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4468B1 - 바닥포장용 블럭 - Google Patents

바닥포장용 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4468B1
KR100734468B1 KR1020070004853A KR20070004853A KR100734468B1 KR 100734468 B1 KR100734468 B1 KR 100734468B1 KR 1020070004853 A KR1020070004853 A KR 1020070004853A KR 20070004853 A KR20070004853 A KR 20070004853A KR 100734468 B1 KR100734468 B1 KR 100734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ides
blocks
sidewalk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4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우
Priority to KR1020070004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44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4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4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01C5/006Individual space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02Paving elements having fixed spacing fea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의 인도, 고속도로의 휴게소, 공원이나 주차장, 정원 등등의 땅바닥을 포장하는데 사용되는 바닥포장용 블럭에 관한 것으로, 상,하면은 평면이나 요철면으로 형성되고, 전·후·좌·우 사방 측면은 평탄면이나 굴곡면으로 형성되며, 또한 상,하면과 사방 측면이 만나는 사방 가장자리부분 각각은 경사진 상,하측 경사면으로 형성된 블럭에 있어서,
상기 블럭의 사방 측면의 둘레는 상측 경사면의 하단의 둘레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도록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사방 측면의 상부에는 상기한 상측 경사면 하단보다 낮은 위치에 단층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블럭, 상측 경사면, 하측 경사면, 사방 측면, 단층턱, 수평단층면, 경사단층면

Description

바닥포장용 블럭{block}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블럭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블럭의 설치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 블럭의 단층턱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블럭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종래 기술의 보도블럭 일례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종래 기술의 보도블럭 설치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블럭 11 : 상면
12 : 하면 13 : 사방 측면
2 : 상측 경사면 3 : 하측 경사면
4 : 단층턱 41 : 수직면
42 : 수평단층면 43 : 경사단층면
5 : 구획선 6 : 모따기 경사면
본 발명은 도로의 인도, 고속도로의 휴게소, 공원이나 주차장, 정원 등등의 땅바닥을 포장하는데 사용되는 바닥포장용 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도, 휴게소, 공원, 주차장, 정원 등의 땅바닥을 보도블럭을 사용하여 포장하고 있다.
통상 보도블럭은 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의 육면체로 형성된 것과, 측면 사면이 톱니모양이나 기타 다양한 모양을 이루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 대부분이며, 또한 기존의 보도블럭들은 육면체의 상,하면과 사방 측면이 만나는 가장자리부분이 직각을 이루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었는바, 이러한 보도블럭들은 도로의 인도를 비롯하여 고속도로의 휴게소, 공원, 주차장 등의 땅바닥을 깨끗하고 아름답게 포장하게 된다.
상기 보도블럭으로 땅바닥을 포장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보도블럭을 설치하고자 하는 땅바닥을 수평하게 정지작업을 한 후 흙이나 모래 등을 일정높이로 수평하게 깔아준 다음 그 위에 보도블럭들을 설계에 맞추어 서로 인접하도록 차례대로 깔아주는 방법으로 설치하게 되며, 다수의 보도블럭을 일정면적 설치하였을 때에는 서로 인접 설치된 보도블럭들 사이에 생긴 틈새에 흙이나 모래를 채워주므로써 보도블럭끼리 서로 부딪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움직이지 않고 제자리에 고정되어 있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땅바닥에 설치된 보도블럭들은 서로 인접하는 것끼리 부딪치게 되는 현상으로 인하여 주로 직각상으로 만나는 상면과 일측면의 가장자리부 분이 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보도블럭들은 서로 인접하는 것끼리 일체적으로 결합된 상태로 설치되지 않고 서로 인접하는 보도블럭들 사이사이에 생긴 틈새에 메워진 흙이나 모래에 의해 고정되어 있기는 하지만 각기 독립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우천시 보도블럭 위로 흐르는 빗물 등에 의해 보도블럭들 사이의 틈새를 메운 흙이나 모래가 씻겨나가거나 또 보도블럭을 받쳐주고 있는 흙, 모래 등이 부분적으로 유실될 경우에는 그 흙이나 모래가 유실된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보도블럭을 보행하는 사람들이 밟게 되면 그 보도블럭은 사람의 체중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거나 또는 일측으로 밀려나는 현상이 발생될 때 서로 이웃해 있는 보도블럭들은 주로 서로 마주하는 면의 상단부분끼리 부딪치게 되는데, 보도블럭의 상면과 사방 측면이 만나는 가장자리부분이 직각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그 가장자리부분이 강도가 가장 취약하기 때문에 보도블럭끼리 부딪치는 과정에서 강도가 취약한 가장자리부분이 쉽게 깨어지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심한 경우에는 일단 서로 부딪치는 가장자리부분이 깨어진 보도블럭은 강도가 약해져 그 깨진 부분을 기점으로 파단되는 폐단이 발생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 보도블럭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근래에 와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도블럭(100)의 상,하면(110)(120)과 사방 측면(130)이 만나는 상,하측 가장자리부분(140)(150)을 경사면으로 모따기 가공하는 구조로 형성하는 수단으로 보도블럭의 상,하면의 사방 가장자리부분이 잘 깨어지지 않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상,하측 가장자리부분이 직각상으로 형성된 것에 비하여 강도가 강해져 잘 깨어지지는 않겠지만 그러나 사람보다 훨씬 무거운 차량 등에 의해 서로 이웃해 있는 보도블럭끼리 강하게 부딪치게 될 때에는 경사면으로 된 상,하측 가장자리부분(140)(150)이 깨어지는 단점은 여전히 나타나게 된다.
예를 들어, 주차장이 구비된 건물을 가로지르는 인도에는 건물 주차장으로 차량이 진입 및 진출할 수 있는 차량 유도로가 형성될 수밖에 없는데, 이와 같이 보도블럭으로 포장된 인도에 건물의 주차장으로 연결되는 차량 유도로는 대부분 인도와 마찬가지로 보도블럭(100)을 깔아놓고 있으므로 그 차량 유도로에 설치된 보도블럭들은 주차장을 출입하는 차량의 하중에 의해 도 7의 도시와 같이 서로 인접하는 보도블럭(100) 끼리 상측 가장자리부분(140)이 서로 강하게 부딪치는 될 때에는 그 상측 가장자리부분(140)이 깨어지는 현상(도 7의 가상선부분 참조)이 나타나게 되며, 이렇게 상측 가장자리부분(140)이 깨어진 보도블럭(100)들은 인도 전체의 외관을 해치게 될 뿐 아니라 심한 경우에는 깨진 부분을 기준으로 해서 보도블럭(100)이 파단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건물 주차장으로 차량을 안내하도록 인도에 형성된 차량 유도로에 설치된 보도블럭(100)들만 차량에 노출되어 있지 않고 인도에 설치되어 있는 보도블럭(100)들 전체가 인도에 불법적으로 주차 및 정차하는 차량들로 인해 깨어지고 파단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는 서로 인접하게 설치되는 보도블럭들 사이사이의 틈새에 메워지는 흙이나 모래가 유실되면 보도블럭끼리 부딪치기 때문에 일어나므로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보도블럭과 보도블럭 사이에 두께가 얇은 나무나 플 라스틱 재질로 된 격리판을 삽입시키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으나, 통상 보도블럭의 설치구조상 격리판을 일직선상으로 설치하는 것이 매우 까다롭고 어려웠으며, 더우기 보도블럭이 반듯한 육면체 형상이 아니라 사방측면이 톱니모양과 같이 울퉁불퉁한 보도블럭일 경우에는 격리판을 설치할 수 없기 때문에 보도블럭들 사이사이에 격리판을 끼워넣어 보도블럭을 설치하는 방법은 실용화되질 못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땅바닥을 포장하기 위하여 서로 인접하도록 설치되는 각 블럭들끼리 서로 마주하는 면과 면이 맞닿은 상태로 설치되었거나 또는 미세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었더라도 서로 이웃하는 각 블럭들의 상측 가장자리부분은 서로 부딪치는 일이 나타나지 않도록 하며, 또한 땅바닥을 포장하는 각 블럭들의 사방 상측 가장자리부분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키는 구획선이 형성되도록 하므로서 땅바닥을 포장하는 블럭들을 다양한 모양으로 조립설치하였을 때 그 설치된 모양이 잘 나타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각 블럭들의 상측 가장자리부분이 깨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서 땅바닥에 설치된 블럭들의 사용수명을 현저하게 연장시킬 수 있는 바닥포장용 블럭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하면은 평면이나 요철면으로 형성되고, 전·후·좌·우 사방 측면은 평탄면이나 굴곡면으로 형성되며, 또한 상,하면과 사방 측면이 만나는 사방 가장자리부 분들은 경사진 상,하측 경사면으로 형성된 블럭에 있어서,
상기 블럭의 사방 측면의 둘레는 상측 경사면의 하단의 둘레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도록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사방 측면의 상부에는 상기한 상측 경사면 하단보다 낮은 위치에 단층턱이 형성되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단층턱은 상측 경사면의 사방 하단 둘레부분에서 하향을 향해 2∼15mm의 높이로 형성되는 수직면과 상기한 수직면과 직각을 이루면서 사방 측면의 둘레를 향해 1∼5mm의 폭으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수평단층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층턱은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면과 이 수직면에 대하여 둔각을 이루도록 하향으로 경사진 경사단층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사방 측면의 네모서리부분에는 모따기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 블럭의 설치상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블럭의 설치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블럭의 단층턱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블럭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부호 1은 땅바닥을 포장하는 블럭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블럭(1)은 점토, 시멘트 등의 재료로 성형된다.
상기 블럭(1)은 대체로 육면체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하면(11)(12)은 수평한 평면상으로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수평을 이루는 요철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전·후·좌·우 사방 측면(13)은 수직상으로 평탄한 평면으로 형성(도 1 참조)되어 있거나 또는 단면이 톱니모양 등으로 굴곡진 굴곡면으로 형성(도 5 참조)되어 있다.
또한 상기 블럭(1)은 상,하면(11)(12) 각각의 사방 가장자리부분은 사방 측면(13)을 향해 하향 및 상향으로 경사진 상,하측 경사면(2)(3)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블럭(1)의 사방 측면(13) 상부에 외측으로 확장된 단층턱(4)을 형성하므로서 땅바닥을 포장하기 위하여 블럭(1)들을 인접시켜서 설치하였을 때 서로 이웃하는 각 블럭(1)들끼리 상측 경사면(2)이 서로 부딪치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도 1 및 도 2의 도시와 같이 상기 블럭(1)의 사방 측면(13)은 블럭(1)의 상면(11)의 사방 가장자리부분에 경사진 상태로 형성된 상측 경사면(2) 하단의 둘레 단면적보다 더 큰 단면적을 가지도록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사방 측면(13)의 상부에 형성되는 단층턱(4)은 상측 경사면(2) 하단의 둘레와 같은 단면적을 가지면서 하향을 향해 수직상으로 형성되는 수직면(41)과 상기한 수직면(41)의 하단에서 직각을 이루도록 외측을 향해 수평상으로 형성되는 수평단층면(42)으로 형성(도 2 참조)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단층턱(4)을 형성하는 수직면(41)의 상,하 높이는 블럭(1)의 두께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대략 2∼15mm 범위내로 형성되며, 수평단층면(42)의 좌,우 폭은 1∼5mm 범위내로 형성되는데, 이는 블럭(1)들을 서로 인접시켜서 땅바닥을 포장하였을 때 서로 인접 설치된 블럭(1)들 각각의 상측 경사면(2) 사이사이에 일정간격의 구획선(5)이 선명하게 형성되게 함과 동시에 서로 이웃하는 블럭(1)들의 상측 경사면(2)끼리 부딪치는 현상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함이다. 만약 단층턱(4)의 수직면(41) 상,하 높이가 2mm 이하로 형성되었다고 가정할 경우에는 수평단층면(42)과 상측 경사면(2)이 너무 가깝게 근접해 있는 상태가 되어 상기한 수평단층면(42)에 충격이 가해져 깨어지게 될 때 발생되는 크랙이 상측 경사면(2)까지 전달될 우려가 있어 상측 경사면(2)도 함께 깨어지는 폐단이 발생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한 수직면(41)의 높이가 15 mm 이상으로 높게 형성되었다고 가정할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사방 측면(13)의 상,하 폭이 너무 낮아져 블럭(1) 자체가 불안정한 상태가 되어 블럭(1)이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게 되며, 이에 의해 서로 이웃하는 블럭(1)들의 상측 경사면(2)끼리 부딪치는 현상이 나타나 깨어지는 폐단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층턱(4)의 수평단층면(42)의 좌,우 폭이 1mm 이하로 형성되었을 경우에는 서로 이웃하는 블럭(1)들의 상측 경사면(2) 사이의 간격이 너무 좁게 형성되어 상측 경사면(2)끼리 부딪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상기한 수평단층면(42)의 좌,우 폭이 5mm 이상일 경우에는 서로 이웃하는 블럭(1)들의 상측 경사면(2)들 사이 간격이 너무 넓어져 사람들의 보행에 불편을 주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여성들이 즐겨 신는 하이힐과 같이 뾰죽한 뒷굽이 블럭(1)들 사이사이에 형성된 넓은 구획선에 끼이게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단층턱(4)의 수직면(41)의 상,하 높이는 2∼15mm 범위내로, 수평단층면(42)의 좌,우 폭은 1∼5mm 범위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수직면(41)은 5mm 내외, 수평단층면(42)의 경우에는 3mm 내외로 형성하는 것이 가장 적당하다.
또한 상기 단층턱(4)은 도 4의 도시와 같이 수직면(41)에 대하여 사방 외측을 향해 확장되는 단층면을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경사단층면(43)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이 경사진 경사단층면(43)은 수평상으로 형성된 수평단층면(42)에 비하여 강도가 보강된 상태이므로 서로 이웃하는 블럭(1)의 사방 측면(13)끼리 서로 부딪칠 때 단층턱(4)이 잘 깨어지지 않도록 하는 특징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블럭(1)은 사방 측면(13)의 네모서리부분에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상,하면(11)(12)의 가장자리부분에 형성된 상,하측 경사면(2)(3)과 같이 대각선 방향으로 테이퍼진 모따기 경사면(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단층턱(4)은 도 1의 도시와 같이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으로 제작되는 블럭(1)에 적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도 5의 도시와 같이 사방 측면(13)이 톱니모양으로 굴곡진 블럭(1)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는 블럭 등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블럭(1)은 땅바닥을 포장하고자 할 때 블럭 자체의 규격과 형상 등에 따라 다양한 모양을 이루도록 도 3의 도시와 같이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배열 설치되는데, 서로 인접 설치되는 각 블럭(1)들은 도 2의 도시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블럭의 사방 측면(13)이 미세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거나 또는 맞닿은 상태로 배열되더라도 사방 측면(13)의 상부에 단층지게 형성된 단층턱(4)에 의하여 상측 경사면(2)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땅바닥을 포장하기 위해 설치된 블럭(1)들 위를 보행하는 사람들의 발걸음에 밟히거나 또는 오토바이를 비롯하여 자동차가 지나갈 때 서로 이웃하는 블럭(1)들이 서로 부딪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더라도 상측 경사면(2)끼리는 부딪치지 않고 사방 측면(13)들끼리만 부딪치게 되는데, 이 경우 서로 이웃하는 사방 측면(13)의 상부에 형성된 단층턱(4)끼리 서로 부딪쳐 깨어지는 현상이 발생될 때에는 단층턱(4)의 수평단층면(42) 또는 경사단층면(43) 부분만 깨어지게 될 뿐이며, 단층턱(4)의 수평단층면(42) 또는 경사단층면(43)에 가해진 충격은 수직면(41)에 의해 차단되어 상측 경사면(2)까지 전달되지 않게 되므로서 땅바닥에 포장 설치된 각 블럭(1)들의 상면(11) 사방 가장자리부분에 형성된 상측 경사면(2)은 깨어지지 아니한 상태를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서로 인접하게 배열설치되는 각 블럭(1)들은 사방 측면(13) 상부에 형성된 단층턱(4)에 의해 서로 이웃하는 블럭과 블럭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된 구획선(5)을 형성시키게 되므로서 블럭(1)을 다양한 모양으로 배열설치하였을 때 그 배열모양을 뚜렷하게 표현시킬 수 있게 되므로서 도로의 인도 등의 바닥을 아름답게 장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도로의 인도, 고속도로의 휴게소, 주차장, 공원 등의 땅바닥을 포장하기 위하여 인접하게 배열 설치되는 블럭들이 서로 이웃하는 것끼리 블럭 상면의 사방 가장자리부분에 형성된 상측 경사면이 서로 부딪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며, 이러한 효과는 블럭으로 포장된 도로의 인도, 고속도로의 휴게소, 주차장 등에서 차량이 블럭 위를 지나가게 되더라도 서로 이웃하는 블럭들의 상측 경사면끼리 부딪치지 않게 되므로서 블럭의 상면이 깨어지는 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어 블럭으로 포장된 장소를 유지보수비를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경제적인 장점을 제공한다.

Claims (4)

  1. 상,하면은 평면이나 요철면으로 형성되고, 전·후·좌·우 사방 측면은 평탄면이나 굴곡면으로 형성되며, 또한 상,하면과 사방 측면이 만나는 사방 가장자리부분 각각은 상,하측 경사면으로 형성된 블럭에 있어서,
    상기 블럭의 사방 측면의 둘레는 상측 경사면의 하단의 둘레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도록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사방 측면의 상부는 상측 경사면 하단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단층턱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포장용 블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단층턱은 상측 경사면의 사방 하단 둘레부분에서 하향을 향해 2∼15mm의 높이로 형성되는 수직면과 상기한 수직면과 직각을 이루면서 사방 측면의 둘레를 향해 1∼5mm의 폭으로 형성되는 수평단층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포장용 블럭.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층턱은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면과 상기한 수직면에 대하여 둔각상을 이루도록 하향으로 경사진 경사단층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포장용 블럭.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사방 측면의 네모서리부분에는 모따기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포장용 블럭.
KR1020070004853A 2007-01-16 2007-01-16 바닥포장용 블럭 KR100734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4853A KR100734468B1 (ko) 2007-01-16 2007-01-16 바닥포장용 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4853A KR100734468B1 (ko) 2007-01-16 2007-01-16 바닥포장용 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4468B1 true KR100734468B1 (ko) 2007-07-03

Family

ID=38502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4853A KR100734468B1 (ko) 2007-01-16 2007-01-16 바닥포장용 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44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083B1 (ko) * 2011-07-12 2012-06-26 (주)자연과환경 틈새블록
KR101643343B1 (ko) * 2016-01-27 2016-08-1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로 포장용 블럭 및 이를 이용한 블럭 설치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9096Y1 (ko) 2003-04-17 2003-07-07 이인숙 가로수 급수용 합성수지 블록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9096Y1 (ko) 2003-04-17 2003-07-07 이인숙 가로수 급수용 합성수지 블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083B1 (ko) * 2011-07-12 2012-06-26 (주)자연과환경 틈새블록
KR101643343B1 (ko) * 2016-01-27 2016-08-1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로 포장용 블럭 및 이를 이용한 블럭 설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4222B2 (en) Embedment plate for pedestrian walkways with reinforced projections
US8528278B2 (en) Embedment tile with replaceable top plate
US7845122B2 (en) Efficiently installable and durable embedment tile for producing tactilely-detectable surfaces
US9027290B2 (en) Embedment plate for pedestrian walkways with reinforced projections
US6485226B1 (en) Flexible plastic curb
US20050066623A1 (en) Efficiently installable and durable embedment tile for producing tactilely-detectable surfaces
US9398996B2 (en) Embedment plate for pedestrian walkways with reinforced projections
KR200468253Y1 (ko) 교량 및 법면의 확장형 인도교
KR100892419B1 (ko) 투수성 도로 경계용 측구
KR100734468B1 (ko) 바닥포장용 블럭
US1881376A (en) Traffic guard
US5302047A (en) Pedestrian safety barrier
KR101843988B1 (ko) 횡단보도 진출입로의 도로경계석
US20100104361A1 (en) Manufactured road marker for pedestiran crossing and all kinds of roadways
US4402627A (en) Runner to keep off snowplows
KR101861570B1 (ko) 내구성이 우수한 확장형 인도교
KR100589444B1 (ko) 건축구간 부대시설용 보도블록 설치구조
US3363521A (en) Traffic safety deflectors
KR20110106531A (ko) 바닥포장용 블럭
KR102132812B1 (ko) 도로의 경계석과 보도블럭 사이의 방초구조
KR100543689B1 (ko) 도로의 보도용 보도 블럭 침하방지 구조
KR101175671B1 (ko) 교량용 방호벽 및 그를 이용한 교량
KR100966905B1 (ko) 안전펜스 기능을 갖는 도로안전경계석
KR100636630B1 (ko) 건축단지 내 보도침하 방지구조
KR20220108496A (ko) 블록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