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3494B1 - 해안사구 식생용 식생포트 유닛 - Google Patents

해안사구 식생용 식생포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3494B1
KR101183494B1 KR1020120013819A KR20120013819A KR101183494B1 KR 101183494 B1 KR101183494 B1 KR 101183494B1 KR 1020120013819 A KR1020120013819 A KR 1020120013819A KR 20120013819 A KR20120013819 A KR 20120013819A KR 101183494 B1 KR101183494 B1 KR 101183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coastal
sand
support bod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3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천희
최명재
안순현
최정권
Original Assignee
신천희
장수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천희, 장수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천희
Priority to KR1020120013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34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3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3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1Planting receptacles specially adapted for remaining in the soil after plan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5Units comprising two or more connected recepta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23Dune restoration or creation; Cliff stabilis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해안사구에 설치하여 해안사구의 녹화를 실시하는 식생포트 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수 개의 식생포트가 일체로 연결되어 하나의 유닛화되어 넓은 지역의 해안사구 녹화작업을 신속,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모래에 직접 관입설치되어 설치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해안사구에 관입설치되는 식생포트 자체를 생분해성 천연재료인 옥수수전분을 사용하여 제작함으로써 해안사구에 식물 식재시 식물을 포트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식생포트 그대로 해안사구의 모래에 관입하여 시공하더라도 시간이 경과하면 포트는 분해되므로 친환경적이고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고, 해안사구 설치를 위한 관입은 용이하면서도 관입 후에는 쉽게 인출되지 않고 고정되어 포트 내 식물이 해안사구에 안정적으로 활착할 수 있도록 하며, 망 형태의 지지몸체부 내측면에 황토진흙에 코코넛섬유를 넣어 반죽한 차단막을 도포하여 포트 내 식물이 활착할 때까지 차단막이 훼손되지 않고 해안사구의 모래 내에 포함된 염분의 침투를 차단할 수 있고, 포트 내 식생기반재에 참숯가루를 포함하여 식생기반재 내 수분조절과 살균작용으로 식물뿌리의 활착을 증대시키는 해안사구 식생용 식생포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해안사구 식생용 식생포트 유닛{A Vegetation Port Unit for planting of coastal dune}
본 발명은 특히 해안사구에 설치하여 해안사구의 녹화를 실시하는 식생포트 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수 개의 식생포트가 일체로 연결되어 하나의 유닛화되어 넓은 지역의 해안사구 녹화작업을 신속,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모래에 직접 관입설치되어 설치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해안사구에 관입설치되는 식생포트 자체를 생분해성 천연재료인 옥수수전분을 사용하여 제작함으로써 해안사구에 식물 식재시 식물을 포트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식생포트 그대로 해안사구의 모래에 관입하여 시공하더라도 시간이 경과하면 포트는 분해되므로 친환경적이고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고, 해안사구 설치를 위한 관입은 용이하면서도 관입 후에는 쉽게 인출되지 않고 고정되어 포트 내 식물이 해안사구에 안정적으로 활착할 수 있도록 하며, 망 형태의 지지몸체부 내측면에 황토진흙에 코코넛섬유를 넣어 반죽한 차단막을 도포하여 포트 내 식물이 활착할 때까지 차단막이 훼손되지 않고 해안사구의 모래 내에 포함된 염분의 침투를 차단할 수 있고, 포트 내 식생기반재에 참숯가루를 포함하여 식생기반재 내 수분조절과 살균작용으로 식물뿌리의 활착을 증대시키는 해안사구 식생용 식생포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지구온난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과 각종 난개발에 의한 해안지형 변화 등으로 인해 최근에는 해안가 사구가 급격히 유실되어 해안가 환경파괴 및 도로나 제방 붕괴 등과 같은 많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해안가 사구(모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해안가를 따라 인공적인 제방을 설치하거나 또는 해안가 근해에 인위적인 쇄파설비 등을 설치하는 방식 등도 적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인공적인 제방 등을 설치하는 방식의 경우 구조물 자체가 콘트리트 등의 인공적인 구조물이기 때문에 그로 인해 주변환경이나 해양식물 등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을 야기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인공적인 구조물을 설치하여 해안사구의 유실을 방지하는 방식이 아닌, 해안사구에 직접 녹화림을 구성하여 녹화용 식생식물에 의한 사구(모래) 유실을 방지하는 해안녹화사업이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해안사구의 녹화를 위해 일반적인 식생포트를 단순히 적용하는 경우에는 해안사구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여 녹화율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즉,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식생포트는 식재할 식물을 포트 내에서 미리 재배하여 식물의 뿌리가 어느 정도 배양된 상태에서 포트로부터 식물을 분리하여 분리된 식물을 식재하고자 하는 토양에 이식하는 방식으로 사용되어 오고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식생포트의 경우 통상 비닐로 제작되는 비닐포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식물을 식재시 포트와 식물을 분리시켜야 하는 작업을 먼저 선행하여야 하며, 이와 같이 포트와 식물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식물뿌리에 부착된 흙이 부서지는 경우가 발생하여 식물의 활착률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천연재료를 이용한 망사포트 등이 활용되고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도 여전히 포트를 토양에 식재하는 과정에서 반드시 먼저 토양을 포트가 수용될 공간만큼 파낸 다음 그 공간에 포트를 식재하는 과정을 반복하여야 하기 때문에, 포트를 식재하기 위한 과정이 번거롭고 특히 해안사구와 같은 모래토양의 경우 토양을 파낼 시 모래가 계속 무너져 내리기 때문에 식재작업이 더욱 어려워지는 문제를 안게 된다.
또한, 종래의 식생포트는 대부분 일반 흙으로 이루어진 토양을 기준으로 제작되고 있을 뿐, 모래로 이루어지는 해안사구와 같은 특유 지형의 녹화를 위한 맞춤형 식생포트와는 무관하다. 따라서, 종래의 식생포트를 모래로 이루어지는 해안사구에 단순 적용하게 되면, 첫째, 종래의 식생포트는 그 길이가 짧기 때문에 식생포트의 식물이 모래 아래에 위치하는 흙까지 그 뿌리를 내리기 이전에 고사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둘째, 종래의 식생포트는 토양에 관입 후 상부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측면 돌출부위 등이 측면 군데군데 돌출되는 형태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모래와 같은 입자가 돌출부위 사이사이로 쉽게 빠져나오게 되므로 해안사구와 같은 모래 환경에서는 쉽게 상부로 이탈하게 되어 종국에는 식물의 활착을 저해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셋째, 해안사구와 같은 특유의 환경에서는 특히, 바닷물과 접촉이 빈번하기 때문에 모래에 섞인 바닷물의 소금기(염분)가 포트 내 식물 뿌리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되면 식물의 활착과 식생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나, 이에 대한 특별한 방지수단을 갖추고 있지 않기 때문에 해안사구에 식재시 식생률이 현저하게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해안사구는 그 특성상 광범위한 넓은 면적을 이루며 분포하기 때문에 이러한 광범위한 면적의 해안사구 녹화를 위해 일일이 식생포트를 하나하나 설치하는 것은 그 시공성에서 볼 때 비효율적인 단점을 갖게 된다.
따라서, 해안사구와 같은 특유의 환경에 맞는 새로운 형태와 구조를 갖는 맞춤형 식생포트 및 그 유닛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안사구의 유실이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기존의 콘크리트 제방 등과 같은 인공적인 구조물을 설치하는 방식이 아닌, 해안사구의 모래지역에 대한 녹화나 식생을 위한 방식에 사용되는 해안사구 식생용 식생포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특히 다수 개의 식생포트가 일체로 연결되어 하나의 유닛화되어 넓은 지역의 해안사구 녹화작업을 신속,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으면서 모래에 직접 관입,설치되어 설치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해안사구 식생용 식생포트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해안사구에 관입설치되는 식생포트 유닛 자체를 생분해성 천연재료인 옥수수전분을 사용하여 제작함으로써, 해안사구에 식물 식재시 식물을 포트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식생포트 유닛 그대로 해안사구의 모래에 관입하여 시공하더라도 시간이 경과하면 포트는 분해되므로 친환경적이고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해안사구 식생용 식생포트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해안사구 설치를 위한 관입은 용이하면서도 관입 후에는 쉽게 인출되지 않고 고정되어 포트 내 식물이 해안사구에 안정적으로 활착할 수 있도록 하는 해안사구 식생용 식생포트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식생포트 유닛의 각 지지몸체부는 삼각기둥 형태를 취하고 각 인출방지부재는 각각의 지지몸체부 둘레 전체를 연하여 둘러싸는 원형 형태를 취하여, 지지몸체부의 관입은 용이하게 하면서 인출방지부재의 고정력은 증대시키는 해안사구 식생용 식생포트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식생포트 유닛의 각 상부안착부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받침부를 통해 포트 유닛의 관입시 각각의 상부안착부의 손상을 방지하고, 상부안착부의 말단에서 하향 절곡되어 지면(모래면)에 박히는 고정부를 통해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해안사구 식생용 식생포트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망 형태의 각각의 지지몸체부 내측면에 황토진흙에 코코넛섬유를 넣어 반죽한 차단막을 도포하여, 포트 유닛 내 식물이 활착할 때까지 차단막이 훼손되지 않고 해안사구의 모래 내에 포함된 염분의 침투를 차단할 수 있는 해안사구 식생용 식생포트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포트 유닛 내에 포함되는 식생기반재에 참숯가루를 포함하여 식생기반재 내 수분조절과 살균작용으로 식물뿌리의 활착을 증대시키는 해안사구 식생용 식생포트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연결부재를 통해 각각의 식생포트 하측 상호 간이 연결되어 해안사구에 관입시 각 식생포트 간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관입되도록 하는 해안사구 식생용 식생포트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해안사구 식생용 식생포트 유닛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안사구 식생용 식생포트 유닛은 넓은 지역의 해안사구 녹화작업을 신속,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식생포트가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식생포트는 해안사구에 관입될 수 있도록 말단에 첨예부를 형성하는 관입부와; 상기 관입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식물이 식재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지지몸체부와; 상기 지지몸체부의 상단에서 확경되는 판 형태로 형성되어 지면에 안착되는 상부안착부와; 상기 지지몸체부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해안사구에 관입된 식생포트가 상측으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인출방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몸체부는 외측에 다수의 구멍이 천공되어, 내부에 식생기반재를 채울 수 있게 하면서 지지몸체부 내 식재된 식물의 뿌리는 주변으로 퍼지면서 활착할 수 있게 하며, 상기 상부안착부는 인접한 식생포트의 상부안착부 간에 상호 연결되어 다수 개의 식생포트가 일체로 연결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해안사구 식생용 식생포트 유닛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부는 천연재료인 옥수수전분을 사용하여 형성되며, 해안사구 깊숙히 식물의 뿌리가 활착할 수 있도록 상하길이가 최대직경의 3~6배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해안사구 식생용 식생포트 유닛에 있어서 상기 관입부는 말단 첨예부에서 상측으로 경사면을 이루며 확경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관입부의 내측으로는 제1공간이 형성되어 식생포트의 관입 후 주변 모래가 상기 제1공간 내에 채워지면서 식생포트가 상측으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해안사구 식생용 식생포트 유닛에 있어서 상기 인출방지부재는 상기 지지몸체부의 둘레를 연하여 둘러싸는 하나의 부재로 형성되며, 하측에서 상측으로 경사면을 이루며 확경되는 깔대기 형태로 그 내측에는 제2공간이 형성되어, 식생포트의 관입 후 상기 제2공간에 채워지는 모래가 빠져나가지 않고 식생포트가 상측으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해안사구 식생용 식생포트 유닛에 있어서 상기 인출방지부재는 상기 제2공간이 형성되는 내측에서 제2공간을 가로질러 지지몸체부와 인출방지부재의 내측을 연결하여 포트의 관입시 인출방지부재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보강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해안사구 식생용 식생포트 유닛에 있어서 상기 상부안착부는 하면에서 하향 돌출되어 상부안착부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받침부와, 말단에서 하향 절곡되어 지면에 박혀 상부안착부가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해안사구 식생용 식생포트 유닛에 있어서 망 형태의 지지몸체부의 내측면에는 해안사구의 모래에 포함된 염분이 식생기반재 내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막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해안사구 식생용 식생포트 유닛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은 황토진흙에 코코넛섬유를 넣어 반죽하여 망 형태의 지지몸체부 내측면에 도포됨으로써, 포트 내 식물이 활착할 때까지 차단막이 훼손되지 않고 염분의 침투를 차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해안사구 식생용 식생포트 유닛에 있어서 상기 식생기반재는 배양토 100 중량부에 코코피트 15~20 중량부, 모래 10 중량부, 참숯가루 2~5 중량부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해안사구 식생용 식생포트 유닛에 있어서 일체로 연결된 다수 개의 식생포트는 각 식생포트의 하측에서 별도의 연결부재를 통해 각각의 식생포트 하측 상호 간이 연결되어, 해안사구에 관입시 각 식생포트 간의 간격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해안사구의 유실이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기존의 콘크리트 제방 등과 같은 인공적인 구조물을 설치하는 방식이 아닌, 해안사구의 모래지역에 대한 녹화나 식생을 위한 방식에 사용되는 해안사구 식생용 식생포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특히 다수 개의 식생포트가 일체로 연결되어 하나의 유닛화되어 넓은 지역의 해안사구 녹화작업을 신속,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으면서 모래에 직접 관입,설치되어 설치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해안사구에 관입설치되는 식생포트 유닛 자체를 생분해성 천연재료인 옥수수전분을 사용하여 제작함으로써, 해안사구에 식물 식재시 식물을 포트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식생포트 유닛 그대로 해안사구의 모래에 관입하여 시공하더라도 시간이 경과하면 포트는 분해되므로 친환경적이고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해안사구 설치를 위한 관입은 용이하면서도 관입 후에는 쉽게 인출되지 않고 고정되어 포트 내 식물이 해안사구에 안정적으로 활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식생포트 유닛의 각 지지몸체부는 삼각기둥 형태를 취하고 각 인출방지부재는 각각의 지지몸체부 둘레 전체를 연하여 둘러싸는 원형 형태를 취하여, 지지몸체부의 관입은 용이하게 하면서 인출방지부재의 고정력은 증대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식생포트 유닛의 각 상부안착부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받침부를 통해 포트 유닛의 관입시 각각의 상부안착부의 손상을 방지하고, 상부안착부의 말단에서 하향 절곡되어 지면(모래면)에 박히는 고정부를 통해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망 형태의 각각의 지지몸체부 내측면에 황토진흙에 코코넛섬유를 넣어 반죽한 차단막을 도포하여, 포트 유닛 내 식물이 활착할 때까지 차단막이 훼손되지 않고 해안사구의 모래 내에 포함된 염분의 침투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포트 유닛 내에 포함되는 식생기반재에 참숯가루를 포함하여 식생기반재 내 수분조절과 살균작용으로 식물뿌리의 활착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별도의 연결부재를 통해 각각의 식생포트 하측 상호 간이 연결되어 해안사구에 관입시 각 식생포트 간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관입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안사구 식생용 식생포트 유닛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식생포트 유닛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식생포트 유닛의 평면도
도 4는 도 1의 식생포트 유닛의 저면도
도 5는 도 1의 식생포트 유닛의 단면도(A-A')
도 6은 도 1의 식생포트 유닛이 해안사구에 관입된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안사구 식생용 식생포트 유닛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식생포트 유닛이 해안사구에 관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참고도
도 9는 도 7의 식생포트 유닛의 상부안착부 고정부가 지면에 박혀 고정되는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해안사구 식생용 식생포트 유닛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안사구 식생용 식생포트 유닛(1)은 넓은 지역의 해안사구(30) 녹화작업을 신속,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식생포트(10)가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각각의 식생포트(10)는 해안사구(30)에 관입될 수 있도록 말단에 첨예부(111)를 형성하는 관입부(110)와; 상기 관입부(110)로부터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식물이 식재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지지몸체부(120)와; 상기 지지몸체부(120)의 상단에서 확경되는 판 형태로 형성되어 지면(해안사구면 즉, 모래면을 일컬음) 또는 매트면에 안착되는 상부안착부(130)와; 상기 지지몸체부(120)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해안사구(30)에 관입된 식생포트(10)가 상측으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인출방지부재(14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몸체부(120)는 외측에 다수의 구멍이 천공되어 내부에 식생기반재(160)를 채울 수 있게 하면서 지지몸체부(120) 내 식재된 식물의 뿌리는 주변으로 퍼지면서 활착할 수 있게 하며, 상기 상부안착부(130)는 인접한 식생포트(10)의 상부안착부(130) 간에 상호 연결되어 다수 개의 식생포트(10)가 일체로 연결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구온난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과 각종 난개발에 의한 해안지형 변화 등으로 인해 최근에는 해안가 사구가 급격히 유실되어 해안가 환경파괴 및 도로나 제방 붕괴 등과 같은 많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바, 이러한 해안가 사구(모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해안가를 따라 인공적인 제방을 설치하거나 또는 해안가 근해에 인위적인 쇄파설비 등을 설치하는 방식 등도 적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인공적인 제방 등을 설치하는 방식의 경우 구조물 자체가 콘트리트 등의 인공적인 구조물이기 때문에 그로 인해 주변환경이나 해양식물 등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을 야기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인공적인 구조물을 설치하여 해안사구의 유실을 방지하는 방식이 아닌, 해안사구에 직접 녹화림을 구성하여 녹화용 식생식물에 의한 사구(모래) 유실을 방지하는 해안녹화사업에 활용되는 해안사구 식생에 특화된 전용 식생포트 유닛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해안사구 식생용 식생포트 유닛(1)은 넓은 지역의 해안사구(30)에 대한 녹화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개별 식생포트를 하나하나 해안사구(30)에 시공하게 되면, 녹화를 위한 시공작업이 과다하게 소요됨은 물론, 시공되는 식생포트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도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어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다수 개의 식생포트(10)가 일체로 연결되어 하나의 식생포트 유닛(1)을 형성하도록 하며 이때, 각 식생포트(10)는 인접한 식생포트(10)의 상부안착부(130) 간에 상호 연결되어 다수 개의 식생포트(10)가 일체로 연결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녹화작업시 식생포트 유닛(1)의 상부를 파지 및 타공하여 하나의 식생포트 유닛(1)을 용이하게 해안사구(30)에 시공할 수 있음은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식생포트 유닛(1)에서 각 식생포트(10) 상호 간을 연결하고 있는 상부안착부(130)의 연결부위를 절단하게 되면, 식생포트 유닛(1)의 전체적인 크기를 조정할 수 있음은 물론 절단된 식생포트(10)는 개별적인 식생포트(10)로 활용할 수 있는 특징을 갖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다른 식생포트 유닛(1)을 형성하는 하나의 식생포트(10)의 세부구성에 대해 먼저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관입부(110)는 상기 식생포트(10)가 해안사구(30)의 지면 즉, 모래 내에 관입될 수 있도록 말단에 첨예부(111)를 형성하는 최하단 구성으로, 지면을 파서 공간을 형성한 다음 형성된 공간 내에 안착하는 방식으로 시공되는 기존 식생포트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해안사구 식생용 식생포트 유닛(1)은 해안사구(30)의 모래 내에 타공하여 직접 박히는 방식으로 시공되는 특징을 갖게 되는바, 이를 위해 상기 식생포트(10)의 최하단에는 해안사구(30)의 모래 내로의 관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말단에 첨예부(111)를 형성하고 첨예부(111)로부터 상측으로 상향 확경되는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관입부(110)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관입부(110)는 상기 식생포트(10)의 모래 내 관입을 가능하도록 일정 강도 이상의 강성을 갖추어야 함은 물론, 해안사구(30)에 설치된 이후 일정기간이 경과한 이후에는 즉, 해안사구(30)에서의 식물의 활착 및 식생이 어느 정도 이루어진 이후에는 해안사구(30)의 모래 내에서 분해되어 토양오염을 시키지 않고 오히려 식물의 양분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친환경적인 천연재료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한바, 특히 상기 관입부(110)는 천연재료인 옥수수전분을 사용하여 형성됨으로써 코코넛 섬유 등의 천연재료를 사용하는 방식에 비해 충분한 강도를 갖을 수 있으면서도 일정 기간이 경과한 이후에는 생분해되어 토양오염의 문제가 없고 식물의 양분으로도 활용될 수 있는 특징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 관입부(110)의 내측으로는 상측이 개방되고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는 제1공간(112)이 형성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생포트 유닛(1)이 해안사구(30)의 모래 내에 관입이 완료된 이후에 각 식생포트(10) 주위의 모래가 상기 제1공간(112) 내에 채워지게 함으로써, 상기 제1공간(112) 내에 채워진 모래는 시공 후 식생포트 유닛(1)이 상측으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해안사구(30)에 시공된(즉, 관입된) 식생포트 유닛(1)이 쉽게 상측으로 빠져나오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게 한다.
상기 지지몸체부(120)는 상기 관입부(110)로부터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실질적으로 포트 내에서 식물이 식재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도 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몸체부(120)는 상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여 공간 내에 식물의 식생에 필요한 식생기반재(160)가 채워지고 포트 내에 식재된 식물의 뿌리가 식생기반재(160)의 영양분을 토대로 성장하여 식생하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생포트 유닛(1)의 특징 중 하나는 식생포트 유닛(1) 전체가 해안사구(30)의 모래 내에 직접 관입되는 것인바, 이를 위해 상기 지지몸체부(120) 역시 식생포트 유닛(1)의 (관입을 위한)타공시공이 가능하도록 일정 강도 이상의 강성을 갖추어야 함은 물론, 해안사구(30)에 설치되어 일정기간이 경과한 이후 즉, 해안사구(30)에서의 식물의 활착 및 식생이 어느 정도 이루어진 이후에는 해안사구(30)의 모래 내에서 분해되어 토양오염을 시키지 않고 오히려 식물의 양분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친환경적인 천연재료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한바, 특히 상기 지지몸체부(120) 역시 천연재료인 옥수수전분을 사용하여 형성됨으로써 코코넛 섬유 등의 천연재료를 사용하는 방식에 비해 충분한 강도를 갖을 수 있으면서도 일정 기간이 경과한 이후에는 생분해되어 토양오염의 문제가 없고 식물의 양분으로도 활용될 수 있는 특징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몸체부(120)는 상기 식생포트(10)의 식물이 해안사구(30) 깊숙히 식물의 뿌리가 활착시켜 해안사구(30)의 모래 밑 지반에까지 식물의 뿌리가 안착하여 원할하게 식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지지몸체부(120)의 상하길이(H)가 지지몸체부(120) 최대직경(D)의 3~6배 길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일반적인 토양과 달리, 해안사구(30)는 그 특성상 상층에 형성된 모래를 일정 깊이 파고 아래로 내려가야만 흙으로 이루어진 지반에 이를 수 있게 되는 구조이고, 식물이 장기간 원활하게 식생하기 위해서는 모래가 아닌 흙으로 이루어진 지반에 그 뿌리를 내리고 활착하여야 하므로, 이를 종합해보면 해안사구(30)에 식물이 종국적으로 뿌리를 내리고 활착하여 장기간 식생하기 위해서는 해안사구(30)에 설치된 포트 내 식물의 뿌리가 모래 밑 지반까지 내려가 활착되어야 하므로, 식생포트(10) 내 식물의 뿌리가 보다 원활하게 해안사구(30)의 모래 밑 지반까지 활착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몸체부(120)는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길이(H)가 지지몸체부(120) 최대직경(D)의 3~6배 길이로 형성되어, 식생포트(10)의 해안사구(30) 내 관입설치가 완료된 이후 포트 내 식물의 뿌리는 상기 지지몸체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성장하면서 해안사구(30)의 모래 밑 지반까지 보다 용이하게 활착하여 뿌리내릴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몸체부(120)는 그 외주면이 다수의 구멍이 천공되는 망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는 식생기반재(160)를 채울 수 있게 하면서도 상기 지지몸체부(120) 내에서 생장하는 식물의 뿌리가 망을 통해 주변으로 퍼지면서 주변 지반에 견고하게 활착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지지몸체부(120)는 평단면형상이 기존에 많이 볼 수 있었던 원형 대신에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삼각기둥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됨으로써, 해안사구(30) 내 관입시 보다 용이하게 관입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안착부(130)는 상기 지지몸체부(120)의 상단에서 확경되는 판 형태로 형성되어 지면(해안사구면 즉, 모래면을 일컬음) 또는 매트면에 안착되는 구성으로, 상기 상부안착부(130)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포트 유닛(1)의 관입깊이의 기준(즉, 상기 상부안착부(130)가 해안사구의 모래면이나 또는 포설된 매트면에 안착되는 정도까지 관입하는 것이 기준이 된다)이 되어 식생포트 유닛(1) 전체가 해안사구(30) 내에 너무 깊숙히 매립되는 경우나 부족하게 매립되는 경우 등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상부안착부(130)는 해안사구(30)의 모래 내에 직접 관입되는 구성은 아니나, 본 발명에 따른 식생포트 유닛(1)을 해안사구(30)의 모래 내에 관입하기 위해서는 타공이 필요할 수 있고 이때, 식생포트 유닛(1)에서 타공되는 부위는 상기 상부안착부(130)가 되므로, 상기 상부안착부(130) 역시 앞서 설명한 상기 관입부(110)와 마찬가지로 일정 강도 이상의 강성을 갖추어야 함은 물론, 해안사구(30)에 설치되어 일정기간이 경과한 이후 즉, 해안사구(30)에서의 식물의 활착 및 식생이 어느 정도 이루어진 이후에는 해안사구(30)의 모래 내에서 분해되어 토양오염을 시키지 않고 오히려 식물의 양분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친환경적인 천연재료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한바, 상기 상부안착부(130) 역시 천연재료인 옥수수전분을 사용하여 형성됨으로써 코코넛 섬유 등의 천연재료를 사용하는 방식에 비해 충분한 강도를 갖을 수 있으면서도 일정 기간이 경과한 이후에는 생분해되어 토양오염의 문제가 없고 식물의 양분으로도 활용될 수 있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안착부(13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식생포트 유닛(1)을 형성하는 각각의 식생포트(10)가 연결되어 일체를 이루도록 하는 연결부위이기 때문에, 도 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안착부(130)는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하나의 원판의 일정부위에서 돌출되어 연장되는 부위에 의해 인접한 식생포트(10)의 상부안착부(130) 간에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부안착부(130) 간의 연결부위는 필요에 따라 절단되어 식생포트 유닛(1)의 크기를 조절하거나 또는 개별 식생포트(10)를 낱개로 활용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상부안착부(130)는 하면에서 하향 돌출 형성되어 상부안착부(130)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받침부(131)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생포트 유닛(1) 전체를 해안사구(30)의 모래 내에 관입하기 위해서 타공이 필요한 경우에 실제 타공이 이루어지는 부위는 상기 상부안착부(130)가 되므로, 타공에 의한 상기 상부안착부(130)의 파손 등을 방지하기 위한 일환으로 상기 상부안착부(13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상부안착부(130)의 하면에서 하향 돌출되어 형성되는 보강받침부(131)를 추가로 형성하게 된다. 상기 보강받침부(131)는 도 2 및 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안착부(130)의 확경되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안착부(130)의 하면에서 하향 돌출되어 마치 단면으로는 'T'자 형태와 같이 상부안착부(130)의 하면에서 하향 돌출되어 상부안착부(130)의 단면 강성을 보강하게 된다. 상기 보강받침부(131)는 상부안착부(130)의 원주방향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단면 형상 역시 도 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삼각형 형상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보강받침부(131)의 최하측 말단부 역시 해안사구면 또는 매트면에 보다 견고하게 가압될 수 있도록 첨예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출방지부재(140)는 상기 지지몸체부(120)의 일측에서 (외측방향으로)돌출되어 해안사구(30) 내에 관입된 본 발명에 따른 식생포트 유닛(1)이 상측으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인출방지부재(140)가 상기 지지몸체부(120)의 둘레 전체에 걸쳐 상기 지지몸체부(120)의 둘레를 연하여 둘러싸는 하나의 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앞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언급한 바와 같이, 종래의 개별 식생포트에 형성되는 인출방지부재와 같은 구성들은 그 형태가 개별 식생포트의 측면에서 일정 간격으로 군데군데 돌출되는 형태를 취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이와 같은 종래의 구조를 갖는 식생포트를 모래로 이루어진 해안사구에 적용하여 관입시키게 되면, 해안사구의 모래입자가 종래 식생포트의 측면에서 군데군데 돌출된 인출방지부재와 같은 구성들 사이사이로 쉽게 빠져나오게 되어 식생포트의 상부로의 인출을 방지하는 기능 자체를 발휘하지 못하게 되고 종국에는 식물의 활착률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식생포트 유닛(1)을 형성하는 각각의 식생포트(10) 측면에 형성되는 상기 인출방지부재(140)는 종래와 달리 상기 지지몸체부(120)의 둘레 전체에 걸쳐 상기 지지몸체부(120)의 둘레를 연하여 둘러싸는 하나의 부재로 형성됨으로써, 해안사구(30) 내에 관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식생포트 유닛(1)을 위로 당기게 되면 상기 인출방지부재(140) 상측에 위치하는 모래가 (종래와 같이 인출방지부재 사이사이로 빠져 나오면서 유출되는 것이 아니라)상기 인출방지부재(140)를 가압하여 인출방지부재(140) 및 지지몸체부(120)가 쉽게 상측으로 뽑혀 나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특히 상기 인출방지부재(140)는 도 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에서 상측으로 경사면을 이루며 확경되는 깔대기 형태로 형성됨은 물론, 그 내측에는 일정 공간을 갖는 제2공간(141)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식생포트 유닛(1)의 관입 후 하측에서 상측으로 경사면을 이루며 확경되는 깔대기 형태로 형성된 상기 제2공간(141) 내에 채워지는 모래에 의해 (상기 제2공간(141)이 없는 경우에 비해)상기 인출방지부재(140)를 직접 가압하는 모래의 양을 증가시켜, 인출방지부재(140) 및 지지몸체부(120)가 상측으로 인출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생포트 유닛(1)의 각각의 지지몸체부(120) 내에는 식물의 활착에 필요한 양분 등을 제공하는 식생기반재(160)가 채워져 식생포트(10) 내,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지지몸체부(120) 내에 식재되는 식물의 뿌리에 양분을 제공하여 식물의 뿌리가 원활하게 생장 및 활착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식생기반재(160)의 성분으로는 배양토 100 중량부에 코코피트 15~20 중량부, 모래 10 중량부, 참숯가루 2~5 중량부가 배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배양토는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다수의 영양성분 등을 포함하는 혼합토로, 통기성이 좋고 거름기가 많은 부엽토, 피트모스, 펄라이트 등의 흙을 적절히 혼합하여 생성된다. 상기 코코피트는 코코넛 열매의 목질부분을 가공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수분의 함수율이 일반 토양이나 톱밥보다 월등히 높음은 물론 통기성이 좋고 질소나 인이 함유되어 있어 식물 뿌리에 양분을 제공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식생기반재(160)에는 참숯가루가 포함되는데, 상기 참숯가루는 그 내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미세한 기공을 통해 수분을 빠르게 흡착할 수 있기 때문에 수분이 많이 함유된 해안사구(30)의 특성상 수분이 과함에 따른 식물 뿌리의 괴사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참숯가루 특유의 살균효과를 통해 식물 뿌리가 썩지 않고 잘 생장하도록 보조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식생포트 유닛(1)은 해안사구(30)의 모래 내에 관입되어 해안사구의 녹화를 위해 설치되는 특징을 갖게 되는바, 해안사구(30)는 그 특성상 염분을 포함하는 바닷물과 자주 접촉하게 되어 해안사구(30)의 모래에는 염분이 일반 토양에 비해 많이 함유되어 있음이 자명하고, 이와 같이 해안사구(30)의 모래 내에 함유된 염분은 식물뿌리의 생장에는 악영향을 미치게 되어 종국에는 해안사구(30)에 식재된 식생포트 유닛의 식물이 활착하지 못하고 고사하게 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해안사구(30)에 관입,식재되는 식생포트 유닛(1)의 식생기반재(160) 내로 해안사구(30)의 모래에 있는 염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별도의 구성 즉, 차단막(150)을 포함하는바, 상기 차단막(15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 형태의 상기 지지몸체부(120)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해안사구(30)의 모래에 포함된 염분이 식생기반재(160) 내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차단막(150)으로는 망 형태의 상기 지지몸체부(120)에 잘 부착될 수 있는 부착력이 우수하여야 하므로, 이를 위해 항토진흙을 반죽하여 지지몸체부(120)의 내측면에 도포하여 부착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항토진흙이 지지몸체부(120)의 내측면에 도포된 이후 건조된 상태에서도 일정 기간 동안 이탈 또는 파손되지 않는 내구성을 갖추어야 염분의 침투를 방지하는 차단막으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바, 이를 위해 특히 상기 황토진흙에 코코넛섬유를 넣어 반죽한 다음 이를 망 형태의 지지몸체부 내측면에 도포함으로써, 항토진흙이 그 내부에 혼합된 코코넛섬유의 섬유질 사이사이에 잘 엉겨붙어 쉽게 파손되거나 이탈되지 않게 되어 종국에는 일정 기간 이상 지지몸체부(120)의 내측면에 부착된 상태로 염분의 침투를 차단하는 차단막으로서의 본연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 내지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안사구 식생용 식생포트 유닛(1)은 식생포트 유닛(1)의 해안사구(30) 내로의 관입시 상기 지지몸체부(120)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상기 인출방지부재(140)가 변형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인출방지부재(140)의 제2공간(141) 내에 별도의 지지보강대(142)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보강대(142)는 도 7 등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측에서 상측으로 확경되는 경사면을 이루며 깔대기 형태로 형성되는 상기 인출방지부재(140)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2공간(141) 내에서 제2공간(141)을 가로질러 지지몸체부(120)의 측면과 인출방지부재(140)의 내측면을 연결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생포트 유닛(1)을 해안사구(30) 내에 직접 관입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지지몸체부(120)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상기 인출방지부재(140)는 해안사구(30)의 모래의 저항력에 의해 관입되는 방향(①방향)의 반대방향(②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어 관입 도중 그 형태가 변형되거나 일부가 손상되는 사태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깔대기 형태로 형성되는 상기 인출방지부재(140)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2공간(141) 내에서 제2공간(141)을 가로질러 지지몸체부(120)의 측면과 인출방지부재(140)의 내측면 상호간을 연결하는 상기 지지보강대(142)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인출방지부재(140)가 관입과정에서 받는 ②방향의 힘에 대해 상기 지지보강대(142)가 상기 인출방지부재(140)를 지지보강하여 인출방지부재(140)의 변형이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상기 지지보강대(142)는 필요에 따라 상기 지지몸체부(120) 및 인출방지부재(140)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안사구 식생용 식생포트 유닛(1)은 상기 상부안착부(130)의 말단에서 하향 절곡되어 지면에 박혀 상기 상부안착부(130)가 견고하게 고정되거나 또는 매트 등을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고정부(132)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32)는 도 7 등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안착부(130)의 말단에서 하향 절곡되어 형성되며, 그 말단이 지면에 용이하게 박힐 수 있도록 첨예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안착부(130)의 말단에서 하향 절곡되는 상기 고정부(132)를 추가로 형성하게 되면, 본 발명에 따른 식생포트 유닛(1)을 해안사구(30)에 관입,설치시 상기 고정부(132)가 해안사구(30)의 모래면에 박혀 상기 상부안착부(130)의 안착 및 식생포트(10)의 고정에 기여할 수 있게 되며,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생포트 유닛(1)을 해안사구(30)에 포설되는 식생매트(50)의 고정을 위한 앵커핀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설치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고정부(132)가 식생매트(50)의 매트면에 박혀 포설된 식생매트(50)가 해안사구(30)의 모래면에서 들뜨거나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안사구 식생용 식생포트 유닛(1)은 일체로 연결된 다수 개의 식생포트(10)의 하측에서 별도의 연결부재(170)를 통해 각각의 식생포트(10) 하측 상호 간이 연결되어, 해안사구(30)에 관입시 각 식생포트(10) 간의 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을 갖는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식생포트(10)의 상측에 위치한 상기 상부안착부(130)에 의해 각각의 식생포트(10)가 일체로 연결되는 식생포트 유닛(1)을 해안사구(30)에 관입시키게 되면, 그 과정에서 모래의 저항력이나 기타 시공하중 등에 의해 관입되는 식생포트 유닛(1)의 하측 즉, 각각의 식생포트(10)들의 하측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거나 좁아지는 등 그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바, 별도의 연결부재(170)를 통해 각각의 식생포트(10) 하측 상호 간을 연결시키게 되면 식생포트 유닛(1)의 해안사구(30)에 관입시 각각의 식생포트(10) 간의 간격이 모두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되어 시공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높이게 된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식생포트 유닛
10: 식생포트
110: 관입부 111: 첨예부 112: 제1공간
120: 지지몸체부 130: 상부안착부
131: 보강받침부 132: 고정부
140: 인출방지부재 141: 제2공간 142: 지지보강대
150: 차단막 160: 식생기반재 170: 연결부재
30: 해안사구
50: 식생매트

Claims (10)

  1. 넓은 지역의 해안사구 녹화작업을 신속,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식생포트가 일체로 연결된 식생포트 유닛에 있어서,
    상기 식생포트는 해안사구에 관입될 수 있도록 말단에 첨예부를 형성하는 관입부와; 상기 관입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식물이 식재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지지몸체부와; 상기 지지몸체부의 상단에서 확경되는 판 형태로 형성되어 지면에 안착되는 상부안착부와; 상기 지지몸체부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해안사구에 관입된 식생포트가 상측으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인출방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안착부는 인접한 식생포트의 상부안착부 간에 상호 연결되어 다수 개의 식생포트가 일체로 연결형성되며,
    상기 지지몸체부는 외측에 다수의 구멍이 천공되어 내부에 식생기반재를 채울 수 있게 하면서 지지몸체부 내 식재된 식물의 뿌리는 주변으로 퍼지면서 활착할 수 있게 하고,
    망 형태의 지지몸체부의 내측면에는 해안사구의 모래에 포함된 염분이 식생기반재 내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막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사구 식생용 식생포트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부는 천연재료인 옥수수전분을 사용하여 형성되며, 해안사구 깊숙히 식물의 뿌리가 활착할 수 있도록 상하길이가 최대직경의 3~6배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사구 식생용 식생포트 유닛.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입부는 말단 첨예부에서 상측으로 경사면을 이루며 확경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관입부의 내측으로는 제1공간이 형성되어 식생포트의 관입 후 주변 모래가 상기 제1공간 내에 채워지면서 식생포트가 상측으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사구 식생용 식생포트 유닛.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방지부재는 상기 지지몸체부의 둘레를 연하여 둘러싸는 하나의 부재로 형성되며, 하측에서 상측으로 경사면을 이루며 확경되는 깔대기 형태로 그 내측에는 제2공간이 형성되어, 식생포트의 관입 후 상기 제2공간에 채워지는 모래가 빠져나가지 않고 식생포트가 상측으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사구 식생용 식생포트 유닛.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방지부재는 상기 제2공간이 형성되는 내측에서 제2공간을 가로질러 지지몸체부와 인출방지부재의 내측을 연결하여 포트의 관입시 인출방지부재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보강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사구 식생용 식생포트 유닛.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안착부는 하면에서 하향 돌출되어 상부안착부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받침부와, 말단에서 하향 절곡되어 지면에 박혀 상부안착부가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사구 식생용 식생포트 유닛.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은 황토진흙에 코코넛섬유를 넣어 반죽하여 망 형태의 지지몸체부 내측면에 도포됨으로써, 포트 내 식물이 활착할 때까지 차단막이 훼손되지 않고 염분의 침투를 차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사구 식생용 식생포트 유닛.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기반재는 배양토 100 중량부에 코코피트 15~20 중량부, 모래 10 중량부, 참숯가루 2~5 중량부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사구 식생용 식생포트 유닛.
  10. 제 1 내지 6 및 8 내지 9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일체로 연결된 다수 개의 식생포트는 각 식생포트의 하측에서 별도의 연결부재를 통해 각각의 식생포트 하측 상호 간이 연결되어, 해안사구에 관입시 각 식생포트 간의 간격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사구 식생용 식생포트 유닛.
KR1020120013819A 2012-02-10 2012-02-10 해안사구 식생용 식생포트 유닛 KR101183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819A KR101183494B1 (ko) 2012-02-10 2012-02-10 해안사구 식생용 식생포트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819A KR101183494B1 (ko) 2012-02-10 2012-02-10 해안사구 식생용 식생포트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3494B1 true KR101183494B1 (ko) 2012-09-20

Family

ID=47113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3819A KR101183494B1 (ko) 2012-02-10 2012-02-10 해안사구 식생용 식생포트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349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7759Y1 (ko) * 2004-12-21 2005-03-14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이탈방지 식생포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7759Y1 (ko) * 2004-12-21 2005-03-14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이탈방지 식생포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8858B1 (ko) 해안사구 식생용 식생포트
JPH09302667A (ja) 自然生態自己復元式法面工法および法面構造
KR20060108595A (ko) 황마(코코넛)식생포대
JP4313837B1 (ja) ネコヤナギを用いた既設のコンクリート護岸における水辺の環境改善工法
AU2009287388A1 (en) Vegetation and support layer,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102122967B1 (ko) 사면 안정화를 위한 유공블록 녹화구조
KR200408102Y1 (ko) 식생매트리스를 활용한 개비온
CN210298676U (zh) 一种道路绿化树的树池结构
KR20060105916A (ko) 식생매트리스를 활용한 개비온 시공방법
CN112544292B (zh) 一种防止边坡水土流失的自消型盘旋状扩根固土方法
KR200413811Y1 (ko) 식생 호안용 부직포
KR101183494B1 (ko) 해안사구 식생용 식생포트 유닛
CN208387441U (zh) 一种河流消落带植被栽培系统
KR100671719B1 (ko) 녹화 방법 및 녹화를 위한 식재용 포트
CN109744028A (zh) 一种公园草坪节水型基床及其生产方法
KR100793487B1 (ko) 환경 친화적 식생 블럭과 그 제조 방법 및 동 블럭을이용한 식생 블럭망 및 상기 식생 블럭망을 이용한 식생공법
CN209134910U (zh) 一种用于树根土球育成的种植穴
KR100427226B1 (ko) 환경친화형 돌망태 공법
KR100938140B1 (ko) 절개사면 녹화처리용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10038037A (ko) 사면 안정화를 위한 돌망태 녹화구조
KR101069309B1 (ko) 식생필터를 이용한 옹벽의 녹화방법
KR102443511B1 (ko) 피스톤식 고정용 앵커를 이용한 사면 녹화구조 및 녹화공법
CN212477798U (zh) 一种带绿化效果的石笼挡墙
JP2001107364A (ja) 戻し機能付き緑化用ユニットとその施工方法
KR20110040594A (ko) 지면 안정화용 식생매트 및 이 식생매트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