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8625B1 - 식생블럭 - Google Patents

식생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8625B1
KR101258625B1 KR1020090057300A KR20090057300A KR101258625B1 KR 101258625 B1 KR101258625 B1 KR 101258625B1 KR 1020090057300 A KR1020090057300 A KR 1020090057300A KR 20090057300 A KR20090057300 A KR 20090057300A KR 101258625 B1 KR101258625 B1 KR 101258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block
frame member
block bod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7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8665A (ko
Inventor
최이범
김동규
Original Assignee
최이범
준이앤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이범, 준이앤씨(주) filed Critical 최이범
Priority to KR1020090057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8625B1/ko
Publication of KR20100138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8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8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8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Landscapes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생하는 식물이 홍수와 같은 외부요인에 의해 식생블럭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식생 식물과 블럭 사이의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형성된 식생블럭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럭은 식생토를 충진할 수 있도록 충진공간이 마련된 블럭본체와, 상기 블럭본체의 충진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블럭본체 내에서 생장하는 식생식물과 상기 블럭본체를 결합시키는 이탈방지용 다공체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럭은 유량이 많고 유속이 빠른 하천에 설치되어도 식생식물이 블럭 본체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식생식물에 의해 식생블럭 자체가 이탈하는 것도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식생블럭, 식생

Description

식생블럭 {Vegetation block}
본 발명은 식생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생하는 식물이 홍수와 같은 외부요인에 의해 식생블럭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식생 식물과 블럭 사이의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형성된 식생블럭에 관한 것이다.
하천관리의 3대요소인 이수, 치수, 환경분야중 우리나라는 90년대 중반까지만해도 이수와 치수에 치우친 하천사업이 시행되어 환경부분은 도외시되어왔으나 이후 국내에서도 자연형 하천조성을 범국가적으로 시행하면서 호안블록의 형태도 식물이 성장할 수 없는 밀폐형 블록인 I형, 유신형, 평판형, 장방형블록등에서 식물이 성장할 수 있도록 블록에 공간을 형성시켜 하천제방에서도 다양한 식물이 서식할 수 있도록 하는 공사가 시행되는 것이 최근의 경향이다.
종래의 하천경사면이나 제방등에 사용되는 콘크리트재질의 호안블록은 서로 끼워맞우는 형태를 이루면서 하부로부터 식생식물이 자라지 못하도록 밀폐형 블록이 주를 이루었다. 이는 식생식물의 번성이 여러가지 잡균의 번식을 유도하고 하천경관의 정돈성을 해친다는 점에서 행해진 공법이었으나 최근에 이같은 구조물이 갖 는 자연파괴, 특히 생태계고리의 연속된 순환구조의 파괴라는 문제점이 지적되어왔다.
이같은 밀폐형 호안블록은 설치당시에는 상당히 하천이 깨끗하게 정비된 듯한 시각적 효과를 주기는 하나 식물이 성장할 수 있는 공간이 없을 뿐 아니라 수분의 이동이 자유롭지 못하여 제방의 사막화 현상이 가속화 되는 등 환경에 지극히 위해하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일본에서 사용되거나 최근에 국내에서도 개발되어 이용하고 있는 식재를 겸할 수 있는 식생블럭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호안블록이 조립구성되고 나서 식생식물이 호안블록의 일부분에서 성장하도록 식생식물이 활착할 수 있는 식재면적이 작아(10%미만) 생태적, 경관적 효과가 적거나 가격이 고가이이다. 즉, 생태계복원이라고 하는 목적을 이룰 정도에는 못미치는 미약한 식물생장효과만을 줄 뿐 완전한 생태계의 복원과 안정적 조립구조의 획득이라는 두가지 목적을 동시에 이루지는 못하고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284981호에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몸체의 내부에 앙카망체층을 구비하는 기술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하나의 앙카망체층 만으로는 홍수의 발생상황과 같이 유량이 많고 빠른 경우에는 식생식물이 블럭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식생식물과 블럭 본체 사이의 체결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체결부를 갖는 식생블럭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럭은 식생토를 충진할 수 있도록 충진공간이 마련된 블럭본체와, 상기 블럭본체의 충진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블럭본체 내에서 생장하는 식생식물과 상기 블럭본체를 결합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탈방지용 다공체를 구비한다.
상기 블럭본체는 상하로 적층 결합되는 복수개의 프레임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를 상호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탈방지용 다공체는 상기 프레임부재 각각에 하나씩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프레임부재는 측면에 내주면과 외주면을 관통하는 결합공이 형성된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용 다공체는 상기 제1, 제2 프레임의 사이에 가장자리가 삽입되어 상기 제1, 제2 프레임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결합부재는 상호 적층되는 프레임부재 중 상측 프레임부재의 결합공에 삽입되는 제1 삽입부와, 상기 제1 삽입부로부터 상기 프레임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와, 상기 제1 연장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프레임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제1 체결홀이 마련되어 있는 제1 체결부를 갖는 제1 브라켓과, 상기 상호 적층되는 프레임부재 중 하측 프레임부재의 결합공에 삽입되는 제2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로부터 상기 프레임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프레임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 체결홀에 대응하는 제2 체결홀이 말녀된 제2 체결부를 갖는 제2 브라켓과, 상기 제1, 제2 체결홀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제2 브라켓을 고정결합하는 체결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블럭본체에는 수평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핀고정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핀고정홀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와, 상기 블럭본체의 내주로 노출되는 상기 나사부의 단부에 마련되는 고리부를 갖는 고정핀을 더 구비하고, 상기 이탈방지용 다공체는 가장자리에 상기 고정핀의 고리부에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된 걸림부재가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럭은 유량이 많고 유속이 빠른 하천에 설치되어도 식생식물이 블럭 본체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식생식물에 의해 식생블럭 자체가 이탈하는 것도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럭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럭(100)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식생블럭(100)은 넓은 사면이나 제방을 덮도록 설치되며, 식생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하천 주변의 경관을 수려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식생블럭(100)은 블럭본체(110)와, 블럭본체(110)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이탈방지용 다공체(140)를 포함한다.
블럭본체(110)는 복수개의 프레임부재(111)와, 이 프레임부재(111)를 상호 연결하는 결합부재(120)를 포함한다.
프레임부재(111)는 사각틀 형상이며 상하면이 개구되어 있다.
프레임부재(111)는 복수개가 상하방향으로 적층되어 하나의 블럭본체(110)를 형성하게 되며, 프레임부재(111)의 내부에는 식생토가 충진될 수 있는 충진공간이 형성된다.
프레임부재(111)는 제1 프레임(112)과, 제1 프레임(112)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2 프레임(114)을 포함하는데, 제1 프레임(112)의 하부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제1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고, 제2 프레임(114)에는 결합나사(116)가 관통하여 상기 제1 나사공에 체결될 수 있도록 제2 나사공(115)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결합나사(116)에 의해 제1, 제2 프레임(112,114)이 상호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프레임부재(111)가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었으나, 상기 프레임부재(111)는 심미성이나 설치되는 지역의 조화를 위해 이와는 달리 다양한 각기둥 형태 또는 곡률진 외주면을 갖는 기둥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프레임(112)의 측면에는 내주면과 외주면을 관통하는 결합공(113)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결합공(113)은 프레임부재(111)들을 상호 체결하기위한 결합부재(120)의 설치를 위한 것이며, 결합공(113)은 프레임부재(111)의 상단과 하단으로부터의 이격거리가 동일하도록 즉, 상하방향으로 프레임부재(111)의 중앙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부재(120)는 적층되는 프레임부재(111)를 상호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상하로 적증되는 프레임부재(111)를 편의상 상측프레임부재(111)와 하측프레임부재(111)라고 하면, 결합부재(120)는 상측프레임부재(111)에 지지되는 제1 브라켓(121)과, 하측프레임부재(111)에 지지되며 제1 브라켓(121)과 고정결합되는 제2 브라켓(126)을 포함한다.
제1 브라켓(121)은 상측프레임부재(111)의 결합공(113)을 통해 프레임부재(111)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1 삽입부(122)와, 제1 삽입부(122)의 단부로부터 프레임부재(111)의 외주면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123)와, 제1 연장부(123)의 단부로부터 프레임부재(1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체결부(124)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삽입부(122)의 단부에는 결합공(113)에 삽입된 후 프레임부재(11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절곡되어 있는 걸림턱(131)이 형성되어 있고, 제1 체결부(124)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제1 체결홀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브라켓(126)은 하측프레임부재(111)의 결합공(113)에 삽입되는 제2 삽입부(127)와, 제2 삽입부(127)의 단부로부터 프레임부재(111)의 외주면을 따라 상방 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128)와, 제2 연장부(128)의 단부에서 프레임부재(1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체결부(124)와 접촉되는 제2 체결부(129)를 갖는다.
제2 삽입부(127) 역시 단부에 걸림턱(1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 체결부(129)는 제1 체결홀과 대응하는 제2 체결홀(13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제2 삽입부(127)가 각각 상측프레임부재(111)와 하측프레임부재(111)의 결합공(113)에 삽입된 상태로 제1, 제2 체결홀(125,130)을 관통하도록 체결볼트(132)를 삽입하고 체결볼트(132)를 너트(133)로 고정하면 결합부재(120)에 의해 프레임부재(111)들이 상호 고정된다.
이탈방지용 다공체(140)는 프레임부재(111)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탈방지용 다공체(140)는 식생식물이 하방으로 뿌리를 내렸을 때, 홍수와 같은 외부 요인에 의해 식생식물이 식생블럭(10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탈방지용 다공체(140)에는 다수의 통공들이 형성되어 있어서 식생식물의 뿌리가 하방으로 뻗어나가는 것을 방해하지 않으며, 식생식물이 활착된 후에는 식생식물의 뿌리와 이탈방지용 다공체(140)에 의해 상호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도록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이탈방지용 다공체(140)에는 줄기의 직경이 큰 관목을 식재할 수 있도록 통공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식재홀(141)도 마련되어 있으며, 식재되는 관목의 종류에 따라 식재홀(141)의 크기 또는 형성위치가 다양해진다.
상기 이탈방지용 다공체(140)는 가장자리가 상기 제1, 제2 프레임(112,114)의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제1, 제2 프레임(112,114)의 결합을 위해 제1, 제2 나사공(115)을 통과하도록 결합나사(116)를 체결할 때, 결합나사(116)가 이탈방지용 다공체(140)의 통공을 관통해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이탈방지용 다공체(140)는 프레임부재(111)에 고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탈방지용 다공체(140)는 식재되는 관목의 종류나 수량에 따라 식재홀(141)의 크기나 형서위치 또는 갯수가 다양해 질 수 있으므로 필요한 이탈방지용 다공체(140)를 프레임부재(111)에 설치한 후, 각각의 프레임부재(111)를 상호 적층 결합함으로써 식생블럭(100)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프레임부재(111) 중 최 상단의 프레임부재(111)는 제2 프레임(114)이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이탈방지용 다공체(140)가 프레임부재(111)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렇게 함으로써 식생토의 유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상술한 것처럼 상기 프레임부재(111)들을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공(113)이 프레임부재(111)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프레임부재(111)를 뒤집어서 설치하더라도 결합부재(120)를 통한 결합은 가능하게 된다.
도 5에는 식생블럭(200)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식생블럭(200)은 블럭본체(210)에 다수의 핀고정홀(21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핀고정홀(211)은 블럭본체(210)에 수평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상호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으며, 핀고정홀(211)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핀고정홀(211)에는 고정핀(220)이 삽입설치되는데, 고정핀(220)은 상기 핀고정홀(211)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221)와, 나사부(221)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고리부(222)를 포함한다.
상기 고리부(222)는 블럭본체(21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탈방지용 다공체(230)는 다수의 통공과 식재홀(141)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장자리에 상기 고리부(222)에 걸릴 수 있도록 걸림부재(231)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재(231)는 갈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고리부(222)에 걸리게 되며, 걸림부재(231)가 고리부(222)에 걸림으로써 이탈방지용 다공체(230)가 블럭본체(210)의 내부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의 식생블럭(200)은 블럭본체(210)에 필요에 따라 고정핀(220)을 설치하고, 고정핀(220)에 이탈방지용 다공체(230)를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복수개의 핀고정홀(211)들 중 이탈방지용 다공체(230)를 설치할 위치에만 고정핀(220)을 설치하여, 이탈방지용 다공체(230)의 설치 갯수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핀(220)의 설치 위치에 따라 이탈방지용 다공체(230)가 수평방향이 아니라 일측으로 경사지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특히 이탈방지용 다공체(230)의 설치 지점에만 고정핀(220)을 설치하면 되므로 불필요한 고정핀(220)의 설치에 따른 제작비용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는 식생블럭(300)의 제3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식생블럭(300)은 상하면이 개구되어 있는 블럭본체(310)와, 블럭본체(310)의 내부에 상하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복수개의 이탈방지용 다공체(3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블럭본체(310)는 하부가 지지면에 소정 깊이 삽입 설치되는 삽입부(311)와, 상기 삽입부(311)의 상부에 형성되어 수중 또는 수면 위로 노출되는 노출부(312)를 포함한다.
블럭본체(310)는 상면과 하면이 모두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어서 블럭본체(310)에 충진되는 식생토에서 생장하는 수생식물의 뿌리가 블럭본체(310)의 하단을 통해 지지면에 삽입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블럭본체(310)의 하단에는 지지면에 삽입된 후 블럭본체(310)가 지지면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삽입부재(32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삽입부재(320)는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있으며 하단이 지지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뾰족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삽입부재(320)의 측면에는 삽입부재(32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이탈방지편(321)이 부착되어 있는데, 상기 이탈방지편(321)은 삽입부재(320)로부터 외측으로 멀어질수록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탈방지편(321)이 상술한 바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블럭본체(310)의 삽입부(311)를 지지면에 삽입할 때에 삽입부재(320)는 지지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지만 이탈방지편(321)에 의해 지지면으로 부터 분리되는 것 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홍수와 같은 의도되지 않은 외부 요인에 의해 블럭본체(310)가 설치지점으로부터 이탈하여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블럭본체(310)의 노출부(312)에는 어류의 식생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다수의 식생홈(3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식생홈(330)의 형태와 크기는 어류의 식생환경에 적합하도록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용 다공체(340)는 별도의 고정부재를 통해 블럭본체(310) 내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제2 실시에의 경우처럼 블럭본체(310)에 고리가 장착되어 있고, 이탈방지이탈방지용 다공체(340)에 고리에 결합되는 걸이부재를 형성하여 이탈방지용 다공체(340)를 블럭본체(310)에 설치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블럭본체(310)에 식생토를 충진할 때, 식생토에 갈대나 억새 등의 식생코자 하는 수생식물의 씨앗을 함께 포함시켜 두어 블럭본체(310)를 설치한 이후, 자연 발아를 통해 식생식물이 생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8에는 식생블럭(400)의 제4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식생블럭(400)은 도시된 것처럼 하천의 호안에도 설치할 수 있으며, 블럭본체(410)와, 이탈방지용 다공체(420) 및 앵커핀(430)을 포함한다.
블럭본체(410)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식생홀(4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식생홀(411)의 주변 테두리 부분에 상하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앵커홀(412)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이탈방지용 다공체(420)는 식생홀(411)의 중간에 설치되며, 이 식생홀(411)의 상부와 하부에 식생토가 충진된다. 상기 이탈방지용 다공체(420)의 기능과 효과는 앞선 실시예들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앵커핀(430)은 앵커홀(412)을 통해 삽입되며, 하단이 하천의 바닥면에 삽입되어 블럭본체(410)를 지지면에 고정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앵커핀(430)을 블럭본체(410)에 삽입하도록 되어 있으나, 제3 실시예와 같이 블럭본체(410)에 앵커핀(430)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럭의 제1 실시예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식생블럭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의 식생블럭의 프레임부재 및 이탈방지용 다공체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1의 식생블럭의 단면도,
도 5는 식생블럭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된 분리사시도,
도 6은 식생블럭의 제3 실시예가 도시된 부분절단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실시예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식생블럭의 제4 실시예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200; 식생블럭
110,210; 블럭본체
111; 프레임부재
120; 결합부재
140,230; 이탈방지용 다공체

Claims (4)

  1. 식생토를 충진할 수 있도록 충진공간이 마련된 블럭본체와;
    상기 블럭본체의 충진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블럭본체 내에서 생장하는 식생식물과 상기 블럭본체를 결합시키는 이탈방지용 다공체;를 구비하며,
    상기 이탈방지용 다공체는 상기 식생식물을 뿌리가 상기 식생토 및 블럭본체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상기 블럭본체에 상하로 이격되도록 복수개가 설치되고, 상기 식생식물의 뿌리가 하방으로 생장할 수 있게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블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본체는 상하로 적층 결합되는 복수개의 프레임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를 상호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탈방지용 다공체는 상기 프레임부재 각각에 하나씩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블럭.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재는 측면에 내주면과 외주면을 관통하는 결합공이 형성된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용 다공체는 상기 제1, 제2 프레임의 사이에 가장자리가 삽입되어 상기 제1, 제2 프레임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결합부재는 상호 적층되는 프레임부재 중 상측 프레임부재의 결합공에 삽입되는 제1 삽입부와, 상기 제1 삽입부로부터 상기 프레임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와, 상기 제1 연장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프레임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제1 체결홀이 마련되어 있는 제1 체결부를 갖는 제1 브라켓과,
    상기 상호 적층되는 프레임부재 중 하측 프레임부재의 결합공에 삽입되는 제2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로부터 상기 프레임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프레임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 체결홀에 대응하는 제2 체결홀이 말녀된 제2 체결부를 갖는 제2 브라켓과,
    상기 제1, 제2 체결홀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제2 브라켓을 고정결합하는 체결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블럭.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본체에는 수평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핀고정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핀고정홀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와, 상기 블럭본체의 내주로 노출되는 상기 나사부의 단부에 마련되는 고리부를 갖는 고정핀을 더 구비하고,
    상기 이탈방지용 다공체는 가장자리에 상기 고정핀의 고리부에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된 걸림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블럭.
KR1020090057300A 2009-06-25 2009-06-25 식생블럭 KR101258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7300A KR101258625B1 (ko) 2009-06-25 2009-06-25 식생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7300A KR101258625B1 (ko) 2009-06-25 2009-06-25 식생블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8665A KR20100138665A (ko) 2010-12-31
KR101258625B1 true KR101258625B1 (ko) 2013-04-26

Family

ID=43512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7300A KR101258625B1 (ko) 2009-06-25 2009-06-25 식생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86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39634B (zh) * 2012-09-28 2014-10-01 中国科学院武汉植物园 一种救生型水岸生态植被箱的构建方法
KR102490127B1 (ko) * 2020-12-29 2023-01-18 주식회사 유진이노베이션 절개지용 식생블록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5858A (ja) * 1993-10-26 1995-05-09 Ohbayashi Corp 天然植栽用コンテナ及びその連続敷設方法
JP3062740U (ja) * 1999-04-05 1999-10-15 礼二郎 渡部 箱類の運搬用具
KR20040092523A (ko) * 2003-04-24 2004-11-04 박정림 사각 틀 환경 블럭
KR200436734Y1 (ko) * 2006-10-30 2007-10-04 (주)에코원 다단형 식생 조성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5858A (ja) * 1993-10-26 1995-05-09 Ohbayashi Corp 天然植栽用コンテナ及びその連続敷設方法
JP3062740U (ja) * 1999-04-05 1999-10-15 礼二郎 渡部 箱類の運搬用具
KR20040092523A (ko) * 2003-04-24 2004-11-04 박정림 사각 틀 환경 블럭
KR200436734Y1 (ko) * 2006-10-30 2007-10-04 (주)에코원 다단형 식생 조성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8665A (ko) 2010-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9622B1 (ko) 식생용 포트와 이 포트를 이용한 수생식물 재배방법
CN103643654A (zh) 植物篱河堤护坡生态治理的方法
KR101258625B1 (ko) 식생블럭
KR20060099188A (ko) 식생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200439588Y1 (ko) 하천 녹화용 조립식 블록
KR100943222B1 (ko) 시스템 식재형 옹벽블록 및 그 축조방법
KR100645325B1 (ko) 하천제방의 유실방지블록 설치구조
KR100427564B1 (ko) 초류식생블록
KR200377759Y1 (ko) 이탈방지 식생포트
CN111018124B (zh) 一种可植树的生态景观浮岛及使用方法
KR200284980Y1 (ko) 식생식물활착안정과 구조유지를 가능하게하는조립부비노출형호안블록
CN208201772U (zh) 一种感潮河段直立式堤岸的生态化结构
KR200395340Y1 (ko) 호안구조물용 다공판
JPH10276598A (ja) 浮きプランター及びその固定方法
KR100655463B1 (ko) 하천제방에 설치되는 수생동식물 보호용 조립식 유공관
KR100445216B1 (ko) 식생 호안블록
KR200364351Y1 (ko) 식생 옹벽 어도블록
KR200217683Y1 (ko) 식생공간을 가지는 호안블록
KR200272869Y1 (ko) 자연형 식생블록
KR100606259B1 (ko) 하천 호안기초 생태계 보호블록 설치구조
WO2019204970A1 (zh) 一种滨海湿地侵蚀防护新结构及其施工方法
KR200284979Y1 (ko) 식생식물활착안정과 구조유지를 가능하게하는조립식호안블록
KR200221900Y1 (ko) 식생블럭
KR100478156B1 (ko) 환경친화적 호안블록
JP3165866U (ja) 水生植物植栽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