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327Y1 - 미끄럼방지용 경계석 - Google Patents

미끄럼방지용 경계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327Y1
KR200446327Y1 KR2020090004509U KR20090004509U KR200446327Y1 KR 200446327 Y1 KR200446327 Y1 KR 200446327Y1 KR 2020090004509 U KR2020090004509 U KR 2020090004509U KR 20090004509 U KR20090004509 U KR 20090004509U KR 200446327 Y1 KR200446327 Y1 KR 2004463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undary stone
slip
main body
boundary
ste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45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영우
Original Assignee
선진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진기업(주) filed Critical 선진기업(주)
Priority to KR20200900045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3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3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3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01C11/222Raised kerbs, e.g. for sidewalks ; Integrated or portable means for facilitating ascent or descen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35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41Kerb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미끄럼방지용 경계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게하게는 인도와 도로의 경계를 구획하기 위한 경계석, 특히 버스 승차장이나 횡단보도 등과 같이 이용자들이 경계석을 밟고 디딤이 빈번한 장소에서 이용자, 특히 장애인이나 노약자 등을 위해 블록 형태로 이루어진 경계석 본체 상부에 요부 또는 철부, 또는 요철부 형태를 이루는 미끄럼방지수단을 도입하여 이용자들이 경계석을 밟고 디디는 경우 미끄럼수단의 요철부에 의하여 이용자가 미끄러져 불의의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본체 전면에 반사부재를 부착하여 경계석의 시인성(視認性)을 좋게 함으로써 야간운행 시 운전자들의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미끄럼방지용 경계석을 제안하고자 한다.
경계석, 미끄럼방지수단, 표시부재, 외장재, 디딤부, 전면부, 연결부, 내장재, 부착력강화수단, 걸림부, 이음수단

Description

미끄럼방지용 경계석{BOUNDARY STONE}
본 고안은 미끄럼방지용 경계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게하게는 인도와 도로의 경계를 구획하기 위한 경계석, 특히 버스 승차장이나 횡단보도 등과 같이 이용자들이 경계석을 밟고 디딤이 빈번한 장소에서 이용자, 특히 장애인이나 노약자 등을 위해 블록 형태로 이루어진 경계석 본체 상부에 요부 또는 철부, 또는 요철부 형태를 이루는 미끄럼방지수단을 도입하여 이용자들이 경계석을 밟고 디디는 경우 미끄럼수단의 요철부에 의하여 이용자가 미끄러져 불의의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본체 전면에 반사부재를 부착하여 경계석의 시인성(視認性)을 좋게 함으로써 야간운행 시 운전자들의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미끄럼방지용 경계석을 제안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경계석은 도로와 인도를 구분하기 위해 설치되며, 특히 버스 승강장이나 횡단보도 등에 위치하는 경계석의 경우에는 이용자들이 경계석을 밟고 차량에 승하강하거나 또는 신호대기 시 경계석을 디디고 서서 기다리게 된다.
이 경우 경계석의 오랜 사용으로 마모된 경우나 또는 비나 눈이 오는 경우에는 이용자들이 딛고 서있는 경계석이 미끄러워 낙상할 위험이 있으며, 특히 노약자나 장애인의 경우에는 이러한 위험 정도는 일반 이용자보다 훨씬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위험 정도의 수위를 낮추어 안전사고나 이용자들에 대한 안전 서비스가 요구되며, 또한 이용자들의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한 다양한 색채나 형태의 반사부재를 도입할 필요성이 절실하다.
또한 종래의 경계석의 경우에는 단순히 모르타르나 콘크리트를 블록 형태로 제작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도시 환경을 획일화시키는 경향이 있으며, 따라서 도시 미관에 부합하지 않아 미관을 해치는 문제와,
더 나아가 일정 이상의 무게가 나가는 경계석의 시공 시 많은 노동력과 장비를 투여하여야 하는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경계석의 경량화와, 시공 편의성을 보장하기 위한 경계석 구조의 도입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더욱 상게하게는 인도와 도로의 경계를 구획하기 위한 경계석, 특히 버스 승차장이나 횡단보도 등과 같이 이용자들이 경계석을 밟고 디딤이 빈번한 장소에서 이용자,
특히 장애인이나 노약자 등을 위해 블록 형태로 이루어진 경계석 본체 상부에 요부 또는 철부, 또는 요철부 형태를 이루는 미끄럼방지수단을 도입하여 이용자들이 경계석을 밟고 디디는 경우 미끄럼수단의 요철부에 의하여 이용자가 미끄러져 불의의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본체 전면에 반사부재를 부착하여 경계석의 시인성(視認性)을 좋게 함으로써 야간운행 시 운전자들의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미끄럼방지용 경계석을 제공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경계석 본체는 외장재와 내장재로 이루어지되, 외장재의 디딤부는 다양한 문양의 석재나 타일 등을 사용하여 도시 및 주변 환경과의 조화를 통한 미관을 우수하게 하고,
또한 도로 측으로 노출되는 외장재의 완충부에 의하여 승용차나 버스 등의 차량에 의한 충돌이나 접촉 시 경계석의 손상이나 파괴를 막고, 또 경계석이 밀려 정위치를 벗어나는 것을 완충하여 경계석을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미끄럼방지용 경계석을 제공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경계석 본체의 외장재와 내장재는 부착력강화수단에 의하여 상호 각 걸림부의 접촉면적을 확장하여 부착력을 보강할 수 있으며,
동시에 내장재와 외장재의 접촉 부분의 일부 또는 전부에 단면 형상이 곡선 형태를 이루도록 하여 외장내 및 내장재의 특정 접촉 부분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경계석의 내구성을 더한층 높일 수 있는 미끄럼방지용 경계석을 제공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본 고안에 따른 외장재의 디딤부 및 완충부와 이어져 내장재의 양측면을 감싸는 연결부의 각 외측면에는 상호 인접한 경계석 본체를 엇물린 형태로 연결시키는 이음수단이 구비되어 경계석간의 위치를 맞추기 위한 특별한 노력 없이 그 시공이 쉽고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동시에 인접한 경계석간에는 이음수단에 의한 상호 지지력에 의하여 경계석들이 정렬 위치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불필요한 사후관리나 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미끄럼방지용 경계석을 제공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미끄럼방지용 경계석은 본체; 및 상기 본체 상부에 구비되고, 요부(凹部) 또는 철부(凸部) 또는 요철부(凹凸部) 형태를 이루는 미끄럼방지수 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본체 전면에는 반사부재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본체는 상기 미끄럼방지수단이 구비되고, 본체의 상면을 이루는 디딤부와, 상기 디딤부와 이어지고, 본체의 전면을 이루는 전면부를 포함하는 외장재; 및 상기 외장재 내부를 채우는 내장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외장재와 내장재는 상호 부착력을 보강하기 위한 부착력강화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부착력강화수단은 상기 외장재의 디딤부 또는 전면부, 또는 이들 모두에 형성된 암 또는 수걸림부와, 상기 내장재 상면 또는 전면, 또는 이들 모두에 형성되고, 상기 외장재의 각 걸림부에 대응하는 수 또는 암걸림부와, 그리고 상기 내장재 후면에 형성되는 암 또는 수걸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외장재 및 내장재의 각 걸림부는 도브테일(dove-tail) 형태로 연결되며, 상기 각 걸림부의 접촉면 일부 또는 전부에는 응력 집중을 방지하기 위해 단면 형상이 곡선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외장재에서 상기 전면부는 완충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면부 양측에는 상기 내장재의 양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연결부가 더 구비되되,
상기 연결부의 각 외측면에는 상호 인접한 외장재를 연결시키기 위한 이음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미끄럼방지용 경계석은 인도와 도로의 경계를 구획하기 위한 경계석, 특히 버스 승차장이나 횡단보도 등과 같이 이용자들이 경계석을 밟고 디딤이 빈번한 장소에서 이용자,
특히 장애인이나 노약자 등을 위해 블록 형태로 이루어진 경계석 본체 상부에 요부 또는 철부, 또는 요철부 형태를 이루는 미끄럼방지수단을 도입하여 이용자들이 경계석을 밟고 디디는 경우 미끄럼수단의 요철부에 의하여 이용자가 미끄러져 불의의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본체 전면에 반사부재를 부착하여 경계석의 시인성(視認性)을 좋게 함으로써 야간운행 시 운전자들의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경계석 본체는 외장재와 내장재로 이루어지되, 외장재의 디딤부는 다양한 문양의 석재나 타일 등을 사용하여 도시 및 주변 환경과의 조화를 통한 미관을 우수하게 하고,
또한 도로 측으로 노출되는 외장재의 완충부에 의하여 승용차나 버스 등의 차량에 의한 충돌이나 접촉 시 경계석의 손상이나 파괴를 막고, 또 경계석이 밀려 정위치를 벗어나는 것을 완충하여 경계석을 내구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경계석 본체의 외장재와 내장재는 부착력강화수단에 의하여 상호 각 걸림부의 접촉면적을 확장하여 부착력을 보강할 수 있으며,
동시에 내장재와 외장재의 접촉 부분의 일부 또는 전부에 단면 형상이 곡선 형태를 이루도록 하여 외장내 및 내장재의 특정 접촉 부분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경계석의 내구성을 더한층 높일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본 고안에 따른 외장재의 디딤부 및 완충부와 이어져 내장재의 양측면을 감싸는 연결부의 각 외측면에는 상호 인접한 경계석 본체를 엇물린 형태로 연결시키는 이음수단이 구비되어 경계석간의 위치를 맞추기 위한 특별한 노력 없이 그 시공이 쉽고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동시에 인접한 경계석간에는 이음수단에 의한 상호 지지력에 의하여 경계석들이 정렬 위치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불필요한 사후관리나 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미끄럼방지용 경계석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미끄럼방지용 경계석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미끄럼방지용 경계석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미끄럼방지용 경계석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미끄럼방지용 경계석의 또 다른 변형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 5는 도 4의 변형례에서 인접한 경계석을 연결하기 위한 이음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우선 본 명세서상에서 사용되는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조하여 특정하면,
경계석(BS) 본체(10)를 기준으로 인도(F)로 쪽을 ‘전방’이라 하고, 그 반대쪽인 인도(F) 쪽을 ‘후방’이라 특정하며,
그리고 지면 쪽을 ‘하부 또는 하방’이라 하고, 그 반대쪽은 ‘상부 또는 상방’이라 특정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미끄럼방지용 경계석은
본체(10); 및 상기 본체(10) 상부에 구비되고, 요부(凹部) 또는 철부(凸部) 또는 요철부(凹凸部)(22) 형태를 이루는 미끄럼방지수단(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미끄럼방지용 경계석에서, 상기 본체(10)는
장방형 형태의 블록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10)는 시멘트와 모래를 적정 비율로 배합된 모르타르나 또는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진다.
다만 본 고안에 따른 본체(10)의 경우 그 상면과 전면은 외부로 노출되나,
본체(10)의 하면은 지면과 맞닿고, 또 그 후면은 보도블록과 하부를 채우는 흙이나 골재에 맞닿아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이 경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상면과 전면의 경우에는 도로(R) 미관과 주변 환경과의 조화를 위하여 대리석 또는 다양한 석재를 사용하거나, 또는 타일 형태의 외장재(10A)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리고 상기 외장재(10A) 내부는 외장재(10A)의 형태 유지와 본체(10)가 일정 이상의 웨이트(weight)를 갖도록 모르타르나 콘크리트를 채워 형성되는 내장재(10B)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외장재(10A)의 성형성 및 경제성을 고려한 합성수지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외장재(10A)는 일정한 탄성을 갖는 엘라스토머(elastomer)나 우레탄 계열의 재질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는 경계석(BS) 중에서 특히 전면의 경우에는 차량과의 충돌이나 접촉 시 외장재(10A)가 충격을 흡수 및/또는 차단함으로써 경계석(BS)의 파손이나 손상을 방지하고, 경계석(BS)이 밀려 정렬위치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사후관리나 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경계석(BS)의 본체(10) 전면에는 반사부재(18)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는 도로를 주행하는 자동차가 특히 야간 운행시 자동차의 라이트 불빛이 반사부재에 의하여 반사되어 운전자에게 경계석(BS)의 시인성을 좋게함으로써
운전자의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고, 또한 이를 통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외장재(10A)의 전면부(12) 전면에도 상기 반사부재(18)가 부착되어 상기와 같은 동일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하에서는 상기 외장재(10A)와 내장재(10B)로 이루어지는 본체(10)의 구성을 보다 면밀하게 살펴보면,
상기 외장재(10A)는 본체(10)의 상면을 이루고, 이하에서 설명하게 될 미끄럼방지수단(20)이 구비되는 디딤부(11)와,
그리고 상기 디딤부(11)와 이어지고, 본체(10)의 전면을 이루는 전면부(12)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ㄱ’ 형태를 갖게 된다.
다만 도 4에 도시된 형태는 도 3과 달리 외장재(10A)를 이루는 디딤부(11), 전면부(12), 연결부(13)가 각각 분체화되어 연결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아울러 상기 내장재(10B)는 상기 외장재(10A)의 내부를 모르타르나 콘크리트 등으로 채운 장방형의 블록 형태를 이루게 된다.
즉 상기 본체(10)의 외장재(10A)는 상기 내장재(10B)를 성형하기 전에 미리 제작되고, 이 경우 상기 외장재(10A)는 상기 내장재(10B)를 성형하기 위한 거푸집 역할을 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본체(10)의 성형이 더욱 쉽고 간편하여 그 생산성 및 조립성을 높여 경제성을 제고(提高)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상기 본체(10)의 외장재(10A) 및 내장재(10B)는 상호 이질적인 재질인 것을 감안하여 상호 간의 부착력을 보강하기 위한 부착력강화수단(AM)을 도입하여
외장재(10A)와 내장재(10B)의 결합력을 높여 성형 후 각 구성의 분리나 이탈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부착력강화수단(AM)은
상기 외장재(10A)의 디딤부(11) 또는 전면부(12), 또는 이들 모두에 형성된 암 또는 수걸림부와,
상기 내장재(10B)의 상면 또는 전면, 또는 이들 모두에 형성되고, 상기 외장재(10A)의 각 걸림부에 대응하는 수 또는 암걸림부와, 그리고
상기 내장재(10B)의 후면에 형성된 암걸림부 또는 수걸림부를 포함하여 이루 어진다.
다만 도 3 및 도 4에는 상기 외장재(10A)의 디딤부(11) 및 전면부(12)에 암걸림부(15)가 구비되고, 상기 내장재(10B)의 상면 및 전면에는 외장재(10A)의 암걸림부(15)에 대응하는 수걸림부(16)가 구비되며, 상기 내장재(10B)의 후면에는 암걸림부(15)가 형성된 경우만을 특정하여 설명하겠으나,
이러한 특정된 설명이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축소하거나 그 물리적인 형상이 특정되는 것이 아님을 밝힌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부착력강화수단(AM)에서 상기 외장재(10A)의 암걸림부(15)는 단면 형상이
상기 디딤부(11) 하부에 상광하협(上廣下狹)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아울러 상기 전면부(12) 후면에 전광후협(前廣後狹)의 형태로 이루어진 복수의 요홈(15a)으로 단면 형상이 상기 요홈(15a)의 내측으로 갈수록 그 면적을 확대하는 확장부(15c)가 구비되고,
상기 암걸림부(15)는 디딤부(11) 및 전면부(12)에 흩어진 형태나, 또는 일렬 또는 다수의 열로 정렬된 형태로 이루지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장재(10A)의 암걸림부(15)는 단면 형상이 디딤부(11)의 경우에는 요홈(15a)의 내측 상면이, 아울러 상기 전 면부(12)의 경우에는 요홈(15a)의 내측 전면이 각각 곡선 형태를 갖는 곡선부(15b)가 형성되나,
이 경우 도 3 및 도 4의 도시와 달리 상기 외장재(10A)의 암걸림부(15)의 요홈(15a)에서 단면 형상이 확장되는 확장부(15c)에도 곡선부(15b)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부착력강화수단(AM)에서 상기 내장재(10B)의 수걸림부(16)는 모르타르나 콘크리트 등을 상기 외장재(10A)에 타설하고 양생하게 되면 상기 암걸림부(15)의 각 요홈(15a)에 모르타르나 콘크리트가 채워지면서 암걸림부(15)의 요홈(15a) 형상에 상응하는 형태의 수걸림부(16)가 형성되어 암걸림부(15)와 연결되고,
이 경우 상기 암걸림부(15)와 수걸림부(16)는 접촉 면적이 점층적으로 확장되는 도브테일 형태를 이루어 상기 외장재(10A)와 내장재(10B) 상호간의 부착력 및/또는 접착력을 보강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상기 각 걸림부(15)(16)의 곡선부(15b)는 상기 요홈(15a)이 각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요홈(15a)의 모서리 부분에 응력이 집중되는 현상으로 외장재(10A)가 깨지거나 또는 쪼개지는 등 외장재(10A)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며,
특히 이러한 문제는 요홈(15a)의 깊이가 깊을수록 더욱 가중되므로 상기 요 홈(15a)의 깊이가 너무 깊이지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상기 곡선부(15b)에 의하여 특정 부분에 집중되는 응력을 요홈(15a) 전체로 분산함으로써 외장재(10A)의 내구성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내장재(10B)의 후면에 형성되는 암걸림부(15)는 보도블록 하부를 채우는 흙이나 골재 등에 의하여 채워짐으로써 흙이나 골재와 부착력 또는 결합력을 보강할 수 있게 되어,
경계석이 정렬선에서 도로 쪽으로 밀려나오거나 돌출되어 도로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하고, 또 보도블록과 경계석 간의 틈새가 형성되어 이용자가 걸려 넘어지거나, 또는 도로를 운행하는 차량과의 충돌 등을 차단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음수단(CM)은
상기 외장재(10A)의 디딤부(11) 및 전면부(12)와 이어지고, 상기 내장재(10B)의 양측면을 감싸는 연결부(13)가 더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13)의 각 외측면에 형성되어 상호 인접한 외장재(10A)를 엇물리는 형태로 연결시키게 된다.
우선 상기 외장재(10A)의 디딤부(11)와 전면부(12)는 상호 이질적인 재질이거나 또는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다만 상기 외장재(10A)의 전면 부(12)는 차량의 충돌이나 접촉 시 그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부재인 우레탄이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상기 디딤부(11)는 석재나 타일로 이루어거나 또는 상기 전면부(12)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는 것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상에서는 상기 외장재(10A)는 석재나 타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부(12)는 합성수지재로 일정한 충격에 대한 흡수력 및/또는 탄성력을 갖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즉 상기 외장재(10A)의 디딤부(11) 하부에는 암걸림부(15)가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12) 후면에도 암걸림부(15)가 형성되어 내장재(10B)와 결합되고,
아울러 상기 연결부(13)는 전면부(12)의 양측에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연결부(13) 상부 전방에는 상기 디딤부(11)와의 분리 방지를 위한 전방분리방지돌기(P1)과 그 후방에는 후방분리방지돌기(P2)가 형성되어 디딤부(11)과 연결부(13)의 결합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부(12)와 연결부(15)의 상면이 상기 디딤부(11) 하면에 연결되는데, 이 경우에도 상기 전면부(12) 및 연결부(15) 상면에는 각각 수걸림부(16)가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디딤부(11) 하면에는 이에 대응하는 암걸리부(15)가 형성되며,
이 경우 전면부(12)와 연결부(15)의 상면의 면적을 고려할 때 외장재(10A)와 내장재(10B)의 부착력강화수단(AM)의 각 걸림부의 사이즈를 줄여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또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음수단(CM)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각 연결부(13)의 외측면 중심부에 형성되며,
일측 연결부(13)에는 돌기(13a)가 형성되는 경우, 그 반대쪽의 연결부(13)에는 삽입홈(13b)이 형성됨으로써(이 경우 돌기와 삽입홈은 각 연결부 하부나 또는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경계석(BS)을 나란히 연결하는 경우 상호 인접한 외장재(10A)는 각각 맞닿는 연결부(13)의 돌기(13a)가 삽입홈(13b)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정 무게를 넘는 경계석(BS)의 정렬 위치를 특별히 신경 쓰지 않고 쉽고 결합시킬 수 있으며,
또한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도 상기 이음수단(CM)에 의하여 상호 지지력을 통하여 정렬선을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사후관리나 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연결부(13)의 돌기(13a)와 삽입홈(13b)의 두께와 깊이는 연결부(13)의 상면의 면적을 고려할 때 연결부(13)의 상면 면적을 절반을 넘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인접한 경계석을 연결하는 경우 경계석 간의 틈새가 벌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연결부의 돌기는 외측 방향으로 좁아지도록 형성하고, 이에 삽입홈은 내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하여 상기 돌기가 삽입홈으로 원활한 진입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이음수단(CM)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컨대 첨부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인접한 외장재가 맞닿는 연결부에 각각 상하 방향에서 결합될 수 있도록 이음수단을 도입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는 일정 이상의 무게가 나가는 경계석을 들어 올려 상호 결합하기 위해서는 경계석을 리프팅하기 위한 장비나 노동력이 요구되고, 또한 그 노고가 커 비경제적이므로
본 고안에 따른 이음수단(CM)과 같이 동일 선상에 경계석(BS)을 내려놓은 상태에서 경계석(BS)을 측면으로 상호 밀어 넣는 방식을 통하여 경계석을 설치하는 것이 노동력 절감과 작업의 효율성 면에서 유리하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미끄럼방지용 경계석에서, 상기 미끄럼방지수단(20)은
상기 본체(10) 상부에 구비되고, 요부(凹部) 또는 철부(凸部), 또는 요철부(凹凸部)(22)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미끄럼방지수단(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자체가 단일 형태의 블록인 경우에는 그 상부에 요철을 형성하고, 본체(10)의 전방 모서리 부분은 만곡진 형태의 만곡부(14)가 형성되며,
상기 만곡부(14)에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끄럼방지수단(20)이 구비되며, 이 경우 만곡부(14)에 요철부를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점을 감안하여 미끄럼방지 기능을 가는 우레탄 시트(24)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10)가 외장재(10A)와 내장재(10B)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외장재(10A)의 디딤부(11) 상부에 상기 미끄럼방지수단(20)인 요철부(22)가 형성되며,
이 경우 역시 상기 디딤부(11) 전방 모서리 부분에는 만곡부(14)가 형성되고, 상기 만곡부(14)에 미끄럼방지수단(20)인 우레탄 시트(24)가 부착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미끄럼방지수단(20)은 특히 버스 승차장이나 횡단보도 등과 같이 이용자들이 경계석(BS)을 밟고 디딤이 빈번한 장소에서 이용자,
특히 장애인이나 노약자 등을 위해 본체(10) 상부나 또는 본체(10)의 디딤부(11) 상부에 형성되는 요부 또는 철부, 또는 요철부(22) 형태로 이루어진 미끄럼방지수단(20)에 의하여 이용자들이 경계석(BS)을 밟고 디디는 경우 이용자가 미끄러져 불의의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미끄럼방지수단(20)이 요철 형태로 이루어져 특히 시각 장애인들이 발 에서 느껴지는 감각에 의하여 미끄럼방지수단(20)을 인식할 수 있고, 동시에 인도(F)로 도로(R)를 구분하기 위한 경계석(BS)임을 인식함으로써 도로(R) 쪽으로 낙상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불의의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미끄럼방지수단(20)의 미끄럼방지 기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도르락 망치나 날망치 등을 이용하여 요철부(22)의 표면을 잘게 찍어 형성하는 잔다듬 가공이나 와이어 브러쉬를 이용한 브러쉬 가공을 통하여 미끄럼방지수단(20)의 요철부(22) 표면에 거칠기를 주어
미끄럼방지수단(20)을 이용자가 밟고 디디는 경우 요철부(22)의 표면 거칠기에 의하여 미끄럼 방지가 보다 확실하게 보장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인 미끄럼방지용 경계석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미끄럼방지용 경계석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미끄럼방지용 경계석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미끄럼방지용 경계석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미끄럼방지용 경계석의 또 다른 변형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 5는 도 4의 변형례에서 인접한 경계석을 연결하기 위한 이음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BS : 경계석 F : 인도
R : 도로 AM : 부착력강화수단
CM : 이음수단
10 : 본체 10A : 외장재
10B : 내장재 11 : 디딤부
12 : 전면부 13 : 연결부
13a : 돌기 13b : 삽입홈
14 : 만곡부 15 : 암걸림부
15a : 요홈 15b : 곡선부
15c : 확장부 16 : 수걸림부
18 : 반사부재
20 : 미끄럼방지수단 22 : 요철부
24 : 우레탄 시트

Claims (4)

  1. 본체; 및
    상기 본체 상부에 구비되고,
    요부(凹部) 또는 철부(凸部), 또는 요철부(凹凸部) 형태를 이루는 미끄럼방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 전면에는 반사부재가 부착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미끄럼방지수단이 구비되고, 본체의 상면을 이루는 디딤부와,
    상기 디딤부와 분체화되어 연결되고, 본체의 전면을 이루며 완충부재로 이루어진 전면부와, 그리고
    상기 디딤부 및 전면부와 분체화되어 연결되고, 본체의 양측면을 이루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외장재; 및
    상기 외장재 내부를 채우는 내장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외장재와 내장재는 상호 부착력을 보강하기 위한 부착력강화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부착력강화수단은
    상기 외장재의 디딤부 또는 전면부, 또는 이들 모두에 형성된 암 또는 수걸림부와,
    상기 내장재 상면 또는 전면, 또는 이들 모두에 형성되고, 상기 외장재의 각 걸림부에 대응하는 수 또는 암걸림부와, 그리고
    상기 내장재 후면에 형성되고, 흙 채움을 위한 암걸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외장재 및 내장재의 각 걸림부는 도브테일(dove-tail) 형태로 연결되며,
    상기 각 걸림부의 접촉면 일부 또는 전부에는 응력 집중을 방지하기 위해 단면 형상이 곡선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용 경계석.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재에서
    상기 연결부의 각 외측면에는 상호 인접한 외장재를 연결시키기 위한 이음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용 경계석.
KR2020090004509U 2009-04-15 2009-04-15 미끄럼방지용 경계석 KR2004463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4509U KR200446327Y1 (ko) 2009-04-15 2009-04-15 미끄럼방지용 경계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4509U KR200446327Y1 (ko) 2009-04-15 2009-04-15 미끄럼방지용 경계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6327Y1 true KR200446327Y1 (ko) 2009-10-20

Family

ID=41562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4509U KR200446327Y1 (ko) 2009-04-15 2009-04-15 미끄럼방지용 경계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32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33520A (zh) * 2015-09-29 2015-12-09 安徽华普节能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醒示路沿石
KR102246940B1 (ko) * 2019-11-22 2021-05-03 (주)다나엠 경계석 안전장치
KR20230161074A (ko) * 2022-05-18 2023-11-27 주식회사 에이치티 미끄럼 방지형 도로 경계석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4664Y1 (ko) * 2001-03-20 2001-10-08 강연구 도로경계블럭
KR200311171Y1 (ko) * 2003-02-06 2003-04-21 민덕규 경계석
KR200396358Y1 (ko) * 2005-06-21 2005-09-21 이혜옥 폐프라스틱을 이용한 도로경계블럭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4664Y1 (ko) * 2001-03-20 2001-10-08 강연구 도로경계블럭
KR200311171Y1 (ko) * 2003-02-06 2003-04-21 민덕규 경계석
KR200396358Y1 (ko) * 2005-06-21 2005-09-21 이혜옥 폐프라스틱을 이용한 도로경계블럭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33520A (zh) * 2015-09-29 2015-12-09 安徽华普节能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醒示路沿石
KR102246940B1 (ko) * 2019-11-22 2021-05-03 (주)다나엠 경계석 안전장치
WO2021101021A1 (ko) * 2019-11-22 2021-05-27 주식회사 다나엠 경계석 차량 이탈방지 및 보행자 보호 안전장치
KR20230161074A (ko) * 2022-05-18 2023-11-27 주식회사 에이치티 미끄럼 방지형 도로 경계석
KR102644814B1 (ko) * 2022-05-18 2024-03-07 주식회사 에이치티 미끄럼 방지형 도로 경계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9596B1 (en) Textured tile system and installation method
KR102330579B1 (ko) 횡단보도 신호등에 연동 제어되는 바닥신호등 및 그 시공방법
US20060227009A1 (en) Truncated safety come warning system
KR200446327Y1 (ko) 미끄럼방지용 경계석
KR100984019B1 (ko) 조립식 횡단보도
KR101156419B1 (ko) 미끄럼 방지기능을 갖는 횡단보도의 보도블럭
KR101210690B1 (ko) 보차도용 안전표시판
JP4179466B2 (ja) 弾性床マット
KR101843988B1 (ko) 횡단보도 진출입로의 도로경계석
US2033028A (en) Pavement curb
KR102246940B1 (ko) 경계석 안전장치
JP3713527B2 (ja) 車両の走行速度抑制用舗装体
KR101081725B1 (ko) 경계석용 패드
JP2004169369A (ja) 舗装板及び盲人の歩行誘導用舗装板
KR20090035865A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
KR200245941Y1 (ko) 과속방지턱이 구비된 횡단보도
KR100989448B1 (ko) 보차도 포장용 투수블록 홀더 및 이를 이용한 보차도 포장 공법
KR100734468B1 (ko) 바닥포장용 블럭
CN211621086U (zh) 一种高强度不锈钢盲道条
KR101622766B1 (ko) 과속방지턱
EP1845194A1 (en) Modular member for manufacturing raised walking or road planes and process for laying such modular member
KR200427704Y1 (ko) 경계석 부착용 미끄럼방지 표지판
CN211522700U (zh) 一种基于箱涵的路面铺设结构
KR200212558Y1 (ko) 인터록킹형 도로 경계블록
JP3051853U (ja) 路面用クッションタイ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