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9096Y1 - 가로수 급수용 합성수지 블록 - Google Patents

가로수 급수용 합성수지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9096Y1
KR200319096Y1 KR20-2003-0011809U KR20030011809U KR200319096Y1 KR 200319096 Y1 KR200319096 Y1 KR 200319096Y1 KR 20030011809 U KR20030011809 U KR 20030011809U KR 200319096 Y1 KR200319096 Y1 KR 2003190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ynthetic resin
lower portion
bottom plat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18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숙
Original Assignee
이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숙 filed Critical 이인숙
Priority to KR20-2003-00118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90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90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90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로수 급수용 합성수지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블록들 사이에 열을 이루어 설치되는 합성수지 블록의 무수한 유통공들에 의하여 빗물이 땅속으로 충분히 흡수되어 가로수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본 고안은 합성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그 하부가 개방된 케이스로 형성되며, 상판(11)에는 무수한 유통공(11a)들과 미끄럼 방지용 돌기(11b)들이 연속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칸막이(12)들로 구획된 공간부(13)들이 형성되어 물을 임시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 블록(10)과; 상기 블록(10)의 하부에 결합되며, 무수한 배출공(21)들이 연속 형성된 바닥판(20)과, 상기 블록(10)은 도로에 설치된 보도블록(30)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어 보도블록(30)들 사이에서 열을 이루어 설치되어 가로수(40)에 충분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급수용 합성수지 블록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가로수 급수용 합성수지 블록{a sidewalk block}
본 고안은 가로수 급수용 합성수지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블록들 사이에 열을 이루어 설치되는 합성수지 블록의 무수한 유통공들에 의하여 빗물이 땅속으로 충분히 흡수되어 가로수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수는 도로의 가장자리에서 일정거리를 이루어 심어져 있다. 이러한 가로수는 주로 도시를 외관을 미려하게 장식하는 한편, 토양의 안정화에 따른 침식을 방지하는 기능 및 공기의 정화효과와 함께 방음효과 등을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도시의 인도(人道)나 잘 정비된 공원의 도로 등에서는 도로의 가장자리에 깔려진 보도블록들의 일부를 제거한 후 가로수를 심고 그 둘레에 경계석 과 함께 금속그릴로 이루어진 덮개 등을 설치하여 가로수를 보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전술한 가로수의 주위는 보도블록들이 깔려져 있고 가로수가 심어진 둘레의 경계석 내부에 형성된 작은 지역에만 흙이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비가 내리는 경우에는 대부분의 빗물들이 보도블록의 위를 흘러서 신속하게 배수로를 따라 하천으로 흘러가고, 가로수가 심어진 둘레의 경계석 내부에 형성된 작은 지역에만 빗물이 떨어져 땅에 흡수되는 것이므로 가로수에 충분한수분을 공급할 수 없었다.
특히, 가로수와 같은 수목은 그 뿌리가 땅속으로 넓게 펼쳐지면서 성장해야만 가로수를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수목의 성장에 필요한 수분과 무기염류 등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는 것이나, 수분이 존재하는 곳은 가로수가 심어진 경계석의 테두리 안으로 제한되어 뿌리의 발육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고, 이로 인하여 가로수가 쓰러지거나 고사(枯死)되는 등의 폐단이 발생되었다.
심지어는 가로수의 뿌리가 수분이 많은 곳을 향하여 자라다가 가로수 둘레의 지면을 뚫고 나와 외부에 노출됨에 따라 뿌리의 노출된 부위가 고사되는 폐단이 있었고, 이와 같이 지면을 뚫고 나온 뿌리는 도시의 외관을 해치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보도블록들 사이에 열을 이루어 설치되는 합성수지 블록의 무수한 유통공들에 의하여 빗물이 땅속으로 충분히 흡수되어 가로수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가로수 급수용 합성수지 블록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합성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그 하부가 개방된 케이스로 형성되며, 상판(11)에는 무수한 유통공(11a)들과 미끄럼 방지용 돌기(11b)들이 연속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칸막이(12)들로 구획된 공간부(13)들이 형성되어 물을 임시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 블록(10)과; 상기블록(10)의 하부에 결합되며, 무수한 배출공(21)들이 연속 형성된 바닥판(20)과, 상기 블록(10)은 도로에 설치된 보도블록(30)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어 보도블록(30)들 사이에서 열을 이루어 설치되어 가로수(40)에 충분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급수용 합성수지 블록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분해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블록 10a 가이드봉
11 : 상판 11a : 유통공
11b : 돌기 12 : 칸막이
13 : 공간부 14 : 리브
20 : 바닥판 20a : 걸림공
21 : 배출공 22 : 지지턱
30 : 보도블록 40 : 가로수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블록(10)은 고강도 합성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그 하부가 개방된 케이스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블록(10)의 상판(11)에는 무수한 유통공(11a)들이 일정간격을 이루어 뚫려져 있고, 유통공(11a)들의 사이에는 반구형의 미끄럼 방지용 돌기(11b)들이 연속 형성되어 있다.
물론, 도시된 바로는 유통공(11a)이 원형의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기타 다각형의 구멍들로 형성할 수도 있는 것으로서 본 고안은 꼭 유통공(11a)의 형상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블록(10)의 내부에는 복수의 칸막이(12)들이 구획 형성되어 있고, 칸막이(12)들의 사이에는 공간부(13)들이 각각 형성되어 공간부(13) 내에 물을 임시로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 공간부(13)들은 상판(11)의 유통공(11a)과 연통되어 있고, 유통공(11a)들을 통해 공간부(13)로 빗물이 유입되어 임시 저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상판(11)의 저면에는 보강용 리브(14)들이 격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유통공(11a)은 격자형 리브(14)들 사이에 형성된다.
따라서, 칸막이(12)들과 격자형 리브(14)들은 전체적인 블록(10)의 강도를 강하게 유지하여 전체적인 블록(10)의 내구성을 높여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블록(10)의 상판에 형성된 반구형의 미끄럼 방지용 돌기(11b)들은 합성수지 블록(10)의 특성상 미끄러지기 쉬운 단점을 보완함과 아울러 전체적인 블록(10)의 내구성을 더욱 높여줄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블록(10)의 하부에는 동일한 형상의 바닥판(20)이 결합되어 있고, 바닥판(20)에는 유통공(11a) 보다 크게 형성된 배출공(21)들이 일정간격을 이루어 연속으로 뚫려져 있다.
상기 바닥판(20)은 토양(土壤) 위에 놓여진 상태에서 공간부(13)에 임시 저장된 빗물이 배출공(21)들을 통해 서서히 토양 깊이 배출되도록 하여 주변의 가로수(40)에 미네랄이 풍부한 빗물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가로수(40)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바닥판(20)의 외측 주연부에는 지지턱(22)이 일정높이 돌출되어 있고, 이 지지턱(22)은 블록(10)의 개방된 하부에 결합되어 바닥판(20)이 블록(10)의 하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것이므로 블록(10)의 조립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바닥판(20)의 지지턱(22) 외측에는 복수의 걸림공(20a)들이 형성되어 있고, 블록(10)의 하부에는 복수의 가이드봉(10a)이 돌출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바닥판(20)의 지지턱(22)이 블록(10)의 개방된 하부에 삽입되어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블록(10)의 하부 가이드봉(10a)들이 지지턱(22)의 외측에 형성된 걸림공(20a)에 삽입되어 바닥판(20)이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이므로 구조의 견고성을 높여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블록(10)은 도로에 설치된 보도블록(30)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어 보도블록(30)들과 함께 설치된다. 물론, 도시된 바로는 블록(10)의 측면부가 연속으로 굴곡형성되어 굴곡부들이 서로 결합되도록 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블록(10)이 직육면체나 정육면체 형상을 이루도록 할 수도 있는 것으로서 본 고안은 꼭 블록(10)의 형상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블록(10)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기존의 보도블록(30)들과 함께 설치되면서 1열 또는 2열로 배열되어 가로수(40)들 사이를 연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된 블록(10)들은 떨어지는 빗물이 작은 유통공(11a)들을 통해 블록(10) 내부 공간부(13)에 유입되어 임시 저장되었다가 바닥판(20)의 배출공(21)들을 통해 서서히 토양 깊이 배출되어 주변의 가로수(40)에 미네랄이 풍부한 빗물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는 것이므로 가로수(40)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영양분이 풍부한 물이 공급됨에 따라 가로수(40)의 뿌리가 땅속으로 넓게 펼쳐지면서 정상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것이므로 땅속 깊이 뿌리내린 가로수(40)들이 강풍에도 쓰러지지 않고 굳건히 지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많은 비가 내릴 때는 블록(10)의 유통공(11a)을 통해 유입된 물이 블록(10)의 내부 공간부(13)에 일시 저장되었다가 바닥판(20)의 배출공(21)들을 통해 서서히 지하로 스며드는 것이므로 가로수(40)의 주변 지하에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무수한 블록(10)들 내부 공간부(13)에 빗물이 일시 저장되는 것이므로 집중호우 때에는 빗물의 흐름을 1차 저지하여 하천의 범람을 막을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동시에 가뭄 때에는 지하에 충분한 물을 공급하여 지하수 부족 현상 등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보도블록(30)들 사이에 열을 이루어 설치된 블록(10)들의 유통공(11a)과 공간부(13) 및 배출공(21)을 통해 빗물이 지하로 서서히 스며드는 것이므로 가로수(40)가 설치된 부위 뿐 만 아니라 그 주위 넓은 곳까지 충분한 물이 공급되어 가로수(40)의 뿌리가 땅속으로 깊고 넓게 펼쳐지면서 정상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것으로서 강풍으로부터 가로수(40)를 안정적으로 지탱하여 쓰러지는 등의 폐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수목(樹木)의 성장에 필요한 수분과 무기염류 등을 충분히 흡수하여 가로수(40)의 발육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Claims (2)

  1. 합성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그 하부가 개방된 케이스로 형성되며, 상판(11)에는 무수한 유통공(11a)들과 미끄럼 방지용 돌기(11b)들이 연속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칸막이(12)들로 구획된 공간부(13)들이 형성되어 물을 임시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 블록(10)과;
    상기 블록(10)의 하부에 결합되며, 무수한 배출공(21)들이 연속 형성된 바닥판(20)과,
    상기 블록(10)은 도로에 설치된 보도블록(30)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어 보도블록(30)들 사이에서 열을 이루어 설치되어 가로수(40)에 충분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급수용 합성수지 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10)의 상판(11) 저면에는 보강용 리브(14)들이 격자형으로 형성되고, 바닥판(20)의 외측 주연부에는 지지턱(22)이 일정높이 돌출되어 블록(10)의 개방된 하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며, 바닥판(20)의 지지턱(22) 외측에는 복수의 걸림공(20a)들이 형성되어, 블록(10)의 하부에 돌출된 복수의 가이드봉(10a)들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급수용 합성수지 블록.
KR20-2003-0011809U 2003-04-17 2003-04-17 가로수 급수용 합성수지 블록 KR2003190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809U KR200319096Y1 (ko) 2003-04-17 2003-04-17 가로수 급수용 합성수지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809U KR200319096Y1 (ko) 2003-04-17 2003-04-17 가로수 급수용 합성수지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9096Y1 true KR200319096Y1 (ko) 2003-07-07

Family

ID=49410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1809U KR200319096Y1 (ko) 2003-04-17 2003-04-17 가로수 급수용 합성수지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909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468B1 (ko) 2007-01-16 2007-07-03 주식회사 토우 바닥포장용 블럭
KR200447370Y1 (ko) * 2009-04-15 2010-01-21 한중기반산업 주식회사 하천용 인공어초
KR101689381B1 (ko) * 2015-07-23 2016-12-23 주식회사 세주 투수블록
KR101689380B1 (ko) * 2015-12-09 2016-12-23 주식회사 세주 인조잔디파일이 식모된 투수블록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468B1 (ko) 2007-01-16 2007-07-03 주식회사 토우 바닥포장용 블럭
KR200447370Y1 (ko) * 2009-04-15 2010-01-21 한중기반산업 주식회사 하천용 인공어초
KR101689381B1 (ko) * 2015-07-23 2016-12-23 주식회사 세주 투수블록
KR101689380B1 (ko) * 2015-12-09 2016-12-23 주식회사 세주 인조잔디파일이 식모된 투수블록
WO2017099343A1 (ko) * 2015-12-09 2017-06-15 주식회사 세주 인조잔디파일이 식모된 투수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21035B (ko)
JP3813934B2 (ja) 緑化体
KR200319096Y1 (ko) 가로수 급수용 합성수지 블록
KR101659168B1 (ko) 암반 절개지의 녹화방법
KR20080096317A (ko) 담수 기능을 갖는 보도블록
KR200257598Y1 (ko) 물저장용 자동급수 조경화분
KR101124639B1 (ko) 식생블록
KR20130113907A (ko) 사계절용 식물재배 용기
KR101698129B1 (ko) 식재 지반 조성을 위한 에코파이프 설치방법
KR200175370Y1 (ko) 잔디 블록
KR20130131053A (ko) 수목 보호용 덮개
KR20130085149A (ko) 수목 재배용 용기
KR200280073Y1 (ko) 가로수 급수용 금속블록
KR200340941Y1 (ko) 옹벽블록 겸용 어소블록
KR200370304Y1 (ko) 미끄럼 방지용 돌기가 형성된 투수성 보도블록
TWM461652U (zh) 水土保持植栽磚
KR100597934B1 (ko) 자동급수 화분
KR20130010792A (ko) 물 저장기능을 갖는 옹벽 축조용 블록
JP2546563Y2 (ja) 人工植物栽培床
KR101344073B1 (ko) 토양 내 염분·오염물질 차단, 수분·양분공급 및 과습·유해가스배출의 다목적 시스템
KR200324831Y1 (ko) 식생옹벽
KR200416518Y1 (ko) 수분 보존형 망형 식생블록
KR20070000664U (ko)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
KR200428498Y1 (ko) 잔디 블록
KR200340116Y1 (ko) 가로수 급수용 보도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