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2558Y1 - 인터록킹형 도로 경계블록 - Google Patents

인터록킹형 도로 경계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2558Y1
KR200212558Y1 KR20000024793U KR20000024793U KR200212558Y1 KR 200212558 Y1 KR200212558 Y1 KR 200212558Y1 KR 20000024793 U KR20000024793 U KR 20000024793U KR 20000024793 U KR20000024793 U KR 20000024793U KR 200212558 Y1 KR200212558 Y1 KR 2002125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undary block
road
concrete
boundary
inter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000247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주
Original Assignee
길미숙
주식회사유창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길미숙, 주식회사유창기술공사 filed Critical 길미숙
Priority to KR200000247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25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25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25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01C11/222Raised kerbs, e.g. for sidewalks ; Integrated or portable means for facilitating ascent or desc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6Installations on the floor, e.g. special surfaces, to guide blin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1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 A61H2003/063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with tactile percep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2Paving elements vertically interloc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4Puzzle-like connec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고안은 도로의 포장면 또는 길 어깨의 연선 혹은 보도와 차도의 경계에 연접하여 설치하는 도로 경계블록에 관한 것으로, 본고안의 목적은 경계석 바닥면이 기초지반과의 엇물림 효과를 증진시키고, 이웃하는 블록들끼리 맞물리도록 하여서, 콘크리트 경계블록에 작용하는 응력을 분산시킴으로써, 종방향 및 입체방향의 기울임을 완전히 해소하기 위한 인터록킹형 도로 경계블록을 제공하는데 있으며, 전체적으로 폭과 높이보다는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콘크리트제 도로 경계블록(10)에 있어서, 상기 경계블록(10)의 바닥면에 격자형태로 튀어나온 리브(11)를 일정간격으로 형성하여서, 도로 기층과의 접속력이 증대되도록 한 것을 기술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하며, 현재 콘크리트 경계블록의 충격식 매립 방법을 완전히 보완하여서 경계블록들끼리의 연계성을 확보하여 주며, 바닥면(하면) 접속력 증대·마찰력강화·엇물림 효과 증진으로 별도의 기초 레벨링 콘크리트 타설없이 버림 콘크리트만을 타설한 후 설치할 수 있게 되므로 시공성·경제성 및 유지관리 차원에서의 용이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터록킹형 도로 경계블록{Interlocking Type Curb}
본고안은 도로의 포장면 또는 길 어깨의 연선 혹은 보도와 차도의 경계에 연접하여 설치하는 도로 경계블록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조적으로 안정되어 경계블록의 종방향, 입체방향의 수직도 및 수평도가 유지되도록 한 인터록킹형 도로 경계블록에 관한 것이다.
도로 경계블록은 차도와 보행자 도로의 구분 구역 설정, 자전거 도로와 보행자 도로와의 구분, 보행자 도로와 타용도 부지와의 경계표시 등을 하기 위한 도로 시설물이다.
이러한 도로 경계블록은 대부분의 경우 콘크리트 제품으로 기성된다.
종래, 콘크리트제 도로 경계블록은 전체적으로 폭과 높이보다는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제작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 콘크리트제 도로 경계블록은 바닥면이 매끄럽게 형성되기 때문에 기초 레벨링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이 콘크리트가 굳지 않은 상태에서 콘크리트 블록의 자중에 의한 충격식 다짐으로 기초 레벨링의 속으로 일정부분 매입하여 안정시키는 방법을 통하여 도로방향(종방향)과 입체방향(폭방향) 방향의 선형을 맞추어 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을 통해 설치된 종래의 콘크리트 경계블록은, 콘크리트의 양생중 콘크리트 속에 포화된 수분의 탈수현상에 의하여, 양생이 완료 된 후 불규칙한 종방향, 입체방향의 선형으로 어긋나게 되어 양호한 품질의 도로 시설물을 얻을 수가 없었다.
또한, 콘크리트 경계블록을 자중에 의한 충격다짐 방식으로 설치하기 때문에 경계블록이 기초 콘크리트의 규정깊이까지 매입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블록의 바닥 정착상태가 불안정하기 때문에, 설치후 일정기간이 지나게 되면 배면토압 또는 충격에 의해 불규칙하게 기울어지거나 전도되어 도시 미관을 해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블록을 이용하여 설치된 도로 경계블록은 일정기간이 경과하게 되면 도로 시설물 유지 관리차원에서 보수가 불가피하며, 이로 인해 과도한 유지관리 비용이 소모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고안은 상기한 콘크리트 블록이 가지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이다.
따라서, 본고안의 목적은 경계석 바닥면이 기초지반과의 엇물림 효과를 증진시키고, 이웃하는 블록들끼리 맞물리도록 하여서, 콘크리트 경계블록에 작용하는 응력을 분산시킴으로써, 종방향 및 입체방향의 기울임을 완전히 해소하기 위한 인터록킹형 도로 경계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고안의 다른 목적은 장애자가 도로의 경계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턱이 없는 보도 및 자전거도로의 경계선상에 설치할 수 있게 하여 주는 인터록킹형 도로 경계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터록킹형 도로 경계블록의 사시도
도2는 본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터록킹형 도로 경계블록의 사시도
도3은 본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인터록킹형 도로 경계블록의 사시도
도4는 본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경계블록의 설치상태 측단면도
도5는 본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경계블록의 설치상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경계블록 11:리브 12:결합돌기
13:결합홈 14:엠보싱 c:버림 콘크리트
이하, 본고안의 기술구성을 본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 내지 도3에는 본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도로 경계블록들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들 도면에서 동일한 명칭이 부여되는 각 실시예들의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였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고안의 도로 경계블록은 전체적으로 폭과 높이보다는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콘크리트제 도로 경계블록(10)에 있어서, 상기 경계블록(10)의 바닥면에 격자형태로 튀어나온 리브(11)를 일정간격으로 형성하여서, 도로 기층과의 접속력이 증대되도록 한 것을 기술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경계블록(10)의 양측 마구리면들에는 상호 암수형태로 정합되는 결합돌기(12) 및 결합홈(13)들이 형성되어서, 도로의 경계를 구축할 때 상기 결합돌기(12) 및 결합홈(13)들을 끼워 맞춰 조립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리브(11)는 역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어서 구조적인 강성을 보다 높이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구성을 갖고 도1에 도시되는 본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인터록킹형 도로 경계블록은 그 결합돌기(12) 및 결합홈(13)들이 사다리꼴형상의 평단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그리고, 본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도2의 인터록킹형 도로 경계블록은 그 결합돌기(12) 및 결합홈(13)들이 반원형상의 평단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본고안의 제3실시예로 예시되는 도3의 인터록킹형 도로 경계블록은 제3실시예에 의한 경계블록은 장애자가 도로의 경계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턱이 없는 보도 및 자전거도로의 경계선상에 설치할 수 있게 한 것으로, 그 경계블록 (10)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위쪽으로 돌출되는 엠보싱(14)을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하고 있는 특징을 갖는다.
한편, 본고안에 의한 경계블록은 무색으로 제작하여도 무방하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칼라를 도포시켜서 미관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구성을 가지는 본고안은 도로의 경계구역에 위치되어서, 도4의 도시와 같이 별도의 기초 레벨링 콘크리트 타설없이 버림 콘크리트(c)만을 타설한 후 설치하게 되며, 이때 본고안의 경계블록(10)은 바닥면에 형성된 리브 (11)가 버림 콘크리트(c)에 엇물리게 되므로, 접속력이 증대되고 마찰력이 강화되어 지반위에 안정적으로 정착된다.
또한, 도5의 도시와 같이 경계블록(10)의 마구리면들에 형성된 결합돌기(12) 및 결합홈(13)들이 맞물리면서 고강력 콘크리트 접합제를 통해 이웃하는 블록들끼리 연결되어서 시설물 전체가 하나로 엮어지는 연계성을 확보하게 되므로, 구조적으로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인 도로 시설물을 얻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고안의 인터록킹형 도로 경계블록은 블록의 바닥면에는 리브를 형성하고 마구리면들에는 이웃하는 블록들끼리 상호 맞물리는 결합돌기 및 결합홈들을 형성함으로써, 기초지반과의 엇물림 효과가 증진되고 콘크리트 경계블록의 힘의 분산효과를 나타내어 종방향 및 입체방향의 기울임을 완전히 해소하여 준다.
또한, 차량의 충돌시 및 배면토압 증가에 의한 블록별 전도우려가 없는 일체형 시공방법을 제공하게 됨으로써 유지 관리하는데 비용절감 효과가 크다.
따라서, 본고안의 인터록킹형 경계블록은 현재 콘크리트 경계블록의 충격식 매립 방법을 완전보완, 경계블록들끼리의 연계성을 확보하여 주며, 바닥면(하면) 접속력 증대, 마찰력강화, 엇물림 효과 증진으로 별도의 기초 레벨링 콘크리트 타설없이 버림 콘크리트만을 타설한 후 설치할 수 있게 되므로 시공성, 경제성 및 유지관리 차원에서의 용이성이 향상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전체적으로 폭과 높이보다는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콘크리트제 도로 경계블록(10)에 있어서, 상기 경계블록(10)의 바닥면에 격자형태로 튀어나온 리브(11)를 일정간격으로 형성하여서, 도로 기층과의 접속력이 증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록킹형 도로 경계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블록(10)의 양측 마구리면들에는 상호 암수형태로 정합되는 결합돌기(12) 및 결합홈(13)들이 형성되어서, 도로의 경계를 구축할 때 상기 결합돌기(12) 및 결합홈(13)들을 끼워 맞춰 조립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록킹형 도로 경계블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블록(10)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위쪽으로 돌출되는 엠보싱(14)을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하여서, 장애자가 도로의 경계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턱이 없는 보도 및 자전거도로의 경계선상에 설치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록킹형 도로 경계블록.
KR20000024793U 2000-08-31 2000-08-31 인터록킹형 도로 경계블록 KR2002125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24793U KR200212558Y1 (ko) 2000-08-31 2000-08-31 인터록킹형 도로 경계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24793U KR200212558Y1 (ko) 2000-08-31 2000-08-31 인터록킹형 도로 경계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2558Y1 true KR200212558Y1 (ko) 2001-02-15

Family

ID=41139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00024793U KR200212558Y1 (ko) 2000-08-31 2000-08-31 인터록킹형 도로 경계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255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72816A1 (en) * 2007-12-05 2009-06-11 Sin Oh Hwang Dry construction method of boundary stone
KR100945590B1 (ko) * 2009-09-16 2010-03-09 (주)나비콘건설 자전거 도로와 보차도용 경계석을 포함하는 경계석 및 이 시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72816A1 (en) * 2007-12-05 2009-06-11 Sin Oh Hwang Dry construction method of boundary stone
KR100945590B1 (ko) * 2009-09-16 2010-03-09 (주)나비콘건설 자전거 도로와 보차도용 경계석을 포함하는 경계석 및 이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40768C (en) Paving stone
US7845122B2 (en) Efficiently installable and durable embedment tile for producing tactilely-detectable surfaces
US7425106B2 (en) Concrete pavers positioned in a herringbone pattern
JP3469203B2 (ja) 舗設用ブロック構造体及びその施工方法
CA2389952A1 (en) Interlocking paving stone
KR100711569B1 (ko) 포장용 블록
US20140270946A1 (en) Modular concrete unit and an assembly thereof
KR200212558Y1 (ko) 인터록킹형 도로 경계블록
US20100104361A1 (en) Manufactured road marker for pedestiran crossing and all kinds of roadways
KR20120013623A (ko) 차도용 투수형 골재 셀 블록
JP6144319B2 (ja) 境界ブロック
KR200301571Y1 (ko) 삼각형 연접돌기 및 홈 부 보도블록
JP4495566B2 (ja) 舗装用ブロック
JP3851473B2 (ja) 舗装構造
CN214168616U (zh) 一种城市干道节点的道路
JP2014173291A (ja) 境界ブロック
JP3831359B2 (ja) 舗設用ブロック及びその施工方法
CN214459333U (zh) 一种具有路沿的透水道路结构
KR200167359Y1 (ko) 보도블록
KR100543689B1 (ko) 도로의 보도용 보도 블럭 침하방지 구조
CN220394651U (zh) 一种骑跨车行道边线的井盖结构
KR200380691Y1 (ko) 보도블록
KR200167358Y1 (ko) 보도블록
JP3175636B2 (ja) 張り出し歩道の構築方法
KR200410633Y1 (ko) 보도 및 차도 일체 시공형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