제1 레일부를 포함하는 ㄴ형의 제1 결합모듈과, 막대형의 제2 몸체의 하단부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레일부 내부에서 슬라이딩하며 이동하는 제2 레일부를 포함하는 ㄴ형의 제2 결합모듈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레일부는 타단부에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편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레일부는 외주면에 서로 대향하는 결합홀 또는 오목홈을 구비하고, 타측을 향하는 제2 레일부의 이동으로 상기 돌출편은 상기 결합홀 또는 오목홈에 삽입되며 상기 데크결합부재의 폭이 고정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모듈 및 제2 결합모듈은 양측에 위치한 데크부재 각각의 트렌치에 끼움결합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데크로드는, 데크결합부재의 상부를 커버하며 데크결합부재의 폭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데크결합부재의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로부터 하향 연장하며 서로 이격된 한 쌍의 결합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고정부는 상기 제1 결합모듈 및 제2 결합모듈의 몸체 내측면과 접하며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모듈 및 제2 결합모듈의 몸체는 내측을 향한 돌기가 서로 대향하여 각각 형성되고, 상기 결합고정부는 상기 돌기가 끼움결합되는 오목홈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제1 베이스부재, 제2 베이스부재, 데크부재 및 데크결합부재를 결합하여 데크로드를 형성하되, 제1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며 배열한 복수개의 제1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상기 제1 베이스부재와 교차하도록 제2 베이스부재를 결합하는 단계; 양측부에 트렌치를 구비하는 복수개의 데크부재를 준비하고, 서로 이웃한 데크부재의 양측부 사이에 데크결합부재를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데크결합부재를 제1 방향으로 폭을 가변한 후 고정하고, 서로 이웃한 데크부재의 트렌치에 결합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의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데크로드의 시공방법은, 상기 데크결합부재를 서로 이웃한 데크부재의 트렌치에 결합고정한 후,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데크결합부재의 상부를 커버하며 데크결합부재의 폭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은 폭이 가변 후 고정되는 데크결합부재로 인해 시공이 용이하고 그로 인해 생산성이 개선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고정부재로 인해 체결 영역이 노출되지 않아서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로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로드의 데크결합부재의 가변 전 데크부재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로드의 데크결합부재의 가변 후 데크부재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1의 I-I'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의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로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로드의 데크결합부재의 가변 전 데크부재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로드의 데크결합부재의 가변 후 데크부재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1의 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로드(1)는 제1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며 배열되는 제1 베이스부재(10);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베이스부재(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2 베이스부재(20); 상기 제2 베이스부재(20)의 상부에 제1 방향으로 배열되고 양측부에 트렌치(32)를 구비하는 데크부재(30); 및 제1 방향으로 폭이 가변 후 고정되고, 서로 이웃한 데크부재의 트렌치(32)에 결합되는 데크결합부재(4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폭이 가변 후 고정되는 데크결합부재(40)로 인해 시공이 용이하고 그로 인해 생산성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며 배열되는 제1 베이스부재(10)는 상용화된 각관을 이용하여 마련될 수 있다.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베이스부재(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2 베이스부재(20) 또한 상용화된 각관을 이용하여 마련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제1 베이스부재(10)의 양단부 상측에 제2 베이스부재(20)가 마련되는 형태이지만, 지지력 보강을 위하여 제2 베이스부재(20)는 복수 개로 배열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베이스부재(20)의 상부에 제1 방향으로 배열되고 양측부에 트렌치(32)를 구비하는 데크부재(30)는 이중압출목재와 같은 합성목재 또는 천연목재를 가공하여 마련될 수 있으며, 도4과 같이 상부면은 요철을 구비하여 보행자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방향으로 폭이 가변 후 고정되고, 서로 이웃한 데크부재(30)의 트렌치(32)에 결합되는 데크결합부재(40)는, 막대형의 제1 몸체(411)의 하단부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된 제1 레일부(415)를 포함하는 ㄴ형의 제1 결합모듈(410)과, 막대형의 제2 몸체(421)의 하단부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레일부(415) 내부에서 슬라이딩하며 이동하는 제2 레일부(425)를 포함하는 ㄴ형의 제2 결합모듈(420)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제2 결합모듈(420)은 제1 결합모듈(410)과 대칭적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레일부(425)의 이동으로 데크결합부재(40)는 제1 방향으로 폭이 가변될 수 있다. 따라서, 데크부재(30)의 간격에 따라 제2 레일부(425)의 가변 폭은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제1 레일부(415)는 타단부에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편(419)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레일부(425)는 외주면에 서로 대향하는 결합홀(429) 또는 오목홈을 구비하고, 타측을 향하는 제2 레일부(425)의 이동으로 상기 돌출편(419)은 상기 결합홀(429) 또는 오목홈에 삽입되며 상기 데크결합부재(40)의 폭이 고정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데크결합부재(40)는 제1 방향으로 폭이 가변된 후 고정될 수 있으며, 데크부재(30)의 간격, 즉 데크결합부재(40)의 폭에 따라 제2 레일부(425)의 결합홀(429) 또는 오목홈이 형성된 위치는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결합모듈(410) 및 제2 결합모듈(420)은 양측에 위치한 데크부재 각각의 트렌치(32)에 끼움결합되는 돌출부(413, 423)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나아가서, 데크결합부재(40)는 서로 이웃한 데크부재(30)의 양측부와 접하는 면, 즉 제1 몸체(411) 및 제2 몸체(421)의 외측면에 탄성판(430)이 결합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목재로 형성된 데크부재(30)가 주변 환경에 따라 부피가 늘어나거나 줄어들어도, 탄성판(430)에 의해 데크부재(30)와 데크결합부재(40)의 간격이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주변에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데크로드(1)로 향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데크로드(1)는, 데크결합부재(40)의 상부를 커버하며 데크결합부재(40)의 폭을 고정하는 고정부재(5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데크결합부재(40)의 개방된 상부를 커버하여 이물 유입을 방지하고, 제2 레일부(425)의 이동으로 설정된 데크결합부재(40)의 폭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체결 영역이 노출되지 않아서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예로써, 상기 고정부재(50)는, 상기 데크결합부재(40)의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부(510)와, 상기 커버부(510)로부터 하향 연장하며 서로 이격된 한 쌍의 결합고정부(520)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고정부(520)는 상기 제1 결합모듈(410) 및 제2 결합모듈(420)의 몸체 내측면과 접하며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제1 결합모듈(410) 및 제2 결합모듈(420)의 몸체는 내측을 향한 돌기(417, 427)가 서로 대향하여 각각 형성되고, 상기 결합고정부(520)는 상기 돌기(417, 427)가 끼움결합되는 오목홈(530)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돌기(417, 427)와 상기 오목홈(530)의 결합으로 고정부재(50)와 데크결합부재(40)는 고정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결합고정부(520)는 내측방향으로 소정의 탄성을 가진 것일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커버부(510)를 가압하며 고정부재(50)와 데크결합부재(40)와 결합 시, 상기 돌기(417, 427)를 따라 이동하는 결합고정부(520)에 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결합고정부(520)의 외측면은 곡선형의 하단부(540)를 구비할 수 있다. 커버부(510)는 데크부재(30)와의 높이차를 보상하기 위한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데크부재(30)와 데크결합부재(40)의 단차로 인한 보행자의 넘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예로써 상기 고정부재(50)는 보행자의 안전을 위해 인광소재 또는 재귀반사소재를 포함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로드(1)의 시공방법은, 상기 제1 베이스부재(10), 제2 베이스부재(20), 데크부재(30) 및 데크결합부재(40)를 결합하여 데크로드(1)를 형성하되, 제1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며 배열한 복수개의 제1 베이스부재(10)의 상부에 상기 제1 베이스부재(10)와 교차하도록 제2 베이스부재(20)를 결합하는 단계; 양측부에 트렌치(32)를 구비하는 복수개의 데크부재(30)를 준비하고, 서로 이웃한 데크부재(30)의 양측부 사이에 데크결합부재(40)를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데크결합부재(40)를 제1 방향으로 폭을 가변한 후 고정하고, 서로 이웃한 데크부재(30)의 트렌치(32)에 결합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며 배열한 복수개의 제1 베이스부재(10)의 상부에 상기 제1 베이스부재(10)와 교차하도록 제2 베이스부재(20)를 결합하는 것은, 상용화된 각관을 이용하여 제1 베이스부재(10)와 제2 베이스 부재(20)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로드(1)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도 1에서는 제1 베이스부재(10)의 양단부 상측에 제2 베이스부재(20)가 결합되는 형태이지만, 지지력 보강을 위하여 제2 베이스부재(20)는 복수 개로 배열되어 제1 베이스부재(10)와 결합할 수 있다.
서로 이웃한 데크부재(30)의 양측부 사이에 데크결합부재(40)를 위치시키는 것과, 서로 이웃한 데크부재(30)의 트렌치(32)에 결합고정하는 것은, 제1 결합모듈(410)의 제1 레일부(415) 내부에서 제2 결합모듈(420)의 제2 레일부(425)가 슬라이딩하며 이동하고, 그로 인해 데크결합부재(40)는 제1 방향으로 폭이 가변된 후 폭이 고정되는 것일 수 있다.
예로써, 상기 데크로드(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레일부(415)는 타단부에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편(419)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레일부(425)는 외주면에 서로 대향하는 결합홀(429) 또는 오목홈을 구비하고, 타측을 향하는 제2 레일부(425)의 이동으로 상기 돌출편(419)은 상기 결합홀(429) 또는 오목홈에 삽입되며 상기 데크결합부재(40)의 폭이 고정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데크결합부재(40)는 제1 방향으로 폭이 가변된 후 고정될 수 있으며, 데크부재(30)의 간격, 즉 데크결합부재(40)의 폭에 따라 제2 레일부(425)의 결합홀(429) 또는 오목홈이 형성된 위치는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데크로드(1)의 시공방법은, 상기 데크결합부재(40)를 서로 이웃한 데크부재(30)의 트렌치에 결합고정한 후, 고정부재(50)를 이용하여 상기 데크결합부재(40)의 상부를 커버하며 데크결합부재(40)의 폭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데크결합부재(40)의 개방된 상부를 커버하여 이물 유입을 방지하고, 제2 레일부(425)의 이동으로 설정된 데크결합부재(40)의 폭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체결 영역이 노출되지 않아서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로드(1) 및 그 시공방법은 폭이 가변 후 고정되는 데크결합부재(40)로 인해 시공이 용이하고 그로 인해 생산성이 개선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고정부재(50)로 인해 체결 영역이 노출되지 않아서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데크로드
10; 제1 베이스부재
20; 제2 베이스부재
30; 데크부재
32; 트렌치
40; 데크결합부재
410; 제1 결합모듈
420; 제2 결합모듈
50; 고정부재
510; 커버부
520; 결합고정부

Claims (9)

  1. 제1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며 배열되는 제1 베이스부재;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2 베이스부재;
    상기 제2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제1 방향으로 배열되고 양측부에 트렌치를 구비하는 데크부재; 및
    제1 방향으로 폭이 가변 후 고정되고, 서로 이웃한 데크부재의 트렌치에 결합되는 데크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데크결합부재는, 막대형의 제1 몸체의 하단부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된 제1 레일부를 포함하는 ㄴ형의 제1 결합모듈과, 막대형의 제2 몸체의 하단부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레일부 내부에서 슬라이딩하며 이동하는 제2 레일부를 포함하는 ㄴ형의 제2 결합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레일부의 타단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편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레일부의 외주면에는 서로 대향하는 결합홀 또는 오목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2 레일부가 상기 제1 레일부 내부에서 슬라이딩하여 상기 데크결합부재의 폭을 조절한 후 상기 돌출편이 상기 결합홀 또는 상기 오목홈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데크 결합부재의 폭이 고정되며,
    상기 제1 몸체 및 제2 몸체의 외측면에 탄성판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결합부재는, 막대형의 제1 몸체의 하단부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된 제1 레일부를 포함하는 ㄴ형의 제1 결합모듈과, 막대형의 제2 몸체의 하단부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레일부 내부에서 슬라이딩하며 이동하는 제2 레일부를 포함하는 ㄴ형의 제2 결합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일부는 타단부에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편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레일부는 외주면에 서로 대향하는 결합홀 또는 오목홈을 구비하고,
    타측을 향하는 제2 레일부의 이동으로 상기 돌출편은 상기 결합홀 또는 오목홈에 삽입되며 상기 데크결합부재의 폭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모듈 및 제2 결합모듈은 양측에 위치한 데크부재 각각의 트렌치에 끼움결합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로드는, 데크결합부재의 상부를 커버하며 데크결합부재의 폭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데크결합부재의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로부터 하향 연장하며 서로 이격된 한 쌍의 결합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고정부는 상기 제1 결합모듈 및 제2 결합모듈의 몸체 내측면과 접하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모듈 및 제2 결합모듈의 몸체는 내측을 향한 돌기가 서로 대향하여 각각 형성되고, 상기 결합고정부는 상기 돌기가 끼움결합되는 오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
  8. 제1항의 제1 베이스부재, 제2 베이스부재, 데크부재 및 데크결합부재를 결합하여 데크로드를 형성하되,
    제1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며 배열한 복수개의 제1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상기 제1 베이스부재와 교차하도록 제2 베이스부재를 결합하는 단계;
    양측부에 트렌치를 구비하는 복수개의 데크부재를 준비하고, 서로 이웃한 데크부재의 양측부 사이에 데크결합부재를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데크결합부재를 제1 방향으로 폭을 가변한 후 고정하고, 서로 이웃한 데크부재의 트렌치에 결합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의 시공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로드의 시공방법은, 상기 데크결합부재를 서로 이웃한 데크부재의 트렌치에 결합고정한 후,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데크결합부재의 상부를 커버하며 데크결합부재의 폭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의 시공방법.
KR1020220095975A 2022-08-02 2022-08-02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 KR102655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5975A KR102655192B1 (ko) 2022-08-02 2022-08-02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5975A KR102655192B1 (ko) 2022-08-02 2022-08-02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8116A KR20240018116A (ko) 2024-02-13
KR102655192B1 true KR102655192B1 (ko) 2024-04-11

Family

ID=89899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5975A KR102655192B1 (ko) 2022-08-02 2022-08-02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519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7036A (ja) * 2004-12-22 2006-07-06 Handy Techno Kk デッキ構造
KR101352280B1 (ko) * 2013-04-17 2014-01-15 김용직 목재데크 체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목재데크 체결구조
KR102221246B1 (ko) * 2020-11-04 2021-03-02 (주) 뉴티브 소음방지기능을 가진 목재데크 설치구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4837B1 (ko) 2015-12-24 2017-10-13 정승우 데크로드
KR101819947B1 (ko) 2016-04-12 2018-01-18 주식회사 에넥스트 데크로드
KR101895269B1 (ko) 2018-02-09 2018-09-05 지비케이건설 유한회사 친환경 데크로드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7036A (ja) * 2004-12-22 2006-07-06 Handy Techno Kk デッキ構造
KR101352280B1 (ko) * 2013-04-17 2014-01-15 김용직 목재데크 체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목재데크 체결구조
KR102221246B1 (ko) * 2020-11-04 2021-03-02 (주) 뉴티브 소음방지기능을 가진 목재데크 설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8116A (ko) 2024-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72367B (fi) System foer prefabricerade betongelement
KR101683268B1 (ko) 탄성지지체를 이용한 목재 패널 결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목재 시설물
KR102322249B1 (ko) 확장 가능한 모듈형 인도교
KR101829422B1 (ko) 데크바닥 결합구조
KR102655192B1 (ko)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
KR101772069B1 (ko) 데크 프레임 조립구조
US9644326B1 (en) Monolithic paver
KR101576553B1 (ko) 이종 데크재 결합용 디바이더를 이용하여 곡선 시공이 가능한 조경용 패턴 데크로드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80114297A (ko) 소하천 아치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2653254B1 (ko)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
KR102448199B1 (ko) 조립식 합성블록
KR101972320B1 (ko) 다용도 조립형 보도 블록
KR100780572B1 (ko) 목재 데크의 신축 연결구조
KR20200062606A (ko) 개보수가 용이한 면진 데크로드
KR101663825B1 (ko) 자석을 이용한 목재 패널 결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목재 시설물
JP3328802B2 (ja) 橋梁における排水装置
KR200201588Y1 (ko) 조립식 간이 다리용 교각부재
KR200439482Y1 (ko) 바닥용 탄성 고무매트
KR102294947B1 (ko) 강재 데크
KR102655194B1 (ko)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
KR20180087603A (ko) 내구성이 강화된 친환경 고강도 합성데크 조립체
JPH0258604A (ja) 落石防止柵用クッション材
JPS5955901A (ja) ブロツク
KR20210020380A (ko) 면진장치가 구비된 데크로드
KR101991986B1 (ko) 데크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