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5671B1 - 교량용 방호벽 및 그를 이용한 교량 - Google Patents

교량용 방호벽 및 그를 이용한 교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5671B1
KR101175671B1 KR1020090109531A KR20090109531A KR101175671B1 KR 101175671 B1 KR101175671 B1 KR 101175671B1 KR 1020090109531 A KR1020090109531 A KR 1020090109531A KR 20090109531 A KR20090109531 A KR 20090109531A KR 101175671 B1 KR101175671 B1 KR 101175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barrier
barrier wall
lower portion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9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2842A (ko
Inventor
신지문
Original Assignee
신지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지문 filed Critical 신지문
Priority to KR1020090109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5671B1/ko
Publication of KR20110052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2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5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5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차량이 충돌되는 부분에 대응하여 돌출되므로 강도가 향상되고 차량 충돌시 전도나 전복 등의 위험성을 감소시키도록, 교량의 상판 윗면으로부터 일정한 폭과 높이로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하여 설치되는 방호벽 하부와, 방호벽 하부에서 상향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하여 설치되고 교량 안쪽을 향하는 일측면이 볼록하게 돌출되는 것에 의하여 돌출부가 형성되는 방호벽 상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교량용 방호벽을 제공한다.
교량, 다리, 방호책, 방호벽, 차량, 충돌, 배수, 배수덮개, 돌출

Description

교량용 방호벽 및 그를 이용한 교량 {Protection Wall for Bridge and Bridg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교량용 방호벽 및 그를 이용한 교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충돌에 대한 강성이 우수하게 유지되고 차량이 전도될 위험성을 감소시키며 교량의 배수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한 교량용 방호벽 및 그를 이용한 교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통행하는 차량 등의 하중을 직접 지지하는 부분인 상판와 상기 상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빔 등으로 이루어지는 상부구조와, 상기 상부구조를 바닥으로부터 받쳐서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교각과 교대 등으로 이루어지는 하부구조로 구성되며, 교량에 따라서 상부구조와 하부구조로 분리가 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교량은 상기 상부구조와 하부구조 이외의 부속구조로서, 방호벽, 조명, 노면 배수시설, 신축이음, 통신관, 수도관 등이 첨가되기도 하며, 상기에서 방호벽은 일정한 높이로 만든 벽 모양의 방호책으로서, 차량의 도로 이탈을 막기 위한 기능을 행하므로 교량의 매우 중요한 부분 중 한 부분이다.
상기 방호벽은 강변도로, 해안도로, 산악도로 등에도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주로 철근 콘크리트 구조를 취한다.
종래 교량(2)에 설치되는 방호벽(6)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량(2)의 상부구조를 이루는 상판(4) 가장자리에 대략 1.2m 정도의 높이로 형성하여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방호벽(6)은 구조적인 안정성이나 콘크리트 등의 원재료 절감 등의 이유를 들어 상부(8)의 두께(T2)에 비하여 하부(7)의 두께(T1)를 더 크게 형성하여 설치된다.
즉 종래 방호벽(6)은 교량(2)의 상판(4) 윗면으로부터 일정 높이까지 내측 및 외측면이 수직을 이루도록 일정한 두께로 형성하여 설치되는 하부(7)와, 상기 하부(7)에서 상향 연장되도록 형성하여 설치되고 교량(2) 안쪽을 향하는 내측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에 의하여 위쪽 끝부분으로 갈수록 두께가 서서히 감소되는 상부(8)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방호벽(6)은 차량(100) 충돌시 바퀴(101)가 방호벽(6)에 가장 먼저 닿으면서 내측면을 올라탈 수 있으므로 차량(100)이 전도되거나 전복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 방호벽(6)이 설치되는 교량(2)에 있어서는 노면의 배수를 위한 배수구(5)가 상기 방호벽(6)의 내측 인근에 위치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교량의 경우 보행자나 차량이 방호벽에 인접하면서 배수구(5)에 보행자의 발이나 차량의 바퀴가 빠지거나 걸리는 등 원활한 통행에 지장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내측면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에 의하여 차량 충돌시 범퍼가 먼저 충돌하고 충돌지점의 강성이 우수하게 유지되는 것이 가능하며 배수를 용이하게 하는 교량용 방호벽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호벽의 돌출부 하부에 배수구가 설치되므로 보행자나 차량을 배수구로부터 보호하고 원활한 통행이 가능하며 배수가 용이한 교량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교량용 방호벽은 교량의 상판 윗면으로부터 일정한 폭과 높이로 수직으로 돌출하며 형성 설치되는 방호벽 하부와, 상기 방호벽 하부에서 상향으로 수직으로 연장하여 형성 설치되고 교량 안쪽을 향하는 일측면이 볼록하게 돌출되는 것에 의하여 돌출부가 형성되는 방호벽 상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돌출부는 내측으로 최대로 돌출된 정상 부분이 상기 교량의 상판 윗면으로부터 대략 50~80cm 정도의 높이로 설정되게 형성하여 설치된다.
상기에서 방호벽 하부는 상판 윗면으로부터 대략 20~40cm 정도의 높이로 형성하여 설치되고, 방호벽 상부는 상기 방호벽 하부보다 대략 2~5배 정도의 높이로 형성하여 설치된다.
상기 방호벽 하부 및 방호벽 상부는 철근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교량의 상판 가장자리 끝부분에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설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이 제안하는 교량은 교각과 교대 등으로 이루어지는 하부구조와, 상기 하부구조에 받쳐져 지지되고 상판을 구비하는 상부구조와, 상기 상부구조의 상판 가장자리 부분에서 상향으로 수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상기 방호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교량의 상판에는 상기 방호벽 하부 내측면에 인접하도록 배수구가 더 형성하여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배수구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판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형성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배구구멍과, 상기 배수구멍을 연결하는 개수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방호벽 및 그를 이용한 교량에 의하면, 차량이 주로 충돌되는 부분에 돌출부가 구비되므로 충격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차량 충돌시 방호벽의 파괴로 인해 교량으로부터 차량이 낙하하는 사고 등의 위험성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방호벽 및 그를 이용한 교량에 의하면, 돌출부가 방호벽 하부보다 내측으로 돌출되므로 차량의 바퀴가 방호벽 하부 등과 충돌하기에 앞서 범퍼가 먼저 돌출부에 충돌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종래 차량의 바퀴가 방호벽 하부에 먼저 부딪치며 타고 올라가 차량이 전복되거나 전도되는 등의 위험성이 감소하므로 차량파손 최소화하고 탑승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방호벽 및 그를 이용한 교량에 의하면, 돌출부의 하부 공간을 활용하여 방호벽 하부 내측면에 인접하도록 배수구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교량의 노면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배수구를 위한 공간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어지거나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교량의 폭을 감소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방호벽 및 그를 이용한 교량에 의하면, 돌출부에 의하여 보행자나 차량, 자전거 등이 배수로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해주므로 배수구에 보행자의 발이나 바퀴 등이 빠지거나 걸리는 등의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에 따라 배수구를 덮는 배수덮개가 불필요하게 될 수도 있으므로 배수시설에 소요되는 시공비의 절약이 가능하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방호벽 및 그를 이용한 교량에 의하면, 배수구가 돌출부에 가려져 외부에서 잘 보이지 않으므로 교량의 노면 등 미관을 향상 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방호벽 및 그를 이용한 교량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방호벽(20)의 일실시예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량(10)의 상판(16) 윗면으로부터 일정한 폭과 높이로 수직으로 돌출하며 형성 설치되는 방호벽 하부(21)와, 상기 방호벽 하부(20)에서 상향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하여 설치되고 돌출부(26)가 형성되는 방호벽 상부(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돌출부(26)는 상기 방호벽 상부(24)의 교량(10) 안쪽을 향하는 일측면이 볼록하게 돌출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돌출부(26)를 형성하여 설치하면, 차량(100) 등의 충돌시 주로 가장 먼저 충격이 가해지게 되는 방호벽 상부(24)의 강도가 우수해지므로 보다 향상된 충격강도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돌출부(26)는 차량(100) 충돌시 차량(100)의 범퍼(102) 부분과 정상 부분(27)이 일치하도록 정상 부분(27)의 높이를 상기 교량(10)의 상판(16) 윗면으로부터 대략 50~80cm 정도로 설정되도록 형성하여 설치된다.
상기 방호벽 하부(21)는 대략 상기 상판(16)으로부터 대략 20~40cm 정도의 높이로 형성하여 설치된다.
상기 방호벽 상부(24)는 상기 방호벽 하부(21)보다 대략 2~5배의 높이로 형 성하여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방호벽 하부(21)는 30cm, 방호벽 상부는 90cm가 되며, 방호벽 하부(21)와 방호벽 상부(24)를 합한 높이가 120cm가 되도록 형성하여 설치된다.
상기 돌출부(26)의 표면은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정상부분(27)을 기준으로 아래쪽 부분에 비해 위쪽 부분을 완만한 경사를 갖는 곡면으로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방호벽 하부(21) 및 방호벽 상부(24)는 철근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교량(10)의 상판(16) 가장자리에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설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교량(10)의 일실시예는 도 3~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구조(11)와, 상기 하부구조(11)에 받쳐져 지지되는 상부구조(14)와, 상기 방호벽(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구조(11)는 예를 들면, 교량(10) 끝부분에 위치하는 한쌍의 교대(12)과, 상기 교대(12)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단수 또는 복수의 교각(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구조(14)는 상판(16)을 구비하며, 상기 상판(16)의 하부에는 빔(15)이 가로 및 세로로 형성하여 설치된다.
상기 상판(16)의 윗면에는 아스팔트 등을 이용하여 포장층(16a)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방호벽(20)은 철근 콘크리트구조로서 상기 상판(16)의 가장자리 끝부분에서 상향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하여 설치된다.
상기 방호벽(20)은 상기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호벽과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10)에 있어서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판(16)의 상기 방호벽 하부(21) 내측면과 인접하는 위치에 배수구(17)를 형성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배수구(17)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상판(16)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형성하여 설치되는 배구구멍(18)과, 상기 배수구멍(18)을 서로 연결하는 개수로(19)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방호벽 및 그를 이용한 교량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첨부한 도면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내에 속한다.
도 1은 종래 방호벽이 설치된 교량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교량용 방호벽을 나타내는 측면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방호벽 및 그를 이용한 교량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방호벽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 확대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호벽 및 그를 이용한 교량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호벽 및 그를 이용한 교량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배수구를 나타내는 평면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도이다.

Claims (7)

  1. 교량의 상판 윗면으로부터 일정한 폭과 높이로 수직으로 돌출하며 형성 설치되는 방호벽 하부와,
    상기 방호벽 하부에서 상향으로 수직으로 연장하여 형성 설치되고 교량 안쪽을 향하는 일측면이 볼록하게 돌출되는 것에 의하여 돌출부가 형성되는 방호벽 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내측으로 최대로 돌출된 정상 부분이 상기 교량의 상판 윗면으로부터 50~80cm의 높이로 설정되게 형성하여 설치하고,
    상기 방호벽 하부의 높이는 상기 상판 윗면으로부터 20~40cm로 형성하여 설치하고,
    상기 방호벽 상부의 높이는 상기 방호벽 하부보다 2~5배 높게 형성하여 설치하는 교량용 방호벽.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호벽 하부 및 방호벽 상부는 철근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교량의 상판 가장자리에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설치하는 교량용 방호벽.
  4. 교각과 교대 등으로 이루어지는 하부구조와, 상기 하부구조에 받쳐져 지지되고 상판을 구비하는 상부구조와, 상기 상부구조의 상판 가장자리 부분에서 상향으로 수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방호벽을 포함하고,
    상기 방호벽은 상기 상판의 윗면으로부터 일정한 폭과 높이로 수직으로 돌출하며 형성 설치되는 방호벽 하부와, 상기 방호벽 하부에서 상향으로 수직으로 연장하여 형성 설치되고 교량 안쪽을 향하는 일측면이 볼록하게 돌출되는 것에 의하여 돌출부가 형성되는 방호벽 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호벽 하부 및 방호벽 상부는 철근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교량의 상판 가장자리에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설치하고,
    상기 돌출부는 내측으로 최대로 돌출된 정상 부분이 상기 교량의 상판 윗면으로부터 50~80cm의 높이로 설정되게 형성하여 설치하고,
    상기 방호벽 하부의 높이는 20~40cm로 형성하여 설치하고,
    상기 방호벽 상부는 상기 방호벽 하부보다 2~5배 높게 형성하여 설치하는 교량.
  5. 삭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판에는 상기 방호벽 하부 내측면에 인접하도록 배수구를 더 형성하여 설치하는 교량.
  7. 삭제
KR1020090109531A 2009-11-13 2009-11-13 교량용 방호벽 및 그를 이용한 교량 KR101175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9531A KR101175671B1 (ko) 2009-11-13 2009-11-13 교량용 방호벽 및 그를 이용한 교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9531A KR101175671B1 (ko) 2009-11-13 2009-11-13 교량용 방호벽 및 그를 이용한 교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2842A KR20110052842A (ko) 2011-05-19
KR101175671B1 true KR101175671B1 (ko) 2012-08-21

Family

ID=44362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9531A KR101175671B1 (ko) 2009-11-13 2009-11-13 교량용 방호벽 및 그를 이용한 교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567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27Y1 (ko) 2002-09-30 2003-01-06 케이에스엠기술 주식회사 사각 유공관을 이용한 교량의 상판 배수시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27Y1 (ko) 2002-09-30 2003-01-06 케이에스엠기술 주식회사 사각 유공관을 이용한 교량의 상판 배수시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2842A (ko) 2011-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2937B1 (ko) 복합데크를 이용한 교량용 가설인도
US20140334875A1 (en) Jersey Barrier Improvements
KR101018637B1 (ko) 둑을 쌓아 올린 도로나 제방도로 또는 교량에 설치되는 가설인도
KR20150117041A (ko) 기존 교량 콘크리트와 구조적 일체화를 확보한 교량 확장형 인도 및 이의 시공방법
US11111694B2 (en) Safety device for guard rail
KR101175671B1 (ko) 교량용 방호벽 및 그를 이용한 교량
KR101600986B1 (ko) 포장재의 내구성이 우수한 확장형 인도교
KR101185431B1 (ko) 교량용 가설인도
KR101036495B1 (ko) 목재 금속 결합형 가드레일
KR101018638B1 (ko) 둑을 쌓아 올린 도로나 제방도로 또는 교량에 설치되는 가설인도
JP5432317B2 (ja) 排水路を内蔵した多機能防護柵
KR101843988B1 (ko) 횡단보도 진출입로의 도로경계석
KR200390596Y1 (ko) 추락방지 및 충격 흡수형 난간구조물
JP5051324B1 (ja) 歩道用コンクリート版とその設置方法及びこのコンクリート版を用いた仮歩道構造
KR100734468B1 (ko) 바닥포장용 블럭
KR100661270B1 (ko) 공원용 펜스형 도로 경계석
KR101351136B1 (ko) 방호 울타리
JP5688039B2 (ja) 仕切り構造体
KR100589444B1 (ko) 건축구간 부대시설용 보도블록 설치구조
KR200422429Y1 (ko) 충격흡수용 낙석방지책
JP3127873U (ja) 側溝及び枡の蓋構造
KR200423780Y1 (ko) 장식보호커버가 씌워지는 교량용 난간
KR200228230Y1 (ko) 철재방호 울타리
CN213709313U (zh) 一种高速公路用组合式柔性护栏立柱
CN214993369U (zh) 一种公路防护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