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7759Y1 - 이탈방지 식생포트 - Google Patents

이탈방지 식생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7759Y1
KR200377759Y1 KR20-2004-0036274U KR20040036274U KR200377759Y1 KR 200377759 Y1 KR200377759 Y1 KR 200377759Y1 KR 20040036274 U KR20040036274 U KR 20040036274U KR 200377759 Y1 KR200377759 Y1 KR 2003777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body portion
wall surface
port
separation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62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은
한성필
Original Assignee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362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77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77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77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8Devices for filling-up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Devices for setting plants or seeds in pots
    • A01G9/083Devices for setting plants in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3/00Forestry
    • A01G23/02Transplanting, uprooting, felling or delimbing tre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Botan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몸체부의 벽면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이탈방지부재를 형성하여 토양에 설치된 후 토양에 상기 이탈방지부재가 묻혀 상부로 뽑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이탈방지 식생포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부 및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벽면에 다수개의 제1 관통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부 개구부에 연결되어 하방으로 뻗어 있도록 형성되며, 하부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지지부; 및 하부가 상기 몸체부의 벽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가 벽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경사를 이루며 형성되며, 벽면을 향한 내측에 벽면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과 같은 형상의 제2 관통부가 형성되는 이탈방지부재;를 포함하는 이탈방지 식생포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탈방지 식생포트{a flowerpot preventing position secession}
본 고안은 이탈방지 식생포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몸체부의 벽면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이탈방지부재를 형성하여 토양에 설치된 후 토양에 상기 이탈방지부재가 묻혀 상부로 뽑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이탈방지 식생포트에 관한 것이다.
친환경적이지 못한 콘크리트 호안블록의 무분별한 도입, 열악한 환경정책, 이수 및 치수 안정 위주의 관리 등의 원인으로 하천의 수질과 주변환경이 황폐하게 되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자연형 하천 호안 공법들이 제안되고 있고, 이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자연형 하천 호안 조성을 위하여 하천변에 토양에 삽입할 수 있는 형상의 식생포트를 심어 하천 호안을 녹화시키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공법에 사용되는 식생포트는 내부에 토양을 담고, 그 토양에 식물을 식재한 후, 이를 하천변의 토양에 묻어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설치된다.
또한, 종래 식생포트는 도로의 사면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절개사면의 식재용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는 사면에 식물을 심어 우기동안 빗물이 흘러내리면서 사면의 토양과 기타 초본의 세굴 및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식생포트는 토양에 고정하는 수단이 단지 토양을 파서 그곳에 안착시킨 후 흙을 덮는 것으로만 구성되어 이탈되기 쉬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하천변 뿐 아니라 도로의 사면과 같은 일반 토양에 식생을 위하여 식생포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외부로부터 작용하는 힘에 의해 쉽게 뽑히거나 위치가 이탈되는 문제가 있어왔다.
따라서, 보다 안정적으로 식생포트를 토양에 고정시키도록 하는 구조에 관한 연구가 당 기술분야에서 계속되어 왔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몸체부 벽면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이탈방지부재를 형성하여 토양에 묻힌 상태에서 뽑아내려는 힘에 저항할 수 있도록 구성한 이탈방지 식생포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식생포트의 구조상 취약한 부분을 보강하여 보다 견고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표토에 묻히는 위치를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하며, 내부에 보습작용을 할 수 있는 보습제를 첨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 식생포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부 및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벽면에 다수개의 제1 관통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부 개구부에 연결되어 하방으로 뻗어 있도록 형성되며, 하부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지지부; 및 하부가 상기 몸체부의 벽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가 벽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경사를 이루며 형성되며, 벽면을 향한 내측에 벽면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과 같은 형상의 제2 관통부가 형성되는 이탈방지부재;를 포함하는 이탈방지 식생포트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이탈방지 식생포트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부(10) 및 지지부(20)를 포함한다.
몸체부(10)는 내부에 식물이 심어질 수 있도록 토양을 담을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도록 형성된다. 몸체부(10)는 도면에서와 같이 원통형이 될 수도 있고 또한 사각기둥형, 삼각기둥형 등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몸체부(10)의 상부 및 하부는 몸체부의 단면형상을 따라 원형 및 다각형의 개구부(14)가 형성된다. 몸체부(10)는 상부 및 하부 개구부 사이의 벽면(13)을 포함한다. 벽면(13)은 외부로 토양이 흘러나가지 않도록 토양을 둘러싸는 역할을 하게 되며, 벽면에는 다수개의 제1 관통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관통부(15)는 배수 또는 내부에 위치하는 식물의 뿌리가 뻗어나가도록 하거나, 미소생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통로의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은 제1 관통부는 긴 슬롯형상, 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채워지는 토양의 응집력으로 인해 토양이 쉽게 유출되지 않는 크기이면 충분하다.
지지부(20)는 상기 몸체부(10)의 하부 개구부(16)에 연결되어 하방으로 뻗어있도록 형성된다. 지지부(20)는 토양이 포트 내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하며, 이와 동시에 포트를 외부토양에 심기 용이한 구조로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부(20)는 하부측으로 갈수록 그 수평방향 단면적이 작아지는 구조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원추형이 된다. 다만, 몸체부(10)의 형상에 따라서 이는 원추형이 될 수도 있고 원뿔형이 될 수도 있다.
지지부(20)는 몸체부와 같은 관통부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 1에서와 같은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관통부가 형성되지 않은 구조가 된다. 관통부가 없는 지지부(2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수분을 포트 내에 일정기간 저장할 수 있는 구조가 된다. 즉, 외부에서 공급되는 수분이 포트 하부측으로 이동한 후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여 일정기간 수분의 공급이 줄거나 없더라도 수분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기능을 위하여 지지부(20)의 내측에 보습작용을 하는 보습제(21)를 설치할 수 있다. 보습제(21)로는 습기를 함유할 수 있는 토질개선제를 사용하거나 종이 또는 섬유질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몸체부(10) 및 지지부(20)를 포함하는 식생포트는 시간이 지난후에 자연분해되는 소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분해용 플라스틱과 같은 종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이탈방지를 위하여 몸체부(10)의 벽면(13)에 이탈방지부재(30)를 형성하였다. 이탈방지부재(30)는 상기 벽면(13)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부가 벽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경사를 이루며 형성되어 있다. 즉, 이탈방지부재(30)는 그 하부가 벽면(13)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이탈방지부재(30)는 제조의 편의를 위하여 몸체부(10) 사출시에 몸체부와 일체로 사출되며, 하부를 제외한 상부측이 몸체부 벽면과 분리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시에 이탈방지부재는 상부측을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부려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출시에 이탈방지부재가 외측으로 이미 돌출되어 있도록 제작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탈방지부재(30)는 상부측이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벽면을 향한 내측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과 같은 형상의 관통부(제2 관통부, 31)가 형성된다. 제2 관통부(31)는 제1 관통부(15)와 같이 배수 또는 이동통로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제2 관통부(31)는 제1 관통부(15)와 함께 몸체부(10)의 벽면(13)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탈방지부재(30)는 상부가 뾰족한 삼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포트가 토양에 묻힌 후, 포트 외부의 토양에 삼각형의 뾰족한 부분이 꽃히게 되어 외부(즉, 포트의 상부)로 뽑아내려는 힘에 저항하는 힘을 극대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2 실시예
도 2a는 본 고안에 의한 이탈방지 식생포트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에서, 본 고안에 의한 이탈방지 식생포트는 몸체부(10)의 상부 개구부(14)에 몸체부의 벽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되어 형성되는 걸림부(41)가 형성된다.
걸림부(41)는 토양에 식생포트를 설치할 때 식생포트의 묻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일정한 깊이로 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토양 표면에 상기 걸림부(41)가 위치하도록 설치하게 된다.
도 2a의 걸림부(41)는 내경이 상기 몸체부(10)의 개구부(14)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고, 외경이 상기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원반형상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2b에서와 걸림부(42)가 소정 길이 및 폭을 갖는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몸체부 상측의 개구부(14)의 원주를 따라 균등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열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이탈방지 식생포트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몸체부(10) 및 지지부(20)의 내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지지바(51)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바(51)는 몸체부(10) 및 지지부(20)의 형상을 지지하도록 내측에 일체로 형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식생포트는 토양 및 식물의 뿌리부분을 담을 수 있고 그 형상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두께로 형성되며, 이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힘에 의해 토양을 담을시에 그 형상이 유지되지 못할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내측에 지지바(51)를 형성하여 그 형상을 보다 견고하게 한다.
지지바(51)는 본 고안에 의한 식생포트(1)의 내측에 소정의 개수로 형성되며, 도 3에서는 4개가 각각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몸체부가 다각형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각 모서리마다 상기 지지바(51)를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51)는 상기 몸체부 및 지지부와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얇은 철심(도시하지 않음)을 지지바의 전 길이에 걸쳐 넣은 상태로 제조할 수 있다.
식생포트 설치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이탈방지 식생포트를 지표면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생포트를 사용하여 식물을 식재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먼저, 포트(1) 내부에 식재하고자 하는 식물(2)을 위치시킨 후 토양(4)을 담는다. 그 다음 식생포트(1)를 심고자하는 표토(5)에 공간을 형성하여 포트가 들어갈 위치를 확보한다. 그 후 식생포트(1)를 위치시키고 흙을 덮어 포트를 고정시킨다.
본 고안에 의한 식생포트에는 이탈방지를 위한 부재(3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포트 외부에 덮여진 토양에 이탈방지부재(30)가 단단히 틀어박히게 되어 토양 밖으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또한 지지부(20) 및 지지부(20) 내부의 보습제(21)의 보습작용으로 식물의 수분이 부족해도 항상 수분을 머금고 있을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식생포트(1)의 상부 개구부에 형성되는 걸림부(41,42)에 의해 표토의 표면에 걸림부가 걸리도록 하여 식생포트의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일정한 깊이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식생포트는 방초매트(3)를 표토(5) 위에 설치한 후, 그 방초매트(3)의 정해진 위치마다 심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본 고안의 걸림부(41,42)는 방초매트가 들리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방초매트와 같은 표면고정물을 사용하게 되면, 식생포트 주위에 잡초가 자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본 고안에 의한 식생포트는 이러한 방초매트 사용시에 방초매트가 이동되거나 들리는 힘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몸체부 벽면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이탈방지부재에 의하여 식생포트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수분이 포트 하부측으로 이동한 후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여 일정기간 수분의 공급이 줄거나 없더라도 수분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보습제를 지지부에 설치하여 수분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걸림부를 몸체부의 상부 개구부에 형성하여 식생포트의 묻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일정한 깊이로 묻을 수 있도록 하며, 방초매트와 같은 표면고정물을 사용하게 되면, 방초매트 사용시에 방초매트가 이동되거나 들리는 힘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식생안정효과를 높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방초매트를 걸림부 하부에 위치하도록 표토의 표면에 배열하여 식생포트 주위에 잡초가 자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내측에 지지바를 상하로 배열되도록 형성하여 외부로부터의 힘에 의해 본 고안의 식생포트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이탈방지 식생포트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에 의한 이탈방지 식생포트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이탈방지 식생포트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이탈방지 식생포트를 지표면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몸체부13: 벽면
14: 상부 개구부15: 제1 관통부
16: 하부 개구부20: 지지부
21: 보습제30: 이탈방지부재
31: 제2 관통부41,42: 걸림부

Claims (10)

  1. 상부 및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벽면에 다수개의 제1 관통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부 개구부에 연결되어 하방으로 뻗어 있도록 형성되며, 하부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지지부; 및
    하부가 상기 몸체부의 벽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가 벽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경사를 이루며 형성되며, 벽면을 향한 내측에 벽면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과 같은 형상의 제2 관통부가 형성되는 이탈방지부재;를 포함하는 이탈방지 식생포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상부가 뾰족한 삼각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 식생포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부 및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상기 몸체부의 벽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 식생포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내측에는 보습을 위한 보습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 식생포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및 지지부의 내측면에는 몸체부 및 지지부의 형상을 지지하도록 하는 지지바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 식생포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 식생포트.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하부가 뾰족한 원추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 식생포트.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부개구부에 몸체부의 벽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되어 뻗어있도록 형성되는 걸림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 식생포트.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부측 개구부의 원주를 따라 균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 식생포트.
  10. 제 8항에 있어서, 식생포트가 위치하는 표토의 상부면 및 식생포트의 상기 걸림부 하부에 방초매트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 식생포트.
KR20-2004-0036274U 2004-12-21 2004-12-21 이탈방지 식생포트 KR2003777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274U KR200377759Y1 (ko) 2004-12-21 2004-12-21 이탈방지 식생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274U KR200377759Y1 (ko) 2004-12-21 2004-12-21 이탈방지 식생포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7759Y1 true KR200377759Y1 (ko) 2005-03-14

Family

ID=49297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6274U KR200377759Y1 (ko) 2004-12-21 2004-12-21 이탈방지 식생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7759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612B1 (ko) * 2007-03-28 2008-02-25 (주)이지탑 식생용 고정틀과 이를 이용한 호안블럭의 식생공법
KR101178858B1 (ko) * 2012-02-10 2012-09-03 신천희 해안사구 식생용 식생포트
KR101183494B1 (ko) * 2012-02-10 2012-09-20 신천희 해안사구 식생용 식생포트 유닛
KR101293652B1 (ko) * 2011-07-04 2013-08-22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부상방지부를 구비한 육묘포트
KR101358389B1 (ko) * 2011-07-04 2014-02-05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저수조를 구비한 육묘포트
KR101414549B1 (ko) 2012-10-09 2014-07-03 주식회사 이산 신설 도로변에 설치되는 지압형 방초 매트의 시공 방법
KR101439301B1 (ko) * 2013-04-16 2014-09-11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식생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612B1 (ko) * 2007-03-28 2008-02-25 (주)이지탑 식생용 고정틀과 이를 이용한 호안블럭의 식생공법
KR101293652B1 (ko) * 2011-07-04 2013-08-22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부상방지부를 구비한 육묘포트
KR101358389B1 (ko) * 2011-07-04 2014-02-05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저수조를 구비한 육묘포트
KR101178858B1 (ko) * 2012-02-10 2012-09-03 신천희 해안사구 식생용 식생포트
KR101183494B1 (ko) * 2012-02-10 2012-09-20 신천희 해안사구 식생용 식생포트 유닛
KR101414549B1 (ko) 2012-10-09 2014-07-03 주식회사 이산 신설 도로변에 설치되는 지압형 방초 매트의 시공 방법
KR101439301B1 (ko) * 2013-04-16 2014-09-11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식생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96586A (en) System for promoting plant growth
US7707768B2 (en) Landscape device
EP306260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nting in arid environments
JP2001090080A (ja) 植生杭及び該植生杭を使用した法面の緑化工法
KR200377759Y1 (ko) 이탈방지 식생포트
KR101178858B1 (ko) 해안사구 식생용 식생포트
US20060150477A1 (en) System for the care and protection of plants with roots
US20100189516A1 (en) Landscape soil and water retention device
US20090172999A1 (en) Landscaping weed barrier and soil access device
US4809460A (en) Bank planter
CN110800538A (zh) 水库消落带边坡防护结构及水库消落带边坡植被恢复方法
US6170193B1 (en) Self-draining in-ground flower holder
KR100902663B1 (ko) 트레이형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275088B1 (ko) 식생공간이 구비된 앵커, 앵커가 구비된 호안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식생매트를 설치하는 방법
JPH10150862A (ja) 植生保護筒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2003333933A (ja) 植栽器用土止め及び植栽器
JP3772795B2 (ja) 側面部に容易に植込みが可能な植栽容器
KR20080005901U (ko) 잡초 서식 방지막
JPH10280417A (ja) 水辺ブロック植生構造体及びその施工方法
US20030172586A1 (en) Plant wind screen, soil barrier, and water control apparatus
KR101067685B1 (ko) 트레이형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994675B1 (ko) 하천바닥 물고기 서식을 위한 수초식생집
JPH08113945A (ja) 植生袋体および植生袋体を使用する植栽工法
JP3851411B2 (ja) 植栽容器およびこの植栽容器を用いた法面緑化工法
JP3838739B2 (ja) 擁壁構造物、擁壁及び擁壁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