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0127B1 - 절개지용 식생블록 - Google Patents

절개지용 식생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0127B1
KR102490127B1 KR1020200186530A KR20200186530A KR102490127B1 KR 102490127 B1 KR102490127 B1 KR 102490127B1 KR 1020200186530 A KR1020200186530 A KR 1020200186530A KR 20200186530 A KR20200186530 A KR 20200186530A KR 102490127 B1 KR102490127 B1 KR 102490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lock body
space
block
vege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6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4870A (ko
Inventor
윤나경
최지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진이노베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진이노베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진이노베이션
Priority to KR1020200186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0127B1/ko
Publication of KR20220094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4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0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0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5Shapes polygon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한 물을 항상 저장하여 갈수(渴水)시기에 식생을 고사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생육하도록한 절개지용 식생블록은;
절개지(a)의 경사면에 설치되는 식생블록(100)에 있어서, 상부에 개방부(11)가 형성되고 내부에 흙이 채워져 식물(b)이 식재될수 있는 식재공간부(12)가 형성된 블록본체(10)와; 상기 식재공간부(12)의 바닥면에 다수개로 형성된 배수통공(20)과; 상기 배수통공(20)들 및 상기 식재공간부(12)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식재공간부(12)의 외측둘레가 상부에 형성된 상부개방부(31)의 내측둘레에 삽입되고 내부에 물이 수용될 수 있는 물수용공간부(32)를 갖는 물수용저장부(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절개지용 식생블록{Vegetation block for cutting area}
본 발명은 절개지용 식생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게는, 일정한 물을 항상 저장하여 갈수(渴水)시기에 식생을 고사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생육하도록한 절개지용 식생블록에 관한 것이다.
절개지용 식생블록의 기술로는;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878716호의 "연결식 축조식생블록"은
연결식 축조식생블록에 있어서,
블록몸체; 상기 블록몸체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방이 개방된 식생공간; 상기 블록몸체의 후면부로부터 일정 길이 만큼 연장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 상기 블록몸체의 일측면의 상단부에서 상기 블록몸체와 일체로 형성된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상의 상측 돌출부; 상기 블록몸체의 타측면의 하단부에서 상기 블록몸체와 일체로 형성된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상의 하측 돌출부; 상기 상측 돌출부의 하측 표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결합돌기; 상기 하측 돌출부의 상측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결합홈; 상기 블록몸체의 후면 하단부에 형성된 하나이상의 배수구멍; 상기 블록몸체의 상단 전방측에 상기 블록몸체의 상측 표면보다 높은 높이로 형성된 전면이탈 방지턱; 및 상기 블록몸체의 상단 후방측에 상기 블록몸체로부터 뻗어있고, 그 단부에는 상기 전면이탈 방지턱의 높이와 같은 높이의 수직돌출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턱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결합돌기 및 상기 결합홈의 수평 단면 형태는 다각형 또는 톱니바퀴 형태를 갖는 것으로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블록몸체의 식생공간에 식재되는 식물은 상기 식생공간에 공급되는 물이 비가 오거나 인위적으로 물을 공급하여 생육되므로 갈수기나 가뭄기간에는 상기 식생공간에서 식재된 식물이 고사되며, 이 고사를 막기위해서 인위적으로 물을 공급하는 것도 한계가 있는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878716호(2009년 1월8일 등록)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절개지의 전방면에 다수개로 설치된 식생블록인 블록본체과, 이 블록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식재공간부와 연통되게 식재공간부의 하부와 물흡수심재들로 연통되어 설치된 물수용저장부로 구비하여서, 이 물수용저장부에 저장된 물로 인해 물의 부족함 없이 물을 장기간 보관하여 식생블록의 식재공간부에 식재된 식물을 갈수(渴水)시기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생육시키도록한 새로운 절개지용 식생블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블록본체의 식생공간부와 연통된 물수용저장부의 외측둘레에 과잉공급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한 물오버플로우 안내턱이 형성되어서 장마철에 물이 식재공간부 및 물수용저장부에 과잉공급되어 식재공간부에 식재된 식물이 과잉공급된 물로 인해 생육지장을 초래하는 것을 예방하도록 한 새로운 절개지용 식생블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절개지(a)의 경사면에 설치되는 식생블록(100)에 있어서,
상부에 개방부(11)가 형성되고 내부에 흙이 채워져 식물(b)이 식재될수 있는 식재공간부(12)가 형성된 블록본체(10)와;
상기 식재공간부(12)의 바닥면에 다수개로 형성된 배수통공(20)과;
상기 배수통공(20)들 및 상기 식재공간부(12)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식재공간부(12)의 외측둘레가 상부에 형성된 상부개방부(31)의 내측둘레에 삽입되고 내부에 물이 수용될 수 있는 물수용공간부(32)를 갖는 물수용저장부(30)로 구성되고;
상기 물수용공간부(32)의 저면에 다수개의 수직으로 기립설치된 지지결합관부(33)와, 상기 지지결합관부(33)는 다수개의 지지대(33a)로 서로 이격되어 원형체로 형성되어 내부에 공간부(33b)가 형성되어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33a)와 상기 지지대(33a)의 사이에 측공간부(33c)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33a)의 상부에는 그 상부외측으로 돌출된 결합돌기(33d)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33d)들은 상기 배수통공(20)에 삽입결합되고, 상기 공간부(33b)와 상기 배수통공(20)에 삽입되는 물흡수심재(33e)가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록본체(10)는 상,하부로 분할된 상부블록본체(10a)와 하부블록본체(10b)로 구분되어 분할되어 구성되고, 상기 상부블록본체(10a)의 전방하부 및 측면하부에 형성된 하부연결홈(c1)과 상기 하부블록본체(10b)의 전방상부 및 측면상부에 형성된 상부연결홈(c2)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상,하부연결홈(c1,c2)들과 마주한 상기 상,하부블록본체(10a,10b)의 내부에 다수개의 연결부재(d)가 이격되어 고정설치되며, 다수개의 볼트(e)가 상기 연결부재(d) 및 상기 상,하부연결홈(c1,c2)들에 관통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수용공간부(32)의 내부에 과잉공급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안내하도록 상기 물수용저장부(30)의 상부 외측둘레에 물오버플로우 안내턱(f)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오버플로우 안내턱(f)은 상기 물수용공간부(32)의 상부내측둘레서 외측으로 수평으로 형성된 수평부(f1)와, 상기 수평부(f1)의 외측에서 하부로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부(f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수용공간부(32)의 저면에 다수개의 수직으로 기립설치된 지지결합관부(33)와, 상기 지지결합관부(33)는 다수개의 지지대(33a)로 서로 이격되어 원형체로 형성되어 내부에 공간부(33b)가 형성되어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33a)와 상기 지지대(33a)의 사이에 측공간부(33c)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33a)의 상부에는 그 상부외측으로 돌출된 결합돌기(33d)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33d)들은 상기 배수통공(20)에 삽입결합되고, 상기 공간부(33b)와 상기 배수통공(20)에 삽입되는 물흡수심재(33e)가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재공간부(12)의 하부면에는 물흡수부재(13)가 설치되어 물의 증발을 막도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흡수부재(13)는 야자수껍질을 직조한 야자수껍질매트 또는 스폰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록본체(10)의 후방은 상기 절개지(a)의 외측면에 형성된 콘크리트층(a1)의 전방과 거리를 두고 설치되고, 다수개의 앵커볼트(g)로 상기 블록본체(10)를 관통하여 상기 콘크리트층(a1)에 관통고정되고, 상기 블록본체(10)의 후방에 수평으로 설치된 수평지지대(h)를 상기 콘크리트층(a1)의 전방면에 지지한후, 상기 블록본체(10)의 후방과 상기 콘크리트층(a1)의 전방사이에 형성된 흙채움공간부(a2)에 흙이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절개지의 전방면에 다수개로 설치된 식생블록인 블록본체와, 이 블록본체의 의 내부에 형성된 식재공간부와 연통되게 식재공간부의 하부와 물흡수심재들로 연통되어 설치된 물수용저장부로 구비하여서 이 물수용저장부에 저장된 물로 인해 물의 부족함 없이 물을 장기간 보관하여 식생블록의 식재공간부에 식재된 식물을 갈수(渴水)시기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생육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블록본체의 식생공간부와 연통된 물수용저장부의 외측둘레에 과잉공급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한 물오버플로우 안내턱이 형성되어서 장마철에 물이 식재공간부 및 물수용저장부에 과잉공급되어 식재공간부에 식재된 식물이 과잉공급된 물로 인해 생육지장을 초래하는 것을 예방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발명에 따른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재공간부의 하부와 물수용저장부를 나타낸 확대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절개지에 설치된 예를 나타낸 개략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안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발명에 따른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재공간부의 하부와 물수용저장부를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절개지에 설치된 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절개지용 식생블록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절개지용 식생블록은 블록본체(10)와, 배수통공(20)과, 물수용저장부(3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100)의 구성인 상기 블록본체(1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블록본체(10)는 상부에 개방부(11)가 형성되고 내부에 흙이 채워져 식물(b)이 식재될수 있는 식재공간부(12)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식재공간부(12)의 하부면에는 물흡수부재(13)가 설치되어 물의 증발을 막고, 물이 상기 물흡수부재(13)에 장기간 체류하여 상기 식재공간부(12)에 설치된 상기 식물(b)에 물을 장기간 원할하게 공급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물흡수부재(13)는 야자수껍질을 직조한 야자수껍질매트 또는 스폰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블록본체(10)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재질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블록본체(10)의 후방하부는 후방하부경사면(14)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후방하부경사면(14)은 상기 절개지(a)의 전방에 형성된 콘크리트층(a1)과, 상기 블록본체(10)의 후방사이에 형성되는 흙채움공간부(a2)에 채워지는 흙층의 전방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어서 상기 후방하부경사면(14)으로 인해 상기 블록본체(10)의 후방이 상기 절개지(a)의 외측면에 보다 안정적으로 설치되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블록본체(10)는 상,하부로 분할된 상부블록본체(10a)와 하부블록본체(10b)로 구분되어 분할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블록본체(10)는 상,하부로 분할된 상부블록본체(10a)와 하부블록본체(10b)로 구분되어 분할되는 것은, 상기 상,하부블록본체(10a,10b)를 분리하여 뛰어난 보관성 및 이동성을 확보하여 설치하고자 하는 상기 절개지(a)의 현장에 가서 조립하여 상기 절개지(a)에 직접조립 설치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블록본체(10)는 상,하부로 분할된 상부블록본체(10a)와 하부블록본체(10b)로 구분되어 분할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블록본체(10a)의 전방하부 및 측면하부에 형성된 하부연결홈(c1)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블록본체(10b)의 전방상부 및 측면상부에 형성된 상부연결홈(c2)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연결홈(c1)의 상부와 상기 상부연결홈(c2)이 서로 결합되어 연결되게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상,하부연결홈(c1,c2)들과 마주한 상기 상,하부블록본체(10a,10b)의 내부에 다수개의 연결부재(d)가 이격되어 고정설치되어 구성된다.
다수개의 볼트(e)가 상기 연결부재(d) 및 상기 상,하부연결홈(c1,c2)들에 관통결합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볼트(e)들로 상기 연결부재(d)는 상기 상,하부블록본체(10a,10b)에 연결되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상,하부블록본체(10a,10b)를 서로 분리하였다가 상기와 같은 상기 연결부재(d) 및 상기 볼트(e)들로 조립 및 분해를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하여서 상기 블록본체(10)의 보관성 및 이동성을 보다 용이하게 확보하도록 한다.
상기 배수통공(20)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배수통공(20)은 상기 식재공간부(12)의 바닥면에 다수개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배수통공(20)들은 상기 블록본체(10)의 하부에 설치되는 물수용저장부(30)에 구비된 지지결합관부(33)들과 연결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배수통공(20)과 상기 지지결합관부(33)에 물흡수심재(33)를 설치하여서 상기 물흡수심재(33)로 인해 상기 식재공간부(12)와 상기 물수용저장부(30)에 물이 순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물수용저장부(3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물수용저장부(30)는 상기 배수통공(20)들 및 상기 식재공간부(12)의 하부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블록본체(10)의 하부외측둘레에 상기 물수용저장부(30)의 상부 내측둘레가 이격되어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식재공간부(12)의 외측둘레인 상기 블록본체(20)의 하부가 상부에 형성된 상부개방부(31)의 내측둘레에 삽입되고 내부에 물이 수용될 수 있는 물수용공간부(32)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블록본체(20)의 하부외측둘레와, 상기 상부개방부(31)이 내측둘레의 사이에 공간(i)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공간(i)으로 상기 블록본체(20)에서 과잉공급되는 물을 상기 물수용저장공간부(30)의 상기 물수용공간부(32)를 거쳐 상기 물수용공간부(32)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공간(i)을 거쳐 상기 물수용공간부(32)의 상부가외둘레에 형성된 물오버플로우 안내턱(f)을 거쳐 상기 물수용공간부(32)의 외측으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블록본체(10)에서 과잉공급되는 물이 상기 배수통공(20)들 및 상상기 지지결합관(33)들을 통해 상기 물수용공간부(32)의 내부에 과잉공급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안내하도록 상기 물수용저장부(30)의 상부 외측둘레에 물오버플로우 안내턱(f)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물오버플로우 안내턱(f)은 상기 물수용공간부(32)의 상부내측둘레서 외측으로 수평으로 형성된 수평부(f1)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부(f1)의 외측에서 하부로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부(f2)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물수용공간부(32)의 저면에 다수개의 수직으로 기립설치된 지지결합관부(33)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결합관부(33)는 다수개의 지지대(33a)로 서로 이격되어 원형체로 형성되어 내부에 공간부(33b)가 형성되어 설치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33a)와 상기 지지대(33a)의 사이에 측공간부(33c)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33a)의 상부에는 그 상부외측으로 돌출된 결합돌기(33d)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33d)들은 상기 배수통공(20)에 삽입결합되고, 상기 공간부(33b)와 상기 배수통공(20)에 삽입되는 물흡수심재(33e)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식재공간부(12)의 하부면에 다수개의 상기 배수통공(20)에 상기 지지결합관부(33)가 삽입연결되어 상기 배수통공(20)에 공급되는 물은 상기 배수통공(20)과 상기 지지결합관부(33)를 서로 연결한 상기 물흡수심재(33e)를 타고 하강하여 상기 측공간부(33c)들로 배출되어 상기 측공간부(33c)들과 연계된 상기 물수용공간부(32)의 내부에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물수용공간부(32)의 물은 상기 물흡수심재(33e)를 타고 상승하여 상기 식재공간부(12)의 내부에 식재된 상기 식물(b)에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물수용저장부(30)와 그 상부외측둘레에 형성되는 물오버플로우 단턱(a)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재질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블록본체(10)의 후방은 상기 절개지(a)의 외측면에 형성된 콘크리트층(a1)의 전방과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다수개의 앵커볼트(g)들로 상기 블록본체(10)를 관통하여 상기 콘크리트층(a1)에 관통고정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블록본체(10)의 후방에 수평으로 설치된 복수개이상으로 구비된 수평지지대(h)를 상기 콘크리트층(a1)의 전방면에 지지한후, 상기 블록본체(10)의 후방과 상기 콘크리트층(a1)의 전방사이에 형성된 흙채움공간부(a2)에 흙이 채워지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은 다수의 상기 식생블록(100)인 상,하부블록본체(10a,10b)를 상기 절개지(a)의 현장에서 조립하여 상기 블록본체(10)로 조립완성하여준다,
다수개의 조립된 상기 블록본체(10)를 상기 절개지(a)의 외측면 형성된 상기 콘크리트층(a1)과 이격되어 상기 콘크리트층(a1)의 경사면을 따라 하부에서 상부로 순차적으로 적층되게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상기 식생블록(100)인 상기 블록본체(10)의 하부에 연결설치된 복수개의 상기 앵커볼트(g)를 상기 콘크리트층(a1)에 1차로 고정설치하고, 상기 블록본체(10)의 후방상부면에 설치된 복수개의 상기 앵커볼트(g)를 다시 상기 콘크리트층(a)에 2차로 고정설치하고 난 다음에 다시 상기 블록본체(10)의 후방중앙에 설치된 수평지지대(h)를 상기 콘크리트층(a1)에 고정하여준다.
한편, 상기 앵커볼트(g)들을 상기 블록본체(10)에 후방면 또는 전방내측에 고정시에 상기 앵커볼트(g)가 설치되는 상기 블록본체(10)의 고정위치부에 보강고정부재(f1)를 먼저 설치하고 난 다음에 상기 앵커볼트(g)가 상기 보강고정부재(f1)수평으로 연결되어 상기 블록본체(10)에 수평으로 고정되게 하여 준다.
즉, 상기 앵커볼트(g)를 상기 상블록본체(10)에 상기 보강고정부재(f1)로 인해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하여 상기 앵커볼트(g)들과 연결된 상기 블록본체(10)를 상기 콘크리트층(a1)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하여 준다.
따라서 상기 절개지(a)의 전방에 형성된 상기 콘크리트층(a1)과 이격되어 에 상기 식생블록(100)들들 하부에서 상부로 순차적으로 적층설치하고 난 다음에, 수직으로 적층된 상기 식생블록(100)들의 후방면과, 상기 콘크리트층(a1)의 사이에 형성된 상기 흙채움공간부(a1)에 흙을 채워서 상기 식생블록(100)들을 상기 절개지(a)에 설치를 완성하여 준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블록본체 10a: 상부블록본체
10b: 하부블록본체 11: 개방부
12: 식재공간부 13: 물흡수부재
20: 배수통공 30: 물수용저장부
31: 상부개방부 32: 물수용공간부
33: 지지결합관부 33a: 지지대
33b: 공간부 33c: 측공간부
33d: 결합돌기 33e: 물흡수심재
100: 식생블록
a: 절개지 a1: 콘크리트층
a2: 흙채움공간부 b: 식물
c1: 하부연결홈 c2: 상부연결홈
d: 연결부재 e: 볼트
f: 물오버플로우 안내턱 f1: 수평부
f2: 수직부 g: 앵커볼트 h: 수평지지대

Claims (8)

  1. 절개지(a)의 경사면에 설치되는 식생블록(100)에 있어서,
    상부에 개방부(11)가 형성되고 내부에 흙이 채워져 식물(b)이 식재될수 있는 식재공간부(12)가 형성된 블록본체(10)와;
    상기 식재공간부(12)의 바닥면에 다수개로 형성된 배수통공(20)과;
    상기 배수통공(20)들 및 상기 식재공간부(12)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식재공간부(12)의 외측둘레가 상부에 형성된 상부개방부(31)의 내측둘레에 삽입되고 내부에 물이 수용될 수 있는 물수용공간부(32)를 갖는 물수용저장부(30)로 구성되고;
    상기 물수용공간부(32)의 저면에 다수개의 수직으로 기립설치된 지지결합관부(33)와, 상기 지지결합관부(33)는 다수개의 지지대(33a)로 서로 이격되어 원형체로 형성되어 내부에 공간부(33b)가 형성되어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33a)와 상기 지지대(33a)의 사이에 측공간부(33c)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33a)의 상부에는 그 상부외측으로 돌출된 결합돌기(33d)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33d)들은 상기 배수통공(20)에 삽입결합되고, 상기 공간부(33b)와 상기 배수통공(20)에 삽입되는 물흡수심재(33e)가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개지용 식생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본체(10)는 상,하부로 분할된 상부블록본체(10a)와 하부블록본체(10b)로 구분되어 분할되어 구성되고,
    상기 상부블록본체(10a)의 전방하부 및 측면하부에 형성된 하부연결홈(c1)과 상기 하부블록본체(10b)의 전방상부 및 측면상부에 형성된 상부연결홈(c2)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상,하부연결홈(c1,c2)들과 마주한 상기 상,하부블록본체(10a,10b)의 내부에 다수개의 연결부재(d)가 이격되어 고정설치되며, 다수개의 볼트(e)가 상기 연결부재(d) 및 상기 상,하부연결홈(c1,c2)들에 관통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개지용 식생블록.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수용공간부(32)의 내부에 과잉공급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안내하도록 상기 물수용저장부(30)의 상부 외측둘레에 물오버플로우 안내턱(f)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개지용 식생블록.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물오버플로우 안내턱(f)은 상기 물수용공간부(32)의 상부내측둘레서 외측으로 수평으로 형성된 수평부(f1)와, 상기 수평부(f1)의 외측에서 하부로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부(f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개지용 식생블록.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공간부(12)의 하부면에는 물흡수부재(13)가 설치되어 물의 증발을 막도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개지용 식생블록.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물흡수부재(13)는 야자수껍질을 직조한 야자수껍질매트 또는 스폰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개지용 식생블록.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본체(10)의 후방은 상기 절개지(a)의 외측면에 형성된 콘크리트층(a1)의 전방과 거리를 두고 설치되고, 다수개의 앵커볼트(g)로 상기 블록본체(10)를 관통하여 상기 콘크리트층(a1)에 관통고정되고, 상기 블록본체(10)의 후방에 수평으로 설치된 수평지지대(h)를 상기 콘크리트층(a1)의 전방면에 지지한후, 상기 블록본체(10)의 후방과 상기 콘크리트층(a1)의 전방사이에 형성된 흙채움공간부(a2)에 흙이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개지용 식생블록.
KR1020200186530A 2020-12-29 2020-12-29 절개지용 식생블록 KR102490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6530A KR102490127B1 (ko) 2020-12-29 2020-12-29 절개지용 식생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6530A KR102490127B1 (ko) 2020-12-29 2020-12-29 절개지용 식생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4870A KR20220094870A (ko) 2022-07-06
KR102490127B1 true KR102490127B1 (ko) 2023-01-18

Family

ID=82399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6530A KR102490127B1 (ko) 2020-12-29 2020-12-29 절개지용 식생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012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2652B2 (ja) * 1992-10-22 2000-04-17 津田駒工業株式会社 水噴射式織機の緯糸検知装置
KR101259053B1 (ko) * 2012-11-16 2013-04-26 서정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사면 보강용 식생옹벽
KR102117457B1 (ko) * 2019-08-09 2020-06-01 강현재 난연성 합성수지재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하는 식생 옹벽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2652U (ja) * 1996-06-20 1996-12-24 山三工業株式会社 かん水栽培容器
JPH11181775A (ja) * 1997-12-24 1999-07-06 Mitsubishi Material Kenzai Corp 植生ブロック
KR100878716B1 (ko) 2005-02-04 2009-01-14 합명회사 남부산업 연결식 축조식생블록
KR101258625B1 (ko) * 2009-06-25 2013-04-26 최이범 식생블럭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2652B2 (ja) * 1992-10-22 2000-04-17 津田駒工業株式会社 水噴射式織機の緯糸検知装置
KR101259053B1 (ko) * 2012-11-16 2013-04-26 서정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사면 보강용 식생옹벽
KR102117457B1 (ko) * 2019-08-09 2020-06-01 강현재 난연성 합성수지재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하는 식생 옹벽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4870A (ko) 2022-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3651B1 (ko) 초목용의 식재장치와 식재구조
KR100676993B1 (ko) 식물 재배 매트 및 이의 설치 방법
KR101342475B1 (ko) 식물 재배 유닛 및 식물 재배 용기
KR100527359B1 (ko) 식물 재배 매트
US3579908A (en) Support for growing plants
US6253487B1 (en) Water-storing tray for plant cultivation mat and arrangement thereof
JP2008043241A5 (ko)
KR101249670B1 (ko) 플랜터에 빗물을 공급하는 파고라 및 이의 설치방법
KR102144279B1 (ko) 다기능 가로수 보호 기구
JP3813934B2 (ja) 緑化体
KR101898630B1 (ko) 빗물침투와 잔디 고사 방지 잔디 매트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잔디밭 시공 방법
KR101659168B1 (ko) 암반 절개지의 녹화방법
KR102490127B1 (ko) 절개지용 식생블록
US603881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oot growth
JP2010051181A (ja) 竪樋利用の緑化構造と緑化方法
KR200257598Y1 (ko) 물저장용 자동급수 조경화분
JPH0829031B2 (ja) 街路性植栽ボックス及びこれを利用した樹木の固定方法
JP3609816B2 (ja) 屋上集合ガーデンプランター
JP2002051643A (ja) 植栽用ボックス
KR200220851Y1 (ko) 측면 배수공을 가진 조경용 배수판
KR102617557B1 (ko) 잔디 식생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잔디 시스템
JP2546563Y2 (ja) 人工植物栽培床
KR20120005874U (ko) 생태경계석
JP4747135B2 (ja) 植栽用マット及びその敷設方法
KR102318575B1 (ko) 저영향 개발 기법이 적용된 친환경 도시 보행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