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7598Y1 - 물저장용 자동급수 조경화분 - Google Patents

물저장용 자동급수 조경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7598Y1
KR200257598Y1 KR2020010022615U KR20010022615U KR200257598Y1 KR 200257598 Y1 KR200257598 Y1 KR 200257598Y1 KR 2020010022615 U KR2020010022615 U KR 2020010022615U KR 20010022615 U KR20010022615 U KR 20010022615U KR 200257598 Y1 KR200257598 Y1 KR 2002575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space
present
auto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26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인현
최재준
조옥현
Original Assignee
조인현
조옥현
최재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인현, 조옥현, 최재준 filed Critical 조인현
Priority to KR20200100226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75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75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7598Y1/ko

Links

Landscapes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측에 물이 저장되어 있으면서 자동급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물저장용 자동급수 조경화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경화분을 필요에 따라서 연속해서 연결하여 초화를 식재한 후 하측에서 물이 저장되어 자동 급수되도록 하는 물저장용 자동급수 조경화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후방이 일직선으로 형성되며 전방이 경사면(3)으로 형성되고 내부에서 급수공간(12)과 상토공간(13)으로 구획되는 몸체(2)와,
상기 몸체(2)의 후방 중앙에 홈부(4)가 형성되어 고정부재(14)에 연결되는 ㄱ형의 고정고리(5)와,
상기 몸체(2)의 내부에 형성된 지지돌기(8)의 상측으로 다수개의 급수공(10)이 형성된 받침판(9)으로 구성되어 매일 물을 공급하지 않아도 물을 흡수하여 항상 싱싱함을 유지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물저장용 자동급수 조경화분{omitted}
본 고안은 하측에 물이 저장되어 있으면서 자동급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물저장용 자동급수 조경화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경화분을 필요에 따라서 연속해서 연결하여 초화를 식재한 후 하측에서 물이 저장되어 자동 급수되도록 하는 물저장용 자동급수 조경화분에 관한 것이다.
종래 조경화분은 몸체의 하측으로 물이 배출되는 구멍을 성형하고 그 상측으로 상토를 하여 초화식재 후 조경용 화분을 다양한 방법으로 설치하여 다리난간, 울타리, 꽃탑 등 꽃 조형물로 사용되어진다.그러나 종래에 설치되는 조경화분은 매일 물을 공급하게 되며, 공급된 물 중 필요한 양만 토사에 흡수되고 나머지는 하측에 형성된 배수공을 통하여 하측으로 배출된다.또한 화분을 일정한 높이로 설치하여 조형물로 사용되는 경우 공중에 뜬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하측의 배수공을 통하여 공기가 토사를 쉽게 건조시켜 화초의 생육에 필요한 수분이 부족하게 되므로 매일 물을 공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토사의 건조로 인하여 쉽게 시들어 버리고 심하면 말라죽게 되므로 관리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고안은 화분의 내부를 받침판에 의하여 물을 수용하는 급수공간과 토사를 수용하는 상토공간으로 구획하고 받침판에는 다수개의 급수공을 설치하여 화초의 생육에 필요한 수분을 충분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화분을 상, 하, 좌, 우로 자유롭게 연결시켜 다양한 형태의 꽃 조형물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후방이 일직선으로 형성되며 전방이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내부에서 급수공간과 상토공간으로 구획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후방 중앙에 홈부가 형성되어 고정부재에 연결되는 ㄱ형의 고정고리와,상기 몸체의 내부에 형성된 지지돌기의 상측으로 다수개의 급수공이 형성된 받침판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을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일부를 단면한 상태의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 단면도도 4 는 본 고안의 평면도[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1 : 조경화분 2 : 몸체3 : 경사면 4 : 홈부5 : 고정고리 6 : 턱7 : 배출공 8 : 지지돌기9 : 받침판 10 : 급수공11 : 홈 12 : 급수공간13 : 상토공간 14 : 고정부재15 : 고정홈
본 고안의 몸체(2)는 후방이 일자형으로 형성되고 전방이 상측으로 경사면(3)에 의하여 경사지게 돌출되어 상측에 턱(6)을 형성하며, 상측 후방보다 전방이 넓게 형성되고 후방보다는 전방이 낮은 형태를 이루도록 한다.몸체(2)의 후방 중앙에는 사각형 형태의 홈부(4)를 형성하고 상측으로 ㄱ형의 고정고리(5)를 설치한다.내부에는 하측으로 일정간격에 지지돌기(8)를 돌출시켜 상측에 받침판(9)이 고정되도록 하여 받침판(9)을 중심으로 하측에는 물이 저장되는 급수공간(12), 상측에는 토사가 공급되어 초화(16)를 식재하는 상토공간(13)이 설치되도록 하는 조경화분(1)이 구성된다.상기 몸체(2)의 받침판(9) 상측에는 경사면(3)에 일정한 간격으로 3개 정도의 배수공(7)을 형성하여 급수되는 물이 일정한 수위가 되면 배수되도록 하는 것이다.상기 받침판(9)은 홈부(4)에 조립되기 위하여 중앙에 홈(11)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하측에 저장되는 물을 급수하기 위하여 급수공(10)이 다수개 설치된다.또한 조경화분(1)의 몸체(2)와 받침판(9)은 재활용 플라스틱(PP재활용 합성수지)을 이용한 제품으로 성형한다.홈부(4)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홈(15)이 형성된 고정부재(14)가 설치되어 조경화분(1)을 다양한 형태의 꽃 조형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몸체(2)의 내부에 물을 공급하여 바닥부분에서 3cm정도까지 물을 채운다.바닥에 물을 채운 후 받침판(9)을 삽입하면 홈(11)에 의하여 홈부(4)의 내부에 조립되는 동시에 양측에서 돌출되는 다수개의 지지돌기(8)의 상측에 걸리게 된다.이때 지지돌기(8)는 받침대(9)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동시에 몸체(2)의 틀어짐이나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지주 역할을 하는 것이다.몸체(2)의 내부에 받침판(9)의 설치가 완료되면 급수공간(12)과 상토공간(13)으로 분리되므로 상토공간(13)에 토사를 공급한다.토사가 공급된 상토공간(13)의 상측에는 초화(16)를 옮겨 심어 세워진 고정부재(14)의 고정홈(15)에 홈부(4)를 결합시키고 고정고리(5)를 고정홈(15)에 조립하면, 고정고리(5)가 고정홈(15)에 걸려서 조경화분(1)이 일정한 위치에 고정된다.이와 같이 조경화분(1)을 고정부재(14)에 세로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에 설치할 수 있으며, 가로방향으로 고정부재(14)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조경화분(1)을 가로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따라서 조경화분(1)은 고정부재(14)를 이용하여 상, 하, 좌, 우에 연속해서 설치할 수 있으므로 다리난간, 벽면, 육교, 울타리, 방음벽, 탑 등과 같이 꽃 조형물을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설치된 조경화분(1)에는 최상측에서 물을 공급하는 경우 상토공간(13)에 채워진 토사에 물이 충분하게 흡수된 후 급수공간(12)에 채워지게 되며, 급수공간(12)을 넘치게 되면 잔방의 배출공(7)을 통하여 하측으로 공급되는 것이다.따라서 조경화분(1)이 다양하게 설치된 경우에도 상측에 물을 공급하게 되면 하측에 있는 화분에 순차적으로 물이 공급되어 급수공간(12)에 저장된다.또한 급수공간(12)에 저장되는 물은 상토공간(13)의 토사가 건조해지거나 초화(16)에 물이 부족한 경우 뿌리가 받침판(9)에 이르도록 자라나게 되며, 급수공(10)을 통하여 물을 공급받아 항상 싱싱함을 유지하게 되므로 매일 물을 주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여기서 조경화분(1)의 내부에 설치된 급수공간(12)이나 상토공간(13)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시설을 하는 경우에는 초화(16)가 수명을 다하여 시들거나 죽을 때까지 물을 공급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조경화분(1)은 고정부재(14)에 간편하게 조립 및 분리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형태의 꽃 조형물을 설치하는 것이 신속하고 편리하여 신속한 공사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어떠한 구조물에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조경화분에 급수공간이 형성되어 있어서 초화에서 물이 필요한 경우 자연적으로 급수공간에 저장된 물을 흡수하게 되므로 물을 매일 공급하지 않아도 초화가 싱싱함을 항상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재활용 플라스틱을 사용하므로 환경친화적이며, 환경보전적 제품으로 폐기물의 자원화가 가능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제품을 설치하여 철수한 후 반영구적으로 반복 재생가능하며, 파손시 다시 재활용이 가능한 것이다.
본 고안은 여러 가지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며, 조경화분에 초화를 식재하여 캐릭터, 로그, 마크, 원기둥, 사각면체, 원추형, 삼각면체 등 다양한 형태의 꽃 조경물을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설치작업이 용이하고,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저렴한 시공비로 작업이 가능한 것이다.

Claims (3)

  1. 후방이 일적선으로 형성되며 전방이 경사면(3)으로 형성되고 내부에서 급수공간(12)과 상토공간(13)으로 구획되는 몸체(2)와,
    상기 몸체(2)의 후방 중앙에 홈부(4)가 형성되어 고정부재(14)에 연결되는 ㄱ형의 고정고리(5)와,
    상기 몸체(2)의 내부에 형성된 지지돌기(8)의 상측으로 다수개의 급수공(10)이 형성된 받침판(9)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저장용 자동급수 조경화분.
  2. 제1항에 있어서, 급수공간(12)의 상측으로 배수공(7)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저장용 자동급수 조경화분.
  3. 삭제
KR2020010022615U 2001-07-25 2001-07-25 물저장용 자동급수 조경화분 KR2002575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615U KR200257598Y1 (ko) 2001-07-25 2001-07-25 물저장용 자동급수 조경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615U KR200257598Y1 (ko) 2001-07-25 2001-07-25 물저장용 자동급수 조경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7598Y1 true KR200257598Y1 (ko) 2001-12-24

Family

ID=73105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2615U KR200257598Y1 (ko) 2001-07-25 2001-07-25 물저장용 자동급수 조경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7598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401B1 (ko) 2006-05-30 2008-01-07 송홍식 기둥의 화분 및 조형물 거치용 행거 고정구
KR100843322B1 (ko) 2006-07-13 2008-07-03 민용기 다단식 화분대
KR100904922B1 (ko) 2009-01-15 2009-06-29 계룡건설산업 주식회사 빗물을 이용한 벽면녹화공법장치
KR200445708Y1 (ko) * 2009-03-31 2009-08-26 (주) 꼬필래 조경용 화분
KR101099542B1 (ko) * 2010-07-14 2012-03-09 (주) 에코컬쳐 수직 적층에 적합한 화분의 급수 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401B1 (ko) 2006-05-30 2008-01-07 송홍식 기둥의 화분 및 조형물 거치용 행거 고정구
KR100843322B1 (ko) 2006-07-13 2008-07-03 민용기 다단식 화분대
KR100904922B1 (ko) 2009-01-15 2009-06-29 계룡건설산업 주식회사 빗물을 이용한 벽면녹화공법장치
KR200445708Y1 (ko) * 2009-03-31 2009-08-26 (주) 꼬필래 조경용 화분
KR101099542B1 (ko) * 2010-07-14 2012-03-09 (주) 에코컬쳐 수직 적층에 적합한 화분의 급수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2475B1 (ko) 식물 재배 유닛 및 식물 재배 용기
JP3813934B2 (ja) 緑化体
CN108157011B (zh) 一种花箱护栏
KR200257598Y1 (ko) 물저장용 자동급수 조경화분
KR200472746Y1 (ko) 식물 재배 용기
US20050166455A1 (en) Plant pot
KR100840966B1 (ko) 식생매트를 설치하기 위한 받침대
KR100933250B1 (ko) 다리 난간용 화분
KR101460852B1 (ko) 사계절용 식물재배 용기
KR200319096Y1 (ko) 가로수 급수용 합성수지 블록
KR20230000123A (ko) 도로조경용 원목화분
US6339902B1 (en) Propagation tray
KR20110087721A (ko) 거리 경관용 화분
KR101014627B1 (ko) 화분
JP2546563Y2 (ja) 人工植物栽培床
KR200257503Y1 (ko) 자연 급수식 화분
KR20170003332U (ko) 포트 꽂이 화분
GB2497817A (en) Modular living wall system
KR102253876B1 (ko) 패널형 화분 및 이를 구비한 벽면녹화구조물
KR100597934B1 (ko) 자동급수 화분
KR200228643Y1 (ko) 자동 급수 화분
KR200496880Y1 (ko) 내부가 분할되는 화분
KR200329598Y1 (ko) 환경미화를 위한 화분
KR102490127B1 (ko) 절개지용 식생블록
KR200242446Y1 (ko) 이중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O131 Decision on opposition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O072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